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국가이미지와 관광목적지로서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이상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베트남 국가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로, 보다 수준 높은 베트남 관광을 유도 할 수 있는 기초적 이론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여행업 경영자에게는 시장 세분화를 통한 전략수립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으로서 관광 상품개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과제는 첫째, 베트남 국가 이미지에 대하여 한국인 관광객들은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둘째, 베트남이 가지고 있는 관광목적지로서의 선택속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세째, 베트남 국가이미지와 관광목적지로서의 선택속성과 관광객 만족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네째, 관광객의 특성에 따라 국가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객 만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최근 2년간 베트남을 다녀온 한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국가이미지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베트남 국가이미지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중 사회문화성, 쇼핑ㆍ여가성, 관광기반시설, 역사성, 자연성의 모든 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로서의 선택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만족도와 전체적인 만족, 방문가치와 비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변수별 영향관계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베트남이 가지는 국가이미지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전쟁과 관련된 이미지가 베트남을 관광목적지로 선택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관광기반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베트남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편리한 숙박시설, 원활한 교통수단 등의 관광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on the national image of Vietnam and the selection attribute to tourists' attraction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can give tourism professionals the basic theory to lead a qualified vietnam tourism, provide tourism managers with a proper materials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and finally help them to make better ideas to create tourism products. There are major assignm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1) to find out how Korean tourists recognize the national image of Vietnam; 2) to research on the selection attribute of Vietnam as a tourist attraction; 3)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among the national image of Vietnam, the selection preference as a tourist spot, and tourists' satisfaction; 4)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above three major topic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Korean tourists who had been to Vietnam for last 2 yea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image of Vietnam on Korean tourists, the image of Vietnam affects on social-cultural characters, shopping, leisure elements, tourist facilities, history, natural elements in terms of the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s. Second,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to the selection attribute as a tourist attraction shows tha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and expecially satisfied with value of visiting and travel expenses. Thir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ourists' respons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opulation statistics. The valuable discovery of the research is that the national image of Vietnam positively influences the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s. Especially, the image related to the Vietnam War causes tourists to select Vietnam as a travel destination. Finally, there is needed to invest and develop tourist facilities such as comfortable accommodations, convenient transportations to attract more tourists in Vietnam.

      • 관광객의 한국 숙박시설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한류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이위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한국 관광수요가 증가하면서 동시에 중국 방한 관광객도 예년에 비하여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와 가수들의 해외 진출로 2001년을 기점으로 급증한 방한 관광객은 차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 이미지 개선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는 ‘한류’는 다양한 분야로 연결고리를 생성하면서 이미 중국에서 뚜렷한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발달은 호텔·숙박 산업 발전의 좋은 기회도 작용하지만, 한편으로는 관광산업에 있어서 치열한 경쟁도 유발한다. 이런 시점에서 중국 관광객의 욕구를 파악함과 동시에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관광객의 방한 동기 및 한국 숙박시설 이용에 있어서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한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중국 방한 관광객의 방한동기와 숙박시설 고객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항목을 설정하였으며, 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 및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한류소비자가 인지하는 숙박시설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숙박시설 선택속성의 환경 및 이미지, 객실시설과 비품이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숙박시설 선택속성과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부대시설과 객실시설 및 비품요인, 서비스요인은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박시설 선택속성의 환경 및 이미지, 객실시설과 비품, 부대시설 요인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국의 다양한 소비수준과 관광목적에 부합하는 한국숙박시설이 개발되어야하며 이들의 연구가 진행되어 앞으로의 한국 숙박시설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verseas tourists and the tourist from china compared with other years. Korean TV plays and singers as well as other cultural commodities into Chinese market, the growth trend of Korean Wave tourists from China has increasingly obvious since 2001. “Korea Wave”, which ha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image of Korea, catches the eyes of Chinese young consumers in all kinds of fields and it has even become a social phenomenon in domestic China.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spontaneously leads to the development of hotels and other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the competi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fierce. In such cases, a research on the demands of Chinese tourists and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their reuse of choice of tendency for accommodation from the aspect of their satisfaction situation is positively necessa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ctors in choosing accommodation facilities of Korean Wave tourists from China on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of their reuse. In this research, Objects are Korean Wave tourists from China with experience of visiting South Korea. The instruction of this study, base on the literature research was firstly carried out; definition about choice of tendency for accommodation and Korean wave consumers were given; then an explorative study was made on relevant literature of consumers’ satisfaction of accommodation. By using SPSS Ver.18.0 statistical software,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made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firstly,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in choosing accommodation facilities of Korean Wave tourists from China and their satisfaction, they attaching with great importance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the reputat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erefore, a conclusion is drawn that the more convenient of the environments. It is more satisfied the consumers feeling. Besides, the cleanliness and the comfort of the room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sumers’ satisfaction. Secondly, by the effect of their choosing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their intention of reuse and recommendati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reusing the room situation, additional facilities and service experi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re environment, the room conditions and the integrity of additional facilities. Thirdly, on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customer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With the result of study korean accommodation facilities which meets the various consumption level and travel purpose of China should be developed. Further study of tourists will be carried out tha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industry of korean accommodation.

      • 모험관광자의 자기 목적적 동기가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스노보더를 대상으로

        한승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모험관광자를 대상으로 플로우 경험에 대해 다루어 온 선행연구에서는 플로우 경험의 원인을 플로우 모델이 내포하고 있는 추동의 관점에 기초하여 규명해오지 못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는 지각된 도전과 기술을 선행변수로 하여 플로우 경험과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플로우 경험이 즐거움 등과 같은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오는데 그쳤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 경험의 원인을 플로우 모델이 내포하고 있는 추동의 관점에 기초하여 이해하고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자기 목적적 동기를 선행변수로 도입하여 기존 플로우 모델의 확장을 시도하였으며, 성격 특성과 지각된 모험 난이도의 개념을 추가로 도입하여 모험관광자의 심리적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분석결과 자기 목적적 동기는 지각된 도전, 지각된 기술, 주의집중, 행동과 의식의 결합, 그리고 통제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기 목적적 동기, 지각된 기술, 그리고 통제감은 성격 특성별 고·저 수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지각된 모험 난이도는 자기 목적적 동기, 지각된 도전과 기술, 그리고 플로우 경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 목적적 동기는 지각된 도전과 기술에 모두 높은 수준의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각된 도전은 주의집중과 행동과 의식의 결합과 영향관계가 있으며, 지각된 기술은 자아상실과 통제감과 영향관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격 특성 별 차이를 통해 지각된 기술과 통제감은 서로 관련이 높은 요인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모험 난이도의 수준이 ‘상’에서 가장 많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모험관광이 최적각성 추구 추동으로 발현된 활동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모험관광자원 제공자 혹은 인스트럭터(instructor)가 모험관광자의 심리적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자기 목적적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플로우 상태를 경험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지각된 도전과 기술을 동시에 자극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성격 특성 별 수준에 따라 자기 목적적 동기의 수준과 특히 기술 수준과 관련된 행동 및 경험을 집중적으로 향상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모험 난이도 수준에 대한 변화를 제공함으로서 자기 목적적 동기, 지각된 도전과 기술, 그리고 플로우 경험 전반에 걸친 심리적 상태를 관리하여야 한다. 핵심용어: 모험관광자, 자기 목적성, 자기 목적적 동기, 지각된 도전, 지각된 기술, 플로우 경험

      • 중국인 미용성형관광 행동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양은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의료관광은 의료와 관련된 서비스와 관광이 결합된 의료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의료관광객 유치와 외화획득 및 의료관광 관련 산업 분야의 발전을 기하는 21세기의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최대 세계 해외관광비용 지출국가로 부상하고 있으며,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고, 최근 우리나라의 미용성형관광객 중 중국인의 비중이 가장 높다. 미용성형관광에 있어서 중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미용성형관광객의 행동의도를 고려한 의료관광산업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으나, 현실적으로 중국인 미용성형관광객의 행동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용성형관광에서 중국인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미용성형관광객을 이해하고, 미용성형관광 관련 특성을 통하여 중국인 미용성형관광객의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성형관광의 의료관광서비스품질과 나르시즘, 유명옹호인을 포함한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통하여 중국인의 미용성형관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개념들(의료관광서비스품질,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감, 긍정적 예상정서, 부정적 예상정서, 나르시즘, 유명옹호인, 행동열망, 행동의도)을 도출하고 구성개념 간 관계를 통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온라인을 통하여 한국에서 미용성형관광을 고려해 본 적이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총 485부의 표본이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자료 분석결과, 미용성형관광에 대한 의료서비스품질과 관광서비스품질 모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서비스품질이 강한 영향을 나타냈다. MGB 변인들 중에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행동열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 예상정서는 행동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정적 예상정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열망과 행동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성형관광의 특성인 나르시즘과 유명옹호인은 행동열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고, 마지막으로 행동열망이 행동의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중국 여성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쇼핑관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장상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쇼핑관광은 관광활동의 중요한 필수분야로 자리하여 당위성이 인식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관광활동으로 발전하여 하나의 독립된 영역의 관광 사업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 2012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따라서 방한 중국관광객들이 한국을 찾는 이유를 보면 쇼핑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높은 구매력과 향후 성장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관광에 대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과 수용태세를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인 심리적 변수인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이용하여 한국 쇼핑관광 이용한 중국여성관광객을 세분화하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한국 쇼핑관광 선택속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한국 쇼핑관광 선택속성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의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향후 세분화된 쇼핑관광 서비스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쇼핑관광 선택속성, 만족, 재방문의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한국 쇼핑관광을 경험한 중국 여성관광객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3연 7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거의 두 달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장소는 서울시내관광지에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여성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한국 쇼핑관광 선택행동에 유의한 차이는 상품성 요인, 독특성 요인, 편리성 요인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사원 서비스 요인과 휴대성 요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여성관광객의 한국 쇼핑관광선택속성은 관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검증한 결과는 상품성, 종사원 서비스, 편리성의 쇼핑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특성, 휴대성의 쇼핑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방문의도를 회귀 분석한 결과로서 상품성, 종사원 서비스, 편리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특성과 휴대성의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여성관광객의 쇼핑관광 만족의 재방문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5.4%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한국 관광에 대한 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쇼핑관광을 이용하는 중국 여성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구분하였기 때문에 라이프스타일에 입각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할 때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해 질 것이다. 즉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시장세분화가 가능해지고 그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국 여성관광객들의 경우 한국 쇼핑 상품의 독특성이나 휴대성보다는 상품의 품질과 디자인 실용성 등의 상품성과 종사원의 서비스, 그리고 쇼핑의 편리성 등의 요인이 관광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만족이 낮게 나타난 상품의 독특성이나 휴대성을 더 확보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쇼핑관광의 상품성과 종사원의 서비스, 그리고 쇼핑의 편리성 및 독특성이나 휴대성에 위와 같은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 여성관광객들의 경우 한국 쇼핑 상품의 품질과 디자인, 실용성 등의 상품성과 종사원의 서비스, 그리고 쇼핑의 편리성 등의 요인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어, 중국 여성관광객의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품성을 높이고, 종사원의 서비스 교육을 강화하며,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쇼핑의 편리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관광객들의 쇼핑관광 만족은 관광객들은 신뢰감을 가지게 하여 재방문을 유발한다. 이러한 관광객의 쇼핑관광 상품에 대한 만족으로 인한 신뢰관계는 쇼핑관광 상품의 속성이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객의 재방문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쇼핑관광 상품에 대한 투자노력을 통해 관광객들이 만족과 쇼핑관광 상품에 대한 신뢰를 쌓는 노력은 결국 쇼핑관광 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인 관광객이 지각하는 쇼핑관광 속성이 관광객 만족,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정파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were established in 1992, the exchange of economy, society, and culture has been activ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is increasing. Especially, under the situation that China’s continuous output is expected to expand the market, our country is one of our national industries. For tourists to visit Korea, we should make diversification efforts. Recently, under the situation tourists finding more travelling fun through variety activities at their travel destination, among those activities, the representative activity in which tourists can find lots of joy and love the most is –shopping. However, the execution of research results so far shows that the research on tourists’ voluntary action is very limited.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voluntary action and the first study of the scale by Bettencourt (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hopping and tourism attributes and tourists’ satisfactions and voluntary 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will use bot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First of all, the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s shopping and tourism attributes, tourists’ satisfaction, and voluntary action on the advanced research. The study has set up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study. Secondly, based on the derived variables, this study makes an empirical analysis to the survey completed by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The questionnaire surveys choose to give out at the place that Chinese tourists choose to visit the most in Seoul, Korea is Dongdaemun. The surveys were sent twice at June 1, 2013 and June 15, 2013, a total of 350; among those samples, 323 were taken back. Among the feedback surveys, eliminating those dishonest and omissions answers, 305 copies of the survey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Spss 18.0 applica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lso use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conclusion is shown below: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9 of 14 set of assumptions have been selected, and the rest 5 were rejected.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t shows that between shopping and tourism attributes, environmental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ourists’ satisfaction (or positive impact). Environment factors and service quality have positive impact on goods satisfaction. Risk perception factor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mmodity. Also, among tourists’ perceived satisfaction, shopping satisfaction has a meaningful positive effects for tourists’ voluntary action; goods satisfaction has meaningful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 enlightenment of theory and practice aspects are as follows: shopping and tourism attributes have positive impact on tourists’ satisfaction; secondly, those tourist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shopping experi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ourists’ voluntary act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verifies the following practical aspects of the enlightenment. First of all, studying the scale of the voluntary action by Bettencourt(1997); so, on the scale of the voluntary action have new discovery in the field of shopping tourism. From now on, it is not only used in the field of shopping tourism but also try to be used in other field of tourism. Secondly, in order to improve tourists’ participation, assistance and loyalty, we should investigate more attractive shopping and tourism to satisfy more tourists. Thirdly,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e should reduce the risk perception in shopping. Moreover, with the advantage of the geographic location that Korea and China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based on the different tourism destinations, different seasons, continuous different developing, we should face competitive travelling product in the future, in addition, establish the correct publicity system for Chinese. Finally,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topic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imitations of the place that we give people the surve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use tourists come to visit Korea as objects at Dongdaemun in Seoul, so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future, we are expected to choose several cities that Chinese tourists visit the most in Korea to do the survey. Secondly, because most of Chinese who travel to foreign countries are born after 1990s, the investigation should lay particular stress so this may influence the analysis results. In the future, we should consider the distribution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Third, this study is given the survey to those tourists in the shopping center; focus more on the quantitative approach. Therefore, in the future, we should study in the overall perspective, use observation or interview at the same time on the quantitative approach. 1992년 중국과 한국은 국교가 수립된 이후 양 국가 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의 지속적인 아웃바운드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국가산업이 일환으로 방한 관광객에 대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관광객들이 관광지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여행의 즐거움을 적극적으로 찾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관광객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행동 또한 상당수 많은 관광객들이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대표적 활동 중 하나가 바로 쇼핑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결과에서는 쇼핑관광의 과정에서 관광객의 행동을 연구한 자발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Bettencourt(1997)의 자발적 개념과 척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삼고, 본 연구의 목적은 쇼핑관광 속성이 관광객 만족도와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쇼핑관광의 속성, 관광객 만족도, 자발적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한 연구결과에 따라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지역인 한국의 서울 동대문시장을 선택하였다. 표본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1일과 2013년 6월 15일 두 번 총 350부 배포하였으며, 이중 323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와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5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간결한 결론을 얻었다. 실증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결과는 설정된 가설 14개 중에서 9개가 채택되었고, 나머지 5개는 기각되었다. 실증분석결과, 쇼핑관광의 속성중에서 환경적 요인, 문화적 요인은 구매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인 요인, 서비스 품질 요인은 상품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각된 위험은 상품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관광객이 지각하는 관광객 만족중에서 구매만족은 공통적으로 모든 자발적 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품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와 이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쇼핑관광 속성이 관광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핑관광객의 만족도가 관광객의 자발적 행동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Bettencourt(1997)의 자발적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므로, 쇼핑관광분야에서 자발적 행동 척도의 타당도에 대하여 재발견하였다는 점이다. 앞으로 쇼핑관광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관광분야에서도 자발적 행동 척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시도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쇼핑관광객의 참여의도, 협조의도,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쇼핑관광의 매력성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거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관광객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관광객이 쇼핑에 지각된 위험을 낮추어야만 한다. 또한 한국과 중국이 가까운 지리적 위치 등 장점으로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미래지향적 여행상품 및 관광지별, 계절별로 여행상품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이를 올바르게 중국인들에게 홍보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한된 설문조사 장소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동대문시장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한국의 여러 도시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현재의 중국인 외국여행자들이 1990년대 후가 중심이라는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표본집단이 편중되어 있으므로 분석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향후에는 중국인 외국여행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비율할당을 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쇼핑센터 관광객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양적 접근법에만 치중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면접 또는 관찰을 통한 질적 접근법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관광객 특성에 따른 관광행동 단계별 미디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 메가 이벤트를 중심으로

        황인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미디어가 다양해지고 있다. 신문, TV, 라디오, 잡지와 같은 올드 미디어에 이어 인터넷, 블로그, 소셜미디어 등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매체 시대가 열렸다. 여기에다 PDA,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발달로 미디어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디어 이용자들의 미디어 선택 폭은 갈수록 넓어지고 미디어 이용행태도 변화하고 있다. 메가 이벤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관광객 유치가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서는 미디어를 통한 효과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하다.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선행연구에서 미디어 이용자들은 많은 미디어 중에서 미디어를 무작위로 선택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호하는 미디어의 묶음인 미디어 레퍼토리가 존재하며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이용하는 미디어 레퍼토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도 미디어 이용자로서 관광정보 탐색 때 선호하는 미디어 레퍼토리가 존재할 뿐 아니라 관광객 특성은 물론 관광행동 단계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관광객의 특성에 따른 관광행동 단계별 미디어 레퍼토리를 조사하기 위해 대표적 메가 이벤트인 전라남도 영암 2012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객을 연구 대상으로 정해 총 318명의 설문응답 내용을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2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객은 관광객 특성과 관광행동 단계에 따라 총 196가지 미디어 선택 사례가 분석됐으며 이는 6가지 미디어 레퍼토리 군(群), 26가지 종류의 세부 미디어 레퍼토리로 분류되었다. 6가지 미디어 레퍼토리 군 중에서는 인터넷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이 7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소셜미디어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 13.8%, TV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 4.6%, 구전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 3.6%, 모바일기기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 1.0%, 홍보자료 중심 미디어 레퍼토리 군 0.5%의 순이었다. 2012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객의 관광행동을 4단계로 나눠 보면 관광 전 정보탐색 단계(1단계)에서는 인터넷/TV 중심, 계획수립 단계(2단계)에서는 인터넷/구전 중심, 관광 중 정보 추가 단계(3단계)에서는 인터넷 중심, 관광후기 단계(4단계)에서는 소셜미디어/인터넷/구전 중심의 미디어 레퍼토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광행동 단계별로 이용하는 미디어 레퍼토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 직업, 주거지역, 소득, F1 관광 횟수, 전년도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 경험 유무, 동호회 유무, F1에 대한 전문성의 정도 등 관광객 특성은 물론 관광동기에 따라서도 관광행동 단계별로 미디어 레퍼토리가 달랐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객은 관광정보를 탐색할 때 하나의 미디어만을 사용하기보다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2개 이상의 미디어로 구성된 선호하는 미디어 레퍼토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단일 미디어보다는 관광객의 미디어 레퍼토리에 맞는 미디어 레퍼토리를 선택해 홍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F1 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관광객의 미디어 레퍼토리는 관광객의 특성뿐 아니라 관광행동 단계에 따라서도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어떤 특성의 관광객이 주요 관광객인가에 따라 홍보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미디어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F1 코리아 관광객들은 올드 미디어 중 TV, 홍보자료 외에 신문, 라디오, 잡지는 주요 미디어 레퍼토리로 이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메가 이벤트 주최 측은 관광객들에게 관광객 특성은 물론 관광행동 단계별로 적합한 미디어 레퍼토리를 파악해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미디어를 이용해 관광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해야 관광객들의 효과적인 관광정보 이용도 가능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한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 개최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media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The multimedia age has begun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blogs and social media following the old media like newspapers, TV, radio and magazines. Furthermore, with evermore competition among medi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such as PDAs and smartphones, the choice of media for users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usage pattern is also changing.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mega event, attracting large-scale visitors is essential, and for this purpose, effe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through media is necessary. Precise analysis of users' media usage pattern is a prerequisite for maximizing publicity.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media users do not choose media randomly among the many but a media repertoire exists, which is a set of preferred media. The media repertoires that are used by users have been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was begun from the perspective that tourists must also have preferred media repertoires as media users when they search for tourist information, and it will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not only tourist characteristics, but also through each stage of tourist behavior. For the purpose of studying media repertoires of tourists by each stage of tourism behavior in accorda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the study targeted tourists of 2012 F1 Korea Grand Prix, which is a representative mega event in Yeongam, Jellanam-do, and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from 318 people by using SPSS 17.0 statistics program. From the analysis result, a total of 196 types of media selection cas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2012 Korea Grand Prix tourists' characteristics and tourism behavior, and the types were divided into 6 types of media repertoire groups and 26 types of detailed media repertoires. Among the 6 types of media repertoire groups, media repertoire centered on the Internet had the biggest proportion at 76.5%. It was then followed by media repertoire centered on social media at 13.8%, TV at 4.6%, oral at 3.6%, mobile devices at 1.0% and promotional material at 0.5%. The tourism behavior of 2012 Korea Grand Prix tourists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and the media repertoire used in the stag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as the following: information search prior to tourism stage (stage 1) centered on the Internet/TV, planning stage (stage 2) centered on the Internet/oral, additional information during tourism stage (stage 3) centered on the Internet, and post-tourism stage (stage 4) centered on social media/Internet/oral. In addition, media repertoire wa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ourist characteristics, tourism motive, as well as, each stage of tourism behavior such as age, occupation, residential area, income, number of F1 visits, whether the respondent visited the F1 Korea Grand Prix the previous year, social club activity, expertise in F1, etc.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visitors of F1 Korea Grand Prix were found to have preferred media repertoires when they are searching for tourist information that consist of more than 2 types of media rather than just using one. This implies, in order to attract tourists, promo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appropriate media repertoire that is appropriate to the tourists rather than through just one medium. Second, the media repertoire of F1 Korea Grand Prix wa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not only on tourist characteristics, but also on different stages of tourism behavior. This implies the media utilized for promotion and marketing should change depending on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are held by the main tourists. Third, F1 Korea Grand Prix tourists did not use newspapers, radio and magazines as their main media repertoires other than TV and promotional materials among the old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mega event organizers should provide and promote tourist information by utilizing appropriate media by identifying the right media repertoire based on touris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urism behavior in each stage, so that they can have an effective use of tourist information and hold a successful mega event.

      •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절강성 서당(西塘)을 중심으로

        니춘지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A lot of people have been foreseen in the 21st century, the cultural industry is a major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Cultural and heritage tourism as one of the cultural industry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the positiv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Chinese government as a pillar industry, and to develop strategic objectives and institutional. China five thousand years of splendid culture and beauty of the mountains, the rich tourism resources, depi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eatures, in order to make cultural heritage tourism as the main tourism resources in China's tourism industry to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be developed actively policy. However, the tourism market is not mature, managers lacked marketing strategy can improve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analysis of China's Millennium town - Xitang tourists about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to select Properties - Satisfaction, to grasp the properties satisfied by the tourists to visit places of interest. Especially by tourists to visit Xitang, recognize the important properties and a visit to feel satisfaction after comparison, to understand how to influence behavior intention(Overal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Recommend Intention) to assess how to operate substantially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For effective purposes, method of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y was implemented simultaneously. Frist, Selection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Importance-Performance(IPA) and Behavioral Intention by documentary and theoretical research on Heritage Tourism was also examined.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them and proven investigation for verification was done. As for the sample for research design, total 21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191 valid ones were extra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vestigat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s 19.0. Accordingl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sult of factorial analysis, selection attributes of Xitang heritage attractions were divided into 6 factors of human services, facilities, edutainment, authenticity, attractiveness and historicity.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of Xitang heritage attrac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s not found that the 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s ar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but it is found that gender, marital status, age, education, occupation, income are difference. Second,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Xitang Cultural Heritag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each other. Hypothesis 2 was supported verification. Third,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Xitang heritage attrac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Hypothesis 3 was partially supported.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importance) on behavioral intention showed that human services, edutain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facilities, authenticity, attractiveness and historicity did no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showed that human services, facilities and authentici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edutainment, attractiveness and historicity did not. Especially, the IPA analysis results to that satisfaction is low compared to the Xitang tourists of Chinese to recognize importance. Human services and facilities second quadrant of the Items are need intensive management. Therefore, the cultural heritage operators for move more footfall of tourists to visit Xitang, they should take after the two reasons for the center of management. 많은 사람들이 21세기에는 문화산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예견해왔다(이구서, 2011). 관광산업은 국가의 경제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중국 정부도 관광산업을 국가의 지주 산업(支柱产业)으로 그 성격을 규정하고, 전략적 목표와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5천년의 중화문명과 수려한 산천 등, 천혜의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이를 기반으로 한 문화유산관광을 주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관광 시장은 아직 활성화 되지 못하고, 관리운영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천년고진(千年古镇) 서당(西塘)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의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분석(IPA)으로 집중적인 분석을 통하여 관광객들의 문화유산관광지를 방문할 때 중요시 여기는 속성과 만족한 속성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객들이 서당을 방문하기 이전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과 방문한 이후에 느끼는 만족도를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또 그 차이가 행동의도(전반적인 만족도,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실체 해당 문화유산관광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선행문헌 연구를 통하여 문화유산관광, 문화유산관광지의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IPA), 그리고 행동의도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실증조사를 하기 위한 표본은 210부 중 200부가 수집되었고 그 중 유효한 191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된 설문지는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쳐, SPSS WINDOWS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차이분석(t-test), IPA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요인분석 결과 문화유산관광지 선택속성은 인적 서비스, 편의시설, 교육성, 진정성, 매력 성, 역사성의 6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서당 관광객들의 성별, 결혼여부, 연령대, 학력, 직업, 월 소득 6개 특성 중에 성별 차원에서 선택속성, 행동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모든 차원에서 선택속성, 행동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다른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 적용이 적절한 것으로 본다. 둘째, 문화유산관광지 서당에 중국관광객들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만족도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검증은 지지되었다. 셋째, 관광객들의 선택속성별 중요도와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검증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분석결과로는 중국 서당 관광지 관광객들의 선택속성(중요도) 요인 중에서 “인적 서비스” “교육성” 요인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편의시설”, “진정성”, “매력 성”과 “역사성” 요인에서는 유의한 영향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중국 서당 관광지 관광객들의 선택속성(만족도) 요인 중에서 “인적 서비스”, “편의시설”과 “진정성” 요인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교육성”, “매력 성”과 “역사성” 요인에서는 유의한 영향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IPA 분석결과로 서당에 있는 중국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에 비해 서당에서의 만족도가 낮아 집중관리가 필요한 2사분면의 항목을 살펴보면 편의시설과 인적서비스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해당 문화유산관광지 서당의 운영자들은 더 많은 관광객의 발걸음을 서당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 두 요인을 인지하고 중심으로 관리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 베트남 내 한류관여도와 한국 관광지 이미지 및 방문의도와의 관계

        반안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0년대에 중국 언론에 한류라는 단어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를 포함한 한국과 관련된 것들아 대한민국 이외의 나라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을 가리키며 최근 점점 중국, 일본, 태국 아시아 같은 나라뿐만 아니라 유럽, 중남미까지 인기 끌고 있는 추세다. 베트남에서 한류가 젊은 층의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2016년 한국을 방문한 베트남인은 25만1천402명으로 전년보다 54.5% 증가했다. 그 중에 한류의 영향을 받고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 많다고 한다. 본 연구에 베트남 잠재 관광객들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로는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하기 위하여 SPSS 22.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통하여 베트남인 20대부터 60대이상을 한류관여도와 한국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관한 차이검증 위하여 ANOVA, T-test를 통하여 연구문제를 규명하였다. 따라서 한류관여도와 관광지이미지와 방문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한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라 한류관여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방문경험유와 연령과 직업과 교육수준에 따라 한류관여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관여도와 한국관광지 이미지와 방문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관여도가 관광지 이미지의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관여도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관심의 정도가 한국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을 베트남 관광객 유치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베트남인들의 관심유지와 관심 증가시켜야 함을 확인시켜준다. In recent year, the Korean wave which is neologism referring to the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culture since late 1990s has been significantly popular not only among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Hong Kong, Taiwan, Thailand and Vietnam but also spreads to South America and Europe. This pres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llyu (Korean wave) involvement on tourist’s Korean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 intention. A survey which involved five-level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202 people who had traveled or did not have traveled to Korea in September 2017. The survey include of 40 questions was used for a data analysis. We us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to analyse the dat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simple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effect of Korean wave in terms of involvement. The highlight of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of al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onfirm whether the Korean wave involvement affect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Secondly, it confirms that whether Korean wave involvement affects intention to visit Korea. Third, it confirms Korea’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affects intention to visit Korea. In conclusion, the data suggest that Korean wav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 Korea’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