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탈냉전기 남북 민간교류협력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사회·문화 교류협력을 중심으로

        오건호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탈냉전기 남북 민간교류협력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외교안보 성명 오 건 호 남북 민간교류는 1988년 노태우 대통령의‘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 (7·7선언)이후 시작되어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 남북한 주민 접촉이 많아지고, 분야별로 남북 민간교류가 많아졌다. 그러다 2009년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 이후 남북경색이 본격화됨과 동시에 대북 민간지원에 대한 정부의 시각은 급속히 냉각되었고, 통일부의 천안함 사태 관련 5·24조치(2010년 5월 24일)이후 인도적 대북 지원사업이 대통령 담화와 관련 부처의 대북조치 발표를 통해 개성공단을 제외한 모든 남북관계가 중단 되었다. 이렇듯 그동안의 남북 민간교류협력은 북한의 도발과 정권별로 정치적·정파적인 이해관계 때문에 한민족과 한반도 전체 이익의 관점에서 진정으로 민족간의 이질감을 해소하고 남북한 주민통합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앞으로의 남북 민간교류협력은 정부가 아닌 민간이 중심이 되어 사회문화, 체육, 종교등 분야부터 시작하여 일방적으로 북한지원이나 방문이 아닌 예를들면, 북한 주민의 남한 방문이나 우리나라 방송을 북한 내에서 시청가능하게 하는 등의 구체적인 실익을 이끌어 낼 수 방안을 우리 정부가 북한정부에 구체적으로 강하게 요구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독일통일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상호주의와 투명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렇듯 남북 민간교류협력은 북한주민들의 마음을 얻는데 중점을 두고 장기적인 목표 아래 북한 주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이 책임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도록 개혁, 개방을 유도하여 한반도 평화통일에 시금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MICE 국제교류협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Heuristic 접근법 활용

        박미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MICE 산업은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필요한 산업이다. 국제사회의 흐름을 반영하고 트랜드를 분석하여 다방면의 국제전문가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획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의 변화와 니즈에 맞게 플랫폼과 컨텐츠가 바뀌어야 하고, 협력적 국제관계 확대 및 성공적 협력활동이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제사회를 근간으로 발전되어 온 산업이다. MICE 산업의 국제화는 국내 MICE의 지속가능한 질적성장과 범위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MICE 산업이 국내시장에 머물러 있는 문제, 인적자원의 글로벌 역량 부족 현상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MICE 산업성장을 위한 전략은 국제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MICE 이해관계자들의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확대하고, 성공적 수행을 통해 국제화를 이뤄나갈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MICE 이해관계자들이 국제무대로 진출하고자 할 때 노하우 부족으로 오는 한계를 느끼고 있다. 성공적 국제교류협력을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하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실천적 로드맵과 국제교류협력의 효과성을 연구함으로서, MICE 이해관계자의 국제교류협력 활동의 전략적 실행을 위한 통합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기본이론으로 국제협력이론, 상황결정이론을 채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다방면 탐색, 다양한 접근을 통해 타당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휴리스틱 접근법(Heuristics)을 활용하였다. 국제교류협력이 광범위하고, 결정요인에 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휴리스틱 접근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검토와 전문가의 폭넓은 경험을 접목한 ‘탐색적 집단지성 휴리스틱’을 계획하여 수행하였다. 타 분야로 확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법률 및 정책계획 등을 고찰함으로 MICE 국제교류협력의 동기 및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요인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예비요인도출을 하였으며, 총 3차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구분된 총 4개의 주요인과 20개의 하부요인이 결정요인으로서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계층간 의사결정분석방법(AHP)을 활용하여 요인간 중요도, 즉 실무 적용을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 명확한 연구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였고, 논리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집중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성을 연구하여 이해관계자들의 국제교류협력 수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성공적인 국제교류협력 활동은 산업 고도화를 이룰 수 있는 요인으로서, 브랜드 가치 제고, MICE 경쟁력 증대, 글로벌 역량 강화를 직접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MICE 국제교류협력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국제교류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결정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실제 MICE 산업에서 추진되고 있는 국제교류협력 활동의 형태를 분석하여, ‘단계별 협력활동을 위한 결정요인 활용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협력 형태와 실행 단계에 따라 결정요인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 대한 실천적 노하우를 제시함으로서 이해관계자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MICE 산업의 확장 및 고도화를 가능케 하는 기초 데이터로서, MICE 이해관계자들의 국제화를 향한 첫걸음에 디딤돌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egan with raising issues of the Korean MICE industry staying in the domestic market, the lack of global capacity of MICE human resources, and focusing on the strategy for MICE industrial growth should start with efforts to achieve internationalization. Successful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are factors that can achieve industrial advancement, and are direct ways to achieve brand value, increase MICE competitiveness, and strengthen global capabilities. This study would ultimately present integrated ideas for strategic implementation of MICE stakeholders, by deriving determina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dvance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studying practical roadmaps and the effectiveness. The basic theories of research were adopted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ory and Contingency theory. As a research method, heuristic approaches is utilized that allow researchers to independently explore many ways and produce reasonable and objective results through various approaches.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heuristic approaches, this study plan and perform 'exploratory swarm intelligence heuristics' that combine multidimensional reviews with extensive experts’ experience. Preliminary factors were derive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thre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four main factors and 20 sub-factors, separa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ere finally derived as determinants. Furthermore, this study leverag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derive inter-factor importance, i.e., priorities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an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model in MICE. In addition, it presents a roadmap for utilizing determinants for step-by-step cooperation activities. As basic data that enables the expansion and advancement of the MICE industry, it is expected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a stepping stone to the first step toward internationalization of MICE stakeholders.

      • 노태우 정부의 남북교류협력법 제정 과정에 관한 연구

        김천식 북한대학원 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make an empirical study on legislative proces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enacted in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The study will prove that making of unification policies during the Roh administration was affected by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Furthermore, it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the early institutionalization of unification policies had on domestic politics. The Roh administration witnessed dismantlemen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and transition from an authoritarian regime to a democratic system in domestic politics. These change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could affect the policy making process. It was such a critical turning point in South Korea's history that the Roh administration made a major in its North Korea policy. The administration removed barriers that had long blocked public discussions on national unification. It aimed at building a partnership with North Korea and integrating two Korean systems through creation of a single Korean n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the administration promote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en the barriers were removed,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flooded with unrestrained claims for national unification. Having fought for democracy, student activists and dissidents set up national unification as their new agenda and succeeded in making it as one of the major political issues in the post-democratization Korea. To reinforce its legitimacy and take initiative in domestic politics, the Roh administration had to respond to this key issue. Subsequently, the policy transition made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was resulted from its responses to domestic political changes as well as the changes in global environment following termination of international Cold War. In 1988, the Roh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July 7 Declaration. It was a preemptive measure to cope with students' radical demand on national unification and place progressive student movement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In the declaration, the administration introduced the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KNCUF)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views promoted by various political groups. Two key concepts lying at the core of the KNCUF were democracy and gradualism. As a practical policy, the administration adopted expans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Yet, student activists and dissidents pressed illegal visits to Pyongyang demanding free exchanges with North Korea. Their radical, regime-changing actions created political inst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Hyundai chairman Chung Ju-young's visit to the North threw the society into greater confusion. As situations grew worse, the conservatives filed strong complaints and criticized the government. In response, the Roh administration tried to enact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while promoting dialogue with North Korea. The act was aimed at turning the idea of a single Korean national community into a reality and promoting it in a way corresponding to the tide of democratization. The administration was also motivated by a belief that the government should discourage radical movements that would undermine the basic liberal democratic order. It also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not the dissident groups, must take lead in promoting unification policies. Majority of South Korean people, including established opposition parties, agreed with the administration. In this context, making of unification policy in the Roh administration was affected considerably by domestic political variables. A wide range of political discussions and various types of external pressure were place on the political system. The political system decided on policies in response to such demands. The result was establishment of post-Cold War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creation of a Korean national community. it was a state-centered, realistic policy based on the liberal democratic order. The administration induced a consensus among people and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on this policy. Enactment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backed up this process. Faced with radical demands on national unification erupted after democratization on top of uncertainties in post-Cold War world, the Roh administration succeeded in taking lead in implementing realistic policies based on liberal democracy. It was able to do so by inducing compromises and concessions among various political groups. We should also take note that thanks to early institutionalization these policies have remained intact over last two decades in spite of changes in administr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노태우 정부의 남북교류협력법 제정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제6공화국 시기의 통일정책에 국내정치변수가 작용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통일정책의 제도화 과정이 국내 정치에서 갖는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6공화국 시기는 국제적으로 냉전체제가 해체되는 과정이었고, 국내적으로는 권위주의 체제가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는 시기였다. 통일정책의 결정과정에 국내정치변수가 작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대한민국 역사에 있어서 가장 큰 격변기에 노태우 정부는 통일정책을 대전환했다. 노태우 정부는 통일논의를 개방했다. 북한과 동반자 관계를 지향했고 민족공동체 형성을 통해 국가제도의 통일을 이룩하고자 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을 구현하기 위해 남북한 간 교류협력을 추진했다. 통일논의의 개방으로 통일에 관한 다양한 주장이 제한없이 분출됐다. 학생운동세력과 재야세력은 민주화 이후 통일문제를 새로운 운동의 방향으로 설정했고 이를 핵심적인 정치 쟁점으로 부각시키는 데 성공했다. 노태우 정부는 정권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정국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핵심적인 정치 쟁점으로 떠오른 통일문제에 대응해야 했다.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 전환은 냉전의 국제체제 종식으로 그 환경이 조성된 측면도 있으나 국내정치 상황에 대한 대응이라는 측면이 크다. 즉 노태우 정부는 1988년 학생들의 급진적 통일운동에 대처하고 이를 정부 관리하에 두고자 선제적으로 7.7선언을 발표했다. 국민들과 여러 정치세력의 다양한 주장을 담아내고자 민족주의와 단계론 등을 핵심으로 하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남북교류협력을 현실 정책으로 채택했다. 그러나 재야와 학생운동권은 자주교류를 주장하며 불법 방북을 강행했고 체제변혁적인 급진적 통일운동을 전개하여 정국의 불안정을 조성했다. 정주영 회장의 방북으로 국내의 혼란은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수층은 정부에 대하여 강한 불만과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처하여 노태우 정부는 북한과 대화를 추진하는 한편 남북교류협력법 제정을 추진했다. 남북교류협력법을 제정하고자 했던 목적은 민족공동체 형성의 철학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었으며, 이를 민주화 흐름에 맞게 추진하고자 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노태우 정부의 이러한 시도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하여 급진적인 통일운동에 분명한 선을 그으면서 국가의 주도하에 통일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동기가 작용했다. 국민들과 야당을 비롯한 제도권 정당들이 이러한 정부의 방향 설정에 동의했다. 이러한 정책과정을 볼 때 제6공화국의 통일정책은 국내정치변수가 작동하는 과정이었다. 이 시기에 다양한 통일논의와 압력이 정치체제에 투입됐다. 정치체제는 그러한 요구에 반응하여 정책을 수립했는 바, 그 내용은 민족공동체 형성이라는 탈냉전적 남북관계 수립이었으며, 그 형식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것으로서 국가중심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정책이었다. 이에 대해 제도권 정당들과 국민의 합의를 유도해 냈다. 이것을 뒷받침한 것이 남북교류협력법의 제정 과정이었다. 노태우 정부는 탈냉전기의 유동적인 정세와 민주화이후 복잡한 국내정세하에서 분출했던 급진적 통일논의에 대응하여 자유민주주의 정신에 입각한 정부 주도하의 현실주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은 전환의 시기에 제 세력들이 타협하고 절충한 결과였으며, 형식이 제도화됨으로써 수립 당시 정책의 기본방향과 요소가 정권의 변화와 무관하게 지속되고 있는 것도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 한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간 교류협력 현황과 발전방향

        김진황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National interest is the utmost goal for any na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proposition was easily revealed in the recent hot regional issue of the North's nuke plan and subsequent responses of neighboring countries according their own sake. In this context of power dynamics, among nations in the Far East, there has been arms raise of Navy in each country to control the sea for economic, political, or military considerations. Those countries have increasingly divided opinions on issues like the preserva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e 200-mile exclusive economic zone, territorial conflicts in some islands, securing the oil resource transfer and the sea line of international trade at the core of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possibility of potential international conflicts via political and military means, the arms raise as well as economic competition is becoming a decisive factor to disrupt the regional peace and security. Especially, Japan has recently stipulated the instructions for neo defense cooperation, from the conventional, for the purpose of ameliorating the U.S Japan ties, and she has been raising arms in multidimensional aspects; the agreement on the joint research plan with the U.S. for the campaign missile defense system, the dispatch of a latest battleship to support the U.S. sanctions on Iraq, the holding of reconnaissance satellite, etc. In addition, Japan has been seen with an air of concern as to her potential nuke raise in response to the North's declaration of nuke holdings. Japanese efforts to raise arms is expected to increase over time, as can be implied from her recent legislation for national emergency, being suspected of its willfulness by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d once suffered from her imperialism. It is hard to deter the arms raise of Japan despite the criticisms and sanc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enemy and friendly forces is getting ambiguous these days and so it offers a room for 'self defense.' Consequently, it will be realistically more desirable for Korea to spend efforts on ameliorating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o build trust through military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them, including Japan. Japan has a strong tie with the U.S., which means the cooperation with Japan will strengthen the Korea's tie to the U.S. as well. It is necessary for ROK Navy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security actions through active military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the Japan Maritime Self Defense Forces, and that would help build a higher level of sea power for Korea, and all of these efforts will again offer a channel to ameliorate her national interest. But there are ongoing hindrances to be removed on the way to the active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 two powers. Taking a careful look, there are historical and political anti-sentiments that have been posed to the scene of Korea and Japan; several times of Japanese invasion to Korea, 36 year long colonization with its entailed feelings of being victimized,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ical documents, property rights of Dok-Do island, issues with Exclusive Economic Zone as to the fishery acts, etc. The legal constraint to the activities of the Self-Defense Forces of Japan by Japanese constitution adds negatively to the military cooperation and exchange of the two powers. Most Japanese are reluctant to her military expansion, and civil high rank officials in the Japanese Defense Agency have constrained the size and scope of the Forces. And the chronic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s said hard to break. A set of possible solutions to this issue is suggested in the main body, separately by field, and as to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toward active military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ROK Navy and the Japan Maritime Self Defense Forces, followings are proposed; increase in the exchange of issues through officials involved, joint sea rescue operation and other humanitarian exchanges, revitalization of information exchanges on the North, various military techs, joint operation to protect sea line to South Asia where both nations' international trades are at stake, and lastly,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plan for the region. Through the military cooperation of the two powers, may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be restructured positively toward mutual prosperity, getting rid of those old mistrust and conflicts lied in-between. And hopefully, this would help build stable peace in the region of the Far East as a whole.

      • 南北韓 地方政府 次元의 交流協力에 관한 硏究

        최형식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new plans for inter-Korean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in terms of the policy orientation around the issues of the North-South unification process It will begin with considering what basic guideline in interact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an help mould a cooperative relationship around them Then a survey of background and present state of inter-Korean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will be attempted. This leads to suggestions to revive mutual cooperation from the present political reasons and to improve its revitalization. The Korean unification process had to suffer some very bad setbacks during 1993 and 1994. Only after the food situation in North Korea had become desperate, talks have begun again Albeit under unfavourable conditions, the North is still rigid and inflexible when it comes to political moves to ease relations with South Korea both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field The reason for this inflexibility seems to be quite obvious It is followed by discussions on political complications that made such ideas for improve and remedy difficult to realize. For an orderly manag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t is desirable that the following basic considerations guide South Korea's local government policy toward the North.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will be most importan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us for inter-Korean relations to expand in a positive way it is imperative for the two local governments to recognize each other as their partners to work with This basic principle has been neglected in recent years. There were speculations about a possibl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words like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were widely spread Such conceptions have been impending elements in developing inter-Korean relations On the South side, expectations, whether they are grounded or not, about a breakdown of the North system created a barrier to implementing inter-Korean cooperation programs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the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On the North side, it heightened the sense of regime insecurity and dealing with the South became much less attractive. There should be a reasonable conception about the systemic change that are taking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often said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North Korean attitude toward the South. Anyhow it cannot be expected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by their nature are difficult to change without alter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regime Still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its doctrines are changing. So what we are observing now is a North Korean version of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What is important for us all is that this process should be peaceful and in a right direction The scope and pace of changes North Korea should decide on In this regard inter-Korean exchanges in various areas are essential In managing the complex of inter-Korean partnerships, coordination capability of the central leadership will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tinuity and development of such exchanges If local authority's leadership fails to establish a consistent policy profile, disturbing elements may easily intervene in the course It is important for the local leadership to develop a coherent and persuasive logic and to have organizational skills to realize inter-Korean cooperative programs

      • 남북교류협력과 국회 : 남북교류협력법제의 분석과 의회 간 교류를 중심으로

        권기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1991년 12월 13일 남북기본합의서의 체결과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선언의 체결로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다. 이에 남북기본합의서, 판문점선언 등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국회의 기능을 분석하는 한편, 통일 전의 동・서독 기본조약과 비교하고,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에 대한 국회의 심사 사례를 살펴보았다. 대한민국헌법은 조약에 대해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제6조제1항).”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헌법 제3조의 영토조항(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과 제4조의 평화통일조항(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과의 관계와 관련하여 서로 모순되는 듯한 헌법규정으로 인하여 남북한 간의 합의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와 같이 헌법 규정 및 개별 법률 간 충돌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남북관계를 동・서독의 경우와 같이 국가 간의 관계가 아닌 특별한 관계로 이해하는 “남북한특수관계론”을 도입하여 분석하는 것이 설득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남북교류협력과 관련하여 이에 따른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회의 비준동의 또는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에 대한 국회 심사를 거친 경우 그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줄어들고 남북교류협력의 안정적 추진이 가능할 것이다. 그래서 조약 및 남북합의서와 관련하여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학설 대립과 헌법 및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상의 남북합의서의 법적 효력에 관한 학설 대립, 그리고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등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에 대한 국회심사 사례를 찾아보고 논의하였다. 남북합의서 규범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는 국회의 비준동의가 요구되고,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에 대한 국회의 적극적인 심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남북합의서의 법적 효력 확보와 안정적 유지를 위한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집권 정당의 교체와 관계없이 남북합의서의 효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남북 국회회담이 개최되고 남북한 간 국회 및 정당 소속원의 교류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타당한 견해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상 국회 관련 규정을 살펴보고 남북합의서의 효력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남북교류협력법제의 심사사례를 알아보았다. 동・서독과 중국・대만 간 양안관계의 사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남북한 간 정당 소속원의 교류・협력은 남북한 간 긴장완화와 교류・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미 남북한 의원 간 정당 차원의 교류 사례가 있으므로, 이를 점검하고 남북 국회회담과 연계하여 더욱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역대 남북 국회회담의 추진경과, 주제 및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 및 국회 비준동의 문제를 살펴보고, 남북한 간 정당 소속원의 교류 사례와 남북 국회회담의 추진경과를 소개하였으며, 향후 남남갈등의 극복, 국회회담의 단계적 추진 등이 남북 국회회담의 개선과제로 필요하게 되었다. By virtue of the conclusion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on December 13, 1991 and the signing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on April 27, 2018, interest in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has emerged. As such,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nature and effect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such as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nd the Panmunjom Declaration, analyzes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compares with the basic treaties of the East and West Germanies before reunification, and explains cases of the National Assembly's review of Acts 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in relevant part that treaties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generally approved international law have the same effect as domestic law (Article 6(1)).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rritorial provisions of Article 3 of the Constitution (which provides tha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nnexes”) and the peaceful unification provisions of Article 4 of the Constitution (which provid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aims for unification, establishes and promotes peaceful unification policies based on the basic liberal democratic order”), there is a controversy as to the legal effect of the agreements between the two Koreas due t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at may seem to contradict each other.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of conflict between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individual legislation, it became reasonable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so-called "special inter-Korean relations theory," which understands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as a speci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as is the case in the East and West Germanies. As a result, with respect to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such an approach has been tried. Moreover, if the National Assembly ratifies and consents to the Inter-Korean agreements or bills 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ass review of the National Assembly, controversy as to the legal effect would be decreased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would be implemented stably. For these reasons, with respect to treaties and inter-Korean agreements, this dissertation has considered and discussed (i) conflicts of theories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s and domestic laws, (ii) conflicts of theories as to the legal effect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under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ct, and (iii) the examples of the review of the National Assembly as to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ed legislation. In order to stably establish the norms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the ratific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s required,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required to actively review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ed legislation. As such, to the extent that the role of the National Assembly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legal effect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is required, it is reasonable to assert that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should have talks, and exchang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and persons associated with political parties should be maintained, regardless of replacement of the ruling party. In this regard, this dissertation has looked into the provisions for the National Assembly under the Constitution, considered the effect and relevance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and examines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ed legislation. As show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ies, China and Taiw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persons associated with political part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should be of great help to lessen tensions and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fact, since there have been examples of exchanges in persons associated with political parti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 South and North Korea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ch examples and put in place relevant methods to expand exchanges and cooperaton in relation to the talks of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gresses, subject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vious talks of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This dissertation has considered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agreements, the issue of ratific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ogresses of the talks of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have been considered. In the future, as relevant tasks for improvements on the talks of the National Assemblies of South and North Koreas, it should be necessary to overcome conflicts between South and South Korea and implement such talks by stages.

      •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 접경.비접경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윤무근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교류협력 과정에서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들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둘째, 접경지역에 속한 강원도와 경기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들을 분석하고 지리 조건별 특성에 의한 상호 호혜적인 교류협력사업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고, 비접경지역에 속한 제주도와 경상남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들이 가지는 비접경지역만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접경지역의 경우 대표적으로 강원도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남북교류협력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공동방제사업, 방역 사업등을 중·장기적으로 진행해 왔다. 이 외에도 농업, 임업, 인도적 지원 사업등 여러 분야에서 교류사업들을 추진시켜왔으며, 앞으로도 많은 발전 가능성과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비접경지역은 경상남도와 제주도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처음 시행한 제주도와 ‘통일딸기’라는 대표적인 교류협력사업 브랜드를 가지게 된 경상남도는 직접적인 지리적 이해관계 없이 인도주의적 성격으로 교류협력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시켜 왔다. 이러한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의 교류협력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접경지역의 경우 첫째, 제도적·재정적 제도를 빠르게 도입함으로써 사업진행에 있어서 걸림돌 없이 잘 진행해 왔다. 둘째, 지속적으로 사업을 진행시켜 왔으며 셋째, 지리적 특성에 따른 상호 호혜적 사업을 진행해 왔다. 넷째, 전문가를 활용한 사업 진행으로 보다 체계적인 사업을 추진하였다. 비접경지역의 경우, 첫째, 접경지역과 다르게 지자체교류협력의 주체가 민간차원으로 이루어지면서 지방정부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둘째, 상호 호혜적 사업을 추진시키면서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또 다른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의 교류협력사업들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은 지금까지 진행시켜온 사업들의 지속성이 중요하다는 것과 새로운 교류협력모델들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방제, 방역 공동사업의 지속성과 통일농업의 발전, 그리고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 서해평화협력지대 성공,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류협력모델 개발 등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초석이 되는 교류협력이 이루어지도록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남한 접경지역 내 북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 연구

        황현욱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남북교류협력의 주체는 남한과 북한의 주민이다. 그리고 통일을 이루는 주체인 남북한 주민은 민족구성원 모두가 주인이 되고 개개인의 자유, 복지와 인간의 존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민족공동체 형성을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주민은 아직 실질적인 교류협력의 주체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남한의 접경지역 내에 진출하는 북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의 적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법적 쟁점을 파악하고 법정책적 및 실무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남북한이 통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될 남북의 인적·사회적 통합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사전적이고 법정책적인 차원에서의 논의를 통해 실질적인 남북통합의 법제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남한 내 접경지역에서 북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의 적용문제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에 대비하는 의미가 크다. 이는 북한근로자가 남한 내 접경지역에서 생활권을 보다 확대하는 것과 다름없다. 결과적으로 남한 내 접경지역 북한근로자에 대한 지원은 향후 남북이 통일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전단계에서 사전에 통합 내지 통일문제를 대비하는 훌륭한 경험을 이루고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통일국가에서 현재 남북한이 다른 사회보장체계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사전적 대응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남북통일 후 남한 사회보장시스템 적용에 대한 문제점과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여기서 논의한 사회보장제도의 정비 방향은 남한 내 북한주민의 진출을 위한 남북 간 구체적인 합의서 도출과 함께 필연적으로 국내법적 저촉문제와 함께 입법적 부재 내지 미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현행 관련 국내법적 정비문제를 검토하였다. 남한 내 접경지역에 진출하는 북한근로자에게 우리의 사회보장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거버넌스 대응이 요구되고 이를 위한 논의는 필연적이다. 이러한 거버넌스 논의는 남북한이 정치·군사적 위기에도 그 합의의 원칙과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간 비정치적 부문의 교류협력 관계가 지속되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접경지역 내의 북한근로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식으로 ‘남북교류협력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접경지역에서의 남북교류협력을 위하여 ‘접경지역위원회’를 설치하고 이에 대한 합의서도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보장의 적용을 위하여 ‘사회보장실무위원회’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기본합의서로는 「남한과 북한 사이의 사회보장 기본합의서」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보장의 범위를 설정하고 사회보장 적용에서 중요한 논의인 재정적 분담에 대한 합의를 이루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보험에 대한 합의서를 제시하여 기본원칙,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구체화하였다. 특히, 사회보장제도의 적용을 위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사회보장특별법」 제정을 제안하여 국내법적 정비를 완비하고 체계성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남한 내 접경지역에 진출하는 북한근로자에 사회보장제도 도입논의는 남북교류협력 단계에서 선제적인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논의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 논문이 남북교류협력 뿐만이 아닌 통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연구로써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main actor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re the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Furthermore, the resident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who are the agents of unification, should be the rightful owners, ensuring individual freedoms, welfare, and human dignity. They should form a national community capable of enjoying a free and prosperous life. However, the resid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not yet been able to fully assume their role as active participants in practic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North Korean workers entering the border areas of South Korea and to examine legal and practical measures to address them.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framework for substantive inter-Korean integration through pre-emptive and legal policy discussions, with the goal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human and social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e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North Korean workers in the border areas of South Korea is fundamentally significant in preparing for the activation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t is essentially an expansion of the living rights of North Korean workers in the border areas of South Korea. As a result, the support provided to North Korean workers in these areas will serve as an excellent experience and offer valuable insights in the preliminary stages of social integration, as well as in anticipating and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integration or unific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unified country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outh and North Korea have different social security systems, examining these pre-emptive measures will greatly contribute to addressing issues and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South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after unification.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 discussed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ddresses the need for a specific agre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garding the entry of North Korean residents into South Korea. It also acknowledges the inevitable need to address domestic legal concerns, such as potential violations or legislative gaps, which require supplementation. In order to apply our social security system to North Korean workers entering the border areas of South Korea, relevant governance mechanisms and discussions are essential. These governance discussions should aim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that remains unaffected by political and military cris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oth in terms of principles and content. To achieve this, non-political sector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be sustained, serving as the foundation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North Korean workers in the border areas. To successfully operate this system,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Council" is emphasized, along with the proposal of a "Border Area Committee" for promoting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border areas, supported by an agreement document. Specifically,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ecurity Implementation Committee" is highlighted as a necessary step to ensure the application of social security measures. A proposed "Basic Agreement on Social Secur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erves as a fundamental agreement to define the scope of social security and achieve consensus on crucial financial burden-sharing discussions. Furthermore, a proposed agreement on social insurance is presented, addressing fundamental principles, health insurance, 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Act on Social Security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s proposed to provide comprehensive legal regulations and ensure the systemic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completing the necessary domestic legislative measur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North Korean workers entering the border areas of Sou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active social integration during the stage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not only contribute to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ut also serve as an important research in the process towards unification.

      • 남북한 서부접경지역 교류협력에 대한 연구

        김철희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전협정 이후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에 설정된 접경지대는 군사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지역이다. 2000년 6.15 공동선언을 통해 활성화 된 남북교류협력은 이전에 군사지역이었던 접경지대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시발점이 되었고, 남북관계의 진전으로 이어진다. 이전에 북한의 평양일대와 남한의 거점도시로 점에서 점으로 이어져오던 남북교류협력이 경의선·동해선 연결로 선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가져오게 된다. 남북접경지역을 통한 직접적인 남북교역이 시작되고 도로뿐만 아니라 통신시설의 확충으로 남북한 사이의 접촉과 대화가 활성화되었다. 이로 인해 남한의 접경지역 도시의 산업이 활성화되고 북한의 접경지대 거점도시의 개발를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래서 남북한 접경지역의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남북한 접경지역에서 서부 접경지역은 남북한의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고, 산업발전에 잠재력이 풍부하여 남북한 경제 협력이 집중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2004년에 탄생한 개성공업특구는 북한의 토지와 풍부한 노동력과 남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협력이 이루어지면서 북한은 초보적인 산업체계를 벗어나 선진산업체계를 기반으로 한 공단을 얻게 되고 남한은 중국이나 동남아로 개발이전을 하는 중소기업들에게 저가의 노동력을 공급하는 새로운 시장을 얻게 되었다. 초기의 대규모 투자와 남북한 사이의 이질적인 이해관계로 겪은 시행착오로 인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고 불안정한 남북관계와 북한의 핵개발로 인해 남한의 투자자들의 심리에 영향을 주면서 투자가 위축되었다. 2007년 이후 북한의 핵문제가 해결되고 북미관계가 개선되어 점차 남북관계도 안정되면서 남북교류협력 사업도 안정화된다. 또 10.3 공동선언으로 우호적인 남북관계를 약속하고 경제협력을 가속화 시킬 것을 약속하였다. 특히, 서부접경지역 개발을 위한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향후 서부접경지역을 통한 남북교류협력이 더욱 가속화되고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10.3 공동선언의 후속회담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구체적인 협력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북교류협력에 있어 서부접경지역의 역할을 알아보고 발전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북교류협력의 특성과 동향을 알아보고 서부접경지역의 위상과 잠재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서부접경지역의 협력을 통해 나타나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을 가져오는 효과를 파악하여 분석하였고, 발생되는 문제와 한계를 알아본 후 서부접경지역의 구조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까지 서부접경지역의 개발가능성은 많이 언급되고 실질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로 학문적 연구를 통한 진전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현실적인 제약으로 한계가 있지만 이 연구가 남북교류협력의 구조화에 대한 문제인식을 하고 개괄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를 이루고자 한다. The armistice agreement after Military Demarcation Line the border line zone which in standard is set on south and north is sharp with the soldier and it is being opposed an area where it is. 2000 6.15 joint declaration it leads and the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which is activated becomes the start point which changes the phase of the border line zone which is a military area previously with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e north and south, it is joined together. Previously in the strong-point city of P'yongyang region and South Korea of North Korea from point it is joined together with point and the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which comes with respect line frost damage line connection is magnified with the line and it is brought the converter and. The direct north and south trade which leads the north and south border line area was started and only the road the bay know the contact and great disaste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re activated with expansion of Facilities for communications. The industry of the border line area city of reasoning being caused by South Korea is activated and it is taken charge of the role whi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the border line zone strong-point city of North Korea and. It is like that and in the center it is gradually magnified the strong-point city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border line area at the plane surface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infra of South and North Korea is becoming intensively from the South and North Korea border line area, the potential energy is abundant in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South and Nor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is coming to do intensively. Kaesong industry special district which is born at 2004 with the land of North Korea technical power of the labor power which is abundant and South Korea the cooperation becomes accomplished with character and North Korea escapes the elementary industrial system and the advanced industrial system it is gotten and one industrial complex in base and South Korea in China or Southeast Asia supplies before developing the labor power of low price at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it does to get a new market, it became. It was caused by with the trial and error which it undergoes with initial large scale investment and heterogeneous gain and loss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cotton it could with nuclear development of th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which is unstable and North Korea and and an effect to psychological of the investors of South Korea it was caused by it gave and a deficit and the investment was atrophied. The nuclear problem of 2007 after North Korea is solved and the relationship of North America is improved and also the relationship the north and south is stabilized gradually and also the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ve enterprise is stabilized. Also it promised a amicabl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in 10.3 joint declarations and it will accelerate an economic cooperation the fact that. Specially, the provisions for a western border line regional development are included and the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which leads the hereafter western border line area more is accelerated and it will be activated with the fact that. The succeeding conversation of 10.3 joint declarations is active substantially and it is advanced and it sets the directivity of concrete cooperation. The study which it sees there is to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and it examines it gropes the role of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and the place where a developmental possibility there is an objective which is important. The hazard which will reach, it examined the quality and a trend of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and it examined the phase and a potential energy of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Also the study which it sees led and cooperation of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only the economic effect which appears the bay it knew and to grasp the effect which brings a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improvement, it analyzed,, after examining a problem and the limit which occur the structure anger plan of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it groped. Until currently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western border line area is referred plentifully and it is coming to do substantially, the development which leads a study research in actuality limit cannot become accomplished plentifully. Even from the study which it sees there is a limit with actuality restriction but it does the problem recognition this study against the structure anger of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and it presents a summary plan with to accomplish the foundation of the study study against north and south flow cooperation, it does to sle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