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라하대 불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연구 : 개창조와 그 제자를 중심으로

        진창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신라하대의 선불교를 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종교의 기능 속에 교육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넓은 의미일 뿐 체계적 의미의 교육은 아니다. 신라하대에 들어 당나라 유학으로부터 귀국하는 선사들이 기존의 교학불교와는 전혀 새로운 선불교를 도입하여 제자를 양성하기 시작하고 지역별로 선문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스승과 제자 관계의 성립, 선사들의 구도과정과 교화실천의 모습, 이들의 교육사상 등을 밝힘으로서 나름의 체계를 갖춘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Ⅱ장에서 선종의 형성 개요, 시대와 사회적 배경, 선불교 도입 이전의 불교교육과 선의 교육학적 이해를 서술하여 논의의 배경 근거를 마련하였다. 원래, 마음으로만 통하는 선불교의 근본 취지로 보면 선(禪)에서 언설적 교학이란 있을 수 없다. 직지인심ㆍ견성성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의 교학관계로서 스승과 제자 관계는 엄격히 존재했고, 이는 역사적 사실이기도 했다. 이에 선불교의 교학 현상은 ’선문답‘이라는 초언어적 논리로 표현되면서 깨우침을 유도하는 간접적 교육현상으로 나타난다. 이 때 선문답은, 기존의 인식틀 해체(스승이), 깨달음의 상태와 수준 확인(스승이), 선문 안으로의 진입(제자) 등의 단계로 파악되는 이론적 근거도 세워진다. 이러한 선의 교육 단계는 Ⅱ장에서 논의된다. 신라하대 선불교는 9산문 중 7산문이 마조계의 선사로부터 전수한 것이었다. 이 때 중국 유학에서 귀국한 신라 선사들은 각 지역으로 나아가 저마다 제자를 양성하면서 선문을 개창한다. 이 선문들은 중국 선종의 영향이었지만 신라의 상황에 맞는 저마다의 특징과 선풍을 이루었다. 다시 말해 지역 교육의 중심으로서 학교의 역할을 하면서 그 전통을 세워간 것이다. 이것은 선문마다 개창조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다른 선풍과 선불교 용어를 제시하면서 제각기 그 특징을 드러낸다. 이는 선불교의 ‘도입과 선문 개창기’, ‘정착ㆍ발전기’, ‘선문 분화기’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점 구체화된다. 이 때 각 선문마다 개창조와 그 제자의 만남과 소통,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그 선문의 특징 등에 관한 논의가 Ⅲ장의 주제이다. 물론 이 때의 주 논지는 선의 가르침과 배움의 관점에서 선사들의 행위를 해석하는 것이고, 그 바탕 자료는 주로 비문(碑文)과, 선종인물어록이었다. 한편 이러한 선문형성의 주역들인 개창조 선사와 그 제자 선사들 역시 수학(修學)과 구도라는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진 인물들이고, 동시에 교육을 실천한 교육자였다는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 이 연구의 Ⅳ장 1절이다. 그리고 이들이 수학과 구도의 과정에서 배우고 터득한 선불교에 대한 사상과, 제자에게 가르치고자 했던 생각 즉 교육사상을 찾아서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Ⅳ장 2절이다. 선사의 구도와 교화실천은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출가와 수학, 승려로서의 수행과 갈등, 중국 유학, 새로운 공부와 구도 및 득도, 보살행 실천, 교화실천 등의 과정을 거쳐 비로소 ’선사‘라는 종교 지도자가 되고, 한 국가의 ’국사‘라는 호칭을 받기도 한다. 선사들의 생애는 대체로 수학과 득도 이전까지는 구도기, 득도 이후의 중생교화 기간을 교화실천기로 구분된다. 이 때 구도기는 교육을 받는 기간, 교화실천기는 교육을 실천하는 기간으로 나누어 논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별 선사들의 구체적 모습은 모두 본문에 밝혀져 있다. 그리고 선사로서 이러한 지도자적 성품의 바탕에는 당연히 그들이 선불교의 교학에 대한 관점과 입장, 수행 방식 등을 제시한 자신만의 생각이 있었다. 바로 ’선사상‘이고 그 가르침인 ’교육사상‘이다. 각 선문의 개창조별로 ’선사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가지산문의 개창조 도의의 조사선도(祖師禪道). 2) 실상산문의 개창조 홍척의 수이무수(修而無修)‧증이무증(證而無證). 3) 쌍계산문의 개창조 진감혜소의 심법(心法). 4) 동리산문의 개창조 혜철의 선교융합(禪敎融合). 5) 성주산문의 개창조 낭혜무염의 무설토론(無舌土論). 6) 희양산문의 개창조 도헌의 점수선(漸修禪). 7) 사굴산문의 개창조 범일의 진귀조사설(眞歸祖師說) 등이다. 이러한 사상이 제자 양성의 바탕이 되어, 각 선문마다 구체적 가르침의 지침과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교육사상‘이었다. 이상 신라하대 선불교의 교육적 논의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사적 의의를 도출할 수 있다. 1) 기존의 교학불교가 선불교로 바뀐 것은 국가 이념의 변화이자 교육의 변화이기도 하였다. 2) 선불교에로의 변화는 종교의 영역 확장임과 동시에 교육의 관점 변화를 가져왔다. 3) 초기 선불교 법계의 미시적 연결과정을 확대시켜 사제관계라는 교육의 관점으로 찾아 밝혔다. 4) 산문별 선사들의 선사상과 교육사상을 찾아 밝혔다. 5) 신라하대 불교교육에 대한 연구 부재의 간극을 채우는데 일조하였다.

      • Pestalozzi의 교육사상 연구 : 유아교육 사상을 중심으로

        이원숙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We need 'education of the whole man' and 'remodelling the fun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satisfy this need, I attempt to study Pestalozzi's philosophy of education, focusing on his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ing is the aspect of Pestalozzi's philosophy of education. Pestalozzi is a thinker of education who put his theory into practice. His views on man, nature, family, and religion, which form the basis of his philosophy,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His view on man is central to his philosophy. He believed that animal, social, and moral beings exist in humanity, and moral being is what education should produce. Nature, according to Pestalozzi, is a sacred ideal of education. It is a subjective nature that man has. Family is where education of humanity starts, where children grows in harmony with his natural ability, where a sense of morality, affection, and religion is awakened. God, described with respect to humanism, is the highest moral ideal. Therefore, man, the central subject in Pestalozzi's philosophy, pursues religion, the highest point of moral ideal, which can be reached by the natural education at h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Pestalozzi pursues education of the whole man. For this he applies the principles of spontaneity, intuition, familiarity, and harmony. Thus his thought gave the great influence on modern education. He offers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ll the aspects of man, that gives priority to need, interest, and individuality of infant learners, that builds up the image of studying instructor, and that awakens a new interest in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a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extreme self-centeredness, and insensibility that man in modern society experiences, Pestalozzi's philosophy, which is based on morality, has a great significance. It is an education of the whole man. In this respec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hould study more and deeper about his thought, and put it into practice. In conclusion, Pestalozzi's philosophy of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in modern society wh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ncerned only about knowledge and technique, in order to realize creative and original education of human beings. For this I suggest that programs which is based on Pestalozzi's philosophy should be developed, that knowledge, morality, and physical health should be harmonized in education, that a sense of morality should be learned as early as possible, that family should cooperate with other organizations to revive the function of family in education, and that children should be allowed as much freedom as they can get to enjoy independence and uniqueness.

      • J.J. Rousseau의 敎育思想이 音樂敎育에 미친 影響

        이진영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교육은 음악을 통하여 아름다움을 충분히 느끼며 음악미를 어떤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과 이것을 통하여 인간정신을 순화하고 정서를 도야하며 풍부한 인간성을 목표로 하는 인간교육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의 음악교육은 인간교육 즉 전인교육으로의 일환으로서 교육의 중요한 분야를 맡고 있다. 음악교육이 인간형성의 한 방편이 된 이상 그 변천은 언제나 그 시대의 교육사조에 관련되어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음악교육이 조화로운 인격형성, 즉 '전인적인 인간형성'이라는 목표로 교육이 실시된 시기는 18세기의 자연주의 교육사조가 나타나면서 부터였다. 자연주의 교육사조는 모든 것을 이성에 비추어 보아 불합리한 것을 판단하려 하였던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다. 자연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이 인간으로 하여금 그가 지니고 있는 모든 소질과 성장 가능성을 되도록이면 다 발휘할 수 있도록 길러주고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또 이러한 성장은 바로 자연의 질서에 따른 조화있는 성장이라고 하였다. 18세기 루소의 교육사상은 인간존중에서 비롯되어지며, 교육의 주체를 교사로부터 아동으로 이전하여 아동의 이해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였고 아동발달특징에 따른 교육을 주장한 것이 특징이다. 자연주의 교육사조의 대표적 사상가인 루소는 음악교육에 소극적이고 냉담하였던 시대에 누구보다도 전인적 인간형성이라는 음악교육의 가치를 인정했고, 인간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음악교육 방법의 탐구에도 업적을 남겼다. 그의 교육사상은 '자연으로 돌아가라'라는 자연주의로서 아동발달단계에 따른 교육을 특히 음악과 접목하여 아동음악교육을 중시했다는 것이 특기할 만한 일이다. 루소는 그의 저서 '에밀'을 통해 음악교육관을 피력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성장의 원칙을 적용하여 아동들의 감각을 바탕으로 인지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청각 훈련법, 가창, 기악, 창작에 관한 음악 교수법에도 관심을 보였다. 루소의 음악교육사상은 마침내 범애주의로 성숙해 갔으며 이 범애파 교육가들은 교육이 신앙과 국민성의 차이를 초월하여 널리 인간애의 정신에 의해 행해지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음악도 교회음악 편중의 입장에서 탈피하여 민요 등을 교재로 하고 가창교육 이외도 기악교육과 감상교육을 존중하게 되었다. 이렇게 루소의 음악교육사상은 범애파에 의해서 실제적인 근대 음악 교육으로 완성되었으며 나아가 19세기 초반의 신인문주의 교육사조에 이르러 그 절정에 달하였고 근대적 의미에서 예술과 교육의 관계를 인식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의 음악교육사상은 페스탈로찌를 비롯한 네겔리, 파이훼르, 젤러 등의 교육 사상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의 연구가 개량되어 나토로프, 코흐, 하일로드 등의 활발한 음악활동으로 발전되었다. 본 논문은 고도로 과학화되고 기계화된 현대사회에서 음악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과 음악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 그의 교육사상이 음악교육에 미친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음악교육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음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music education is to grow an ability of feeling beauty and expressing it through music. It is an education to refine humanity and to form one's character for a rich humanity. The music education is a human education, a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is a way of building one's character. We should, therefore, study the history of music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education thoughts. Building harmonic character, education for the whole man, has been a goal of music education since the naturalism in 18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due to the development of materialism, the general educational thought was intellectualism that believes omniscient of knowledge and rationalization of knowledge.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thought being from the enlightenment that judge everything according to reason. The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phy emphasizes an education that helps human begging to give full play to one's genius. It consider that growth is natural and hamonious. The 18th century Rousseau's educational philosophy originates in human's dignity. It serves as a major momentum to understand children by moving the main body of education from teachers to children. It is distinctive feature is advocating of an education based on children's growth. Rousseau advocate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valued a human educational aspect of music education, and contributed music education methodology. He was a naturalist who advocates "return to he nature" and valued musical education for children. In his writing "Emile", he stressed the growing ability of perception based on children's sensibility, showed interest on methodology of teaching hearing, vocal, instrumental music, and composition. Rousseau's naturalistic educational thought transcended religion and race, completed modem music education, peaked at neo-humanism, and help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Rousseau's music education affected many educational ideologists including Pestalozzi, and H. G. Nageli, M. T. Pheiffer, C. A. feller. It also affected vigorous music activity of B. C. L. Natorp, F. W. Coch and I. A. G. Heinroth. This thesis studied the Rousseau's naturalism and its effect on the highly scientized and mechanized present age to understand right music education and to give direction of right music education.

      • 退溪 敎學思想의 現代敎育的 考察

        장세근 誠信女子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평생을 학문 연구와 居敬을 통한 자기 수양의 실천적인 삶을 살았던 退溪의 敎學思想을 고찰하고, 그것의 현대교육적인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고찰하였다. 첫째, 爲己之學을 실현하기 위하여 퇴계가 추구한 교육목적, 교육방법, 교육자의 자세는 구체적으로 어떠한가? 둘째, 인간교육의 과정으로서 퇴계가 추구한 교육목적, 배려교육, 교육방법, 교사교육, 평생교육 등의 현대교육적인 의의는 어떠한가? ‘學問이란 그 일을 익혀서 참으로 실천하는 것’이라는 퇴계의 진술에서 알 수 있듯이, 퇴계 敎學은 논리적이고 이론적인 의미보다는 수양과 실천의 의미가 더 크다. 즉 퇴계의 학문적인 본령은 虛飾에 힘쓰며 외물을 따라 명성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의 가까운 곳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마음으로 깊이 깨달아 몸소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학문이다. 退溪의 교육목적은 聖人을 배워서 군자의 단계로 상승하기 위해 노력하는 선비의 양성에 있었다. 선비정신의 핵심은 仁과 爲己之學 및 反求諸己라고 볼 수 있다. 일상의 실천을 중시하는 퇴계 교학의 주요한 교육방법은 학문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하여 인을 구하고 덕을 이루는 주동자인 立志, 개인차를 중시하는 계발식의 교육방법과 학문의 차례를 중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퇴계 교학사상의 현대교육적인 의의는 교육목적, 배려교육, 교육방법, 교사교육 및 평생교육 등으로 고찰할 수 있다. 일반 성리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퇴계도 학문의 종류를 위기지학과 위인지학으로 나누어,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인 자신의 인격을 완성하는 것을 중시하는 위인지학을 긍정하였다. 반면에 과거 급제나 사회적 출세를 지향하는 위인지학에 대해서는 소극적이고 부차적으로 취급하였다. 이는 과거나 지금이나 공부에 본말이나 경중이 있음을 각성시켜 준다. 또 퇴계의 知行互進說은 지식과 실천의 단순한 교섭이 아니라 인간 완성 또는 인격의 실현을 위한 생각과 말과 행동의 적극적인 교섭이므로 전인교육과 관련된다. 따라서 퇴계가 추구한 위기지학과 전인교육은 인간교육의 이념과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오늘날 도덕교육을 소홀히 하는 현대교육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볼 때 퇴계의 교학사상은 배려교육과 관련된다. 배려는 실천을 수반하는 정서적·도덕적인 개념이다. 즉, 상대의 마음을 치유하는 진실한 관심과 사랑의 행동으로 인간소외나 갈등을 줄여주는 성향이다. 퇴계가 실천한 가정에서의 온화함과 교육자로서의 모범, 대화, 계발, 실천, 확증 등의 덕목은 오늘날 학교교육의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윤리로 부각되고 있다. 퇴계는 교육방법으로 입지와 개별학습 및 순서점진 교육을 강조하였다. 입지는 삶의 일상적인 타성을 끊어 버리고 사람의 도리를 알고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것이다. 개별학습은 학습자가 지닌 능력이나 의지, 흥취를 고려하여 가르치는 것이며, 순서점진은 학습에 있어서 순서를 뛰어넘거나 서둘지 않는 교육을 말한다. 이러한 퇴계의 주요 교학방법은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뚜렷한 목표의식을 제공한다. 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점수 올리기에 급급한 오늘날 교육 현실에 여유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자기와 타인과 사물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스승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敎師像과 관련하여 退溪敎學思想에서 중요한 것은 同一視이다. 퇴계가 추구하는 敎學이 인지적 측면보다는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승에 대한 학생들의 동일시는 더욱 영향력이 크다. 퇴계는 스승과 학생들 사이에는 ‘스승은 엄하고 학생들은 스승을 공경하여 각기 그 도리를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모두 禮를 행함을 위주로 한다고 본 것이다. 스승과 제자 간의 예의를 중시하는 퇴계의 교학사상은 오늘날 교사와 학생의 관계 정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교사로 하여금 진정한 권위와 존엄성확보방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 과업들은 오늘날의 제도교육처럼 어느 한 기간의 과정이 아니라 평생을 통해 지속해야 하는 총체적인 삶의 과정이다. 퇴계는 젊어서나 늙어서나 자신이 도달한 학문의 경지에 안주하거나 자족함이 없이 끊임없이 학문에 매진하였다. 이러한 퇴계의 구도자적인 자세는 평생학습에 대한 형식 및 비형식 교육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무형식 교육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thought of Toegye who had lived a practical life with self-discipline through scholastic pursuit and “Kyeong”(self-possessed awareness) aims at contemplating his educational thought and interpreting it in moder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s unfolding four arguments i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specific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ors’ attitude that Toegye has pursued to realize “Wee Ki Ji Hak”(the learning for the sake of oneself)? Second, what is the modern educational meaning of the purpose of education, car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eachers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at Toegye has pursued as a process of human education? As we know through Toegye’s statement, ‘learning is to know it by heart to put it in an actual practice,’ Toegye’s educational methodology focuses on the meaning of practical attitude rather than that of the logical idea or knowledge. That is, the feature of Toegye’s theory which says that the purpose of teaching or learning is neither to earn fame nor honor but to begin studying mere trifles in everyday life, to realize them by heart, and to carry them into practice. The purpose of Toegye’s education is to train oneself as a “Sonbi”(a man of virtue) who endeavors to incline to a stage of wise man by learning how to live like a saint. “In”(benevolence), “Wee Ki Ji Hak,” and reflecting on himself make up the core of Sonbi's spirit. Toegye’s main education methods that regarded practicing in everyday life as important are as follows: First, under the process of realizing Lib-Ji, one should earn “In” and accomplish “virtue” by taking a determined attitude toward learning; Second, practice teaching methods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in individuality and the learning order (e.g. one should start studying easy concept in the beginning and gradually reach the secrets of learning in the end), etc. Toegye’s educational thought can be contemplated in a modern educational significance such as the purpose of education, car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eacher’s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Like other general Confucian scholars, Toegye has classified the “learning” into two basic categories: “Wee Ki Ji Hak” (Learning for the sake of oneself) and “Wee In Ji Hak”(Learning for worldly fame). While he valued “Wee Ki Ji Hak” as a crucial factor to accomplish one’s character and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he regarded “Wee In Ji Hak” which put emphasis on the state examination or success in society as a passive and subsidiary issue. This piercingly reminds us that there is a ‘means and ends’ or ‘relative importance’ in learning in the past or even today. Moreover, Toegye’s “Jihaenghojinseol”(a theory of mutual dependence between the knowledge and practice) is not just a mere negoti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but an aggressive negotiation of thoughts, words, and behavior to accomplish ‘human completion’ with ‘the perfection of characters’. Thus, it has relations with ‘education for the whole man’. Since “Wee Ki Ji Hak” an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at Toegye has pursued suggestive methods and idea of human education, these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modern education that neglects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today. Next, as it i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of Toegye and education of caring. A consideration with emotion and moral concepts which is being accompanied with the practice has an inclination to reduce a sense of alienation and a mental conflict which may develope among students. Such as generosity at home, virtue as an educator, dialogue, improvement, practice and confirmation are accentuating as a new alternative code of conducts that can cope with risky situations in today’s school education in which extreme competition, opposition, and violence are being disclosed. Toegye has emphasized the practicve of “Lib-Ji”, the individual instruction, and the gradual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s. “Lib-Ji” is ‘to cure usual force of habit, grasp moral sense, and pursue a new life.’ An Individual instruction is to teach a learner to consider his own capacity, volition and interest and that there should be no skipping in educational orders or hastiness in a gradual education. These teachings of Toegye and learning methods suggest determined learning goal to the people who purse a better lifestyle, yet are confused about sense of values in life. Also, they suggest that there is a hope in today’s fearful and competitive education reality where people tend to put considerable weight on earning good grades. A learner must acquire an instructor’s help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 between himself and others. Among Toegye’s educational thoughts the “identific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with regards to making the good image of teachers. As Toegye’s “Kyo-Hak”(teaching and learning) has pursued morality over cognitive aspects, students’ identification with teachers has greater influence on behavior virtuous. Toegye asserted that in a relationship of teacher and student, a teacher should be strict toward the student, and a student should respect the teacher and thus perform his best respectfully. Toegye’s teaching and learning ideology that puts considerable weight on good manner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proposes many suggestive points in establishing tru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urther assists teachers to be given with authority and dignity when teaching. Lastly, these tasks are not a course for a specific process like today's systematic education but rather a life-long comprehensive process that needs to be continued on. Toegye has continued devoting and confining himself in learning regardless of his age. The attitude of Toegye in which sought out for the ultimate truth has emphasized on the principle of a life-long education in respect that one must concern about and pay attention to both, formal or non-formal education that arises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concept of formal or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 조선시대 제주오현 교육사상 연구

        강동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의 사액서원인 귤림서원에 배향된 제주오현(충암 김정·규암 송인수·청음 김상헌·동계 정온·우암 송시열)의 교육사상을 규명하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이 과연 어떠한 교육사상을 지닌 인물이며, 그들이 제주와의 관련성이라는 일차적 특성 외에 어떠한 측면 때문에 제주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교육사상과 삶을 이해할 수 있어야만 제주유림들이 200여 년 동안 이념적 푯대로 추숭(追崇)했던 제주오현의 모습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밝히고,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사상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제주 귤림서원은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1521년(중종 16) 사사(賜死)된 충암 김정을 기리기 위해, 1578년(선조 11) 조인후 판관이 충암묘(冲庵廟)를 건립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후 제주유림 김진용의 건의로 1660년(현종 1) 이괴 목사에 의해 장수당(藏修堂)이 건립되었고, 1667년(현종 8) 최진남 판관이 충암묘를 장수당으로 옮기면서 제향 공간과 강학 공간을 모두 갖춘 서원이 성립되었고, 귤림서원이라 현액하였다. 1669년(현종 10) 안무어사였던 청음 김상헌과 유배인 동계 정온을 추향하였으며, 1678년(숙종 4) 제주목사였던 규암 송인수를 추배하였고, 1682년(숙종 8) 사현(四賢) 서원으로 사액(賜額)되었다. 1695년(숙종 21) 유배인이었던 우암 송시열을 배향함으로써 제주오현이 완성되었다. 충암 김정은 조광조와 함께 지치주의(至治主意)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던 기묘사림이었다. 충암 김정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모든 공부의 본체적 의미로 ‘경(敬)’을 강조하였으며, 『소학』과 『근사록』을 중시하였다. 성균관의 개혁과 현량과의 설치, 향약의 실행 등 적극적인 교육개혁을 실시하였다. 제주에서는 김양필과 문세걸 등의 제주유림과 종유(從遊)하였으며, 제주인의 윤리·도덕적 교화를 위해 불교의 활용을 용인하는 등 현실주의적 교육담론을 제시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제주목사로 약 3개월간 재임했으며, 제주목사의 체임(遞任)이 문제가 되어 경상도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규암 송인수의 제주오현 배향의 정당성과 배향 이유에 관해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료를 통해 규암의 제주목사 부임과 사임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짧은 제주목사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규암 송인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대학』을 중시하였으며, 충암 김정과는 달리 학문을 통한 배움을 강조하였다. 성균관 대사성 재임 때에는 유생들에게 도학(道學)과 의리(義理)를 강론하였고, 전라도 관찰사 재임 시 『소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였으며, 평생 중의경리(重義輕利)의 삶을 추구하였다. 규암은 조선 전기사림과 후기사림을 잇는 시기의 학자로서 제주오현과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충암 김정과는 은진송씨 삼현(三賢)으로, 청음 김상헌과는 임당 정유길, 상촌 신흠을 통해 영향 관계가 형성된다. 동계 정온과는 남명 조식을 매개로 영향 관계가 형성되며, 우암 송시열은 규암 송인수의 종증손(從曾孫)이다. 이러한 규암 송인수의 다양한 학적 네트워크로 인해 귤림서원 오현의 영향 연관이 설명될 수 있었다. 청음 김상헌은 1601년(선조 34) 안무어사로 파견되어 제주와 인연을 맺었다. 청음 김상헌은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慾)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소학』과 『예기』를 통한 근본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 역시 규암 송인수와 마찬가지로 거경(居敬)의 수양론보다는 학문을 통한 도문학(道問學)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청음 김상헌은 평생 의리적 삶을 살아온 선현(先賢)을 추숭하였으며, 시를 통한 함양과 고요함 속의 공부론을 추구하였다. 제주에서는 민본주의와 애민정신을 바탕으로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을 통해 제주인에게 모범적인 스승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안무어사의 임무 중 하나인 별시시취(別試試取)를 통해 제주에서는 최초로 별시 문과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따라서 청음 김상헌이 제주에서 보여준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교육적 영향만으로도 귤림서원에 배향하기에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평가하였다. 동계 정온은 1614년(광해 3) 영창대군을 살해한 강화부사 정항을 참수하고 영창대군을 대군의 예로 장례 지낼 것을 요청하는 「갑인봉사(甲寅封事)」로 인해 제주에 유배되었다. 인조반정으로 해배될 때까지 약 10년간 위리안치 생활을 하였다. 동계 정온은 명인륜(明人倫)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수양론으로서의 ‘지경(持敬)’을 매우 강조하였다. 『소학』과 『심경』을 중시하여 마음 다스림의 교과서로 활용하였다. 평생 독실하게 독서와 저술 활동에 힘썼으며, 제주유배 생활에서 이러한 모습이 더욱 두드러진다. 동계 정온은 제주오현 중 유일하게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영향을 모두 받은 영남 출신의 학자이다. 따라서 동계 정온의 귤림서원 배향은 제주오현 교육사상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후대에까지 영남학파의 학풍이 제주에 전파되는 역할을 하였다. 우암 송시열은 1689년(숙종 15) 세자 책봉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에 유배되어 약 110일을 보내고, 서울로 압송되어 가던 중 정읍에서 후명(後命)을 받고 사사(賜死)되었다. 우암 송시열은 성심을 다하여 거짓이 없음을 뜻하는 직(直)을 평생의 신념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직’ 사상은 그의 교육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암은 거경(居敬)과 궁리(窮理)의 병진(竝進)을 강조하는데, 독서를 통해서도 치지(致知)와 존심(存心)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암 송시열도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과 같이 수양론의 경(敬)보다는 도문학(道問學)의 영역을 강조하였다. 우암은 『소학』과 『가례』를 학문의 입문처로 보고 중시하였으며, 이는 율곡 이이와 사계 김장생의 독서 차제(次第)를 수용한 것이었다. 우암은 평생 주자를 신봉하고, 벽이단(闢異端)을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따라서 주자 성리학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벽이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우암의 철저한 분석적 학문 태도는 제주유배 생활에서도 한결같았으며, 우암의 이러한 학문적 태도에 제주 유림은 감발흥기(感發興起)하였을 것이라 판단된다. 제주오현의 교육사상을 모두 살펴본 결과 큰 틀에서 성리학의 공부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가치론적 측면에서 ‘천인합일’의 교육목적을 지향하였으며, 심성론 또는 공부론의 측면에서 볼 때 ‘존천리거인욕’의 교육목적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제주오현은 공부론의 방법론에서는 강조점의 차이가 있었다. 충암 김정과 동계 정온은 수양론적 측면의 ‘경(敬)’을 매우 중시하였으며, 규암 송인수, 청음 김상헌, 우암 송시열은 상대적으로 학문을 통한 궁리(窮理)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제주오현 모두 일관되게 『소학』을 중시하였는데, 수신서(修身書)로서 『소학』을 내면화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였다. 한편 교화의 교육과정으로 『소학』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제주오현은 사변적 학문 탐구를 추구한 학자적 삶보다 수기치인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실천적 삶을 살았던 인물들이었다. 그들의 실천적 삶은 도학자(道學者)의 전형이었다. 특히 일상적 삶에서도 도학적 의리사상을 실천했지만, 죽음을 무릅쓰고 행했던 대의(大義)를 위한 의리사상의 실천은 그들을 제주오현에 배향하게 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들의 도학적 삶과 의리정신의 실현은 성리학을 통해 배운 내용을 실제의 행동으로 옮긴 것으로 지행병진(知行竝進)의 전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서원에 향사된다는 것은 ‘선생’으로 표시되는, 만인(萬人)이 수긍하는 교육적 인간상이라는 뜻과 같다. 따라서 제주 유림은 귤림서원에 가면, 엄연히 제주오현을 보는 듯하여 제주오현처럼 되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덕성과 학문의 함양 의지가 발현되었을 것이다[入其堂儼然若見其人]. 이로써 제주의 문풍(文風)이 진작되었으며, 그 결과 귤림서원을 기점으로 공부한 제주유림의 과거 합격자가 매우 증가하였다. 그리고 제주오현의 소학지도(小學之道) 중시 경향이 제주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주오현의 의리사상은 제주의 위정척사운동과 항일운동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오현의 교육사상과 특징, 그리고 제주에 끼친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제주오현이 오랫동안 제주의 사표로 추앙받아온 이유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주오현의 귤림서원 배향이 제주와 중앙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는 것이 충분히 드러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조선시대 제주교육사상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Dongye Jeongon and Wooam Songsiyol, who had been glorified in Gyulim Seoweon, one of the bestowed Seoweon schools,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educational thought of Jeju Ohyun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Jeju Ohyun with respect to their educational thoughts and the additional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Gyulim Seowon excluding their relation to Jeju as the primary fundamental feature. The reason is that only by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 thoughts and life can lead to the complete exhibition of Jeju Ohyun whom Confucian scholars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 in Jeju had worshiped(追崇) as ideological idea for 200 years. Therefore, this research reveale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m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ideas. Th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in Jeju had started initially as Cho Inhoo who was a judge established Chungam shrine(冲庵廟) in 1578 (11th year of King Seonjo) to praise Chungam Kim Jeong who had been exiled to Jeju due to Gimyosahwa and been executed(賜死) in 1521 (16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this, Changsoo academy(藏修堂) was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or Igoat in 1660 (First year of King Hyeonjong) because of the proposal made by Jeju Confucian scholar Kim jinyong. In 1667 (8th year of King Hyeonjong) the judge Choi Jinnam relocated Chungam shrine to Changsoo academ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he ritual place and academic place lastly naming it as Gyulim Seowon. In 1669 (10th year of King Hyeonjong) Chugeum Kim Sangheon who was government official and Dongye Jeongon who was an exile were praised, Kyuam Song Insu who was the local governor of Jeju was praised in 1678 (4th year of King Sukjong, and it was lastly bestowed(賜額) in 1682 (8th year of KIng Sukjong). In 1695 (21th year of King sukjong), Wooam Songsiyol who was an exile was praised and Jeju Ohyun which means five sages in Jeju led to the completion. Chungam Kim Jeong was Gimyo sarim who struggled to realize the ideal of ultimate governance(至治主意) with Jo Gwangjo. On the basis of holism(天 人合一) as educational purpose,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Kyeong’(敬) as fundamental aspect of all kinds of studies, and laid stress on Sohak and Geunsarok. He also executed active educational reforms such as reformation of Sungkyunkwan, instituion of the exam Hyunranggwa and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ion Hyangyak. In Jeju, he got acquainted with Kim Yangpil and Moon Syegeol who were Jeju Yulim, and proposed practical educational discourse such as approval of Buddhism for the purpose of ethical and moral edification for people in Jeju. Kyuam Song Insu served as local governor in Jeju for 3 months but he was soon to be exiled to Sacheon in Gyeongsang province for dismissal(遞 任). For this reason, meanwhile public opinion on the justification of praise on him and the reason for praise was dominantly negative. In this research, through analysis on various historical records, his appointment and dismissal as local governor in Jeju was investigated, which revealed that he was obliged to rule for such a brief time.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修己治人) as educational purpose, Kyuam Song Insu put importance on Sohak and Daehak and on the contrary to Chungam Kim Jeong emphasized learning itself through studies. During his time as Sungkyunkwan Daesasung, he gave a lecture on Dohak(道學) and Uiri(義理) to students and during his service as local governor in Jeollado province actively disseminated Sohak while pursuing Joongikyungri(重義輕利) during his lifetime. As a scholar connecting Sarims in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solid networking between him and Jeju Ohyun could be established. Influencing relationship was formed with him and not only Chungam Kim Jeong through Eunjin Song Family relationship but also with Chungeum Kim Sangheon through Imdang Jeong Eugil and Sangchon Shin Heum. With Dongye Jeongon, relationship is formed via Nammyeong Cho shik. Wooam Songsiyol is a great-grandson of his brother. On this context, interconnection of influences of Ohyun of Gyulim Seowon can be elucidated. Chungeum Kim Sangheon started to have relation with Jeju since he was sent to Jeju as goverment official in 1601 (34th year of Seonjo). On the basis of Confucius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as educational purpose, he emphasized fundament through Sohak and Yegi. As with Kyuam Song Insu, he put importance on aspects of Domunhak through studies rather than self-cultivation. He worshiped precedent sages living life as Uiri during his whole life time and also pursued theory of study through poetics. In Jeju, he manifested himself as exemplary teacher to people in Jeju exhibiting positive attitudes on the basis of Minbon thought and Aemin spirit. In addition, through Byulsisichi(別試試取) he produced outstanding individual who was the first successful applicant to Byulsi, which was one of the duties given to government official. Therefore, he was appreciated as a respectful figure who could be glorified in Gyulim Seowon without any dispute even only with his educational and positive influence in Jeju. Dongye Jeongon was exiled to Jeju in 1614 (3th year of Gwanghae) for Gabinbonsa(甲寅封事) requesting execution of government official Jeong Hang in Gangwha who murdered Yeongchangdaegun and having a funeral with the rights that he deserved as Daegun. He lived suffering Wirianchi for 10 years until he was set free from that through Injobanjeong Dongye Jeogon emphasized Jigeong as theory of self-cultivation on the basis of Myunginrun (明人倫). He also utilized Sohak and Daehak as mind-calming material putting a lot of importance on those. During his whole life time, he put efforts on reading and writing, which were prominently exhibited during his exile in Jeju. He is the only scholar bearing Yeongnam as origin being influenced by both Nammyeong school and Toegye school. Thus, sanction on praise on him in Gyulim Seowon could lead to securement of diversity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while functioning as intermediate propagating academic traditions of Yeongnam school to Jeju even to after ages. Wooam Songsiyol spent approximately 110 days in Jeju during his exile because of his proposal of the opposition on the installation of prince, later being executed(賜死) in Jeongeup on his transfer to Seoul. During his lifetime, Wooam Songsiyol pursed Jik(直), which means being sincerely truthful, and the thought of 'Jik' was his educational goal. Wooam emphasized Gurgyeong (居敬) and Byeongjin(竝進) while appreciating that through reading Chiji(致知) and Johnshim(存心) interacts. Therefore, as with Kyuam Song Insu and Chungeum Kim Sangheon, he emphasized the aspects of Domunhak rather than Kyung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Wooam appreciated Sohak and Garye as an introduction to study,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reading procedure of Yulgok Lee Yi and Sagye Kim Jangsaeng. Wooam worshiped Zhu Xi for his lifetime and regarded excluding heresy as his duty. Therefore, he analyzed vigorously Neo-Confucianism of Zhu Xi, from which he determined standards for excluding heresy. His vigorously analytical attitude on study was the same even in his exil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nspiration to Jeju Yurim. Taking an overview of educational thoughts of Jeju Ohyun, it was revealed that they were not largely deviating from idea of study in Neo-Confucianism. In axiological aspect, holism was pursued as educational aim. In aspect of mentality theory or theory of study, Joncheonliguinyok(存天理去人慾) was pursued as educational goal. However, methodological viewpoints on theory of study were different among those of Jeju Ohyun. Chungam Kim Jeong and Dongye Jeongon largely emphasized 'Kyung' in self-cultivating viewpoint. On the other hand, Kyuam Song Insu, Chugeum Kim Sangheon and Wooam Song Siyol relatively put an emphasis on pursing knowledge through study. Jeju Ohyun consistently emphasized Sohak regarding it as Sooshinseo(修身書) to be internalized and seeking for Wikijihak(爲己之學). Meanwhile, they also highlighted Sohak as curriculum for edification Jeju Ohyun were figures with practical acts on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and ordering of of society not like other sages who longed for speculative academic investigation. Their life is a model of scholars of Do. Particularly, not only for their practice of Uiri in daily life, their practice of Uiri on great cause on behalf of their lives is the primary reason why they were glorified in Jeju Ohyun. In this context, their life pursuing Do and their practice of Uiri can be appreciated as the exemplary model of Jihaengbyungjin(知行竝進) which means acting what one comes to know in Neo-Confucianism. Being praised in Seowon signifies that one is the educational figure everyone respects being called 'Seonsaeng'. Thus, Yulim in Jeju might have been inspired just to be like Jeju Ohyun when they went to Gyulim Seowon like they are facing them virtually(入其堂儼然若見其人). By this, academic fashion was motivated in Jeju, leading to production of many passers of the state examination since establishment of Gyulim Seowon. Also, trend on utilizing Sohak which Jeju Ohyun emphasized seemed to influence Jeju. On top of that, their idea of Uiri came to be ideological foundation for Wi eongchucksa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s in Jeju. Through this research, revealing education thoughts of Jeju Ohyun, thei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n Jeju, the reason why they were worshiped as sage in Jeju for a long time could be concretely idnetified. Also, it can be sufficiently justified that glorification of Jeju Ohyun in Gyulim Seowon is the interaction between Jeju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is research seemd to pave foundation for extension of understanding on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in Jeju in Joseon dynasty.

      • 實用主義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 J. Dewey 敎育理論을 中心으로

        김수자 淑明女子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社會 전반적으로 民主化를 부르짖으며 政治의 民主化, 敎育의 民主化, 경제의 개방화, 社會의 多元化등 오늘의 추세는 날로 變化하고있다. 최근의 哲學 특히 實用主義(Pragmatism)는 科學의 영향을 받아 社會는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변천하는 人間價値에 따라 늘 변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용주의 교육사상을 계승하여 집대성한 Dewey는 敎育은 경험의 의미를 증가하고 후속 경험의 방향을 결정하는 能力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경험을 재구성하거나 재조직하는것이라 했으며 교육의 목적은 성장에 있고 교육의 내용, 方法도 경험의 同化 또는 創造過程이다 라고 했다. 이러한 의견에 동의한다면 교육은 현존 사회에 도전하여 이를 부단히 재검토하고 재평가함으로써 必要에 따라 이를 수정하도록 피교육자를 지도하는 것으로 그 임무를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용주의 교육에 관한 문헌연구로서 실용주의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발달, 실용주의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Dewey의 교육이론에서 考察해 보고 실용주의 교육의 영향이 어떠했으며 이를 비판함으로써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실용주의 근본사상은 변화에 대한 관념에서 출발하여 그 뿌리는 멀리 고대 그리이스로부터 서구의 전통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실용주의는 미국적인 哲學으로 그 自身의 삶과 기질을 반영한 것이지만 영국의 경험론, 공리주의와 독일의 관념철학 Darwin의 進化論이 미친 영향이 매우 크며 프랑스 大草命 以後의 民主主義 思想의 發達과 産業革命, 美國의 社會的 産業的 條件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 철학이라 할 수 있다. 實用主義의 基本原理에 確固한 哲學的 根據를 提供하고 實用主義思想을 敎育理論에 훌륭하게 適用시킨 사람이 J. Dewey이다. 그는 「나의 교육 신조」에서 敎育의 信念을 이야기하였고 「學校와 社會」에서 敎育思想을 전개시켰으며 「民主主義와 敎育」에서 敎育哲學을 천명하였다. Dewey의 實用主義 敎育理論을 要約하면 生活로서의 敎育, 成長으로서의 교육, 경험으로서의 교육, 사회과정으로서의 교육을 들 수 있다. 寶用主義 敎育思想을 背景으로 하여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탄생되었고 Dewey는 그의 敎育理論을 實驗하기 위해 시카고 大學에 附屬實驗學校를 세우고 새교육을 實施하였다. Dewey의 실험학교는 전통주의교육을 改革하게 되었고 새교육運動의 推進機關으로 1919年 美國에 진보주의교육협회가 創設되었다. Dewey敎育思想이 우리나라의 學界 및 敎育界에 紹介된 것은 해방직후의 일로 새로운 社會를 건설하는데 硏究되는 敎育으로 「새교육」이라 불렀다. 「새교육」은 生活中心의 교육, 아동중심의 교육, 교육의 社會化, 過程中心의 교육, 과학적 교육을 강조하여 韓國敎育의 民主化에 源泉的인 힘이 되었다. 그러나 韓國의 새교육 운동은 韓國과 美國의 歷史的 傳統, 思想的 背景이 다른점을 고려하지 않고 批判없이 受容하여 몇 가지의 부정적인 요인들이 문제시 되었고 Dewey 사상의 잘못된 理解와 그 思想자체에 대한 問題點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교육이 生活 그 자체이며 經驗이고 成長이라 할때 韓國에 있어서 實用主義敎育은 近代化의 精神的 기초로서 우리敎育의 方向을 提示해 주었다는 점은 인정하여야 할 事實들이다. 實用主義 敎育에서 주장하는 生活中心의 교육, 兒童中心의 교육, 結果보다는 過程을 중시하는 敎育, 교육의 社會化, 科學的 교육의 강조는 現在 우리 교육이 指向하고 있는 길이다. 어떻게 創意的으로 現場에 受容하고 適用시켜 활성화 시키느냐 하는 것이 오늘날 당면한 問題라 생각한다. Modern day trends of world at large are constantly shifting its shapes as in such forms as political and educational democratization, open-door economic policy, social polycentrism and so forth. Recent philosophy, especially pragmatism, claims that a society does not always dwell itself in the stationary state, but with the affect of science it transforms along with the changing human values day by day. John Dewey, the successor and synthesizer of the pragmatistic educational ideas, postulated that education increases the scope of personal experience, and it rebuilds and reorganizes such experience so as to enhance the capability in deciding the directions of reinforcement (or future experience). He also mentioned that the objective of education depends upon development, and its content and method rely upon creative processes and assimilations of experience. If one agrees with such views, then education should, in a sense of obligation, take aggressive steps toward the present society and continuously re-examine and re-evaluate such stand-points so that it could cultivate learners to modify them in times of necessary. This inquiry is a documentary research on pragmatistic education and it looks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pragmatism, and studies its basis of theory on education by scrutinizing Dewey's theory.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find out how the impact of pragmatistic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criticize it so that we may detect what it suggests for our education. The basic idea of pragmatism starts with the concept of change and its roots can be traced back to ancient Greece and it later affected throughout the Western culture. Pragmatism is an American philosophy which reflects its own life and mature. However, the philosophy had been greatly affected by British empricism and utilitarianism, German idealism, and Darwin's doctorine of evolution. After the French Revolution the philosophy formulated with much complexity by democratic idea, technological development, Industrial Revolution, and social and industrial conditions of America. The person who had given the firm philosophical props of the basic principle of pragmatism and then perfectly applied the idea into the theory of education was John Dewey. In his "My Padagogic Creed" he talked about the certainty of education; and in "The School and Society" he stated the education thoughts; in "Democracy and Education" he postulate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n summary Dewey's pragmatistic educational theory focused on education as life, growth, experience, and as social process. From the foundation of pragmatistic educational thought, progressive educational idea was born, and in order to experiment on his new educational theory, Dewey founded a laboratory school attached to the University of Chicago, performing New Education. Dewey's laboratory school renovated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in 1919, as a promoting institution for the New Education Movement, Association for Progressiv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merica. Dewey's idea of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naming it the "New Education" for its study was considered to be dealing with constructing new society. The New Education emphasized on practical education, children education, soci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oriented education. and scientific education. Hence, it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democratizing Korean education. However, Korea's New Education Movement has been criticized for not considering the theory with thorough review, overlook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historical traditions and idea backgrounds. The Movement also has been criticized for misconceiving Dewey's idea, and for the inherent problems of idea itself. Considering that education is life, experience, and growth, a credit should be given to the pragmatistic education in Korea which helped erect the spiritual foundation for modernization which has led our direction of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children education, process-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the result, socialization of education, stresses upon scientific education are some of the things emphasized by the pragmatistic education. And these are the elements that we are heading for.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our confronting issue to find out the creative way to accepting and applying the theory so that it may be digested without any side effect.

      • 종교개혁과정에 나타난 John Calvin의 교육사상 연구

        조현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종교개혁이 발생한 16세기는 중세에서 근세로 이행하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할 만큼 다수의 운동이 동시에 발생하여 새 시대의 모습을 드러낸 격변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교개혁의 심대한 자극은 종교뿐만 아니라 그 힘이 유럽의 전반적인 생활, 특히 교육에도 엄청나게 영향을 끼칠만큼 컸다. 칼빈은 종교개혁의 열의가 확산되어져가고 체계화되어지는 시대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있어서 그는 종교개혁자 혹은 신학자로만 잘 알려져 있고, 또한 그렇게 국한시키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칼빈은 비록 교육 사상을 체계화시키고 정립하였던 교육학자는 아니지만 종교개혁과정에서 가르치는 일을 실천적으로 감당한 교육실천가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개혁과정에서 나타난 칼빈의 교육사상을 살펴보아 교육개혁자로서의 그를 재인식하고 그의 교육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오늘의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를 종교개혁과정에서 나타난 칼빈의 교육활동과 교육사상 중심으로 한정지었으며, 칼빈의 신학사상에 있어서도 그의 교육활동과 교육사상의 기초가 되는 범위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전적으로 문헌에 의존한 연구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논문 등을 기초로 하여 분석,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찰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칼빈의 생애와 종교개혁의 전개과정을 통하여 교육사상가로서의 배경을 살펴보았고, Ⅲ장에서는 그의 교육활동을 세 영역 즉, 교회개혁, 저술, 학교건립을 통한 교육활동으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이어서 Ⅳ장에서는 그의 교육사상을 교육대상,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순으로 알아보았고, Ⅴ장에서는 칼빈의 교육사상이 갖는 의의와 그의 교육사상이 다른 나라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그리고 끝으로 그의 교육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종합적인 결론을 맺었다. 물론 칼빈은 교육자로서보다는 종교개혁자로 불리 우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그는 종교개혁과정에서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교육을 통해 개혁이 이루어짐을 알았으며, 그리하여 교육사업에도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던 교육실천가였다. 칼빈은 엄격한 성서주의에 입각하여 성서를 敎義(교의)에 있어서 최고의 권위로 인정하여 성서에 근거를 두지 않는 모든 교리와 의식을 부정하여 이전의 로마 가톨릭 교회의 모든 권위와 전통을 전면적으로 비판하였고 부인하였다. 그리하여 칼빈은 엄격한 교외규율과 교회원 상호간의 연대성을 강조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는데, 그의 교육활동과 교육사상의 특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적이며 극히 질서를 존중하였다. 로마교회의 무법한 권위와 절대적 지배에서 질서와 조직으로서 교육의 기반을 실천하려 하였다. 둘째, 실용성에 그 특색이 있다. 그의 「기독교강요」와 교리문답 등은 그 시대의 요구에 따라 쓰여진 현실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셋째, 그 교육 실천이 엄격한 도덕률을 강조하였다. 당시 기존 사회의 부패와 문란을 철저하게 훈계하고 징계하였다. 넷째, 교육방법에 있어서 문답식을 사용하였으며, 교육제도에 있어서는 사상 처음으로 학년제에 의한 교육을 실시하였고, 또한 학생들의 진급에 있어서는 종합평가를 실시하여 교육사에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풍부한 교재와 학교개설을 중시하였다. 특히 1559년에 설립된 제네바대학은 당시 전 유럽 학생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고, 공립학교의 시초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칼빈의 교육활동과 교육사상의 특색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현대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칼빈은 체계적이고 조직적이며 실제적인 교육을 실천하였는데, 투철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교육의 체제와 내용을 조직하고 또한 교육된 내용의 실천을 강조하였던 점은 높이 평가되어질 수 있겠다. 둘째, 빈부.귀천.남녀의 차별 없이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다는 만인평등사상을 주장하였다. 칼빈은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적 신분이나 경제적 빈부 또는 성별에 따른 차별대우에 반대하였다. 셋째, 철저한 교육과 자기훈련을 통해서 참다운 인간이 된다고 강조하였다. 칼빈은 인간을 원죄를 지닌 존재로 보기 때문에 참다운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철저한 교육과 훈련, 즉 엄격한 금욕주의와 절제, 인내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넷째, 가정.학교.교회의 연계적인 교육방법을 사용하였다. 칼빈은 교육의 책임을 학교와 교사에게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교회와 가정도 함께 교육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종교개혁의 과정에서 칼빈이 제시한 교육활동과 교육사상은 현대 사회에서도 상당 부분 수용되어져야 할만큼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칼빈의 교육사상은 오늘날 참다운 교육의 부재와 학교에만 교육의 책임을 지우고 있는 것과 참다운 가정교육의 부재 등으로 말미암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신학자로서의 칼빈사상과 함께 교육자로서의 그의 사상이 더욱더 깊게 연구되어야 져야 할 필요가 있겠다. The 16th century when the Reformation took place was a turning point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s. During the period, diverse movements occurred simultaneously and shaped the new age out of violent changes. The Reform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sonalities of human beings and all realms of life. Such a far-reaching stimulation of the Reformation impacted not only on religion but also all aspects of life in Europe, and particularly on education. The Reformation was a movement waged by reformists under the slogan "Return to the truth of the Bible", in opposition to the churches in the Middle Ages that had been estranged from the teachings of the Bible. One of the great reformists was John Calvin. Calvin act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zeal of the Reformation had been spreading and being systematized. In general, he has been known just as a reformist or a theologian, and no more. However, Calvin was an educator as well as a theologian, a pastor, and an author . Though he did not develop or establish any educational ideology, he carried out teaching as a practical educator.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to reconsider Calvin as an educational reformist by examining his educational ideology revealed in the Reformation, and to clarify the contemporary implication of his educational ideology so that it w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day. For this purpose,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Calvi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ideology revealed in the Reformation, and his theological ideology is also limited to the essential base of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ideology. In addition, as for the methodologies, the research totally relies on literature review. Relevant literature and disser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are analyzed and investigated. In the research, the following issues are considered. First, Chapter II examines Calvin's life and his background as an educational philosopher throughout the Reformation. Chapter III investigates his educational activities in three areas, which are church reformation, writing and school establishment. Chapter IV looks into his educational ideology with regard to the subjects of education, the objectives of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methods of education, and the systems of education. Finally, Chapter V draws conclusions by considering the implication of his educational ideology today. Calvin is more a reformist than an educator. Nevertheless, leading the movement of religious reformation, he attempted to cast off the conventions relying on the weapon of education, and found the weapon effective. That is, he recognized well that education was essential for changing human beings, forming and directing a new trend, and completing missions. Believing that the Reformation could be completed with education, he took much interest in education, and accordingly, he became a practical educator who made efforts in educational programs in various areas. The implications of Calvi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ideology today are as follows. First, he practiced systematic, organized and practical education. He established education systems and organized the contents with a clear sense of purpose. His emphasis on the practice of what to be taught has been highly valued. Second, he insisted that all people are equality whether they are rich or poor, high or low, and man or woman. Believing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before God, he opposed discrimination by social standing, wealth, or sex. Third, he laid stress upon the development of a whole person through exhaustive education and self-discipline. As he viewed man as a being with original sin, Calvin thought that the man needs tho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s, strict abstinence, self-restraint and patience, to be a whole person. Fourth, he utilized an education method that linked the families, schools and churches. Instead of laying whol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on teachers and schools, Calvin involved churches and families in education. As stated above,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ideology presented by Calvin in the Reformation make several suggestions to be adopted in today's society. In this point of view, Calvin's educational ideology may suggest a direction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that occur due to lack of home teaching, entrance-exam-oriented abnormal school education, lack of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ociety and families for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in depth his thoughts not only as a theologian but also as an educator.

      • 北韓의 思想敎育에 관한 分析的 硏究

        신태길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8703

        Communistic basic theory is to form an outlook on the world that all products are made only by labor and human history is developed through class-strif□s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Marx-Leninism being the outcome of material. The basic aim of communistic education is also to shape communistic human beings, which means to bring up revolution fighters armed with communistic view of the world and ideology. The purpose of North Korea's ideology education is to infuse materialistic view of human and to idolize Kim-Ill seong himself and to train humans who are willing to belive Kim-Ill seong. The Absolute and absolutely obey his thoughts and orders in order to communize ROK.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this ideology education, North Korean educ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ROK's education?Some of the differences are summarized as folloing. 1. We Koreans educational idea is to train men who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ward nation development through fraining an individual as a man of wonderful character based human dignity. The purpose of North Korean education babe, on Marx Leninism consists in bringing up communistic men who can be means for the derelopment of communistic society by subordinating individuals to totalitarianism as components of society. 2. We Koreans teach educatees to grow intelligence, emotion and physical strength in order to let them have self view of life and an outlook on the world which are interonal growth of educatees themselves North Korean communists are compulsorily teaching educatees to have only ideological systems and knowledge presented by commanistic part. 3. We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and its political neutrality, while North Korean educators are unconditionally supporting and practicing communistic idea, labor education and communistic party's policies Besides, they are concentrating on traing men who are ready to devote their lives to Kim-Illseong and idolize him. Because of this instruction, North Korean younger generation forget self-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When they live independently or under changing condtions, they hare an increasing tendency not to know how to behare themselves without the direction of high-ranking officials As the result of neglecting culture of sentiments and emphasizing fighting spirit, the charater of North Korea's boys and girls becomes more and more violent. In addition, as setting up right national view of his tory is hindered, brotherly love being consciously erased, a great difficulty is being composed in recovering racial homogeneity. To rescue the people of North Korea, We should strive for the racial homogeneity by accomplishing the national hope, unification, under the lead of ROK.

      • 孟子의 敎育思想 硏究

        이웅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교육은 그동안 外形的인 面에만 치우쳐 人間敎育은 疏外되어 왔으며, 全人的 인간이나 理性의 回復보다는 知能, 知識을 발달시키는데 汲汲하여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마치 學校에서의 敎師와 學生간의 지식과 技能의 전수라는 극히 제한된 활동으로만 여겨 온 것이다. 따라서 價値있는 人間化 作用으로서의 교육은 우리교육에서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특히 科學技術의 발달과 産業社會로의 急激한 변화는 人間疎外 現狀을 가속화시켜 인간 尊嚴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이 점차 崩壞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道德的 人間敎育을 주장한 孟子의 敎育論은 우리의 교육을 反省하여 새로운 인간교육의 方向을 설정하고 人間尊嚴性의 가치체계를 確立하는데 중요한 意味를 갖게 될 것이다. 孟子는 孔子의 思想을 繼承 發展시켜 나아갔으며 그 일련의 方法으로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웠던 戰國時代에 당시 여러 나라의 왕들을 만나 孔子의 思想을 傳播하였으나 여의치가 못하였다. 왜냐하면 孟子는 당시 澎湃해 있던 利益追求라는 사회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理想主義者였기 때문이다. 당시는 弱肉强食의 富國强兵策만을 찾는 戰國時代였기 때문에 孟子의 ‘仁’ 과 ‘義’를 기본으로 한 사상은 호소력이 없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人間本性의 善性을 주장하며 王道政治를 이끌어 내기위해 道德的 品性의 涵養을 통하여 聖人 君子를 指向하도록 하고 社會秩序의 回復을 위하여 道德性 回復을 통한 大衆 敎化에 힘썼다. 그리하여 이후의 歷史 發展過程에 孟子의 政治, 經濟, 敎育, 社會思想들이 큰 영향을 미쳐 儒敎라는 큰 물줄기의 本流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狀況 속에서 孟子의 思想은 完成되어갔으며 그의 사상은 人性論, 心性論과 같은 哲學的이고 形而上學的인 부분뿐만 아니라 修養論과 敎育思想 그리고 政治思想과 같은 實踐的이고 現實的인 부분에까지 그의 생각이 확장되어 있다. 이는 孟子 당시, 諸子百家와의 이론적 대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孟子의 사상은 人性論, 心性論과 같은 철학적이고 理論的인 면보다는 修養論이나 政治思想과 같은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면에서 더욱 그 特徵이 두드러진다. 본 硏究에서는 『孟子』를 基本 資料로 삼아 文獻硏究에 重點을 두면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여 孟子의 思想이 형성될 수 있었던 時代的 背景과 學問的 背景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孟子의 主要思想이라 할 수 있는 人性論과 道德論 그리고 政治論 등을 검토 해 나아가 敎育思想의 原流를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상적 기반위에서 맹자가 주장한 교육관을 세분하여 교육의 목적 및 교육의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王道政治의 完成을 敎民으로 보고 孟子의 思想에서 차지하는 敎育의 位置를 再照明 하고자 하였다. 특히, 孟子의 사상 전개의 특징을 관념과, 실용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孟子의 思想을 觀念과 實用의 調和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시각에서 살펴 볼 때는 理想的인 모습으로 보일지 모르나 당시의 慘酷한 民衆의 現實에서 볼 때는 道德性 回復을 통한 人間의 心性을 찾아 나아가는 것이 절실히 要求되었기 때문에 孟子의 敎育思想을 포함한 全般적인 主張은 實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인간이 疎外되어 가고 있는 現代社會에 있어서도 敎育이 나아갈 바를 크게 示唆해 주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