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윤승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5개의 유아기관 만 2세~만 7세 유아 357명의 어머니,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놀이를 지지하는 놀이지지 신념과 놀이 대신 학습적 자극을 중요시하는 학습중심 신념의 두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척도는 Fogle(2006)이 개발한 PPBS(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유 미(2008)가 번안,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유아가 다양한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발달과정에서 긍정적인 적응을 하거나 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척도는 LeBuffe와 Naglieri(1999)의 만2세~5세 유아용 심리적 건강성 측정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한 이완정(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α계수, t검증, F검증, Pearson의 단순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결과,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의 평균은 중간 값인 3점보다 높았으며, 학습중심 신념은 3점보다 낮게 나와 연구대상의 어머니들이 대체로 학습중심 신념보다는 놀이지지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의 경향에서도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의 평균은 중간점수보다 높았으며, 행동문제의 평균은 중간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서 유아의 연령이 만 5세미만일 때 보다 만 5세 이상일 때 주도성과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고, 애착과 행동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 보다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가 높았고, 행동문제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애착, 주도성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만 5세 미만 유아의 경우 어머니가 학습중심 신념을 보일수록 유아의 주도성이 낮았고, 만 5세 이상 유아의 경우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이 높을수록 유아의 주도성이 높게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어머니가 학습중심 신념을 보일수록 유아의 행동문제가 낮아졌고, 여아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놀이지지 신념을 보일수록 유아의 애착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유아의 발달적 경향을 나타내는 변인인 것으로 보인다.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여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이 높을수록 유아의 애착과 주도성 등 심리적 건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 영아기 전래놀이노래에 관한 연구

        안지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raditional play songs that were created from life experiences of the ancestors help growth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y contain traditional emotion of our people. Only the traditional play songs with strong and sticky life have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up to now. However,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play songs was dimmed because of remarkabl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As new things can be created only when they know old things, traditional play songs should be inherited and developed as our peoples play. Therefore if parents sing the traditional play songs, they can give our tradition and peoples emotion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their physical, cognitive, linguistic,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Dandongchigi Siphunchi transmitted from Dangun era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y songs in infant period that have been transmitted up to now were identified. The application of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meridians and the flow of energy in hands and feet were described in tables and pictures to help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the play songs and play methods on human bodies of the infants were reanalyzed focusing on the five elements and meridians in the perspective of the oriental medicin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differences between infant traditional play songs and child traditional plays. First, the purpose of the infant traditional play songs is to train senses and movement functions. Second, infant traditional play songs are adult-driven plays. Third, infant traditional play songs repeat simple vocabulary and melody. Fourth, infant traditional plays are indoor plays. Fifth, there is no need of special play tools for infant traditional plays, and infants can be enjoyed regardless of their gender. The analysis results in the perspective of oriental medicine are as follows; First, investigating the songs in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traditional play songs are composed with play movements allowing whole body exercise including neck exercise, eye-hand coordi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mall muscles in hands and legs. Through play gestures, they can improve health by stimulating five viscera and six entrails and various meridians including Governor Vessel, Conception Vessel, and Yongchon acupoint. Second, investigation the songs in the perspective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hey compose good attachment through interactions with parents. The warm play song melodies heard on mothers back and in mothers breast give infants comfort as if they were in their mothers womb. Therefore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play songs are very important to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 necessity of active utilization should be notified so that they can be provided to more infants. 선조들의 생활경험에 의해 창조된 전래놀이노래는 영유아의 성장을 돕고 민족 특유의 정서를 이어가며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것만이 구전되어 오늘에 이르게되고 물질 문명의 비약적 발전에 의해 그 자연스러운 전통의 맥이 끊겨가고 있는 상황이다. 옛 것을 알아야 새것을 창조할 수 있듯이 전래놀이노래를 계승발전 시켜 민족놀이로 승화, 발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부모가 부르고 놀이를 해주는 전래놀이노래는 영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정서 발달에 우리의 전통과 민족 정서를 깃들여 줄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군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열가지 훈치인 檀童治基十訓治의 내용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구전되어 내려오는 영아기 전래놀이노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인체의 陰陽五行적 적용과 經絡의 혈, 손과 발의 氣흐름을 표와 그림을 통해 이해를 도왔으며 영아들을 중심으로 한 놀이노래와 노래의 분석, 놀이 방법이 영아들의 인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오행과 경락을 중심으로 한 한의학적 측면에서 재분석해 보았다. 영아기 전래놀이노래가 유아기나 아동놀이와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의 전래놀이노래는 감각 및 동작기능의 훈련을 놀이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영아기 전래놀이노래는 성인 주도적 놀이이다. 셋째, 영아기 전래놀이노래는 단순하고 쉬운 어휘와 가락이 반복된다. 넷째, 영아기의 전래놀이노래는 실내에서의 놀이이다. 다섯째, 영아기의 전래놀이는 특별한 놀이도구가 없었으며, 아기의 남녀 성별의 구분이 없이 모든 영아들이 공통적으로 즐기는 놀이노래이다. 또한 이 시기의 전래놀이노래의 한의학적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신체 발달적 측면으로 살펴본 전래놀이노래는 놀이노래가 목운동, 눈과 손의 협응, 손의 소근육 발달, 다리근육 발달, 전신의 운동이 가능한 놀이동작으로 구성이 되어있을 뿐 아니라, 놀이동작을 통하여 五臟六腑의 고른 자극과 독기맥, 임기맥, 용천혈의 자극을 통하여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영아기의 정서적 발달의 측면에서 전래놀이노래를 살펴보면 영아기의 부모와의 相互作用을 통하여 원만한 애착이 형성된다. 업고 안아서 들려주는 따뜻한 엄마의 노랫소리는 胎中에서의 자세와 비슷한 편안한 자세에서 영아는 安定感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부모들에게 전래놀이노래가 영아의 신체정서 발달에 중요하며 적극적 활용의 필요성을 알려 가정에서 영아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놀이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상윤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놀이활동에 관한 실험연구이다. 즐거운생활시간, 아침자습시간, 재량시간을 이용하여 놀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놀이활동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에 목적을 두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첫째, 놀이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놀이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책임성, 활동성, 사교성, 정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2학년 학생 5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2009년 9월부터 11월까지 놀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놀이활동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에 의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의 놀이활동 프로그램은 20시간(10주)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는 비슷한 연령대의 교사가 교사용 지도서에 기초로 하여 일반적인 체육수업을 20시간(10주)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이다. 독립변인은 놀이활동이고 종속변인은 사회성이다. 사회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아동의 사회성을 책임성, 활동성, 사교성, 정서성 등 4개의 변인으로 구성하여 검사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놀이활동 프로그램 20개를 선정하여 놀이활동을 실시하고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통계처리의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놀이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효과적이다. 둘째, 놀이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책임성, 활동성, 사교성, 정서성)에 효과적이다.

      • 만2세 영아의 개인적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

        김선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요 약 만2세 영아의 개인적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아동교육전공 김 선 화 본 연구의 목적은 만2세 영아의 개인적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의 개인적 특성,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영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 발달을 이해함으로써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공헌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영아에게 보다 나은 양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1. 만2세 영아의 개인적 특성-월령, 성별, 기질-에 따라 놀이성과 사회정서 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3.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정도에 따라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차이가 있는가? 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과 어떤 상관을 보이는가? 5.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인천소재 보육시설 20개소(국공립 보육시설, 민간 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는 만2세 영아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만2세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과 지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만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평정척도와 걸음마기 기질 질문지(TTQ)를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놀이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동의 놀이척도(CPS)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개인적 특성(월령, 성별, 기질)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월령이 높아질수록 영아의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은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정서발달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아의 기질은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 중 놀이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정도에 따른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순한 기질은 영아는 부모의 개입이 영아의 놀이성을 낮추고, 까다로운 기질은 영아는 부모의 개입이 영아의 놀이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영아의 기질에 따라 부모의 양육행동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여 영아의 기질과 부모양육행동의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서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영아의 기질을 놀이성에 관련이 있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사회정서발달에 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요인을 살펴본 결과, 사회정서발달은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보다는 놀이성이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영아의 기질은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아의 놀이 개입 및 지도 영아의 기질에 따라 달라 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기질에 맞지 않는 놀이의 개입과 지도는 영아의 놀이성을 저해 하고 나아가 사회정서발달도 저해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나 교사는 영아의 기질을 잘 파악하고, 영아에 맞는 놀이지도를 할 필요가 있다 . 둘째, 어머니의 올바른 양육행동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올바르게 이끌 수 있으므로, 영아의 어머니에게 올바른 양육행동 알 수 있는 다양한 부모교육의 기회를 많이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보육 기관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부모교육을 끊임없이 제공해야 하면 지역사회도 많은 관심을 귀 기울이고 지원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셋째, 영아기 놀이는 사회정서발달에 있어 어는 변인보다 중요함으로 영아기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이 필요하고, 영아의 놀이성을 높일 수 있는 영아 놀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영아놀이활동적용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 개발 : 참여실행연구 방법의 활용

        강현옥 청주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오늘날 한국사회는 세계화의 흐름에 서로 다른 문화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다문화사회로 급변해 가고 있다.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족이 증가하고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다문화가족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문화가족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고 보다 잘 적응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영아기부터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주 양육자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역할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영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할증진을 위해 영아놀이활동을 적용하여 부모역할 증진 초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과정을 평가한 후 최종적으로 수정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영아놀이활동적용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 프로그램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전문가와의 합의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Walsh(1989)의 가족탄력성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인 신념체계의 변화,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에 부합하는 놀이활동과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변화과정을 제시하고자 참여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참여실행연구 설계 과정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설명하고, 프로그램과정에서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양적·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실행과정을 거쳐 참여자와 연구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개선 절차에 의해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가족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자녀양육의 어려움에 근거하여 그들의 요구에 맞는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보다 현실화하고 구체화하여 어느 현장에서나 부모역할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에 거주하고 있는 13~24개월의 영아를 둔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영아(실험집단 7쌍, 통제집단 7쌍)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진행시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9월 25일이며 총 12회기가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에서의 놀이활동과 이론교육은 가족탄력성의 요인을 강화하여 부모역할의 증진을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목적은 어머니와 영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하여 부모역할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는 자신의 양육방식을 인식하고 변화해야 할 부분과 가족 내의 역할 점검과 가족의 강점을 찾고 부모역할에 대한 긍정적 시각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익히고 가족의 문제해결방식을 점검하고 변화가 필요한 부분을 탐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어머니와 영아간의 상호작용, 안정적인 애착관계형성, 민감성 증진, 의사소통기술 등이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부모역할의 자신감을 갖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이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활동을 하고 싶다는 요구를 반영하여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와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와 지식 등을 실습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의 양적평가에서는 영아놀이활동적용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부모역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동일 비교 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독립집단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모든 변인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이 보장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부모역할만족도,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 애착안정성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가족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효과성의 양적평가 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어머니들은 참여하지 않은 어머니들에 비해 부모역할,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 애착안정성이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증명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의 질적 평가는 부모자신의 양육태도를 인식하고 양육행동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는 신념체계의 변화가 나타났다. 양육행동의 변화로 어머니는 영아의 요구에 반응하고, 영아의 행동 및 감정을 언어화 해 주는 민감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영아를 관찰하고 적절하게 통제하는 행동이 증진되었고 산만하던 영아들은 놀이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났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형성되었고 부모역할의 자신감이

      • 유아의 놀이성, 가상놀이 수준이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가정환경의 조절효과

        박영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린이집·유치원 만 5세반 유아를 대상으로 놀이성이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가상놀이 수준의 매개효과 및 가정의 분위기인 창의적 가정환경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139명이었다. 김명순, 김길숙과 박찬화(2012)가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유아용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담임교사가 평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 측정은 Fehr와 Russ(2014)의 ‘Affect in Play Scale-Preschool-Brief Rating Version (APS-P-BR)’를 면대면으로 단독 공간에서 직접 관찰하여 평정하였다. 확산적 사고는 Tegano, Moran과 Goodwin(1986) 및 Van Hook와 Tegano(2002)가 사용한 ‘다차원적 자극 유창성 검사(Multidimensional Stimulus Fluency Measure: MSFM)’를 사용하여 면대면으로 단독 공간에서 개별 평정하였다. 창의적 가정환경은 Kwaśniewska, Gralewski, Witkowska, Kostrzewska, & Lebuda(2018)가 개발한 ‘부모-자녀 관계의 창의적 분위기(Climate for creativit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척도를 부모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 산출, 연구문제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형과 부트스트래핑 검증으로 변인 간 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은 가상놀이의 완전매개효과를 통해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가상놀이의 수준이 높아지며, 유아가 더욱 다양하고 독창적인 사고를 하였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이 평균보다 높은 집단, 낮은 집단 모두 놀이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의 차이인 조절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이 확산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가상놀이의 인지적 수준이 높아지며 다양하고 독특한 확산적 사고를 표현한다. 유아의 놀이성, 가상놀이의 수준, 확산적 사고는 가정에서 다양성을 수용하고, 도전적이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지할 때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부모는 창의성을 키우고자 하는 분위기와 유아가 가상놀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자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하고 독창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on their divergent think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qualitative level of pretend pla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limate for creativity at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9 children aged 5~6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children's playfulness was evaluated by their teachers using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Kim et al., 2012). Their qualitative level of pretend play was evaluated by direct observation using Affect in Play Scale-Preschool-Brief Rating Version(Fehr & Russ, 2014). The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was tested face-to-face using the Multidimensional Stimulus Fluency Measure(Tegano et al., 2002).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assessed by parents using the Climate for Creativit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questionnaire(Kwaśniewska et al.,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o analyze inter-variable structures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verification.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hildren's playfulness on their divergent thinking was fully mediated by the qualitative level of pretend play. That is, the higher the children's playfulness, the higher the level of pretend play, and the more diverse and creative the children's thinking. Second, when they were divided into a group with a higher than average score and a group with a lower score of the climate for creativity, the higher the playfulness,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ren's pretend play in both groups. But only in the group with the higher score of the climate for creativity,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ren's pretend play, the higher the divergent thinking score.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child's playfulness,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pretend play and the expression of diverse and unique divergent thinking. In addition, if parents accept diversity and support their children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children's playfulness influences divergent thinking through the level of pretend play. Therefore, parents should support their children to develop diverse and original thinking skills by making an atmosphere that supports creativity and find ways to expand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experience pretend play in the 4 th industrial revolution.

      •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종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른 가족 구조의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증가 그리고 보육서비스의 확대 등으로 인해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유아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보다 이른 나이에 입소하며 하루 중 많은 시간을 기관에서 보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아들에게 정서적 완충역할의 부재와 형제간 경쟁의 부재를 가져오며 이는 유아들의 정서조절 및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실제로 최근 보육기관에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육기관에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에 대한 조기 개입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집단놀이치료와 음악치료를 통합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 정서조절 능력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집단놀이치료에 음악치료가 통합되면서 발생되는 치료적인 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집단놀이치료에 치료사의 음악적인 표현과 반영을 통합함으로 유아들의 정서표현을 촉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자신의 행동한계를 인식하며,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의 정서표현 및 정서의 정화를 놀이 상황 안에서 좀 더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성, 셈여림, 구조, 템포 등의 다양한 음악적인 요소를 통합시켜 구성하였다. 개발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은 S시 B동 Y, B, M어린이집 만4~5세 유아 중 부적응 행동의 문제를 보이는 유아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총 24명이었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통제집단에는 자유놀이시간이 제공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는 주2회 총6주에 걸쳐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부적응 척도’, ‘정서조절 척도’, ‘또래상호작용 척도’를 측정하여 사전․사후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초 통계분석과 Kruskal Wallis 검정, 비모수 통계방법인 Mann-Whitney U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부적응 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하위요인 중 ‘적대-공격성’은 비교집단에 비해 더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능력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반응을 보이는 행동은 증가되었으며, 분노나 공격적 행동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부정적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행동은 감소되었다. 특히,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적응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정서조절 능력이 비교집단에 비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단놀이치료에 음악치료가 통합됨으로 치료의 효과가 증폭됨이 증명되었다. 셋째,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며,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유아를 대상으로 집단놀이치료와 음악치료를 통합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 정서조절 능력 증진 및 사회적 관계 향상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집단놀이치료에 음악치료가 통합됨으로 부적응 행동 중 적대-공격적인 행동의 감소와 정서조절 능력 향상에 있어서 치료의 효과가 증폭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부적응 행동 문제와 정서조절의 어려움에 대한 조기 개입 및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 집단놀이치료, 음악치료, 유아, 부적응 행동, 정서조절 능력, 사회적 관계, In the modern society, the children who are using the nursery institu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nuclear family structure by the rapid social change, the increase in dual-career couples and the expansion of child care services etc. In addition, the children are entered in the nursery institution at an early age and they are spending a lot of time in a day. These changes brought the emotional the absence of a buffer role and the absence of sibling competition to the children, and i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Actually, recently the children who show the maladjustment behavior at the nursery institution are increasing. So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early intervention about the children who show the maladjustment behavior at the nursery institution are on the ri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by integrating the group play therapy with the music therapy based on the children who show the maladjustment behavior,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on the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social relationship. In addition, it aim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benefits of integrating the group play therapy with the music therapy. The develop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to promote the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by grafting the therapist’s musical expression and reflect onto the group play therapy. And the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harmony, dynamics, structure, tempo were integrated for the children to recognize and control their action limit and to experience there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purification in the play situ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re the children who show the maladjustment behavior among the children aged 4 to 5 at the Y, B, M child care center of B complex in S city, so it was total 24 children such as 8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8 children of the comparison group, and 8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The develop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free play time was presented for the control group. It was conducted for twice a week as a total of 12 sessions of program over six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hildren's maladjustment criterion’, ‘the emotional regulation criterion’, the ‘peer interaction criterion’ were measur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 pre and post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Kruskal 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as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crease in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hostility-aggression’ among the sub factors had changed in a positive way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had changed in a positive way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about the social relations, the positive emotional reaction increased, and the act does not regulate negative emotions appropriately in the situation inducing the anger or aggressive behavior decreased.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maladaptive emotional control ability showed differenc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rough the post test, so it was judged that the effect of treatment was amplified by integrating the group play therapy with the music therapy. Third,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positive peer inter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egative peer intera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decreases the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 and increased th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the decrease in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increase in the emotion regulation, improvement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 were substantiate by development of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with integrating the group play therapy and music therapy based on the children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Second, it ha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the effect of treatment is amplified on the decrease of the hostile-aggressive behaviors and the increase of the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maladjustment behavior by integrating the group play therapy with the music therapy. Third, it ha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the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is th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dimension program about the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issues. Key words: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Group Play Therapy, Music Therapy, Children, Maladjustment Behavior, Emotion Regulation, Social Relationship

      • 놀이 속 유아의 배움과 교사의 역할 탐색 :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배진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evised Nuri course emphasized infant-centered and play-centered, advocating that play is the life and learning method of infant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play and the perspective on education, it is still not easy to relate play to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infant learning and explore the role of teachers by sharing various infant play experiences in the classes of infa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utside of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does the infant teacher face in the play? 2. How do infants learn from play? 3. What is the role of an infant teacher in pla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 infant teachers working in the play support division amo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Kindergarten Teacher Research Association" outside the school in Jeollanam-do. In order to study the contents and cas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all activities of discussing, practicing, and sharing cases throughout the year in the Play Support Division,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what the teacher faces in the play, and the teacher's role in supporting them. Data collection includes recording data recorded when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ranscription data of researchers, field records, researcher journals, participant journals, and participant records, which are play records and reflection records. Data analysi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categorizing, integrating, and interpreting semantic units through repeated reading of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spiral data analysis model (Creswell (2007;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n play, teachers experienced anxiety and tolerance limits and faced obstacles that made it difficult to play, but they also discovered new things. Teachers experienced anxiety d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nfant-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compulsion as a teacher's job, and the expression of play that missed the teacher's prediction. In addition, the teacher considered how far the allowable limit of play was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n teachers play games that are difficult to recognize, safety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basic lifestyle education, and free play cross the boundary, and when teachers and infants share the initiative in play, the degree of permission for play was reconsidered. Even in this situation, the teacher's gaze "looked" at the children's play activated infant-led play, discover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infants in more detail,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in detail.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changed role of the teacher while reflecting on the teacher himself. However, some institutions recognized that play observation records became an evaluation item for teachers, and that the ratio of teachers to infants was not appropriate, or that the small but diverse needs of individual parents were an obstacle to play. Second, in play, infants were learning in various ways. Infants chose play by themselves and participated in the play initiatively, increas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their own will and freedom. The play played by infants projected their own experiences of life, reducing anxiety in it, and developing not only cognitive but also technical skills through imitation. In addition,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closely or while playing with friends, creatively created new play ideas, and showed the unpredictability that play changes in an instant. Infants were developing resilience to rise again by experiencing failures naturally by repeating experiments and challenges freely through play. Third, in order to read the properties of play, the teacher observed, recorded, interpreted the play with the eyes of the infant, and tried to increase the degree of acceptance by putting down the teacher's initiative. In addition, teachers also happily participated in infant play so that learning-oriented games tailored to the infant's eye level could continue and expand. In addition, teachers evaluated the learning of infants, and teachers themselves were able to grow up with learning opportunities. Sharing and spreading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promote the value and effect of play were also an important part of the role of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professional eye of teachers who can understand the value of play and analyze the contents of learning by themselves in order to discover infants who have learning in play. To this end, active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continuously study teacher reflection and infant play. Second, in kindergarten classes, teachers should focus on their original work to support the real play that is led by infants and leads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for unnecessary work reduction of teachers and good class disclosure. Third, it is necessary for infant-led play emphas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recognized socially. In order to revitalize infant-led play, it is revealed that it is urgent to improve our society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s awareness of play, jointly agreed play beliefs, and practice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eacher support for this by looking closely at infant play, discovering the way infants learn, and focus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ases of teachers working within a limited space in Jeollanam-do, there may b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same in all kindergarten sites. 개정 누리과정은 놀이가 유아의 삶이자 배움의 방식임을 표방하며 유아 중심·놀이중심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놀이의 가치와 교육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인하여 놀이와 교육을 관계 맺는 일은 여전히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학급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유아 놀이 경험을 공유하여 유아의 배움을 발견하고,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 속에서 유아교사가 마주하는 것은 무엇인가? 2. 놀이 속에서 유아는 어떻게 배우는가? 3. 놀이 속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라남도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있는 유치원 교사 연구회’중 놀이지원분과에서 활동하는 13명의 유아교사들이었다. 연구참여자의 활동 내용과 사례를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놀이지원분과에서 한 해 동안 토론하고 실천하고, 함께 사례를 공유하는 모든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놀이 속에서 교사가 마주하는 것, 놀이 속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배움, 그리고 교사가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사 역할에 주목하였다. 자료수집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때 기록된 녹음자료와 연구자의 전사자료, 현장기록, 연구자 일지, 참여자 저널, 그리고 놀이기록과 성찰기록인 참여자기록물 등이다. 자료분석은 나선형 자료분석 모형(Creswell(2007; 2010))에 따라 질적 자료들의 반복적인 읽기를 통해 의미 단위를 찾아 범주화하고 통합하며 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속에서 교사들은 불안과 허용한계를 경험하며 놀이를 어렵게 만드는 걸림돌을 마주하기도 했지만, 새로운 것들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교사라는 직업으로서의 강박, 교사의 예측을 빗나가는 놀이의 발현으로 교사는 불안을 경험하였다. 또 교사는 상황에 따라 놀이의 허용한계가 어디까지인지를 고민하였다. 교사가 인정하기 어려운 놀이를 할 때, 안전교육·인성교육·기본생활습관 교육과 자유놀이가 경계를 넘나들 때, 교사와 유아가 놀이에 대한 주도권을 나눌 때 등의 상황에서 놀이에 대한 허용의 정도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교사의 시선이 아이들의 놀이를 ‘바라봄’으로써 유아 주도적 놀이가 활성화되고, 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흥미를 더 자세히 발견할 수 있었고, 유아 간의 관계를 세밀하게 살필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자신을 성찰하면서 변화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일부 기관에서는 놀이 관찰기록이 교사의 평가항목이 되고,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적절하지 않거나 개별 학부모의 소소하지만 다양한 요구가 놀이에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놀이 속에서 유아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움을 얻고 있었다. 유아는 놀이를 스스로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의지와 자유로움 속에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갔다. 유아가 펼치는 놀이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삶의 모습을 투영하였고, 그 안에서 불안을 줄이고, 모방을 통하여 인지적 능력뿐만이 아니라 기술적 능력 또한 발달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친구들과의 놀이를 가까이에서 접하거나 함께 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놀이아이디어를 창의적으로 만들어 내며, 놀이가 순식간에 바뀌는 예측불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자유롭게 실험과 도전을 반복하며 자연스럽게 실패를 경험하면서 다시 일어서는 회복탄력성을 키우고 있었다. 셋째, 놀이 속에서 교사는 놀이의 속성을 읽어내기 위하여 유아의 눈으로 놀이를 이해하고자 관찰하고, 기록하며, 해석하였고 교사의 주도권을 내려놓음으로써 허용의 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에 교사도 즐겁게 참여하여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배움 중심의 놀이가 지속되고,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사는 유아의 배움을 평가하고, 교사 자신도 배움의 기회를 가지고 성장할 수 있었다. 놀이의 가치와 효과를 알리기 위한 교육공동체와의 공유와 확산 역시 교사의 역할로서 중요한 일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유아교사는 놀이 속에서 배움을 가지는 유아를 발견하기 위해 놀이의 가치를 이해하고, 유아의 놀이에서 스스로 배움의 내용을 분석해낼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인 안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 성찰 및 유아의 놀이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활발한 학습공동체 및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유치원 수업에서 유아가 주도하며 배움을 이끌어가는 진짜 놀이가 중심이 되도록 교사는 이를 지원하는 본연의 업무에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의 불필요한 업무경감 및 좋은수업 공개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교육 현장에서 강조하는 유아주도적인 놀이가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게 필요하다. 유아주도적 놀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놀이에 대한 우리 사회와 교육공동체의 인식 개선 및 공동으로 합의된 놀이신념과 이에 따른 실천이 절실함을 밝히는 바이다. 본 연구는 유아기 발달특성을 반영하여 유아교육의 본질인 유아중심·놀이중심을 다시 유아교육의 중점으로 하기 위하여 유아의 놀이를 자세히 바라보고, 유아가 배움을 얻는 방식을 발견해 내며, 이를 위한 교사의 지원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전남지역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기에 모든 유치원 현장에서 동일하게 적용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및 내실화 방안

        변지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되며 강조되고 있는 유아·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의 설립형태 및 각 현장별 상황에 따라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현장 적응에 대한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어떠한가? 셋째,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내실화 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전남 및 광주광역시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00명이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문제점, 내실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허민정(2020)의 진술문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3개의 범주로 나누어 설문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IBM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운영실태로는 유아교사들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높고, 놀이를 통한 배움의 효과성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현장에서 그 취지에 맞게 실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답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유아놀이에 대한 관찰과 상호작용 능력을 교사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고,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운영 시 필수요소라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직무연수 기회 확대 및 놀이사례를 교육청 차원에서 제공하고, 유치원에서는 교사가 유아와 학급 특성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자율성도 보장되어야 한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시 가장 기대되는 효과로는 공·사립유치원 모두 ‘유아중심의 놀이를 통한 유아만족도’였으며, 사립유치원의 경우 이에 더해 ‘초등학교 연계 학습을 위한 기초능력 배양’과 ‘학부모의 만족도’도 기대효과로 인식하고 있어 오롯이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 및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급 당 유아 수 감축 필요성 인식, 수업운영 자율성 부족, 관련 연수 또는 교육의 부재, 관리자의 무관심과 몰이해가 있었다. 특히 공립유치원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또는 학부모지지 부족을, 사립유치원은 운영에 필요한 자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국가 차원의 다양한 홍보와 공동체 구성을 통한 학부모의 인식 전환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지침서와 안내 자료, 교사의 근무환경 개선, 관련 놀이자료 개발 및 예산 지원, 국가 차원의 홍보를 통한 지역사회의 이해와 지원, 부모교육을 통한 학부모 인식 개선, 놀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 수립, 교사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주체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인식과 운영실태, 실행 상 문제점, 내실화 방안에 대해 직접 설문을 하여 정량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문제점 및 내실화 방안 결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실태, 내실화 방안

      • 아동 놀이치료 연구 동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지희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 놀이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과 교육 현장의 연구자들에 대한 심층 면담과 놀이치료 아동 놀이치료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아동 놀이치료 관련 연구와 교육의 실제적인 측면에서 개입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놀이치료 교육에 대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아동 놀이치료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놀이치료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놀이치료 효과 크기는 놀이치료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놀이치료 효과 크기는 조절 변인에 해당하는 아동연령, 실험집단 인원, 실험 처치 기간, 실험 처치횟수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진행 절차는 5단계는 첫째, 연구 질문 선정 및 연구 질문 제기 단계로, 핵심질문 PICOS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s)의 기준을 이용하여 연구계획(프로토콜)를 세웠다. 둘째, 관련 문헌(연구결과 ) 체계적 검색 :검색 가능한 2021년 12월 1일까지 발표된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놀이치료’ ‘아동’ '놀이치료 효과로 석·박사 학위논문의 문헌고찰로 총 2,454편의 연구 중 아동 놀이치료 관련 44편 논문에서 중재 변인별 논문 수는 72개를 선정하였다. 셋째, 데이터 추출 및 코딩 : 코딩 표 및 메뉴얼을 개발하여 선정된 연구 자료들의 질 평가 및 특성 변인을 코딩한다. 넷째, 데이터 분석 단계 :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다섯째, 결과를 통해 논의와 결론을 도출한다. 메타분석을 위해 Rev Man(Review Manager, Version 5.3)프로그램과 R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 놀이치료가 아동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교육 현장에서 놀이치료 기법을 활용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놀이치료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놀이치료 메타분석 결과, 자기이해, 정서발달, 사회성발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셋째, 놀이치료 효과 크기는 놀이치료 유형 중 미술치료, 음악치료, 모래놀이치료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놀이치료 조절 변인으로는 아동연령, 실험집단 인원, 실험 처치 기간, 실험 처치횟수가 있었으며, 이러한 조절 변인들에서 놀이치료 효과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이질성 원인을 분석한 결과 아동 놀이치료 효과 크기에 모든 조절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 현장에서는 주요 수혜자인 학령기 아동들에게 현대 사회 교육이 추구하는 방향성의 변화에 적합한 교육 및 치료를 접목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놀이치료 교육 현장에서 장애아가 아닌 일반아동과 경계선 아동이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셋째, 놀이치료 교육의 주변 확대를 위한 놀이치료 교육학회 설립과 사회·제도·교육이 함께하는 국가적 대응 추진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