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생의 연관성에 대한 코호트 연구

        황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연구 배경 한국에서 위암은 네번째로 흔하게 발생하는 암이며, 지난 10여 년간 연령표준화 발생률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발생 암 중 하나이다. 위암은 개인의 유전적 소인과 생활습관, 식이를 포함한 환경적 요인 등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간주되며, 이는 암을 유발하는 환경을 만들고 암 발병률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다. 빠른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나고, 운동 부족과 현대화된 생활습관의 변화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더불어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런 대사질환의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사증후군 유병율의 증가와 함께 여러 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지만,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근거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대사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 고혈당, 고혈압, 그리고 복부비만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각 구성요소들이 각각이 위암 발생과 연관된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일부 구성요소가 위암 발생과 연관이 있음이 제기되었지만, 일부 구성요소들은 위암과 유의한 연관성 보이지 않다고 발표되고 있다.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실제로 위암 발생과 연관성을 가지는지 파악함으로써 구성요소들 중 상대적인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는 개인의 생활 방식, 식습관 또는 치료와 같은 요인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단일 시점에서의 노출 상태와의 연관성만 평가해왔다. 단일 시점에서의 노출 상태만 고려할 경우, 중요한 변화나 누적된 노출의 영향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제한적일 수 있다. 대사증후군 또는 특정 구성요소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변한다면, 해당 요소를 관리하고 조절함으로써 개인의 위암 발생 위험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변화와 위암 발생과의 잠재적 연관성을 탐구하는 연구를 통해 시간에 따른 노출 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대사증후군의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각 단일 요인이 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일부만이 위암과 연관성이 있다고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단독으로 고려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아니면 여러 요인들을 조합하여 고려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 다면적으로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이러한 요인들이 포함된 복합지표에서도 위암 발생과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목표는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번째로,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와 위암 위험성 사이의 연관성을 전반적으로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가 변화 가능한 요소임을 고려하여, 상태 변화와 위암 발생과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인구집단에서 위암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관련된 복합지표와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한국인 유전체 역학연구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의 일부인 도시 기반 코호트(Health Examinees study, HEXA)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정의는 임상지표와 설 문으로 조사된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과거력이 있는 대상자 중 약 물 복용 여부를 포함하여 고려되었다. 따라서, 중성지방(≥150mg/dL) 또는 이상지질혈증 약물을 복용한다고 응답한 경우, HDL콜레스테롤(남 성≤40mg/dL, 여성≤50mg/dL), 공복혈당(≥100mg/dL) 또는 혈당치 료제를 복용한다고 응답한 경우, 혈압(≥130/85mm) 또는 혈압약을 복 용한다고 응답한 경우, 허리둘레(남성≥90cm, 여성≥85cm) 등 5가지 기준 중 세가지 이상에 해당할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했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기반조사에서 분석 대상자 선정기준을 만족하 는 108,397명을 분석에 포함하였고 연령을 시간 척도로 고려한 다변량 콕스 비례 위험 모형(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사용하여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와 위암 발생 사이의 위험도를 추정 했다. 위암의 해부학적 위치와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대상증후군 및 구 성요소와의 연관성을 평가했고, 성별에 따른 하위그룹분석(subgroup analysis)을 수행했다. 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의 사이의 결합 효과(joint effect)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사증후군 유무 및 개별 생활습관 유무에 따라 네개 그룹으로 나누어 joint effect 분석을 시행했다. 두번째 분석에서는 기반조사와 반복측정조사에 참여한 61,615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의 변화와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 변화를 기반조사와 반복측정조사의 노출요인의 상태 변화에 따라 4개 그룹으로(정상 유지, 정상으로 개선, 위험으로 발생 및 위험 유지) 구분했으며, 다변량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을 사용한 위험도 추정과 더불어 false discovery rate(FDR)을 수행했다(p for FDR <0.05). 노출 상태의 변화 후 1년과 2년의 지연 시간(lag-time)에 따른 연관성을 확인했다. Kaplan-Meier 곡선과 콕스 회귀분석에서 누적 위험(cumulative hazard)으로 시간에 따른 위암 발생률 확률을 시각화하고 Log-rank test로 그룹 간 차이를 비교했다. 세 번째 분석에서는 첫번째, 두번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위암과 연관성이 있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가 포함된 복합지표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해당 복합지표와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으며, 이 분석에서는 107,262명을 포함했다. 세번째 연구에서는 관심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관련 복합지표와 위암의 위험도를 추정했으며, 각 복합지표별 선형 추세를 평가하기 위해 각 범주의 중앙값을 산출하여 이를 모델 내에서 연속 변수로 간주하여 선형적 추세(Linear trend)를 평가했다. 연령대, 성별, 기저질환(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층화분석을 수행했으며, 2년의 지연 시간을 고려한 연관성 분석,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약물 치료를 받는 참가자들과 이상지질혈증 가족력이 있는 참가자들을 각각 제외한 민감도분석을 시행했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와 위암 위험성 사이의 연관성 연구에서는 108,397명의 연구대상자 중 평균 9.1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759명이 위암을 진단받았다. 전체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을 있는 대상자는 25%(27,241명)였다. 전반적으로 대사증후군이 있는 참가자들은 없는 사람들에 비해 위암 위험이 23% 증가했다(HR 1.23; 95% CI 1.05-1.43);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의 수가 많을 수록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되었다(p for trend 0.04). 개별 구성요소 중 고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그리고 고혈당은 위암 발생 위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 변화와 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 연구에서, 61,615명의 연구대상자 중 평균 4.5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318명이 위암울 진단 받았다. 대사증후군 상태 변화에 따라 정상 유지한 대상자는 61.7%, 위험에서 정상으로 변화된 대상자는 8.0%, 정상에서 대사증후군으로 발생한 대상자는 13.7%, 대사증후군 상태가 유지된 대상자는 16.5%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이 지속되는 그룹은 대사증후군이 없는 그룹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68%증가했다(HR 1.68, 95% CI 1.26-2.23, p for FDR 0.012). 개별 구성요소 중, 고중성지방으로 변화된 그룹은 정상을 유지되는 그룹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53% 증가했다 (HR 1.53, 95% CI 1.08-2.16, p for FDR 0.047). 지속적으로 낮은 HDL 콜레스테롤 수준을 가진 그룹은 정상을 유지되는 그룹에 비해 위암 위험이 50% 증가했다(HR 1.50, 95% CI 1.13-2.00, p for FDR 0.016).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이 위암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앞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런 요소가 포함된 복합지표 연구에서는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을 결합한 복합지표인 TG/HDL ratio가 높은 그룹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25%(HR 1.25, 95%CI 1.20-1.53) 증가했고 지표의 수치가 높을수록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 for trend 0.034). 높은 중성지방 수치와 낮은 HDL 콜레스테롤의 대상자에서 위암 발생 위험은 각각 16%(HR 1.16; 95% CI 1.00–1.30), 22%(HR 1.22; 95% CI 1.06– 1.42) 증가했다. 연구 결론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대상자가 위암 발생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이상지질혈증 중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또한, 이런 이상지질혈증의 변화가 위암 발생과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발견은 한국 인구에서 위암 발생 위험을 평가할 때 대사 요인, 특히 이상지질혈증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대사증후군과 위암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중성지방이나 HDL 콜레스테롤 등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조기에 위암 위험이 높은 개인을 식별하여 예방할 수 있는 요인의 근거 제공으로 예방의학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의의가 있는 연구 결과이다. 한국에서 위암의 발병률이 다른 지역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상황에서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커질 위암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 본 연구의 발견은 사회적, 정책적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In Korea,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ly occurring cancer. Although it has shown a decreasing trend over the past decade, it still remains one of the major types of cancer.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apid aging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social and economic burden caused by gastric cancer is expected to continually increase. Metabolic syndrome is generally defined as a collection of conditions including dyslipidemia, hyperglycemia, hypertension, and abdominal obesity. The extent to which each of these component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can vary. Some components have been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in previous studies, while others have not shown a significant association.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gastric cance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components are actual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and assess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can change over time due to factors such as individual lifestyle, dietary habits, or medical treatment.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only assessed the association with the exposure status at a single point in time. Considering only the exposure status at a single point can limit the understanding of significant changes or the impact of cumulative exposure. Furthermore, in situations where only som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re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considering these factors alone is meaningful, or if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would be more significan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onset of gastric cancer in Korean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objectives: Firstly, to generally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Secondly, considering that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can chang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changes and the onset of gastric cancer. Finally,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composite indice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identified a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in the study population and the onset of gastric cancer.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Health Examinees Study (HEXA),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n the first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oc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primarily analyzed using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estimate the hazard ratio (H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 stratified analysis by gender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dding cross-product terms to the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s was evaluated using the p-value from the likelihood ratio test. Furthermore, a joint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participants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ndividual lifestyle habits. The significance of these interaction effects was determined by adding both variables and their cross-product terms to the model and evaluating the p-value from the likelihood ratio test. In the second study, 61,615 participants from the baseline and follow-up survey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changes i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maintained normal, improved to normal, developed risk, and maintained risk).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changes and the oc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investigated using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long with the false discovery rate (FDR) correction (p for FDR <0.05). Stratified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gender, BMI at the follow-up survey, and history of comobidities (diabetes, hypertens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ese stratified groups were assessed.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1-year and 2-year lag times after exposure status changes. The cumulative hazard of gastric cancer occurrence over time was visualized using Kaplan-Meier curves and Cox regression analysi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Log-rank test. In the third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two studies, the association between composite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and the oc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investigated. Linear trends for each composite index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median values of each category and treating these as continuous variables within the model. Stratified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age, gender, and history of comorbiidties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excluding participa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within 2 years of the lag time and those receiving medication for dyslipidemia or with a family history of dyslipidemia. Results In the stud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among 108,397participants, 759 new cases of gastric cancer were diagnosed over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9.1 years. Overall, participants with metabolic syndrome had a 23%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compared to those without (HR 1.23; 95% CI 1.05– 1.43); the risk of gastric cancer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p for trend 0.04). High triglycerides, low HDL cholesterol, and hyperglycemia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nd the occurrence of gastric cancer, 318 new cases of gastric cancer were diagnosed over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4.5 years. The group with persistent metabolic syndrome had a 68%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metabolic syndrome (HR 1.68, 95% CI 1.26-2.23, p for FDR 0.012). Among the individual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the group with developed triglycerides showed the association with gastric cancer (HR 1.53, 95% CI 1.08-2.16, p for FDR 0.047). The group with persisdent low HDL cholesterol level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astric cancer risk (HR 1.50, 95% CI 1.13-2.00, p for FDR 0.016). Based on previous findings indicating a connection between certai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such as triglycerides and HDL cholesterol,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the composite indicator of triglycerides and HDL cholesterol showed that a high TG/HDL ratio group had a 25%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HR 1.25, 95% CI 1.20-1.53),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increased with the higher values of this index (p for trend 0.034). For individuals with high triglyceride levels and low HDL cholesterol, the risks of gastric cancer increased by 16% (HR 1.16; 95% CI 1.00–1.30) and 22% (HR 1.22; 95% CI 1.06–1.42),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especialy highlighting the potential importance of dyslipidemia, such as triglycerides and HDL cholesterol. It also suggests that the developed or persistence of such dyslipidemia can further increased the risk of gastric canc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idering dyslipidemia among metabolic factors is essential when assessing the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Moreover, understanding the ass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gastric cancer, and monitoring dyslipidemia factors like triglycerides and HDL cholesterol,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preventive medicine by providing evidence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igh-risk individuals for gastric cancer. Given the notably higher incidence rate of gastric cancer in Korea compared to other regions, elucidating the causes of gastric cancer in the context of the rapidly increasing aging population can provide crucial data for social and policy management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the burden of gastric cancer.

      • 대사증후군과 만성 신장질환과의 연관성

        은진석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 및 목적: 만성 신장 질환은 말기 신장질환과 심혈관질환, 조기 사망의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로서 초기에 관련 위험인자들을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필요하다. 최근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만성 신장질환 발생 위험도가 높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만성 신장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2004년 11월에서 2006년 2월 사이에 건강진단을 받았던 수진자 가운데 1,421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고, 정맥혈을 채혈하여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혈압, 공복 혈당,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NCEP ATP Ⅲ의 기준을 적용하였고, 허리둘레는 WHO 아시아-서태평양 기준을 적용하였다. 만성신장질환은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CFR)이 60 mL/min/1.73 m2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가운데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352명,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은 1,069명이었으며, 만성 신장질환의 비율은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에서는 3.4%,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에서는 6.5%이었다.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흡연, 음주에 대한 변수를 보정하였을 경우에는 허리둘레가 대사증후군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만성 신장질환 발생위험도가 1.87배(95% 신뢰구간: 1.07-3.43) 증가하였으며, 고혈압의 경우 1.86배(95% 신뢰구간: 1.03-3.35)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기준을 충족시키는 항목 수에 따른 만성 신장질환 발생위험도는 대사증후군 기준 충족 항목 수가 4개 이상인 경우 3.12배(95% 신뢰구간: 1.25-7.81)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만성 신장질환 발생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대사증후군 구성 질환이 많을수록 만성 신장질환 발생 위험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대사증후군 구성 질환 가운데는 고혈압과 복부비만이 있을 경우 만성 신장질환 발생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사증후군과 만성 신장질환과의 관련성은 확인할 수가 없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Chronic kidney disease is a major risk factor for end-stage renal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premature death. Identifying and treating risk factors for early chronic kidney disease may be the best approach to prevent and delay adverse outcomes. Some groups have recentl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and renal impairment and found that affected individuals are at increased risk for presenting renal manifest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and risk for chronic kidney disease in a sample of Korean adults. Methods: A total of 1,421 health screen examinees above 40 years old who were examined in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November 2004 to February 2006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and fasting blood glucose,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creatinine were measured by sampling in venous blood. Th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three or more of the following : waist circumference ≥90 ㎝ (men), ≥80 ㎝ (women), blood pressure≥130/85 mmHg, fasting glucose ≥110 ㎎/dL, HDL cholesterol <40 ㎎/dL (men), <50 ㎎/dL (women), and triglyceride ≥150 ㎎/dL. Chronic kidney disease was defined as a glomerular filtration rate less than 60 mL/min per 1.73 m2. Results: The number of subjec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were 352, and without the metabolic syndrome were 1,069. The prevalence was 3.4% in the subjec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6.5% in the subjects without the metabolic syndrome. After adjusting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and drinking, abdominal obesity and hyperten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odds ratio for chronic kidney disease of 1.87 (95% CI, 1.07 to 3.43) and 1.86 (95% CI, 1.03 to 3.35), respectively. Compared with subjects with 0 or 1 compon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subjects with 4 or 5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had odds ratio of chronic kidney disease of 3.12 (95% CI, 1.25 to 7.8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odds ratio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subjec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compared with subjects without the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Subjects with mor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had an increased risk for developing chronic kidney disease. Of th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hypertension and abdominal obesity were most associat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혜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 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논문 개요 본 논문은 코로나19 이후 대사증후군 질병 발병률이 높아지는 사회적인 모습들을 반영하면서 신체적, 심리적 개선점을 찾기 위한 자연적 통합 치유요법들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찾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현대사회는 자동차, 지하철, 버스, 모빌리티 등 교통수단의 발달로 사람들의 운동부족현상과 근력에너지의 부실을 유발하였고, 이는 신체적인 부조화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멀티미디어(인터넷, 모바일, TV, Cable, OTT)를 통해 배포되는 대규모 정보는 심리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다. 세계 외식 브랜드의 유입으로 다양한 음식과 질 높은 음식문화가 조성되었고 1980년대부터 해외여행의 자유화와 외식업의 발달은 오감을 자극하는 식품 구성으로 요식업 성장을 이루고 있다. 식감을 즐기는 소비자의 수요와 욕구로 그 맛을 내기 위한 자극적인 화학 재료들이 추가되고 설탕과 나트륨의 섭취량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성물질들이 첨가된 음식 섭취로 인체는 독소가 쌓이면서 다양한 질환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고당질, 고나트륨, 고지방, 고열량 등의 영양소 불균형은 대사증후군인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유발하면서 심장병이나 암 같은 심각한 질병률을 높이었다. 이에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사질환 증후군의 고위험 집단인 성인을 위해 체내 잔류 노폐물(유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몸으로 유입된 유기 오염물과 독소를 감소시키는 첫째, 식사요법, 둘째, 운동요법, 셋째, 마음·음악 요법 등을 기반으로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식사요법, 운동요법, 마음·음악 요법을 응용한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으로 대사증후군 관련 지식, 제독 행위의 선택 동기, 제독이행의 모델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자기평가에 대한 변화와 그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질환 주의군 성인을 위한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고자 한다. 둘째,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대사증후군 관련 지식, 제독요법 선택 동기, 제독요법 이행, 대사증후군 자기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주관적인 독성파악으로 대상자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차이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방법으로는 위에서 제시한 목적과 결과를 통하여 대사증후군 질환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데 있어 자연치유 제독요법을 식사요법, 운동요법, 마음·음악 요법 등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대사증후군 관련 지식, 제독요법 선택동기, 제독요법 이행, 대사증후군 자기평가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정하고 추가로 주관적 독성으로 건강과 질환 상태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평균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검정하였다. 학술적 관점에서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한 제독요법을 자연치유적인 통합적 제독요법으로 접근했다는데 학문적인 연구 기여도가 있다. 둘째, 통합적 제독요법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제독요법 동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통합적 제독요법을 통해 대사증후군 자기평가로 성과를 제시하였다. 넷째, 다른 연구에서 볼 수 없는 통합적 제독요법이 인체의 독성을 자가 진단하여 그 효과를 사전과 사후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실무적 관점에서 본 연구가 기여 제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제독요법을 적용하여 식이 운동과 음악을 통해 대사증후군의 치유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자연치유 제독요법인 프로그램으로 식이요법은 아침/저녁은 유동식을 섭취하고 식사 후 12시간 공복을 유지하면서 신선한 채소를 먹으며 견과류와 콩류를 섭취하는 것을 내용 프로그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운동요법은 가벼운 산책, 걷기운동, 온수욕, 찜질, 숙면으로 프로그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마음 요법은 명상 및 요가, 음악 놀이로 심 신을 안정시키며 기도와 긍정적 상상력으로 스트레스 없애는 내용으로 프로그램화하였다. 이러한 3가지 통합적 치유요법은 대사증후군 개선의 효과성에 대한 지식과 정보습득이 상호보완적인 각종 질환을 조절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대체 자연치유학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독요법을 시행한 결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 같은 프로그램을 시행한다면 그 결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자연치유 제독요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센터를 선별한 설문조사 시 대사증후군 질환자의 설문조사 거절과 인터뷰 거절, 프로그램 참여시 경제적 비용 부담감, 장소적 한계점이 있었다. 셋째, 대사증후군의 인체 관련 독성 검사에 기계적 검사 평가가 아닌 자기평가에 의한 결과로 대상자마다 지각하는 개인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제독요법은 대사증후군으로 한정하여 그 주관적인 자기평가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사증후군 제독요법의 임상학적인 해석과 전문성 대상자들의 정보, 연령 이해도의 차이에 따라, 측정 결과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를 활용하여 융·복합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현대적인 기구측정과 주관적인 자기평가를 동시에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연치유 제독요법 중 식사요법, 운동요법, 마음·음악요법에서 자신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치유법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전인적 치유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과 과정, 결과를 볼 때 제독요법 자연치유란 보완적 기능에서 그 회복력은 사람마다 차이점은 있다. 그러나 질병 완치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 유지가 필요할 것이며, 그로 인해 인체 내 면역력을 높이고 활력을 증강해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과학적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가 시급할 것으로 본다. This paper reflects the increasing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disease since COVID-19 and has led to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atural integrative healing therapies to fi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rovements, and to find their effectiveness. In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methods such as automobiles, subways, buses, and mobility has caused people's lack of exercise and poor muscle energy, which has led to physical dissonance. Large-scale information distributed through multimedia (Internet, mobile, TV, Cable, OTT) is causing psychological and mental stress. The influx of global food brands has created a variety of food and quality food cultures, and since the 1980s,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and the development of the catering industry have led to the growth of the catering industry with food compositions that stimulate the five senses. The demand and desire of consumers who enjoy the texture is adding irritating chemical ingredients to create the flavor and increasing the intake of sugar and sodium. Eating foods with these chemicals added to it is causing the body to accumulate toxins and produce a variety of diseases. Nutrient imbalances such as high carbohydrates, high sodium, high fat, and high calories tend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serious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and cancer while causing metabolic syndrome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and high blood pressure. To this end, the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was applied to suggest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based on diet therapy, second, exercise therapy, and third, mind and music therapy to eliminate residual waste products (organic pollutants) in the body and reduce organic contaminants and toxins introduced into the body for adults who are at high risk for metabolic disease syndrome. Using knowledg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motivation for the selection of admiral behavior, and models of admiral transition, the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diet, exercise therapy, and mind and music therapy, we wanted to test the changes in metabolic syndrome self-evaluation and the effects thereof.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wan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metabolic diseases. Second, we will provide a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tabolic syndrome-related knowledge, motivation for choosing Admiral therapy, implementation of Admiral therapy, and self-evaluation of metabolic syndrome. Third, by subjective toxicity identification, we wan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divi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health and disease into pre- and post-mortem categories. In the method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presented objectives and results,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disease is presented as a program, and in order to test its effectiveness,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is classified into diet therapy, exercise therapy, mind and music therapy, etc., and based on this, the causal relationship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knowledge,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dmiral therapy, the implementation of admiral therapy, and the self-evaluation of metabolic syndrome were ascertained, and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mean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 health and disease status into pre- and post-mortem by subjective toxicity. To analyze this, the results were test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re is an academic research contribution to the approach of admiral therapy for the first metabolic syndrome as an integrative admiral therapy with natural value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an integrative Admiral Therapy program is an important factor in motivating knowledge of metabolic syndrome and Admiral therapy. Third, the results were presented by metabolic syndrome self-evaluation through integrative admiral therapy. Fourth, integrative admiral therapy, not seen in other studies, self-diagnosed the toxicity of the human body and compared its effects pre- and post-mortem to present the results. In particular,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contribution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ve admiral therapy was applied to suggest a cure for metabolic syndrome through dietary exercise and music. Second, the Naturopathic Admiral Program proposed a way to program the diet to include eating a fluid diet in the morning/evening, eating fresh vegetables and eating nuts and legumes while maintaining an empty stomach for 12 hours after eating. Third, exercise therapy proposed programming with light walking, walking, hot water, poultice, and a good night's sleep. Fourth, mind therapy was programmed with content that stabilized the mind and body through meditation, yoga, and musical play, and eliminated stress through prayer and positive imagination. These 3 integrative healing therapies suggest th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metabolic syndrome improvemen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naturopathy that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and preventing complementary disea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same program is administered to healthy people as a result of admiral therapy in patien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may be different. Second, when screening centers that run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programs, there were survey rejection and interview rejection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economic cost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location limitations. Third, the human-related toxicity test of metabolic syndrome had a limitation that could cause perceptual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as a result of self-evaluation rather than mechanical test evaluation. Therefore, Admiral therapy was limi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consisted of its subjective self-evaluation, and depending on the clinical interpreta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admiral therapy, and the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and age understanding of the specialized subjects, the measurement results may also be somewhat differen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ompares the results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objective and modern instrumental measurements and subjective self-evaluations that can be used in fusion and combination using scales. Second, he saw the need for research that applied the most reliable healing methods of naturopathic admiral therapy to diet, exercise, and mind and music therapy. Third, when looking at the caus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causing the disease in holistic healing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the resilience of admiral therapy naturopathic healing is a complementary function tha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However, there will be a need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to cure the disease, which will lead to an urgent need for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measurement tools that can increase immunity in the body and boost vitality to increase resilience.

      • 대사증후군과 발기부전의 연관성

        지영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지질혈증과 이상지질혈증으로 구성된 질환으로 이 중 3가지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과 생활습관이 서구화되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발기부전에 관한 최근 연구들은 발기부전과 대사증후군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를 공유한다는 것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들 위험인자로 유발되는 동맥경화와 내피세포 기능 부전으로 인한 혈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사증후군과 심혈관계 질환의 연관성이 잘 알려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심혈관계 질환과 발기부전의 연관성도 많이 연구되어있다. 하지만 대사증후군과 발기부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고 대사증후군의 주 병변이 내피세포 기능 부전이므로 임상적으로 발기부전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를 하는 데 있어 단순히 발기부전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환자의 평가와 치료를 위해 대사증후군의 동반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대사증후군과 발기부전의 연관성 및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들과 발기부전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외래에 발기능 저하와 전립선 비대증에 의한 하부요로 증상으로 내원한 4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이전에 전립선 수술을 비롯한 골반부내의 장기에 수술을 받은 경우, 전립선암으로 호르몬치료 중인 환자, 발기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심부전, 천식, 간경화, 만성신부전,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병력으로 치료 중인 환자를 제외하였고 발기부전에 관한 설문조사와 대사증후군에 대한 혈액검사 및 신체검사가 완전히 이루어진 33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는 2001년 5월 미국에서 발표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Ⅲ(NCEP-ATP Ⅲ)에 따라 중성지방≥150mg/dl,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40mg/dl, 수축기혈압≥130mmHg 또는 이완기혈압≥85mmHg, 공복시 혈당≥110mg/dl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만은 한국인의 신체특성에 맞추기 위하여 2000년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국 (WHO Western Pacific Region)에서 제안한 허리둘레≥90cm이거나 체질량지수≥25kg/m²인 경우로 정하였으며, 이 중 3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하였다. 발기부전은 국제발기능점수(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 설문의 5가지 영역인 발기능, 절정감, 성적욕구, 성교만족도와 전반적인 성생활 만족도 중에서 발기능에 관련된 영역(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Erectile Function domain scores; IIEF-EF)의 점수를 이용하여 발기부전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확인하였고 26점 이상은 정상, 그 이하는 발기부전으로 진단하였으며 17점에서 25점은 경증, 11점에서 16점은 중등도 그리고 10점 이하는 중증으로 분류하였다. 총 330명 중 140명(42.4%)에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었으며 대사증후군을 가진 군에서 대사증후군이 없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령이 높았으며 낮은 국제발기능점수를 보였다. 경증 이상의 발기부전 빈도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96.5%와 대사증후군이 없는 환자에서 81.6%였다. 발기부전과 대사증후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발기부전이 심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빈도도 증가하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수를 많이 가질수록 발기부전도 심해졌다(p<0.001). 다변량 분석을 통해 보정된 발기부전의 상대위험도는 비만, 고혈압과 공복시 고혈당이 동반될 때 높았다 (p<0.001). 이상의 결과에서 대사증후군은 발기부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가 많을수록 발기부전의 정도가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중 특히 비만, 고혈압과 공복시 고혈당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발기부전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발기부전을 가진 환자가 내원하였을 경우에 발기부전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위험인자의 검사 및 교정이 발기부전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erectile dysfunction and the effect of metabolic risk factor for erectile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0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graded on severity of erectile dysfunction with IIEF(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Dysfunction), who visited urology clinics of Asan Medical Center with the symptoms of erectile dysfunction or lower urinary tract from May 2006 to June 2008. Metabolic syndrome was diagnosed according to NCEP-AT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Ⅲ and waist circumference classified with WHO Western Pacific Region criteria. Results: Of the 330 patients, 140(42.4%) was diagnosed metabolic syndrome. IIEF-EF domain scores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were 9.8±7.6 and 15.0±9.4(p<0.001). 135 patients(96.4%) of the 140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155 patients(81.6%) of the 190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had erectile dysfunction(p<0.001). IIEF-EF domain scores decreased as the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increased(p<0.001). Patients with abnormal waist or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had lower IIEF-EF domain scores than the patients with other metabolic risk factors. Conclusions: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erectile dysfunction. Of the metabolic risk factors, abnormal waist or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were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s in predicting the risk of erectile dysfunction.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erectile dysfunction should be evaluated for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 순환기내과 내원 초진 환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정도와 심혈관질환 위험 관련성

        이지영 인제대학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 최근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순환기내과 초진 환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정도를 파악하고, 심혈관질환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심혈관질환 환자들의 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연구 대상은 2008년 8월 1일부터 2008년 10월 31일까지 부산의 B대학병원 순환기내과에 내원한 40세 이상의 초진환자 중 설문조사에 응한 190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혈압, 혈액 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의무기록 검토를 시행하였다. 대사증후군 판정기준은 수정된 NCEP-ATP Ⅲ(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Third Adult Treatment Panel)의 기준을 적용 하였으며, 공복혈당치의 기준은 수정된 NCEP-ATP Ⅲ의 기준(공복혈당>110㎎/㎗)과 AHA/NHLBI(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의 기준을(공복혈당>100㎎/㎗) 각각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12.0)를 이용하여, 특성별 대사증후군 유병정도와 각 측정값의 평균치를 교차분석과 t-test로 비교하여 제 특성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단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 55.8%, 여자 44.2%로 나타났으며, 연령 분포는 40대 24.2%, 50대 41.1%, 60대 이상 34.7%로 조사되었다. 수정된 NCEP-ATP Ⅲ(공복혈당치 >110㎎/㎗)를 적용했을 때, 대사증후군 유병정도는 전체 54.7%, 남자 48.1%, 여자 63.1%로 여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39).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따른 유병정도는 복부비만(77.4%), 고혈압(75.8%), 중성지방(42.1%), 공복혈당(37.9%), 낮은 HDL(31.6%)의 순이었고, 남자에서는 고혈압(77.4%)이, 여자에서는 복부비만(90.5%)이 가장 많았다. 대사증후군 유병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15). 대사증후군 유병정도는 심혈관질환 비의증군(정상군)에서는 12.9%, 심혈관질환 의증군이 62.9%로 심혈관질환 의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낮은 HDL을 제외한 모든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에서 심혈관질환 의증군이 비의증군(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심혈관질환 의증군의 위험도는 대사증후군 요인 수가 1개 일 때 2.98배(0.81∼11.00), 대사증후군 요인 수가 2개 일 때 4.75배(1.35∼16.70), 대사증후군 요인 수가 3개 일 때 5.21배(1.49∼18.28) 대사증후군 요인 수가 4개 일 때 5.31배(1.51∼18.64)로 대사증후군 요인의 수가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 의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p for trend <0.001). 연령 60세 이상에서 40대보다 대사증후군 유병정도의 위험도가 3.11배(1.42∼6.80) 유의하게 높았다(p=0.009). 결론 :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은 심혈관질환과 분명한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심혈관질환 환자 관리에 있어 대사증후군 관리의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심혈관질환 환자에 대한 체중조절 및 혈중지질 지침, 혈압, 혈당의 병행 관리가 특히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인의 대사증후군과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송민선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을 망라하는 질병군으로서 순환기계 질환의 주된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구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질병관리본부가 시행한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누락자료를 제외한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인 허리둘레, 혈압측정, 혈액검사, 설문조사를 완료한 40세 이상 수검자 3,524명 (남자 : 1,505명, 여자 : 2,019명) 이었다. 이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은 첫째, 허리둘레 남자 90 ㎝이상, 여자 80 ㎝이상, 둘째,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남자 40 ㎎/dL미만, 여자 50 ㎎/dL미만, 셋째, 중성지방 150 ㎎/dL이상, 넷째, 혈압 130/85 ㎜Hg이상 또는 약물치료, 다섯째, 공복시 혈당 100 ㎎/dL이상 또는 약물치료 가운데서 3가지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로 정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전체 유병률은 38.8%, 성별 유병률은 남자 48.8%, 여자 31.4%이었으며, 연령이 높은 군일수록, 초졸 이하 교육수준군에서, 경제수준 하인 군에서, 과거흡연군에서, 주 2회이상 음주군에서 유병률이 높았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위험지표별 유병률은 고중성지방(81.4%), 고혈압(73.6%), 공복시 고혈당(70.0%), 복부비만(56.9%), 낮은HDL -콜레스테롤혈증(55.4%) 순이었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지표간의 상관성을 보면 중성지방,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공복시 혈당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HDL-콜레스테롤은 다른 지표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사증후군 비교위험도는 남자에 비해 여자는 0.48배, 40대에 비해 60대는 1.85배였다. 교육수준별로는 초졸 이하 군에 비해 대졸 이상 군에서 0.80배, 경제수준별로는 하에 비해 상에서 0.74배, 흡연에서는 비흡연군에 비해 과거흡연 군에서 1.88배, 음주에서는 비음주군에 비해 주 2회이상 음주군에서 1.20배였다.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서 교정 가능한 흡연, 음주의 건강행태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 성인 남녀의 다량영양소 에너지섭취비에 따른 대사증후군 연관성

        이수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성인 남녀의 다량영양소 에너지섭취비에 따른 대사증후군 연관성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젊은 성인에서의 유병룰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사증후군 연구 대상자는 주로 중년 또는 노인 인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량영양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사 패턴과의 연관성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성인의 다량영양소 섭취수준과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대상자는 검진조사와 식품섭취조사(24시간 회상법)에 모두 응답한 만 19-64세 성인 중 관련 검사를 시행하지 않거나 관련 약물을 복용하는 자, 공복 8시간 미만인자, 하루 섭취 열량이 극단적인 자를 제외한 총 14,742명이다. 다량영양소 섭취 비율은 하루 총 섭취 열량 대비 각 다량영양소 섭취 열량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은 NCEP-Ⅲ를 기준으로, 허리둘레는 대한비만학회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였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2.3%로 남녀 각각 13.9%, 10.7%였다. 성별, 일반사항과 건강관련 요인을 보정한 후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탄수화물 섭취수준 Q3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1.26배 증가하였으며 지방 섭취수준 Q4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21% 감소하였다. 남성은 일반사항과 건강관련 요인 보정 시 단백질 섭취수준 Q4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1.37배 증가하였다. 여성은 연령 보정 시 지방섭취수준 Q2, Q4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각각 22% 씩 감소하였으나 일반사항과 건강관련 요인 보정 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처럼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성별로 다른 다량영양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강점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을 대표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란요인들을 최소화하여 다량영양소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평가했으므로 성별 다량영양소와 대사증후군 위험도의 연관성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평소 영양소 섭취상태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단면연구의 특성상 다량영양소 섭취수준과 대사증후군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연령대와 다량영양소의 종류가 세분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상자의 연령대를 세분화한 후 특별히 대사증후군의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의 종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별 적정 섭취수준에 맞는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ssociation of macronutrient energy intake ratio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men and women Metabolic syndrome i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prevalence is increasing in young adults. However, subjects of metabolic syndrome studies are mainly include middle-aged or elderly population and they are concentrated about dietary patterns, al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to macronutrien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isk of macronutrient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of adult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3-2017. The population aged between 19-64 years were 14,742. The ratio of macronutrient intake was calculated by the amount of intake of each nutrients compared to the total daily calorie intake. On assessing the metabolic syndrome, NCEP-ATP Ⅲ was use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12.3%, 13.9% in men, 10.7% in women. After adjusting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1.26 times in carbohydrate intake Q3 and decreased 21% in fat intake Q4 in total subjects. In men, metabolic syndrome risk increased 1.37 times in protein intake Q4. In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risk of metabolic syndrome decreased 22% each in fat intake Q2 and Q4 group, but not linear relationshi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adjust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As a resul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s expected to be affected by different nutrients by sex. The strength of this study are the result of representing the entire population by using KNHANES. We also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nutrients and metabolic syndrome by adjusting various disturbanc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24-hour survey of the KNHANES is difficult to represent normal nutritional status. In addition, due to the cross-sectional study, causal relationships can not be clarified. In this study, age and the type of nutrients were not subdivided. So, after subdividing the age group of the subject, mediation of the type of nutrient that affect the indicators of metabolic syndrome is required to match the level of gender appropriate intakes.

      • 신체활동 유형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천사현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identify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of Korean adults using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made on a national scale, and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with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alysis of secondary data using data from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2019), with a total of 4,884(2,019 men and 2,793 women). Type of physical activity is classified in muscular activity and aerobic activity. Physical activity is defined as if you take moderate level of exercise more than 2hours 30minutes or high level of exercise more than 1hour 15minutes or moderate level and high level exercise each of activity whether to do it or not. Muscular activity is defined as if you take muscular exercise more than 2days a week was classified as the group of muscular activity doing group. Complex sample frequency analysis, complex sample cross analysis, and complex sa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fter correcting the value of other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independent variabl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general characteristics, 50-59 years were 19.1%, men of 42.8%, women of 57.2%. In education level, university or more group was 39.3%. Doing only aerobic activity group was 29.24%, doing only muscular activity was 7.7%, doing both activity was 13.9%, neither group was 49.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19-29 years group had a high rate of doing both activity at 25.8%.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decreased as age increases, education level increases, income decre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rate was increased as age increases. Men of 23.2%, women of 20.2% were had metabolic syndrom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increases, having metabolic syndrome was decreased. Unmarried group was 10.4%, married group was 23.7%, metabolic syndrome at doing economic activity group was 19.3%. As a result of calibrating a significant variable that may affect metabolic syndrome,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 among those who do take aerobic activity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take any physical activity was low at 0.88 times (95% CI:0.7100.96), who do take both physical activity was low at 0.71 times(95% CI:0.53-0.95).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 among those who eat breakfast regularly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eat breakfast group was high at 1.17 times(95% CI:1.08-1.22). As monthly drinking group, who do not drink monthly compared to monthly drinking group’s having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 was high at 1.52 times(95% CI:1.23-1.86). As a smoking group,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 among non smoking group compared to current smoking group was high at 1.29 times(95% CI:1.11-1.39).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rate is increasing.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obesity, metabolic syndrome is continuously controversial. This study shown that doing both physical activity and muscular activity group had a lower rate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has nega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gnize the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to lower the risk of having metabolic syndrome. 본 연구는 전국규모로 이루어진 국민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신체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춰 신체활동 여부와 대사증후군 유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국민영양조사 제8기 1차 년도(2019)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며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4,884명(남자 2,019명, 여자 2,793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활동의 경우 근력 활동 실천 여부와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여부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 여부는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 각 활동의 실천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근력 활동 실천 여부는 일주일간 근력운동 일수가 2일 미만의 경우 근력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군, 근력운동 일수가 2일 이상 시 근력운동을 실천하는 군으로 나누었다.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의 값을 일정하게 보정 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은 50-59세 그룹이 19.1%로 가장 많았고, 남자가 42.8%, 여자가 57.2%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의 경우 대학교 졸업 이상 그룹이 39.3%로 가장 많았다. 유산소 신체활동만 하는 그룹이 29.24%%, 근력활동만 하는 그룹은 7.7%,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활동 모두 하는 그룹은 13.9%,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활동 모두 하지 않는 그룹은 49.16%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유형과 일반적인 특성에서는 연령의 경우 19-29세의 경우 근력 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을 둘 다 하는 비율이 25.8%로 높았고, 30-39세는 15.7%, 40-49세는 12.5%, 50-59세는 13.2%, 60-69세는 13.8%, 70세 이상은 8.0%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근력 활동과 유산소 활동을 포함한 신체활동을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유형과 대사증후군 유무간의 전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의한 변수를 보정 한 결과 근력 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을 둘 다 하지 않는 그룹 대비 유산소 신체활동만 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오즈비)는 0.88(95% CI:0.71-0.98)로 낮게 나타났으며, 근력 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 둘 다 하지 않는 그룹 대비 근력 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을 둘 다 하는 그룹이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는 0.71(95% CI:0.53-0.95)로 낮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신체활동과 비만,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 신체활동만 하는 그룹과 근력 활동과 유산소 신체활동을 함께 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다고 분석 되었으며 신체활동 여부가 대사증후군 유병 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를 인지하고 신체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연령별로 교육하여 실질적인 해결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 제조업 근로자의 대사증후군과 업무형태, 생활습관,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

        이미정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복부비만 등이 동시에 나타나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순위 중 암 다음으로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이 각각 2.3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산업재해 통계에서 업무상 질병 중 뇌심혈관 질환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고 이 중 사망자는 50%가 넘는 것으로 집계 되었다. 사업장에서 뇌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을 줄이기 위해서는 업무내용이나 작업의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의 요인 및 생활습관과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본 연구는 제조업체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부서, 생활습관, 직무스트레스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3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G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한 자동차부품 제조업 6개의 사업장 근로자중 직무스트레스 평가 설문지를 작성한 500명 대상으로 하였다. 검진 시 검진결과 활용에 동의하지 않았거나 설문 문항에 불충분하게 응답한 9명을 제외한 49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을 사용하였고 대사증후군은 건강검진 결과를 토대로 CEP-ATPⅢ 지침을 이용하였으며, 복부비만은 IDF의 한국인 기준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들의 전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9.3% 였다. 대사증후군이 가장 많은 부서는 사무직으로 22.9%였고 생산직 > 영업직 > 연구개발직 순으로 많았다. 직무스트레스 평균값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총점수 및 하부요인 7가지 요인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생활습관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흡연과 음주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운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에 가족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서 및 교대작업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부서, 생활습관 , 직무스트레스의 총 점수는 대사증후군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 당뇨나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부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영역별로 스트레스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므로 부서별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달리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고 실제 업무 형태를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음주, 흡연, 운동 외에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의 식습관 평가 등을 추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생활습관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활습관에 대한 측정방법을 보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고, 부서별로 접근보다는 실제 업무 형태를 세부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직무스트레스는 부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영역별로 스트레스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므로 부서별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달리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차별적 접근을 한다면 사업장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대사증후군 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되어 뇌심혈관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이 감소될 것이라 판단된다. Involving hypertension, dyslipidemia, diabetes, abdominal obesity, etc. at the same time, metabolic syndrome increas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As for the causes of death in Korea, cardiovascular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re ranked no. 2 and 3 following cancer. Moreover,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dicates that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have increased among other occupational diseases each year, and over 50% of the patients were led to death. It is important for reducing occupational disorde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to identify stress factors, lifestyle, and health condition according to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b and manage th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artment, lifestyle, and job stress of employe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metabolic syndrome. The research subjects were 500 employees from 6 sites of a car parts manufacturer who received a physical examination at Hospital G between Mar 1 and Dec 31 in 2017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job stress. Except for 9 respondents who dis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or poorly answered the survey sheet, data of 491 research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 was used to measure job stress, NCEP-ATP Ⅲ Guidelines were employed based on the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for metabolic syndrome, and IDF’s Korean standard was used for abdominal obes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entir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19.3%. The department with the most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office job (22.9%), followed by production, sal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average job stress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total score and all the 7 sub-factor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and drinking, while it had no significance in exercising. Family histor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department and shift work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The total scores of department, lifestyle, and job stres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while gender, age, and family history includ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As job stress levels varied according to the department for each job stress factor,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fferently to manage job stress by department. It is considered that separating actual job types specifically, and evaluating and managing lifestyle in details by adding eating habits into the major factors affecting metabolic syndrome other than drinking, smoking, and exercising to reduce the ever-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duce the risks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It is required for follow-up research to supplement methods of measuring lifestyle and separate actual job types in details, instead of approaching by department. As job stress levels varied according to the department by area of job stress factors, it is considered that differentiated approach with different stress management measures for each department would make job stress and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at workplace more efficient and reduce cardiovascular diseases due to work.

      • 우리나라 성인의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의 관련성

        김화지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사증후군은 먹을거리가 풍부해진 현대사회에서 신체활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인자이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혈증, 공복 혈당장애, 혈압상승 등 5가지 증상 중 3가지 이상을 가지는 것이다. 최근 비만이나 복부비만 뿐만 아니라 근육량 감소 또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 2차 년도(2010~2011)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설계를 고려하여 복합표본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PASW 18.0을 이용하여 각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별 분석에 따르면 복부비만인 군, 낮은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혈증인 군, 혈압상승인 군의 근육량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근육량이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고중성지방혈증인 군, 공복 혈당장애인 군의 근육량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근육량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분석에 따르면 근육량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유병위험이 낮았으며,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구성요수 수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은 낮았으며,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수 또한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가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리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adult population, which was play a major role as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muscle mass and metabolic syndrome configuration in Korean adult. Methods: A total of 6,426 participants aged over 20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the database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2011.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y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Ⅲ. Muscle was calculated a body weight-adjusted ASM. We also considered covariates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are performed to assess the crude and adjusted associations. All analyses considered a complex sampling design using PASW 18.0. Results: In crude analysis, the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central obesity,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emia, or elevated blood pressure, but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riglyceridemia, or impaired fasting plasma glucose(p<0.05). In multivariate analysis,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OR=0.974, 95% CI=0.971, 0.977). Moreover, the increase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configuration(1 vs. 0: OR=0.984, 95% CI=0.981, 0.987; 2 vs. 0: OR=0.970, 95% CI=0.966, 0.974; 3 vs. 0: OR=0.960, 95% CI=0.956, 0.965; 4 vs. 0: OR=0.952, 95% CI=0.947, 0.958; 5 vs. 0: OR=0.946, 95% CI=0.938, 0.954). Conclusions: An increasing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configuration. This finding shows that muscle mass wa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