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영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관광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관광기업 종사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관광기업 종사원의 고용에 대한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종사원의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통한 관광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을 도모 할 수 있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경기변동에 예민하게 반응을 하는 관광기업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 일중독이 종사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의 구성요인인 일 몰입, 강박관념, 일 향유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일중독요인이 직무태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 모델의 관점에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내부고객인 종사원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자료와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부산, 대구, 경주, 경남, 경북, 제주지역의 관광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조사기간으로는 2011년 7월에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우리나라 관광의 최대성수기인 8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의 통계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12개의 연구가설 중에서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5개의 가설은 기각이 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정성과 일중독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고용불안정성과 일몰입의 부(-)의 관계는 기각이 되었으며, 고용불안정성과 강박관념의 부(-)의 인과관계와 고용불안정성과 일향유감의 부(-)의 인과관계는 채택이 되었다. 둘째, 일몰입과 직무만족의 정(+)의 관계, 강박관념과 직무만족의 정(+)의 관계, 일몰입과 이직의도의 부(-)의 관계, 강박관념과 이직의도의 부(-)의 관계는 기각이 되었다. 하지만 일향유감과 직무만족의 정(+)의 관계, 일향유감과 이직의도의 정(+)의 관계, 일몰입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 강박관념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 일향유감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는 채택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원 의존도가 매우 높은 관광기업이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존전략의 하나로 구조조정에 초점을 둔 고용환경의 변화로 통제 불가능한 외부환경변화에 조직을 적응시키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 고용불안정성과 일중독, 직무태도에 관한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한 본 연구는 매우 의의가 있으며,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한 연구라고 사료된다. 특히 비정규직, 아웃소싱, 정리해고와 같은 고용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고용불안정성, 일중독 그리고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관광기업을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성, 일중독과 직무태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관광기업에 전략적으로 많은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y way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ployment unstableness of tourism business employees on the workaholic and job performance attitude(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rategic suggestion for the minimization of their employment anxiety, and for the promotion of tourism business' continuing growth and development. This research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king tourism business employees who react sensitively to business fluctuation an object of study, this study tries to make a practical verification about the influence of employment anxiety on workaholic, and about the influence of workaholic on the job performance attitude of employe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 influence of employment anxiety on the components of workaholic such as job devotion, obsession, and job enjoyment, and, with the viewpoint of the synthetic model, ve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 of the influence of workaholic factors on the job performance attitude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o as to provide personnel resource management with materials and strategic suggestions oriented to employees, who are internal customer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ourism business employees working in the areas of Seoul, Busan, Daegu, Gyeongju,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with preliminary survey in July, 2011, and main survey in August 2011 which is the high demand season of tourism of Korea. Utiliz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way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dence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atistic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this verification research shows that among the suggested twelve research hypotheses, seven were accepted and five were rejected. More specific results of pragmatic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employment unstableness and workaholic,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unstableness and job devotion was negated, but the negative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between employment unstableness and obsession. and between employment unstableness and job enjoyment were accepted. Secon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job devo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obsession and job satisfaction,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job devo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obs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turned down.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job enjoy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obsession job devotion, and between job enjoy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ccepted. In the mids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 where tourism businesses with high reliance on personnel resource are focusing on the restructuring by way of downsizing as a survival strategy for the promotion of competitiveness so as to adapt their organizations to the un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employment unstableness, workaholic, and job performance attitude has it own meaning, and is timely appropriate. Also in current situation where the changes of employment environment such as temporary employment, outsourcing, and layoff are dominant, and few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employment unstableness, workaholic, and job performance attitude, this research has another meaning in the sense that it is providing tourism businesses with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 한국 근로자의 일중독: 고용불안정성과 가족관계만족도와의 관계

        엄세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alidate the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 (Aziz et al., 2013) among Korean employees and to examine longitudinal associations among job insecurit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rkaholism in Korea.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job insecurity affects workaholism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hether workaholism affects late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is study, workaholism was defined as work-life imbalance due to excessive work, perfectionism toward work, obsessive inner drive to work, and guilt or anxiety when not working.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perceived job insecurity can result in higher levels of workaholism. Given the fact that job insecurity affect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ffects workaholism, it is likely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workaholism. Self-valid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family relationships and workaholism hav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yet no study in family studies has examined workaholism in relation to family relationships. The lack of a valid Korean workaholism measure also has restricted workaholism research in Korea. Validating an existing workaholism scale among Korean employees is essential. Using a subset of the data from the 17th wave (2014)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researcher conducted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of the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 The sample for this part of the study was 2,494 managerial, professional, and clerical employees aged 60 or younger. The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 was an adequate measure of workaholism among Korean employees after excluding one item and restructuring the dimensions of workaholism into four factors instead of five factors. Next, using the 15th (2012), 16th (2013), 17th (2014), and 18th (2015) wave KLIPS data, the associations among job insecurit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rkaholism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trolling for employees’ sex, age, education, and income.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job insecurity (15th) had a direct influence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16th) and workaholism (17th). The validated Korean version of the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 is expected to expand workaholism research in Korea in the future. By examining how workaholism relates to job insecurity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revealing the process underlying the associations among job insecurit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orkaholism. The present study also extends the workaholism literature by providing evidence of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개발된 일중독 척도인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Aziz et al., 2013) 척도를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후, 고용불안정성과 일중독, 가족관계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가족관계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일중독이 이후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중독은 과도한 일 몰입으로 인해 일생활불균형을 경험하고, 업무에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지며, 강박적으로 일하고, 일을 하지 않았을 때 죄책감이나 불안을 느끼는 금단증상을 겪는 것으로 정의된다.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국내외에서 진행되었으나, 고용불안정성이 가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가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선행연구들을 고려할 때, 고용불안정성이 가족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일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이때 가족관계만족도는 일중독의 선행요인이 되기도 하고 결과요인이 되기도 한다. 자기타당화(self-validation) 관점에 따르면 가족관계는 일중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많은 해외연구에서는 일중독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처럼 일중독과 가족관계만족도는 쌍방향의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단데이터를 사용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중독의 선행요인과 매개요인, 결과요인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일중독이 양산되는 과정과 일중독이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편, 국내 일중독 연구는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중독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한국 근로자의 일중독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일중독 척도의 타당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7차(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만 60세 이하이며 관리직, 전문직, 사무직에 종사하는 2,494명을 대상으로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의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변별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15차(2012년)부터 18차(2015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만 60세 이하이며 배우자가 있는 관리직, 전문직, 사무직 종사자 총 1,600명을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성, 일중독, 가족관계만족도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고용불안정성, 일중독, 가족관계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로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소득을 통제하였으며, 구조적 관계에서의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는 1개 문항을 삭제한 28개 문항이 일생활불균형, 완벽주의, 중독, 금단증상의 4가지 요인으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근로자의 일중독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과 부적 상관, 혹은 낮은 상관을 보여 일중독이 조직몰입과 구분되는 독립적인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정성(15차)은 가족관계만족도(16차)와 일중독(17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가족관계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중독 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가족관계만족도(16차)는 일중독(17차)과 이후의 가족관계만족도(18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족관계만족도가 낮은 경우 일중독 수준이 높아졌으며, 이후의 가족관계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15차)과 일중독(17차) 수준의 관계를 가족관계만족도(16차)가 매개하였다.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가족관계만족도가 낮아졌고, 그 결과 일중독 수준이 높아졌다. 또한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다음 해의 가족관계만족도가 낮아졌고, 이는 이후의 가족관계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고용불안정성이 가족관계만족도와 일중독을 모두 거쳐 이후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Workaholism Analysis Questionnaire 척도를 타당화함으로써 일중독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일중독을 고용불안정성, 가족관계만족도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의 일중독 현상에 대한 이해와 일, 가족, 일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가족관계를 매개로 일중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과 일중독이 이후 가족관계만족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비상임 시립예술단원의 고용불안요인이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LMX조절효과

        오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비상임 시립예술단원의 고용불안요인이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LMX(리더-멤버간 교환관계)의 조절력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예술단원의 고용불안을 해결하는데 전략적 방안모색 학술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수행을 위해서 서울·경기도에 속한 비상임 시립예술단 중 노조에 가입된 예술단원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18일부터 11월 1일까지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10부를 발송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314부였고 불성실한 답변 15부를 제외한 299부를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선행변수(정리해고보편화, 경제적의존성, 절차적불공정성, 향후조직변화)들은 노조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선행변수(정리해고보편화, 경제적의존성, 절차적불공정성, 향후조직변화)들은 고용불안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은 노조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불안정성은 고용불안정성 선행변수와 노조참여행동에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불안정성이 노조참여행동의 관계에서 LMX(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basic data on strategic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employment non-executive art members,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by confirming the effect of employment insecurity factors of non-executive art members on union participation.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to November 1, 2021 for non-executive art members belonging to the labor union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 total of 4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nt, and 314 copies were collected, and 299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15 copies of unfaithful answer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21.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preceding variables (generalization of layoffs, economic dependence, procedural unfairness, and future organizational change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eceding variables (generalization of layoffs, economic dependence, procedural inequality, and future organizational change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ment inst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insecur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insecur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variable of employment insecurity and the union participation movement.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employment insecurity is regulated by LMX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union participation consent relationship,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고용안정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명자 동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술이 발전하고 글로벌화 되면서 기업의 경쟁력은 점점 더 약화되고 경영환경 또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 간의 치열한 경쟁은 자국의 이익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정책들로 나타나고 무역 전쟁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 각국의 정상들은 자국민의 일자리 창출에 모든 에너지를 쏟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4차 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출현으로 인간이 하던 일을 기계가 대신함으로서 일자리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지금까지 인간이 하던 일자리가 사라지는 대신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하는 학자들도 있지만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인간으로서는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삶이 황폐해 지기 시작하고 있다. 최근 어떤 연구자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이 자신의 삶에 있어 일과 가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자신의 가정과 일을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 결과만 보더라도 삶에 있어 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자신의 소중한 가족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업 구성원이 지각하는 고용안정성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미치는 직무열의의 관계와 그 과정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적 요인들 중에서 결혼의 유무와 연령의 차이, 근속년수에 따라 고용안정성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직위안정성과 상황 통제력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하지만 학력과 회사의 규모에 따라 고용안정성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따라서 인구통계적 요인들에 따라서 고용안정성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고용안정성이 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분채택 되었으나 몰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셋째, 고용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고용안정성은 조직공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가설이 채택되었다. 넷째, 조직공정성이 고용안정성과 직무열의의 영향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은 고용안정성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조절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나 모두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고용안정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관계에 있고, 고용불안은 종업원들의 직무열의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은 고용안정성이 확보된다면 불합리한 조직관행 또한 수용할 수 있다는 종업원들의 역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고용안정성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시켜준다. The advancement and globalization of technology is proven to weaken a company’s competitiveness as business environment flows into un-expectable sate, job security for workers surfaces as a social topic. As all nations seek to prioritize national benefits and pursue policies that resemble a trade war. Leaders around the world exert much efforts to employ own citizens whil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use machines to overtake works of people. Many speculates that this industrial revolution will offer many new jobs as much as they will disappear, however as humans who can’t foresee the future, decreasing jobs leads to insecurity which again leads to devastation of daily life. A recent survey shows, when asked the importance between work and family, rather large ratio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are equally important. In other words, many people consider their work to be as valuable as their family. This research seeks to prove how the perceived job security affects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and the effects of regulat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has derived following hypothesis(s). First, in the demographical point of view, difference in job security by difference in gender is partially significant. The marital status, age difference, and length of service all has effects on positional security and situational control ability therefore they’re deemed significant.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size of the company seems not to have any effects on the job security therefore it is dismissed. The rank of a employee appears to have effects on the job security therefore this hypothesis is partly significant. Second, the positive effects of job security to job engagement proves partly significant on the effect on dedication and fully significant on concentration. Third, job securi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on all organizational justice which are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s. Fourth, the hypothesis of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curity and job engagement was all dismissed.

      • 한국의 고용안정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기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동학적 고용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 고용유지율을 각기 다른 두 가지의 데이터와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하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데이터를 횡단면 추정(Cross Sectional Estimator)을 통해 고용유지율을 분석하고, 장기적 고용안정성 패턴에 영향을 미친 원인을 집단(Cohort)차원에서 분해(Decomposition)를 통해 분석하였다. 다른 하나는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패널추청 (Panel Estimator)을 통해 고용유지율을 분석하고, 어떤 요인이 개인의 2 년 고용유지확률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사용한 의태분석을 통해 2년 고용유지율의 추이를 변인들이 평균값으로 통제된 상태에서 추정하였다. 먼저 제3장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두 개의 횡단면 데이터를 사용 하여 패널데이터 없이 고용유지율을 분석할 수 있는 횡단면 추정 방법론을 통해 1년과 2년 고용유지율을 분석하였다. 2003~2018년까지의 경제활 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고용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2013년까지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정체되는 추이를 보인다. 1년 고용유지율의 경우 2005년 62.8%를 저점으로 2013년 71.0% 까지 단조 증가하였다. 초기근속(1년 미만과 1년 이상)별, 성별, 10세 단위 연령별, 최종학력별, 노동조합가입유무별, 산업별, 고용형태별로 세분화하여 1년과 2년 고용유 지율을 분석한 결과 추이의 패턴은 다르지만, 20대 청년층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1년 고용유지율을 통한 고용안정성 증가의 원인을 찾기 위해 집단별로 분해를 실시한 결과, 노동인력의 학력수준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 되었다. 학력수준 즉, 노동인력의 고학력화는 2003년 대비 2017년의 고용 안정성 변화를 약 46.7%를 설명하였다. 특히, 성별을 구분한 고학력화는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설명력도 여성(33.7%)보다 남성(63.7%)이 고용안정성의 변화를 더욱 크게 설명하였다. 제3장의 제6절에서는 비정규직보호법의 고용안정성 효과를 고용유지율의 변화와 분해를 통해 살펴본 결과 특히 기간제법의 시행으로 인해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성이 덜 증가하여, 기간제법이 어느 정도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4장에서는 한국노동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2년 고용유지율의 특성별 추이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특성별 분석결과는 전체 2년 고용유지율 추이와 비슷하게 2009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였다. 기간별 개인의 2년 고용유지확률의 영향요인을 프로빗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인적특성 변수 중에서는 초기근속기간과 성별이 거의 모든 기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 그리고 초기근속이 15~18 년까지는 길수록 2년 고용유지확률도 높아졌다. 일자리특성 변수 중에서는 법정 및 자율 복리후생 수준이 2년 고용유지확률과 유의미한 정(+)의관계를 보였으며, 심리적 변수인 조직몰입도가 전 기간에 걸쳐 1% 유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조직몰입도가 1수준 증가 할수록 최저 4.5%에서 최대 7.4%까지 2년 고용유지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빗 분석 결과(모형3)와 변수들의 평균을 사용한 의태분석 결과에서도 2년 고용유지율은 2003년 이래로 증가 추이를 보였다. In order to diagnose the dynamic employment stability of Korea, this paper analyzed job retention rate using two different data and methodologies. One is analyzing the job retention rate through Cross Sectional Estimator using Supplementary Result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the factor affecting the long term job stability pattern is analyzed through the decomposition in the cohort dimension respectively. The other is the analysis of the job retention rate through the Panel Estimator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and the empirical analysis of what factors affect the probability of 2-year job retention. In addition, the 2-year job retention rate was estimated through simulation analysis using these results with the variables being controlled as mean values. In Chapter 3, the author analyzed both 1-year and 2-year job retention rate through the cross-sectional estimation methodology which can analyze the job retention rate without the panel data using the two cross-sectional data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upplementary Result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from 2003 to 2018, the job stability of Korea increased overall until 2013, and since then 2013 it has shown a stagnant trend. In the case of the 1-year job retention rate, monotonically increased to 71.0% in 2013 from 62.8% in 2005. The job retention rates of the first and second years were analyzed by according to initial tenure (less than 1 year and more than 1 year), gender, age group, final education, union participation, industry, and employment type. trends of pattern were different, but the overall trend has increased except for the young people in their 20s. As a result of decomposing by group to find cause of increase of job stability through 1-year job retention rate, it was analyzed that the change of education level of labor force was the biggest cause. The level of education, that is,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labor force, accounted for 46.7% of the difference in job stability in 2017 compared to 2003. In particular, higher grades by gender were more significant for males than for females, and explanatory power about the difference in job stability was explained more by males (63.7%) than by females (33.7%). Chapter 3, Section 6, examined the effects of job stability on the Non-regular Worker Protection Act through difference in job retention rates and decomposition. As a result, the job stability of non-regular workers was less increased due to the Fixed-term Employee Ac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Fixed-term Employee Act was effective to some extent. In Chapter 4, the author analyzed the trends of the 2-year job retention rate by characteristics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The analysis results of most of the characteristics increased until 2009, similar to the overall 2-year job retention rate, then decreasing and increasing repeate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 of 2-year job retention probability by period with probit model, the initial tenure and gender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 almost all periods. In other words, males rather than females, and the longer the initial tenure was(until 15~18 year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2-year job retention was. Among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the obligational and voluntary benefits leve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2-year job retention probability,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t 1% significance level over the whole period.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s by one level, the probability of 2-year job retention increases from 4.5% to 7.4%. Finally,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probit analysis and the average of the variables by period showed that the 2-year job retention rate has increased since 2003.

      • 외국인 전용 카지노 직원의 고용불안정성 인식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영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카지노 산업은 국가 경제 성장의 신성장 동력이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정받으면서 세계 각국 정부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도박중독, 돈세탁 등의 문제로 카지노 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부정적이다. 이로 인해 COVID-19에 대한 정부 지원사업이 진행될 때에도 카지노는 사행성 산업이라는 이유로 정부 지원의 혜택을 보지 못하면서 카지노 직원들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노동시장에서 카지노 직원이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정서적 소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고용불안정성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기업형태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1년 이상의 근무 경력을 가진 카지노 직원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약 한 달간 세븐럭과 파라다이스 카지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Chow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용불안정성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고용불안정성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지원인식은 고용불안정성과 정서적 소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형태도 고용불안정성과 정서적 소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지노 직원이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정서적 소진은 COVID-19와 같은 상황에서 기업이 계약을 유지하고 고용을 유지한다는 신뢰만 준다면 조직구성원들의 이탈행위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위기를 극복한 이후에는 오히려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형태와 상관없이 조직구성원들은 환경변화로 인해 고용불안정성을 인식하지만, 기업형태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에게 주는 보상이나 혜택이 다르므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기업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태도가 달라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기업의 경우 구조조정을 시행하기에 앞서, 조직이 조직구성원을 보호하고 고통을 직원과 함께 분담하여 상생할 수 있는 다른 방안도 생각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COVID-19가 시작된 이후 약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초기 단계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고용환경이 어느 정도 안정되었을 때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무직 직원들과 카지노 딜러의 경우 수행하는 직무에 차이가 있으므로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의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집단을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한다면 카지노 직원들의 직급이나 직무에 따른 차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관점으로 카지노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 연구범위가 폭 넓어지길 기대한다.

      • 대학교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 및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역할 및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

        양진욱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대학 교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이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 및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사회적 교환이론에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고용불안정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 교직원들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통한 조직발전의 구체적인 방안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내 대학에서 근무 중인 교직원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과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 조사로 수집된 데이터를 Amos 18.0, SPSS Statistics 29.0,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에 따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교직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간의 영향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대학 교직원의 고용불안정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서번트 리더십이 높을수록 고용불안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는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 및 세대 간의 차이에 대한 추가 분석결과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조직시민행동에 부(-)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 간의 분석에서는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MZ세대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X세대가 조직시민행동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부(-)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구조조정 관점에서 고용불안이나 직무불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라는 사회적 현상에 따른 대학 교직원의 고용불안에 주목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구별된다. 또한 조직 발전을 위한 긍정적 측면의 자발행동인 조직시민행동과 부정적 측면의 자발행동인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조직 차원의 태도인 심리적 주인의식이 고용불안정성과 대학 교직원의 자발적 행동 사이에서 중요한 경로 기제로 작용함을 새롭게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고용불안정성이 조직 수준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대학 교직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불안정성의 부정적 효과를 서번트 리더십이 완화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구성원이 인지한 상사의 서버트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고용불안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함으로서 서번트 리더십이 고용불안정성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완충 요인(buffering factor)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 고용불안정성이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키려면 구성원에 대한 존중과 섬김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process by applying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at the job insecurity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affects the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according to changes in school-age population. In the process, we examine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boss's servant leadership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Through this, concrete pla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rough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mong university faculty members we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59 faculty members working at various domestic universities. The Amos 18.0, SPSS Statistics 29.0, and Process Macro 4.2 program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to verify the data analysis and research hypothes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hypothese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insecurity in university faculty had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 positive (+) effect on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insecurity in university faculty had a negative (-)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was confirmed by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in university faculty on psychological ownership. Fif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was confirmed, which alleviated the negative effect of job instabil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as the servant leadership increases. Finally,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of regional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negatively effected (-) in non-metropolitan areas, whereas the psychological ownership was negatively (-) mediated b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non-metropolitan areas. In addition, the analysis between generations showed that the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negatively effected (-) by the MZ gene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was negatively (-) mediated by the X genera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job insecurity were mainly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tructuring. However, this study is distinctly focused on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job insecurity among university faculty members due to the social phenomenon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Furthermore, it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a positive voluntary action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which is a negative voluntary action. This study newly verifi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an organizational attitude that was not well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acts as an important pathway mechanism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voluntary behavior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this, a mechanism for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attitudes and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behavior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was presented. This study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ant leadership acts as a buffering factor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insecurity by adjusting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psychological owner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servant leadership of the boss perceived by the members.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and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voluntary action for the organization, servant leadership based on the spirit of respect and service for its members must be exercised.

      •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도희 경기대학교 관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로나 시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는 팬데믹(Pandemic) 시대에 도래하였다. 특히나 관광객을 중점으로 하는 관광 산업 또한 쇠퇴하며 관광 산업 종사자의 경제 활동이 불분명해지고 고용불안정성이 극대화되는 실정이다. 카지노 산업의 경우 테이블을 운영하는 서비스 종사자와 고객의 상호작용이 중점으로 서비스 인카운터가 중요시되는 산업인 만큼 관광객의 수요가 직접적으로 경영에 영향을 미친다. 파라다이스시티 카지노는 외국인 카지노로 외국인 관광객이 현저하게 줄고 있는 만큼 직원들 또한 고용불안정성을 느끼고 있는 실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용불안정성에 따른 조절초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비자발적 이직(involuntary turnover)으로부터 카지노종사원이 느끼는 고용불안정성을 개념화하였으며 조절초점을 조절효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성을 위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여파로 많은 관광 산업이 위협을 느끼며 고용불안정성이 심화하여가는 와중 조절초점의 성향 차이를 기업이 관리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고 향후 인적자원관리가 중요시되는 관광 산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라다이스 인천 카지노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4일부터 2021년 10월 14일까지 총 10일간 조사를 시행하였고, 외국인 전용 카지노인 인천 파라다이스 카지노 종사원을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부정확하게 답한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232부를 제외한 232부의 유효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의 v. 22.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실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고용불안정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초점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절초점 중 예방초점이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이 음의 값으로 도출되어 음의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용불안정성이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조절초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이 제시되고 있는 것처럼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 조절초점이 조절효과로 변화되는 연구는 앞으로도 필요하며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조절초점이라는 조절효과를 활용하여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고용불안정성이 대두되는 현시대에 조절초점의 성향 차이를 기업이 관리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고 향후 인적자원관리가 중요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Entering the COVID-19 era, Korea and other countries arrived in the Pandemic era. In particular, the tourism industry, which focuses on tourists, is also declining, making the economic activities of tourism industry workers unclear and employment instability maximized. In the case of the casino industr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workers and customers who run tables is the focus, and the demand of tourists directly affects management as the service counter is important. Paradise City Casino is a foreign casino, and as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is significantly decreasing, employees are also feeling employment insecurity.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rol focus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Employment instability felt by casino employees from involuntary turnover was conceptualized, a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relate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control focus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intention and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tourism industry, wher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important in the future, by managing differences in propensity to control while many tourism industries feel threatened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tensifies. To achieve this goal, A total of 10 days of survey was conducted on Incheon Paradise casino employees from October 4, 2021 to October 14, 2021, Incheon Paradise, a casino exclusively for foreigners.Of the 250 questionnaires for casino employees, 23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232 questionnaires that answered unfaithfully or incorrectly. An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with v.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ployment instability,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employment inst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ontrol focus on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vention focus among the control focus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was derived as a negative value and exhibit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resulting in a relatively lower turnover intention when employment inst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that changes the control focus to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is needed in the future.

      •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김진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number of non-tenure teachers in Korea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since 2000 and as of this year they comprise 10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The system of non-tenure teaching position is inevitable so as to fill the vacancy of regular positions but it needs to be examined from a variety of angles with regard to whether it is being reasonably operated within the boundary of not having a negative effect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particular,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eacher commitment is an important element in deciding the success of education, since the system has job insecurity due to its short-term contract and the relevant controversy surrounding its organizational justice exists, examin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s meaningful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level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 commitment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 on teacher commitment. The study questions for the objectives are First, 'What are the levels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 commitment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and how does each differ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dividual background of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and Second, 'What effects do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have on teacher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will propose policy implications which could enable rational operation of the non-tenure teachers system. The study objects are the full-time non-tenur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who were in office in the autumn semester of 2015 and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that targeted 362 people and the survey contents regarding the variables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 commitment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so that they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ept for untrustworthy survey results, 345 answers were used in the study. Data analysis was done by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model comparison.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questions. First, from the medium score (3 points),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had a high level of job insecurity (M=3.998/5.0), a low level of organizational justice (M=2.899/5.0), and a high level of teacher commitment (M=3.899/5.0).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differences existed in respective subordinate scopes of the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 and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 the study found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existed in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commitment to teaching work when it came to gender, in interactive justice, commitment to teaching work, commitment to students, and commitment to school organization when it came to marriage status, in distributive justice, commitment to teaching occupation, commitment to teaching work, commitment to students, and commitment to school organization when it came to career. Moreov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ommitment to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in charge of a class and in job security, interactive justice, and commitment to teaching occu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but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econd, so a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eacher commitment, the teacher individual variable and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 were controlled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after adding subordinate variable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ve justice. As a result, the model's explanation power increased approximately 8.1 percent, job insecurity did not have a meaningful effect, and only interactive justice (p<.001)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Therefore, as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perceived higher levels of interactive justice, teacher commitment increased and job insecurity,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partially explain teacher commitmen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conclusion and the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out of the variables -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 the factor which directly affects teacher commitment is organizational justice. Interactive justice being a factor of meaningful effect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implies tha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 vice principal and department head teacher based on consideration and respect is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ibution of secondary school non-tenure teachers. Second, since the differences due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 among the three variables -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justice, and teacher commitment - were relatively meaningful in statistics whereas the differences due to school background variable were not meaningful excluding the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greater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career in more specific discussions regarding the non-tenure teachers system. Finally, job insecurity proved not to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and in spite of several assumptions with regard to the reason, more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for a clear inquiry.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non-tenure 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commitment to teaching occupation in the subordinate scope of teacher commitment whereas their level of commitment to school organization is low and they have a high level of job insecurity perception regardless of gender, marriage, career, whether in charge of a class or not, and the school level, additional inquiries into the variable of job insecur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commitment are necessary. Furthermore, arrang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relieving the employment instability of non-tenure teachers is still an important task. 우리나라의 기간제 교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 현재 전체 교원의 약 10%에 달하고 있다. 기간제 교사 제도는 정규교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불가피한 제도이지만, 교육현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는 여러 각도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교사헌신이 교육의 성패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감안할 때 기간제 교사 제도가 단기계약에 따른 고용불안정성을 내재하고 있고 그와 연계하여 조직공정성 논란이 있는 만큼 이들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제도 개선을 위해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 조직공정성, 교사헌신의 수준을 알아보고,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교사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 조직공정성, 교사헌신의 수준이 어떠하며, 각각은 교사의 개인 및 학교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은 교사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 결과는 기간제 교사 제도를 합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5-2학기 현재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일제 기간제 교사이며,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고용불안정성, 조직공정성, 교사헌신 변수 각각에 관한 설문 내용을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362명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된 설문을 제외한 345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모형 비교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 점수(3)를 기준으로,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들은 높은 수준의 고용불안정성(M=3.998/5.0), 낮은 수준의 조직공정성(M=2.899/5.0), 높은 수준의 교사헌신(M=3.899/5.0)을 보였다. 교사의 개인 및 학교 배경변인에 따라 3개 변수 각각의 하위 영역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교수활동헌신, 학교조직헌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혼여부에 따라 상호작용공정성, 교수활동헌신, 학생헌신, 학교조직헌신, 경력에 따라서 분배공정성, 교직헌신, 교수활동헌신, 학생헌신, 학교조직헌신, 담임여부에 따라서는 학생헌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설립유형에 따라서는 고용불안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교직헌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교급에 따른 차이는 어느 변인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의 개인 및 학교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의 하위 변인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3개 변인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모형의 설명력이 약 8.1% 증가되었으며, 고용불안정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조직공정성 중 상호작용공정성(p<.001)만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로써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상호작용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교사헌신이 높아지며, 고용불안정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은 함께 교사헌신의 일정 부분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 변수 중 교사헌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공정성이었으며, 조직공정성 중에서도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헌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려와 존중을 기반으로 교장·교감, 부장교사와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둘째, 고용불안정성, 조직공정성, 교사헌신 모두에서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비교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학교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학교설립유형을 제외하고는 유의하지 않은 바, 기간제 교사 제도에 대한 상세 논의를 위해서는 경력과 같은 교사 개인 배경변인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은 교사헌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나지 않았는데 그 이유에 대한 몇몇 추정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교사헌신 하위 영역 중 기간제 교사들의 교직헌신이 높은 반면 학교조직헌신이 낮다는 점,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경력, 담임여부, 학교급에 상관없이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고용불안정성 변수 및 교사헌신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 규명이 필요하다. 나아가 기간제 교사의 고용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도시고용의 성장요인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도시의 산업구조를 중심으로

        이봉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경제의 발전을 가속화시킨 요인들 중에서 경제의 외부효과(externalities)는 도시의 발전 속도와 산업의 지역적 집중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지적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경제의 외부효과를 "성장의 엔진(engine of growth)" 역할을 하는 "지식의 유출(knowledge spi]lovers)"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이 '왜 많은 도시들의 산업구조가 몇몇 산업에 집중되는가' 라는 물음에 하나의 답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외부효과 자체만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기 때문에 도시의 성장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실증분석하기 위해서는 초기 조건, 도시기반시설, 지역적 특성 등과 같은 직접적인 도시성장 요인들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산업구조가 특화된 도시들과 다양화된 도시들이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 지 아울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산업 구조적 측면은 시기적으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으나, 선행 연구에서는 제조업과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성장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시별 특성에 대한 분석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성장 분석의 산업 구조적 측면의 접근, 그리고 성장과 고용안정성에 대한 원인분석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도시의 성장은 성장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과의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성장과 안정성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대해서도 자료를 보다 세분화하여 전산업과 전국의 도시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변수의 선정과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산업의 전문화·다양화 정도가 도시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기초 작업에서 얻어진 결과인 전문화·다양화 지표를 바탕으로 하여 산업의 구조, 즉 산업의 전문화·다양화 정도와 고용안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고용증가율과 고용안정성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들 변수들 사이에 어떤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용 성장의 성장요인에 해당하는 변수들에 대해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역 하나의 모형을 정립해 보았다. 그리고 설명변수 중에서, 94년에 집중된 산업군과 집중되지 않은 산업군을 비교하여 집중된 산업의 외부효과에 의한 고용성장의 기여분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각 설명변수들의 산점도(scatter plot)를 그려보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관관계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파악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변수를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을 진단하는 과정을 통해서, 분석 후에 얻어진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신뢰성이 입증된 결과를 가지고 결론 및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의 고용안정성은 단순히 그 도시의 산업구조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될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산업구조의 영향보다는 해당 도시가 성장산업군을 보유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는가 하는 것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도시의 고용성장에 대해서 산업구조에 의한 외부효과와 기반시설, 지역적 특성이라는 성장요인들을 살펴보았는데, 초기 고용자수나 지역적 특성을 통해서는 성장잠재력이 많은 도시들의 경우가 성장이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그 동안의 수도권, 대도시로의 집중현상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불이익을 피해서 인구, 산업 등이 분산되어 있는 도시로 산업이 입지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도시기반시설의 경우도 중심시장과의 접근성 측면에서 볼 때, 도시의 고용성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겠다. 또한 지역적 독점보다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도시에 입지하여 발생하는 외부효과와 산업의 집중으로 인한 성장의 효과, 즉 지식의 유출에 의한 효과도 도시의 중요한 성장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well known, the economic externality is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development rate of a city and the geographical concentration of the industries. The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the externalities of an urban economy are explained by the knowledge spillovers that play a key role as an engine for its growth. It might presumably be the reason why the typical industrial structures of many cities are usually concentrated on only a few industrial sectors. Earlier studies, however, have dealt only with the externalities.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auses of the urban growth more generally and effectively, the initial conditions, the fundamental urban facilities, and the regional differences must further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ith regards to the stability of employment, it is also necessary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ities that have specialized industrial structures of their own. Since most of the earlier studies have tended to explain the urban growth only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an integrated, self-governing community, it has quite been insufficie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ity. Furthermore, the studies that query the ideal mix of the industrial structure for urban growth and analyze the causes of the growth and employment stability have also been insufficient. In order to approach the issues more deliberately, therefore, one should delve into the direct causes of urban growth in a more comprehensive framework. It is also necessary to fractionalize the information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and the stability. In the same line of reasoning, all the industries and urban areas nationwide should b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In order to set groundwork for selecting the proper variables and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first tries to see how the degree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variation alters. Based on this, it then becomes possible to observe the connection and variation between the growth rate and the stability of employment. With this groundwork, the study sets up a model after conduct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It then compares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s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industries in order to analyze the externalities of the former that dominantly contribute to the growth rate of employment. The study additionally tries to draw the scatter plots and switch some variables in an attempt to obtain a better degree of compatibility. Finally, the study model and its empirical outputs have been thoroughly examined to see if the study model could be safely relied up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only is far insufficient to explain the employment growth in an urban area. It is because that the employrnent growth in an urban area is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holding and/or developing the growing industrial sectors of that city. The factors that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are the externalities, the fundamental fac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ies. These are assumed to be the cruci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of urban areas directly and indirectly. That is, with the given initial condit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ities that have a potential for growth actually grow faster. Second, it is also found that the urban industry generally moves from the congested urban areas with high land rent (or from the large cities) to the rural areas. Also important factors for urban employment growth are the fundamental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from the central market. In addition, the competition among the small firms and the knowledge spillovers are also found to be the essential factors for the urban econom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