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가꾸기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순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A Qualit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Children with Dream Shaping Activities * Soon-Cheol Kim Major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upervised by Professor Seo-Woen Park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how the third grade children experience their ontological growth while working with dream shap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the 25 third grade students in a local town near downtown Daegu.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y 2012 to February 2013. The concept of 'dream' in this study was not an occupational dream but a hope or a goal which every student wish to realize on here-and-now basis. While 'dreaming teacher' represents the teacher who helps the children to have their dreams, 'dreaming children' represents the children who help themselves to have their dreams on their own. A qualitative method was chosen and applied for the study to understand the interactive qualitativ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The main parts of dreaming shap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during 'storytelling club hours which is a set of independent curricular hours at the discretion of the classroom teacher beside the regular subject curriculum. To top it off, the classroom culture and lessons were reconstructed in order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During the first semester, the dream shap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mentor stories, while children's storie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learning during the second semester. Four specific cases were chosen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understanding shows that Minsu was able to gain the passion and the self-confidence toward learning, Jiyeon was able to overcome inferiority complex and discover her own strengths and beauty, Sunggyu actually became a good mentor and was actively able to lead in shaping a learning classroom community, and Jiwoo, Gyungyeon, Yejoon were able to cooperate with one another and, thus, a lot of conflicts having occurred among them were successfully solved. The process of the dream shaping activities was developmental, composed of five distinct stages: the first was to encounter one's own life issues or problems, the second was to inquire into the relation between I-Thou and the past-the present-the future of one's life, the third wa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other's life, the fourth was to shape and realize one's life goal, and the fifth was to shape shared life values. This study shows some educational significances.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the essential meaning of learning and education is like, how to shape the dialogical relation among the children, how to shape the dialogical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why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should be related to children's everyday life experiences, how to shape a dialogical classroom, and finally how to make curriculum reconstruction possibl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The above educational significances can resonate with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Key-words : dream shaping activity, curriculum reconstruction, dialogical relation, storytelling, 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꿈 가꾸기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의 존재론적 성장을 돕고 꿈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군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꿈’은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 또는 목적이나 목표’를 의미한다. ‘꾸미샘’은 ‘꿈을 이루어주는 선생님’이라는 뜻으로 연구자를 의미하고 ‘꾸미들’은 ‘꿈을 이루는 아이들’이라는 뜻으로 연구 대상인 아동들을 가리킨다. 연구 방법으로 아동의 이해와 성장을 위한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스토리텔링 동아리 부서를 조직하여 주로 동아리 시간에 꿈 가꾸기 활동을 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게 교실 문화, 수업 및 학습활동을 재구성하였다. 1학기에는 멘토 스토리 탐구, 2학기에는 학생들이 만든 꾸미책(꿈을 이루어주는 책)을 중심으로 꿈 가꾸기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네 가지 개별사례를 집중 탐구한 결과 꿈 가꾸기 활동을 통하여 민수는 학업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을 찾았으며 지연이는 자신의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성규는 친구들의 멘토가 되어 학습 공동체 분위기를 형성하였으며 지우, 경연, 예준이는 꿈싹을 지키기 위해 미움의 싹을 없애면서 갈등을 지혜롭게 해결해 나갔다. 아동들에게 꿈 가꾸기 활동의 과정과 의미는 첫째, 나의 삶의 문제와 만나기. 둘째, 나-너 그리고 과거-현재-미래 탐구하기. 셋째, 나와 너를 이해하고 수용하기. 넷째 삶의 목적 만들고 실천하기. 다섯째, 우리 됨의 가치 만들기이다. 꿈 가꾸기 활동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학습과 교육의 본래적 의미 추구. 둘째 교사-학생 대화적 관계 형성. 셋째, 학생-학생 대화적 관계 형성. 넷째, 삶 속에서의 인성교육. 다섯째,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 가는 교실문화, 여섯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이다. 주요어 : 꿈 가꾸기 활동, 교육과정 재구성, 대화적 관계, 스토리텔링, 질적연구

      • 에 나타난 상징적 이미지와 분석 : C.G.Jung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슬기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One of the new findings about many kinds of diseases people suffer from is that the causes of the diseases can be traced not only to physical problems but also mental problems. Contemporary people do not localize the concept of the health exclusively in the physical area since sickness or health problems may be psychogenic, which means that sickness may be mental issues. The fact that a disease is not just due to the physical drawback but also to the mental problem has instigated modern people to have some concern about mental health. So much so that it is natural that modern people, whether they are associated with religion or not, should be interested in mental discipline. Therefore these days meditation, physiognomy, spiritu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therapies that have been practiced in religious traditions in many different names have appealed not only to religious people but also to non-religious people. These practices have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inner state of the mind.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out how much influence a dream exerts on people's religious lives in giving people unconscious messages and in making them realize their situations. It is designed to inspect the meaning of a dream and interpret its symbolic image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a psychological analysis, related literature, and case studies. Jung thought of a dream as one of the best tools with which he could look into humans' unconsciousness. He tried to approach a dream by questioning, "Where does this dream lead me to?" and his inspection led him to conclude that the function of a dream is to help rectify the present situation by making people know about the insufficient portion and by providing materials for improvement when the balance of spiritual life is broken. For Christians, a dream is not only the mysterious thing but also the symbol of unconsciousness just as Jung claimed. A dream is an infinite thing that contains the psychological factors. Therefore a proper understanding of a dream in a Christian way is necessary to us. A dream is a natural or spiritual revelation that comes when our body is settled and peaceful. Sometimes, it is the only way God can communicate with us. It is because our soul (mental state) is calm that God can talk deeply into our spirit. Chapter 1 clarifies the purpose and outline of this research and briefly outlines how the study will be done. Chapter 2 is about Jung's understanding of a dream with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the definition of a dream, i.e., what the dream is, the significance of its influence and function related with our lives. Chapter 3 relates with a dream and its symbol within the boundary of Jung's interpre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a dream and its symbol, the function of these symbols, a symbol of a dream, the analysis of the symbol and the interpretation method that Jung suggests are provided. Interpreting a symbolic dream is to transmit and interpret God's revelation in this epoch, which is our task as Jesus' special envoys. Chapter 4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life and unconsciousness through an analysis of a dream sinc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nd not simple comprehension of a dream, are needed. Chapter 5 draws a conclus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a symbol shown in a dream and sums up the details suggested on the preceeding pages. We can grow spiritually,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a dream and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identity hidden deep in subconsciousness. The important personal, social, and spiritual problems we face in our daily routine are sure to appear in our dreams. Thu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messages relayed in our dream and living as the dream leads us will enable us to live under the guidance of our whole spirits far greater than our consciousness and eventually through God's guidance.

      • 의 기획과 통치 : 미래 생산 장치로서의 '키자니아 서울' 연구

        심국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study that approached the children's career theme park “KidZania Seoul” as an analysis target and background. Started in Mexico City in 1999, KidZania has established its branches in 29 cities within 22 countries as of 2020. And “KidZania Seoul”, opened in 2010, continues to attract 700,000 visitors annually. Starting from a problematic view about the goal of KidZania to ‘experience a job as a role-play and instill “dream” in a child’,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iscourse, goals, rules, strategies, or property of “dispositif” that are embedded and functioning in KidZania. Als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ull extent of the “dream”, the mind toward the future that “child” and “mother” intend to plan, create, manipulate and pass on, among the moments of activities in KidZania and their subsequent lives. This study employs the “sociology of dream” as the main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describes dreams as the images of the future, and as the dynamics of the mind toward the imagined futur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proposes the theoretical exploratory possibilities of “dream-capital” as the capacity of dream formation and governance, and “dream-dispositif” as a component for the casting, enjoying and passing down of a dream.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at has undergone empiric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through five field observations at first-hand and in-depth interviews of 26 people (17 adults, 9 children). In Chapter II, I examined various elements and features in the interior space of KidZania to test whether this space can be identified as a peculiar example of “dream-dispositif”. As a resul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a unique worldview, program, and various forms of behavior and tools of KidZania equivalate “dreams” with “occupations”. In addition, KidZania dramatically reveals the pattern of constant negoti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improves “resilience” – a part of “dream-capital” – by developing an immunologic sense of safety and risk. Chapter Ⅲ shows that children reify and solidify the matter of dreams – acquired from their various internal, rel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in the form of occupational future hope through a series of selections, repetitions, and tokening. Such a casted future hope becomes the subject of negotiations with their parents, and the dual meaning associated with “study” calls the children back to the labor for the achievement of the dream. In chapter IV, we try to look into the origin of “motherhood” that mothers who visited Kidzania internalized through their lives, and to reveal the content of their desire through the aspects of practice reveal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arenting. Specifically, the motherhood of “KidZania’s mother” stems from past experiences of giving up or adjusting their job, and the “catastrophic” perception that the future of their children's life is marked with danger. The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otherhood are the results of a sense of “illusio”(interest) in inheriting the child's ability to “flexibly” cope with a dangerous future and a “satisfaction” with the right achievement for survival. This study secure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of discussing the future by presenting “children” who have been located in the periphery of sociological interest as the main analysis target. Also,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process of dream formation, materialization, and inheritance are tracked in a time series, and the possibility of analysis and method of “dream-dispositif”, which implements the rule of rule and subjectivity, is proposed. KidZania, which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in Korea this year, is likely to maintain and expand its future-productive influence at home and abroad. In conclusion, this study requests a follow-up study on the structural, historical, and long-term level of research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서울’을 분석대상이자 배경으로 설정하여 접근한 연구이다. 1999년 멕시코시티에서 시작된 키자니아는 2020년 현재 22개국 29개 도시에 진출하였으며, 2010년 개장한 ‘키자니아 서울’은 현재까지 연평균 7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직업을 놀이로 체험하며 아이에게 “꿈”을 심어준다’는 키자니아의 목표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키자니아에 실제로 내재되어 작동하는 담론, 목표, 규칙, 전략, 즉 장치성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키자니아 활동의 순간과 그 이후의 삶 가운데서 ‘아이’와 ‘엄마’가 기획, 생성, 조작, 전수하고자 하는 미래를 향한 마음, 즉 ‘꿈’의 전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주된 이론적 배경은 ‘꿈의 사회학’이다. 이 관점에서 꿈은 미래의 이미지이자, 그 표상된 미래를 향한 마음의 동학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꿈의 형성과 통치의 역량인 ‘꿈-자본’, 그리고 꿈의 주조, 향유, 전수를 위한 구성체인 ‘꿈-장치’의 이론적 탐구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5회의 현장관찰과 26명(성인 17, 아동 9)의 심층면접을 통한 실증적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친 질적 사례연구이자 비판적 담론 분석의 성격을 지닌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본문인 Ⅱ장에서는 먼저 ‘키자니아’ 내부 공간에 구현된 여러 요소와 특징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이 공간을 ‘꿈-장치’의 한 특징적 사례로 지목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우리는 ‘키자니아’가 소유한 독특한 세계관과 프로그램, 그리고 각종 행위양식과 도구를 통해 그곳을 찾는 이들에게 ‘꿈’을 ‘직업’과 동치시키고, 부모와 자녀 사이에 놓인 끊임없는 교섭의 양상을 극적으로 드러내며, 나아가 안전과 위험에 관한 면역학적 감각을 개발하여 꿈-자본의 일면을 이루는 ‘회복탄력성’을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키자니아’를 비롯해 다양한 경험을 통과한 아이들이 그 경험을 해석하고 전유하며 새로운 꿈을 확보하고 그것을 실현하려는 주체적 연행의 양상을 논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아이들은 그들의 다양한 내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에서 획득한 꿈의 질료를 선택, 반복, 증표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장래희망’의 형태로 물화, 경화한다. 그렇게 주조된 장래희망은 부모와의 교섭의 대상물이 되며, 이 과정에서 ‘공부’에 결부된 이중적 의미는 아이를 다시금 꿈의 성취를 위한 노동으로 호출한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키자니아를 방문했던 엄마들이 삶 가운데서 내면화한 ‘모성’의 유래를 들여다보고, 그들이 교육, 양육의 장에서 드러낸 실천의 양상을 통해 아이에게 전수하고자 했던 마음의 내용을 밝히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키자니아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엄마의 모성은 자신의 직업을 포기 혹은 조정했던 과거의 경험, 그리고 아이가 살아갈 미래는 위험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파국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모성의 발현 과정에서 전개된 다양한 교육적 실천들은, 한편으로 위험한 미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생존을 위한 적당한 성취에 ‘안주’하는 마음을 아이에게 상속하려는 이해관심의 결과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학계 관심의 주변에 위치해 있던 ‘아동’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상정함으로서 미래를 논의하는 것의 당위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 접근을 통해 꿈의 형성과 물화, 상속의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며, 꿈의 통치와 주체화 전략을 수행하는 ‘꿈-장치’의 분석 가능성과 그 방법적 사례를 제안하였다. 올해로 한국 진출 10주년을 맞이한 키자니아는 향후 국내외에서 그 미래 생산적 영향력을 유지, 확장해나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키자니아에 대한 구조적, 역사적, 장기적 차원의 후속 연구를 요청하며 그 초석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함의를 가진다.

      • 을 모티브로 한 칠예작품 연구

        문지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꿈을 꾸고 살아간다. 꿈은 현실에서 이상으로 나아가는 발판이다. 그리고 어린시절부터 지금까지 나를 이끌어준 힘으로서, 또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치열한 현실 속에서 자신들의 성공과 만족을 위해 서로 경쟁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그들 개개인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나친 경쟁과 치열한 일상 속에서 꿈은 현실적인 문제에 밀려나고, 급격하게 변하는 생활 속에서 꿈만을 생각하며 살아가기는 어렵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내면의 이야기를 꿈의 상징을 통해 시각화하여 칠예작품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시 한번 꿈의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삼고자 하였다. 작품의 조형적 측면에서는 잠잘 때 꾸는 꿈(夢)을 상징을 통해 시각화하여 표현하였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이상(理想)을 바탕으로 하여 기(器)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작품은 기(器)가 되는 동시에 하나하나가 작가 내면의 세계를 나타내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도록 하였는데, 그 형태를 단순하고 투박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의미를 확장하여‘꿈꾸는 마을’이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갖도록 하였다. 작품에 표현된 그림은 기의 형태를 살려 이야기를 구성하는 공간의 자연이 나 구조물이 되도록 하여 이야기를 좀더 재미있게 꾸며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어린시절 크레파스로 그린 듯한 느낌을 나타내고 입체감과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골회와 지태칠(紙胎漆)기법을 활용하였다. 또, 작은 소품들을 제작하여 평면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마치 작가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듯 생동감 있는 느낌을 전하고자 하였다. 색상 표현은 작품에 담긴 이야기에 따라 색상, 명도, 채도에 차이를 두어 표현하여 전체적인 느낌만으로도 표현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분위기를 쉽게 파악하도록 하였다. 작품은 탈태건칠기법(脫胎乾漆技法)을 주로 사용하였고 목심칠기기법(木心漆器技法)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고, 표현기법은 나전의 끊음질, 줄음질 그리고 묘칠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본인의 심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다양하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존 칠기의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를 탈피하고 내면의 이야기에 집중하여 심상이 담긴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꿈을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작업을 한다는 것이 본인에 있어 이상(理想)을 향해 나아가는 노력의 과정임을 알고 본인의 심상의 부분을 어떻게 가시화 시켜 작품에 표현하느냐에 대한 실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They say that human life is a dream. Dream is indeed a vital power of man. Those who have no dream can hardly expect vitality of their life. A dream is actually a stepping stone leading man forward toward the future world. As far as my life is concerned, dream has been like a motive power directing me to look forward to future since my childhood. The people of the modern world are living a life of severe competition in a reality of complicated society for the sake of their succes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aspi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ir dreams. However, their dreams are gradually pushed out by practical problems, and people are compelled to engross themselves in tackling the realities without allowing any room for them to savor their dreams. In reality, they become bogged down in difficulty to live a comfortable life of a dream in the stark realities of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this understanding in mind I aim to grope through this thesis for the mental image of people, in order to convert it into a legend, so that it could be visualized in lacquer ware, with belief in mind that such an article can render an opportunity for us to recall the meaning of dream. The expression of formative beauty of the subject article is visualized through a symbol of a dream dreamed in sleeping, while the expression of the mind is visualized in a form of ware to be expressive of an ideal. Each product is made for use as a ware and at the same time for a meaning as a space expressive of my inner world. The product is made to have so simple and rustic image in a broad sense that one strongly savor an image of 'Town that Dreams' out of the product. The product is made to have a figure of ware having a space in such a shape as an amusing legend could be made up. With intention in mind to make me recall the feelings that I felt my drawings of pastel crayons painted when I was a child, and in order to express the solid sense and feeling of the material, jitaechil technique is used with the lacquer of golhwae. In addition, a variety of small painting is made so vividly that appreciators can feel my artistic intent rather than an objective legend in a plane description. The tone of color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 tone color, brightness and chroma of the product, making the general atmosphere of the legend become felt without any additional explanation. The lacquer painting technique applied to the product is mainly by taltaegeonchil technique and partly by moksimchil technique.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applied to the product is mainly by act of lacquer-cut, myochil technique with the aggregate of the techniques, I could feel free in expressing my mental images of a considerable variety. In such product I can shed off the heavy and gloomy atmosphere of the existing lacquer ware, while concentrating the story of inner world on the image of the product to be incorporated in. I have had an opportunity through this study to look back at my dreams of bygone age. I have realized that working is a process for my efforts to leap forward toward an ideal. With this understanding in mind I have entertained the opportunity to experiment of how to visualize and express my image on the product.

      • 분석을 통한 영성지도 : C.G.Jung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김선동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누구나 꿈을 꾸고, 그 꿈에 대한 호기심을 갖지만, 꿈에 대해서 진지하게 알아가고자 애쓰는 사람은 드물다. 애초에 그러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모르겠지만, 꿈에 대한 연구는 꽤나 많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꿈에 대해서 무지한 것은, 꿈에 대한 인식이 계속해서 과거에 머물러 있고, 비현실적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런 차원에서 융의 분석심리학은 꿈에 대해서 좀 더 학문적인 접근과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융의 분석심리학을 통해, 꿈이 인간 정신의 불균형적인 부분을 깨닫게 하여, 참된 자기가 되게 한다는 것을 알아가고, 이를 통해 꿈 분석원리를 정리하여 도구로 삼아, 성서에서의 꿈을 분석하고, 자기실현의 관점에서 재해석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영성지도에서 꿈을 통해 어떠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를 고찰해보았는데, 이를 위하여 특별히 『영신수련』과 예수마음기도를 선택하였다. 이 둘을 택한 것은 유념적 기도와 무념적 기도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영성지도에서의 꿈의 활용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또한, 『영신수련』에서의 주어지는 상상과 예수마음기도에서의 분심을 넓은 의미로서의 꿈으로 보아, 이러한 이해를 가지고, 각각의 기도의 여정에서 어떠한 역동이 일어나는지를 보면서, 이 가운데 꿈이 어떻게 나타나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서 알아본 꿈 분석의 원리를 통하여서, 꿈에 대해서 좀 더 명료화하여, 기도의 여정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도 알아보았다. 이처럼 꿈은 참된 자기로 이끌어가는 도구로써, 영성지도 안에서도 여러 가지의 모양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를 분석해 나가면서 기도의 여정에 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하기에, 꿈에 대해서 보다 진지한 자세를 가지고, 그 내용에 대해서 좀 더 귀 기울이며, 기도의 여정을 걸어가고, 영성지도를 하고자 한다면, 보다 전인적인 영성지도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과 무의식에 대한 시각 요소의 조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김예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본인의 2020년 개인전 ‘우연과 필연의 경계’에 출품한 작품들과 이후의 신작을 중심으로 본인이 꾸는 꿈에서 본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내면의 무의식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에 대해 다루고 있다. 다변화되는 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자신이 어떤 것을 선호하고 원하는지 보다는 타인의 욕망을 자신의 욕망으로 혼돈하며 살아가고 있다. 사회적인 환경이나 주변의 시선이 이를 강요할 수도 있다. 본인은 꿈을 통해 이러한 강요와는 다른 자아로 살아오면서 꿈은 사회적 억압이 배제된 상태에서 본인의 존재를 대변해주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꿈에서 본 이미지는 다양한 은유로 본인의 작품에 등장하며 무궁한 상상력의 원천을 제공한다. 길고 짧은, 강렬하거나 소소한 꿈을 꾸고 망각하기를 반복하며 매일같이 꿈의 생성과 소멸 사이를 오가고 있다. 본인은 꿈에서 본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내면의 무의식을 그린다. 아이스페인팅의 추상적인 형태 속에 숨겨져 있는 이미지들을 찾아 꿈의 이미지에 대입시켜 구상적으로 발전시켰고, 꿈의 예측 불가능한 흐름이 아이스페인팅에서 연출되는 우연의 효과와 유사하다는 느낌을 받아, 아이스페인팅의 추상적인 물감 형태를 꿈을 표현하는 장치로 사용했다. 사진이 발명되기 전에는 실제의 형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그림을 그렸다면, 현재는 사진과 영상의 발전으로 실제에 대한 기록은 다양한 미디어가 대신해주고 있다. 하지만 꿈은 이러한 미디어로 기록하기 어려우며, 생생했던 꿈들도 시간이 지나면 잊혀진다. 내면의 기록은 글과 그림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꿈은 나를 대변하는 가장 순수한 상태라고 생각하여, 매일 일기를 쓰듯 작업으로 본인의 꿈을 기록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본인의 작업을 내적 동기 요소와 표현 형식으로 분리하여 분석했다. 내적 동기 요소 안에는 4가지로 나눠 서술했다. 첫 번째로, 본인이 물감이 흐른 흔적에서 연상되는 형상에 영감을 얻어 작업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 본인 그림 공간에서의 무중력성을 언급하였다. 세 번째로 이전 작가들의 우연성 시도와 본인 작업의 우연성을 비교했다. 네 번째로 게슈탈트 이론을 본인 작업과 연관지어 분석해 보았다. 표현 형식에서는 3가지로 나누어, 첫 번째로 본인 그림 공간 속 유기적인 형태에 관한 내용과, 두 번째로 본인 작업의 프로세스에 관한 내용, 세 번째로 본인의 작품에서 추상과 구상 부분을 나누어 비교 분석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인이 인식한 꿈에 대한 해석과 무의식을 표현하는데 있어 본인이 시도한 작업 방법을 서술하고 앞으로 나아갈 작업의 방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This thesis describes my artwork inspired by images I saw in my dreams focusing on works from my gallery called ‘Boundary between Coincidence and Inevitability’ in 2020 and new works since then. In a diversified society, modern people confuse others' desires as if it’s theirs, rather than knowing exactly what they want and prefer. Social environment or being conscious about others may force them to live for others. I live as another ego through dreams, and think they represent myself without any social oppression. Images I saw in dreams provide unlimited amount of creativity because dreams never overlap, appearing as various metaphors in my works. Every day the world of dreams is created and destroyed repeatedly by having long and short, impactful and small dreams. Inspired by the images I saw in my dreams, I draw my inner unconscious. I found the images hidden in the abstract form of Icepainting and substituted them into the dream image to develop them figuratively. I felt that the unpredictable flow of dreams was similar to the accidental effect produced in Icepainting, so I used the abstract paint form of Icepainting as a device to express dreams. Before photography was invented, pictures were drawn to record the actual shape, but now, with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video, various media are taking over the recording of reality. However, dreams are difficult to record with such media, and even vivid dreams are forgotten over time. I think the inner record can be effectively represented by writing and drawing. Thinking that dreams are the purest state that represents me, I started to record my dreams through artwork as if I was writing a diary every day. I analyzed my works by separating inner motivation and expression form. For the inner motivation, I will explain the four key elements. Firstly, I work by getting inspired from the figure made of paint melting and flowing. Secondly, in my drawings, gravity is not present. Next, I compared the coincidence approaches of other artists to my work. Lastly, I analyzed my work associating with the Gestalt theory. For the expression form, I will explain the organic shape in the space in my works, my work process, and abstract and figurative parts in my works. In summary, I will describe the analysis of my dreams, my work process for expressing unconsciousness, and the direction of my future work.

      • 에 대한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고찰

        김영건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미 살펴본바와 같이 오랜 시간동안 꿈은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꿈으로부터 신의 메시지를 듣고자 했고, 어떤 이들은 꿈의 신탁사원에서 질병 낫기를 위해 꿈을 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꿈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는 달리 "꿈을 완전히 무시하라" 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충고가 있었는가 하면, "꿈 해석은 원시적인 미신의 형태"라고 여겼던 18세기의 과학적 합리주의자들도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꿈에 대한 이해는 상반된 대극적 관계로 전해져 왔다는 사실이다. 또한 동양과 서구의 꿈 이해에서 보듯이 꿈은 많은 부분 문화적인 영향을 받아 왔다. 특별히 대극적인 꿈 이해관계를 크게 심리학적인 견지와 생리학적인 견지로 나누어 그것이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꿈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들의 중심은 현대의 일부 실험 심리학자들을 제외한다면, 프로이드의 무의식 발견과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성(性)적인 것과 결부시켜 욕구-충족으로 받아드렸던 프로이드의 꿈 이해는 융과 같은 많은 심리학자들의 비난을 받기도 헌다. 이후 펄즈같은 학자는 무의식이란 개념을 거부하고 현재(here and now)에 중심을 두기도 했다. 여기서 우리는 심리학적인 견지 안에서도 꿈에 대한 이해는 여러 모양으로 존재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생리학적인 견지도 크게 다르지 않다. 흡슨과 맥칼리와 같이 오직 신경생물학적인 견지에서만 꿈을 이해하고자 했던 이가 있는가 하면, 포겔이나 피스처럼 꿈을 이해함에 있어 신경생리학적 이론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이론도 필요함을 주장하기도 했다. 따라서 라이저 박사처럼 정신 분석학적 견해와 신경생물학적 소견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꿈 이해가 시도되기도 했다. 이러한 주관적인 이해와 객관적인 이해가 일치하려면 수 십 년이 지나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중요한 점은 고대뿐만 아니라 오늘 날에도 꿈 이해는 여러 차원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미 꿈을 꾸기 위해 필수적인 수면(잠)에 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꿈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가 프로이드의 무의식 발견으로 본격화 되었다면, 생물학적 이해는 클라이트먼과 그의 제자 애저린스키의 EEG(뇌파도)와 EOG(안전도)를 통한 REM(Rapid eye movement)의 발견과 함께 한다. 이후 수면연구는 1960년대 초반부터 활기를 띠게 되었고, 그에 따른 꿈에 대한 이해도 가속화 되었다. 왜냐하면 렘수면에서 깨워진 수면자의 80%가 꿈을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기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꿈에 대한 이해는 프로이드의 욕구-충족이나, 보상의 원리서보는 융의 이해와는 달랐다. 심리학자들이 꿈에 대해 "왜(Why?)"라는 질문을 던진 반면, 생리학자들 "어떻게(How?)"라는 접근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생리학자들의 관심은 꿈이 아니라 수면의 기능 이었는지도 모른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꿈에 대한 심리학적인 견해를 무의식적 측면에 비중을 둔 프로이드와 융을 대표로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프로이드와 융의 심리학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꿈에 대한 이해의 측면만을 살펴본 것임으로 그들의 이론적 배경을 깊게 다루지는 않았다. 수면과학의 짧은 역사가 말해주듯 아직 우리는 생리학적인 꿈의 이해에 생소하다. 따라서 꿈에 대한 이해에 앞서 사전지식(뇌의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개념의 정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개념에 적용되는 관찰들이 풍부해짐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2002년 내지 2003년에 나온 최근의 자료들을 활용했다. '렘박탈실험'의 결과에 대한 디멘트의 번복(飜覆)과 같은 사례도 적지 않지만, 생리학자들에게 있어 꿈은 대뇌피질이 뇌교(Pons) 영역에서 생성되고 있는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해석할 때 일어나는 현상일 뿐이다. 곧 꿈의 관심이 기능적인 뇌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로 바뀌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에서도 꿈을 뇌의 활성으로만 보는 앨런 흡슨과 같은 이가 있는가 하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미셜 주베처럼 수면 혹은 꿈을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신비로 보는 과학자들도 있었다. 한편 우리는 꿈이 종교와 깊은 관련이 있었음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고대 수메르나 이집트의 유적에서 발견되는 기록들뿐만 아니라 신약성서나 구약성서에서도 꿈에 대한 이해를 찾아 볼 수 있다. 몰몬교의 창시자인 조지프 스미스(1805-44)는 꿈속에서 천사가 나타나서 아메리카 인디언이 야곱의 12명의 아들인 이스라엘 12지파의 후손임을 밝히는 황금판이 묻힌 장소를 가르쳐 주었다고 말했다. 이와 같이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꿈을 특별히 기독교와 관련하여 J씨에게서 보듯이, 오늘날 꿈의 이해가 영적 성장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끼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안에서도 에르나 반 드 빙�廈�존 A. 샌포드의 경우처럼 꿈 이해의 접근이 다름을 살펴보았다. 꿈의 해석 작업에 있어 자주 등장하는 몇 가지 주제(섹슈얼리티, 변화와 변형, 공포와 불안)들이 있다. 필자는 이를 해석함애 있어 실제적으로 꿈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프로이드와 융 중심으로)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그동안 관심 받지 못했던 꿈의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에너지가 우리의 삶에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를 보았다. 그러나 꿈은 예로 들었던 예술가, 음악가,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수학자, 발병가등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가깝게는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기록에 따르면 이순신 장군은 꿈에 병사들에게 줄 식량을 마련하기 위해 바다에 나갔다가 불을 뿜는 거북이를 만났다. 이후 이순신 장군은 세계 최초의 철갑선인 '거북선'을 만들었다고 한다. 꿈은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에게 헤아릴 수 없는 무궁한 창조의 에너지를 건네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꿈의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에너지를 우리의 삶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각몽(의식적 꿈꾸기)을 제시하였다. 실제적으로 의식적 꿈꾸기가 가능함을 위해 필자의 사례를 들었고, 의식적 꿈꾸기를 통해 심오한 자기 인식단계에 도달 할 수 있음을 세노이족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의식적 꿈꾸기는 많은 인내와 수련을 요할 뿐만 아니라 꿈을 어떤 마음의 자세를 갖고 대하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필자의 꿈 노트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논구했던 꿈의 이해를 해석의 작업을 통해 필자는 꿈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간접적으로 드러 내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필자의 꿈 해석은 옳을 수도 있지만, 틀릴 수도 있다. 왜냐하면 꿈은 무엇보다 꿈 꾼 이의 의식적 상황과 수준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점을 염두 해두고 살펴보아야 했을 것이다. 또한 꿈을 해석함에 있어 생리학적인 견지를 배제한 것은 생리학적인 견지 하(下) 에서는 꿈의 해석 작업을 불필요로하기 때문이지 필자가 생리학적인 견지를 거부하기 때문이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다.

      • 의 오케스트라사업 발전방안 연구

        조민지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El Sistema Korea(The business name is ‘Orchestra of Dream’)’ that supports the marginalized children and youth of the most vulnerable families by providing orchestra arts education. The El Sistema Korea is a Korea-styled program of the ‘El Sistema’, which is modeled after a representative free music education program of Venezuela. It is a regional network - typed community arts education program aimed to pursue the multi-faceted growth of children and the community development 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orchestra education to the marginalized children and youth in cultural blind spots and allowing them to take advantage of the experience. The education program is being provided in 32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country with the help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Agency. These organizations offer the support aimed to build a capacity for self-reliance so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continue to operate. Bu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distributed nationally are being operated by the supply-driven top-down support, so the ongoing and continuous education is not provided and the absence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procedures is being created repeatedly. In addition, an attempt is being made to propagate El Sistema ’s philosophy, values, and teaching methods but it is actually difficult to reproduce El Sistema with 40 years of history in a short term.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lack and inefficiency of the operational strategies, and by the absence of the voluntary operation will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relying on public assistance. This study was thus inspired by the idea that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must be guaranteed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ies. El Sistema Korea is the education program playing a social role, not to train musicians but to help children with holistic growth through orchestral activities. For this reason, the role should be always conside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accordingly. To that end, this study reviewed the value and role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environmental changes and attempted to establish the directions of the program of El Sistema Korea to proceed by taking a good look at cases of El Sistema of Venezuela and El Sistema of other foreign countries. Subsequently, it reviewed the state of El Sistema Korea, checked the current condi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and problems in educational aspects. Another analysis was made o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operating entities and educational entities in order to set the strategies that meet the program purpose and that is consistent with the reality. Then the promotion goal was set and the implementation plan was made for the four segments divided accordingly, such as institutional measures, operating plans, strengthening networking and educational programs. Additionally, specific promotion plans were presented for each segment. First, as for institutional measures, a plan was made to make the full use of overlapping resources. For this, detailed schemes were suggested, building a center focused on continu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ctivating exchanges utilizing the existing system, and hiring more specialists. Second, as for operating plans, a scheme was made to strengthen the operational capabilities through establishing a network with the community. In line with this, detailed schemes were preferentially made to ensure that all the local people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participating children can enjoy the educational benefits by expanding the educational target. Additionally, a proposal was made to expand the network for appealing for funds through operating phased consulting programs and developing training spots. Third, as for strengthening networking, a scheme was presented to enhance the internal network of El Sistema Korea by activating the on/off-line community. Also, formation of sympathy which may be done through expanding social activities was proposed as a scheme to strengthen the external network and to spread this education. Fourth, as for enhancing educational programs, a scheme was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reinforcement of instrumentation and repertoire. To ensure that individual reg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a core unit performing the program of El Sistema Korea, are settled in their region, it is required to efficiently operate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di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to enable not only operational entities but educational entities to establish an operational plan to take best advantage of local resources and networks. Currentl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operating centered around metropolitan areas and major cities. But to ensure the educational benefits are provided to the children in cultural blind spots, who indeed need the education of El Sistema Korea, efforts by operational entities must be guaranteed, as well as voluntary operational commitment and passion by educational entities. 본 논문은 사회취약계층의 소외 아동‧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 문화예술교육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베네수엘라의 대표적인 무상음악교육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하고 있는 한국형 엘 시스테마 오케스트라 교육으로, 문화사각지대에 있는 소외 아동‧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그 경험을 통해 아이들의 다면적 성장과 지역사회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역 네트워크형 사회문화예술교육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으로 현재 전국의 32개 거점기관에서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원이후로도 교육 거점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도록 자립역량강화를 목표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거점기관들이 공급주도형 하향식 지원에 의해 운영되다보니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행정적 절차에 따른 교육의 부재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또한 엘 시스테마 교육철학과 가치, 교수법을 전파하고는 있지만, 약 40년의 역사를 지닌 엘 시스테마를 단기간에 재현하기에는 무리인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업의 운영전략 미흡과 비효율성 그리고 공공지원에 의존하는 거점기관의 자발적인 운영의지 부재에서 찾을 수 있으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들에게 지속적인 교육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꿈의 오케스트라사업이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질 수 있는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음악가를 양성하는 교육이 아니라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아동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사회적 역할을 지닌 교육이며, 그 운영방향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역할이 재고되어야 한다. 먼저 환경변화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역할을 조명해보고, 베네수엘라 엘 시스테마와 해외 엘 시스테마 사례들을 살펴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성들을 정립해 보았다. 이후에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사업현황을 살펴보고, 현주소를 점검하여 운영과 교육면에서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업취지와 목표에 부합하고 현실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운영주체와 교육주체의 내부 및 외부환경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추진목표를 세운 후, 제도적 방안, 운영방안, 네트워킹 강화, 교육프로그램 강화 구분으로 추진계획을 제시했다. 첫째, 제도적 방안으로는 중복되는 자원을 최대 활용하는 계획이다. 먼저 연속거점기관을 중심으로 센터를 구축하며, 기존제도를 활용한 교류활성화와 전문 인력보강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운영방안은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체 운영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써, 교육대상 범위를 지역민과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참여아동 뿐만이 아니라 지역민 모두가 교육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재원조성의 단계별 컨설팅 운영, 교육장소 개발을 통한 네트워크 확대를 제안하였다. 셋째, 네트워킹 강화로는 꿈의 오케스트라의 내부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활성화, 외부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교육의 확산을 위해 사회활동 확대를 통한 공감대 형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 교육프로그램 강화로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육자원의 개발, 악기편성과 레퍼토리를 보강을 제시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단위라고 할 수 있는 각 지역 거점기관들이 지역 안에서 자리 잡아가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특성, 환경 및 교육여건 등이 고려된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된다. 이런 면에서 본 연구는 운영주체 뿐만이 아니라 교육주체가 지역자원 및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는 운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현재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거점기관이 운영되어지고 있으나, 앞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문화사각지대의 아이들에게까지 그 교육혜택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운영주체의 노력뿐 아니라, 거점기관들의 자발적인 운영의지와 열정이 담보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