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집분석을 이용한 상대가치평가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이종국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정한 가격결정을 위한 가치평가의 방법은 크게 현금흐름할인법, 상대가치법, 옵션가치평가법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현금흐름할인법이나 초과이익에 기초한 평가는 성장률, 이익가능성, 자본비용을 포함한 다양한 척도에 관한 상세하고 다년간의 예측치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법들은 무엇이 가치를 창출해내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며 분석가들이 미래의 성과에 대한 과감한 예측을 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게 되면 비현실적이거나 내부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가정들을 피하게 해주지만 다년간의 정확한 예측치를 필요로 한다는 제약이 있다. 게다가 보다 정교한 평가기법들은 측정오류에 의해 잘못 평가되어지기 쉽다 따라서 실무적 평가 대안으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상대가치 모형이다. 상대가치평가법은 평가에 필요한 예측치가 비교적 많지 않다. 또한 분석가들이 해야 할 평가작업의 일부를 시장이 결정하게 함으로써 흔히 줘는 인위적인 측정오류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그 예로 주가수익비율의 적용은 기업의 자본비용이나 성장률에 대한 명확한 요구를 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변수의 가치가 어떠한지에 상관없이 비교 가능하리라 생각되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유사하다고 가정되어진다. 물론 다른 기업들의 주가에 의존하여 평가할 경우 궁극적인 득실은 전적으로 이들 기업이 얼마나 정확히 비교가능한가에 달려 있다고 지적되어 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무작위로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보다 산업을 기준으로 한 경우나 수익에 대한 측정치를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가 더 좋은 성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가치평가법에 있어서 비교기업의 선택에 관해 초점을 두었다. 주요한 상대가치지표인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s Ratio : PER), 주가장부가치비율(Price Book-value Ratio : PBR), 주가매출액비율(Price Sales Ratio : PSR), 주가현금흐름비율(Price Cash-flows Ratio : PCR)을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각 지표별로 비교기업 군집을 선택한 후 기존의 비교기업선택 방법인 전체시장을 비교기업으로 선택한 경우와 산업을 기준으로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의 예측오차를 비교 검토하여 비교기업선택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비교기업 선정이 어떤 지표에 대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선택된 군집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군집을 비교하였다. 첫째, 군집을 구성하는 기업들의 외형적 특성을 산업, 종업원수, 총자산규모, 계열사비율, PER(PBR, PSR, PCR)을 통해 살펴보았고, 둘째, 군집을 구성하는 기업들의 재무비율을 통해 군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군집분석을 통해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가 전체시장을 비교기업으로 선택한 경우와 산업을 기준으로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보다 예측력이 향상되었다. 주가수익비율과 주가장부가치비율은 군집을 비교기업으로 선택한 경우가 전체시장을 비교기업으로 한 경우보다 예측력이 향상되었고 산업을 기준으로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와 비교할 때는 뚜렷이 나타나는 예측력의 향상은 없었지만 전반적으로 예측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주가매출액비율과 주가현금흐름비율은 산업을 기준으로 비교기업을 선택한 경우와 비교할 때도 예측력이 뚜렷한 향상되었다. 네 가지 상대가치평가지표에 대해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비교기업을 선택한 결과는 주가현금흐름비율이 가장 우수한 예측력이 나타났다. 따라서 군집분석을 통한 비교기업선택을 주가현금흐름비율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어진다. There are mainly three methods of valuation to determine fair price, discounted cash-flow model, relative valuation model, and option pricing model. The valuation based on the first model or excess earning requires many years of prediction indicators such as growth rate, earning possibility and capital expense. Those methods provide the fundamental form to figure out what creates value and enables the analyst to anticipate the outcome of future. In case that it proceeds as guided above, one may avoid making unrealistic and internally unfeasible assumptions. On the other hand, it still has a limitation that requires many years of accurate prediction indicators. In addition, more precise valuation methods can be easily misevaluated due to measurement errors. Therefore, we commonly use the relative valuation model for the practical solution. The model doesn't appear to have many necessary prediction indicators. Moreover, it assists the analyst to avoid artificial measurement errors so that it assigns the market to determine the part of the valu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f PER doesn't require detailed documentation of capital expense or growth rate.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it is regardless similar to values of those variables are seemingly comparable to all firms. Naturally, it is indicated that the ultimate gain or loss depends how precisely particular firms can make comparison of their stock price in relation with othe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cases that are selected by comparable firms in consideration of profit-based estimate or by industry category present better results than those made a choice from the randomization of conventional research result. This study has a focus on the selection of comparable firms of the relative valuation model, selecting the principal relative valuation index that are price earnings ratio(PER), price book-value ratio(PBR), price sales ratio(PSR), and lastly price cash-flows ratio(PCR). Comparable firms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all sample firms, industry category, and cluster by the method of clustering. The accuracy of relative valuation model for each method of selecting comparable firms is assessed by comparing each firm's predicted stock price with its actual price. So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e solution to the selection of comparable firms in relation to the conventional analysis. Lastly, this study will also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en cluster through the clustering. Namely, in an attemp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 I take an approach from that perspective.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firms are well represented by the type of industry,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the size of total assets, and the ratio of affiliated company, and PER(PBR, PSR, PCR). The Second aspect is also shown by the finance ratio, which constitutes the cluster. The result of analysis proves that the selection of comparing firms by the clustering is the most effective. PER and PBR show improved prediction ability than the selection of comparable firms by the all sample firms. However, when it was compared to the selection of comparing firms by the industry category, it is not any noticeable improvement though. PSR and PCR indicated a much better prediction ability than the selection of comparing firms by the industry category. Specially, PCR showed the best prediction ability among four relative valuation index, when it came to the selection of comparing firms by the clustering.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PCR is relatively effective when one chooses firms by the clustering.

      • 재표집 방법을 이용한 군집 수 추정

        박민정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군집분석은 다변량 데이터의 분석에서 자주 사용된다. 군집분석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 문제는 군집의 수를 추정하는 것과 군집분석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 두 문제에 대해 재 표집 방법을 응용한다. 군집 수 추정을 위해 새로 제시된 Clest와 존재하는 방법들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한다. 그리고 Clest의 모수를 바꿔가면서 성능을 비교한다. 재표집 방법을 군집분석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한다. 모의 실험 결과 Clest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정확하고 로버스트한 결과를 나타냈다. 군집 정확성 향상을 위해 재표집 방법인 배깅을 응용했다. 배깅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는 단순한 군집분석 응용에서의 결과보다 즘 더 정확하다. Cluster analysis is used to analyze multivariate data. Two problems in cluster analysis are to estimate the number of clusters and to increase clustering accuracy. We apply resampling methods to problems in cluster analysis. A new prediction-based resampling method, Clest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number of clusters in a dataset. The performance of Clest with various parameters and existing methods were compared with simulated data. Bagging method is applied to improve clustering accuracy. A simulation proves that Clest is generally found to be more accurate and robust than existing methods. Bagging was applied to improve clustering accuracy. The clustering result by bagging is more accurate than the clustering resulting from a single clustering application.

      • 한국 주식시장의 군집행동 분석 : 네트워크 분석 측면에서

        김영일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관측되는 투자자들의 군집행동을 주식시장 네트워크를 이용해 분석한다. 주식시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 클러스터링을 통해 주식을 그룹별로 분류한다. 분류된 그룹들의 핵심주식들과 주변주식들을 각각 Chang, Cheng, and Khorna(200)의 군집행태식을 이용해 군집행동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군집행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주도하는 주식들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핵심주식의 상당수가 증권사의 주식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주변주식 투자자들로부터 목표치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와 하락할 때를 분류해 주변주식 투자자들이 핵심주식으로 군집하는 현상과 핵심주식 투자자들이 시장수익률로 군집하는 현상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시장이 상승할 때는 주변주식 그룹이 핵심주식 그룹으로 군집하며 시장이 하락할 때는 주변주식 그룹이 핵심주식 그룹으로 약하게 군집하고 핵심주식 그룹이 시장수익률로 강하게 군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이 상승할 때는 시장의 정보를 분석하려 하지만 시장이 하락할 때 투자자들이 공황(Panic)상태에 빠져 시장 전반의 컨센서스(Consensus)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군집별 유사전달율 산정식 개발을 통한 미계측 유역의 유사전달율 추정 방안 연구

        이서로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 세계적으로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사전달율(Sediment Delivery Ratio, SDR)을 추정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유사량 계측 지점 및 자료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기에 미계측 유역의 SDR을 추정하는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문학적 동질성을 가지는 군집별 SDR 산정식 개발을 통해 미계측 유역의 SDR을 효율적으로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량 관측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국내 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SDR 관련 유역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군집별 SDR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군집별 SDR 산정식을 통해 군집 내 유역의 최적 SDR을 추정하고 이를 통한 총유사량 모의값과 실측값과의 오차율 비교 분석 결과 약 3%~17% 적은 오차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군집별 SDR 산정식은 광범위한 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진 식이 아니기에 향후 보다 많은 계측유역을 바탕으로 식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유역 유사이송 분석 시 제기되어 왔던 유역에 대한 동질성 문제를 해결하고 정확한 SDR 추정을 통해 홍수에 의해 미계측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국내 하천 유사관리 측면과 유역 유사 통합관리 측면에서 적합한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Multiple researches preceeded to estimate SDR(Sediment Delivery Ratio) in ungauged basin. However in Republic of Korea has difficulty for estimation from not enough preparation of sediment gauging stations and data. Thus subject of this study is suggesting effective SDR estimation method by developing of SDR from group of coessential hydrology property. In this study, implemented clustering among watersheds with gauging station and developed SDR estimation formula using characteristic factors of watersheds.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result from optimum SDR of clustered groups and measurement show error range from 3% to 17%, which is small. And SDR estimation regression required to be improved reflecting more gauged watersheds because it is not developed targeting wide watershed. Howe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olve problems derived from coessentiality of watersheds while analysing sediment delivery and estimate accurate SDR. And this will help quantitative analysis of sediment derived from storm event in ungauged watershed so appropriate countermeasure for effective domestic streamflow and watershed sediment management can be established.

      • 다중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군집분석에 대한 연구

        정선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군집분석은 동일한 군집 내에서는 동질성(homogeneous)을 최대화시키면서, 서로 다른 군집 간에는 이질성(heterogeneous)을 최대화하여 적절한 군집으로 나누어지도록 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군집분석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방법들 중 하나로 다수의 목적을 충족시키면서 최적의 군집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목적 유전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군집분석에서 Davies-Bouldin 지수와 Dunn 지수, 군집간 분산과 군집내 분산(Between Variance & Within Variance) 등을 다양한 목적함수로 살펴보도록 한다. 다양한 다중목적 유전 알고리즘 중 NSGA(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 방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해 보고,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하여 군집의 개수 변화에 따라 최적의 군집을 찾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중목적 함수에 의한 군집화가 최적 해집합을 식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파레토 최적해(Pareto Optimal Solution)도 살펴보았다.

      • 서해 가로림만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및 수직분포

        이진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장기적인 시·공간분포 양상과 대형저서동물의 수직분포를 파악하고자 내만역에서 외측까지 13개 정점을 설정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0년과 2015년, 2016년에 계절조사를 수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을 위한 저서동물 채집은 van Veen grab(채집면적 0.1m2)을 이용하였으며, 수직분포 분석을 위한 채집은 투명 아크릴 core(내경 10cm, 높이 30cm)를 이용하였다. 가로림만은 입구 폭이 좁은 호리병 모양의 반폐쇄성 내만으로 만 입구 조하대에서는 평균 2φ 미만의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며, 만 내측에서는 4φ 내외의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분포를 보인다. 조사 기간 동안 총 382종, 평균 1,569 ind./m2, 156.7g/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출현종수와 밀도의 우점분류군은 다모류였고 생체량의 우점분류군은 연체동물이었다. 출현종수와 밀도는 봄철이 높고 여름철과 가을철로 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이었으며, 생체량은 겨울철이 가장 낮고 봄철과 여름철에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밀도와 생체량의 계절변동은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치패의 대량 출현과 성장에 따른 생체량 증가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종 다양도는 평균 2.8±0.7이었으며 우리나라 내만에서 이루어진 연구들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출현종수와 밀도, 생체량의 공간분포는 고파도 북측의 우도를 중심으로 만 입구역이 낮고 만 내측이 높은 양상을 보였으며, Sand 함량과 분급이 이러한 공간분포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동안 바지락이 최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과 2015년은 봄철, 2016년은 가을철에 보인 높은 밀도를 보였다. 두 번째 우점종인 Scoletoma nipponica는 조사 기간 동안 밀도가 증가한 반면, 세 번째 우점종인 Heteromatus filiformis는 밀도가 감소하여 서로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결과 모래 함량이 높은 만 입구역 정점군과 모래와 펄, 자갈이 혼합되어 있는 만 내측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SIMPER 분석결과 이러한 정점군의 구분에 기여한 종은 만 입구역에서는 Mandibulophoxus hongae와 Urothoe sp. 등이었으며, 만 내측에서는 Scoletoma nipponica와 R. philippinarum 등이었다. 조사 기간 동안 만 입구역 정점군의 저서군집이 만 내측 정점군의 저서군집보다 계절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다. 조하대 및 갯벌 정점에서의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와 밀도는 0-10cm의 퇴적물 깊이 범위에서 80% 이상이 출현하였으며, 퇴적물 깊이가 깊어질수록 출현종수와 밀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조하대에서는 대부분의 생물이 퇴적물의 0-10cm에서 분포하였지만 갯벌에서는 굴을 파고 사는 생물이 출현하여 서식 깊이가 더 깊게 나타났다. 저서동물의 식성별 수직분포 양상은 조하대와 갯벌 모두 퇴적물식자가 전체 깊이에 걸쳐 가장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인 Heteromatus filiformis는 0-5cm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으며, Aricidea assimilis는 5-15cm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양상이었다. 본 연구결과 가로림만 저서동물의 연내 계절간 변동양상은 연도간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퇴적환경에 의해 군집이 조절되는 군집구조를 보였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대형저서동물군집은 5년의 시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변동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조하대와 갯벌 정점 모두 0-10cm에서 대형저서동물의 80%가 분포하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로림만 저서군집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에 있으며, 향후 생태계 보전 차원에서 지속적인 시·공간분포 양상과 수직분포 양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Long-term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its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were studied at 13 stations from inner to outer area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in 2010, 2015 and 2016. Duplicate samplings were taken in each station using van Veen grab (surface area: 0.1m2) for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five transparent acrylic cores (inner diameter: 10cm, height: 30cm) for vertical distribution analysis. Garolim Bay is a semi-enclosed bay of a gourd bottle shape with a narrow bay mouth. Subtidal area of bay mouth was dominated with coarse sediments of less than 2 phi, while inner bay was dominated with fine sediments of about 4 phi.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82 macrobenthos species was recorded with a mean density of 1,569 ind./m2 and a mean biomass of 156.7 g/m2. Polychaeta was the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and Mollusca was the dominant taxa of biomass. The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were high in spring and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Biomass was the lowest in winter and increased in spring and summer.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abundance and the biomass of macrobenthos were influenced by massive appearance and growth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pats.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was 2.8±0.7, higher than the studied results conducted in Korean coastal bay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of the macrobenthos were low in the bay mouth area and high in the inner bay. Sand content and sorting value of the surface sediments influenced thi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crobenthos. Manila clam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with high abundance in the spring season of 2010 and 2015, and the autumn of 2016. The second dominant species Scoletoma nipponica showed an increase trend in abundance, while the third dominant species Heteromastus filiformis showed a decrease trend in abundance, opposite to the former pattern.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on macrobenthic communities. The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two station groups, with the first cluster including the bay mouth stations with high sand content in the surface sediments, and the second cluster including the inner bay stations with mixed sediment contents of sand, mud and gravel. SIMPER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ributing species to the clusters were Mandibulophoxus hongae and Urothoe sp. in the bay mouth cluster, and Scoletoma nipponica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the inner bay cluster. During the survey period, range of seasonal variation was larger in the bay mouth group than in the inner bay group. For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crobenthos in subtidal and mud flat stations, more than 80% of the species number and the abundance of the macrobenthos were distributed in sediment depth range of 0-10 cm. The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decreased as the sediment depth increased. In subtidal area, most of the macrobenthos were distributed in 0-10cm sediment depths. However, in mud flats, the inhabiting depth of the animals were deeper due to macrobenthos species with burrowing abilities. Depending on feeding types, deposit-feeding organisms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throughout sediment depths in the both subtidal and mud flat areas. Heteromastus filiformis, one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was high in abundance at 0-5cm depths, and Aricidea assimilis was high in abundance at 5-15cm depths. The within-year seasonal variation of the macrobenthos in Garolim Bay was similar across the surveyed years. The community structure was being influenced with the sediment environment, such as sand content and sorting value of the surface sediments. The variation pattern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similar between the sampled years despite of a five-year difference, and over 80% of the macrobenthos was distributed at 0-10cm sediment depths in the B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Garolim Bay was under a stable condition in the study periods. For ecosystem conserv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keep monitoring the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the future.

      • Task 수행을 위한 군집 로봇의 행동 체계 및 행동 제어

        이영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로봇 기술은 지금도 꾸준히 발전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분야로 하여금 로봇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로봇의 수요에 반해 로봇 응용기술의 발전은 느리게 진행해왔다. 하지만 로봇 기술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임무의 수행과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군집 로봇 시스템(Multi-Robot System:MRS)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군집 로봇은 군집을 구성하는 로봇의 종류와 제어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각 군집 로봇의 목적에 맞게 체계를 수립하고 발전시켰다. 본 연구는 군집 로봇의 임무 수행을 위한 행위 제어 체계를 제안하되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와 각기 다른 임무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른다. 첫 번째, 다양한 임무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계층구조, 두 번째, 일반화된 행위를 조합하여 다양한 행위 생성, 세 번째, 센서데이터를 해석하여 환경 및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World Modeling), 네 번째, 평가를 통해 수행 효율을 높이는 기능, 다섯 번째 각 로봇의 로드를 줄이기 위한 분산 제어 시스템,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본 연구는 위 사항을 충족하는 군집 로봇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S/W 모듈을 구성하고 활용하여 다양한 임무에 적용해 본다.

      • 군집 움직임의 조형적 표현 : 템플릿 및 모듈 플랫폼에 기반한 군집 움직임의 형상화

        박주홍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디자인의 중심이 외형에서 내부로 전이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사물에서 풍부한 물리적인 경험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밋밋해진 사람-사물의 상호관계를 보완하고자 등장한 다양한 시도 중 사물에 동적인 요소를 포함시킴으로써 가치를 증진시키고자 한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에서, 디자이너가 사물에 동적인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저변을 넓히고자 군집의 움직임을 조형 작품으로 디자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개체의 움직임과는 차별되는 군집의 움직임을 고찰한다. 군집의 움직임 이란 개별의 움직임들이 모여서 무리를 이루어 만들어내는 움직임으로, 게슈탈트 이론(Gestalt theory)의 그룹핑 원칙(principles of Grouping)을 기반으로 한다. 군집의 움직임을 이루는 개별의 움직임과 군집의 움직임을 이루는 조형 요소를 짚어보며, 군집의 움직임이 지니는 시지각적인 특징을 논한다. 군집의 움직임은 이를 이루는 개별의 움직임과 전체로서의 군집의 움직임이 혼재하는 다층의 움직임으로, 시지각적으로 복잡성과 깊이를 획득하기 용이하고, 생명체의 활력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품연구에서는 군집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군집의 움직임 템플릿을 구상하였다. 군집의 움직임 템플릿은 분해 조립이 가능한 모듈형 플랫폼이며, 호환성과 확장성을 염두 하여 A, B, C, D, E로 총 5종류의 템플릿을 설계, 제작하였다. 각 템플릿은 고유한 개별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발견하기 쉬운 움직임들로 구성되었다. 캠 운동 기반 수직 움직임의 A 템플릿과 크랭크 운동 기반 타원 움직임의 B 템플릿은 기구학적으로 기초적인 움직임으로, 다양한 군집의 움직임의 패턴을 적용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였다. 이에 비하여 y축회전을 z축 회전으로 변환 시킨 회전 운동 인 C 템플릿, 4절링크 구조를 적용한 크랭크 운동 의 D 템플릿, 인장재를 통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 운동의 E 템플릿은 비교적 복잡한 개별의 움직임을 적용함으로써 군집의 움직임의 특성 중 시지각적 복잡성과 깊이를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제작하였다. 5종류, 총 16개의 움직임 모델로 구성된 군집의 움직임 템플릿을 통하여 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있는 동적인 요소의 조형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Due to rapidly occurring Dematerialization, people lost their rich physical experiences from digital products. In many attempts to compensate for flattened experiences in user-product interaction, there were attempts of applying motion into objects in the physical world. In this study, as an additional attempt in order to expand what designers can use for applying motion into objects, group motion is proposed. In this study, we will differentiate group motion from individual motion. Group motion which composite of numerous individual motions,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Grouping from Gestalt theory. The characteristic of group motion is that it is a motion of multi-layered structure considering both individual motion and a motion as a whole. we will explore the features of visual-perception among individual motion and group mo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templates are made for simulating group motion. These templates have modular features allowing its users capable of assemble and disassemble its composition. There are 5 types of templates from series A to E which simulates different shapes of group motion. Each template is originated from different type of motions that easily found in our routine lives such as crank mechanism, cam mechanism, and four bar linkage. By making each templates and simulating group motion, we will seek potential possibilities of group motion which designers may utilize.

      • 연안역의 해사채취활동이 수산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손규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해사채취가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저인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 채취과정에서의 단기변화, 2) 기존 채취해역과 비채취해역간의 비교 및 3) 채취 전후의 군집구조를 비교하였다. 소규모 단기간의 해사채취 전?후의 생물군집의 변화는 2001년 9월 승봉도 해역에서 1,700㎥ 해사채취 24시간 전?후와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장봉도 해역에서 약 30,000 ㎥ 채취 전?중?후에 beam trawl로 수산생물을 채집하여 비교하였다. 2001년 9월 승봉도 해역에서의 채취 24시간 전?후의 변화를 보면, 어류는 상위 4종인 동갈양태, 쉬쉬망둑, 돛양태, 조피볼락의 개체수가 71.4% 감소하였으며, 갑각류는 상위 2종인 자주새우와 꽃게의 개체수가 52.2% 감소하였다. 이러한 주요 출현종의 감소는 환경교란에 의한 일시적 이동으로 판단되었다. 장봉도 해역에서 비채취해역과 채취해역의 생물군집은 채취 전에는 유사하였으나, 채취가 진행되던 시기에는 비채취해역에서 개체수와 생체량이 높았으며, 채취가 중단된 후에는 채취지역이 높았다. 이는 채취가 진행되던 시기에는 인근 지역으로 회피하였던 유영생물 등이 채취가 중단 후, 장봉도 해역의 모래저질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규모 해사채취가 진행되던 시기와 해사채취가 중단된 시기의 생물군집의 시?공간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1월, 5월과 7월, 2001년 2월부터 2002년 4월,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경기만의 해사채취해역과 비채취해역에서 beam trawl로 수산생물을 채집하여 비교하였다. 해사채취가 진행되던 시기(1998년과 2001년)에 갑각류는 채취해역에서는 출현하지 않았으며, 채취 주변해역에서도 출현종과 개체수가 40~60% 감소하였고, 어류는 비채취해역에서는 증가하였고 채취해역에서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채취해역에서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아주 적거나 채집되지 않았다. 해사채취가 중단된 후의 생물종수와 생물량은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채취해역의 개체수와 생체량이 채취해역보다 높았고, 증가율에 있어서도 비채취해역이 높았다. 개체수는 소수 종의 우점도가 높아져서 비채취해역에서는 상위 3종이 각 계절에 80% 이상을 점유하였으며, 채취해역에서도 상위 2종이 70% 이상을 점유하였다. 이상과 같은 경기만 해역의 조사결과에서 해사채취로 인해 저질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들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며, 그에 따라 어류의 군집도 변화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남해 EEZ 해역의 해사채취가 최근에 시작된 남해 욕지도 남방의 해사채취해역과 비채취해역에서 2006년 6월부터 12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해역은 출현종수와 우점종에 있어서는 유사하였으나,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에 있어서는 비채취해역이 채취해역보다 각각 2.32배, 1.34배 높았다. 주요 출현종인 줄비늘치와 눈볼대의 해역별 체장분포는 유사하였으나 출현 개체수는 비채취해역이 2배 이상 높았다. 채취해역의 저서생물량이 비채취해역의 44% 이하이고, 주요 출현종의 위 내용물의 유사한 점을 미루어 보아 이와 같은 자원밀도의 차이는 채취로 인한 해역의 생산력의 감소의 결과로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marine sand mining on the community of fishery resources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by trawls in terms of 1) short-term variation during mining, 2)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between mining and non-mining area, and 3) the effects of sand mining before and during the mining. The short-term effects by the mining 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beam trawl: (i) 24 hours before and after mining of 1,700㎥ off Seongbongdo in September 2001; (ii) before, during, and after the mining of about 30,000㎥ off Jangbongdo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6. In the first case, abundance of the major four fishes (Callionymus richardsoni, Chaeturichthys stigmatias, Callionymus lunatus, Sebastes schlegeli) were decreased by 71.4%, and abundance of the major two crustacean by 52.2% after the mining. The major species is thought to be temporarily escaped from the disturbing sand mining area. In second case, community structure of non-mining area and mining area was similar before the mining, but a higher biomass was observed in the non-mining area during the mining, and in the mining area after the mining. It is considered that nekton have moved to neighboring regions to avoid the mining, and returned when the mining is over.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during and after a large-scale sand mining were determined by comparison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ning and non-mining areas in Gyeonggi Bay. Samples were collected by a beam treawl in January, May, and July in 1998, from February 2001 to April 2002, and from October 2005 to October 2006. During the active mining period in 1998 and 2001, crustacean were not collected in the mining areas,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crustacean were decreased by 40~60% in the neighboring regions as well. However, fishes increased in the non-mining areas and decreased in the mining areas such that their abundance was very low or null in some cases, when the mining was temporarily stopped,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fishery resources have been increased in Gyeonggi Bay. The increasing rate was higher in the non-mining areas than in the mining areas. A fewer number of fishes were dominated after the mining. The major three species occupied more than 80% in abundance in the non-mining area regardless of sampling season, and the major two species more than 70% in the mining area as we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and mining directly affected on the sediment dependant marine organisms, which in turn altered the community structure. Another research was made from June to December 2006 in the EEZ areas off Yokji Island in the southern sea, where marine sand mining have been recently started. The number of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in the mining and non-mining areas. However, it was higher in the non-mining area by 2.32 times in abundance and 1.34 times in biomass than in the mining area. Two major species, Caelorinchus mutispiulosus and Doederleinia berycoides, showed a similar length composition, but mean abundance in the non mining area was two times higher than in the mining area. The composition of the stomach contents of major species was similar, although the density of benthos in the mining area was 44% of that in the non-mining area. These results partly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population density may be related to the decrease in food availability due to the mining.

      • 이상치를 고려한 결측 자료의 모형 기반 군집 분석

        신성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이란 각 관측치들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유사성이 높은 관측치 들끼리 묶어 군집을 나누는 통계 분석방법으로 이는 다변량 자료 분석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 중 하나로써, 그 사용 영역 또한 다양하다. 그 중 확률 모형에 근거한 유한 혼합 모형(finite mixture model)을 이용한 방법은 자료 내 각 군집의 분포를 가정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우도를 군집화의 기준으로 삼는 방법으로 해석과 적용이 쉬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군집의 분포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다변량 정규분포를 가정하지만, 자료에 이상치가 존재하는 경우 분포의 꼬리가 짧은 정규분포의 특성으로 인해 군집화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이상치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따로 분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변량 자료는 종종 결측을 포함하는데 결측을 포함한 자료를 제외하고 분석한다면 모수 추정에 잠재적 편향이 존재하며, 이 자료들을 군집화할 수 없으므로, 결측을 고려한 모형화가 역시 필요하다. 그리고 군집 분석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 중에 하나는 군집의 개수를 정하는 문제로 절대적인 기준이 없으며 일반화된 이론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 모형의 분포로 보다 로버스트한 접근이 가능한 다변량 t-분포와, 이상치의 분포로 균일 분포를 이용하여 이상치와 결측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군집 분석 방법 및 군집의 개수를 정하는 모형 선택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