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오승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국가전략으로 녹색성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면서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농촌 고유의 자원을 소득화 하는 전략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농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농촌관광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도시민의 여가시간 증가로 웰빙(Well- being), 로하스(LOHAS) 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와 환경, 생명,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가치변화로 농업과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크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지역의 아름다운 경관,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사업이 녹색성장의 동력원이자, 새로운 사업적, 정책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농촌관광정책사업에 성공한 마을의 주된 공통점은 마을 리더들이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다른 마을과 차별화를 두고 지역주민의 공동체 형성을 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을 추진하는 마을리더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의 역량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여러 부처의 농촌관광정책사업 중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리더의 역량과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과 전문가 패널회의를 거쳐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으로 ‘인간관계 역량군’의 4요소, ‘감성/인지 역량군의 7요소’, ‘관리 역량군’의 6요소, ‘의사소통 역량군’의 4요소,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7요소’ 등 5개 역량군에 총 28개의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35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유의 표집하고, 각 마을별로 지도자 5명씩 총 17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149매의 질문지가 유효 분석자료로 사용되었으며,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차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은 지역사회에서 농촌관광사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57.7%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농촌관광사업에 종사의 만족도는 63,2%이고, 농촌관광의 전문성에 대해서도 89.9%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농촌관광 사업의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79.1%가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핵심역량의 5개 역량군은 모두 상관관계가 높으며, 역량 간의 상호 연관된 특성이 있다. 따라서 마을리더들에 대한 영역에서의 역량 강화는 다른 영역의 역량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역량군의 중요도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4.20), 의사소통 역량군(4.17), 감성/인지 역량군(4.10), 그리고 관리 역량군(4.00)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4.00)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역량의 중요도 수준에서 전체 평균보다 높은 평균은 보이고 있는 항목들이 있었다. 이는 ① 인간관계 역량군의 관계 형성, 고객지향성, 공동체 형성, 의사결정력 등 4개 역량, ② 감성/인지 역량군의 조직헌신성, 변화선도력, 문제해결력 등 3개 역량, ③ 관리 역량군의 팀워크, 비전창출, 자원관리 역량의 3개 역량, ④ 의사소통 역량군의 경청, 의사소통, 정보공유력 등 3개 역량, ⑤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벤치마킹 및 경영능력 등 2개 역량이었다. 이는 향후 더욱 관심을 두고 강화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판단된다. 넷째, 현재의 역량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3.18), 의사소통 역량군(3.11), 관리 역량군(3.01), 감성/인지 역량군(3.00), 산업지식/기술 역량군(2.96)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보다 높은 역량은 16개 요소이고, 낮은 역량은 12개 요소이다. 다섯째,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 역량 수준의 격차는 평균 1.04로, 그 중 감성/인지 역량군(1.10)과 의사소통 역량군(1.06)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을리더들의 학력, 리더의 유형(직책), 영농규모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의 특성은 의사소통 역량군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에서 유의차를 많이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론에 기초하여 향후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에서는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사전에 진단하고, 중요 역량과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을리더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군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특히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는 감성/인지 역량군, 의사소통 역량군,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별로 그리고 리더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마을현장에서의 대면적인 컨설팅 및 실습을 통한 역량 강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마을 리더의 선발에 학력과 영농규모를 감안하여 리더 직책을 부여하고, 장기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마을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을리더의 역량을 진단하는 조사도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고, 역량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기준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역량진단의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주 대상이었던 농촌전통테마마을 등 농촌관광 정책사업 이외에도 농촌관광과 관련된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분석하는데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진단을 위한 역량 모델링에 초점을 둔 관계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량에 대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들이 연구가 요구된다. Recently, in Korea Rural tourism is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measure for rural area activation. One of the common factors shared among those communities which succeeded in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 is that the community leaders demonstrate outstanding competencies with commitment to work in building up the community of resident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primary objective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leaders and to assess the level of their current competencies. This study compared the core competencies with the current level of them to find out how much and how each competencie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community leader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at show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in the project among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s of several government department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derived 28 different kind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in total,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5 competency categories. They are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the leaders of 35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149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es of data.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frequency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analyses of the assessed results shows; First,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the community leaders have inter-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the area for the community leaders could be contributing in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remaining other areas. Second, those important competencies which should be given priority in reinforcement in the future are those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y the community leaders. Those are the competencies such as (1) 4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relationship building, Customer Orientation, community building and decision making (2)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Organization Commitment,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3)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team work, creating visions, resources management (4)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 good listen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5) 2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benchmarking and management ability. Third, some competency groups showed big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These groups include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and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Forth, from the view points of detailed competencies of each group, the competencies showing the large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are benchmarking, information sharing, self-management/development capacity, merchandise development capacity,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Fif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did not have any big influence on the leaders' competencies, nonetheless, the variables like education background, farm size, position of leader and years of serving for the rural tourism project can bring significant results to the competency empowerme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education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it is necessary to make prior assessments on the leaders' competencies, then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ompetency showing a large gap from the important one. Secondly, because those competency group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require have very high correlation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d operate programs focusing on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which show large gaps in particular. Third, since the rural tourism villages hav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their leaders, the measur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uch as on-site confrontational consulting and exercises at the village should be introduced.

      • 농산어촌 어메니티의 자원화 방안 연구

        문동신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의 농업은 지금 많은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예컨대 DDA의 농업협상, 노동인구의 고령화, 도시 근로자와 비교하여 낮은 소득 수준, 그리고 열악한 복지수준 등이다. 이러한 고질적인 문제 이외에 환경오염의 가속화,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정책의 강조 등으로 인해서 농업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한 것은 아니면 선진국들도 유사한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선진국들의 농업 정책은 수요 중심의 정책으로 선회하면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역 어메니티 정책이다. 이러한 것은 은 농업생산 정책에서 선회하여 농촌 공간개발에 노력을 기우리는 내생적 농촌개발(內生的 農村開發)을 추진해 오고 있는 것이다. 즉, 국토 공간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친화적 개발을 포함하는 어메니티 개발이 중요한 개발 개념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부터 부산 어메니티 플랜을 위시해서 농촌 체험마을, 도농교류촉진,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가 분야별로 추진되고 있으며, 일사 일촌(1社 1村) 운동과 환경문제를 고려한 농업 정책이 부상되고는 있으나, 국토종합적인 관리차원에서의 체계 있는 관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농촌만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자연생태계, 문화예술, 역사적 유산, 자연경관, 공동체적 전통과 인간관계등을 망라한 농산어촌 어메니티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은 농촌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농업인에게는 삶의 공간으로서, 도시민에게는 휴식처이며 친환경 농산물의 공급처로서의 도.농 균형 발전은 새로운 미래의 농촌 발전 전략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메니티는 한국에 매우 초보적인 수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 어네니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외 농촌 어메니티 정책의 사례를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농촌이 어메니티 자원화를 촉진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농산어촌 어메니티 자원활용을 위한 법률.조례등 제도의 정립과 지원.조정.평가 지도를 위한 중앙단위의 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농산어촌 어메니티 자원활용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주민참여 계획수립을 기본으로 추진한다. 셋째, 어메니티 자원화 계획.시행.운영을 위한 전문가의 양성.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어메니티 자원의 종합D/B 을 구축하고,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은 기존의 활용사례와 타지역 및 신규지역간의 네트워킹 시스템을 갖추어 운영 토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어메니티 자원의 보전관리를 위한 명소.명품.명인 제도를 현실에 맞게 보강해야 한다. 여섯째 농산어촌 어메니티 자원은 공공재적 소중함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가 있어야 할것이다.

      • 1930·40년대 日帝의 農村統制政策에 관한 硏究

        김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8703

        1930-40년대 日帝의 農村統制政策은 組織을 통해 일정하게 하부말단사회에 까지 침투하여, 개개인의 생활을 파악하고 전시체제에 동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제부락조직이 확대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첫째, 통제의 단위가 자연 부락이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農民들의 生活의 場을 관제조직의 단위로 했던 점은, 표면상 그 조직이 크게 진전될 수 있었던 조건 중의 하나였다. 두번째는 이러한 주요한 生活의 場인 部落秩序의 變化를 들 수 있다. 조선의 小農民들의 입장에서 볼 때 농업의 속성뿐만이 아니라 상품화폐경제의 확대에 대응하여 단순재생산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共同體 관계가 더욱 절실했다. 종래 소농들의 농가경영의 유지에 밀접한 기능을 했던 부락의 질서는 상품경제화의 진전에 따라 변질되고 있었으나, 많은 부분에서 그 기능을 여전히 발휘되고 있었다. 일제의 관제부락조직은 기존의 부락적 기능을 파괴·약화·변질시키면서 농민들의 생활에 불가결한 기능의 거의 전부를 흡수해갔다. 농민들은 생존유지를 위해서도 이러한 부락조직에 편입하지 않을 수 없는 면이 있었다. 官 주도의 農村統制 科程에 대해, 농민들은 여러 형태의 抵抗도 하지만, 한편에서는 그 속에 編入해 가는 內的 契機가 '非自發的인'인 形態로 存在했다. 그러나 農民들이 官主導의 農村組織에 대한 對應 樣相도 時期別로 差異가 있었다. 일제가 농촌사회를 관제조직으로 재편성해가는 과정은, 대체로 1920년대까지 洞里 혹은 部落단위에서 1930년대에 가면, 확실히 농민생활의 장으로 自己 完決的인 機能이 남아 있었던 自然部落에 대한 組織으로까지 나아가고 있었다. 또한 충청남도의 振興會의 경우는 농촌사회에서 관행으로 있어 왔던 共同 事業과 共同體 秩序를 대신 遂行하면서, 표면상으로 振興會는 植民地權力의 통치행위가 말단사회로까지 확산되는 기반을 정지·구축해갔다. 1930년대 農村振興會로 대표되는 官製部落團體의 확대는 1920년대의 模範部落과 같은 部落組織을 全面的으로 擴大 實施했다는 점에서는 連績性을 지니지만, 개개 農家에 대한 把握과 部落組織의 權限의 强化 등에서는 엄밀하게 區別 된다. 일제는 革命的 農民組合運動의 下部組織이 部落 등 農村生活圈에 토대를 두고 農民들의 不滿을 吸收하면서 운동의 기반을 확대하자, 이에 대응하여 농민들의 경제 요구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여 農村振興會를 급속히 설치하였다. 植民地權力은 自然部落을 기반으로 官製 部落組織을 設置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했다. 실제의 효과는 별개의 문제이고, 일단 종래 都落社會의 自治力을 部落밖으로 擴大하여 官의 行政力이 용이하게 관철될 수 있는 組織體系를 마련했다. 따라서 官의 政策을 强制力에 의해서가 아니라 農民들의 自治 形式으로 포장함으로써 농민들에게 實踐의 義務感을 注入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部落의 共同體的 規制로서 强制되는 '自發性'을 活用하여, 말단사회에까지 植民地政策을 관철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農村振興運動은 개개 農家에 대한 把握을 기초로 종래의 部落의 自律的이고 自發的인 共同體의 組織力을 活用하여, 개개 농민들의 '自發的'인 參與 형식을 유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농촌진흥운동의 말단 실행체인 農村振興會는 그 기반이 농민운동 세력에게 잠식되는 부분도 있었던 반면에, 당시 식민지체제에 가장 강한 저항 세력이었던 革命的 農民運動을 弱化시키는데 一定하게 機能을 發揮하였다. 1937년 일중전쟁 이후 전개되는 國民精神總動員運動은 농민들의 體制離脫을 防止하면서 전시동원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정동운동은 면 이하 부락의 부락연맹과 10호 내외의 애국반을 실천망으로 하였던 데서 농진운동과 달랐다. 植民地權力은 愛國班을 통해 戶 단위로 전체 朝鮮 民衆을 把握하고 組織해갔다. 이는 戰時體制 아래 戰爭遂行資源의 急增에 對處하려는 官製組織의 發展 段階라고 할 수 있다. 精動運動은 戶를 통해 전체 朝鮮 民衆 生活에까지 조직화해 갔다는 데서 큰 특징이 있다. 1940년을 전후한 식민지 조선사회의 상황은 일제의 각종 전시동원을 제약하는 요소들이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 기존 관제운동의 전쟁수행능력의 약화, 지속적인 조선민중의 전시체제에 대한 저항 등도, 일제로 하여금 기존의 관제조직만으로는 도저히 전시체제를 유지할 수 없게 하였다. 國民總力運動은 이전의 각 부문별 운동을 가능한 한 모두 포괄하여 일원적 조직체제를 갖춘 廣範·强力한 國民運動으로 등장했다. 전시동원의 절대량이 확대되는 가운데, 각 個人 把握의 要求가 더욱 探化 되었다. 총력운동은 이전의 정동운동보다 더 한층 개인의 생활 부면까지 관의 정책을 관철시킬 수 있는 조직체였다. 통제경제가 확대되면서 각종 생활필수품 등이 거의 전부가 연맹의 하부조직을 통해 배급되는 상황에서, 조선민중은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총력체제에 편입되지 않을 수 없는 점이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민중의 체제에 대한 저항은 여러 형태로, 다양한 계층에서 표출되고 있었다. 일제의 自然部落을 중심으로 한 組織과정과 統制는 植民地統治 초기부터 일관되게 추진되었고, 1930년대 후반 본격화되는 戰時動員體制를 구축하기 위해서도 불가결한 요소였다. 일제는 조선민중에 대한 가중한 인적·물적 전시동원을 강행할수록, 面行政의 補助機關으로 部落을 活用함과 동시에 그 社會的 自治性·結束力을 이용하고자 했다. 각종 전시동원정책은 기본적으로 最末端 社會組織인 部落에 割當되었고, 部落民의 共同責任으로 官의 政策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總力體制 아래 공식적으로 部落은 面의 地方行政補助 組織으로서 식민지정책을 민중레벨에까지 賦課하고, 그 정책의 관철 여부에 대한 責任所在를 묻는 基礎 單位였다. 1940년대 총력운동 아래 조선민중에게 전체주의관념을 부식하면서 과중한 물적·인적 자원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部落單位의 部落聯盟의 役割은 매우 重要했다. 그러나 總力運動이 지닌 總督政治에 대한 追從的인 性格은 말단 하부조직인 部落聯盟에도 그대로 反映되었다. 1930-40년대를 통해 部落聯盟은 日帝가 강도 높은 植民地政策에 따라 부단히 형태를 改編해온 官製組織의 歸結點이었다. 그 과정에서 관의 정책이 이를 통해, 관철되기도 했지만, 관제조직으로 제약점이 있었다. Under the Myon-Dongry system reformed by the enforcement of the 1917 Myon system, the old Dongry system that had been in use since Cjpsim Dynasty times, suffered a great impact. Imperial Japa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rural governmental system, had the intention of constructing an administrative framework starting from the Myon and down to the smallest community Although the traditional an important part of simple reproduction for the peasants as a community. The system of social bonding centering around the old Dongry was being used very effectively to build imperial Japan's rural government. The Japanese impire's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rural community into a government organization structure was formed of Dongry or Burak unit until roughly the 1920's, and in the 1930's it was clearly advancing forwards being an organization in contrast to the natural Burak, which had sustained its function of self-completion as the ground of life peasants. Furthermore, in the case of Chung-cheon Nam-do's Promotion Association (Jin Hevng Hwae), while carrying out the accomplishment of joint enterprise and collective order which had been a tradition, in realith the Promotion Association was preparing and constructing the basis for the spreading of the colonial power's governing work. In the 1920's Kyungki-do's Chudong Agricultural Improvements Operation Association, as an economical group, was participating not only in agricultural improvements, but also in the control of the aspect of mentality. Through this association we can see an aspect of the basic characteristic of rural groups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as an economic organization, the Financial Association controlled the peasants' economy through management of capital, it accomplished control of mentality by emphasizing the "harmony of ethics and economics." The Yi Koong Chon Duk's Bo Duk mentality of Bo Duk Hware was not on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inancial Association, but this ideology had also greatly influenced the rural administrative policy of the government leadership. By using these concepts to eradicate the conscious resistance to the contradictions of the colonial social structure, the Chosun people's awareness of the Financial Association's activity, control through funding of farmers went side by side with mentality control. what is meant by mentality control is the colonial government doctrine, an ideology centered on the Japanese Emperor, under the cloak of "Autonomy, Collaboration, Partnership." Therefore, the Agricultural Improvements Operation Association, which centered on agricultural improvement and the Financial Association, which centered on loans and was involved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 both started as economic groups but in reality their activities were accompanied by institutions not only in the material field but also in the mental field. Behind the growth and the "outcome" in terms of numerical value of the various economic grou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Imperialist Japan's colonial policy, that is the intention to instill their justification of colonial rule into the minds of the people of Chosun, was being consistently accomplished. Although the spread of Kwan-Jae Burak(village government organization)groups such as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in the 1930's has continuity in the sense that Burak organizations like the 'Mobeom Burak' of the 1920's were extensively expanded, these former groups were strictly different from the latter organization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peasant household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Burak organization's authority. When the revolutionary Peasant's Union Movement's sub-structure strengthened its basis by laying its foundation on the sphere of life in rural communities such as the Burak and by absorbing the peasants' discontent Imperial Japan in response, accomodating to a certain extent the farmers' economic needs, promptly established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The Financial Association's efforts to win over the lower class farmers greatly contributed to the weakening of the Peasant Movement.. The colonial Power, having the natural Burak as a basis, establishing a government-controlled Burak organization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 The actual effect is another question but expanding the power of autonany outside of the traditional Burak community, provided an organizational system that allowed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power to beeasily carried out.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instill the peasants with a sense of duty to put theory into action by wrapping up government policy in the form of self-government instead of using force. So,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based on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 peasant household and using the traditional Burak community's autonomous and voluntary organizing ability, tried to indnce the form of each peasant's "voluntary" participation. While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was on the one hand an Economic Revitalization Movement, it was also the first Intellectual Movement that developed strongly and extensively since the Japanese take over of government. In order to get results of leadership on all aspects of life, Imperialist Japan had to present peasants a definit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in the field of economics. Sideline jobs such as weaving straw bags being one of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Sang Poom Hwa Pye Hwa that rapidly unfolded in the 1930's. It was this product that helped farmers to incorporate more easily into the commercial economy. This kind of side jobs were one of the Rural Promotion Movement's main projects, and if may be said that it was this kind of economic incentive tha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farmers to join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to a certain extent. Moreover, while Imperial Japan gave the peasants th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they needed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Rural Promotion Association to bind peasants to the association. One of these functions was that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and its president were to be able to exercise authority over the peasants in a regular way. One condition that promoted the peasants' incorporation to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was that it had been absorbing the functions of support that were indispensable in the peasants' lives. Although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s foundation was encroached by the peasant movement's influence, it displayed regular functions to weaken the revolutionary peasant movements which were, at the time, the strongest power of resistance. The many public burdens that resulted from the wartime economy controls and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development after the 1937 Sino-Japanese war killed what small possibility of economic revitalization that had been seen for a while. The People's Nationalist Mobilization Movement(P.N.M.M.) was introduced to carry out a Wartime Mobilization Policy by preventing the peasants' secession. Although the P.N.M.M.'s structure was organized separtely from the traditional Rural Promotion Movement was formed from the Rural Promotion Committee in the governor-generl's headquartere to the aural ubmyon, the P.N.M.M.'s distinguishing mark was that it grasped and organized the whole of chosun people into units by marking a practice net with Village Associations of Buraks smaller than a Myon and patriot groups of about 10 Ho/'s. The P.N.M.M aimed at brainwashing the People of Chosun to Japanese ideology and corrode their totalitarianism. Accordingly, Imperialist Japan went intercepting what was considered heretic liberalism and indidualism according to a Japanse point of view. But basically what the P.N.M.M. wanted to do was to build a wartime system under an individualistic social structure, while the People's Total Strength Movement, which came later, was different in that it completely advocated totalitarianism. As a part of the P.N.M.M., they wanted to spread totalitarian mood through out the nation through a collective Labor Patriotic Movement.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longed Sino-Japanese war, which was worsening, the colonial power organization reformed and strengthened the Jung-dong Movement. This process was a deepening of Nae Sun Il Chae's Hwang-min Hwa policy, which was created to continuously impose a forced burden to the Chosun peasants in order to help the war effort. The state of affairs of colonial Chosun Society around 1940 was clearly revealing elements restraining curious wartime mobilizations of Imperialist Japan. While the Chosun people's right to life was being threatened and their ethnic identity was being persecuted their will for independence was growing stronger as a result. In the midst of incessant resistance from the people of Chosun, the Japanese decided to device and carry out a large scale human and material movilization plan in order to establish a so-called "High-degree Defense State"(Fully Armed State)starting in 1940. For this wartime mobilization Japan had to more firmly consolidate and build a governing system network for the Chosun People covering all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ics, industry, and culture under a new doctrine and logic. Consequently, on October 16th, 1940, Japan reorganized the existing government, system, the "Chosun Nationalist Mobilization Leagve," and started the "People's Totalitarian Leagve." As the direction of the People's Totalitarian Movement, spreading the ideology of totalitarianism throughout Chosun Society, controlled the masses of the people of Chosun to extrem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 system, the totalitarian movement's basic policy were totaliarism and nationalism. Under this totalitarianism no seceders were allowed, and the Chosun Federation Prescribed that "every organization and every individual in Chosun" was elegible and unlike the former P.N.M.M. which left the decision of joining to the individual's free will, affiliation was forced on all Chosun People. As the controlled economy was expanded, almost all of various essential goods for living were being distributed through the substructure of Chosun Federation, the people of Chosun were forced to join the Totalitarian system in order to maintain the fundamentals of life. Imperialist Japan's process of organization and government of the Natural Burak had been consistently promoted since the beginning of their colonial rule, and it was an essential element in constructing the Wartime Movilization system which was regularized in the late 1930's. As Imperialist Japan forced heavy human and material mobilization on the Chosun people, they intended to utilize the Burak as a support agency of Myon government and at the same time use the ability of self-government and the solidarity of community. Several wartime mobilization policies were basically assigned the Burak, the smallest social unit, and made to perform the government's policy holding joint responsibility with the peasants. The Natural Burak-Kudongry, a unit of Village Association under the totalitarian system, as an organization aiding the Myon government imposed the colonial policies to the level of the level of the people, and was a basic unit that inquires whether or not policy was fulfilled and who is responsible. The Village Associations of these Kudongry units' functions were very important for spreading totalitarian thought among the people of Chosun under the People's Totalitarian Movement in the 1940's and at the same-time in posing heavy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In the 1930's,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was showing functions of self-governing support and holding the position of smallest associate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s a sub-structure of Myon Rural Promotion Committee. On the other hand, as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ct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sub-structure association organization under the people's Totalitarian Movement was under way the Village Association had not been able to obtain legal basis for the natural Burak, but it was actively incorporated as a terminal organization of the district Administration Movement was expanding control over rural committees by orgnizing them as associate administrative associations Villates smaller than myon. But the servile character forwards the Japanese control of government reflected by the people's Totalitarian Movement was also evident in the Village association which is a terminal organization. Originally, in Chosen' rural community, three were limits on how much power a government organization could Control. In a rural community where the Chosen peasants as the core in an autonomous life strongly showed their ability, the Village Association's activity that follows the steps of the Rural Promotion Association c·e·Totalitarian Movement had an uncertain future. Therefore, they established the Kudongry as the Village Association's district since it was the people's group of life and where they had a strong sense of union, and they used that to try to get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wartime mobilization. But already due to the cdonial policy and the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the elements that make up Burak's original cohesive power were weakened and disappearing. Therefore, the Village Association was the concluding point of government organization which were constantly reformed according to Japan's strong colonial policies. One of the strengthened policies of Imperial Japan for the Village Association was to strengthen the role of KuJang(Village Leadman) which the work at Myon office rapidly increased under the wartime system of enlarging controlled economy, the KuJang's work is so important that his presense or absense can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Myon office or the wartime administration, and it is said of him that "he's both the starting and the ending point of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Japanese intended to improve the KuJang's material and mental needs, and at the same time station KuJangs at most of the Village association and wanted to put Villages within controlled boundary of government. But contrary to what the Imperialist Japan had planned farmers secession from the wartime system increased, and paralled with this Phenomina, Chosun'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as even preparing for armed struggle forming an independence corps. Up to Feb. of 1944, the strong controlled network of the Totalitarian Movement, which showed a 91% win over of all the Chosun people's support had in reality many faults. The people's Totalitarian Chosun Federation was a government organization for spreading the Practice Move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control in Chosun society. Imperialist Japan externally expanded civilian participation to compensate for limits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but equipment and expansion of the system that went on in the mean time was a process of enlargement of the control network forward the Chosun People. The control of a rural working power which could be the second pillar of agricultural policies under the wartime system and peasants' aspect of resistance showing production increase, delivery processes were to reveal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Totalitarian Movement.

      • 한·중 농촌진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왕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analyzes the Rural Revitalization policy of South Korea and that of China,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s. South Korea has not only achieved success in developing "New Village Movement", but also gained some experience and lessons in solving rural problems. The new village movement started in 1970 in South Korea solved the problem of rural poverty and built advanced rural areas. The ultimate goal of the new village movement is to increase farmers' income, eliminate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solve the urgent class contradictions. The agricultural policy of "new vitality" put forward in 2004 changed the backward areas into new dynamic areas, strengthened national land competitiveness and ushered in the era of national income of 20000 US dollars to realize national unity. The "rural new vitality plus business" of the government is on the continuous line of the new vitality policy. After the introduction of Renmin government, this paper also made use of most of the agricultural revitalization policies promo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to develop into a "new energy alliance cause". At the same time, the South Korean Rural Revitalization department effectively implements the Rural Revitalization policy of "new vitality joining cause" (2018-2022). Through the integr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we will achieve future growth and export industrialization, and improve the vitality of safe food production and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China's Rural Revitalization policy published the No. 1 docu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State Council in 2018, which is the opinion of the central and State Council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On March 5, Premier Li kecang vigorously implemented the Rural Revitalization policy in the report on government undertakings. On May 31, a meeting of the Political Bureau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as held to deliberate on the national strategic plan for Rural Revitalization. With the general requirements of industrial prosperity, ecological living, rural civilization, management effect, and abundant life, we will accelerate the integration of urban and rural development system, mechanism and policy system, and improve the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this paper, quality comparative research method and literature reference method are used. According to Cui yingbu's (1978) social science contact of rural New Village Movement Research and Quan Yingmin's (2011) prototype research of rural New Village Movement, the actual situation of China and South Korea, as well as the promotion subject, policy means, structural contradictions, the concept of rural movement, promotion strategy and organization, Seven comparative factors such as promoting financial resources are analyzed. There are differences with similar points. The similaritie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situation. 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developing towards the new rural movement (New Rural Construction), and then enter the stage of Rural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There are certain historical experiences and lessons. The second is in the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current problem is that the agricultural population is decreasing year by year, and the aging of rural population is serious. There is a larg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Moreover, under the condition of increasingly strict resource constraints, the problem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pollution is obvious, and the mechanism of resource and environment management is not healthy. Third, both countries have special national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for Rural Revitalization. The difference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generation period, the development of Rural Revitalization policy in South Korea is very fast. Since the new rural movement in 1970, the development of Rural Revitalization policy in China started relatively late, and the construction of new socialist countryside began in October 2005.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on agencies, South Korea's Rural Revitalization policy is organized by the Rural Revitalization department, with a small scale. China held a meeting at the Political Bureau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for deliberation and approval. After that, it was announced that all regions and departments implemented it in a substantial scale. In terms of financial investment, South Korea has less investment cost than China.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 division of labor among various departments in South Korea is clear and they cooperate with each other. China arranges and arranges in a unified way throughout the country. After that, it was gradually popularized in the local trial. In term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outh Korea's agricultur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has been gradually improved, and agriculture has developed earlier in China. There are certain experiences and lessons. China still lags behind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contradictions, China's urban and rural dual structural contradictions are more serious than South Korea's. There is a larg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China. On the contrary, South Korea has gradually shrunk to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South Korea's aging population, from the current situation, is short of young people. 본 연구는 한국의 농촌진흥정책과 중국의 농촌진흥정책을 비교하여 두 사례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한국의 농촌진흥정책이 중국의 농촌진흥정책에 가져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한국은 ‘새마을운동’을 발전시켜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농촌문제를 해결하는 면에서 일정한 경험과 교훈을 얻었다. 한국의 1970년부터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고 선진농촌을 건설하였다. 새마을운동의 최종 목적은 농민소득을 늘림으로써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해소하고, 시급한 계층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었다. 2004년에 제시한 ‘신활력’ 농업정책은 낙후지역을 새로운 활력지역으로 바꿔 전국 국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맞아 국민통합을 이루자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농촌 신활력 플러스사업’은 신활력 정책의 연속선상에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도 지난 정부가 추진한 농업진흥정책의 대부분을 활용하면서 ‘신활력 플러스사업’으로 발전시켰다. 동시에 한국 농촌진흥청은 ‘신활력 플러스사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농촌진흥정책(2018∼2022)을 제시했다.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성장과 수출산업화를 실현하고, 안전한 식품생산과 농업농촌의 활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중국의 농촌진흥정책은 중국국무원은 2018년 중앙 1호 문건, 즉 ‘농촌진흥전략을 실시하는데 대한 의견을 발표하였다. 3월 5일, 국무원 총리 리커창은 ‘정부사업보고’에서 농촌진흥정책을 대대적으로 실시한다고 말했고 5월 31일, 중국공산당 중앙 정치국회의를 소집해 “국가농촌진흥전략계획(2018∼2022년)”을 심의했다. 산업번영, 생태거주, 향풍문명, 관리효과, 생활의 풍족함 등 전반적인 요구에 따라 도시와 농촌의 융합 발전체제, 메커니즘 및 정책체계를 구축하고 건전화하며 농업과 농촌의 현재와 당대화를 가속화한다. 본 논문은 질적 비교연구방법과 문헌참고 방법을 했다. 최영부(1978)의 “농촌 새마을운동 연구의 사회과학적 접근”과 권영민(2011)의 “새마을운동 원형연구”의 논문 근거, 한·중 양국의 실제 상황과 결부하여 추진주체, 정책수단, 구조적 모순, 농촌운동의 이념과 목표,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재원 등 7가지 비교 요소를 분석하였다.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유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발전 상황을 보면 한국과 중국은 모두 신농촌운동(신농촌건설)으로부터 발전해왔고 그후 농촌진흥발전단계에 들어섰다. 일정한 역사적 경험과 교훈이 있다. 두 번째는 한·중 농촌진흥에서 현재 당면한 난제는 모두 농업인구가 해마다 감소되고 농촌인구의 노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가 비교적 큰 상황이다. 그리고 자원 제약이 날로 엄격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농업환경 오염문제가 두드러지고 자원 환경관리 메커니즘이 건전하지 못하다. 셋 번째는 한·중 진흥 양국은 모두 전문적인 국가기구와 부문을 가지고 농촌진흥을 진행하고 있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발전기간을 보면 한국의 농촌진흥정책의 발전은 빠르고 1970년 신농촌운동으로부터 중국의 농촌진흥정책 발전의 기원은 비교적 늦으며 2005년 10월에 사회주의 새농촌건설이 시작되었다. 추진기구를 보면 한국의 농촌진흥정책은 농촌진흥청이 조직지도하며 규모가 비교적 작다. 중국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에서 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심의, 통과한다. 그후 통고하여 각 지구와 부문이 실질적으로 집행하므로 규모가 비교적 크다. 재정투자 측면을 보면 한국 투자비용은 중국에 비해 적게 드는 편이다. 실시과정에 보면 한국 각 부문간의 분업이 명확하고 상호 협력한다. 중국은 전국적으로 통일적으로 계획하고 배치한다. 그후 지방에서 시험적으로 실행해본 다음 점차 보급한다. 농업 기초시설 건설면을 보면 한국의 농업기초 시설건설은 점차 완벽해지고 있으며 농업 방면에서는 더욱 일찍 중국에서 발전되었다. 일정한 경험과 교훈이 있다. 중국은 인프라 건설 분야에서 아직도 현저히 낙후되어 있다. 구조적 모순으로부터 볼 때 중국의 도시와 농촌 2원 구조적 모순은 한국과 비교할 때 중국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 중국은 도시와 농촌의 수입 격차가 비교적 크다. 반면에 한국은 점점 축소되는 추세이며 이미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있다. 한국은 인구 고령화가 지금의 형편으로 보아서는 심해서 젊은 인력이 부족하다.

      • 중국 대학생 촌관(村官) 정책에 관한 연구 : 베이징 사례연구

        CHAO HUIJIA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0

        중국의 대학생 촌관(村官)은 ‘농촌개발’과 ‘대학 졸업생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농촌의 고급인력 결핍과 도시의 고급 인력 잉여 현상을 접목시킴으로써 두 가지 큰 사회적 당면 과제를 보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국적 특색을 갖는 정책이다. 대학생 촌관(村官)정책은 사회적 진보와 민주주의의 경제 건설 및 새로운 사회주의 농촌 개발 촉진하고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농촌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학생 촌관(村官)정책을 통해 중국은 정치, 경제, 사회에 걸친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한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도·농간의 근본적인 구조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촌관(村官) 정책제도가 ‘농촌개발’과 ‘대학 졸업생 취업률 증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추후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촌관(村官) 제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대학생 촌관 제도의 실태와 현황을 선행연구 통해 파악하였고, 보다 객관적인 문제점도출을 위해 집단심층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 및 설문분석을 통해 SWOT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 촌관의 업무를 수행했던 베이징 시 각 농촌구역에서 촌관(村官) 10명을 대상으로 2019.1.10-2019.2.20동안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본 설문조사는 대학생 촌관(村官)에 대한 인식, 만족도, 향후 정책적 지원 및 개선 방안 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조사대상은 대학생 촌관(村官) 및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베이징 시 촌관 109명을 대상으로 배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기간은 2019년 4월 3일부터 17일까지 2주 동안 실시하였다. 집단심층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 및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촌관(村官)제도의 현실적 문제는 ‘촌관(村官)’의 일상 및 업무와 ‘촌관(村官)의 시스템(제도)’에 관한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 촌관(村官)들은 본인의 전공내용과 촌관(村官)업무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능력이 제대로 발휘될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적인 문제로 촌관(村官)정책의 유인체계 부족과, 촌관(村官) 임기 만료 후 후속대책의 부재를 문제점으로 이야기 하면서 임기만료 후 더 이상 농촌에서 업무를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촌관(村官)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개선방안은 대학생 촌관(村官)의 직위를 “업무 분배”에서 “업무 선택”으로 전환을 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 촌관(村官)의 선발이 “조직에 선발되어 임용된다”에서 “학생이 농촌에 자원봉사 한다”로 변경해야한다. 셋째, 대학생 촌관(村官) 임기 끝난 후의 후속대책이 ‘취업 보장’에서 ‘금전적 보상’으로 바뀌어야 한다. 촌관(村官)정책은 당 중앙 조직부를 비롯하여 교육부, 재정부,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 등 여러 기관이 협조하여 전국적으로 정책을 확산시킨 제도로써, 장기적인 전략적 의의가 있는 당 중앙의 중대한 정책이다. 중앙 정부는 앞으로도 ‘대학생 촌관(村官)’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아갈 것이고, 이에 따라 사회·경제적 특면에서도 많은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대학생 촌관(村官) 정책은 그 성공의 가능성과 사회적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를 통해 각 지역 농촌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2006, the State Council issued a document to guide and encourage college graduates to the Grassroots Employment. So far, the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policy has implemented for more than ten years in nationwide.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policy has caused the attention of social all circles and even foreign media. To go to the grassroots level and to go to the countryside has become an important direction for many young people to find a job. After these years of development,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has become a resounding brand which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countryside and the scientific development. The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plan is not only to send students to the village as a short-term ease to the employment problem of College-graduate. It's a long-term systematic project with great significance to both of the party and the state. The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plan not only can train reliable successors for the party, but also can build a group of grassroots cadres who are familiar to farmers. The policy can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new impetus and vigor for the new rural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olicy also cultivates a large number of high-quality talents for all sectors of society.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plan is the state issued guidance policy.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can promote the new socialist rural construction and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But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college-graduate village official polic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his paper consists of six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the current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system related research at home and abroad is reviewed, and introduces the related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is introduced as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system some related concepts, such as "university student village",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system, "going to the countryside", and simply introduces the research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system theory. The third chapter introduces the advanced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In the fourth chapter, Beijing Province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tatus and the existing problems as the starting point, describe the current China"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system problems. The fifth chapter of the Beijing Province, "The university student village official" the system as an opportunity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 The sixth chapter is the conclusion.

      • 1927-1937 年浙江省農村建設的苦干問題

        강문구 南京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8670

        본 論文은 1927-1937년 남경국민정부가 절강성에서 실시한 농촌건설에 대해 쓴 것으로 이 시기 국민정부의 농촌정책에 대해 한 省을 중심으로 비교적 계통적으로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20-30년대의 중국은 농민이 전 인구의 80%이상을 차지하는 농업대국으로 농민과 농촌문제를 잘 해결하는 것이 중국문제를 해결하는 관건이었다. 따라서 1927년 국민정부가 수립된 후 중국농촌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결국 여러가지 원인으로 중국에 실시한 농촌정책은 실패하게 되었고 마침내 중국농민은 국민당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은 국민당이 대륙을 잃게된 가장 근본적 원인이었다. 본 論文은 前言과 結論및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8만여자에 달한다. 前言에서는 연구동기와 연구방법을 설명하였고 제1장의 내용은 1927-1937년의 중국농촌의 전반적 상황을 묘사한 후 절강농촌을 선택해 연구하게 된 배경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절강성의 토지개혁정책에 관한 것으로 먼저 절강성의 토지소작제도의 문제점과 절강성농민의 減租鬪爭을 통하여 토지개혁을 요구하는 농민의 절실함을 다루었다. 그 후 국민정부가 절강에서 실시한 2.5감조정책을 통하여 국민정부 토지정책의 득실에 대해 논하였다. 제3장은 절강성에서 실시한 농업개량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민정부가 실시한 농업추진정책 및 농업개량의 상황을 상세히 다루었고 또한 蠶絲業의 개량과 통제 등에 대해서도 토론하였다. 제4장은 절강성의 農村金融建設을 살핀 것으로 국민정부의 合作運動과 농촌신용합작사를 다루었다. 제5장은 절강성 기층정권및 문화 교육의 일반적 건설을 내용으로 했다. 結論은 각 장을 종합한 요지로 1927-1937년 절강성의 농촌건설이 중국농촌에 미친 영향과 국민정부 농촌정책 실패원인을 분석하였다.

      • Comparative analysis on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El Salvador

        Flor de Maria Rodriguez Luna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농촌 개발은 21 세기에 여전히 중요합니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삶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농촌 개발 정책이 필요합니다. 인프라 및 농업 기술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지만,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는 이 정책을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개발도상국의 많은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입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정책이 필요함. 대한민국은 농촌 발전의 놀라운 예제입니다. 한국은 1952년 토지개혁을 실시. 그리고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개발을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농촌을 도와서 농업 생산성을 개선하고 고용과 소득을 생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책 과정에 적극적으로 마을 사람들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농촌 지역의 개발은 산업화와 함께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새마을운동은 농촌 지역 사회를 개발하기 위해 여분의 노력의 일환이었습니다. 이것은 농업 혁명과 다변화와 함께 농촌 소득 및 고용의 개선했습니다. 권위주의 정부는 농촌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했습니다. 반대로, 엘살바도르는 1990년대까지 농업 경제였습니다. 엘살바도르에서는 농업의 대부분은 커피, 면화, 옥수수 또는 설탕처럼 현금 작물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1992년 평화 협정 이후 토지개혁이 구현되었습니다. 오늘날 농업은 국가의 GDP의 12%를 나타내고 있지만, 농업 부문의 생산성이 감소되었습니다. 자유화의 세력은 경제의 다른 부문을 유명했습니다. 서비스로서 부문이 커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시로 이동하였습니다. 농촌 지역의 노동 세력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농업은 여전히 ​​수입의 주요 원천입니다. 개발도상국에서 농촌 개발의 작은 투자와 관심의 부족이 되어있습니다. 새마을운동 및 기타 농촌 개발 정책을 통해 한국개발의 경험이 중요합니다. 엘살바도르에서 같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의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됩니다.

      • 1930년대 忠北 지역 官制 靑年團 硏究

        주계운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Government-made Yout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from a model of ‘guidance for the graduates’ the Japanese Empire carried into execution in Gyeonggi-do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control of the graduates. The reasons wh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ried to control the graduates of regular schools were to undermine the Korean youth’s capabilities for movement and on the other hand to put th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lonial authority. Chungcheongbuk-do recruited young people in the region by the unit of a village and allowed a youth association to be formed and expanded the organization to mobilize the youth for the farm village control policy as soon as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was carried out. Furthermore, Chungbuk changed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to a system operated with the youth association as the center from 1935. The youth association in Chungbuk was introduced as a ‘model’ case through ‘a meeting of interested parties for the whole Joseon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held in 1935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became a standard by which the youth association to be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Meanwhile, Chungcheongbuk-do allowed each county to host a unified youth associ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ethodical order system that connects do(city)-gun(county)-eup-myeon-village. In case of Goesan-gun and Okcheon-gun, it was a method of forming the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gun and that of eup and myeon at the same time. In case of Youngdong-gun, with concerns that socialist agitators might penetrate into the youth association, it used the method of forming a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each eup and myeon and then forming that of gun based on former one. The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the whole Chungcheongbuk-do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lanned to form ‘the Entire Joseon Unified Youth Assoc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ncouraged each do(city) to form a Unified Youth Assocation in order to create a methodical system that connect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 do (city) – gun (county) – eup/myeon as soon as a Youth Association was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together with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For this reason, Chungcheongbukdo formed Chungcheongbukdo Unified Youth Association on May 12, 1936. It is enacted that the key business and activity of the Youth Association is to carry out rural contro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Flag raising, night school association, wearing dyed clothes, bobbed hair and other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Youth Association were designed to liquidate Koreans’ racial spirit and to instill in them the philosophy of Japanese Emperor National. Moreover, the Farm Improvement business was an activity the Japanese Empire encouraged in order to carry out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effectively for the reinforcement of controlling Korean farm village in the 1930s. In this way, the Japanese Empire formed government-made Youth Association in the 1930s and controlled its business and activity and eventually let it play a role of the representative implementing the colonial agricultural administration policy in the village. 관제 청년단은 일제가 경기도에서 실행하고 있었던 ‘졸업생지도’를 모델로 보통학교 졸업생들의 통제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조선총독부가 보통학교 졸업생들의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던 것은 한국 청년 대중들의 운동 역량을 약화시키는 한편 이들을 식민권력의 통제 아래 두고자 한 것이었다. 충청북도는 마을을 단위로 하여 지역의 청년을 모집하여 청년단을 조직하도록 하였고, 농촌진흥운동이 실시되자 청년들을 농촌통제정책에 동원하기 위해 청년단의 조직을 확대하였다. 나아가 1935년부터는 농촌진흥운동을 청년단을 중심으로 한 운영 체제로 전환하였다. 충청북도의 청년단 조직은 1935년 조선총독부에서 개최된 ‘전조선 농촌진흥운동 관계자 회의’를 통해 ‘모범’적인 사례로 소개되어 이후 전국적으로 청년단의 조직이 확산되는 기준이 되었다. 한편 충청북도는 도 - 군 - 읍면 - 마을로 이어지는 계통적인 명령체계를 갖추기 위해 각 군별로 연합청년단을 개최하도록 하였다. 괴산군과 옥천군의 경우 郡의 연합청년단과 邑面의 연합청년단을 동시에 결성하는 방법이었고, 영동군의 경우 사회주의 운동가들의 청년단 조직 내로 침투할 것을 염려하여 각 邑面의 연합청년단을 결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郡의 연합청년단을 결성하는 방법이었다. 충청북도 전체의 ‘연합청년단’은 조선총독부가 ‘전조선 연합청년단’ 결성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조선총독부는 농촌진흥운동과 함께 청년단이 전국적으로 조직이 확산되자 조선총독부 - 도 - 군 - 읍면에 이르는 계통적인 체계를 만들고자 각 도별로 연합청년단을 결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충청북도에는 1936년 5월 12일 충청북도 연합청년단을 결성하였다. 청년단의 주요 사업과 활동은 일제의 농촌통제정책을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청년단의 실행했던 국기게양, 夜學會, 염색옷 착용, 斷髮 실행 등은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황국신민화 사상을 주입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아울러 농촌개량 사업은 1930년대 일제가 한국 농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실행한 농촌진흥운동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장려한 활동이었다. 이와 같이 일제는 1930년대 관제 청년단을 조직하여 그 사업과 활동을 규제함으로써 촌락에서 식민농정정책을 실행하는 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농촌마을 공공디자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돈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farming villages, most of residents are aging, the birth rate is falling, and empty homes are increasing. Residential environment is poor because homes constructed as a means of Saemaul Movement have been neglected for more than 30 year. Farming villages are in a crisis. Their main income source is still rice farming, which was a means of food production in the past. Overall, competitiveness of farming has been getting weaker. Therefore, it is needed to take measures, such as growing differentiated crops, direct tra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other interchang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order to increase farming village’s incomes. Moreover, it is needed to make them passionate and innovative about high value-added features, such as cultures and arts, in order to handle the problem of leaving farming villages. All these efforts will bring changes to the environment of farming villages. First of all, in order to save farming villages, consistent generation of incomes should be secured through differenti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friendly dwellings should be available. Besides, the cultural and artistic identity of farming villag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making differentiated farming villages, it is very important to give a direction, which places importance on public interests, with consilient public design polices. Farming villages left behind need be upgraded to smart farming villages,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which maximize the global environment, need be introduced, and their identity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finding out their cultural, traditional and artistic elements. Farming villages should consistently develop to find their future visions with which they will be able to find future-oriented novelty on the ground of those basic elements of agricultural culture. This study aims at making contribution to invigoration of farming villages by suggesting plans to improve public designs of farming villages. The first metho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uses of problems of farming villages and policies of their developments by examining precedent studies and analyzing present situations of farming villages and to investigate cases of village making and present situations of development plan for farming villages. The second method was to suggest a reorganization plan for farming villages for each of such factors as fence, road and alley, and public space and facilities. The third method was to plan hands-on programs by suggesting visions and strategies for hands-on programs. The fourth method was to suggest a program of fortification of capabilities of residents, as a plan for resident participation, and a plan for maintenance of this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