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유농업과 체험관광상품화 전략 연구

        김희숙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치유농업 체험관광객의 추세가 가속화 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치유농업 체험관광객 시장이 아직 조성단계에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치유농업 활용 관광상품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실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위안을 받고자 치유농업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관광상품은 고부가가치의 관광 경험을 추구한다는 사실에서 치유농업을 통한 체험관광상품으로 농촌의 6차 산업화를 이끄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해당 농촌지역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폐되고 고령화 되어가는 농촌지역의 활력을 되찾아주고 농촌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핵심 콘텐츠(killer contents)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투자할 때라고 지적했다. 치유농업은 농촌지역의 농업과 관련된 문화와 농촌사회의 전통에 대한 존중,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활방식, 노동에 대한 진정성, 지속가능한 삶과 농촌자연환경, 이(異)문화적인 농업‧농촌 체험 등 농업의 모든 전통적 가치와 새로운 트렌드가 모두 연관되어 있다. 또한 치유농업 활용 체험관광상품 개발은 농촌지역의 관광산업을 재활성화하고 다양화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농촌지역경제를 발전시키고, 생산자인 농민, 관광시장, 체험관광객 등 관광의 3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전후방 연관산업으로서 주요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새로운 차원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치유농업 활용 체험관광산업이 세계적으로 성장세가 뚜렷하며, 관광시장 중에서 가장 역동적인 잠재력을 보유한 분야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치유농업 체험관광상품화의 성공여부는 도시와 차별화된 농촌경관, 독특하고 진정성 있는 치유농업관광상품, 전통적인 농업문화유산의 계승과 보전, 지속가능한 전통농법 유지 및 개발, 치유농업의 질(quality) 관리, 치유농업 관리자와 운영자의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 민(民)‧관(官)‧연(硏)‧학(學) 간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협력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The trend of healing farmers experiencing a rapid increase in the world is acceler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commercialization of tourism using healing agriculture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receive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comfort, tourists participating in healing agriculture pursue high value-added tourism experi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d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rural area as an experiential tourism product through healing agriculture. This is because it will revitalize rural areas that are devastated and aging, and will revitalize the rural economy. Healing agriculture is an important aspect of farming and agriculture in rural areas, respect for the traditions of rural communities, a healthy lifestyle for the body and mind, authenticity of labor, sustainable living and rural natural environment, All the traditional values ​​of agriculture and new trends are all related. Using Healing Farming Experience tourism products will provide opportunities to reactivate and diversify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In addition, healing agriculture will develop the rural econom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jor related industries as front and back related industries. Healing Farming Experience Experience Mining industry will have the most dynamic potential in the tourism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of healing farming experience tourism productization in rural landscape differentiated from city, unique and authentic healing agricultural tourism products, succession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agri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traditional farming method, quality management, th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cation capacity of the healing farm managers and operators, and the organic and systematic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the government, and the institute.

      •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황주화 安東大學校 行政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The 21st century is called a century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And also, it has been recognized as the core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In such aspec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appling to various plan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This paper is, therefore, designed to show the study of native cultural resource of Andong region and the theoretical system of tourism merchandise practice. Andong city has been legging behind in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due to the un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Andong city has been giving efforts to overcome the circumstances by encouraging the cultural tourism of confucianism, but the accomplishment is not sufficient. Recently, the interests of confucianism culture have increased after Queen Elizabeth the 2nd has visited Andong Hahae village. Even the central government is projecting new development plans for the confucianism cultural region of northern Gyungbook province. But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Merchandise, the specialized and high level of marketing strategic approach is a critical factor. Thus, this paper illustrates the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and generalized theorie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ourism merchandize and methodology of new tourism marketing. And we analyzed the problems that are occurred from the development of Tourism Business in Andong region. This paper is centered on the tourism marketing mix: price strategy, promotion strategy, place strategy, and product strategy to accomplish the improved alternative proposals to prevail against the changes that swept across the field of Tourism Business. The subjects of the developing the Tourism Merchandize in Andong region has exposed by the analysis of actual circumstance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re is lack of development of tourism merchandize, in spite of the great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Second,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for the tourism merchandizes, such as price of entering ticket for the tourism sites, regional foods and souvenirs was below the average. Third, the place strategy of tourism merchandize of Andong Region is poor. The lodges and the facilities and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between different tourist sites are inferior. Fourth,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 central broadcasting stations and internet of tourist sites and guidance is not engaged effectively. When the alternative plans are granted to solve such problems,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cultural merchandize should be designed to focus 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tourism merchandizes and also need to develop distinctive and varied souvenirs that are branded to progress the recognition. To motivate the consumers with the price strategy, varied priced souvenirs of better quality and service are necessary. And to satisfy tourists, the conveniency of lodges and other facilities and the tourist sites need to be improved. Also, the publicity through the central broadcastings and internet will bring better perceptions to tourists. Probably the local government alone will meet the limitations to pull off the development of Tourism Merchandize with strategies. Thus, the local government must consider the plans to make local society participate in and need to establish the long term plan with accurate object.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cost analysis of the study has not been tried. Second, as foreigners have been excepted from the sample, the needs of foreign tourist are not identified.

      • 국외여행업체의 생태관광상품 기획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아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世界的으로 觀光은 예측하기 어려운 비율로 성장하고 있다. 世界的인 觀光의 경이적인 成長은 觀光目的地의 自然 및 文化的 環境에 즉시적이고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점차적으로 觀光産業과 觀光商品으로서 觀光은 觀光실무자와 소비자들에 의해 지속적인 개발의 觀點에서 觀光의 適正性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어 지고 있다. 自然 이용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觀光活動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특별한 觀光을 추구하고 있는 사람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런 槪念들 중의 하나가 바로 生態觀光의 형식이다. 觀光과 旅行이 성장할 수 있는 버팀목이 되는 것은 世界的으로 環境과 ‘綠色’觀光이 계속되는 것이다. 生態觀光은 도시집중, 혼잡, 대기오염, 일과 關聯된 스트레스, 自然環境에 대한 우려와 關聯된 문제들이 계속됨에 따라 2000년대를 향하여 계속 증가할 것이다. 環境에 대한 認識은 항공사, 여행사, 호텔체인과 觀光과 關聯된 여러 서비스업계의 事業計劃에서 중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韓國의 國外旅行業體는 이러한 環境觀光, 生態觀光의 추세에 능동적으로 對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自然을 주제로 삼은 觀光商品은 있지만 그것은 언제까지나 自然을 이용한 것이지, 自然 保存을 목적으로 한 觀光商品은 거의 없다. 이제는 韓國의 國外旅行業體도 지구의 環境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자연보전적 觀光商品의 開發과 企劃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이 연구의 目的은 韓國의 國外旅行業體의 生態觀光商品에 대한 인식을 촉구하고 生態觀光商品 企劃方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硏究의 目的, 硏究의 方法, 硏究의 範圍를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生態觀光에 대한 一般的인 理論을 考察하였고, 觀光商品 企劃理論을 토대로 生態觀光商品 企劃理論을 체계화하였다. 제3장에서는 生態觀光商品 개발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國外旅行業體의 商品開發의 現況과 生態觀光商品 開發現況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生態觀光商品企劃의 목표설정, 生態觀光商品 기획, 판매·홍보,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끝으로 生態觀光의 올바른 運營을 위한 方案과 生態觀光商品 판매활성화를 위한 方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國外旅行業體는 生態觀光 全擔部署를 설치하고 生態觀光 專門家를 양성하여야 한다. 둘째, 國外旅行業體는 觀光目的地의 自然的, 文化的 環境을 보호하려고 하는 生態觀光 倫理綱領(行動的인 것과 哲學的인 것을 包含하여)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國外旅行業體들이 生態觀光 운영을 실행하는 것을 指導·監督할 수 있는 政策勸告文을 제정해야 한다. 넷째, 大衆媒體는 국민들이 生態觀光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弘報를 하여야 한다. 生態觀光은 目的地에 대한 소구를 형성하고, 市場需要를 창출하는데 강력한 힘이 될 것이고, 生態觀光은 韓國에서도 큰 事業이 될 것으로 展望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고 건전한 生態觀光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硏究가 수행되어야 한다. Tourism world-wide is growing at an unprecedented rate. The phenomental growth of global tourism has immediate and far-reaching consequences for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ourism destinations. Tourism as an industry and a product increasingly is being appropriat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number of people who seek a specialty tourism that directly links tourism activity with low impact use of the resource bas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is growing rapidly. One among many terms given to this form of tourism is ecotourism. The growth of tourism and travel will be the continuing world-wide trend in environment or 'green' tourism. It can be expected that ecotourism will continue to intensify towards the year 2000 as issues associated with urban congestion and crowding, atmospheric pollution, work-related stress and concern for the nature environment continue to develop. Environment awareness will become enshrine-within the. business plans of airlines, travel agencies, hotel chains and all the other tourism related service links. But the korean overseas travel agencies can't meet actively this trend in environment tourism and ecotourism. There are tourism products on the subject of the nature, but that tourism product just exploit the nature environment. There is no tourism product that aim at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is is hardly the moment that the korean. overseas travel agencies are concerned about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nature conservation tourism product. At this contest, the purpose of study is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of ecotourism products,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ecotourism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in to the korean overseas travel agencies. In chapter 1, the study objectives, methods and scope were reviewed. In chapter 2, the general theories on ecotourism were discussed, and the theory of ecotourism products planning was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tourism products planning theory. In chapter 3, the present state of tourism products development and ecotourism products development in overseas travel agencies were examined to emerge the problem of ecotourism products development. In chapter 4, the objectives establishment of ecotourism products planning, and the strategies of ecotourism products planning, the publicity and marketing and the management were suggested. Finally, the strategies were proposed to practice rightly ecotourism operations and to make active sale of ecotourism products. These strategies are presented below. The first, the overseas travel agencies should establish the full responsibility department of ecotourism products, and educate an expert on ecotourism. The second, the overseas travel agencies should develop a code of ethics (including behaviour/philosophy) for ecotourism which seeks to protect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destinations. The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policy recommendations which monitor and guide overseas travel agencies to practice ecotourism operations. The fourth, the mass media should promote the people to recognize and understand environment tourism and ecotourism. Ecotoursm will progressively become a powerful force in shaping destination appeal and during market demand and ecotourism will be a prospective business in korea. Therefore the follow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desirable and sound form of ecotourism.

      •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목리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3년 한국을 방문한 중국관광객 수는 432만 여명으로 한국 인바운드 시장에서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관광공사, 2014). 중국의 경제력이 성장하고 있고 해외여행의 경험이 늘어나면서 중국관광객의 기호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고자 중국관광객의 생활양식에 따라서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인바운드 관광객 확보를 위한 한국 관광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관광 상품의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하여 방한 중국관광객은 관광상품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규명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증조사에 필요한 라이프스타일, 관광상품에 관한 개념정립과 요인도출을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측정도구의 적절성, 각각의 변인들에 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요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측정하였으며 관광상품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의 유의한 차이는 대응 t-tset분석방법을 이용해서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14개의 문항 중 숙박 부대시설 이용여부(.742)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13개 항목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는 숙박등급과 유명도(-.282)를 제외하고는 전부 양의 값을 보이고 있어 대체적으로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속성들 중 가이드의 친절한 서비스(.564), 교통이동의 편리성(.459), 가이드의 언어구사능력(.455), 음식가격(.417)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관광상품 이들 속성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한 중국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차이는 IPA분석방법을 이용해서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유행추구형 중국관광객은 지각된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IPA분석결과는 Ⅰ사분면(집중)의 속성은 음식가격, 음식서비스로 나타났다. Ⅱ사분면(유지)의 속성은 관광지 안전성, 관광지 이용시설, 교통이동의 편리성, 교통의 쾌적성, 교통수단의 다양성, 쇼핑상품의 다양성, 쇼핑 편리성, 가이드의 친절한 서비스, 가이드의 경험과 수준, 가이드의 언어구사능력으로 나타났다. Ⅲ사분면(저 순위)은 숙박 등급과 유명도, 숙박이용시설여부로 나타났다. Ⅳ사분면(과잉)은 해당되는 부분이 없다. 문화건강추구형 중국관광객은 지각된 관광상품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IPA분석결과는 Ⅰ사분면(집중)의 속성은 음식서비스로 나타났다. Ⅱ사분면(유지)의 속성은 관광지 안전성, 관광지 이용시설, 교통이동의 편리성, 교통의 쾌적성, 교통수단의 다양성, 쇼핑상품의 다양성, 쇼핑 편리성, 가이드의 친절한 서비스, 가이드의 경험과 수준, 가이드의 언어구사능력으로 나타났다. Ⅲ사분면(저 순위)은 음식가격, 숙박 등급과 유명도, 숙박이용시설여부로 나타났다. Ⅳ사분면(과잉)은 해당되는 부분이 없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인바운드 관광객 확보를 위한 한국 관광 마케팅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에 대한 중국관광객들이 지각되는 중요도 및 만족도 모두 매우 높은 수치로 나타나고 있으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테마 관광상품 및 특화상품 개발 운영하며 중국어 안내 표시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숙박에 대한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는 요인이 아니지만 중국 내 트렌드도 경제와 의식주 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호텔 등 숙박에 대한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국관광객들의 숙박에 대한 지각된 만족도 제일 낮게 나타났다. 중국관광객의 방문이 빠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숙박시설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수도권의 중국관광객 숙박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신규 숙박시설 확충 및 기존 기설 활용도 증대할 필요성이 있다. 중국관광객들의 증가와 숙박시설의 선택이 높아진 시점에서 현실은 그렇지 않다. 중국단체관광객일 경우, 여행사 저가상품 문제 때문에 주요 관광지와 멀리 떨어진 숙소를 많이 지정하여 관광객들이 호텔 가격에 비해 작고 비싸다는 불만을 낳고 있다. 개별여행일 경우, 특급호텔을 제외한 중저가 숙박시설의 예약 및 결제는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국관광객들의 합리적 숙박시설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다양한 중저가 숙박시설뿐만 아니라 체험형 복합숙박시설의 도입 및 숙박시설의 외국인 전용 예약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음식점 서비스 및 음식가격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다. 중국관광객들이 한국 식문화에 대해 이해도가 부족하고, 한중 양국의 식습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단순한 식당 메뉴와 음식이 다양하지 않고 비싸고 양도 적다는 불만이 있다. 저가 페키지 상품을 이용하는 단체관광객들은 건물 지하의 음식점에서 주로 식사를 이용하다. 따라서 단품요리보다 음식량 부족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중국관광객이 대체로 선호하는 식단을 개발하여 중국인 전문 식당을 지정해서 운영하어야 하며, 한국요리의 음식재료나 조리방법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음식의 유래, 조리 방법, 먹는 방식, 효능 등의 배경 정보를 전달하며, 음식 모형 및 중국어 설명서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통여건 개선을 위해 대중교통 내 중국어 안내방송 및 안내시스템 운영하며, 원활한 정보 제공을 위하여 수시로 콘텐츠 업데이트 실행해야 하다. 특히 개별여행객을 위한 교통편의시설의 확충 및 택시 운전사의 외국어 능력 향상이 매우 중요한다. 다섯째, 중국관광객들이 쇼핑에 불편함이 크게 없고 한국 화장품 및 페션 등을 주로 선호한다. 중국관광객 주요 방문지역에서 은련직불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고, 부가가치세 사후 환급 대상에 위안화를 포함시켜 중국관광객 쇼핑에 많이 개선된다. 특히 중국관광객들이 선호하는 명동, 면세점 등 쇼핑장소에서 관광안내소의 중국어 안내원이 보충되어 있어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실제 외래 관광실태에서 나타나듯이 언어소통에 문제가 많기 때문에 구체화되고 있는 니즈를 충족해 주기 위한 중국어 안내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특히 역사지식 등 전문 해설 능력을 가지고 있는 중국어가이드의 수량이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중국어 가이드 시험회수를 확대하고 가이드 취업박람회, 취업자교육 등을 실시하며, 가이드의 서비스품질 제고를 위해 가이드 보수과정을 운영하고, 지원봉사 도입 등 효율적인 방법으로 중국 관광가이드 확충 및 인력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중국관광객 증가현상에 이어 같은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개선 속도는 매우 느린 것으로 보이다. 중국자체 관광시장의 변화나 관광관련 정책의 세부적인 정보 및 트렌드의 변화 등에 대한 검토 및 분석에 따라 중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광객의 니즈와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저가의 덤핑상품은 관광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숙박, 무자격 여행가이드 고용, 낮은 음식서비스 제공 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한국관광에 대한 만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다. 저가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이므로 제도적 개선에 어려움이 있으며, 자유시장경제 하에서 벌어지는 개별여행사 간 경쟁 제한 역시 사실상 어려움이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급 관광수요 유치 확대 및 중국관광객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 전통굿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순자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관광은 관광동기, 관광형태, 관광목적, 관광활동 내용 및 인원 등에서 많은 변화를 이루어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단순히 둘러보는 시각적 관광에서 벗어나 관광지의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참여하는 이 문화 체험적 관광으로 새롭게 인식되어지는 여가의 양과 질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요즘 들어 자연친화적인 관광상품인 모험관광, 생태관광, 문화관광, 자연관광, 녹색관광 등으로 관광시장은 기존의 대량 관광에 대한 반작용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대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과 고유문화를 보전하면서 체험하는 대안적 관광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과 자연친화적 관광상품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각계각층에서 고조되고 있으며, 지방자치시대에 들어선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서 지역의 전통문화를 관광상품으로서 개발하였거나 더욱 매력적인 특성을 지닌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를 관광상품화 하기 위한 움직임이 매우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민족의 정신문화의 근저를 이루며 전통문화 속에 깊게 뿌리내려 왔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관습, 문화, 사회생활 양식, 한국인의 정신적, 육체적, 공동체적 신명이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전통굿을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축제의 활성화 등 국내관광시장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관광시장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 연구 문제별로 구체적인 접근 방법은 전통굿의 관광상품화를 위하여 전승 개념을 통한 현존문화 현상으로서의 전통굿을 파악하기위해 전통굿의 역사적 기원과 원형적 개념 분석을 통한 전통굿의 정의를 검토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으로는 역사적 분석과 관련 문헌연구 분석방법이 시도 되었다. 또한, 전통굿 공연양식으로서의 전통굿에 대한 구성요소와 특성이 지닌 관광상품적가치와 필요성에 의한 관광상품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참여관찰 하고 전통굿 전문가와 전통굿에 대한 관련학자들과 인터뷰를 하고 문헌연구와 인터넷, 방송되었던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접근하였다. 연구를 위한 현장조사는 4월부터 서울, 강릉, 경기도를 중심으로 열리고 있는 전통굿 공연현장을 방문하여 굿전문가와 참여자 인터뷰와 행사의 전 일정을 관찰 했으며. 또한 행사담당자나 관광객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초석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 전통굿을 관광상품화 함에 있어 취약한 관광상품 유통구조와 전통굿공연의 상설화, 그리고 전통굿의 원형을 왜곡·변질시킬 가능성과 전통굿 전문가들의 풍족하지 못한 재정문제, 또는 체계적인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못함으로써 전통굿이 소외당하고 외면당하는 요인을 방지하기위한 전통굿 전문가들의 전문양성교육이 요구되며, 관광계의 전문가, 그리고 정부와 국민들의 자구적인 노력과 열린 관광마인드와 더불어 국가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전통굿의 관광상품화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이론적토대의 구축과 실증분석의 아쉬움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이를 극복기위해서는 본 연구를 싯점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한 연구방안을 모색하여 우리의 전통굿이 세계적인 관광상품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굿을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관광객들의 수준에 맞게 재창조하고 발굴해 내는 노력이 필요하며, 찾아주기만을 기다리지 말고 스스로 상품의 질을 높이고, 가치를 창출하여 관광객으로 하여금 찾아 나서게 하는 전통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전통굿의 관광상품화는 우수한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tourism that conserves the original form of natural environment and traditional cultur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ests in the traditional culture as an environmental and nature-friendly tourist product are rising and Korea that has entered the age of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ctively commercialize its attractive traditional culture into a tourist product. The study was done to secure Korea's predominant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tourist market by activating the national economy and developing the domestic tourist market through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Gut as one of Korea's excellent cultural inheritances. As the study methods, a participating observation was don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field investigation to present the commercialization plans of tourist products for necessity of value and necessity of tourist products that has constituent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Gut. Also, the study also interviewed experts of traditional gut and relevant researchers. The study looked into other literatures, internet, and documentari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re need to be different distribution routes and regular performance along with the efforts of experts of regular performance, and educational problems for expert training in order to prevent the traditional Gut from being outcasted in the tourist products. There also have to be efforts of people and government as well as the nation's support with open tourist mind. Since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of the traditional Gut as a tourist product, there is a limitation when presenting problems and solutions but there should be systematic and constant studies in order to secure a reliable position of the traditional Gut as a tourist product.

      • 몽골 유목민문화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간체첵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몽골 유목민문화의 관광상품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면 유목민문화의 관광상품화 가능성을 조사하고 통합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몽골에서 관광 부문은 광업과 농업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는 부문이며, 관광 분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관광객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관광 부문 발전을 위해 몽골 정부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몽골 정부의 정책추진의 불안정한 환경,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 상황, 문화적 특징, 관광업과 관광객에 대한 국민적 인식 부족 등으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수많은 관계자들이 관광 분야에 대하여 수없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매년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몽골의 관광자원, 관광산업, 관광객의 특성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및 해외 관광객들은 몽골 현황과 몽골 관광 안내에 대한 정보가 여행사 온라인 사이트마다 홍보가 부족하며, 항공권, 관광상품 가격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한편 유목민문화를 관광상품으로 있는 그대로 바라봄으로써 체험적이고 교육적으로 진행됨을 유도할 때 지역민들이 도움이 필요하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에 관심과 매력을 받을 수 있고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관광상품 및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을 바탕으로 첫째, 몽골 유목민 문화상품의 특징과 매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몽골 생활방식, 문화 차이, 유목민문화 관광자원, 유목민 문화상품을 종류별로 언급함으로써, 여행사와 지역 민간인들의 협력을 활용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둘째, 몽골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만족 정도와 몽골 여행사들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유목민문화를 관광상품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몽골의 국내외 관광객이 증가하는 현실에 대응하고 효과적인 관광지 및 관광상품 및 유목민문화 생활에 문제인식을 파악하고 유목민 문화상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하자고 노력하였다. 관광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관광지역을 지정하고 더 많은 민간 자본과 인력이 사업을 영위하고, 관광상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효율적인 관광 수익을 올리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몽골 정부의 노력에 방향성을 맞추어, 유목민문화를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그로서 수익을 창출하여, 나아가 국가가 발전하고 국민 생활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데 본 연구의 가치가 더욱 있다고 할 것이다.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여가 시간 및 관광에 대한 관심을 더 증가되는 가운데 관광 경험이 축적되면, 더욱더 다양하고 개성 있는 관광상품들을 요구될 것이고 관광상품의 범위가 넓어지게 될 것이다. 이로써 연구자가 직접 구상해본 유목민문화를 관광상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그 가치와 효용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의 객관적 증빙성을 높이고 합리적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확성을 확보한 자료를 충분히 확보하는데 제약이 많았다. 앞으로 관광상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목민 문화상품에 대한 연구가 발전을 하길 바란다. The tourism sector in Mongolia is the third most profitable sector after mining and agricultu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from tourism researchers and tourists. I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commercialize the Mongolian nomadic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a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ing the nomadic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and to suggest an integrated development direction. Numerous officials are conducting numerous researches on the tourism field, but systematic researches on Mongolia's tourism resources, tourism industry,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t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tourists every year are insufficient. Also, for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information on Mongolia's current situation and Mongolian tourism information is lacking on each travel agency's online site, and the price of air tickets and tourism products is high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Meanwhile, we need the help of local residents when inducing experiential and educational progress by viewing the nomadic culture as it is as a tourism produc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udy tourism products and development that can attract foreign tourist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order to show the characteristics and attractiveness of Mongolian nomadic cultural products, by referring to Mongolian lifestyle, cultural differences, nomadic tourism resources and nomadic cultural products by type, to utilize and maintain cooperation between travel agencies and local civilians based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ravel agencies in Mongolia, we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nomadic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and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increas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nd identify problems in effective tourist destinations and tourism products and nomadic culture life, Efforts were made to study cultural products in detail. In line with the Mongolian government's efforts to designate tourism areas to develop tourism, engage more private capital and manpower, raise awareness of tourism products, and increase and develop efficient tourism revenues, It will be said that this study has more value in developing the nomadic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and generating profits from it, further developing the countr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s people's income level rises and their interest in leisure time and tourism increases, tourism experiences are accumulated, and more diverse and unique tourism products will be demanded and the scope of tourism products will exp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nomadic culture that the researcher directly envisioned as a tourism product has high value and utility. For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objective evidence of the study and to increase the rational objectivity,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in securing sufficient data with accurac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research on nomadic cultural products will develop.

      • 소셜커머스 구매특성이 관광상품 구매 고객의 만족, 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이연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대의 소셜 커머스 그루폰(Groupon)의 성공 이후 수 많은 소셜 커머스가 등장하여 새로운 유통 구조가 다양하고 폭넓게 발전되고 있다. 소셜 커머스는 소비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다른 고객에게 추천 할 수 있으므로 홍보에 대한 고객들이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관광산업 또한 새로운 시장으로 소셜 커머스를 활용하고 있다. 기존에도 관광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사나 항공사도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네티즌을 대상으로 홍보차원의 역할을 수행하여 활발한 웹사이트 운영과 함께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을 실시해왔다. 이는 온라인에서의 관광산업도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소셜 커머스는 그 동안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이뤄졌던 마케팅을 온라인으로 확장시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과 별도의 투자 없이 인터넷상에서 지역별 매장에 소비자을 유치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관광업계에서도 소셜커머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홍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광업계에서 큰 장점으로 통하고 있다. 최근 소셜커머스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소셜 커머스에서 관광상품 구매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관광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 소셜커머스가 아닌 관광상품이라는 특정 대상을 측정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소셜 커머스 관광 상품 마케팅에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소셜 커머스 관광 상품 판매 업체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한 구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에서 구매시 관광상품을 포함하여 구매한 경우와 관광상품을 제외한 일반상품/제품을 구매한 경우를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관광상품을 포함한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비슷한 쇼핑횟수의 패턴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웹사이트와 소셜커머스 이용빈도를 비교한 분석에서는 연령이 40대 이상의 경우는 소셜커머스보다는 웹사이트 이용도가 높으며, 연령이 젋을수록 소셜커머스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행동의도가 하나의 요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 부분과 관광사업체 부분을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즉 설문지 상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고객들의 행동과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고객들의 행동이 다소 구분되는 현상으로 파악되었다. 기존 연구와 다른 모습으로 향후에 소셜커머스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소셜커머스 특성에서 관광상품 구매 고객의 만족, 신뢰,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방안들이 세부적으로 제시되고 실행되고, 소셜커머스 관광상품에 차별적인 마케팅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 의거하여, 향후에도 한계점을 토대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며 내실 있는 결과를 통해 학문적ᆞ실무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There has been numerous social commerce sites appeared after the success of the biggest social commerce site, Groupon launched developing various types of distribution structures widely. These social commerce networks let consumers to recommend products and information of service to other consumers that contribute in marketing and promotion. Tourism industry also uses the social commerce as a new market. Travel agencies that sell tourism products and airlines have been carrying out online marketing using internet by launching and running websites actively to target netizen for marketing purposes. This means that internet heavily affects tourism industry also. Tourism industry increases the use of social commerce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system. The existing marketing that have been carried out both online and offline can be expanded to online and it can attract consumers to shops by region online without extra cost. Also, products can be promoted to multi us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is is said to be one of the biggest strengths in the tourism industry. The research related to purchasing tourism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is insufficient at the moment although there is enough research on social commerce itself. This research is carried forward an investigation on people who have experiences on purchasing tourism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this is not just about the standard social commerce but specifically for the area of tourism industry. There is a purpose and significance in this research to suggest initial references of companies that sell tourism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by proposing efficient methods in marketing tourism products. The specific implications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in purchasing products including and excluding tourism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were analyzed separately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shopping visits for both categories of customers was similar. Second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analyzing frequency of visiting standard websites and social commerce sites of people showed that people who were over 40s visit websites more than social commerce sites and younger age groups use social commerce more frequently. Thirdly, unlike the standard research that carries out depending on behavioral intention of peopl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categorizing areas of social commerce and tourism businesses separately. In other words, it has been identified by survey that the behaviors of online customers and offline customers fall into separate categories.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erce industry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existing research for the hereafter. The specific methods for services, that affect customers who purchase tourism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need to be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to gai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for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carry forward based on the upper most limits in the future to contribut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Key words Social commerce, Tourism merchandise, Customer satisfaction, Trust, Behavior intention

      • 麗水 地域 文化 資源의 觀光商品化에 關한 硏究

        김병호 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관광산업에 대한 경쟁이 지방자치단체간에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종래의 자연자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순한 관광상품으로는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 미래 관광의 형태는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계절성을 극복하는 사계절 상품이어야 하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관광 형태가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이다. 특히 여수시를 비롯한 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도시들은 중심 산업이었던 어업의 불황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격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화관광과 문화자원,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 국내의 여러 사례와 외국의 사례로 여수시와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대마도를 사례로 연구하였다. 여수시의 관광광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여수시의 관광현황을 분석한 결과 2곳의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관광 위주로 문화자원이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문화자원을 철저히 조사한 결과 여수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국가지정문화재 14, 도지정문화재 20, 등록문화재 3점 등 다양한 자원이 풍부하게 분포되어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수시의 문화관광상품은 관광 코스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관광 코스는 테마별로 11개 코스, 지역별로 6개 코스를 개발하여 각 코스 별로 주요 관광지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관광상품이 시민을 대상으로 한 시티투어가 아닌 대외적인 관광상품으로 정착 시켜 나가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증대와,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하고, 문화관광상품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체계 시스템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In the bloom of the age of localization, the tourists competitiveness made up of zeroing in on simply tourist goods of cultural resources in the reality of fierce competition of tourists industry which has been rapidly growing into high value added between local autonomous entities has been faced with losing it as before. The form of tourism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concrete and four-season merchandise overcoming the limit of only one season. It is just cultural tourism putting cultural resources to practical use that could exceed the limit of present tourism industry as a alternative measure. Especially, as the citie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including Yeosu area have severely been facing a economic crisis caused by slack in the fishy industry, they are putting forth all their energy to seek for alternative measures to weather it. This study set out to achieve the goal effectively through some documents of the theoretical bases about cultural tourism,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In addition, this investigation has been made a study of centering around not only home and abroad several cases which is developing and carrying out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but also a example of Daemado in Japan which is similar to the environment in the Yeosu area. In the first plac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tourist situation in the Yeosu area to develope tourist merchandises has been raised a problem. It is nothing but the cultural resources concentrating on natural resources like two national parks. that rarely put them to practical use. According to the problem has been made thorough investigation of probing problems to the bottom to deal with it through some well-founded documents and on-the-spot surveys, this study confirms clearly the distribution of various and abundant tourist resources such as 14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the country, 20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the province and 3 registered cultural assets. The merchandise of cultural tourist in the Yeosu area is organiz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development of tourist courses. Tourist courses made up of 11 courses by each theme and 6 courses by regional groups furnish main tourist attractions, goods and contents based each course. This study stimulates a decisive role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 order to complete not simple tour to the target of citizens but international tourist merchandise and matte a proposal of supplying the system which can show and guide cultural tourist merchand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