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1공화국 전후 교육자치제의 도입과 전개

        정지혁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liberation, people focused on education with great interest and so was the US military. The US Military Government organized an educational council of a majority of Korean members to establish education policy. The council sought various policies covering the whole education administration but did not establish the system related to educational autonomy and the plan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Act related to the educational autonomy was soon proved to be a dead letter, but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educational autonomy provisions of the Education Act. The government of the First Republic of Korea wanted to pursue the faced educational policy and for this, it required the enactment of the Education Act. Education law was discussed in the first parliament (the Constitutional Assembly), and the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autonomy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enactment of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was not easy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over financial rights and personal rights. The educational autonomy was defined in the education law enacted in 1949, with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general administration not separated completely. But even under this poor legislation, the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the 1950s. Educational Autonomy system was enforced on the premise of local municipalities. As the municipality began in 1952, the municipal educational system was enacted on June 4, 1952. The education committee was formed in the city and the county, but due to the lack of provisions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Education Act, the educational autonomy revealed various problems in its operation. Above this, The First Republic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d difficulties from the beginning. The first crisis appeared to be the move to abolish the educational ward office, which was the educational autonomy body,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hose who wanted the abolition put up the same reason as the simplification of local authorities. These attempts to abolish the system happened more than few times, but it was defeated by criticism from the media and opposition from the education circles. In particular, the education circles actively struggled to protect the education ward office. But the First Republic education autonomy was eventually weakened by the enactment of the Education Tax Law. In 1958, the government enacted the Education Tax Law as part of the financing to improve the treatment of public officials. Education Tax Act was a bill against to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by relying on the central government financially. However, the Ministry of Finance, which has been advocating for the educational autonomy, have approved the Education Tax Act to promote the compulsory education policy and to abolish Parents Association(PTA) fee. The education circles resisted, but eventually, the bill passed and this made financing in each region more poverty-stricken. As the First Republic education municipality suffered many difficulties, the education community raised their voice to strength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 core content of strengthening was the expansion of the authority of the education circles specifically, the Board of Education gaining a substantial voting right, the independence of superintendent from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district. These demands persisted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First Republic and were actively promoted a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became important before and after the April Revolution.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Second Republic, which entered the April Revolution, promised to reinforce the educational autonomy. As a reinforcement, a council of education autonomy was formed of a various member of the fields. However, the allegation of the reinforcement of the Second Republic era was only in the discussion and it was temporarily abolished by the military regime on May 16, 1961, coup. Therefore, the argument to resume the enforcement continued and it was assured but the reintroduced system was a distorted system that did not fit into the meaning of ‘education autonomy’. This predicted the long-suffering lapse of the Korean educational autonomous system. 해방 이후 교육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매우 컸다. 교육에 대한 관심은 미군정도 마찬가지였다. 미군정은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해 교육심의회를 조직하고 그 구성원 대다수를 한국인들로 채웠다. 교육심의회는 교육행정 전반을 아우르며 다양한 교육 정책을 모색하였으나 교육자치제와 관련한 제도를 수립하지는 않았다. 교육자치제의 구상과 입안은 미군정 말기에 이루어졌다. 교육자치제 관련 미군정 법령은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곧 사문화되었으나, 이후 교육법의 교육자치제 관련 조항에 근간을 제공하였다. 제1공화국 정부는 당면한 교육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법 제정이 필요했다. 교육법은 초대 국회(제헌국회)에서 논의되었는데 이때 교육자치제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되었다. 교육자치제 관련 제정은 재정권과 인사권을 둘러싼 문교부와 내무부의 갈등으로 쉽지 않았다. 결국 교육자치제는 교육행정과 일반 행정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1949년에 제정된 교육법 속에 규정되었다. 비록 미비한 법령 아래였지만 교육자치제는 1950년대에 전국적으로 실시될 수 있었다. 교육자치제는 지방자치제 실시를 전제로 하였다. 1952년 지방자치제가 시작함에 따라 교육자치제도 1952년 6월 4일에 시행되었다. 교육자치를 위해 시와 군에 교육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그러나 교육법 제정 당시 미비한 조항으로 인해 교육자치제는 그 운영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냈다. 제1공화국 교육자치제는 시작부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첫 번째 위기는 내무부를 중심으로 하여 교육자치단체인 교육구청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교육구청을 폐지하려는 측은 지방기구간소화와 같은 이유를 내세웠다. 내무부 주도의 교육구청 폐지 시도는 여러 번 있었으나, 언론의 비난과 교육계의 반발로 결국 무산되었다. 특히 교육구청 폐지론에 맞서 교육계는 적극적인 교육구청 수호 투쟁에 나섰다. 하지만 제1공화국 교육자치제는 결국 교육세법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1958년 정부는 공무원 처우개선을 위한 재정 마련의 일환으로 교육세법 제정을 추진하였다. 교육세법은 교육자치단체의 재정을 중앙정부에 의존케 함으로써 교육자치제에 역행하는 법안이었다. 그동안 교육자치제를 옹호해 오던 문교부마저 의무교육 정책 추진과 사친회비 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세법 제정에 찬성하였다. 교육계가 반발했지만 결국 교육세법은 통과되었다. 이로 인해 각 지역의 교육재정은 더욱 빈곤해졌다. 제1공화국 교육자치제가 많은 어려움을 겪자, 이에 맞서 교육계는 교육자치제를 강화하자는 주장을 펼쳤다. 교육자치제 강화에 있어 핵심 내용은 교육계의 권한 확대였다. 구체적으로는 유명무실한 교육위원회가 실질적인 의결권을 갖는 것, 교육감 직위를 일반 행정에서 독립하는 것, 그리고 교육구를 개편하는 것 등이었다. 이러한 요구는 제1공화국 시기 내내 지속되다가, 4월 혁명 전후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 문제가 중요해지면서 적극 추진되었다. 4월 혁명으로 들어선 제2공화국의 문교부는 교육자치제 강화를 약속하였다. 교육자치제 강화책으로서 각계각층으로 이루어진 교육자치심의회가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교육자치제 강화 주장은 논의에서 그쳤다. 오히려 교육자치제는 쿠데타 정권에 의해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 이에 교육자치제 재개를 주장하는 교육계의 주장이 계속되었고, 1964년에 교육자치제가 다시 도입되었다. 그러나 군사정부에 의해 재도입된 교육자치제는 ‘교육자치’라는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 굴절된 제도였다. 이는 이후 한국의 교육자치제가 오랫동안 겪게 되는 파행을 예고하였다.

      • 교육자치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유지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thus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futur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s including many theses and reports. This study indicated four issues: introduction of the residents' direct election system for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tegration with general self-governing bodies, unification of legislative organs, and expansion of basic-unit educational autonomy and integration and operation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The plans to settle the issues were considered in terms of how to elect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ducational autonomy organ and a general self-governing body, and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consequently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for how to elect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must first of all reinforce the connection with a unit school before reinforcing that with local administrations; it is a realistic alternative to reinforce roles of parents, teachers, and local representation in the electoral college of a school steering committee. Second, relationship between an educational autonomy organ and a general self-governing bo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f the current system has both organs and authorities separated before agreeing to reinforce the connection and making an appropriate plan with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y are form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have substantially subordinate relationship. It should be preceded by financial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by a local self-governing body; it is necessary to confirm if the current role division is legitimate before building the connection. Under the current decentralization of power, it is desirable to reinforce the representation of the electoral college of a current school steering committee and to expand authority of the board of education in terms of autonomy legislation and autonomy finance related to education. Third, in terms of reestablishment of roles of a local office of education, it is most approximate to the original form of educational autonomy to implement the system at the basic unit. And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its role into an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educational autonomy of the unit school at the closest range through innovation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o make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systematically well-constructed is to operate a system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s and make up for its weak points. In addition to system improvement and complement, not onl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 but also educational officials should make efforts to solve problem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with a historical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alling.

      • 地方敎育自治制의 活性化 方案

        김시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지방교육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해서 1991년 3월 8일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이 제정되고, 지방교육자치가 본격적으로 시행 된지 13년이 지났다. 그러나, 지난 정부에서는 논란이 많던 지방교육자치제에 대하여 2000년 1월 28일 「지방자치에관한법률」 일부 조항을 개정하여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출 선거인수가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대표이던 것을 위원전원으로 확대하였으나, 교육위원회의 독립형 의결기구화와 중복심의ㆍ의결 및 이중감사의 불합리성은 유보된 채 불완전한 교육자치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참여정부에서도 지방교육자치제에 대하여 여전히 문제가 많아 2003년 7월 4일 대통령자문 “국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연계방안과 교육관련 의안 이중심의와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출에 대하여 또 다시 거론하고 있다. 이처럼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처하는 주민의 요구에 부합되는 교육자치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어 지역주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가 정착되도록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교육자치제의 이론적 배경으로 지방교육자치제의 개념과 원리, 지방교육자치제와 교육자치제와의 관계, 지방의회와 교육위원회의 관계유형,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제의 변천과정과 외국의 지방교육자치제를 살펴보고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를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제3장은 지방교육자치제의 인사, 재정, 운영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으로는 인사면에서 ① 교육위원 선출방식에서 주민대표성이 미흡하고 교육비경력자 당선이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② 교육감 선출방식에서 주민대표성이 미흡하고 선거과열과 혼탁이 있으며, 후보자 자격에서 교육경력완화로 후보자가 난립하고 있다. ③ 부교육감을 중앙정부에서 임명하고 기초단위 교육장의 교육감 임명은 중앙정부의 통제하에 있어 자율성이 없다. 재정면에서 ① 지방교육재정에서 국가의 의존도가 높다. ②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중에서 특별교부금의 편법지급 등 지역간 형평성 결여로 불균형이 있다. ③ 정부의 지방교육재정운영의 통제가 엄격하여 시ㆍ군ㆍ구교육청에 예산편성권이 없어 사업의 적시성이 결여되고 있다. ④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재정 보조금을 각급 학교에 보조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많지 않다. 운영면에서 ① 교육인적자원부의 지나친 간섭으로 지방의 특수성이 무시되고 효율성이 저하된다. ② 광역단위의 지방교육자치는 일반자치와 연계가 곤란하고 단위학교의 자주적인 교육활동 보장이 어렵다. ③ 교육위원회에서 심의한 사항을 일반 시ㆍ도의회에서 최종 의결하므로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확보가 어렵고 교육위원회의 사기를 저하시키며 예산과 행정력의 낭비를 초래한다. ④ 교육행정기관은 교육위원회와 일반 시ㆍ도의회의 행정감사의 중복성과 국정감사, 감사원감사, 교육인적자원부감사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한다. 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장이 당연직이어서 학부모의 참여가 저조하고, 교육감 및 교육위원 후보자들의 자기 사람 심기로 선거에 악용될 소지가 있고, 공립학교는 심의기구이나 사립학교는 자문기구로 되어 있어 자율적 운영을 저해한다. 제5장 지방교육자지제의 활성화 방안에서는 자율과 책임이 보장되는 실질적인 교육자치제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① 학교운영위원회에서 간접적으로 뽑히는 교육위원 및 교육감은 교육세 등을 납부하는 전주민의 대표라고 보기 어렵고 민주성의 원리에 위배되므로 주민의 직선에 의해 선출토록 하고, 부교육감의 지방직화 및 지역교육장의 지역주민선출로 실질적인 주민통제에 의한 지방교육자치가 되어야 한다. ② 교육재정의 배분 및 연계로서 지방교육자치단체가 지역특성과 주민들의 교육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재정운영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를 줄여 자율성을 보장하고, 각급학교장이 일반자치단체에 지방교육재정 보조금을 신청하면 가능한 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③ 지방교육자치단체와 교육부의 관계 개선으로는 교육자치단체가 지역의 특성에 맞게 스스로 결정ㆍ시행하여 교육자치이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관련 법령을 최대한 이양ㆍ위임을 확대해야 한다. ④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연계방안에서는 시ㆍ군ㆍ구 의회 의원선거 시 전문성 확보차원에서 일정한 비율의 교육경력자를 시ㆍ군ㆍ구 의회 의원으로 뽑는 혼합체제로 하여 지역주민에 의한 선출직으로 하고 이들 간의 교육행정협의체를 구성하여 상호 협력체제로 교육현안 등에 대하여 협의하도록 한다. ⑤ 기초단위로의 교육자치 확대로서는 기초단위가 국민의사를 반영하여 정책을 집행하는 가장 적절한 단위이고 주민통제의 원리에도 부합된다. ⑥ 교육위원회의 역할제고를 위해서는 교육위원회를 위임형 의결기구가 아닌 독립형 의결기구화하여 교육ㆍ학예에 관한 심의ㆍ의결 단계를 감소하여 비효율성을 해소해야 한다. ⑦ 학교운영위원회에 관하여는 학교장을 위원에서 제외하여 학부모의 적극적인 의견개진을 유도하고, 교육위원 및 교육감 후보자들의 자기 사람 심기에 악용될 소지가 있는 지역위원을 주민전체회의에서 뽑으며, 학교재정 모두를 정부에서 지원 받는 사립학교의 운영위원회를 심의기구로 변환함이 마땅하다. 제6장 결론에서는 논문의 서술결과를 요약ㆍ정리하였으며, 본 논술을 통하여 제시된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창의성과 다양성을 생명으로 하고 있으며, 지방교육자치제는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는 출발점이자 기본 좌표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자율과 책임성을 갖고 지역별 특성에 따른 주민의 통제에 의한 교육자치실시로 교육의 질이 한 단계 도약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ㆍ보완과 함께 교육 관련 당사자들 모두가 적극적으로 지방교육자치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노력한다면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가 기대될 것으로 보인다.

      • 敎育自治制의 改善에 관한 硏究 : 외국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황재주 東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21st century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ge will be based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Among the advanced countries the achievemen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is thought to be possible through the self-control and various kinds of educational systems rather than standardized ones, thus proper educational systems are operated. Local self-contro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attempted at the beginning of the 1950s, but its practice was delayed by the Korean War and 5.16 Military Coup. In 1988 the 6th Constitution allowed the local self-control education, but it practice was not properly put into practice because local congress was not organized yet. Local self-governing education system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started with the practice of the local self-governing and the organization of 15 city·province education committee in 1991. However the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s and Education committed members and other unexpected problems with general local self-governing system happened and its various solutions were proposed. Some self-governing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oreign countries were found on their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the USA its self-governing was possible because of the Puritanical self-control spirit, huge land, and various races. In England the education began with the church rather than the government. In France the spirit of French revolution and Napoleon established strong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but the education was guaranteed its self-governing system. In Japan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system was combined with American self-governing system. Considering the foreign ca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our self-governing education. First the law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coincide with the purpose of the local self-governing education system and specialism of the educ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also be intensified and they should have been given more power. Second the self-governing system should keep a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people, therefore city·county·self-governing sector should also have a self-control education system. Unlike the general self-governing system the education self-governing system should be extensively practiced, so its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directed or indirected controled by the local people. Third, local education committee should be given a right to vote for the educational affairs rather than just consider them. Then what the local people want should be included and their desire could be realized through committee members' professional activities. Fourth, through electing the education committee members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s the legitimacy as a legislative organ should be established. Among the qualification of teaching experience of the committee members (the committee member: 10 years, the superintendent: 5 years) should be differently revised. It is not a matter of fairness but a matter of specialism. The qualification of the superintendent is much intensified in other countries. The vice superintendent should be appointed by the superintendent with the approvement of the education committee. It is necessary to be independent from the government. The superintendent should have more extensive power. Fifth, the personal management should be done by the local education self-governing organization rather than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superintendent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and right for the appointment of the officials. Sixth,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a legislative organ rather than an organ of consultation in order to intensify its independence, specialism, and responsibility. The committee should also have a way to consult with other specialists on the matters. Their right and status should also be secured. Finally, successful local self-governing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people's righteous supports. Selfish and self-centered attitudes cannot assist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education. They should be the core of the local education and actively look for the ideal improvement for the school education.

      •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를 통한 지방교육자치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The Way to Improve the Self-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s Education of by Activat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이관기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My experience of attend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for eight years made it necessary for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o be activated in order to realize true self-government o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ses the operation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and tries to find some ways to improve the self-government of local education system and solve any problems if any. In the long run,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the ideal self- government of local education system.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urvey by a questionnaire for the members of management committee in Suwon area (teacher members, parent memebers and local members)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f documents. 181 questionnaire papers were collected among 200 papers distributed. As eight papers were not truthful, 172 papers were proved to be effective and processed statistically. Statist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s was made by Excel coding and materi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 version 12 statistical package). Aanalysis of frequency and averag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verification of results to verify each group's awareness of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research results. On the side of the law system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 ability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f parents, students, local residents is proved to be enhanced by runn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 necessity to review more extensively by the extension of consideration fields was checked. The way to elect the member of parent committee does not have any serious problem, but they preferred the existing method, that is, to vote in the general meeting. But they preferred to accept the teacher members who are recommended in the teachers general meeting without applicants' enrollment.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gathered as a conslusion for the improvement of self-government of local education by activating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First, as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s just a consideration organization at present, it should be made a consideration and decision-making organization. It should be more substantial and responsible committee by expanding consideration field. Second, Student Representatives, who are subject and object of education and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y should give their opinions freely, though they don't have the right to vote. Third, the members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educated and trained to become specialists by systematic education of experts. This will be a way to avoid just a formal session which sanctions what the principal tries to do. Fourth, activatio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s required to develop self-government of local education. It needs to guarantee the autonomy of school units by reviewing the way of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and the education members and by granting the power of autonomy of the education progress of schools and and finance. Also, by giving members of school management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local committee and in becoming education members, local residents will reconsider school finance, and have more interest. To mak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more active, there should be an objective and detailed manual to evaluate activities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n addition, we have to find many best practices and need advertisement and education. Most of all,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and sense of duty are needed. Finally, to improve the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elf-government which is carried out in only wide-area unit should be extened to basic self-government unit. The important thing is to draw interest and cooperation in local education by realizing the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and making local residents experience education self-government in person. Ultimately, it is desirable to help improving realization of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education by introducing education self-government of basic unit as a step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school self-government Also, for practical the educational self-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s, many function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has conducted should be committed to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The local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ies have to give schools the right to perform their education right. In addition, to guarantee the finance of local education safely, it's important to enlarge grant rate of local education finance. And local self-government's minimum rate of education finance should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yield of taxes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long term, The policy which makes local education finance independent, including national tax system, has to be taken. 본 연구자는 지난 8년간 학교운영위원회에 직접 참여하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경험하면서 진정한 교육자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를 실증 분석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통한 지방교육자치의 개선 방안을 연구하고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 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함께 제시하여 바람직한 지방교육자치의 실현을 위하여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 공립 중·고등학교의 운영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방교육자치제도에 관한 각종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220부를 배부해 회수한 유효 설문지 172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설문조사의 통계분석에는 설문지를 통해 획득한 자료의 코딩(coding)은 엑셀(Excel)을 이용 처리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version1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과제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에는 주로 학교운영 위원회의 운영실태에 대한 집단별 인식도를 검증하기 위해 빈도, 평균분석 및 차이검증(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조사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기능측면에 대한 조사결과,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으로 학부모 학생 지역주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으며 , 심의영역 확대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심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학부모위원 선출방법은 현행대로 후보등록을 받아 학부모 전체회의에서 선출하는 것을 희망 하였으나 교원위원 선출은 후보자 등록 없이 교무회의에서 선출하는 것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전에 후보등록보다는 자유로운 추천에 의해 교무회의에서 선출하는 것을 원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측면에 대한 조사결과, 학생대표의 회의 참여 여부는 필요한 사안이 있을 경우에 만 참여시키며, 회의 개최는 안건이 있을시에는 수시로 개최하여 융통성있고 실질적인 운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 과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형식적인 회의가 지적되었으며, 보다 전문성있고 효율성있는 회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있는 회의를 위해서는 연수교육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으나, 현재 운영위원의 연수경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청 및 단위학교에서의 적극적인 연수 프로그램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셋째, 지방교육자치 개선 측면에 대한 조사결과, 지방 교육자치의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심의․자문기구인 회의 기능을 의결기능 까지 강화해야 한다고 제기하고 있다.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출 방법에 대한 인식은 운영위원, 학부모, 교원에 의한 간접선거를 대다수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접선거의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교육청의 권한 중 “학교교육과정과 내용”.“학교재정운영 자율권 부여” 등을 학교운영위원회로 위임하고 교육청은 지원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초단위 교육자치 확대와 더불어 조속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운영위원의 지방의회 진출은 지역주민 참여와 관심증대 및 지방의회의 학교재정 지원 증대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를 통한 지방교육자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심의기구인 학교운영 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심의 및 의결 기능을 부여 하고 심의 영역을 확대하여 실질적이고 책임감있는 위원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의 수요자이면서 교육공동체인 학생대표를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시켜 의결권은 제약하되 의견을 반영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학교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형식적인 회의를 지양하기위해서는 소위원회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를 초빙하여 자문을 구하고 체계적인 연수교육 등을 통하여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가 요구되는데,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출 방법을 재검토하고 교육청의 학교 교육과정 위임 및 학교재정 자율권 부여 등을 통하여 단위학교 자율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학교운영위원들이 지방의회 및 교육의원에 많이 진출 할 수 있도록 하여 학교 재정과 지역주민의 참여 와 관심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세부적인 매뉴얼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 과학기술부나 시, 도교육청 차원에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연수교육 등을 통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학교자치의 중심축으로서 학교운영위원회가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도 학교운영위원회 위원들의 책임감과 사명감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광역단위에만 실시하고 있는 교육자치를 기초자치단위 까지 확대 해야 한다. 지방분권과 민중통제의 원리를 최대한 구현하고, 아울러 지역주민들이 교육자치를 피부로 체감할 수 있게 하여 지역교육에 대한 관심과 협력을 도출하며, 궁극적으로는 단위학교자치를 도입하는 전 단계로서도 기초단위의 교육자치를 도입함으로서, 교육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최대한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인 지방교육자치를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관장해왔던 기능과 업무 그리고 권한을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에 대폭 위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도 관장업무를 일선학교에 과감하게 위임해주어야 한다. 아울러,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의 교부율 상향 조정 등이 시급하다. 또한 지방세수 확대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재정 부담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국세위주의 조세체계 개편을 포함한 지방교육재정의 자립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 현행 지방교육자치제 운영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김인희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교육자치제도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핵심적 가치는 교육의 자주성, 독립성, 주민통제의 원리, 전문성, 자율성, 교육재정의 안정을 통한 교육활동으로 국가적·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가르치고, 자율적 인간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자율성을 지니고, 또 그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치제도가 요청되는 것이다. 교육의 전문성이나 정치적인 중립성도 이러한 교육의 자율성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하면, 교육에 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들을 지방으로 이양함으로써 주민의 집적 참여한다는 측면도 있다. 우리 나라는 역사적으로 주민자치의 경험이 적다. 그러므로 외국의 주민자치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한 지방자치제도와 그 형식은 유사하나 토대가 다르다. 지금까지 소모적으로 논의하여 온 지방자치와 지방교육자치간에 논쟁은 종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고 21세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측면에서 반목과 갈등을 지양하고 협조와 지원을 모색하여야 한다. 교육자치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기본으로 하여 지방분권을 통한 주민참여로 학교단위의 자율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자치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가 발전하는 길은 국가경쟁력에 알맞은 교육으로 시대의 변화에 대처하고 비효율적인 교육자치제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재구조화하여 교육의 본질에 보다 충실한 교육을 실시하는 길이다. 교육의 본질 구현은 교육의 목적이지만, 행·재정의 효율화는 교육의 목적이 아니라 과정상의 부차적인 목표일 수 있고 그것은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목적을 그르칠 수 있는 수단은 효율성이 있다 해도 결국 가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교육의 본질을 올바르게 구현하기 위하여 교육자치가 올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자치의 개념과 원리를 선행 연구를 통하여 조사하여 현행 우리 나라 교육자치에 알맞는 개념을 정립하여 교육발전을 위해 타당성을 연구한다. 둘째, 외국의 지방교육자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현행 우리 나라 교육자치제와 비교·연구·분석한다. 셋째, 현행 교육자치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재구조화에 대한 합리적 논거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교육자치제도의 재구조화 방향과 과제로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방교육자치의 개념을 정립하여 국민적 합의를 이루어 내야 한다. 둘째, 교육위원회를 독립형 의결 기구화하여 교육자치제를 강화하고 행정에 효율성을 제고한다. 셋째,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와의 상호 갈등을 방지하고 협력하기 위하여 법률적인 협의체를 상설하고 행·재정적 협력체제를 구축한다. 넷째, 현행 광역단위에서만 실시되는 교육자치제를 기초자치단체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지역주민이 참여 할 수 있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확고히 다진다. 다섯째, 교육재정을 확보하고 교육감에게 과세권을 부여하여 지방교육재정의 내실화를 기한다. 여섯째,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하여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신장하고 학교자치의 구심점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 역사를 보면 초기 산업화의 과정 속에서 민주주의를 희생하더라도 경제발전을 하여야 한다는 결과제일주의에 집착하다보니 모든 제도나 법이 그때 그때의 정권유지 차원에서 굴절의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지방교육자치법도 예외는 아니어서 정권의 실세와 의지에 따라 부침을 계속하여 왔다. 최근 교육재정의 효율성만을 위하여 교육자치를 폐지하고 일반지방자치에 통합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 지방교육재정과 일반지방재정을 통합하자는 주장은 교육자치제 50년의 발전적 흐름에 역행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 나라가 국가 경쟁력을 갖고 세계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려면 교육력의 제고 외에는 다른 길이 없으므로 반드시 교육자치가 활성화되어 교육력 제고에 토대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21세기에 요구되는 패러다임의 변화는 단순한 세기의 변화가 아니라 삶의 질, 양식, 사고의 변화를 총망라한 문명사적 변화이다. 따라서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고 올바른 백년지대계를 세우기 위하여는 당리당략이나 집단이기주의, 부처 보신주의 차원을 넘어 교육발전에 이바지하고 교육개혁에 다가설 수 있는 올바른 교육자치제를 정착시키는 일이다. 교육자치의 정점은 올바른 학교자치의 확립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해서는 교육주체들을 자발적인 교육개혁의 중심으로 세우는 일이다. 고로 올바른 교육자치와 교육개혁은 동반자의 관계라 보여 진다. 지방교육자치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방교육의 발전이 촉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교육자치제도에서는 지역 주민이 지역내 교육을 스스로 결정하여 추진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지방교육자치제의 기본원리도 지방교육의 발전이 촉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화되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방교육자치제는 지역 주민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지방교육자치제의 성패 여부는 지역 주민의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요구와 자치능력에 전적으로 달려있다고도 볼 수 있다. 지금은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지역 주민의 열망이 절실히 요청되는 때이다. 교육행정은 궁극적으로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적 기능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방교육자치제도 역시 궁극적으로는 교육현장인 학교의 교수-학습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The study suggests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autonomy as by examining a currently being discussed issue, the unification of local autonomy and its educational autonomy. Specially, considering the historical entanglement in between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the local autonomy, one studied on comprehending the foreign local educational autonomies as to see how it applies in to Korea thereby. Korea, historically, does not have much experience in the local self-governing. So although the local autonomy system developed based upon the foreign local autonomy theory may be found similar in its format, the foundation is indifferent as from. An exhausting dispute up to present time about the local autonomy and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must be put to an end. Thus from a view of pursuing the essence in education and actively coping with the change in 21st century, ones ought to sublate the enmity and dissension while searching for the cooperation and support. In following, the focus is at analyzing the problem in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directing an improved resolution. The autonomy of education should set the self-regulation of school unit as a premise with the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based upon securing of the educational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The current origin of the complication begins from a matter whether to unify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self-governing or to further strengthen the educational autonomy as the friction in between education department and administration department continuously drifts apart since the nations modern education was initiated. In looking into a contention of unifying into the local self-government: First,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is supposed to take a role as a por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ing within the local autonomy system. Second, due to a rupture of connection in between the general local administration and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o invest into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ird, there is a waste followed after the dualism of voting right between the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assembly. Fourth, it is a fact that there is higher rate of inefficient administration as with the distinctive practice of resemblance duplication operation. Then in looking into the educational circles contention of more solidifying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setting the educational self-regulation independent from the general administration: First, the educational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justified on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must be upheld. Therefore as on a side of breaking away from the political power to keep the educational independence and educating the human as a whole,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becomes a further pressing need. Second, it is a fact that once the educational assembly is systemized as self-decisive organ, the administrations inefficiency can be eliminated. By unifying the loss of administrative capability after the current city/province assemblys session of annual 120 days along with the educational committees session of annual 60 days, it is to be organized as an independently decisive system. Third, the local self-governing associations invest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must cooperate by forming a conference committee in between the local educational self-reliant and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s, and the nation increasing the investment in educational appropriation to GNP-prepared 6%, so then the security needs to be rapidly established. Fourth, ones must further extend the educational autonomy to the basic units, create and execute the general administrative districts along with other intermediary administrative districts, then support the school units. Fifth, a school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units must be activated while guaranteeing its self-governess to the maximum degree and further affirm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the educational autonomy. Consequently, in observing the nations history, there finds all the systems or laws, just to stay in power, having to have refracted past time by time, as in the midst of early industrialization process, all were attached upon the principle of only the result first, which said that the economic advancement was to be achieved even while the democracy was being sacrificed. Having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way from the exemption therein, it had gone through the continuous sinking and floating depending on the loss and will of political power. At the point of confronting the 21st century, this change of paradigm is not simply a change of a century but of the lifes quality, cultivation, and way of thinking. Therefore, ones are to pursue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ct centennial policy, the righteous educators structure that contributes in the educational advancement and reach out for the educational reformation must be settled as beyond the party-interested organizations selfishness or the post self-protection theory. It is a definite fact that the summit of the educational autonomy is an establishment of the proper schooling autonomy. As for the success in educational reformation, it is to raise up the main educational structure centralizing around the educational reformation. Thus it is seen that the right educational autonomy and the educational reformation is at an accompanied relationship.

      • 地方敎育自治制의 發展方向에 대한 硏究

        이정수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교육자치제는 교육의 정상적 운영과 교육의 질 향상 및 지역교육발전에 기여해야 하고, 헌법에 규정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이어야 한다. 또한 교육의 본질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지방교육행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 자치기구 구성 및 운영에 주민들의 직접적인 의사가 반영되도록 지역 주민의 참여를 보장하고 강화하는 민주적인 제도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제의 변천과정과 시대별 특징을 알아보고, 현황은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진단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국, 영국, 일본의 지방교육자치제를 통해 한국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학교구성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방교육자치제에 대한 이들의 지각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학부모, 교원, 교육행정직 260명이며, 이중에서 회수된 227명의 설문결과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 연구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교육자치제의 발진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자치와 지방자치와의 연계 및 협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교육재정과 행정 지원을 위한 협조담당부서를 설치하여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교육·학예에 관한 의결권을 교육위원회로 일원화하여 헌법에 규정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위원 및 교육감 선거를 현행 학교운영위원에 의한 간선제에서주민직선제로 전환하여 주민대표성을 확립하고, 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해야 한다. 넷째, 지방교육에 주민통제 및 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주민투표제, 주민발의제, 주민감사청구제, 주민의 조례 제정 및 개폐청구제 등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지방교육자치제의 기본취지를 살리기 위해 현행 광역단위교육자치를 기초단위교육자치까지 확대 실시하여 대중의 교육적 선택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단위 학교경영의 자율과 책임의 폭을 보다 융통성 있게 해야 한다. 여섯째,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충을 위해 지방교육재정 교부율을 현행 내국세 총액의 13%에서 15%이상으로 상향조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법정전입금중 시·도세 전입율을 시·도세 총액의 3.6%에서 10%이상으로 상향조정해야 한다. Local autonomous education system should contribute to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operation,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and local educational development. It should be also a system that ensures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constitutio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needs to fully understand and promo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urthermore, democratic systems should be made to guarantee and strengthen local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formation, operation and decision-making of educational autonomous organiz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utonomous edu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nd then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ystem. Then the study tried to take suggestions from similar systems of the U.S., Britain and Japan. Finally this researcher examined school members' perceptions of the local autonomous education system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reference to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260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Out of the total questionnaire copies, 227 were finally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propose ways of improving the local autonomous education system as follows. First,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are needed.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a section which will be in charge of affairs related to educational finan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under the local autonomous body, building up mutually organic relations with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econd, rights to resolve educational and academic affairs all should belong to the local educational commission. This is the key to guaranteeing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constitution. Third, members and chairman of the local educational commission should be elected not indirectly by school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but directly by local people to be real local educational representatives. This ould raise local people's attention to education. Fourth, Local education control and particip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legal means and systems such as the referendum, the initiative and requests for audit, enaction and abolition. Fifth, educational autonomy should be extended from large to small administrative districts to follow the primary intent of the local autonomous education system. In relation, it is necessary provide the public with the opportunity.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allow each of individual schools to be more autonomous and flexible in managing itself. Sixth, national grants to local educational fiance should be increased from 13 % of the total internal tax to 15% or over. Out of the total municipal or provincial tax, the proportion of amount legally transferred into the local autonomous body should be heightened from 3.6 to 10% or 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