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원 실용무용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교육이 전공자의 학업지속의향, 지속적 대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최용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최근 미디어 플랫폼의 확장과 형성으로 인해 스트릿댄스(sreet dance)를 배우려는 일반인들의 수요가 다시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현재는 평생교육원 중심으로 체계적인 학습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양적 성장에 비례해 질적 성장이 함께 이뤄지고 있는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스트릿댄스 과목 중에서 전공학점으로 인정받는 과목은 ‘힙합I’, '힙합II'에 불과한데, 이로 인해 실용무용 전공자가 본인의 의도와 달리 순수무용 과목들을 이수해야만 졸업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수학점에 비례해 등록금을 지불하는 평생교육원 수강생들에게는 일반과정(전공과목)을 추가 수강으로 불필요한 비용부담이 되고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수강생들의 평생교육원 입학 목적이 달라진 부분을 들 수 있다. 현재의 실용무용 수강자는 사회초년생들의 구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고 이들은 스트릿댄서를 평생 직업으로써 고려한 채 평생교육원을 통해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개발하려는 의미를 갖고 입학한다. 이에 따라 평생교육원의 실용무용 수강자를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포함하는 교육서비스 개선과 전공학점 인정 확대 등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으로 예술전문학사, 무용학사 학위취득이 가능한 평생교육원이 있는 총 13곳의 수강생 대상으로 비확률적표집방법 중에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대상자가 내용에 직접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총 552명의 자료가 실제적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용무용전공자들이 학교생활을 통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학업지속의향과 지속적 대회참여를 종속변수로 구성 후, 교육서비스품질 및 진로교육 독립변수가 어떠한 영향력을 주는지 검증하려 한다. 또한 학업지속의향이 높아지면 지속적 대회 참여가 함께 올라갈 것으로 예측되어 단순회귀분석을 추가하였으며, 전공학점의 필요성과 같은 현장의 중요한 이슈도 학생들에게 큰 영향에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려고 한다. 이상과 같은 자료 분석 및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반응성은 기각 되었으며 신뢰성, 내용성, 가치성은 학업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진로교육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인프라 만족도, 교육과정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은 기각 되었으며 내용성, 가치성은 지속적 대회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진로교육은 지속적 대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인프라 만족도, 교육과정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업지속의향은 지속적 대회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점필요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진로교육이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점필요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지속적 대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점필요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대학진로교육이 지속적 대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점필요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평생교육원 실용무용 전공자들에게 지각된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교육이 학업지속의향과 지속적 대회참여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평생교육원은 실용무용 수강자들의 특수성을 고려해 교육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학진로교육과 학업지속의향 및 지속적 대회참여에 대하여 학점필요성의 조절변수는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대학진로교육에 학점필요성을 통하여 학업지속의향 및 지속적 대회참여를 높이는데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긍정적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반면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업지속의향 및 지속적 대회참여에 대하여 학점필요성의 조절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교육서비스품질에 학점필요성을 통하여 학업지속의향 및 지속적 대회참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함으로 후속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성이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원 실용무용이 제도적 개선과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저변인구를 확대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각 평생교육기관과 실용무용교육 활성화 연구에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장추희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창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21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강원도 지역의 미용학원에 수강중인 60대 이하 연령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은 반응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의 4요인, 교육만족도는 단일 요인, 진로태도성숙도는 확신성, 준비성, 목적성, 결정성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 요인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요인은 진로태도 성숙도의 확신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 요인은 진로태도 성숙도의 준비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 성숙도의 결정성 요인은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원의 교육만족도 요인은 진로태도성숙도 하위요인의 확신성, 준비성, 결정성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목적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태도성숙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보았을 때,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확신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준비성, 목적성, 결정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는 학습기자재, 교육환경, 정보제공, 진로상담 등의 요구사항을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진로태도 성숙도에도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의 기업화된 프랜차이즈 학원, 대형 학원들의 폭넓은 연구가 절실하며, 연구대상의 범위를 다양한 지역과 성별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추가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용전문 인력양성 기관으로서 질 높은 교육 제공 및 유능한 인재 양성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학생들이 미용산업 발전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 미용산업발전

      •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경영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 및 교육기관 학과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논 문 개 요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 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어떻게 운영하여야 대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조리외식경영학과의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리외식 경영 관련 인재를 양성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4년제 대학에서는 보다 우수한 수업 경영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알아보고 양질의 조리교육과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을 도입하였다. 학과의 지속적 발전을 지향하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수업 전략을 논리적 근거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에서 수강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5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 교수전문성 · 교육시설· 행정서비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영향관계에서는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이 학과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등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첫째,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둘째, 대학생들과의 원활한 조리교육의 소통에 관한 자료를 제시한다. 셋째, 조리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학습만족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한 후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활용한다면 본 연구가 추후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교육프로그램과 교육시설에 대한 영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교육프로그램을 좀 더 신중하게 구성하고 교육시설을 개선할 필요성이 확인 되었다.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 서비스품질 요인 중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정서비스와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과 행정서비스의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4년제 대학의 조리 관련학과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만족의 요인은 모두 중요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4년제 대학의 조리교육시에 대학생이 느끼는 학습만족이 중요하다는 것이 다시 한 번 검증되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2년제 대학과 조리 관련 학원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할 수 있는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향미 우송대학교 글로벌외식조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에서의 커피문화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남녀노소 연령층에 제한 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큰 관심이 생겨나게 되고, 이러한 관심은 단순히 커피 한 잔에서 커피를 산업화하는데 이르렀다. 커피산업의 급격한 성장의 그 중심에는 공중파를 통해서 알려진 커피의 붐을 일으킨 바리스타라는 이름의 직업이다. 이러한 바리스타(Brista)의 유래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언어로 바(Bar)에서 고객에게 서비스하며, 머신을 관리하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바맨(Barman)에서 생성된 용어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바리스타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우유 및 각종 소스, 시럽 등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고 서비스하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바탕으로 라떼아트(LatteArt), 커피의 품질 및 종류, 커피 로스팅, 커피 관련 기구 및 장비관리 등 커피에 대한 수준 높은 커피 추출과 서비스에 대한 전문 지식 및 경험, 능숙함을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고 바라는 서비스로 커피를 제공하는 것이다(김미향, 2015). 그동안 우리나라의 커피는 인스턴트커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돈을 지불하고 커피를 공부한다는 것을 그 당시 상식으로 납득하지 못하였다. 커피를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은 커피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의 불균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국내의 커피산업에서 원두커피의 변화는 2006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감소되던 커피 프랜차이즈가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으며, 소비자의 원두커피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영상매체에서 커피를 추출하고 볶는 사람들에 대해 방영되면서 바리스타라는 직업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커피와 관련한 관심도 늘어나 커피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사회·평생교육원 아카데미가 생겨났고, 2004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 바리스타 학과를 도입한 전문대학이 등장하였다(월간커피, 2007). 김미향(2015)의 연구에 따르면 커피 소비의 급증에 따른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커피와 관련된 새로운 직업군인 바리스타(Barista), 커피 로스터(Coffee Roaster), 향미 평가사(Cup Sensory), 생두 판매자(Green Coffee Buyer), 카페 컨설턴트(Cafe Consultant), 에스프레소 머신 판매자(Espresso Machine Engineer) 등의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켰다. 이러한, 커피 바리스타의 관심은 커피를 알고자 하는 교육으로 이어지면서사설 아카데미, 학원, 사회·평생교육원 등에 전문적으로 커피교육 관련한 강좌가 개설되었고, 이후 커피 관련 학과가 생겨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문 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전문학교, 전문 및 4년제 대학교, 대학원에서도 커피와 관련된 과목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정인성, 2018).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커피산업에 있어서 커피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바리스타가 전문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피 시장은 경제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학문적· 문화적인 측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는 커피시장은 앞으로 더욱 확장되고 세분화 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커피산업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무에서 필요한 자질을 전문적으로 교육하고 기본적인 이론과 더불어 로스팅과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한 기술을 배우고 트랜드에 맞는 실무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커피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최성임(2011)의 커피전문점 방문수요의 결정요인분석, 김영주(2015)의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스케이프, 인적서비스와 고객만족, 점포 이미지, 재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등으로 커피시장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송호석(2016)의 생두의 가공법과 로스팅에 따른 커피 관능 특성연구, 박진영(2013)의 커피생두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 등의 커피의 성분에 관련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었다. 커피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채선영(2011)의 직업전문학교 커피 관련 전공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창희(2014)의 대학의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이 만족도 및 직업 선택에 관한 연구, 김진영(2017)의 바리스타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와 관련된 연구 등으로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이러한 바리스타 교육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국·공립 교육기관인 고등학교나 대학 등의 교육과정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이나 직업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만족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관계, 학생만족도와 학습성과의 관계 등을 다루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좀 더 확장하여 모든 연령층에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의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및 행동의도, 학습자들의 참여동기 등의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커피 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의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의 향후 질적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적인 환경조성,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등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의료관광교육서비스 품질개선에 관한 실증연구 : 수정 IPA와 AHP 적용을 중심으로

        변하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growing health concerns worldwide are frequently causing people to move from country to country through advanc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long with the global healthcare market, the global medical tourism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an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o attract foreign patients is intensifying. While Korea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mpetitive next-generation medical tourism market based on medical infrastructure and tourism-friendly environment at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it is relatively late to introduce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n Korea, so the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in related industries, training routes for professionals and education programs are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in various form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and expert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identifi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services recognized by student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educati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student satisfaction and efficient performance aspects of education operation. Based largely on the three preceding models (PZB (1988), Brady & Cronin (2001) and Oh, nara (2018)), the study designed six factors for organizing and measuring the quality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services, which were named ‘instructor expertise’, ‘instructor interaction’, ‘education program’,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s’, ‘outcome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ve of the six factors constituting the quality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services (instructor expertise, instructor interaction,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outcome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relationship with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not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impact relationship. Second, a revised IPA analysis of students found that nine of the 27 medical tourism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excitement factors, three quality factors were basic factors, ten quality factors were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and five quality factors were un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Looking at each of the six organizational dimensions, it was analyz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s, outcome quality, and education programs were excitement factors, instructor expertise was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environmental quality was unimportant factors, and instructor interaction was the basic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conducted on experts, the weights were shown in the order of education program, instructor expertise, outcome quality, instructor interaction,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environmental quality, and practical train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structor's practical ability, and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work, and the intention of retake,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 personal care,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placed in the lower rank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tudents and experts o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the factors that both students and experts valued highly are 9 factors, including many instructor professional factors, and the factors that both students and experts rated low are 8 factors, including many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and environmental quality factors. In addition, five factors,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and outcome quality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importance to experts but low importance to students. Conversely, five factors, including a number of instructor interaction factors, were identified as being of low importance to experts but highly valued in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designed to mea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tourism through prior research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relevant academic experts, and that it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appropriate analysis method from both the student and expert perspective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so exis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supplement them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ample (students, experts) of this study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re are regional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and further studies require a nationwide expansion of the sample. Second,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main institutions, curricula, and period of completion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comprehensively without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so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se findings and applying them to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 since some of the students' samples include those who have completed medical tourism education organized in the general tourism curriculu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tourism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re-research specific samples in the future. Fourth, perceptua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s dynamic characteristics that change over time, so in th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reflect changes in percep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hrough end-to-end research. Finally, this study looked at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but in addition to student satisfaction, the need for extended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s emphasized as a marketing-level approach strategy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retak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loyalty variables.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는 발전된 교통과 통신을 매개로 사람들이 국가 간 이동하는 현상을 빈번하게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과 더불어 세계 의료관광시장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 수준의 의료 인프라와 관광 친화적 환경 등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차세대 의료관광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반면 의료관광산업의 본격적인 국내 도입 시기가 비교적 늦은 관계로 관련 산업의 인적자원 구성, 전문인력 양성루트 및 교육프로그램 등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의료관광교육의 서비스품질을 실증연구를 통해 수강생과 전문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수강생이 인식하는 의료관광교육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수강생 만족과 교육 운영의 효율적인 성과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의료관광 교육서비스 품질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 선행모델(PZB(1988), Brady & Cronin(2001), 오나라(2018))을 근간으로 의료관광교육서비스품질을 구성하고 측정하는 6가지 요인을 설계하였으며, 이는 강사 전문성, 강사 상호작용, 교육프로그램, 교육기관 서비스, 결과품질, 환경품질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교육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6가지 요인 가운데 5가지 요인(강사 전문성, 강사 상호작용, 교육기관 서비스, 결과품질, 환경품질)이 전반적인 학생만족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은 영향관계의 유의성이 검증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강생을 대상으로 수정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27개 항목의 의료관광교육서비스품질요인 가운데 9개 품질요인이 매력요인으로, 3개의 품질요인이 기본요인으로, 10개의 품질요인이 중요한 실행요인으로, 5개의 품질요인이 중요하지 않은 실행요인으로 품질 속성이 확인되었다. 6가지 구성 차원별로 살펴보면 교육기관 서비스, 결과품질, 교육프로그램이 매력요인으로, 강사 전문성이 중요한 실행요인으로, 환경품질이 중요하지 않은 실행요인으로, 강사 상호작용이 기본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1계층에서는 교육프로그램, 강사 전문성, 결과품질, 강사 상호작용, 교육기관 서비스, 환경품질 순으로 가중치가 나타났으며, 2계층 전체에서는 실무교육, 외국어교육, 강사의 실무능력, 현재 업무와의 연관성 등이 상위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재수강 의도, 교육환경, 수강생 개인 관리, 편의시설 상태 등이 하위순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서비스품질요인에 대한 수강생과 전문가의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 수강생과 전문가가 모두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요인은 강사 전문성요인을 다수 포함한 9개 요인이며, 수강생과 전문가 모두 중요도를 낮게 평가한 요인은 교육기관 서비스와 환경품질요인을 다수 포함한 8개 요인이다. 또한 전문가의 중요도는 높지만 수강생의 중요도는 낮게 평가된 요인은 교육프로그램과 결과품질요인을 포함한 5개 요인이며, 이와 반대로 전문가의 중요도는 낮지만 수강생의 중요도는 높게 평가된 요인은 강사 상호작용요인을 다수 포함한 5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관련 학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거쳐 의료관광 특성을 반영한 교육서비스품질 측정요인을 설계하고 이를 수강생과 전문가 양측의 관점에서 그에 적합한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 역시 존재하며 이를 보완하는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수강생, 전문가)이 수도권 지역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지역적인 한계가 존재하므로 추후 연구에는 표본의 전국적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의료관광교육의 주최기관, 교육과정, 교육 이수 기간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모든 교육기관에 적용하는 것에 제한점이 있다. 셋째, 수강생 표본 가운데 일반관광 교육과정 내 편성된 의료관광교육을 이수한 자들이 일부분 포함된 관계로 연구결과가 의료관광교육의 특성만을 전적으로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향후에는 구체화된 표본을 대상으로 재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넷째, 지각된 교육서비스품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동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향후에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교육서비스품질의 인식변화 양상을 반영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는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생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추후에는 학생만족 외 재수강 의도, 추천의도 및 충성도 변수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마케팅 차원의 접근 전략으로 교육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외식조리직업전문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주도성, 교육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교육생들이 외식조리직업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 수강 시 느끼는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이 자기 주도성, 교육 만족과 추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외식조리직업전문교육기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인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외식조리직업전문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20일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대면 설문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 작성법을 충분히 안내한 후 응답을 받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337부가 수집되었으며, 이중 실증분석에 부적합으로 판단되는 설문을 제외하여 총 335부(87.3%)를 최종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은 자기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공감성 요인, 유형성 요인, 신뢰성 요인 순으로 자기 주도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응성 요인, 확신성 요인은 자기 주도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주도성은 교육 만족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기 주도성은 교육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주도성은 추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기 주도성은 추천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 만족은 추천 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육 만족은 추천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조리직업전문교육기관을 운영하는 경영자에게 좀 더 효율적인 운영과 수강생들에게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 how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trainees feel when taking training at a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 affect their self-dire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nd provide data to establish efficient operation plans and marketing strategies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food service cook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rainees attending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targete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0, 2022. Researchers visited in person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face-to-face questionnaires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provided sufficient guidance on how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receiving response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37 copi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335 copies (87.3%) were used for the final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questionnaires judged to be unsuitable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how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affect self-direc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constitut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empathy factor, tangibility factor, and reliability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direction, but reactivity factor and confidence fa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direction. Second, an analysis of how self-direction affects educational satisfaction showed that self-dire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after analyzing how self-direction affects recommendation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elf-dire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 Fourth, after analyzing how educational satisfaction affects recommendation inten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hope to help managers who operat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food and beverage cooking to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establish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students.

      •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 수강자 특성 및 경영학 교육성과 간의 관련성 연구

        조원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이 제공하는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교수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과 경영학 교육 수강학생 특성(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 및 경영학 교육성과(자아성취, 취업준비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 수준 요인들이 경영학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수강학생의 성별, 국제화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수강학생의 특성이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 수준 요인들과 경영학 교육성과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문헌 연구(literature view)를 하였고, 문헌연구 결과와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기초로 설문서를 구성한 후 설문서를 이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경영학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중에 이루어졌으며, 749부의 설문서를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방법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분석을 하였고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하였다.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도 하였다.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 특성과 수강학생 특성, 경영학 교육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성별, 국제화 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경영학교육 서비스품질 특성과 경영학 교육성과 간에 수강학생 특성이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매개회귀분석과 Sobel-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과 경영학 교육성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교수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은 자아성취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행정서비스품질과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은 취업준비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학 교수서비스품질과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이 학생들의 자아성취에 영향을 미치며, 행정서비스품질과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은 취업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경영학 교육에서 교수서비스품질을 증대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공지식을 가지고 강의를 잘하는 교수의 확보 및 교육역량강화 뿐 아니라 학생상담이나 취업지도 등과 같은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대하여 진지한 관심을 가지고 상담하고 진심어린 조언을 해주는 교수서비스 역시 필요하다. 둘째,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과 수강학생 특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교수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 모두 전공만족도와 지각된가치에 정(+)의 영향, 교수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 모두 전공만족도와 지각된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교수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수강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서비스품질 증대 뿐 아니라 경영학 교육을 지원하는 행정직원들의 전문성과 신속한 응답성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업무처리도 필요하며, 수업당 수강인원을 적정하게 배치하고, 강의시설장비를 잘 갖추어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환경서비스 역시 갖출 필요가 있다. 셋째, 수강학생 특성과 경영학 교육성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는 자아성취에 정(+)의 영향,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는 취업준비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강학생의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의 증대가 수강학생의 자아성취와 취업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가 높을수록 자아성취와 취업준비수준이 높아지므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수서비스, 행정서비스, 교육환경서비스에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교에서는 수강학생들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하며,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전공만족도와 지각된가치를 긍정적 방향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교수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이 경영학 교육성과(자아성취, 취업준비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글로벌 경영 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이 글로벌 경영 관련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행정서비스품질과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이 양호할수록 취업준비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강의를 수강한 학생이 영어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교육환경서비스품질이 양호할수록 취업준비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수강학생 특성은 경영학 교육서비스품질과 경영학 교육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는 경영학 교수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과 자아성취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지각된가치는 교육환경서비스품질과 취업준비수준 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가치는 행정서비스품질과 취업준비수준 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학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영학 교육서비스 품질 수준 요인들(교수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 교육환경서비스품질)과 경영학 교육에 대한 수강학생 특성(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지각된가치) 및 경영학 교육성과(자아성취, 취업준비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보다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대학의 경영학과 수강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그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적이다. 향후에는 연구 대상을 넓혀 전국의 경영학 수강학생들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확대된 일반화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교육성과로 자아성취와 취업준비수준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전국 소재 대학들은 지역특성, 학교특성, 구성원특성 등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그리고 교수수준 등이 차이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경영학 교육서비스 품질 수준, 경영학 교육에 대한 수강학생 특성, 경영학 교육성과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심도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professional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vided by universitie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tending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perceived value),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self Achievement, job preparation level). Also, it is to test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business education quality factors on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quality factors in business education and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studies, a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results and pilot tests, and the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5 to November 30, 2019 for students taking business administration, and 74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with SPSS 24.0. A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an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tending business, and the education performance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internationalization, th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t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laying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quality factors in business education and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it was verified by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 business administration,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achievement, and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job preparation level. It has been found that the quality of teaching service and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in business administration affect the self-achievement of students, and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education affect the level of job prepar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eaching services in business education, it is not only to secure professors who have good major knowledge and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but also to provide advice and sincere advice with serious interest in solving problems of students such as student counseling and job guidance. A high teaching service is also needed.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it, the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 in teaching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lso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influence major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s, and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ffect self-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quality of teaching services, but also to provide professional management, prompt responsiveness, and reliable business processing to support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quip well equipped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servic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classe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performance,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achievement, self-efficacy and perceived valu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job preparation level (+ ).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increased perceived value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self-achievement and job preparation level. The higher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valu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chievement and job preparation,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eaching services, administrative servic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s to increas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increase self-efficacy. Schools need to make efforts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need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to support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s ​​in a positive direction. Fourth,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fessional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performance (self achievement, job preparation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but students who took a global management-related course showed higher levels of job preparation than administrative students who did not take a global-management-related course, and the quality of job preparation was higher. The high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was, the higher the job preparation level was.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business education service quality ar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business education performance. It has been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achievements.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value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nd job preparation level, and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job preparation level. This study may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research, and it intends to suggest more meaningful research direction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ies. First, this study is only for students attending departmen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som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Gangwon and Chungcheong, and the results are limited to generalization across the countr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f the research subject is expanded to the study subjects by expanding the study subjects to students from across the countr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broadening generalization can be confirmed. Second, in this study, two levels of self-achievement and job preparation were suggested as educational performanc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ies located across the country differ in their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level depe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school characteristics, and member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in depth, including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service in business administ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aking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various variabl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performance.

      • 조리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습동기,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해경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조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학습전이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학습동기 및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전이 간의 영향관계에서 교육만족도는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도구는 학습동기, 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학습전이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절차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의 하위변인 중 내재적 학습동기는 강사,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재적 학습동기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재적 학습동기, 외재적 학습동기 모두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은 교육방법,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신뢰성은 강사, 교육내용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성은 강사, 교육방법,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신성은 강사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성은 강사,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반응성, 공감성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행을 분석한 결과, 강사, 교육내용, 교육환경 만족도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동기와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동기에 대한 매개효과는 유의하며, 교육방법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결과, 내재적동기 및 외재적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결과, 내재적동기 및 외재적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환경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결과, 내재적동기 및 외재적동기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강사 만족도가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강사 만족도는 교육서비스품질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방법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 반응성과 공감성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내용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 공감성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교육환경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 반응성, 공감성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리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리교육 경험이 있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리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류하고, 조사대상자를 강사와 학습자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횡단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과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종단연구 수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요리전문학원의 선택속성과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의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수정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재 한국사회는 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수준 높은 삶을 추구하며 평생학습에 대한 중요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평생학습으로 요리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는데 안전한 음식을 만들고 가족들과 먹기 위해 집에서 음식을 만들고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건강하고 맛있는 요리를 배우고자 하는 생활요리, 취업 및 기술자격을 목적으로 하는 자격증 위주의 요리,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업요리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수강하는 수강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수강생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는 교육기관을 찾아가고자 한다. 요리전문학원에서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강생들의 선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요리전문학원의 수강생들이 강사, 프로그램, 교육환경, 외부환경들의 선택속성에서 어떤 요인에 교육만족을 하는지와 추천할 의도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또한 교육서비스품질의 여러 가지 요인 중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반응성, 확신성 다섯 가지요인으로 분류하여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조리교육, 선택속성과 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대해 기존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작성하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 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요리관련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2015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수강하고 있는 또는 수강경험이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여 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와 함께 첫째, 요리전문학원의 선택속성으로 강사와 프로그램은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정(+)의관계가 있음을 나타냈으며 수강생은 요리학원의 선택할 때 강사와 프로그램에 만족도를 느꼈으며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환경과 외부환경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타인에게 추천할 의도가 없다는 점까지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 차원이 교육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요리전문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 중 유형성, 공감성, 반응성이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수강생들이 교육에 필요한 장비, 교재, 기물 등을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강생들은 수강 전 학원을 선택할 때의 선택속성보다는 수강경험을 한 후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추천의도가 높다는 연구결과를 알 수 있었다. Nowadays, more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lifelong learning, which is perceived as increasingly important aspect of life. It reflects the fact that people are seeking a higher quality of life in line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numerous people became interested in cooking education. More people are learning how to cook food safely and enjoying home-cooked meals with their family. Moreover, the students have various purposes for learning such as 'everyday cooking' for creating healthy and tasty dishes, 'license-based cooking' for employment and skills, and restaurant business cooking for developing menus. Thus, students pref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it their purposes. Therefore,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offer programs that cater the needs of students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s and learning purpos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which selection attributes ― instructor, progra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 lead to their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angibility; reliability; empathy; responsiveness; confidenc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To that end,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studies. The topics are cooking education, selection attribute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Afterwa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rmer and current students in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It was done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in 2015.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is study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oking academies, 'instructor' and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students who choose a particular cooking academy a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or and program and have the intention to refer the academy to other people.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It made them unwilling to refer their cooking academies to other people.   Second, how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ffects their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was analyzed.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tangi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refer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students highly value the equipment, textbooks, and other items for education at cooking academie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referral intention was higher after taking classes, compared to the selection attributes before taking any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