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체력의 역할

        한진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첫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기능체력과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횡적 연구, 둘째, 운동중재를 통한 기능체력의 증진이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중재 연구로 구성하였다. 횡적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총 416명(남성=107명, 여성=309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혈중 지질 및 혈당 분석을 위한 채혈, 기능체력(상·하체 근력, 상·하체 유연성, 민첩성, 지구력) 측정, 우울척도검사, 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기능체력 변인의 표준화 점수에 근거하여 전체집단을 하위등급(low 25 percentile), 중간등급(middle 50 percentile), 상위등급(high 25 percentile)으로 세분화한 후 기능체력수준에 따른 종속변인과의 선 경향 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평균연령(p<.001), 체지방(p=.038), 교육 수준(p<.001), 우울척도(p=.001), 인지기능(p<.001)은 체력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체력수준에 따라 경도인지장애에 노출될 수 있는 상대적 위험도를 의미하는 승산비(odds ratio, OR)를 산출한 결과, 하위등급의 승산비를 기준점(OR=1.000)으로 비교할 때 연령, 성별, 교육기간, 체질량지수, 체지방, 인슐린, 호마지수, 우울척도를 보정하고도 중간등급(OR=.410, p=.001)과 상위등급(OR=.314, p=.002)의 승산비가 유의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총 167명(남성=26명, 여성=141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12주의 단기중재(대조군:25명, 운동군:80명)와 24주의 장기중재(대조군:21명, 운동군:41명)로 집단을 세분화하고, 1회 60분, 주당 3회의 복합운동을 각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대사성 위험인자, 기능체력, 우울척도검사, 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중재에 따른 종속변인의 변화에 대해 중재기간과 인지장애유무에 따른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체중(p=.016), 체질량지수(p=.014), 인지기능(p=.008)에서 유의한 수준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는 운동중재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인지기능의 개선 정도가 단기중재에 비해 장기중재에서, 정상인지를 가진 집단에 비해 인지장애를 가진 집단에서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 외 상체근력(p=.001), 하체근력(p<.001), 상체유연성(p<.001), 하체유연성(p=.037), 민첩성(p=.003), 지구력(p<.001), 총콜레스테롤(p=.007), 중성지방(p=.003), 인슐린(p<.001), 호마지수(p=.008)는 중재기간과 인지장애유무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지만 중재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65세 이상 노인의 기능체력은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독립예측변인일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체력증진을 통한 운동중재 효과는 중재기간과 인지장애 유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운동을 통한 체력의 유지 및 증진은 정상적인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는 물론이고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지연 혹은 예방하여 건강한 노화를 보장하기 위한 생활중재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decline and 2) to examine the effect of an exercise intervention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metabolic risk factors, depression scale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In a cross-sectional study, a total of 416 older adults (men=107, women=309) aged 65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from our local community.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 upper and lower body flexibility, agility, and endurance were measured with a senior fitness test (SFT). Cognitive performance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respectively. Metabolic risk factors (blood lipids, glucose, insulin etc.) were analysed in fasting blood samples. A composite score of physical fitness was calculated as a sum of z scores for each domain of the SFT parameters. Based on the composited score of physical fitness, subjects were classified as low fit (lower 25 percentile), moderate fit (middle 50 percentile), and high fit (high 25 percentile). Linear contrast analysis using one-way ANOVA showed significant linear trends for age (p<.001), percent body fat (p=.038), education (p<.001), cognitive function (p<.001), and depression scale (p=.001) across incremental composite score of physical fitnes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low fit group, the moderate (p=.001) and high fit (p=.002)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s for hav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even after adjusted for age, sex, education, and body fatness parameters. In an intervention study, a total of 167 older adults were assigned to either exercise(n=121) or control group(n=46). The exercise group underwent a 12-week(short term) or 24-week(long term) exercise program with a frequency of 3 days per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heir sedentary lifestyles during the same perio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intervention duration and baseline cognitive performance were found for changed scores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cognitive performance such that those with low baseline cognitive performance who underwent the long-term exercise intervention had the greatest improvements in the dependent variables,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moting physical fitness via an exercise intervention provides a safe and effective means against aging-related cognitive decline in older adults.

      • FMS 기반의 컨디셔닝 트레이닝이 운동기능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희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Effects of Conditioning Training of FMS on Exercise Functional Fitness Park Heej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j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to leaders and athletes by predicting the risk factors of injuries in advance through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and identifying changes in Functional movement screen scores and Exercise Functional Fitness(equilibrium, maximum strength, flexibility, agility, the power of the upper limb, quickness of the lower limb) after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The subjects were 15 volleyball players in M University in Gyeonggi-do. 120 minutes’ training sessions were administered for 12 weeks twice per week. It was divided into 4 weeks’ control time and 12 weeks’ conditioning training intervention period. From the 1st week to the 4th week,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based on flexibility and equilibrium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performed in an accurate and stable posture. In the 5th to 8th weeks, basal physical fitness training exercises focusing on the core exercise and the resistance exercise were performed, and three sets of 12 times with 60 to 80% intensity of 1RM were administered. From the 9th week to the 12th week, functional physical fitness training was performed. Twelve movements were administered as interval training such as 30 seconds’ workout and 10 seconds’ r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score, scores of six items Deep squat(p<.001), Hurdle step(p<.001), Rotation stability(p<.001), Trunk stability push-up(p<.05), In-line lunge(p<.001), and Active straight-leg raise(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hange of the Exercise Functional Fitness, the left one-leg standing and right one-leg standing were reviewed. left one-leg standing bal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reaction changes(p<.05),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post-hoc. In conclusion, the conditioning program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risk of injury during training or competition by improving the functional movements of the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 fitness together, more research is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sports. Keyword Conditioning training,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Exercise functional fitness FMS 기반의 컨디셔닝 트레이닝이 운동기능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 희 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이 동 준 본 연구는 상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를 통해 미리 예측하고 12주간 컨디셔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기능적 움직임 검사(FMS) 점수와 운동기능체력(평형성, 최대근력, 유연성, 민첩성, 상지의 파워, 하지의 순발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M대학의 배구선수 15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2회씩 120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4주 동안의 컨트롤기간과 12주 동안의 컨디셔닝 트레이닝 개입기간으로 나누었다. 1∼4주 동안은 유연성과 평형성을 기본으로 한 기능적 움직임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정확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진행하였다. 5∼8주에는 코어운동과 저항운동에 집중하는 기초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RM의 60∼80%의 강도로 12회 3세트를 실시하였다. 9∼12주에는 기능 체력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12가지 동작을 30초 실시하고 10초 휴식을 가지는 인터벌 트레이닝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능적 움직임 점수의 변화에서는 딥 스쿼트(p<.001), 허들 스텝(p<.001), 회전 안정성(p<.001), 몸통 안정성 푸쉬-업(p<.05), 인라인 런지(p<.001), 능동적인 스트레이트 레그 레이즈(p<.001) 등 6가지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운동기능체력의 변화에서는 좌측 외발서기와 우측 외발서기의 측정 결과에서 좌측 외발서기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1). 전신반응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컨디셔닝 프로그램은 선수들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켜 훈련이나 경기 중의 상해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되며, 운동기능체력의 향상을 함께 이루기 위해서는 스포츠 종목별 특성을 고려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키워드) 컨디셔닝트레이닝, 기능적움직임검사, FMS, 운동기능체력

      • 노인의 인지기능과 수정 가능한 생활습관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이상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여러 가지 수정 가능한 생활습관인자간의 연관성을 검증을 통해 인지기능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을 결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임의 표본추출을 이용하여 경기도 S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지역주민 총 143명으로 하였다. 측정변인은 신체구성, 신체활동량, 노인체력검사, 인지기능검사 등으로 구성하였다. 신체구성은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체중, 체지방량, 골력근량, 골밀도, 체질량지수 등을 측정하였다. 신체활동량은 물체가속도계 착용을 통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의 신체활동시간과 1일 평균보수를 측정하였다. 기능관련체력은 노인체력검사를 이용하여 근력, 유연성, 협응력,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검사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PC(version 18.0)의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인지기능과 측정변인과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다중선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지기능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을 결정했으며, 이때 통계적 유의도는 α=.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한국판 간이정신검사에 근거한 인지기능은 신체구성변인 중에서 허리-둔부 둘레비(r=-.282, p=.001)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지방량(r=.212, p=011), 대퇴 골밀도(r=.211, p=.012), 요추 골밀도(r=.193, p=.022), 상대적 근육량(r=.170, p=.042)과는 유의한 양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은 보수(r=.187 p=.037), 중강도 신체활동(r=187 p=.037), 1일 에너지 소모량(r=.306 p=.001) 등의 신체활동변인과 유의한 양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은 기능체력 중에서 상체근력(r=303 p<.001), 하체근력(r=.292 p<.001), 심폐지구력(r=.329,p<.001), 상체유연성(r=.276, p=.001), 하체유연성(r=.199, p=.017)과는 유의한 양적상관관계를 가지며 동적평형성(r=-.456, p<.001)과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회귀분석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에 국한시켰을 때 요추 골밀도(β=.197, p=008), 에너지소모량(β=.235, p=031), 심폐지구력(β=.197, p=.011), 동적평형성(β=-.189, p=.022)은 참여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이섭취와 더불어 신체활동 및 체력증진을 통한 심폐지구력과 동적평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고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골밀도 감소와 신체활동 및 체력수준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성이 요구된다.

      • 운동 유형에 따른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및 평형성 효과

        신진형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운동 유형에 따른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및 평형성의 효과를 알아 보고자하여 여성노인의 건강증진에 있어서 체간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재인식 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B시에 위치하는 S대학교 평생교육원 시니어아카데미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에 교차로 참여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2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기능체력과 평형성을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Windows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집단간의 동질성 검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고,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의 효과 검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α=.05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의 참여를 통해 기능체력 중 일어섰다 앉기, 아령 들기,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 2.4m 왕복 걷기, 6분 걷기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의 참여를 통해 개안시 평형성 중 ENV(외주면적), REC(단형면적), TLC(중심점거리), Total Length(총 궤적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의 참여를 통해 폐안시 평형성 중 ENV(외주면적), TLC(중심점거리), Total Length(총 궤적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보면,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에 교차로 각각 6주 동안 참여한 A그룹과 B그룹은 체간 안정화 운동보다 복합운동에 참여했을 때에 기능 체력과 평형성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체간 안정화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복합운동에 참여하는 것보다 기능체력과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의 평균차이가 낮았지만, 체간 안정화 운동 역시 기능체력과 평형성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체간 안정화 운동은 복합운동 보다 가정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 및 비용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시행한다면 노인들의 건강증진에 더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hanges of the senior functional fitness (SFT) and balance as participating in two types of exercise. Twent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f ag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ither a core exercise or complex exercise group randomly. For the first 6 weeks, the participants in the core exercise group performed trunk stabilization; whereas, the other group performed traditional complex exercise. For the remaining 6 weeks, the intervention for two groups was reversed.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leg bridge, quadruped position, using a sling on an Aero-step.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ening exercise. Each program was provided for 6 weeks, 2 times a week, 70 minutes per session. The variables of SFT included sitting and standing, raising a dumbbell, sit on the chair and reach, holding hands behind the back, 2.4m walking around, and walking for six minutes. Also, balance was evaluated as measuring envelope area, rectangle, root mean square, total length from cop, total length, sway velocity, length/envelope area, single-leg stance with eyes open and closed. Results of the SFT revealed that all variables, without hands behind the back,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Also, the results related to balance showed that envelope area, rectangle, total length from cop, and total leng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 core exercise focusing o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may be as much effective as a traditional complex exercise in terms of functional fitness and balance. Furthermore, given the fact that core exercise is easy and costless, it can be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for the elderly women. Therefore, the participation of trunk stabilization and complex exercis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fitness and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비만도에 따른 기능체력, 인지기능, 낙상 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석원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건강에 대해 알아보고자 비만도에 따른 기능체력, 인지기능, 낙상 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10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 후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A 시 K 장수대학에 다니는 65세 이상의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니어 에어로빅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을 실시하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을 10주간 주 2회,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15분, 본 운동 30~50분, 정리운동 15분으로 점진적으로 본 운동의 운동시간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두 개 이상의 비만도 그룹(15명), 한 가지의 비만도 그룹(1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항목은 신체구성으로 신장, 체중을 이용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기초체력검사로 상지 근력, 하지 근력, 심폐 체력, 유연성, 동적 평형성을 측정하였고, 인지기능 검사(MMSE-DS), 낙상 효능감 검사(K-FES), 우울 검사(GDS-K)를 모든 그룹의 사전과 사후에 동일하게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2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비만도 수준으로 나눈 집단에 대한 상관성과 운동 중재 전과 후(시기)에 대한 변화값을 구하여 이변량 상관분석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를 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 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참여한 여성 노인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기능, 기능체력, 인지기능, 낙상효능감에서의 집단 및 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노인 여성들의 운동 전∙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식이조절의 불균형과 체력수준의 저하는 비만 정도에 따라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지는 만성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의 집단 간, 시기 간의 통계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지적 정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지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운동프로그램과 우울, 낙상 효능감의 관계를 다각적인 방법으로 인지기능 도구, 뇌 혈류 등의 혈액 지표를 추가하여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esity on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after participating in a 10-week complex exercise program to examin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health in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 elderly women who lived in A city and wanted voluntary participation. When two or more that the body mass index 25 kg / m² or higher, the waist circumference is 85cm or greater, and the body fat ratio is 30% or higher, are Multi Obesity Group(MOG, n=30), and one of them is Single Obesity Group(SOG, n=20) Upper Body Strength, Lower Body Strength, Aerobic Endurance, Flexibility, and Dynamic Balance were examined. Cognitive and emotional health as an index of cognitive function testing (MMSE-DS), Fall Efficacy Scale-Korea (FES-K) and the 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 senior robotic aerobic exercise, a weight - bearing exercise using the inner muscle, and a sera band resistance exercise using the upper and lower muscles. This program was conducted one hour exercising three times a week for 10 weeks, and was perform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imes, set, and rest time per two weeks at Borg Scale 11 (light) -13 (somewhat difficult). In this study, a heterogeneity analysis was conducted by obt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groups divided by levels of obesity and the value of the telitha squar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rbitration. A repeated measurement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periods Result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 in physical function, functional physical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nd fal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obesity rate of the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did not appear Conclusion No statistical changes have been made through this study. However, looking at change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older adults, imbalance in diet control and decline in physical strength increases the risk of exposure to chronic diseases leading to cardiovascular disease, depending on the level of obesit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long-term exercise program improves feelings of depression and fall efficacy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s. Therefore, further study is suggested by adding blood indices such as cognitive function tools and blood flow to the brain.

      •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기능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김민선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0

        ABSTRACT The Effect of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nd Function-related physical strength of Adult women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Kim, Min Sun Advised by Prof. Roh, Su Yeon Major in Exercise Rehabilitation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fitness of adult women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rehabilitation for adult women and provide systematic control measures. The purpose is to present valid and practical objectiv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through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 and functional fitness related to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on health-related fitness in adult women?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on functional fitness in adult women? Fo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416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2, and PICO-SD selection criteria and Papers to be reviewed were selected based on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14 materials were finally se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final selected papers using the R 4.2.1 program and results were derived, and the RoBANS evaluation tool was used to evaluate bias.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n overall positive effect on health-related fitness in adult women. By factor, there were moderate effects on muscular strength (0.75), muscular endurance (0.84), flexibility (0.56),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0.82), and for body composition, there were small effects on fat percentage (-0.26), fat mass (-0.22), skeletal muscle mass (0.15), weight (-0.02), and BMI (0.03), but this was due to a greater increase in skeletal muscle mass than a decrease in body fat. Second, the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 medium-sized positive effect on function-related fitness in adult women for Balance (0.80). However, Agility (-0.10) and Muscular power (-0.45) showed small negative results. Agi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in three out of nine studies and Muscular power in one out of three studies. However, as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less effective than other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in agility and muscular pow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to increase positive effects on these factors. In conclusion, the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health-related fitness and functional fitness component of balance in adult women. The results of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nduct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commending a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related and functional fitness in adult women. Keywords : Pilates, adult women, Exercise rehabilitation,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Function-related physical strengt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a-analysis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기능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운동재활학전공 김 민 선 지도교수 노 수 연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기능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운동재활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 하고, 체계적인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 개 발을 위한 타당하고 실용적인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제시한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 관련 건강/기능관련체력에 대한 체계적 문 헌고찰 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 성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필라테스 운동재 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기능관련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위해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416편을 수집하였고, PICO-SD 선 정 기준과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를 기준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17편을 분석대상 논 문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R 4.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비뚤림 평가는 RoBANS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건강관련체력은 전 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요인별로 Muscular strength(0.75), Muscular endurance(0.84), Flexibility(0.56), Cardiovascular endurance(0.82)에서 중간 효과가 있었고, Body Compostiton는 세부적으 로 Fat percent(-0.26), Fat mass(-0.22), Skeletal muscle mass(0.15), Weight(-0.02)는 작은 효과가 있었으며 BMI(0.03)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 지만 이것은 체지방의 감소보다 골격근량 증가가 더 컸기 때문이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기능관련체력에서 는 Balance(0.80)는 중간 크기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Agility(-0.10)와 Muscular power(-0.45)는 작은 부정적 결과를 보였다. Agility는 9편의 논문 가운데 3편에서, Muscular powe 3편중 1편에서 긍 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운동재활 프로그램보다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Agility와 Muscular powe에서 효과가 미 비하다는 것은 향후 이들 요인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끌어올리기 위한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은 성인 여성의 전반적인 건 강관련체력과 기능관련체력 가운데 Balance(균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진행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성인 여성들의 건강관련체력 및 기능관련체력 향상을 위 해 필라테스 운동재활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적인 근거 자료 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필라테스, 성인 여성, 운동재활, 건강관련체력, 기능관련체력,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 좌식복합운동이 허약노인의 기능체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범준 高麗大學校 醫用科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6

        국 문 초 록 좌식복합운동이 허약노인의 기능체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ted complex exc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Frail elderly 박 범 준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 전공 (지도교수 김 명 기)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기능저하예방운동 프로그램이 허약여성노인의 신체기능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허약노인의 건강유지 및 기능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H유료양로시설에 입주한 회원 중 시설 내 의무담당자의 소견과 보건복지가족부의 허약노인 기초측정표(2011)에 의하여 선발된 인원 중,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16명으로 운동군 8명, 통제군 8명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군의 좌식복합운동 프로그램은 Elizabeth(2005)의 허약노인들을 위한 운동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토대로,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주 3회 일 60분씩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프로그램 시작 전 허약노인의 교육프로그램만 참여한 후 따로 운동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시행 사전․사후 에 노인을 위한 객관적인 체력 평가도구인 SFT(Senior Fitness Test) 중 악력검사, 의자에서 30초간 앉았다 일어서기, 의자에서 앉아 앞으로 굽히기, 의자에서 일어나 244cm 왕복 보행, 눈 뜨고 한발 들고 서있기, 2분동안 걷기 측정을 통해 운동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연구의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양 그룹간 동질성은 독립 T-test로, 종속변인은 독립대응 T-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지근력 측정 종목인 악력에서는 운동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근력 측정 종목인 30초간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에서는 운동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유연성 측정 종목인 의자에 앉아 발끝 손닿기에서는 운동군은 소폭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평형성 측정 종목인 눈뜨고 외발서기에서는 운동군에서 향상됨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민첩성 측정 종목인 244cm왕복에서는 운동군에서 기록이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지구력 종목인 2분 걷기에서는 운동군에서 기록이 소폭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DL과 IADL에서의 운동 전후에서는 운동군에서 기록이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허약노인에게 좌식복합운동이 신체기능체력과 관련하여 기능체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증진 또는 유지시키는데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허약 노인의 건강 상태와 운동 능력을 감안하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이중과제 운동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거주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민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S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4주간 주 2회 80분 이중과제 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기능체력 및 인지기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유사 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에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대상자들에 한하여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중과제 운동 프로그램은 맨몸 동작 및 체조 요소를 접목한 유산소 운동과 1~12주, 12~24주차별로 밴드의 강도를 달리하여 진행된 근력운동을 함께 수행하였다. 또한, 각 운동 과정에서 숫자, 그림 및 단어기억 등의 인지 과제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10단계 비율척도를 활용하여 4~6지점까지 운동 자각도를 높여가며 진행하였다. 측정항목은 신체조성, 혈압, 우울(SGDS-K), 노인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 단축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IPAQ-SF), 신경 심리평가집(CERAD-K)을 사용했으며, 낙상지표는 낙상효능감(FES), 일상생활 수행능력(K-ADL),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K-IADL), 단축 신체 수행 검사(SPPB) 등의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는 인지적으로 건강하고, 운동집단에서 최소 75% 이상의 참석률을 보인 대상자들만 포함됐으며, 장기간 이중과제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사전 및 사후 측정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장기간 이중과제 프로그램 참여의 분석 결과는 신체조성, 낙상지표, 우울에서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기능체력에서 악력(p=.010)이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운동집단은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은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지기능의 개선에서는 언어유창성(p=.014)이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감소했으며, 길 만들기A(p=.010)검사 시간은 운동집단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 통제집단의 시간은 증가하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추가로 분석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심폐체력은 언어유창성의 유의미한 독립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지적으로 건강한 노인에게 수행된 장기간 이중과제 운동 프로그램은 기능체력 향상과 인지기능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엑서게이밍 혹은 컴퓨터 기반이 아닌 것을 강점으로 지역사회 시설 이용 노인들에게 보급된다면, 예방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a dual-task exercise program of 80 minutes twice a week for 24 weeks on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of S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only subjec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ercise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dual-task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incorporating gymnastic elements and strength training performed with varying band intensity from weeks 1-12 and weeks 12-24. Additional cognitive tasks such as number, picture, and word recall were performed during each workout, and exercise intensity was gradually varied from 4 to 6 points of exertion using a 10-point ratio scal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depression(SGDS-K), senior fitness test, shortened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SF), and cognitive function(CERAD-K) were used to measure outcomes, while falls were measured using appropriate instruments such as falls efficacy score(FE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and shortened physical performance test(SPPB). Only subjects who were cognitively healthy and had at least 75% attendance in the exercise group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 and post-measurement variable interactions of the long-term dual-task exercise program. In line wit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long-term dual-task program and body composition, falls markers, or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functional fitnes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hand grip strength(p=.010), and i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verbal fluency(p=.014)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ime of the Trail-Making Test A(p=.010) test. Additionally,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of verbal fluency, but the Trail-Making Test A did not identify an independent predictor due to missing valu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long-term dual-task intervention program in cognitively healthy older adults may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fitness. Furthermore, the program could make a positive preventive contribution if it is disseminated to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the strength of not being exergaming or computer-based.

      • 노인의 노쇠와 기능체력 및 보행가변성의 연관성

        최규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5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쇠와 기능체력 및 보행가변성의 연관성을 검정하여 노쇠를 예측하는데 있어 기능체력 및 보행가변성의 독립적인 역할을 구명하는 것으로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총 367명(남자: 164명, 여자: 203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및 행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낙상관련변인, 기능체력, 보행변수 및 보행가변성을 측정하였고, Fried 등(2001)의 노쇠 진단기준(체중감소, 정서적 고갈, 신체활동, 보행속도, 악력)에 근거하여 노쇠정도(정상, 전-노쇠, 노쇠)를 분류하였다. 노쇠정도에 따른 모든 측정변인의 비교 및 선 경향성(linear trend)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의 선형대조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쇠와 만성질환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연관성을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끝으로 노쇠정도에 대한 독립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367명의 노인 중 정상은 161명(43.9%), 전-노쇠는 170명(46.3%), 노쇠는 36명(9.8%)으로 나타났다. 노쇠정도에 따른 측정변인의 비교에서 노쇠정도가 높을수록 연령(p<.001), 체지방률(p=.022), 만성질환개수(p<.001), 수축기 혈압(p=.033), 맥파전파속도(p<.001), 우울증상(p<.001), 불안증상(p<.001), 낙상경험(p=.046), 낙상두려움(p<.001),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제한이 있는 노인의 비율(p<.001) 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골격근량(p<.001), 월평균소득(p=.020), 교육수준(p=.022), 인지기능(p=.005), 삶의 질(p<.001),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척도(p<.001), 낙상효능 척도(p=.028), 일일보수(p<.001), 저강도(p<.001) 및 중강도(p<.001) 활동시간 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쇠정도가 높을수록 악력(p<.001)과 보행속도(p<.001)를 포함한 모든 기능체력변인의 체력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5), 모든 보행가변성 변인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노쇠노인이 정상노인에 비해 만성질환 3개 이상에 노출될 위험은 약 3배(OR=.2.969, 95% CI= 1.115-7.905, p=.029), 일상생활수행능력 제한에 노출될 위험은 약 3.6배(OR=.3.597, 95% CI= 1.152-11.233, p=.028)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만성질환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들을 보정한 후에 나타난 결과이다. 끝으로 기능체력 및 보행가변성 변인 중 심폐체력, 상체근력, 활보장 가변성이 노쇠의 독립예측인자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쇠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만성질환개수,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등을 보정한 후에 나타난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노쇠의 독립예측인자로 나타난 심폐체력, 상체근력, 활보장 가변성은 노쇠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노쇠를 예방하는 운동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면 유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 노인의 기능체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쇠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온택빈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노인의 기능체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쇠 정도 및 신체조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으며, 차후 노인들의 운동참여를 위한 동기 유발 및 노인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노인 복지 시설에 방문하는 여성노인 131명을 대상으로 측정과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노쇠정도와 비만도가 높을수록 기능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쇠정도와 비만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능체력 중 하지근력과 심폐지구력이 낮을수록 노쇠정도가 높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체력 중 상지유연성과 상지근력이 낮을수록 비만도가 높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쇠 예방을 위해서는 중년기부터 비만을 예방하고 체력 유지 및 증진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노쇠의 예측 및 평가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의 운동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들에 국한되어 조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노인에게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향후 표본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unctional fitness and ADL on frailty and body composition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1 elderly women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using the SPSS 23 program through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higher the frailty precision and the higher the BMI, the lower the functional strength, the lower the ADL. In addition, the degree of senility was shown to affect the lower and the cardiac endurance during the functional strength, and the BMI was shown to affect upper lip flexibility and upper extremity during the functional strength.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prevention of senility is necessary to prevent obesity from the middle age and to maintain and enhance physical strength.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exercise programs as well as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senility. However,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by elderly women living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ze of the sample in the future as the findings are limited to the overall elderly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