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 연구

        김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달래나 보지>․<오누이 힘내기>․<여우누이>를 ‘남매관계 설화’로 묶어 설화 속에서 남매관계가 형상화되는 양상을 육체·감정·맥락·무의식이라는 시각에서 새롭게 논의했다. 육체와 관련하여, <달래>에서는 누이의 육체 일부가 감각의 대상으로 형상화되고 폐쇄적․일방향적으로 인식되면서 은폐된 남매관계가 나타난다. <힘내기>에서는 누이의 육체가 완력을 중심으로 형상화되는데 ‘성쌓기형’에서 누이의 힘은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굴절되며 ‘옷짓기형’에서 누나의 육체가 갖는 영향력은 대폭 축소된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의 괴물화된 육체가 집중적으로 형상화되고 오빠들과 여우누이는 극단적으로 이질화되면서 파괴적 관계를 구축한다. 감정 이론에 따라 남매관계 설화를 살피면 <달래>에서는 오빠/남동생의 성욕과 죄책감, 누이의 슬픔이 주목된다. 이야기판에서는 오빠/남동생에 대한 혐오 혹은 음담적 흥미가 드러나지만 ‘연민’의 감정은 찾기 어려웠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에는 패배한 누이에 대한 제한적 공감과 지배 질서에 대한 두려움이 함께 나타나지만 ‘옷짓기형’의 감정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로부터 유발되는 공포, 그 공포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흥미와 파괴적․윤리적 쾌감이 함께 드러난다. 남매관계 설화의 공간적․사회적 맥락을 읽으면 <달래>의 경우 남매의 문제에 공간은 무의미하며 남매 외의 가족·지역·국가 등의 관계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바 이는 남매관계의 고립성과 경계성의 지표이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과 ‘옷짓기형’에서 공히 남매는 대조적 공간을 구축하며, 가부장제․국가 권력 등 지배 질서와의 갈등 속에서 여성과 장사에 대한 배제와 제거를 실현한다. <여우>에서는 남매 갈등의 심화에 따라 공간이 분산되는데 이는 가족의 해체에 대응된다.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에 드러나는 이러한 육체와 감정, 그리고 맥락의 함의는 무엇인가? 먼저 오빠/남동생의 존재가 분열되고 대상화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의 경우 오빠/남동생의 자살은 신체의 자기분열, 감정적 자기혐오를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화자와 청중의 희화적 시선도 나타난다. 이러한 파편성은 <힘내기>에서도 유사한데 ‘옷짓기형’의 경우 역사적 인물인 남동생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지만 그런 속성이 없다면 정체성이 취약해지는바 비극적 인물은 후대의 권력 유지, 공동체 결속과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대상화되는 측면이 있다. 다음으로 누이의 불확정적 정체성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에는 누이에 대한 불완전한 성적 대상화가 나타난다. 누이의 탄식은 오빠/남동생의 성욕에 대한 구체적 예측이나 가정을 동반하지 않기에 ‘달래나 보지’라는 탄식은 성욕의 표현이 아니라 욕망의 한정을 의미한다. <힘내기>나 <여우>에는 누이의 ‘혼성성’이 두드러진다. <힘내기>의 누이에게는 ‘유사 모성’, ‘여성 젠더에게 기대되지 않는 힘의 소유자’,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남성성’ 등 모순적이고 혼종적인 속성이 부여되고, <여우>의 여우누이에게는 인간으로 보려는 시선과 괴물로 보려는 시선이 동시에 투영된다. 남매관계 설화에 함의된 오빠/남동생의 분열성, 누이의 불확정성은 알면서도 모르는 듯 대하는 무의식의 기제인 ‘부인(否認, disavowal)’을 통해 해명할 수 있다. <달래>의 오빠/남동생은 ‘도덕적 나’에 대한 욕망과 누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성기에 죄를 집중시킴으로써 성욕을 부인한다. <여우>에는 집안을 망치는 딸은 원치 않지만 동시에 부모의 결핍을 채워주는 ‘여우같은 딸’은 원하기 때문에 괴물 누이를 용인하는 부인이 나타난다. <힘내기>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부장제·국가 권력과의 관계에까지 부인이 확장됨으로써 누이의 힘에 대한 이중의 부인이 나타난다. 이는 국가 권력을 무서워하면서도 욕망하고, 누이나 역사인물의 힘을 선망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전승주체의 부인과 관련이 있다. 남매관계 설화의 전승사적 맥락은 유관 설화인 <홍수와 남매혼>․<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의 비교를 통해 분명해진다. <홍수>는 남매에서 비롯된 인류의 존재를 긍정하기에 남매간 ‘금지’에 대해 무관심한 서사, ‘부인’이 발생하기 전에 남매가 문제를 극복하기에 부인이 부재하는 서사, 즉 ‘탈남매관계화’한 서사이다. <해와달> 역시 남매간의 성욕에 대한 부인이 이미 완료·소멸되었고, 남매간 ‘금지’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 ‘탈남매관계화’한 설화이다. 그 결과 이들 설화는 전승력이 약화되거나 전승주체의 변화가 발생한다. 남매관계는, 남매관계 설화를 현재까지 밀고 온 동력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by combining <You would have asked for(달래나 보지 Dallae-na-bo-ji, Dallae for below)>,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Onui-himnaegi, Himnaegi for below)>, and <Fox sister(여우누이Yeo-u-nui, Fox for below)> tales. The main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the issue of ‘body’, ‘emotion’, ‘context’, and ‘unconscious’. In regard of the issue of ‘body’, in Dallae only a limited part of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f sensualization, and due to the closed, one-way perception regarding the sister,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s concealingly constructed. In Himnaegi,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round her physical strength. In the ‘castle-building type’, the sister's strength is not fully approved and is refracted. The influence of her body in the ‘clothing type’ is greatly reduced. In Fox, the image of the fox sister is focused on revealing a monstrous body, while the heterogeneity among the brothers and the fox sister is maximized, establishing a destructive relationship. From emotion theories’ perspective, Dallae’s narration focuses on the brother’s sexual desire, his sense of guilt and the sister’s grief. Tellers and audience may reveal both hate/disgust and interest toward the brother,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 presence of ‘compassion’. In Himnaegi, the ‘castle-building type’ shows limited empathy toward the defeated sister and a fear for the ruling power. The ‘clothing type’ shows a relatively low density of emotions. Fox represents the horror of the monstrous fox sister while it is also possible for tellers and audience to have destructive and ethical pleasure as the brother's fear is consumed as entertainment. In terms of spatial and social aspects, the space in Dallae is a space of emptiness, and the family,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eldom appear, which leads to isolation and liminality. In Himnaegi, the brother and sister construct contrasting spaces both in ‘castle-building type’ and ‘clothing type’. The exclusion and removal of women and strength are realized through the conflicts with the patriarchy and state power. In Fox, dispersive spatial changes are responding to that brother-sister conflict and the family’s disorganiz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meaning of brother and sister will be examined. The brother shows the self-division and objectification. In Dallae, his suicide is a ‘self-division of his body’ as well as self-hatred while tellers and audience may show views of ridicule toward the brother. Himnaegi also shares the fragmentary presence of the brother. Although the younger brother-historical person's influe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lothing type’, his identity becomes vulnerable without the attributes of historical figures, whose heroism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power and community solidarity of the present time with selective objectification. The sister’s identity is constructed with uncertainness. Dallae reveals incomplete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sister; her sigh does not accompany specific predictions or assumptions about her brother nor about his sexual desire. The sigh, ‘Dallae-na-bo-ji(You would have asked for…)’ would eventually limit the existence of the brother’s sexual desires. In Himnaegi and Fox, the sister’s hybridity appears. In particular, the sister in Himnaegi consequently owns hybrid characteristics ― quasi-motherhood, ‘inappropriate’ strength of the female gender, and temporarily performed masculinity. In Fox, expectations for both humans and monster are projected onto the fox sister. The self-division of the brother and the ambivalence of the sister can be clarified through the conception of unconscious ‘disavowal’, which originates from the psychoanalytic approach. In Dallae, the brother’s desire for a ‘moral self’ and a fear for his sister drive him to concentrate on the ‘sin of the penis’ disavowing his sexual desire. In Fox, disavowal appears when we call for ‘daughter like a fox’ who is necessary to satisfy the parents’ deficiency, which leads to the continual appearance of monstrous fox sister. In Himnaegi, disavowal extends to the relationship through patriarchal system and state power, resulting in a double disavowal of the sister’s strength. Therefore we can also find out disavowal from transmitters who have ‘fear and desire for state power’ and ‘envy and fear for the strength of the sister and the brother(historical hero)’. The research expands to related tales such as <The Flood and Brother-Sister Marriage(Flood for below)> and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Sun and Moon(Sun&Moon for below)> to explore the transmission historical context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Flood is a relatively indifferent narrative about incest ban, because it affirms the existence of mankind that has prospered from the brother and sister’s marriage. Flood also does not carry disavowal of sexual desire, because the brother and sister overcome the problem and move toward a common goal before the disavowal happens. Therefore, Flood can be concluded as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n the currently existing Sun&Moon the disavowal of sexual desire has already been completed and has disappeared in Korea's Sun&Moon, and the incest ban is also not surfaced at all. Therefore, the current Sun&Moon is also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is drastically weakened or the subject of transmission has changed. Brother-sister relationship itself has been the engine of transmission so far.

      • 간호사-고위험 신생아 달래기 상호작용 도구 개발

        이유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4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interactions between the nurse and high-risk infant during soothing care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methodological design was used. The study carried out in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concept cla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identify main components of Soothing Interaction and develop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Soothing Interaction Scale. In the second phase, the preliminary Soothing Interaction Scale was applied to measure the a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nurse and high-risk infant and the validity of this scale was evaluated. 26 nurses and 39 high-risk infants were evaluated in this phase.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cess. The criterion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examined using the premature infant pain scale (PIPS) and the Nursing Child Assessment Feeding Scale (NCA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othing interaction’ was identified as an interaction process in which a nurse recognized cues and needs of a high-risk infant and reacted appropriately when providing soothing intervention for stabilizing of the high-risk infant. Based on the key components and core attributes, 4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 total of 326 interac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developed scale and data were collected for evaluation of validity. A total of six factors ([Emotional exchange], [Mutual exchange of reponses], [Clinical judgment and stabilization response], [Removal irritants], [Soothing intervention],[sensitivity]), and 33 items were derived. The explanatory variance of the six factors was 65.1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IPS and Soothing Interaction Scale(SIS) was .679(p <.01). The correlation between NCAF and SIS was .662 (p <.01).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IS was .833, and Cronbach’s α = .950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oothing Interaction Scale was valid and reliable to measure interactions between nurse and high-risk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development of SIS has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and extending of the nursing phenomenon by approaching to the client-nursing domain. Also, It ultimately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igh-risk infants.

      • 달래가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최현숙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ty in rat liver. Experimental group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50g,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ormal group(NOR),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200 mg/kg administered group(AME), ethanol(l0 mL/kg, 35%) administered group(CON),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200 mg/kg and ethanol administered group (AML) and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400 mg/kg and ethanol administered group(AMH), respectively.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by several solvent such as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and determined antioxidant index of the fraction on soybean oil using the Rancimat Method. AI(AI was expressed as IP of oil containing various fractions/IP of natural oil) of 600ppm of the n-butanol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Th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ratio decreased by ethanol were gradually increased to the adjacent level of the normal group by administering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The serum activities of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elevated by ethanol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 o control group.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xanthine oxid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of rat liver increased by ethanol were markedly decreased in Allium monanthum MAX. ethanol extract administer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thanol extract of Allium monanthum MAX. may have a possible protective effect on th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 한국 다소비 봄나물류의 생리활성 및 활용방안

        정희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2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다소비 되는 8종의 봄나물류인 곰취 (Ligularia fischeri: LF),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CB-P), 달래(Allium monanthum: AM), 두릅(Araliaelata Seem: AS), 봄동(Brassica competris L.ssp. pekinensis: BCL), 쑥(Artemisia princeps Pampanim: APP), 원추리(Hemerocallis fulva L.: HFL), 유채(Brassica napus L.: BNL)의 이화학적 성분 및 생리활성(항산화,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후 덖음 처리하여 대용차로, 열풍 건조 후 분말 형태로 화전에 첨가하여 봄나물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있다. 8종 봄나물류의 일반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탄수화물과 조단백질은 냉이가 8.05 g/100 g과 4.23 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0.89 g/100 g으로 달래가 가장 높았고, 조회분은 쑥이 1.88 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수분은 봄동이 92.13 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8종 봄나물류의 비타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베타카로틴은 쑥이 4152.33 μg/100 g, 비타민 B1은 두릅이 0.26 mg/100 g, 비타민 B2는 원추리가 0.45 mg/100 g, 비타민 C는 유채가 44.32 mg/100 g, 엽산은 유채가 299 μ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8종 봄나물류의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칼슘은 유채가 196.00 mg/100 g, 인은 두릅이 123.00 mg/100 g, 마그네슘은 두릅이 51.67 mg/100 g, 나트륨은 봄동이 38.17 mg/100 g, 칼륨은 쑥이 652.00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total polyphenols 함량은 냉이가 101.71 mg TAE/g으로 가장 높았고, total flavonoid 함량은 유채가 242.28 mg Q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냉이가 86.80%로 가장 높았고,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도 냉이가 93.38%로 가장 높아 항산화 효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의 경우, 냉이가 33.84%로 가장 높았다. 봄나물을 이용한 8종의 대용차의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쑥차와 냉이차의 선호도가 높았다. 봄나물을 이용한 8종의 화전의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냉이와 쑥을 이용한 화전의 선호도가 높았다. 정리해 보면, 8종의 봄나물류 대부분은 비타민과 무기질 및 식물성 유용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도 우수하였다. 따라서 봄나물을 이용한 대용차와 봄나물 분말을 활용한 화전은 소비자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physiochemical composition and bio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suppression activity) of the following eight types of spring vegetable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Ligularia fischeri (LF), Capsella bursa-pastoris (CB-P), Allium monanthum (AM), Araliaelata Seem (AS), Brassica competris L.ssp. pekinensis (BCL), Artemisia princeps Pampanim (APP), Hemerocallis fulva L. (HFL), and Brassica napus L. (BNL), which ultimately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vegetables as a substitute tea by roasting them; and an ingredient in hwajeon (flower pancake) upon hot air drying and pulverization. In terms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the eight spring vegetables evaluated, CB-P had the highest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 (8.05 g/100 g and 4.23 g/100 g, respectively) and AM had the highest crude fat content (0.89 g/ 100 g). Furthermore, APP had the highest crude ash content (1.88 g/100 g) whereas BCL had the highest water content (92.13 g/100 g). Regarding the vitamin content of the eight spring vegetables, APP had the highest beta-carotene content (4152.33 μg/100 g) and AS had the highest vitamin B1 content (0.26 mg/100 g). In addition, HFL had the maximum vitamin B2 content (0.45 mg/100 g) whereas BNL had the highest vitamin C content (44.32 mg/100 g). The highest folic acid content was found in BNL (299 μg/100 g). Regarding the mineral content of the eight spring vegetables, BNL had the greatest calcium content (196.00 mg/100 g) whereas AS had the highest phosphorus and magnesium content (123.00 mg/100 g and 51.67 mg/100 g, respectively). BCL and APP had the highest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38.17 mg/100 g and 652.00 mg/100 g, respectively). Regardi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CB-P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01.71 mg TAE/g) whereas BNL had the greatest total flavonoid content (242.28 mg QE/g).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3.38%) was exhibited by CB-P, indicating that CB-P has the greatest antioxidant effect amongst the eight vegetables. CB-P also had the greatest α-glucosidase suppression activity (33.84%). APP and CB-P showed the best overall pre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eight healthy teas made with the spring vegetables. Among the eight hwajeon made with the spring vegetables powders, those made with CB-P and APP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In essence, most of the eight spring vegetables analyzed had high vitamin, mineral, and phytochemical content, and thus had excell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α-glucosidase suppression activity. Therefore, healthy teas and hwajeon made from spring vegetables would be convenient and healthy alternatives that would boost bioactivity in consumers.

      • 지역 인물 스토리텔링 연구 : 대구 금달래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해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51

        지역 인물 스토리텔링 -대구 금달래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 해 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독서작문학과 독서작문학전공 지도교수 박 승 희 국문초록 ‘금달래’는 1930년대에서 1940년대 대구에서 활동한 실성한 여성이다. 금달래의 행동은 전국적으로 소문이 날 만큼 당시 지역 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이 여성의 행적담은 지금까지도 대중들에 의해 널리 회자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중의 관심은 금달래 이야기의 다양한 변형과 새로운 인물의 재현으로 확대·재생산되었다. 본 연구는 금달래 이야기를 직·간접으로 경험한 사람들의 구술을 통해 그 특징을 살피고, 더 나아가 대중들의 인식을 기반으로 해서 새로운 의미로 해석한 인물 스토리텔링에 주목했다. 여러 매체를 통해 나타난 금달래 이야기가 어떠한 대중적 기호를 바탕으로 실현되었는지 살펴 본 것은 물론, 그 의의와 향후 스토리텔링 글쓰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금달래 이야기의 구술자들은 대부분 70~80대의 연령대이며, 약 81%가 직접 경험자이다. 인물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기억하거나 경험한 사람들의 생존 사실은 이야기의 신뢰성과 대중적인 이해를 살피는 중요한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구술자들의 증언을 살펴보면, 금달래 성격의 유형은 ‘단순실성한 여성으로서의 금달래’, ‘욕망분출의 주체로서의 금달래’, ‘현실비판의 상징으로서의 금달래’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구술자들이 금달래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비롯되었으며, 실성한 원인과 행동을 연결 지어 평가하거나 실성한 형상만으로 평가한 데서 나타났다. 금달래 이야기는 대중적 기호를 바탕으로 여러 매체에서 스토리텔링된 바 있다. 영상매체 가운데 영화<금달래>는 단순실성한 여성과 욕망적 주체로서 금달래를 보여준다. <신비한 TV서프라이즈>에서는 금달래의 실성한 원인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 금달래 이야기는 여러 차례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졌다. 상희구의 시 「마침내 장터꺼래 나타난 미칭개이, 금달래 이야기」에서는 단순실성한 금달래를 향한 안타까움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실성의 원인이 되는 남성들을 고발하고 있다. 도창회의 「금달래」와 김종욱의 「실성한 여자 금달네」같은 수필에서는 금달래가 단순히 실성한 여성에서 한걸음 나아가 욕망분출의 주체로 등장한다. 이정수의 소설 『윤전(輪轉)』에서 금달래는 시대의식이 반영된 현실비판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공연을 위한 오페라<금달래>는 그녀를 진정한 내면적 자유인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대중들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금달래 스토리텔링은 그녀를 단순히 실성한 여성으로만 조명하지 않았다. 대중들의 이해를 기반으로 확대·재생산한 금달래 스토리텔링은 실성한 여성이라는 피상적인 의미를 넘어 그녀와 그녀의 행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금달래의 행동을 당시 시대와 공간에 접목시켰고 이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지역 공간을 연계한 인물 스토리텔링의 확장성은 대중과의 소통을 전제로 다양하게 확장된 것이다. 금달래 이야기의 진정한 스토리텔링은 실성한 금달래를 세상 밖으로 꺼내서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이것이 스토리텔링의 강렬한 힘이다. 주제어 : 금달래, 실성한 여성, 구술, 대중적 기호, 지역 공간, 인물 스토리텔링, 소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