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심리연구의 지식네트워크 분석 : KJEP와 JEP의 비교

        안연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교육심리연구의 연구주제와 연구주제, 연구주제와 연구자·연구대상·연구설계 간 연결 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학문공동체의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약칭: KJEP)와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약칭: JEP)의 시기별 비교 분석을 통해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변화 추세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학문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자가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JEP와 JEP에 나타난 교육심리연구의 연구주제 지식네트워크 속성은 시기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KJEP와 JEP에 나타난 교육심리연구의 연구주제와 연구자·연구대상·연구 설계 간 지식네트워크 속성은 시기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KJEP와 JEP에 나타난 교육심리연구의 에고네트워크 속성은 시기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자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KJEP와 JEP에 발표된 논문을 각각 867편, 1,358편 수집하고, 일부 논문을 제외한 759편, 1,346편을 대상으로 지식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저자 제공 키워드, 교신저자명, 연구대상, 연구설계 키워드를 추출·정제하였다. 이어서 2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 중 동시출현빈도 2회 이상의 키워드로 최종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연구주제 지식네트워크, 연구주제와 연구자·연구대상·연구설계 지식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노드 중심성, 클러스터, 연결 강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지식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에고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의 크기와 연결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기는 1기(2002〜2008년), 2기(2009〜2015년), 3기(2015〜2020년), 세 시기로 구분되었다. 자료 분석과 지식네트워크의 시각화에는 NetMiner 4.4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심리연구에 나타난 연구주제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분석한 결과 KJEP 3기(2016∼2020년)를 제외하면 대부분 특정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일부 주제는 독립적인 영역으로 존재하였다. 노드 중심성 분석 결과 시기에 관계 없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난 연구주제는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였다. KJEP에서는 ‘창의성’이, JEP에서는 ‘읽기’, ‘수학’, ‘독해능력’이 각각 활발히 연구되었고, 이 주제가 서로 다른 연구주제를 매개하였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특정 시기에 활발하게 나타나는 주제, 시기가 변하면서 중요성이 하락한 주제, KJEP와 JEP에서 다른 비중으로 나타나는 주제, 교육심리연구의 연구주제 지식네트워크를 확장한 주제가 확인되었다. 교육심리연구에는 하위 지식구조가 존재하고,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기와 연구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KJEP의 하위 지식구조는 JEP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하위 지식구조는 교육심리연구에서 활발히 연구된 주제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주제와 연구자 간 지식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주제와 연구자가 긴밀하게 연결된 것이 아니라 주로 특정 연구자가 특정 주제를 연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드 중심성 분석 결과 두 시기에 걸쳐 많은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주제를 활발히 연구한 연구자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한 주제는 ‘학업성취’이며, 이를 제외하면 시기별, KJEP와 JEP별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주제가 달랐다. 아울러 연결 강도 분석 결과, 특정 연구자가 매진한 연구 주제는 시기가 흐르면서 교육심리연구의 ‘자기효능감’이나 ‘학업적자기효능감’처럼 핵심 주제로 자리잡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간 지식네트워크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이 상호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구주제는 주로 ‘중고등’, ‘초등’, ‘대학(원)’이 ‘초중고’, ‘초등패널’, ‘초중고패널’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교육심리연구에서는 ‘학령전’, ‘교사’,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수행되고 있었다. 다만 JEP에서는 ‘초등’, ‘학령전’ 등 다양한 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KJEP보다 활발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JEP의 연구대상 범위는 KJEP보다 다양했다.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간 연결 강도는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주제와 연구설계 간 지식네트워크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주제와 연구설계가 상호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이 네트워크에서 연구주제와 연구설계를 연결해주는 노드는 상관연구와 실험연구의 하위범주의 설계들이었다. 특히 ‘구조모형’, ‘혼합모형’, ‘혼합설계’는 교육심리연구에서 아주 빈번하게 채택되는 연구설계로 나타났다. KJEP에서는 JEP보다 ‘질적연구’, ‘프로그램개발’, ‘검사/척도개발’이, JEP에서는 ‘RTI’, ‘혼합설계’가 더 많이 활용되었다. 최근 교육심리연구에서는 ‘회귀분석’, ‘상관분석’과 같이 단순한 통계기법을 활용하는 연구나 ‘발달연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와 연구설계 간 관계를 보면 특정한 연구주제가 특정한 방법으로 연구되는 경향도 있었지만 활발히 연구된 주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에고네트워크 분석 결과 교육심리연구에서는 연구주제별로 상이한 연구자·연구대상·연구설계의 관계가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에고네트워크는 기존 선행연구의 다양한 정보를 집약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결과의 차이, KJEP 3기 논문 수 감소 현상, KJEP와 JEP의 핵심 연구주제의 변화 필요성, KJEP와 JEP의 주요 연구주제의 차이, KJEP의 하위 지식구조의 역동성, 교육심리학 영역에서 학술지의 연구주제와 활용되는 교재 영역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를 토대로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심리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교육심리학 연구주제가 복잡하고 역동적인 네트워크로 존재한다는 교육심리학의 특성을 이해하고 연구주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규명한 이러한 교육심리학의 성격은 교사나 상담가, 교육행정가, 학부모 등에게 교육 현장에서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심리적 현상의 복잡성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특정 연구자가 특정 주제를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연구한 성과가 학문적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자가 특정 연구주제에 몰입하여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마련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동일 주제를 꾸준히 연구할 수 있는 학계 내·외의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계 내에서는 꾸준히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학술지뿐만이 아니라 책으로 출판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방안을 제도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교육심리학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대학을 찾아 육성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간 지식네트워크에서는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대부분이 상호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연구대상과 연구주제의 관계에서 중심성이 높은 연구대상이 시기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교육심리연구에서 지식이 창출될 때 연구주제와 연구대상 간 고유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 특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심리학 영역의 지식네트워크 구조나 다른 학문 영역의 네트워크와 비교해야 한다. 이러한 지식네트워크 형태가 교육심리학에서만 나타나는 것인지,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의 네트워크가 하나로 나타나는 것인지를 비교했을 때 그 특징이 명확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 현장의 교육심리는 복잡하고 역동적이지만 이러한 교육심리를 연구하는 연구방법이 주로 양적 연구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심리의 복잡성은 질적 연구로도 탐색 되어야 한다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는 바(김재철, 2008; 이성진, 1996; Wittrock, 1992 ), 향후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뿐만이 아니라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육심리학이 요구하는 엄격한 과학성으로 인해 교육심리연구에서는 복잡한 통계기법이 포함된 연구설계가 자주 채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육심리학 학문공동체 내의 신진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엄격성은 연구자의 큰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학계 내에서는 학문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연구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연구자의 연구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역량을 갖춘 연구자의 연구결과는 학문공동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개선으로 귀결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교육심리연구 연구주제 지식네트워크의 노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시기의 변화와 관계없이 KJEP와 JEP에 공통으로 교육심리연구의 주요 허브는 ‘학업성취’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의 결과로서 ‘학업성취’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백남진, 온정덕, 2014;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외 2007; 황정규, 2001)가 학계 내·외에서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바 학계 내에서 교육심리학의 핵심 주제로 여겨온 ‘학업성취’를 대신할 새로운 연구주제를 시급하게 찾아야 한다. 여섯째, 본 연구의 연구결과, KJE에서는 JEP에서 중요하게 연구한 ‘읽기’, ‘쓰기’, ‘수학’ 등 기초학력과 관련된 연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 국내 교육심리학 학문공동체가 깊이 성찰해야 한다. 기초학력의 문제는 교육 양극화의 사회경제적 쟁점에서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문제이다(김태은 외, 2019). 특히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이후 학생 간 학업 격차가 커지고 일부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 현상이 심각한 교육문제로 제기되고 있다(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따라서 학계는 지금까지 기초학력과 관련된 ‘읽기’, ‘쓰기’, ‘수학’ 등의 연구주제를 국내 교육심리학 학문공동체가 활발히 연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숙고하고, 향후 국내 교육심리연구에서 이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시급하게 찾아야 한다. 또한, 최근 JEP에서는 ‘멀티미디어학습’, ‘비디오’,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JEP에서는 ‘지능형 튜터링’, ‘컴퓨터 활용학습’과 같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학습환경의 변화에 따른 연구(Butcher & Aleven, 2013; Zu, Hutson, Loschky & Rebello, 2020)가 다수 진행되었다. 교육심리학이 교육 현장이라는 맥락에서 수행되는 체계적인 학문이라고 볼 때 최근 학습환경·학습매체의 변화에 따른 연구주제가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 등장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KJEP에서 이러한 주제는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온라인 학습, 다양한 학습 플랫폼 사용의 보편화 등 국내 교육 환경의 대변환이 진행되고 있고, 이 변화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홍선주, 최인선, 2020). 따라서 국내 교육심리학 학문공동체가 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교수 전략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에고네트워크는 특정 연구주제의 선행연구 결과를 집약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의 학계 내에서는 연구주제에 따른 에고네트워크를 활발하게 구축하여 후속 연구자가 선행 연구성과를 토대로 더 발전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교육심리학의 학문공동체가 교육심리연구의 지식네트워크 탐색을 통해 도출된 향후 연구방향을 견인함으로써 교육심리학이 교육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학문으로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nections between researchtopics and topics,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participants or data), andresearch designs in the knowledge network of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psychology, and to contribute to creating value for academic communities.Furthermore, the researcher seeked to identify trends in changes in academicdevelop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J ournal ofEducational Psychology(KJEP) and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JEP)over tim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commun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changing trends in academicdevelop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JEP and J EP over time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community.This study answe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knowledge networkattributes of the research topics in KJEP and JEP by period?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differences’ knowledge networkattributes of between research topics, researchers, researchsubjects(participants or data), and research designs in KJ EP andJEP by period?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differences’ the ego network attributesof research topics in KJEP and JEP by period?This study utilized keyword network analysis. Since 2002, researcherscollected 867 and 1,358 papers published in KJ EP and JEP, respectively, andextracted and refined keywords, correspondence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and research design keywords for 759 and 1,346. All data were analyzed andmapped by NetMiner 4.4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follows.First,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attributes of the research topics networkof studies in KJEP and JEP shows that although all research topics are nothighly cohesive except for KJEP 3, most of them are related and studiedaround specific research topics. Analysis of node centrality showed that theresearch topics that are studied heavily regardless of timing in this study are'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Second,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s of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psychology and the attributes of knowledge networks between researchers,subjects, and research designs showed that both researchers and researchersare not closely linked, but mainly specific researchers study specific researchtopics. Node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researchers whoconducted many studies over time, such as "DH/H", "EJ/L_2", "Swanson","Fuchs", and "Marsh", but overall, there were different scholars who activelystudied various topics over time. In addition, the research topic conducted byvarious researchers was 'academic achievement', and other than this, it wasshown to be different by time and by KJEP and JEP. Connection strength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er's steady study of a particular topic washighlighted at a glance, and that the research field that the researcher soldout became a key research topic in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over time.Third, in the knowledge network between research topics, subjects(participant/ data) most of them appear as one large interconnected network,showing that they have a unique academic knowledge generation structureunique to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over time. Theresearch topic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subjects and the research subjects did not show much change over time. Thesubjects where various topics were mainly studied are "second and highschool," "elementary school," and "university(graduate)" "elementary school,""elementary and secondary panel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panels." Ineducational psychology studies, various topics were found to be studied a lot.However, more studies were conducted in KJEP than in Elementary Schoolor university, while more studies were conducted in J EP on "Panels" ofvarious groups of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Age. Throughout theperiod, studies were also conducted on pre-school age groups, teachers,parents.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n that the context of educationalpsychology research is studied not only in schools but also in educationalsituations for pre-educational children, and in the context of classrooms,school environments, and home environments related to learners. The strength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subjects and subjects was changing,indicating that in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specific researchtopics are not only studied with specific subjects, but also with different timeperiods.In the knowledge network between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participants/data), and research design, most of them appear as one largeinterconnected network, showing that they have a unique academic knowledgecreation structure unique to KJEP and J EP. The research subjects(participant/data) with high centr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subjects and the research subjects did not show much change over time. Thesubjects where various topics were mainly studied are "second and highschool," "elementary school," and "university(graduate)" "elementary school,""elementary and secondary panel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panels."However, more studies were conducted in KJEP than in Elementary Schoolor College, while more studies were conducted in JEP on "Panels" of variousgroups of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age.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follows.First, the results that research topics i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exist as complex and dynamic networks give researchers in the academiccommunity the justification for considering various connective relationshipsrelated to research topics in exploring them. In addition, the results giveteachers, counselors and administrators in the training field a responsibility toapproach problems arising from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training fieldfrom various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e changing trend of research topicsand sub-knowledge structures in the knowledge network of educationalpsychology research provided researchers in the domestic academiccommunity with the opportunity to discover topics that should be studiedmore actively at home and abroad.Second, this study derives that the achievements of a particularresearcher's steady study of a particular topic over a long period of time aredriving the academic growth.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conditionsfor researchers to focus on a particular research topic by individual effortsalone. Therefore, further support measures within and outside academiashould be sought to steadily study research topics related to educationalpsychology. Developing a system to support researchers' steady conduct of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academic growth of educational psychology as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Third,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werestudents, and future educational psychology studies need to further expandtheir research targets to reflect divers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lifelonglearning and online learning, and more active research on teachers andparent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tudies conducted at JEP based onvarious panel data,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panel research atthe national level in Korea.Fourth,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researchers in the academiccommunity of educational psychology to conduct more qualitative researchthan now.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alpsychology academic communities need to provide emerging researchers withopportunities to acquire various research methods.Fifth, research topic-specific ego-network analysis was able to presentresults of prior research on specific research topics intensively and effectively.Therefore, educational psychology academic communities should actively buildego networks based on research topics to support subsequent researchers toconduct more developmental research based on academic researchachievements.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go network by research subject, the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design related to each performance subject was revealed. Appears to bechanging dynamically.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prior research and this stud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KJEP 3, the need to change the core research topics of KJEP and JEP, the dynamics of KJEP's sub-knowledge structure, and teaching psych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based on discussion are as follows.First, researchers who study educational psychology need to understand the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sychology that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topics exist as complex and dynamic networks and explore research topics.Second, in this work, we confirm that the achievements of a particularresearcher's steady study of a particular subject over a long period of time aredriving academic growth. However, the conditions under which researchers canimmerse themselves in a particular research subject are difficult to come upwith only individual efforts.Third, in this study, in the knowledge network between the research topicand the subject, the subject and most of the subject were found to be oneinterconnected network. The fact that the subject with high centrality in the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ubject did not show much changeover time means that there is a uniqu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the subject when knowledge is generated in educational psychological research.Fourth, in this work, we confirm that educational psychology at the educational site is complex and dynamic, but research methods to study this educational psychology are mainly conducted in quantitative studies.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de-centeredness of the education psychology research research topic knowledge network in this study, the main hubof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is 'academic achievement' in common withKJEP and J EP regardless of timing changes. However, as a result of learning, it is urgent to find a new research topic to replace the "academic achievement" that has been considered a key topic in and out of academia by discussions on what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as a result of learning.Finally,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academic community of educational psychology will further solidify its status as a contributor to solving various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by driv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derived from the knowledge network exploration of educational psychology.

      • 자기초월 의식 접근에 관한 동.서양 심리학의 제 관점 비교

        강경옥 창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51

        Today's trend of counselling places more emphasis than before on attempting to utilize the concept of self-transcendence, as a result of expansion of the area of study of human consciousness from personal consciousn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The Oriental history has shown active study of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since long time ago, which, forming a system of psychological theories, has give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unselling and the psychotherapy of today. In this context, it is considered worthwhile to build up a new theoretical ground to apply effectively to the counselling and psychotherapeutic practice by comparing the Oriental psychological theories and the Occidental psychological theories, which prevail in the current counselling methodology. The process of building up the new theory requires to seek more extensive methods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by comparing theories of consciousness development in Oriental and Occidental psychological theories. The following two objectives of this study have been set up to compare views on the methods of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n Oriental and Occidental psychological theories. Firstly, to clarify classification of consciousness in Oriental and Occidental psychological theories, and, secondly, to clarify methods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n the theories. To attain the second objective, the following three activities shall be conducted. Firstly, to clarify the motive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secondly, to clarify the methods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and thirdly, to clarify the route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This study adopts the bibliographic method. The literature used in this study comprises two thoughts in the Oriental psychology - the Thirty Verses o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by Basubandhuthe and the Notes by Mandukya Upanisad and Advita Vedanta - and two thoughts in the Occidental psychology - literature by Carl Gustav Jung, an analytical psychologist, and by Ken Wilber, a trans-personal psychologist.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lassification of consciousness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psychologies a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wakened or perceptible consciousness is named the "First Consciousness", the ultimate consciousness is named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between the First Consciousness and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s named the "Second Consciousness". The concept of the First Consciousness is the one defined as "consciousness" and "ego" by Carl G. Jung, and K. Wilber described it to be composed of several stages - the stage of personal state or persona / shadow, the stage of philosophic bands, the stage of ego, the stage of bio-social bands and the existential stage. In the Thirty Verses o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it corresponds to the five sense consciousness and the sixth consciousness: mano-vijnana, and to wake-state consciousness and sleep-state consciousness in Advita Vedanta. The four thoughts also describe the unconscious state controlled solely by senses, which precedes the First Consciousness, - that is, as collective unconsciousness keeping information on life by Jung, as pre-personal state by Wilber, as the five sense consciousness in the Thirty Verses o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wake-state in Advita Vedenta. The Second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Jung's personal unconsciousness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to Wilber's trans-personal state, to the seventh of the eight types of consciousness, attachment consciousness: manas and storehouse consciousness: alaya vijnana in the Thirty Verses o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and to the sleep state in Advita Vedanta. Although the four thoughts have different courses and stages in development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they are identical in that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s inherent in the First Consciousness and the Second Consciousness and is non-dualistic consciousness.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expressed as Self by Jung and Mind by Wilber, is the origin of all phenomena and the indivisible whole. In the Thirty Verses on the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self and the universe are not in actual existence but assumed by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us, to perceive the universe of the perfect true nature by realizing the incorporeal self is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or the state of true suchness: tathata. This idea is very similar to the concept of Maya in Advita Vedanta, in which Sankara said such illusions as the wake state, the dream state and the sleep state veil Turya - the fourth consciousness - that is,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thodology of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psychologies. As to the motive of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refers to Self-archetype having transcendent faculty which arose unity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Wilber's trans-personal psychology refers to Emergent Unconsciousness as an energy pointing to non-duality. In the Thirty Verses on Manifestation of Consciousness, the motive is perceived as innate non-contaminated seed, which means the Buddha nature - inborn ability of awakening. In Advita Vedanta, the motive of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s considered being Brahman, but Brahman is transcendental deity not the incarnation of God and thus there is Iswara, the incarnated God acting as the motive and omnipotent and omniscient supreme spirit. As to the methods of access to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Jung refers to self-realization through conversion of unconsciousness to consciousness, and Wilber to repetition of differentiation through de-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through identification toward upper stages from lower stages. The Thirty Verses represent the methods as absorption of the innate non-contaminated seed, that is, absorption of accumulated experiences into personality. In Advita Vedanta, the methods are to realize that Atman and Brahman are one and the same. This absolute realization burns the whole Karma. When Karma disappears, so does Maya. I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e route of access to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s seen to be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for which reinforcement of Self and formation of persona, as the tasks to be attained in the former stage of life, are needed and, as the tasks for the latter part of life, separation of persona and awareness of shadow are needed. Wilber divided the route into three states, that is, the pre-personal state in which Self is not differentiated, the personal state in which Self is formed and the trans-personal state in which Self is transcended. The pre-personal state is subdivided into Pleroma, Uroboros and Typhon realms, the personal state into Persona, Self and Centauric realms and the trans-personal state into Subtle, Causal and Ultimate realms. In the Thirty Verses, the route is described as Path of accumulation, Path of preparation, State of thorough understanding, State of cultivation and Path of no-more-learning. Advita Vedanta explains that the route is to realize one by one the wake state, the dream state and the sleep state, which are derived from Maya, and to free from illusions of the states, which is the very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Tury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our thoughts examined in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viewpoints in common toward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First, the energy leading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s immanent in Self. Second, they seek non-duality in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stage. Third, they seek restoration to nature. Fourth, they are influenced by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in the consciousness state. In the meantime, the four thoughts examined in this study also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the Oriental psychology and the Occidental psychology. First, for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the former refers to removal of illusions through mental practices whereas the latter refers to repetition of the process of de-identification. Second, while the former considers access to the self-transcendent consciousness as being free from Self, the latter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role of Self for the access. Third, the former evolves cyclically but the latter evolves linearly when it comes to evolution of human consciousness. Fourth, while the latter explains the process of evolution of consciousness focusing only on human consciousness and based only on duality -separa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former embraces evolution of the material universe, as well as human consciousness, to explain the process.

      • 피아노 조기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 : 교육심리학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안종모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research leads to a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necessity, concept and objectives of musical education for infants. There is an objective in examining the literature to further ascertain the relevance of the early piano and musical lessons for infants. In order to efficiently map how essential early musical education is in the literature, we must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eory of educational psychology as it applies to music, the instruction methodology applied and the fixed outcomes obtained. In order to explain the necessity of early musical education for infants, first, we must take no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fant musical education. There is a resultant theory that holds that all infants have a potential for musical energy and that they possess a qualitatively excellent musical sound ability. There is also a view that students, when exposed to the correct musical teaching tools, can hold on to musical skills better than adults. In order for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in infants to be successful, their must b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sentiments,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which is to plan and provide a systematic definition of musical education for infants. The objective of musical education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elds: body advancement, emotional advancement, stamp advancement, social advancement, originality advancement, and esthetic advancement. These are the seven underlying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musical education.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musical education and the support given for these advancement skills are plentiful. First, their will be a quick advancement in musical ability an the student will be able to acquire a musica capability which is accurate. Second, the student will be able to comprehend the relaxation and soothing effects of music an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learning the foundations of positive musical attitude and body movement.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of exposing the child to a beneficial interest in music. Fourth, exposing the child to lifelong musical activity. Fifth, an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scale, which underpins all musical learning will be gained at an early stage,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symbols that apply when reading music. Students will be able to pick the fundamental tone and sound gaps with relative ease. Sixth, piano lessons leads to the improvement and advancement of mind and body concentration. Seventh, there is always the opportunity to play in concerts and recitals. These opportunities leads to creation of expressive abilities in the young infants and also allows for exposure to many life longs skills.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of increases to the young infants social standing. Educational psychology and studying theories have made some underlying deductions with basic piano instructional methodology. First of all the behaviorism studying theory regarding the environment, sees a positive reaction in the organic body when it is combined with musical studying. The piano instruction method which applies a behavioral studying theory has been read similarly. Fundamentally, it is a musical environment, and a condition which, at first, must be planned systematically. There is also examples where musical theoretical studying that apply computer programing, have been found to be beneficial. Musical education utilizes the various reinforcement methods. The reinforcement method on a large scale incorporates both the affirmative reinforcement and negative reinforcement methods. There is also dependency of the individual to present himself at the most effective fortifier. The described conduct must be explained clearly and have proper direction. The success of child education is based on its individualization of student studying capabilities. Individual processes such as speed, capability, aptitude can all be addressed. Finally, the teacher as the musical role model must always generate environments which inspire and influence the student. Their are, also, know results of a theoretical stamp which considers seriously the structures of an accidental process that results in the spontaneous of emotion and feeling found in humans. The piano instruction method which applies the attention studying theory can make progress in explaining,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is theoretical stamp. First, it exposes students to musical perception and the structural principles found in presented musical data. Second, it considers a voluntary musical advancement studying phase and it plans for further musical advancement. Third, there is a propensity for the building of sound understanding of form and structure as it applies to the mental elements. Fourth, it presents the studying subject which considers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Fifth, it uses various memory strategies that could be utilized and developed over time. Sixth, there is a general studying situation. Seventh, it promotes an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 and the instructor. Eighth, it uses the studying strategies to a raise a problem solving ability. Finally, there is also the sample attention studying theory that must be understood. The sample attention studying theory considers seriously a voluntary studying personal quality from education and it emphasizes the advancement possibility of the individual. The piano instruction method which applies the sample attention studying theory is explained. First, the success or failure is found in the attitude of the teacher. The teacher shows a model, he/she recognises and utilizes it and encourages the student. There should be visible expressions of feelings found in the student. Also the student should also possess the patience to wait before achieving direct outcomes. Their must be an ongoing bond of trust and respect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Both must endeavor to promote a strong relationship where the student trusts the teacher and the teacher respects the students. This is the sample attention synchronization, which can be gleaned from early piano lessons and allows the researcher to know the reason and value emphasized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the motivational drive of students. 본 연구는 유아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개념 그리고 목적의 고찰을 통해 피아노 조기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문헌상으로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수적인 피아노 조기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교육심리학의 학습 이론을 문헌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음악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법을 연구하여 실제 레슨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조기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유아 음악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유아가 음악적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질적으로 우수한 음악적 소리, 좋은 활동, 훌륭한 음악적 교육 자료 등을 경험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유아 음악교육의 개념이 유아 스스로가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모든 교육여건과 환경을 제공해주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유아 음악교육의 목적은 신체적 발달, 정서적 발달, 인지적 발달, 언어적 발달, 사회적 발달, 창의성 발달, 심미적 발달의 7가지의 다양한 목적이 있었다. 피아노 조기 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감 발달을 빠르게 함으로써 정확한 음악적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근육의 이완상태를 자연스럽게 깨달아 바른 자세와 손 모양의 기초를 익힐 수 있다. 셋째, 음악에 대한 흥미를 쉽게 불러일으킬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음악 활동의 기초가 된다. 다섯째, 음악 교육의 기초가 되는 음계, 원음과 사이음의 관계, 각종 음악 기호 등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요소들을 비교적 쉽게 이해시킬 수 있다. 여섯째, 피아노 연습과정을 통해서 집중력향상과 인지발달에 도움이 된다. 일곱째, 발표회나 연주회를 통해 자신의 표현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 교육심리학과 학습이론을 토대로 하여서 적용시킨 피아노 교수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환경과 환경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이 결합된 결과를 학습으로 보고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피아노 교수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계적으로 계획된 음악적 환경과 조건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이론학습이 좋은 예이다. 둘째, 다양한 강화방법을 사용한다. 강화 방법은 크게 긍정적 강화방법과 부정적 강화방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음악자체를 음악학습의 가장 효과적 강화물로 사용한다. 넷째, 목표 행동을 분명하게 기술한다. 다섯째, 개별 학습자의 학습속도를 고려해서 최대한의 개별화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섯째, 학습자에게 음악적 모델인 교사는 항상 학생들에게 음악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인지주의는 인간을 사고하는 존재로 전재하고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능동적인 사고과정과 인간 내부의 인지구조를 중시하는 이론이다. 인지주의 학습이론을 적용시킨 피아노 교수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각구조 원리에 맞춰서 음악적 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학습자의 음악적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음악학습을 계획한다. 셋째, 효과적 음악학습을 위해서 다양한 표상양식을 사용한다. 넷째,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학습과제를 제시한다. 다섯째 다양한 기억전략을 사용한다. 여섯째 학습상황은 총체적으로 구성한다. 일곱째 동료학습자나 교사와의 적극적 상호작용을 장려한다. 여덟째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학습전략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인본주의 학습이론이다. 인본주의 학습이론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을 중시하고 개인의 발달 가능성을 강조한다. 인본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피아노 교수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사의 태도이다. 교사는 모범을 보이며, 학생을 인정하고 격려한다. 그리고 학생에게 진정한 관심을 보인다. 또한 학생이 미숙하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린다. 학생은 한번 맺은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서로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신뢰하는 아름다운 관계가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인본주의적 동기화는 왜 피아노를 배워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이유와 가치를 알고 학생의 내재적인 동기 유발을 강조한다.

      • 출산후 산모의 우울정서에 대한 조기 부모교육의 효과

        오의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who have recently given birth to a child not only affects the mothers themselves but also their famili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newborn’s intelligence, personality,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Couples who have just had a baby are fulfilled with happiness and joy merely by the fact that they have become parents and are relieved to have a healthy baby. However, mothers also experience depression and anxiety regarding parenting or frustration about the fact that they can never return to their lifestyle prior to the birth of the baby. When parents who experience depression at the early parenting stage are left alone, the depression of mothers will worsen and negatively affect the baby’s, husband’s, children’s and entire family’s emotional state. As a result, it can cause the husband’s depression, familial conflicts, or developmental abnormalities or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These familial issues can be expanded to larger social issues leading to decreases in birth rates or increases in divorces. To prevent these problems that negatively impact the mother, the newborn and the family, educational interventions, as well as medical treatments, are crucial.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puerperal mothers to go out and participate in educational courses. The best way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is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that causes the depression and to receive intimate counseling, but this also is not easy for puerperal mothers. Therefore, the next best way is to educate oneself at home using a booklet that contains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on and letting couples read it to deal with the issue together. Based on these reasons, in this study, we intervened by urging early parental education through a booklet on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on. Mothers who visited medical institutions when babies were 3-8 weeks old for vaccination were tested on the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 (EPDS). A booklet for early parental education was distributed to those whose EPDS score was higher than 10, after which the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was analyze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as very encouraging.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s depression levels went down after the edu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interview result also implied that the treatment group’s depression levels decreased after the education, and they also received better support from husbands who made more time for convers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A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regarding coping strategies. Since marital conflicts can cause postpartum depression, we investigated their coping strategies using Conflict Coping Strategies Test II on mothers who scored higher than 10 on the EPDS scale, and educated them with the developed booklet. After they read the booklet, EPDS levels were re-tested, an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EPD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mothers who still scored higher than 10 on the EPDS scale initially had very high EPDS scores compared to mothers who showed improvement after education. When there were marital conflicts, mothers with high EPDS levels tended to use ‘Avoidance’ as a major coping strategy. Additionally, mothers who used more of ‘Rational Coping’ and ‘Emotional Expression Coping’ showed a lower EPDS. Educational materials for parental education should cover general information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preferably provide the reader with accurate and appropriate information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order to get over depression, support from others, particularly from the husband, is very important. Thus, inclusion of content matter such as social support, coping techniques on marital conflicts, and parenting skills in the booklets should be encourage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encourage mothers with moderate levels of postpartum depression to receive counsel from therapists or psychiatrists if the educational benefit is not significan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ore developed by using tools such as the Internet or participating postpartum helpers. 산모의 정신건강은 산모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과 새로 태어난 아기의 지능과 성격, 정서 및 행동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출산후의 부모들은 새로 태어난 아기와 자신들이 부모가 된 것에 대한 기대감과 뿌듯함, 아기의 안녕을 걱정했던 것에 대한 안도감 등에 부풀어 있을 수도 있지만, 많은 산모들이 아기의 양육에 대한 불안감, 예전의 자신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없다는 절망감, 우울감 등의 산후우울정서를 경험하기도 한다. 우울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양육초기의 부모들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산모의 우울정서는 깊어지고 아기는 물론 남편과 자녀들 및 가족들의 정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결과 남편의 우울정서, 가정불화, 태어난 아기를 비롯한 아이들의 발달이상이나 문제행동 등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져서 출산율의 저하와 이혼율의 증가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산모와 태어난 아기, 그리고 가족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학적인 접근도 중요하지만 교육적 개입이 무엇보다도 더 중요하다. 그러나 산욕기의 산모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 외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증이 유발될 수 있는 과정을 이해하고 산모들 개개인에게 심리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 역시 다수의 산모들을 위한 교육방법으로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차선의 방법으로 산후우울증의 예방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정보책자를 이용하여 산모와 남편이 함께 읽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출산후의 재택 정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산모들의 산후우울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교육책자를 통한 조기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산후우울증의 조기 평가에 가장 적기인 출생후 3-8주에 아기의 예방접종을 위해 의료기관을 찾는 아기엄마들에게 에딘버러산후우울척도 (EPDS) 검사를 실시하였고, 산후우울증 평가기준 이상(EPDS≥10)인 아기엄마와 그 남편들을 대상으로 책자를 통한 조기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산후우울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매우 고무적이어서 교육을 받지 못한 비교 군에 비해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EPDS점수가 월등하게 호전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심층인터뷰에서도 비교 군에 비해 실험군 산모들은 뚜렷이 호전되는 질적 변화를 보여주었고 특히 남편들의 지지가 월등하게 좋았으며 부부간의 대화와 이해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 부부간의 갈등이 산후 우울정서를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EPDS점수가 10이상인 산모들을 대상으로 갈등대처방안척도 II검사를 실시한 후 책자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후 EPDS재검사를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분석하고 산모들의 갈등대처방안유형과 EPDS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후 척도가 10이하로 낮아지는 산모들에 비해 여전히 척도가 10이상인 산모들의 경우 이들은 교육전부터 척도가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부간에 갈등이 있을 때 EPDS척도가 높은 산모들은 갈등대처방안의 유형으로 회피의 유형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성적 대처와 행동 및 감정표출의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할수록 EPDS 척도가 낮았다. 조기부모교육을 위한 교육책자는 산후우울증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후우울증에 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적절한 인지행동요법을 교육내용에 우선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산후우울정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주위의 도움, 특히 남편의 지지가 절대적이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 부부간의 갈등에 대처하는 기술 및 부모역할하기에 관한 내용도 함께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육의 효과가 없는 중증 산후우울증인 경우에는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도 반드시 주지시켜주어야 한다. 교육책자를 통한 부모교육 이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교육, 산후도우미들을 위한 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도 추진되어야 한다.

      • 학습자의 성격유형(MBTI)이 인터넷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

        김윤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인터넷 및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웹기반 원격교육 참여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S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07명이다. 이들을 성격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MBTI 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실태에 대한 조사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1>은 긍정되었다. 내향형(I) 학생들이 외향형(E)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외향형(E) 학생들이 내향형(I) 학생들보다 전자우편을 더 많이 발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인식형(P) 학생들이 판단형(J) 학생들보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이나 감정·판단형(FJ) 학생들보다 컴퓨터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감정·판단형(FJ) 학생들과 사고·인식형(TP) 학생들이 사고·판단형(TJ) 학생들보다 게시판에 메시지를 더 많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선호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에 있어서, 내향형(I) 집단과 외향형(E)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내향형(I) 학생들은 외향형(E)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내향형 42.3%, 외향형 27.6%), 외향형(E) 학생들은 내향형(I) 학생들보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활동(게시판에 메시지 올리기, 전자우편 보내기, 채팅에 참가하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타인과 대화 나누기)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외향형 26.2%, 내향형 14.8%). 또한, 판단형(J) 집단과 인식형(P)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인식형(P) 학생들은 판단형(J) 학생들보다 온라인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인식형 38.1%, 판단형 25.4%), 판단형(J) 학생들은 인식형(P) 학생들보다 각종 정보 검색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판단형 20.6%, 인식형 10.7%).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인터넷 이용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반면에, <가설2>는 부정되었다.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 경험 유무에 있어서 각각의 성격유형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웹기반 원격교육활용시 중시하는 점에 있어서 성격유형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판단형(J) 학생들이 인식형(P) 학생들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고·판단형(TJ) 집단과 감정·인식형(FP) 집단이 사고·인식형(TP) 집단에 비해 교사의 피드백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본 연구를 통해, 성격유형이 인터넷 이용과 웹기반 원격교육 활용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밝혀졌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성격유형이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업성취도, 만족도, 동기, 학습방법, 학습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udents' psychological type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the us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WBI). To accomplish the goal, the hypotheses are formulated as follows; Hypothesis 1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Internet. Hypothesis 2 :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eb based instruc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407 mal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Seoul. First, to classify the students by psychological type, research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type of the students through Form G of the MBTI. And researcher surveyed the status of the usage of Internet and web based instru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made up of 21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Hypothesis 1 was accepted (p<.05). In the use of computer and Interne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troverts use computers and on-line game services more than Extraverts. Extaverts send more letters and use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ervice more than Introverts. Those in Perceiving group use computer and Internet more than those in Judging group. Those in Judging group use 'information search service' more than those in Perceiving group.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p>.0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WBI among the groups.

      •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을 중심으로

        이지윤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동기는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구인이다. 학습동기 전략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동기상태를 정확히 ‘진단’한 후 결과에 근거하여 ‘처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학습동기 연구는 연구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다양한 속성 중에서 특정 변인을 의도적으로 통제․조정하고 실험결과로부터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별다른 의미가 없는 연구 결과를 창출해왔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 분석을 위해 대안적 연구방법인 Q 방법을 사용했다. Q 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강점을 취한 대안적 연구방법으로, 인간의 내면적 의식이나 철학적, 심리적 사고의 유형을 다루는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Q 방법은 학습동기와 같이 각 개인의 경험이나 심리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의식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 즉, 학습자의 주관성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구인인 동기에 대한 유형별 주관성을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Q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을 적용하여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동기에 대한 유형별 주관성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개념과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Keller(1993)의 코스흥미 검사지를 번안하여, Q 연구 전문가의 1인과 Q 방법으로 연구한 경험이 있는 석․박사 2인의 자문을 거쳐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진술문은 Q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설문지로 작성하였으며, 3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동기의 유형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을 Q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관련성․자신감․만족감 중심형’, ‘관련성 중심형’, ‘관련성․만족감 중심형’, ‘주의집중․관련성․자신감․만족감 중심형’의 4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간 특성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유형의 학습자들은 웹 기반 교육이 실제 업무와 관련 있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기대와 목적을 가지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2 유형의 학습자들은 웹 기반 교육이 학습자에게 유용할 것이며, 학습자에게 필요한 개인적인 이점이 있기 때문에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3 유형의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기대와 목적에 따라 능동적으로 참여하지만, 노력한대로 외재적 보상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에 불만을 나타내었다. 제 4 유형의 학습자는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항목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동기상태를 보였다. 제 4 유형은 연구대상 중 대표성을 가진 학습동기 유형은 아니었지만, 타 유형과 비교할 때 가장 이상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분석한 학습동기 유형별 특성을 기준으로,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 기반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Q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동기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Q 방법을 교육공학 연구분야에 처음으로 적용하여 대안적 연구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Web-bas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is the essential psychological component that enables the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spontaneously and continuously. The most effective strategy of learning motivation would be provided after the students' motivation state is precisely measured in learning process and then prescribed according to the results. However, most results were abstracted from the condition with diverse variables under control, and then many meaningless conclusions in practical contexts have been produced on those results. For this problem of studies on learning motivation, it is required to adopt the alternative methodology to deal with the inner part of learners' consciousness well enough.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used as an alternative one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ivity through analyzing the components of Keller's ARCS model. The data were coded into grades from 1 to 9, and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Q fact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Q Methodology analysis, the types of learning motivation in web-based instruction are categorized into 4 types.: the relevance-confidence-satisfaction type, the relevance type, the relevance-satisfaction type, and the attention-relevance-confidence- satisfaction typ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ing motivation type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nother types. The 13 subjects in the first type group, the relevance-confidence-satisfaction type,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high expectation and purpose of success in their learning in the web course, and exert their all competences to fulfill them. The 6 subjects in the second type, the relevance type, put the priority on the usefulness and advantage of taking the web course. The 1 subject in the third type group, the relevance-satisfaction type, has characteristic that he has the negative expectation about web course without any external compensation. The 13 subjects in the fourth type group, the attention-relevance- confidence-satisfaction type, that is the most ideal type, showed the most positive state of the learning motivation in the overall categories. Third, the strategies of learning motiv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4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Q Methodology is first applied to the stud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 조기 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윤종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이 귀국 후 학교생활 적응 과정에서 겪는 모습을 파악하고, 그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귀국 학생들이 유학의 목적과 소기성과는 어떠한가? 둘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귀국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셋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귀국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은 어떠한가? 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성남시 분당지역 고등학교의 일반 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조기유학을 경험한 25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한 사례연구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조기유학을 경험한 청소년들이 우리나라의 학교에 적응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학생들은 유학의 목적에 따라 소기성과 양상이 달랐다. 조기유학은 부모의 직장이나 유학, 부모의 가치관에 의해 일방적 결정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학생들은 그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통보받은 경우가 많았기에 어린 나이에 겪을 수 있는 심리적 불안상태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유학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반면에 자발적인 의지와 동기를 갖고 유학을 가거나, 부모가 동반하여 양육하고 보호, 지도감독을 한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다고 하였으며, 가족의 불화나 이혼을 회피하기 위한 도피성인 경우 부모 양쪽에 버림받았다는 좌절감과 함께 일탈행위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학생들은 귀국 후 부모님과 주변의 기대에 부응하여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컸고, 지식 위주의 교육내용, 학습 평가가 과정보다는 결과 중심이고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강조되는 우리나라의 획일적인 교육과정이 유학했던 해당 국가보다 어렵고 교과과정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부분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는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곤란을 겪었고 특히 국어와 수학과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영어과목도 수능시험 중심의 수업방식과 출제형태가 해당 유학국가와 달라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재외국민 특별전형’이나‘어학 특기자전형’을 염두에 두어 두고 조기유학을 다녀온 학생들은 변화된 입시제도에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 학생들은 행동과 가치기준이 한국적인 정서와는 맞지 않아 학교생활에서 이질감을 느끼면서 틀에 박힌 정형화된 학교생활에 답답함을 느꼈고 학교문화도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일반학생들과 사고방식과 언행의 미묘한 차이로 함께 어울려 지내기는 하나 깊은 관계로 나아가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담임교사의 관계에서는 연구 대상 학생들 역시 외국에 가서도 그렇고 귀국해서도 어려운 상황에서 나름대로 적응하기 위해 대처해나갈 방도를 찾는 생존 전략이 있기에 비교적 담임교사의 지시에 잘 따르려고 하나, 경우에 따라서 갈등과 의견충돌을 빚고 있는 경우도 있었으며, 담임교사는 경험부족과 과중한 업무부담,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에 대한 이해부족과 학교 당국의 무관심으로 해당학생이 자신의 학급에 입학을 하거나 편입하는 것을 꺼려하고, 심적 부담감을 가지고 학생을 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이 체계적인 학교생활 적응 교육을 위해서 학생·부모·교사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교육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 및 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인데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적 역량 강화나 영어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발적인 의지와 동기를 갖고 유학을 가거나, 부모가 동반하여 양육하고 보호, 지도감독을 받은 학생들은 외국 유학생활에서의 적응 문제와 귀국하여 국내 학교에서의 적응 문제에 있어서 여러 가지 우려에도 불구하고 어렵지 않게 잘 극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조기유학을 선택하게 되더라도 부모가 동반하여 가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외국의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외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학을 선택할 때 신중을 기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인 프로그램과 제도가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좋은 교육환경을 추구하는 이들을 위해서 조기유학을 안 가도 유학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학교를 제공하는 것을 확대 추진하는 것도 방안이 바람직하다. 둘째, 현실적으로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을 감당할 수 있는 ‘귀국학생 특별학급’이나 ‘귀국학교’등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들을 전체를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각 학교에 산재되어 있는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이 실제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당 학교별 방과 후 프로그램 개발과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에게 국내 대학에 입학 할 수 있는 기회인‘재외국민 특별전형’이나‘어학 특기자전형’정책을 교육부에서는 혼선 없이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은 국제화 시대에 뛰어난 외국어 실력을 갖추고 국제적인 감각을 지닌 인적 자원이기에 이를 시의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특기자 전형 모집규모를 적정한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학생인권조례의 제정으로 인해 많이 완화되었긴 하지만 여전히 엄격한 규율과 경직되어 있는 학교 문화에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의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태도가 우리 교육의 경직된 시각에서 볼 때에는 다소 예의가 없고, 단체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신무장을 시키고 군대식으로 통제하는 학교문화도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모습에서 개인주의적으로 비춰질 수 있지만, 학교에서 일선 교사들은 그들에게 학교규정을 강요하기 보다는 학교규정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지도하고 교육환경을 보다 민주적으로 학생인권이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꾸고자 노력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넷째, 담임교사 많은 수업과 잡무 속에서 나름대로 여러 고충이 있었지만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서 그들의 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고 배려함으로써 귀국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담임교사만이 담당하기에는 교사별 개인차가 있고 전문성에 있어서 한계가 분명하기에 국가나 교육부 차원에서 귀국학생에 대한 학습적인 면과 학교 적응에 관한 매뉴얼을 통해 학생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여야 하고, 학교 내 전문상담교사 및 여러 자원들을 연계하여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은 교우관계에 있어서 사고방식과 언행의 미묘한 차이로 어울려 지내기는 하나 깊은 관계로 나아가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우리나라 학생들의 거친 말과 행동에 거부감을 느끼고, 또래관계를 중요시하며 무리지어 다니는 경향으로 말미암아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조기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한 학생들은 같은 인종, 종족으로 피부색도 같은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이들의 문화적 충격은 다문화 학생에 비해 축소 평가되고 있는 측면이 있기에 이러한 귀국 학생을 급우로 맞이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다문화적 관점의 교육이 필요하다. Nowadays, opportunity to live abroad increases. Therefore, number of students who live in foreign countries with parents h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considerably many students who lived in foreign countries return to south Korea. Many Returning Students after Early-age Overseas Study are supposed to have some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to domestic school life because of the culture shock caused by what they experienced in other country, such as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al environments, life style, and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 problems that Returnees in school adaptation process suffer and factors helping them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returnees, thei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First, If studying abroad was decided and carried out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apacity or to have better grades, adjustment will be easy during studying overseas. On the other hand, if studying abroad was decid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domestic schools or the social atmosphere like giving preference to the students who studied abroad, there would be a lot of possibility of failing in adjustment of overseas study. Second, although they did not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in Korean,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s and terminologies in Korean. They show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vocabularies or words in textbooks. Additionally, because of difference in educational methods and courses by nation, they had difficulties in catching up with their classmates and showed fear or avoidance of strange or unfamiliar educational activities. Especially they showed difficulty in such subjects as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due to high degree of educational course and suffered from burdens and stress because of prerequisite learning, which was caused by private education. Third, Returnees had difficulties in making deep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because of delicate difference in way of thinking or language although they didn’t look different from other students. and they also suffered from difficulty in forming relationship with teachers. To those, Korean teachers looked rather authoritative and they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roach teachers because they were always busy. This affecte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because of difference in way of living between Korea and countries that they had lived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 As they lacked of understanding domestic school culture, they complained about the knowledge learning-oriented classroom culture and school system rather than physical activity, this caused the difficulty in forming peer relation. and they were acclimative rather than having resistance or bearing sense of refusal and kept school rules better than other students. When identifying factors help them to be adjusted,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 policy help students studying abroad. enough information helps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abroad to have right decision on studying abroad and a support system for studying abroad is needed, which helps students decide to study abroad with specific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which is the education policy helps returnees. there are no special class or school for returnees in Korea. If the foundation of a typical school for returnees are impossible, it can be desirable to run adapting after school under the control of each local educational board. Individual learning should be paralleled with current learning courses. It is necessary to make returnees have an opportunity to prepare to go to university they want to apply to. Thir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 policy help adjustment of returnees. Most Returnees are confused at the difference of the two cultures. They already experienced the other culture more or ress liberal and they need to make active efforts. We need to give them opportunities to have empathy with friends. homeroom teacher of returnees can help students to be adapted to school life by being considerate for them in classes and guidance of life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Despite the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announc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chool rules are needed to help returnees, be faithful to academic activities using their foreign experiences, and adjust well to school life. As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returnees to school life are complicated as reviewed in this study, multi‐faceted efforts are required to help adaptation of returnees. We can help them grow to be successful Koreans,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problems, trying to understand them, and making some legal devices for returnees. This is not only for an individual but also for the Educational Office and Nation

      • 청소년의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강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는 교육을 통한 개인의 사회적 지위획득에 대한 기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입신양명주의, 숭문주의, 문벌주의, 가족주의라는 이름으로 조선 시대 부터 우리 교육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개인의 사회적 성공에 대한 교육의 수단적 성격이 강조되어 온 현실에서, 학생이 갖고 있는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수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 수집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2패널 5차년도(2007) 조사자료 이다. 독립변인인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와 가정배경요인, 유의미한 타자와의 관계, 학생의 자아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교육에 대한 사적가치 기대가 높을수록, 부모님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관이 긍정적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독립변인인 교육에 대한 사적가치 기대는 종속변인인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인지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획득을 위한 교육의 수단적 역할 수준을 파악하고, 나아가 사적 이익의 실현에 대한 기대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에 대한 사적 가치 기대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이 사회적 지위획득의 수단으로서 교육적 성취가 가져다주는 이득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수준이 그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과거에서부터 이어져온 교육을 통한 사회적 성공과 출세에 대한 믿음은 현대에서도 학생들에게 학업성취에 대한 강력한 동기가 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 교육열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와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태도

        조성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of expressed behavior accordance with parents' motiv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The motivation were divided into two; intrinsic motivation which is interest in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such as disciplin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xtrinsic motivation which is the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such as social-economical status achievement. The study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motiv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differ according to children's grade?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ttitude and expectation about schoo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behavior and attitude about private education? Fourth, What are the variables related to satisfaction about school education in groups of parents who have high motivation for education? 506 parent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ANOVA. First, the motiv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did not differ accordance with children's grade. Second, extrinsic motiv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teaching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wholeman education '. Third, in elementary school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need for private education and in high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ex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Also extrinsic motiv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dependance on private education whereas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effectiveness of private education and satisfaction. Parent's with high extrinsic motivation perceived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teaching ability' more important than parent'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had more dependance on privat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parent'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perceived 'satisfaction of one's children's education in school', 'wholeman education ‘ and 'emotional fostering education' as important. Fourth, in parents with high extrinsic motivation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teaching ab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whereas in parent'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wholeman education‘, ’interest and love for students' and 'private education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As results extrinsic motivation for education was related to academic enhancement and dependance on private education which is the main problem in present Korean society. Whereas intrinsic motivation for education wa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wholeman education and perceiving effectiveness in private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육열 자체를 과도한 열의로 문제시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교육열을 과도하거나 뜨거운 정도를 포함하지 않은 중립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교육열을 일으키는 동기에 따라 그 표출 행동이 달라질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교육열의 동기를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 즉 학문과 교양의 수련과 사회 기여에 관심을 두는 내재적 동기와 교육의 도구적인 가치인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과 사회적 위신을 얻고자 하는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기가 교육열의 표출 행동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두 동기에 따라 표출행동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상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열의 동기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는 학교교육에 대한 태도, 기대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는 사교육 행동, 사교육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가 높은 학부모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학부모 집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상관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시내 8개 초․중․고등학교의 학부모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로 단순상관 분석과 집단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문제의 분석 결과, 학교급별로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연구문제인 교육열의 동기와 학교교육에 대한 태도 및 기대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는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와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학교교육 내용 중 ‘학업성적 향상’과 교사의 ‘교수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적 동기는 ‘전인교육’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연구문제인 교육열의 동기와 사교육 행동 및 사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사교육의 필요성이 초등학교급에서는 교육열의 내재적 동기와, 중․고등학교급에서는 외재적 동기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재적 동기는 사교육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반면, 교육열의 내재적 동기의 경우 사교육의 효과성과 만족도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사교육에의 의존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가 높은 학부모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학부모 집단의 학교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은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보다 ‘학업성적 향상’과 교사의 ‘잘 가르치는 능력’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으며,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도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은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학교 만족도’와 ‘전인교육’, ‘정서함양’ 등의 중요성을 외재적 집단보다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문제를 알아본 결과,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은 ‘학업성적 향상’과 교사의 ‘교수능력’이 학교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은 ‘전인교육’, ‘학생에 대한 관심과 사랑’, ‘사교육 만족도’ 등이 학교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외재적 동기에 의한 교육열은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학업성적 향상과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와 같은 변인과 상관이 높으며, 반대로 내재적 동기에 의한 교육열은 학교교육 만족도, 전인교육, 사교육의 효과성 지각 등의 변인과 상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교육열의 외재적 동기는 교육문화에 역기능적인 표출 행동과, 내재적 동기는 순기능적인 표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열’을 무조건 문제시하는 관점이 재고되어야 할 필요성과, ‘교육열’을 한국의 교육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학술적인 개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