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김새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기·충청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원삼국기 철기의 출토양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이 지역 발굴조사의 증가로 인하여 원삼국기의 유적양상이 확연히 늘어나면서 이와 連動하여 철기자료도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철기가 특히 原三國後期 영남지역의 것과 닮아있다는 것이다. 즉 적어도 원삼국후기에 이르면 양 지역 간에는 어떠한 형태의 交流 network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른 철기에 비해 비교적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태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각각의 형식별로 공간성을 내포할 뿐 만 아니라 교류품목 중에서 수량이 비교적 많아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鐵矛를 통해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간 交流樣相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각 철모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여 총 6가지의 형식분류안을 도출해내었으며, 그 후 유구 내에서 각 철모의 組合關係를 검토하였다. 시간적 변화에 관계없이 철모의 각 형식별 특징을 검토한 결과, Ⅰ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Ⅰ식 철모와 Ⅱa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Ⅱa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Ⅱa식 철모와 Ⅳ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Ⅱb식 철모가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Ⅲa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등 철모의 부장에 있어서 총 7가지의 조합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철모의 각 형식별 조합관계는 시기별 혹은 지역별로 서로 相異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계설정에 기준이 되었다. 다음으로 영남지역 철모의 변천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본 후 경기·충청지역 철모의 변천과 그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왜냐하면 영남지역의 경우 경기·충청지역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編年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를 검토한 다음, 이를 토대로 경기·충청지역 철모의 편년안을 再設定하기 위함이다. 영남지역 철모의 변천과정을 살펴본 결과, 경기·충청지역과 철모의 교류가 발생한 시점은 영남 Ⅲ-2단계와 경기·충청 A단계부터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후 영남 Ⅳ단계와 경기·충청 B단계를 기점으로 경기 충청지역에서 해당 유구와 철모의 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철모의 生産地에 관해서는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상황으로 볼 때 周溝土壙墓와 墳丘墓 圈域에서 철모가 初出하는 시기에는 토기 등 다양한 물품과 함께 영남에서 생산된 完製品의 철모가 流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후 단계는 영남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철모가 유입되었는지, 아니면 영남지역 철모의 형식이 動因으로 작용하여 이 지역에서 自體製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기원후 2세기 중반부터 3세기 후반에 걸쳐 철모를 포함한 철제무기에 대한 양 지역 간의 某種의 교류가 있었다는 것이다. 영남 Ⅴ단계와 경기·충청 C단계에 접어들면서 영남지역에서 지역 간 철모의 型式分化와 取扱方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며, 이와 連動하여 경기·충청지역에서도 이러한 분화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 중심의 洛東江 以東地域은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供伴되는 양상이지만, 김해 중심의 洛東江 以西地域은 Ⅲa식 철모가 單獨으로 확인된다. 경기·충청지역은 김포 양곡리 1호 주구토광묘의 경우만 유일하게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공반되지만, 천안-아산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Ⅲa식 철모가 단독으로 부장되었다. 이는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간 철모의 교류에 있어 中心이 辰韓에서 弁韓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며, 경주와 같은 양상의 철모를 보이는 김포 양곡리의 경우는 천안-아산과의 관계없이 여전히 辰韓과의 關係를 固守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原三國後期 철모의 교류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기·충청지역에서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가 부장되는 것은 周溝土壙墓와 墳丘墓에 한한다. 경기·충청지역에서는 漢城百濟成立을 전후한 시기에 각 지역별로 주구토광묘, 분구묘, 積石墳丘墓, 土壙木棺(槨)墓 등 다양한 묘제가 확인되는데, 이중에서도 특히 주구토광묘와 분구묘에서만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가 확인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馬韓이라는 하나의 동일한 영역으로만 인식되어 오던 이 지역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철모를 포함한 영남지역과의 교류와 경기·충청지역 내 철기의 生産·流通體系에 있어서 다른 방법이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특히 철모가 확인되는 유적 중에서 김포 운양동과 서산 예천동의 경우, B 단계의 철모가 부장될 뿐만 아니라 낙랑에서 禁輸物品으로 여겨지는 철제장검을 비롯하여 北方系 金製耳飾이 함께 확인되었다. 즉 영남과 낙랑의 유물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게 부장된 것이다. 이는 아마도 김포 운양동 집단과 서산 예천동 집단은 Ⅱa식 철모가 출현하는 기원후 2세기 중·후반에 걸쳐 낙랑과 영남지역으로부터 同時多發的인 교류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성장하였을 것으로 이해된다. 한강하류역과 그 일대 島嶼地域은 이전 시기부터 낙랑과 삼한 간 교역의 中心地로써의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영종도에서 재지계 삼각형점토대토기와 공반되어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로 편년되는 낙랑계토기와 오수전, 철경동촉 등 낙랑관련 유물이 확인된 것이다. 그런데 이후 경기·충청 B단계, 즉 기원후 2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영종도에서 주구토광묘가 조영되는 것이다. 이로 보아 漢江下流地域 특히 김포 운양동집단과 관계를 형성하였을 것이며, 영종도가 가지고 있던 地理的 特殊性을 운양동 집단이 주도하게 됨으로써 삼한과 낙랑 간 교역의 仲介로 인한 이득을 占有한 것으로 생각된다. 양 지역 간 교류양상은 철모의 시기적·공간적 변화로 보아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Ⅰ期는 기원후 2세기 중·후반으로, Ⅱa식 철모가 도입되는 시점에 절정을 이룬다. 桓靈之末(기원후 146년~189년)의 상황은 後漢政權의 몰락으로 인한 漢의 낙랑군에 대한 통제력 위축을 가져왔으며, 결과적으로 삼한사회 내에서 낙랑중심의 지배질서가 약화되었을 것이다. 이와 연동하여 낙랑군 중심의 교역망이 동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인하여 주구토광묘와 분구묘를 조영하는 개별집단은 교역망에 점차 개입하기 시작함으로써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를 비롯한 다량의 철제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遠距離 國際交易의 발생은 영향력있는 하나의 求心點으로 勸力集中의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가 성장하는데 원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期는 기원후 3세기 중·후엽경으로,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 중심의 낙동강 이동지역은 Ⅱb식과 Ⅲb식이 공반되어 부장되는 양상을 보이며, 김해 중심의 낙동강 이서지역은 Ⅲa식이 단독으로 부장되는 등 철모의 需給과 流通體系에 있어 分化가 일어난다. 그런데 경기·충청지역에서 천안-아산을 중심으로 Ⅲa식 철모만을 부장하는 것이다. 이는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철모 교역이 辰韓에서 弁韓으로 轉換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原三國後期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의 交流樣相에 대해 鐵矛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양 지역 간 철모의 교류에 있어서 영남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철모가 유입되었는지, 아니면 영남지역 철모의 형식이 動因으로 작용하여 경기·충청지역에서 自體製作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명확히 밝혀 내지 못해 과제로 남았다. 따라서 최근 경기·충청지역의 발굴이 활발히 이루어짐으로 인해 영남지역과의 철모 교류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던 만큼, 追後의 발굴상황을 통해 본 논문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밝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recently increasing excavation research in thos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remains of Proto Three Kingdoms Period increased remarkably and materials of ironware are also increasing rapidly in line with it. However,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ironwares look similar, especially to the ones from Yeongnam region of the late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at is, it is estimated that there should have been formed exchange networks in a certain style between these two regions by late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t the latest. Therefore, in this study, it examined the aspects of exchange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through iron Spears, which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analysis since the changes in the style over time are relatively obvious compared with other ironwares and, also it involves the spatiality by each style and accounts for relatively a good portion out of those exchanged items. As the results from examin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iron Spears by each region, it was adjudged that the time when exchange of iron Spears occurred between these two regions was from the stage of Ⅲ-2 in Yeongnam region and the stage A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After that,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levant remains and q'ty of iron Spears increased explosively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from the stage of Ⅳ in Yeongnam and the stage of B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as the starting point. Regarding the producer of iron Spears in the same style between these two areas, in consideration of archeological situations up to now,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 complete products of iron Spear produced in Yeongnam region flowed in the time when iron Spear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However, in the later stage, it was not able to make the definete conclusion whether iron Spears produced in Yeongnam region were flown into as the complete products or they were produced in this region independently as the style of Yeongnam region's iron Spear worked as a motiv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re should have been a certain kind of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gions about iron weaponry including iron Spear through the mid of the second century A.D. to the late of the third century. Getting into the stage of Ⅴ in Yeongnam and the stage of C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in case of Yeongnam region, the aspect shows that the Ⅱb style iron Spear and the Ⅲb style iron Spear are found together in east of Nakdong River but the Ⅲa style iron Spear is only found in west of Nakdong River. However,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Ⅱb style iron Spear and Ⅲb style iron Spear are found together only in the case of the 1st pit tomb with ditch at Yanggokri Kimpo and in most of regions centering around Cheonan-Asan, the Ⅲa style iron Spear was buried alone. This is considered to mean that the center in exchange of iron Spears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had been moved to Byeonhan from Jinhan. The burial of iron Spear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the same style as the one of Yeongnam region is limited particularly to pit tombs with ditch and mound tombs only.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various types of tomb are found such as pit tomb with ditsch, mound tomb, stone-layered mound tomb, wooden coffin(chamber) in pit tomb and so on by each region in the period on or about the establishment of Hanseong period of Baekje and particularly, the same style of iron Spears as the one of Yeongnam region are found in pit tombs with ditch and mound tombs only. This is understood that there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some other methods in the system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wares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addition to the exchange with Yeongnam reg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exchange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the lat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iron Spears. However, it was not able to find out definitely about the exchange of iron Spears between these two regions whether the exchange was made with the complete products of iron Spear produced in Yeongnam region or it was produced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dependently as the style of Yeongnam's iron Spears had worked as a motive, which remains still as a task.

      • 국제문화교류사업 운영기관 효율성 분석 : DEA와 Post-DEA 분석을 중심으로

        강예나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정치적, 사회문화적, 기술적, 경제적인 차원에서 변화가 일면서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가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소프트 파워, 문화적 파워를 이용한 대외적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정부 부처의 국제문화교류활동의 확대를 이끌어냈다.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민간영역에까지 국제문화교류활동이 확산되고 있고,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문화예술이 무분별하게 교류되는 것을 타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국제문화교류사업 서비스와 운영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문화교류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들의 효율성을 평가, 분석하여 각 기관의 물적, 인적 인프라에 대한 기본 조건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효율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은 ‘왜’ 효율적인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효율적’인 기관으로 되려면 어떤 요소가 보강되어야 하는지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계량적 연구로 파악할 수 없는 각 기관의 효율성 향상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국제문화교류사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본 인프라의 마련, 인력의 규모와 전문성, 기관의 특성과 기능의 명확화, 네트워크 구축과 확충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제문화교류사업의 연구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효율성 분석을 통해 운영기관별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 DEA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연구뿐만 아니라 정성적 연구를 통해 각 연구 방법을 보완했다는 점,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과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해야 하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DEA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석결과를 나타내기에는 부족한 분석단위, 산출변수 중 무형적 산출변수의 접근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점,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실질적으로 국제문화교류사업 활성화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는 점, 심층면접 대상의 다양성이 부족했다는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추후에는 효율성 산출변수에 무형산출변수 접근이 이루어져 평가가 된다면 국제문화교류사업 활성화를 위한 효율성 평가가 면밀해짐을 시사해준다. The awarenes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social, political, cultural, technological, and economic changes. Korea’s central government expects soft power and cultural power to greatly effect social progress. For this reason, government programs are promot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y. Not only the central government, but also the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develop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In order to break the cycle of reckless and ineffectual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nd analyz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their service quality and the main organizations involved in such programs. Therefore, by assessing the efficiency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and organizations, this study focuses on issues concerning finance and human resourc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conditions for creating efficient organizations and provides solutions for inefficient organizations to become more efficient. Finally, the study proposes plans for efficiency improvement based upon qualitative evaluations.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o discover factors that influence efficiency, the paper discusses environmental conditions,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organization, and networking.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ose factors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The unique focal point of this research projec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inefficiency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and proposing solutions to improve efficiency. The study us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aiming to enhance the strengths and reduce the weaknesses. However, the study had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there are not enough DMUs to assess several of the factors that effect efficiency. Also, the study emphasizes the efficiency of already exist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so new measures or proposals to promot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re neglected. Lastly, there should be a wider variety of interviewees for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hich would help generate more fruitful ideas and opinions for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 교류 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건축공간 구성방법 연구

        이원혁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도시 공공공간의 의미는 변화하고 있다. 공공장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 속에서 개인은 공간을 사유화하고 서로 간에 단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공공 건축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람들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설계의 방향을 찾아보려 한다. 공공공간에서 기대되는 상황은 우리의 현재 많이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서로 간의 소통과 생활을 공유하고 접촉하는 일들과 유사하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들이 현실에서는 일어나기는 쉽지 않다. 그리하여 사람들 간의 교류가 활성화되는 공공건축이 기대된다. 도시환경에서는 벤치, 분수 등과 같은 장치 혹은 구조물을 도구화하여 인간 상호 간의 연대감을 형성시킴으로써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촉진작용을 하기도 한다. 공공도서관은 정보의 ‘분류와 통제’에서 ‘이용과 지원’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도서관 공간은 공간의 사적 점유보다는 사람들 간의 접촉과 교류를 통한 정보의 공유와 교육과 대화의 장으로서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류를 목적으로 도서관의 열람행위와 휴게행위의 성격 분석과 행위 공간들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접촉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행위들을 공간에 공존시켜서 새로운 행위를 유도하고 최종적 목적인 지식 교류의 가능성을 추구한다. 또한, 동선을 분석해서 열람공간과 휴게공간의 접촉과 통합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도서관 공간구성 방향을 제안한다.

      •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ㆍ중 문화예술교류의 발전적 방안연구 : 지역문화콘텐츠개발에 의한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서애영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中國與韓國地域文化的交流將在未來兩國的文化藝術交流中起著重要的作用。本?究論文以地域交流和地域文化開發?理論基礎,梳理了中-韓兩國建交以來演出藝術的政策環境。以地域文化開發的演出藝術??究實例,探求其中存在的問題,?試圖?中-韓兩國的地域交流謀求可持續發展的活性化方案。 本?究論文以中-韓兩國政府層面進行地域交流的海外文化中心演出,對於共同文化遺?“儒?文化”採取不同開發形式的韓國創作舞蹈《孔子》和中國舞劇《孔子》,以及對於不同文化遺?採取相同開發形式的中國和韓國實景演出??究實例,通過理論文獻綜述,先行?究整理及現場調?以理論與實例分析相結合的定性分析??究方法進行了?究。實例分析引用了George A. Hillery對於地域共同體的三個構成因素,?地理領域(geographic area), 社會相互作用(social interaction), 共同聯繫(common ties)?分析?架進行了分析。 根據?究,中-韓兩國在其演出藝術的政策基礎上,建交以來一直都進行了諸多廣泛而多層面的交流。以政府的指向性來看兩國都以本國演出藝術的宣傳和海外市場拓展及開發?首要目標,而對對方國家演出藝術的相互了解和認識還仍有?大的不足,對於共同創作和開發的認識還停留在表面。 再者,兩國地域交流中人力資源的?乏和組織構成的不完善造成了地域交流中對於政府支援的依賴性還仍然??,目前在脫離政府的支援下兩國的地域交流?難獨立達成。在兩國演出藝術的交流中,專業的策劃人才嚴重不足,因此,兩國的地域交流缺乏持續的連接性,演出策劃也常出現斷層。大部分的交流還是通過兩國政府才能達成,雖然兩國之間存在?多可共同發掘的地域文化藝術,但共同創作的機會仍是非常不足。 通過分析結果,作者對中-韓文化藝術的地域交流提出以下發展方案。 第一,要達成中-韓兩國地域與地域之間合作的正式平台,激活兩國地方文化財團或文化藝術團體的交流,以此擴大交流的範圍。通過已經達成地方政府(道市,省市)國際文化交流協議的友好城市,連接韓國與中國地域之間的聯繫,?通過此平台增進相互之間的理解。 第二,通過地域合作平台的共享來實現演出藝術的流通渠道,拓寬演出藝術的流通範圍。?通過地域文化?業集群的連接來實現兩國演出藝術流通網的連接。 第三,要實現演出藝術和地域相關?業的協力和合作。爲此要試圖把演出藝術與多種現代媒體,?業相融合。特別要注重通過地域演出藝術與觀光?業的結合,增?地域?業結構的多樣性。 第四,要重點培養兩國演出藝術交流方面的專門人才,以高等?育國際化的觀點,需要連接韓國和中國地方的大學,大學生,?授及學術?究人員,進行互派和交流。還可以通過?育ODA對于開發還?未成熟的地域進行文化藝術的援助和支持。 第五,要提高韓國和中國地域之間文化藝術的相互理解度,?且要通過對於共同文化遺?的開發來達成演出的共同開發?擴展創作合作的機會。?了更好的開發地域演出藝術的創作素材,需要在地域文化製作體系中進行‘文化原形開發-演出藝術加工-故事化·藝術化-品牌化’等 一系列的開發。 越過國家和政府的限制範圍,若要實現文化藝術的深層次交流,必須要從之前的政府主導轉移到地方主導,以地域文化交流的重要性來看本?究具有現實的?究意義。在中-韓兩國的地域文化交流還?未達成良好交流,?且對此領域的?究還?未成熟的當下,本論文對於兩國地域文化交流活性化方案的?究顯示出一定的局限性。 做?未來?究的課題,不僅在演出藝術範圍內,在廣泛而多樣的文化藝術範圍內,韓國和中國的地域文化開發將會越來越活躍,以此?契機的文化藝術地域交流也會更加蓬勃發展。希望本?究有助於中-韓兩國文化藝術的地域交流?究,??兩國文化藝術地域交流的?究提供有效的參考依據。 Cultural arts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local community will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xchanges between both countries in the futur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is important topic.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Korea and China’s performing art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of local community and local cultural contents. Furtherm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blems through case analysis of performing arts ex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both Korea and China, and considers the developmental activation methods of Korea and China's performing arts exchanges through local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rough field study and review of advanced research. The performance programs of the Korea-China Culture Center and the China-Korea Culture Center, Korean Interpretive Dance <Gongja> and Chinese Dance Drama <Gongja>, and the natural theater performances of Korea and China(some times referred to as“impression”performances)were selected as the case studies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is research, both Korea and China have had many arts exchanges based on performing arts policy directives, which prioritized publicity, overseas expansion and promotion of domestic performing art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ies. This means that Korea and China’s mutual awareness about each other and about the importance of mutual cooperation are still undeveloped and limited. Furth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communities of Korea and China can’t perform work independently and each area can’t communicate by themselves due to deficient human resources and lack of Organization of exchanges, and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performing art planning area is such that continuous connections and development of ties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re not possible. Even though most exchanges consist of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re are many local joint contents in both countries, the joint exploration of these local contents isn’t being implemented and the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ar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thods for expanding and developing art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local community are as follows.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opportunities for joint exploration and cooperation regarding local culture contents should be expanded. For enhancement of the mutual understanding by connecting Korea and China through agreements about international exchange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city and province) and for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local performance contents, a methodical production system of local culture content such as ‘exhibition of cultural original form-processing as performance contents-storytelling·performing-branding’ should be established.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lating to local performing arts should be trained and developed and cooperation between performing arts and local, relevant businesses should be established. This can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through mutual exchanges and inviting. This can be accomplished by connecting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through mutual exchanges and invitations so that the views and perspectives and support of members of international academia and can be obtained as well as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ficial cooperation structures of local areas beyond individual exchanges of performing arts and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networks through sharing of local platforms in Korea and China should be established. The scope of culture and art exchange of each country can be expanded through exchange between local communities or culture foundations in each local area of each country, and a joint distribution network can be established by connecting local industry clus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research in this area is incomplete despite the importance of local community for establishing in-depth exchange of culture and art beyond the national and country levels. But this study also has certain limitations because the method of activating exchanges in performing arts in Korea and China through local communities is not yet well developed, and the exchanges are not frequent yet, so the research about this is still in in the initial stages. Various research about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in culture and art will be conducted as the next research project according to the activ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content in Korea and China in not only performing arts but also in various other culture and art areas.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의 문화예술교류는 향후 양국의 교류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또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역커뮤니티와 지역문화콘텐츠를 이론적 배경으로 1992년 수교 이래 한국과 중국 공연예술분야의 정책 환경을 살펴보고 현재 한, 중 양국에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에 의한 공연예술교류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 공연예술분야 교류의 발전적인 활성화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저서, 선행연구 검토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성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사례는 양국 정부차원으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한중국문화원과 주중한국문화원의 공연프로그램, 공동한 ‘유교문화콘텐츠’ 개발사례로 교류가 이루어지는 한국창작무용<공자>과 중국무용극<공자>, 또한 서로 다른 콘텐츠에 대한 공동개발 형식이 이루어지는 실경공연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은 George A. Hillery의 커뮤니티 세 가지 구성요소인 지리적 영역(geographic area),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공동의 연대(common ties)를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의 정책적인 기반으로 한국과 중국은 그동안 많은 교류를 시도해 왔으나, 두 나라 정부의 지향성으로 봤을 때 자국의 공연예술의 홍보와 해외진출 및 진흥이 모두다 우선시 되면서 서로의 예술정신과 예술사상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 미비한 편이다. 또한 공동 작업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도 중시되고 있지 않으며 부족한 인력과 교류의 조직구성으로 한국과 중국 지역의 커뮤니티는 독자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지역과 지역이 스스로 교류하는데 한계가 보여 지며 지속적인 연계와 경력의 누적이 단절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두 나라 지역의 공동콘텐츠가 많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동콘텐츠에 대한 발굴은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하고 창작협력의 기회가 많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통하여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국과 중국 문화예술교류의 발전적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기존 개별적이고 단기적인 공연예술의 교류형식을 넘어 공식적으로 지역과 지역의 협의구조를 마련하여야 한다. 양국 지방의 문화재단,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정부(시도·시성)별로 국제교류협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여 문화예술분야의 연결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공동의 지역플랫폼 공유를 통한 공연작품의 유통망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 지역과 지역의 산업클러스터 연결을 통하여 공동의 유통망 공유를 실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 연관 산업과의 협업을 추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연과 다양한 매체 및 산업과의 융합을 시도하여야 한다. 넷째, 지역 공연예술 전문 인력의 양성을 통하여 지역과 지역의 인적교류를 실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국제화라는 관점에서 두 나라 서로의 초청 및 파견, 그리고 지속적인 학술교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교육의 ODA를 통해서는 문화예술개발이 아직 미비한 지역에 대한 원조 및 초청사업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공동 발굴 및 창작협력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하며 양국 서로의 예술정신과 예술사상을 통한 상호이해 및 인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지역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공연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원형의 발굴-공연콘텐츠로 가공-스토리텔링화·공연화-브랜드화’ 등 체계적인 제작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국가 및 정부의 차원을 넘어서 문화예술교류가 심층적인 교류로 이루어지기 위한 지역커뮤니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들이 미진함에 따라 본 연구는 유의미하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공연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에서 한국과 중국의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은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이고 이를 통한 지역커뮤니티 연구도 향후의 과제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 추진과정의 특징 분석

        김택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9년 제주도의 감귤 4천 톤을 북한으로 보내면서 시작된 남북교류는 주로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대북지원을 시행한 행위 주체는 정부를 중심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들이었다. 그런데 이런한 행위 주체들의 활동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부문 간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 강원도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1998년 남북교류협력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2000년 6·15남북정상회담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의 남북교류는 본격화 되었으며 이후 10여 년 간 지방자치단체들의 남북교류사업은 활발히 이루어졌다. 2000년 6·15선언 제4항에서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져나가기”로 합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의 남북교류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후 노무현 정부가 합의했던 10·4공동선언으로 남북관계는 절정을 이루는 듯 했지만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은 이명박 정부의 5·24조치와 함께 현재까지 중단된 상태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우선 지방자치단체들의 남북관계의 일반적 현황과 이론을 검토하고 강원도의 남북관계에서 나타나는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남북교류협력의 분야별 전개 과정과 그 과정에서 NGO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하고 향후 남북교류협력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중앙정부와의 밀접한 관계에서 진행해오던 남북교류협력은 정치적 리더십을 통해 확대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이런 리더십을 바탕으로 국민적 공감대와 더불어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본인의 정치적 역량의 발휘를 위해서 남북교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의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남북교류협력의 재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민간단체를 통한 남북교류 확대와 남북교류단체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대북 인도적 지원 강화 및 사회문화 교류를 확대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실에 맞는 법규 정비와 규제 등 제도적 장치를 정비하여야 한다. 넷째, 동북아 성장회의를 통한 동해안 접경지역 개발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중앙정부와 강원도의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강원도 지역의 특수성과 미래 통일강원을 대비한 남북교류 전문가 양성에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사례를 살펴보고 강원도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강원도는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꾸준히 지속되었던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은 2010년을 전후로 급격히 줄어 지금은 전면 중단된 상태지만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는 정치적 논리나 주변 강국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이 실시돼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들의 활발한 남북교류는 중앙정부의 역할을 분담하고 통일한국의 통일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본다. 중단 없는 남북교류와 지속적인 교류사업은 남북한의 통일과 단절된 민족성의 회복과 일체감 조성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노태우 정부의 남북교류협력법 제정 과정에 관한 연구

        김천식 북한대학원 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make an empirical study on legislative proces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enacted in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The study will prove that making of unification policies during the Roh administration was affected by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Furthermore, it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the early institutionalization of unification policies had on domestic politics. The Roh administration witnessed dismantlemen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and transition from an authoritarian regime to a democratic system in domestic politics. These change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could affect the policy making process. It was such a critical turning point in South Korea's history that the Roh administration made a major in its North Korea policy. The administration removed barriers that had long blocked public discussions on national unification. It aimed at building a partnership with North Korea and integrating two Korean systems through creation of a single Korean n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the administration promote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en the barriers were removed,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flooded with unrestrained claims for national unification. Having fought for democracy, student activists and dissidents set up national unification as their new agenda and succeeded in making it as one of the major political issues in the post-democratization Korea. To reinforce its legitimacy and take initiative in domestic politics, the Roh administration had to respond to this key issue. Subsequently, the policy transition made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was resulted from its responses to domestic political changes as well as the changes in global environment following termination of international Cold War. In 1988, the Roh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July 7 Declaration. It was a preemptive measure to cope with students' radical demand on national unification and place progressive student movement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In the declaration, the administration introduced the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KNCUF)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views promoted by various political groups. Two key concepts lying at the core of the KNCUF were democracy and gradualism. As a practical policy, the administration adopted expans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Yet, student activists and dissidents pressed illegal visits to Pyongyang demanding free exchanges with North Korea. Their radical, regime-changing actions created political inst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Hyundai chairman Chung Ju-young's visit to the North threw the society into greater confusion. As situations grew worse, the conservatives filed strong complaints and criticized the government. In response, the Roh administration tried to enact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while promoting dialogue with North Korea. The act was aimed at turning the idea of a single Korean national community into a reality and promoting it in a way corresponding to the tide of democratization. The administration was also motivated by a belief that the government should discourage radical movements that would undermine the basic liberal democratic order. It also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not the dissident groups, must take lead in promoting unification policies. Majority of South Korean people, including established opposition parties, agreed with the administration. In this context, making of unification policy in the Roh administration was affected considerably by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A wide range of political discussions and various types of external pressure were place on the political system. The political system decided on policies in response to such demands. The result was establishment of post-Cold War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creation of a Korean national community. it was a state-centered, realistic policy based on the liberal democratic order. The administration induced a consensus among people and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on this policy. Enactment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backed up this process. Faced with radical demands on national unification erupted after democratization on top of uncertainties in post-Cold War world, the Roh administration succeeded in taking lead in implementing realistic policies based on liberal democracy. It was able to do so by inducing compromises and concessions among various political groups. We should also take note that thanks to early institutionalization these policies have remained intact over last two decades in spite of changes in administr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노태우 정부의 남북교류협력법 제정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제6공화국 시기의 통일정책에 국내정치변수가 작용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통일정책의 제도화 과정이 국내 정치에서 갖는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6공화국 시기는 국제적으로 냉전체제가 해체되는 과정이었고, 국내적으로는 권위주의 체제가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통일정책의 결정과정에 국내정치변수가 작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대한민국 역사에 있어서 가장 큰 격변기에 노태우 정부는 통일정책을 대전환했다. 노태우 정부는 통일논의를 개방했다. 북한과 동반자 관계를 지향했고 민족공동체 형성을 통해 국가제도의 통일을 이룩하고자 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을 구현하기 위해 남북한 간 교류협력을 추진했다. 통일논의의 개방으로 통일에 관한 다양한 주장이 제한없이 분출됐다. 학생운동세력과 재야세력은 민주화 이후 통일문제를 새로운 운동의 방향으로 설정했고 이를 핵심적인 정치 쟁점으로 부각시키는 데 성공했다. 노태우 정부는 정권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정국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핵심적인 정치 쟁점으로 떠오른 통일문제에 대응해야 했다.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 전환은 냉전의 국제체제 종식으로 그 환경이 조성된 측면도 있으나 국내정치 상황에 대한 대응이라는 측면이 크다. 즉 노태우 정부는 1988년 학생들의 급진적 통일운동에 대처하고 이를 정부 관리하에 두고자 선제적으로 7.7선언을 발표했다. 국민들과 여러 정치세력의 다양한 주장을 담아내고자 민족주의와 단계론 등을 핵심으로 하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남북교류협력을 현실 정책으로 채택했다. 그러나 재야와 학생운동권은 자주교류를 주장하며 불법 방북을 강행했고 체제변혁적인 급진적 통일운동을 전개하여 정국의 불안정을 조성했다. 정주영 회장의 방북으로 국내의 혼란은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수층은 정부에 대하여 강한 불만과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처하여 노태우 정부는 북한과 대화를 추진하는 한편 남북교류협력법 제정을 추진했다. 남북교류협력법을 제정하고자 했던 목적은 민족공동체 형성의 철학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었으며, 이를 민주화 흐름에 맞게 추진하고자 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노태우 정부의 이러한 시도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하여 급진적인 통일운동에 분명한 선을 그으면서 국가의 주도하에 통일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동기가 작용했다. 국민들과 야당을 비롯한 제도권 정당들이 이러한 정부의 방향 설정에 동의했다. 이러한 정책과정을 볼 때 제6공화국의 통일정책은 국내정치변수가 작동하는 과정이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통일논의와 압력이 정치체제에 투입됐다. 정치체제는 그러한 요구에 반응하여 정책을 수립했는 바, 그 내용은 민족공동체 형성이라는 탈냉전적 남북관계 수립이었으며, 그 형식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것으로서 국가중심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정책이었다. 이에 대해 제도권 정당들과 국민의 합의를 유도해 냈다. 이것을 뒷받침한 것이 남북교류협력법의 제정 과정이었다. 노태우 정부는 탈냉전기의 유동적인 정세와 민주화이후 복잡한 국내정세하에서 분출했던 급진적 통일논의에 대응하여 자유민주주의 정신에 입각한 정부 주도하의 현실주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은 전환의 시기에 제 세력들이 타협하고 절충한 결과였으며, 형식이 제도화됨으로써 수립 당시 정책의 기본방향과 요소가 정권의 변화와 무관하게 지속되고 있는 것도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 국제교류 참여 대학생 특성에 대한 국제비교 : 한국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예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세계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국경의 의미가 희박해지고 있으며, 전통적인 산업사회에서 벗어나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한 지식기반사회로 이행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국제교육교류도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 각 나라들마다 주변국에서 중심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국에서 주변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도 몇 년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유학생들이 유입되면 무역의 활성화와 교육의 국제 수지 적자개선을 가져오며 학생들은 세계시민으로서의 마인드를 배울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학생 국제이동에 관한 이론 즉 Push-Pull 이론, 국제교류 국가 및 대학선택 이론적 모형에 관한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국제교류에 관한 선행연구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중국 대학생의 국제교류 참여의도 결정과 국가선택 및 대학선택에 영향 주는 집단 특성과 이러한 특성들이 나라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국제교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각 나라 정부와 대학에서 해야 할 일들로 어떤 정책들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국제교류에 참여하려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특징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두 나라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상대국가 대학 국제교류 참여 학생들의 선택 동기, 적응 및 성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한국의 서울과 중국의 상해지역의 중점대학 1021명의 학부생으로 선정하였다. 조사자료는 PASW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검정, 의사결정트리분석, 로지스틱분석으로 처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국제교류프로그램 참여의도가 감소하는 반면 중국은 4학년이 국제교류 참여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제교류프로그램 참여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해당국가에 대한 관심’, 다음으로 ‘영어능력수준’과 ‘영어강의 개설여부’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함에 있어서 영어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둘째, 상대국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은 어학, 중국은 한류 즉 한국의 문화이다. 또한 상대국 국제교류 참여율은 중국여성들이 한국여성들 보다 높고 상대국에 대해 비전 있는 이미지와 개방적인 이미지를 가진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높다. 한국과 중국 이공계 학생들이 다른 전공보다 국제교류 참여율이 낮다. 셋째, 한국과 중국학생들의 선택 동기는 상대 문화와 상대어 습득이다. 적응에 있어서 상대국 언어가 서투른 학생들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현지대학 친구의 도움을 받고 교환으로 만난 학생들과 어울리고 가족과 통화한다. 중국대학과 비교하면 한국대학은 소규모 수업이 많고 시설이 좋고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언어는 주로 영어이고 사고방식은 미국과 유사하다. 성과에 있어서 상대국가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없어졌고, 독립심이 커졌으며, 상대국 언어 실력과 영어실력이 늘었고, 시야가 넓어졌다. 하지만 교환학생 생활을 마치고 대학에 돌아온 중국학생들은 다시 생활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정부와 대학차원에서는 언어습득 프로그램 개설 등을 지원하고 원어민 수준의 영어강의를 강화하면 이들 국가로 교류를 희망하는 우수한 인력을 유인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한국과 중국학생들 간의 교류를 활발히 하기 위해서 공동학점인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공계는 상대국가 대기업에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인턴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학금제도를 개발하고 지원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교환학생으로서 더 좋은 경험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상대어 능력 최소기준 설정, 상대대학 교수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귀국 후 학점완수를 위해) 다른 학생들보다 1년 더 다닐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있다. 이에 대해 학교 혹은 상대국가 재단,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우수한 교환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불하는 것도 필요하다.

      •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조영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경을 초월하는 자본과 사람, 그리고 정보의 움직임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국제화촉진, 국제경쟁력 강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 등에 대한 책임을 증가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향후 지방자치단체는 환경·인권·인구·안보와 같은 세계적 규모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이러하듯 지방자치단체가 국제사회환경에서 미시적이며 동시에 거시적인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고 더 나아가 국제교류를 통한 상호이해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경쟁력과 능력을 착실히 배양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는 국제화에 대한 경험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로 비효율적이라는 지속적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 체결 중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기도의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를 중심으로 국제교류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사업의 운영적인 측면의 문제점은 첫째, 충분한 사전 검토조사 없이 자치단체의 홍보 및 단체장의 성과를 치부시키기 위해 자매결연은 체결하였거나, 심지어 지역출신의 교포 및 민간인 등의 비전문가를 통해 체결하고 있어 교류부실을 초래하고 있다. 둘째, 국제교류사업에 대한 자체적인 점검, 감사, 평가가 부재된 상태에서 결과보다는 실적위주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셋째, 국제교류 담당자의 업무수행 권한이 미약하고, 주민참여 또는 아이디어 제안제도의 부재로 인해 단체장의 공약사업으로서의 성격이 짙다.효과성 측면의 문제점은 첫째, 국제교류사업이 지역특성 및 이미지를 반영하지 못해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현재의 국제교류가 인력중심교류에 치중되어 있어 불균형적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연계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마지막으로 행정기반 문제점은 첫째, 국제교류 업무 담당부서 설치가 미흡하여 추진력 및 전문성이 떨어지고, 담당자 역시 국제교류사업을 일반사무와 함께 담당하고 있어 과중한 업무부담을 지고 있다. 둘째, 국제교류 담당자의 교류업무 기간이 짧고, 하위직급에 순환보직이 잦은 행정직 공무원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며, 경력이 업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국제교류 사업에 있어 단체장의 독창적인 관심 및 특별한 지원(예: 외부인력채용, 예산 등)이 미흡하여 국제교류업무를 추진하는데 있어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국제교류의 운영적인 측면에서의 방안은 첫째, 전략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지역여건을 고려한 교류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지역특성에 적합한 국제자매결연 전략을 수립하며, 국제교류 대상 지역의 확대와 다원화가 필요하겠다. 둘째, 성과지표 등 자매결연 사업의 사후관리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지역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민·관이 함께하는 국제교류사업을 추진해야 한다.효과성측면에서는 첫째, 지자체가 가진 고유한 특색과 문화를 살려 적절한 추진체계를 갖추고, 타 도시와는 차별된 사업을 통해 추진과정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둘째, 균형 잡힌 교류와 국제교류 증진방향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외부전문기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마지막으로 행정기반 측면에서의 활성화는 첫째, 국제교류업무 전담조직과 전문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즉 국제교류담당 공무원에 있어서는 전문성, 언어, 국제적자질을 고려한 인사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둘째, 탄력적으로 국제교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교류에 대한 단체장의 지원과 관심, 즉 위에서 열거한 국제교류 조직, 인력 및 예산 확보를 비롯하여 담당공무원의 권한부여, 인센티브제공, 공무원의 국제화교육 제공 등을 강화해야 한다.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국제교류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처한 각기 다른 상황 및 환경에 맞추어 지방자치행정을 주도할 때 성공적인 국제교류를 이룰 수 있다. 안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색깔과 특색을 지키되 밖으로는 다변하는 국제사회에 발맞춰 적절한 국제교류 기반을 구축할 때 실질적이며 효과 높은 교류가 이루어 질 수 있고, 나아가 전체적으로 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며 지역 활성화를 이룩할 수 있겠다. The movements of capital, labor, and information that transcend national territories have increased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to expedite the globalization progress,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improve local citizens' living quality. Moreover, future local governments will need to take important role in resolving global scale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human right, population growth, and securi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local governments steadily cultivate their ability not only to actively perform micro and macro roles in international social environment, but also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roug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xchanges. However,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local government level has received many criticisms of trial and error inefficiency due to insufficient globalization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lthough many problems regarding international exchanges are prevalen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in this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melioration plans by analyzing the problems involved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xchanges of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which covers 15% of South Korea's entire sisterhood and friendly relationship agreements.The proble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business at local government level from the operational perspectives are:● Local governments have frequently signed into sisterhood or friendly relationship agreements without adequate prior research, and relationship agreements have been made just to satisfy the head official's requirements for international exchange and for its promotion. Moreover, ethics Koreans or nonprofessional exper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interfered when local governments selected their partner overseas cities, and this have caused insolvent results in relations or exchanges.● International relations or exchang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have operated based only on short-term result, which excludes self-inspection, audit, and evaluation, rather than progressing or long-term accomplishment.● The decision-making power of managing official in charge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are limited that the unnecessary influence and role of local government head official is too strong.The proble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business at local government level from the effectual perspectives are:●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xchanges do not effectively apply characterizes or images of exchange participating regions, which does not contribute to development possibilities.● The current international exchange patterns of local governments are too heavily focused on human resource exchanges that other aspects do not receive adequate attention, and it limits the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opportunities and connection.And last, the proble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business at local government level from the administrative based perspectives are:● Some local governments still have not established an international relations department or team and endowed driving force and authority and international experienced specialty of composed members are weak. The composed members take the responsibility of international exchange along with gene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that they tasks are overwhelming to perform the job effectively.● An official in char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very minimum experience with international exchanges and low ranking officials circulate in position to various departments too often that building specializa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is very limited and lack of experiences does not help to improve the exchange procedures.● Works of international relations do not receive adequate attention or support from government's head official, such as mayor. For example, special budget available for experienced experts is very limited, which constrains the possibility of fulfilling the exchange tasks satisfyingly.Therefore, based on the above analyzed problems, revitalizing plans are needed. From the operational perspective,● Local governments should select exchanging partners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ir own region, pursue sisterhood relationship agreement based on mutually benefits that utilize the region's characteristics, and also extend exchanging partner selection with pluralistic strategies.● Loc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sisterhood relationship after adopting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such as accomplishment index.● Local government should induce participations from its citizen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promote exchanges together.From effectual perspective,● Local governments should emphasize their unique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of their regions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task's efficiency, prepare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enhancement system, which should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region.● Local governments should effectively utilize the outside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ions and learn from their experts to foster more balanced exchanges.Lastly, from the administrative based perspective,● Local government must establish, if unavailable, a department or team that takes the sole responsibil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xchanges and secure specialists.This plan requires a personnel system that appropriately assists in selecting proper and experienced members, who have expertise in language and profession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must be a set and sufficient budget that can actively promote flexible and effective international exchanges.● The established department or team must receive adequate attention and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high officials, who should endow the authority and incentives to the department or team members, such as providing training sessions that enhance international exchange skills. This involves fulfilling above mentioned requirements, including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department or team, human resource support and budget guarantee.In conclusion, international relations or exchange can successfully be accomplished when government authorities consider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dition of their regions.When local governments internally maintain their distinct characters and externally build proper international base that satisfies diversity of international society,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exchanges can be achieved. Furthermore, the quality of citizens' lives will be enhanced and local city will be revitalized.

      • 釜山의 國際交流에서 中國 專門人力의 養成方案

        홍석희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지방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 국제교류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제기구와의 협력체제를 공고히 하는 한편 지역별 협력을 다져나가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 안목과 전문적인 실무 능력을 겸비한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양성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부산지역의 국제 교류, 특히 경제·사회·문화에서 부산지역과 가장 밀접하고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중국과의 교류를 담당하는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부산 지역의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 수요와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양적인 수요·공급을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현재 일하고 있는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의 질적 능력이 현장에서의 인력에 대한 요구 수준에 부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의 수요자 측인 부산지역의 기업, 지방자치단체, 관광협회, 기타 민간단체 등을 방문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1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본 연구자가 대상 수요처의 담당자를 미리 마련된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각 수요처의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 확보 현황과 향후 전문인력의 수요전망, 수요자가 원하는 전문인력의 업무능력, 성별, 연령 및 국적, 그리고 수요자의 자체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 양성계획 등이 포함되었다. 공급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 주공급원인 부산지역 대학의 중문학과 졸업생과 아울러 대중국(對中國) 교류업무 담당자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인력의 대우에 대한 만족도와 중국어 능력과 업무에 대한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제도권의 교육과 현장과의 괴리 정도, 대중국(對中國) 교류업무에 있어 한국인과 외부인 (한족중국인, 조선족 교포. 화교)간의 갈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이렇게 주로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현황을 기초로 부산지역의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 수요현황 및 전망과 공급 실태를 살펴본 바, 점증하는 대중국(對中國) 교류에 부응하는 데 있어 현재의 부산지역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은 양적인 면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나 질적인 면에서는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이 양성되지 못하는 실정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수요와 공급에 따른 문제점으로 부산의 경제와 문화의 열악함으로 인한 인재 유출과 인력경시의 사회적 문제점 및 현장에 부합하지 못하는 교육계의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있어 대중국(對中國)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우선 부산지역에 중국관련 초고속정보네트워크가 건설되어야 한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집적되고 분배되도록 하는데 특히 중국 전문인력에 대한 정보의 집적과 분배가 중요하다. 각계의 인재들을 총망라한 다양한 능력을 보유한 인재들을 부산지역의 지식정보네트워크속에 포함시켜 그들이 바로 중국 전문인력 또는 국제교류 전문인력으로 변화·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제2외국어 과목으로 중국어 개설이 대폭 증가되어야 하며 대학의 교과과정이 사회가 요구하는 중국어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진도 학문 위주가 아닌 현장 실무경력을 갖춘 교수를 적극 채용하고 산학 협력 차원에서 학위가 없더라도 현장 실무경험이 풍부한 현업인 강사 초빙제도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중국 전문인력이 되기 위해서는 높은 중국어 능력은 필수적이며, 어학교육은 빠를수록 좋기때문에 대학에 들어와서 중국어를 시작하기보다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중국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높은 중국어수준을 갖춘 전문인력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셋째, 국제대학원을 중국지역 연구, 교육 및 교류의 핵심적인 장으로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행정부서나 기업체는 국제대학원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현장경험에서 얻어진 정보를 국제대학원에 피드백 시키며 국제대학원은 이러한 정보를 집적하고 실용성 있는 정보로 가공해내야 한다. 국제대학원은 대학 내의 다른 기관 또는 산하기관인 어학연수원, 국제교류센터, 연구소 등과 연계하여 대학의 국제교류 중심기구가 되며 나아가 부산지역의 국제교류에 있어서도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특히 어학연수원을 통해 국내에 급증하고 있는 불법체류 조선족 중 고학력 층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이들의 장점을 살려 고급 통상인력으로 양성해내는 방안도 검토해보아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 동안 이공계 위주로 이루어져 온 산학협동이 국제대학원을 중심으로 한 인문사회계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며 중국과의 교류확대로 그 필요성도 매우 절실하다. 부산지역 대학의 국제대학원, 지방자치단체, 기업체 (여행사 등 포함) 등 산·학·관의 협동체제 구축을 통해 부산지역에서 양성된 중국 전문인력이 부산의 국제교류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부산경제의 부가가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n this age of "regional internationalization", international exchanges are gradually increasing. Each nation and regional autonomous organization are strengthening the tie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eeking regional cooperation for maximum profits. Therefore, efficiently rearing specialists with a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expertise is a mus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y of China-centered specialists and look for a proposal for educating them who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e exchanges between Busan and China, having mutually closest relationships i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ith this objective in mind, the general situation of demand and supply of such specialists in the Busan area was investigated. The focus was laid on whether the specialists were meeting the qualitative expectations on the spot. The researcher paid a visit to Busan's enterprises, self-ruling bodies, tourist association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In a direct interview from September through November 2001, the following were examined: obtainment of China-concerned specialists, demand prospects for the specialists, the demander's requests (work capacity, sex, age, and nationality), and the demander's plan for rearing specialists. Next,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manpower supply, officials of Busan's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ose in charge of China-related businesse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checkup items were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specialists' ability, their Chinese fluency and business knowledge, the ga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the spot, and the conflicts among Koreans, Korean-Chinese, Chinese Koreans, and Chinese emigrants. Through the on-the-spot analysis, the present China-related specialists were found to be quantitatively good but qualitatively not. That is, the supply of China-related experts outnumbers the demand, but their specialization quality somewhat lacks. Among the problems revealed here were the outflow of superior talents owing to Busan's inferior economy and culture, the social bias of neglecting specialists, and the education hardly catching up with the spot. In this respect, for the purpose of efficiently rearing China-oriented specialists, the following improvement proposals can be made: 1. For the training of specialists, society should be knowledge-based. For knowledge infrastructure, high-spee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should be soon established to gather and share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information networks, special human resources should be managed and reared. 2. We need such organs for special education and reeducation. At present, one's foreign language fluency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 influenced a lot by one's economic conditions. So, the government and regional organizations need to sponsor free or low-charge classes to make citizens act as leaders with expertise. 3. We also need an inter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and graduate school based on Busan. Then, superior talents needed in Busan can be grown in Busan, outstanding talents will stop studying in other areas, and qualified manpower who will lead the world will be produced wi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reality. Among other proposals are the renewal of perception about the specialists, the opening of a regional culture center in each gu or ward's dong office, and the special reeducation of Chinese Koreans to improve their social treatment and help them work as trade special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