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동맥질환자에서 혈중 Apolipoprotein A-I과 Apolipoprotein B

        배열 전남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9727

        연구배경 :관동맥 질환의 위험인자로서 혈청 지질 및 혈청 지단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최근 새로운 위험인자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apolipo-rotein의 중요성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대상및 방법:경피적 관동맥 성형술을 시행한 적이 없고 허혈성 심질환이 의심되어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1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12시간이상 공복후 혈청 총콜레스테롤,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 apolipoprotein A-I(Apo A-I), apolipoprotein B (Apo B)를 측정하였다. 관동맥 조영술 소견을 근거로 내경 50%이상의 유의한 협착이 없었던 32명의 환자를 1군(대조군)으로, 유의한 협착을 보인 75명을 2군(관동맥 질환군)으로 분류한 후 관동맥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흡연, 고혈압, 당뇨병, 성별, 나이, 총콜레스테롤, triglyceride, Apo A-1, Apo B, HDL-C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관동맥 질환의 중증도나 협착정도와 이들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동맥 조영술상 관동맥의 직경이 50%이상 좁아진 혈관수에 따라 분류한 단일혈관질환군, 두혈관질환군, 세혈관질환군 사이와 관동맥 조영술상의 협착의 정도에 따라 분류한 세군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Apo A-I은 1군(136.5±21.6mg/dL)보다 2군(121.4±24.8mg/dL)에서 낮았고(p<0.01), Apo B는 1군(101.1±30.3mg/dL)보다 2군(120.5±33.0mg/dL)에서 높았으며(p<0.01), 총콜레스테롤은 1군(197.9±33.1mg/dL)보다 2군(217.3±50.35mg/dL)에서 높았고(p<0.05), Apo B/Apo A-I의 비는 1군 (0.75±0.22)보다 2군(1.00±0.34)에서 높았다(p<0.001). 흡연자는 1군은 7명(24%), 2군은 46명(58%)으로 2군에서 많았고(p<0.01), 성분포는 1군은 남성이 15명(47%), 2군은 남성이 61명(80%)으로 2군에서 남성비가 높았다 (p<0.05). 나이는 1군은 51.8±13.8세, 2군은 57.8±9.9세로 2군의 연령이 더 높았다(p<0.05). logistic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Apo A-1, Apo B, Apo B/Apo A-I, 흡연 등이었고 이중 Apo B/Apo A-I비가 가장 의의 있게 높았다. 2) Apo A-I, Apo B, Apo B/Apo A-I비 등은 대조군과 관동맥 질환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관동맥 질환의 심한 정도와의 관계에 있어 협착이 있는 군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Apo A-I및 Apo B는 관동맥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관동맥 조영술로 증명된 관동맥 질환에서 다른 지질인자에 비해 더 나은 예측인자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Background: It is known that dyslipidemia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herogenesis and progression of the disease.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polipoprotein levels are important in atherogenesis. In Korean patients the study of the apolipoprotein levels as for the risk factor for atherogenesis is still needed. Subjects and methods : The 107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to differentiate chest pain syndrome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Thirty-two patients who had no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served as a control group and 75 patients who had one or more coronary stenoses more than 50% narrowing by luminal diameter served as the coronary artery disease(CAD) group.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polipoprotein A-1(Apo A-1) and apolipoprotein B(Apo B) were measured from venous blood after overnight fastin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 The male gender and smoking habits were more prevalent in the CAD group.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D group but the HDL-C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groups though the mean level of the HDL-C was some lower in the CAD group. The Apo A-1 level was lower in the CAD group while the Apo B level was higher in the CAD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Apo B/Apo A-l ratio much more distinctly discriminated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sma Apo A-1, Apo B levels and the ratio of Apo B/Apo A-1 can be used for risk stratification of CAD.

      • 인슐린 저항성과 고감도 C-반응성단백의 연관성

        박노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07

        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주요 병인일 뿐 아니라, 정상인에서도 동맥경화증 위험인자의 공통분모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염증반응과 죽상경화증 및 인슐린저항성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 C-반응성단백(C-reactive protein : CRP)은 주요 급성기 단백의 하나로서 심혈관 질환에 대한 독립적 예후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및 관동맥질환 환자에서 "정상 혈당 클램프법"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를 알아보고 염증반응의 표지자이며, 최근 개발된 고감도(high-sensitivity)의 CRP(hsCRP) 및 fibrinogen등을 측정해서 이들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연세의료원에 내원한 당뇨병 환자 남자 26예, 관동맥질환 환자 남자 15예, 내과질환의 병력이 없는 정상인 남자 12예를 대상으로 하여 혈당강하제 및 기타 약제 복용을 검사 3일전부터 중단하고 12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한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인슐린 감수성 검사는 De Fronzo 등(1979)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고 인슐린 감수성의 지표로 마지막 20분 동안의 포도당 이용률(M, mg/kg/min)을 이용하였다. 검사 시작 전과 시작 2시간후 hsCRP 측정을 위해 혈액을 채취하였고 fibrinogen, PAI-1, hs-CRP,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을 측정하였다. hsCRP 농도는 면역 비탁법 (N High Sensitivity CRP, Dade Behring GmbH, Marburg,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hsCRP 농도의 참고범위를 구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자 81명을 대상군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표준편차) 연령은 정상군은 51.1(±6.9)세, 제2형 당뇨병군은 48.5(±9.4)세, 관동맥질환군은 56.6(±9.8)세로 관동맥질환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286). 평균(±표준편차) 포도당 이용률(mg/kg/min)은 정상군 8.4(±1.5); 제2형 당뇨병군, 3.7(±1.8); 관동맥질환군, 4.4(±1.4)로 당뇨병과 관동맥질환군의 인슐린 감수성이 현저히 낮았다(p=0.0001). 2. 세 대상군에서 분산분석 및 다중비교를 한 결과, hsCRP는 관동맥질환군에서 증가한 경향이 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p=0.3161), fibrinogen (p=0.0113)은 관동맥질환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정상 남자 93명에서 구한 참고범위(5∼95 percentile)는 0.14 - 5.2 mg/L, 중앙값은 0.56 mg/L 이었다. 3. 전체 대상군에서 포도당 이용률과 hsCRP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929). 그러나 전체 대상군을 hsCRP 값에 따라 네군으로 분류하고 포도당 이용률을 비교한 결과, 26-75 percentile군 에 비해 hsCRP가 낮거나 높은(≤25 percentile or >75 percentile)군에서, 포도당 이용률이 의미있게 낮아서(p=0.0116) 인슐린 저항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4. 인슐린 저항성군과 인슐린 감수성군 사이에 fibrinogen과 hsCRP 농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각각 p=0.6940, p=0.2970). 5. 제2형 당뇨병의 유무에 따라 hsCRP와 fibrinogen을 비교한 결과 비당뇨병군에 비해 당뇨병군에서 fibrinogen은 의미있게 낮은 반면, PAI-1은 의미있게 높았다(각각 p=0.0284, p=0.0180). 6. 관동맥질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염증반응의 표지자인 hsCRP와 fibrinogen을 비교한 결과, 비관동맥질환군에 비해서 관동맥질환군에서 hsCRP (p=0.0169)와 fibrinogen (p=0.0025) 농도는 의 미있게 높았다. 7. 전체 대상군에서 hsCRP는 비정규분포를 보였으며 자연로그 변환 결과 hsCRP와 waist-hip ratio(WHR) (p=0.0216), 흡연 (p=0.0009), fibrinogen (p=0.0001)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포도당 이용률은 hsCRP가 26∼75 percentile군(0.27∼1.4 mg/dL)에 비해서, 매우 낮거나[≤25 percentile (0.27 mg/L)] 높은 군[>75 per centile (1.4 mg/L)]에서 의미 있게 낮아서 인슐린 저항성을 시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군과 비저항 성군에서 hsCRP 농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hsCRP가 독립적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aspirin과 같은 항염증 치료를 통해서 CRP가 감소되고 이와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되는지에 관한 전향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sulin resistance is known as the common denominator of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as well as the major pathogenic proces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M). Recently, some reports showed the relationship of chronic inflammatory reaction to atherosclerosis and insulin resistance. C-reactive protein (CRP), one of major acute-phase reactant, has turned out to be independent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as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sulin resistance which was assessed by euglycemic insulin clamp technique and CRP of high sensitivity (hsCRP) which was recently developed as a new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CHD) and fibrinogen which was the marker of inflammatory reaction in patient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M) and of CHD. Twenty-six DM, 15 CHD and 12 normal healthy men from March, 1999 to February, 2000, were includ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y discontinued taking hypoglycemic or any medicine at least 3 days before, and maintained overnight fasting just on the day of examination. We performed the euglycemic insulin clamp test by De Fronzo method and determined glucose utilization rate (M, mg/kg/mm) during the last 20 minutes as an index of insulin sensitivity. Blood for hsCRP were drawn before and 2 hour after insulin clamp. We measured fibrinoge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1 (PAl- 1), hsCRP,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erum hsCRP was determined by immunonephelometric method using BN 100 analyzer. We also measured hsCRP concentrations in additional 81 healthy men to determine the reference ran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subjects were male over 30 years of age. Mean age was slightly higher in CHD group (p=0.0286) than in normal or DM groups. M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M and CHD groups (p=0.0001), suggesting insulin resistance. 2. The hsCRP concentration seemed to be elevated in coronary heart disease group compared with DM or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even in logarithmically transformed value (p=0.0589). The mean (±SD) hsCRP concentration in 93 normal men was 1.44 (± 2.90) mg/L with median value of 0.56 mg/L. Normal reference range was determined to be 0.14-5.2 mg/L as from 5 to 95 percentile values. 3. We found that M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sCRP concentration in all subjects (p=4.0929). But, when we divided all subjects into 4 groups by interquartile ranges of hsCRP concentration and compared glucose disposal rates among those groups, the M values of the group of both 0~25 and 75~100 percentile were significantly lower (more insulin resistanct) than that of 26~75 percentile group (p=0.0116).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ither hsCRP or fibrinogen level between insulin-resistant and insulin-sensitive groups, when we defined as insulin-resistant if the M value was lower than 7 mg/kg/min (p=0.2424, p=0.5338, respectively). 5. The PAI-1 concentrations in type 2 D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n-DM (control or CHD) group (p=0.0180). 6. The logarithmic values of hsCRP and fibrinoge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D group than those in non-CHD group (p=0.0169, p=0.0025, respectively). 7. We found that natural logarithmic values of hsCRP were related to waist-to-hip ratio, smoking and fibrinogen (r=0.3150, p=0.0216; r=0.4484, p=0.0009; r=0.5948, p=0.0001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glucose disposal rates of the group of either low or high hsCRP group [≤25 percentile (0.27 mg/L) or > 75 percentile (1.4 mg/L)] were significantly lower (insulin-resistant) than those of the central hsCRP group [26-75 percentile (0.27~1.4 mg/L)], although there were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of glucose disposal rate and hsCRP in overall subject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of hsCRP between insulin-sensitive and -resistant groups. Therefore, we suggest further prospective studies, including the effect of anti-inflammatory therapy on CRP levels and glucose disposal rate, are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hsCRP is independent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 관동맥 스텐트 시술 직후 관동맥 분지폐쇄의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서영욱 조선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연구배경 : 관동맥 스텐트 시술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인 중재 시술 방법의 하나로서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관동맥 스텐트 시술 중 분지 폐쇄가 중요한 문제점의 하나로 남아 있어, 스텐트 시술에 따른 관상동맥 분지 폐쇄의 발생율, 예측인자, 그리고 변화와 임상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모혈관의 스텐트 삽입 부위에서 분지혈관이 기시하는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56예의 관동맥 모혈관 주병변과 98예의 분지혈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관동맥 분지의 혈류를 TIMI flow로 분류하였으며 크기에 따라 내경 1mm이하, 1.0~1.5mm, 1.5~2.0mm, 2.0mm이상으로 분류하였고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모혈관의 협착이 분지혈관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1형, 근위부에 국한된 경우를 2형, 원위부에 국한된 경우를 3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경우를 다시 분지혈관 기시부의 유의한 협착 유무에 따라 A형(DS≥50%), B형(DS<50%)으로 세분하였다. 스텐트 삽입술 직후 관동맥 분지의 완전폐쇄가 발생하거나, B형에서 A형으로 변한경우, 또는 TIMI flow가 grade 1 이상 감소된 경우를 분지패쇄(SBO)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 98개의 대상 관동맥분지 중 스텐트 삽입술 직후 20개(20.4%)에 서 급성 분지 폐쇄가 발생하였다. 이전에 급성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었던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분지폐쇄가 많았으며 (p=0.02), 관동맥조영술상 스텐트 삽입술 전 분지 기시부 의 유의한 협착이 있는 경우 (p=0.016)와 분지혈관의 TIMI flow가 감소된 경우 (p=0.014)에 스텐트 삽입술 직후 급성 분지폐쇄의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동맥 분지폐쇄 후 급성 심근경색과 사망과 같은 중대한 임상적 문제는 일어나지 않았다. 결론 : 이전의 급성 심근경색 병력과 스텐트 시술 전 분지의 TIMI flow 감소 및 분지 기시부의 유의한 협착 유무가 관동맥 스텐트 삽입술 직후 분지폐쇄의 예측인자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관동맥 분지폐쇄와 관련된 유의한 임상적 문제는 잘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tracoronary stenting is one of effective and well-accepted treatment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On the other hand, side branch occlusion (SBO) is a known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and intracoronary stenting.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predictors and acute clinical outcomes of side branch occlusion. Method :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of 45 patients who had total 98 side branches originating from the stented segments were analized before and just after intracoronary stenting. Side branches were divided into 3 types type 1, type 2, type 3 and each types were subdivided into type A with significant ostial narrowing (>50%) and type B without significant ostial narrowing. Side branch occlusion was defined as development of total occlusion or morphologic changes from type B to type A or reduction of TIMI flow more than grade 1 compared with pre-stenting flow of side branches. Results : After coronary stenting, SBO occurred in 20 of 98 side branches (20.4%). The increasing incidence of SBO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history of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p=0.02), threatened side branch morphology (p=0.016) and poor pre-stenting flow of side branches (p=0.014). There were no serious clinical events such as myocardial infaction and death associated with acute SBO. Conclusion : Acute side branch occlusion can be developed in a few stented patients. Signifiant and univariate clinical and angiographic predictors of SBO just after intracoronary stenting were the history of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threatened side branch morphology and poor pre-stenting flow of side branches.

      • 관동맥질환의 평가를 위한 혈류예비능 측정에서의 경식도 심초음파도의 유용성

        이성욱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79

        관상동맥 질환의 평가에 있어서 협착된 정도의 평가는 주로 관상동맥 조영술에 의한 해부학적 분석에 주로 하고있으나, 관상동맥 미세혈관 기능(microvascular function)의 평가나, 중등도로 협착된(intermediate narrowing) 심외막혈관의 혈관재건술(revascularization) 여부를 결정하는 생리학적 지표(physiologic parameter)로서 관상동맥 혈류예비능이 사용된다. 이러한 관상동맥 혈류예비능은 관상동맥협착 부위에 있어서의 협착을 평가하는 기능적 지표로서 사용하여 관상동맥질환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생리학적 지표로 이용되어져왔으나 이는 주로 관혈적 방법인 coronary sinus thermodilotion, Doppler-tip catheter, Doppler-tip guide wire, digital subrtaction angiogram등이 이용되어져 왔다. 최근 경식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의 좌전 하행지를 가시화할 수 있게됨에 따라 비관혈적인 방법으로 관상동맥 혈류예비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저자들은 흉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Doppler-tip guidewire(Doppler Flowire, Cardiometrics사, 이하 도플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관동맥혈류속도를 측정한후 관동맥 혈류예비능을 구하고, 1주일 이내에 경식도 초음파를 시행하여 측정한 혈류속도로 관동맥 혈류예비능을 구하여 이를 상호 비교하므로써 관상동맥 질환의 평가를 위한 경식도 초음파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비교 결과 향후 관동맥 질환의 평가를 위한 혈류예비능은 관동맥 조영술등의 관혈적인 방법을 대신하여 반복측정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되는 경식도 초음파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Coronary flow reserve(CFR) is useful physiologic parameter in the assessment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TEE) is a less invasive method of assessing coronary flow velocity in the proximal portion of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than by coronary angiography. The author compared with coronary angiography and TEE for the measurement of CF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 Twenty patients(12 male and 8 female, mean age : 54±11 years) with chest pain were investigated for measurement of CFR. CFR and average peak velocity(APV) were measured at the proximal protion of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ith doppler guide wire before and during intracoronary arterial injection of 12㎍ of adenosine. CFR and diastolic peak velocity(DPV) were measured at the same artery by pulsed sample volume with TEE before and during intravenous infusion of 0.14 mg/kg/min of adenosine for 6 min. Significant occlusive disease was defined as > 50% diameter obstruction of a LAD by caliper estimation on angiography. Results were as follows: 1) APV of basal and hyperemic state in nonstenotic group with dopplerwire study were 22.3±9.8, 69.1±20.3 cm/sec in nonstenotic group and 24.7±7.4, 48.4±15.7 cm/sec in stenotic group, respectively. APV of hyperemic state was lower than nonstenotic group(p<0.05). 2) DPV of basal and hyperemic state in nonstenotic group with TEE were 30.7±8.5, 90.3 ± 41.7cm/sec in nonstenotic group and 31.7±12.5, 62.3±28.3cm/sec in stenotic group, respectively. DPV of hyperemic state was lower than nonstenotic group (p<0.05). 3) CFR with dopplerwire study and with TEE in nonstenotic group were 2.94 ±1.21, 3.10±1.23, in stenotic group were 1.97±0.92, 1.96±0.94, respectively. Correlation of CFR by dopplerwire and by TEE is ralatively good(r=0.88, p<0.05). 4) Mean blood pressure during intracoronary injection and intravenous infusion with adenosine were decreased 14, 11 mmHg respectively (p<0.05), but heart rat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intracoronary injection group(p>0.05). Conclusion : The measurement of CFR by TEE may be useful and saf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 운동부하심전도검사를 이용한 관동맥질환의 중증도평가

        황진용 경북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9678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답차운동부하심전도검사를 시행했던 환자중 양성반응자 36례의 허혈성 ST절반응을 분석하여 관동맥조영소견과 비교 검토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운동심전도검사 양성자 36례에서 관동맥조영상 정상은 4례(11%), 단일혈관질환은 9례(25%), 이혈관질환은 11례(30%), 세혈관질환은 9례(25%), 그리고 좌주관동맥질환은 3례(9%)였다. ST절하강이 2mm 이상인 예와 그 미만인 예 각각에서 이혈관질환 이상의 다혈관질환의 빈도는 72% 및 45%로 하강의 정도와 관동맥조영상 질환의 중증도는 비례하였다. 세가지 하강형 중에서 하행형 ST절하강을 보인 예에서는 단일혈관에 비해 다혈관질환의 빈도가 14% 및 86%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수평형이나 상행형인 예에서는 그러하지 않았다. 한편, 허혈성 ST하강이 운동시작후 6분내에 출현하거나 또는 그것이 운동중지후 7분이후까지 지속된 예에서 다혈관질환의 빈도는 70%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운동심전도검사시 ST절하강의 깊이, 모양, 출현시간 및 지속시간을 면밀히 관찰하면 관동맥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Exercise-induced ischemic ST responses were analized in 36 patients who presented with chest pain and had exercise testing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ir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Of 36 exercise test positives, the incidence of one-, two- and three vessel disease, and left main disease was 25% (9 cases), 30% (11 cases), 25% (9 cases) and 9% (3 case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multivessel disease (i,e, two- to three- vessel disease or left main disease) in patients with ST depression>2.0mm was 72% and that in those with ST depression of 1.0-1.9mm was 45 %. In patients with downsloping ST depression, the incidence of multivessel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ne vessel disease (86% vs 14%, p<0.001). but both incidence of one vessel disease and multivessel disease were similar in patients with flat and slowly upsloping ST depression. More than two thirds of patients with either ishemic ST depression appearing in the first 6 minutes of exercise or those lasting past 7minutes in recovery were associated with multivessel disease. It is concluded that attention to depth, type appearance time and duration of depressed ST segment is particularly helpful in detecting patients with advanced coronary disease.

      • Impact of mismatch lesion on long-term outcome of intravascular ultrasound guid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han, Tan Quan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참조혈관 크기와 목표병변의 혈관크기가 다른 불일치병변 (mismatch lesion)이 혈관내 초음파를 이용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하였다. 연구방법 참조혈관 크기와 목표병변의 혈관크기가 다른 불일치병변은 근위부와 원위부 참조혈관 내강이 최소 1.0 mm 이상 또는 가장 작은 참조혈관 내강이 30 %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불일치혈관군(mismatch group)으로 하였고, 차이가 없었던 군은 일치혈관군 (non-mismatch group)으로 하였다. 총 1,706 병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불일치혈관군 411 병변과 일치혈관군 1,295 병변으로 나누었다. 성향점수분석 (Propensity score matching) 후 최종 분석을 위해 각 군에서 397 병변을 선택하였고, 주요 심장 사건으로 사망, 심근 경색 및 목표병변 재개통술을 평균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임상적 특성 및 혈관 조영 특성은 성향점수매칭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치혈관군과 비교했을 때, 불일치혈관군은 시술 시간이 더 길었고 (53.8±16.2 vs. 45.2±10.7 분, p<0.001), 조영제 사용량 (179.6±53.2 vs. 161.4±31.2 ml, p<0.001) 과 스텐트의 수(1.19±0.43 vs. 1.07±0.25, p<0.001) 가 더 많았다. 불일치혈관군은 스텐트시술후 추가적인 풍선확장술 최적화 치료가 더 많은 경우에서 필요하였고 (79.6% vs. 53.9%, p<0.001), 풍선확장시간이 길었으며 (2.98±1.75 vs. 1.91±0.92, p<0.001) 및 사용한 최대압력이 (19.5±3.9 vs. 16.7±3.7 atm, p<0.001) 더 높았다. 관동맥 중재술 동안, 불일치혈관군은 주요 합병증이 (7.8% vs. 4.3%, p=0.037) 더 높았고, 시술 성공률이 낮았다 (91.4% vs. 95.5%, p=0.022). 최종 혈관조영상에서, 불일치혈관군은 최소 내강 직경 (2.62±0.45 vs. 2.90±0.57 mm, p<0.001)이 작았고, 잔존 협착이 더 높았고 (11.3±4.5% vs. 9.4±6.2%, p<0.001), 시술 성공률이 낮았다 (93.2% vs. 96.7%, p=0.023). 최종 혈관내초음파에서 불일치혈관군은 최소 스텐트 면적이 더 작았고 (6.39±2.09 vs. 6.93±2.77 mm2, p=0.002), 불완전한 스텐트 밀착 및 스텐트 가장자리 박리가 (6.3% vs. 3.0%, p=0.029 and 2.5% vs. 0.8%, p=0.045)을 더 많았다. 하지만 스텐트 혈전증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317). 추적 관찰 결과 불일치혈관군은 심장사망 (HR: 2.54, 95%CI:1.36-4.75, p=0.003)과 목표혈관 재개통술 (HR: 2.73, 95%CI:1.59-4.71, p<0.001)에 주로 기인한 주요심장사건(HR: 2.23, 95%CI:1.56-3.12, p<0.001)의 위험이 더 높았다. 결론 불일치 혈관병변은 관동맥 중재술이 가능한 병변이지만, 관동맥 중재술에 혈관내초음파를 사용하는데도 바람직하지 않은 시술결과와 나쁜 임상경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협착형태에서 불일치 혈관병변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적절한 접근법을 찾기 위해 전향적 연구에서 검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impact of mismatch lesion on the outcome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guidance. Material and Methods Mismatch lesion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reference lumen diameters (RLD) of ≥1.0 mm or ≥30% of the smallest RLD. Total 1,706 lesion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411 lesions in Mismatch group and 1,295 lesions in non-mismatch group.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397 lesions in each group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was the composit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TLR). Results The baseline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well balance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pared with non-mismatch group, mismatch group PCI needed more procedure time (53.8±16.2 vs. 45.2±10.7 minutes, p<0.001), contrast amount (179.6±53.2 vs. 161.4±31.2 ml, p<0.001) and number of coronary stent (1.19±0.43 vs. 1.07±0.25, p<0.001). Mismatch group also required more frequently use of post-stenting optimization (79.6% vs. 53.9%, p<0.001) with more inflation times (2.98±1.75 vs. 1.91±0.92, p<0.001) using higher maximum pressure (19.5±3.9 vs. 16.7±3.7 atm, p<0.001). During PCI, mismatch group encountered more major complications (7.8% vs. 4.3%, p=0.037) and lower procedure success rate (91.4% vs. 95.5%, p=0.022). On final angiogram, mismatch group had smaller minimum lumen diameter (2.62±0.45 vs. 2.90±0.57 mm, p<0.001), higher residual stenosis (11.3±4.5% vs. 9.4±6.2%, p<0.001) and lower angiographic success rate (93.2% vs. 96.7%, p=0.023). On final IVUS, mismatch group achieved smaller minimal stent area (6.39±2.09 vs. 6.93±2.77 mm2, p=0.002) along with higher rate of incomplete stent apposition and stent edge dissection (6.3% vs. 3.0%, p=0.029 and 2.5% vs. 0.8%, p=0.045, respectively). Follow-up data during median of 5 years showed that mismatch group had higher risk of MACE (HR: 2.23, 95%CI:1.56-3.12, p<0.001), mainly driven from cardiac death (HR: 2.54, 95%CI:1.36-4.75, p=0.003) and TLR (HR: 2.73, 95%CI:1.59-4.71, p<0.001). Conclusions Mismatch lesion posed significant challenging during PCI that led to unfavorable procedural results and worse clinical outcomes even with IVUS guidance. These results need to be validated in prospective studies to determine the role of mismatch lesion in stenosis morphology classification and to find the suitable approach to deal with this lesion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