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soft tissue substitutes in gingival thickening : histologic and volumetric analyses in dogs

        송영우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8667

        Purpose: To evaluate the histologic and volumetric changes of gingival tissues following grafting with collagen-based matrices at labial aspect of teeth in canines. Methods: Gingival augmentation was performed in the mandibular incisor area using two types of xenogeneic cross-linked collagen matrices (CCMs), bovine CCM for BCCM group and porcine CCM for PCCM group, whereas the contralateral sides remained untreated (B-control group and P-control group). Descriptive histology, histometric and volu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after 12 weeks. For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each test group and respective control group, paired t-test was used for histometric analysis, and repeated-measured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volumetric analysis (p<0.05). Results: An increased number of rete pegs and an enhanced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were observed at both grafted sites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t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 of horizontal thickness only in BCCM group (1.36 ± 0.27mm vs. 1.26 ± 0.34mm; p<0.05) compared to the B-control groups. Conclusion: BCCM was effective for gingival augmentation in terms of horizontal thickness at the labial aspect of teeth at 12 weeks post-surgery. 치은 이식술은 치아 주위 각화 조직의 두께와 폭을 증가시키고 퇴축된 치은 높이를 회복하는 데에 주로 이용되는 술식으로, 환자의 구강 내 공여부에서 채득한 자가 조직을 수여부에 이식하는 방식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자가 연조직 이식술은 높은 예지성과 장기적 안정성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강 내 두 군데 이상의 부위에서 수술이 진행되어야 하고, 술식의 난이도가 높다는 점이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단점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자가 연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동종 또는 이종 유래 재료들이 소개되어 왔고, 그 중 이종 유래 콜라겐 대체재는 유수의 기존 연구들에서 양호한 치은이식술 결과를 나타냈으나, 흡수 속도가 다소 빠름으로 인해 장기적 부피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재료의 흡수를 지연시키기 위해 콜라겐 섬유를 교차 결합 시키는 개념이 도입되어, 몇몇의 연구를 통해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치아 주위 연조직 두께 증강 면에서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그 수가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견의 하악 전치부 순측 치은에 교차 결합된 이종 유래 콜라겐 대체재를 이식한 후의 변화를 조직학적 그리고 부피계측학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두 종류의 서로 다른 이종 콜라겐 연조직 대체재를 시험군 이식 재료로 이용하였다. 성견 비글6마리를 대상으로 split-mouth 디자인을 통해 편측 하악 전치부에는 시험군 (BCCM군과 PCCM군)을, 반대측 하악 전치부에는 대조군 (B-control군과 P-control 군)을 배정하였다. BCCM 군의 경우, 편측의 하악 제3절치에 가교 결합이 된 소 유래 콜라겐 대체재 (bovine-derived cross-linked collagen matrix, BCCM)를 6mm (높이) x 4mm (폭) x 2mm (두께)의 크기로 이식하였고, PCCM 군의 경우, 편측의 하악 제1절치에 가교 결합이 된 돼지 유래 콜라겐 대체재 (porcine-derived cross-linked collagen matrix, PCCM)를 4mm (높이) x 4mm (폭) x 2mm (두께)의 크기로 이식한 뒤, 각각 반대편 치아 부위의 대조군 (B-control군과 P-control군)과 비교하였다. 이식 수술 12주 뒤 실험동물을 희생한 후, 조직학적 그리고 부피 계측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시편 염색 후 광학 현미경을 통해 조직학적 관찰을 진행하고, 전체 연조직 (상피층 + 결합조직층), 전체 결합조직층, 치밀 결합조직층의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각화 상피 하방과 열구 상피 및 접합 상피 하방의 상피 돌기의 수 역시 계측하였다. 술전과 술후 10일, 4주, 8주, 12주에 인상 채득하여 만든 석고 모형을 3D 스캔한 뒤, 이를 통해 얻은 영상들을 중첩하여 부피 계측도 시행하였다. 각각의 시험군과 대조군의 통계적 비교를 위해, 조직학적 계측치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부피 계측치는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시행하였다 (p<0.05). 조직학적 관찰 결과,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BCCM군과 PCCM 군 모두 혈관 형성이 증가하였고, BCCM 군에서는 잔존 콜라겐 대체재가 관찰된 반면, PCCM 군에서는 잔존 대체재가 관찰되지 않았다. BCCM 군과 PCCM 군 모두 상피 돌기의 형태가 좁고 가느다란 형상으로 변화된 양상이 관찰되었고 그 수 역시 증가하였는데, 상피 돌기의 수는 각화 상피 하방 뿐만 아니라 열구 상피 및 접합 상피 하방에서도 증가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조직학적 계측 결과, 치은의 두께는 BCCM 군과 PCCM 군 모두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 차는 BCCM 군에서만 확인되었다 (전체 연조직 두께: 1.36 ± 0.27 mm vs. 1.26 ± 0.34 mm; p<0.05). 이식 후 부피 변화 측면에서는 BCCM 군과 PCCM 군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였고, BCCM 군과 PCCM 군 모두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식 후 증가된 부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는 가교 결합이 된 소 유래 콜라겐 대체재가 순면 치은 두께 증강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치은 이식술 시 자가 연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일부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본 실험 결과를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Bone augmentation using small molecules with biodegradable calcium sulfate particles in a vertical onlay graft model in the rabbit calvarium

        김두흥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1

        Purpose: To determine the synergistic effects of SB and DMOG loaded on calcium sulfate (CaS) on bone regeneration in the challenging vertical augmentation model in the rabbit calvarium. Methods: Four plastic cylinders screwed on the calvarium of each of 10 rabbits were randomly grafted with CaS, CaS/SB, CaS/DMOG, or CaS/DMOG/SB. All specimens were assessed by radiographic,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es. In the radiographic analysis, three different layers (new bone, degraded CaS, and pristine CaS layers) could be distinguished within the cylinder in all groups at 2 weeks. Results: Newly formed bone grew up from basal bone, and CaS in contact with newly formed bone was degraded into small particles to form a different layer. At 8 weeks, most of the pristine CaS had been absorbed and hardly seen within the cylinder. In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all groups showed comparable new bone areas and heights at 2 and 8 weeks. The DMO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new bone area at 8 weeks compared with 2 week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t 8 weeks. The DMO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the residual material area than the control group at 2 week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B and DMOG seem to exert smaller synergistic effects on bone regeneration compared to CaS alone in vertical bone augmentation. 전통적인 골재생술에서 신생골 유도를 촉진하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키는 목적의 약리학적 접근을 통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최근에는 골형성단백질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과 같은 성장인자를 골이식재에 첨가 시 골형성세포 (Osteoblast)의 분화가 촉진되는 것이 입증되었고, 특히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추출된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rhBMP) 는 임상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하지만 심한 부종, 파골세포 활성에 의한 골흡수, 높은 가격 등의 단점들이 여전히 문제가 되었고,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골형성에 관여하는 성장인자들을 대체할 수 있는 소분자를 첨가하는 방안이 대두되었다. Sodium butyrate (SB)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histone deacetylase)의 억제제로, 낮은 농도에서 조골세포의 분화와 혈관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Dimethyloxalyglycine (DMOG)는 조혈작용을 유도하는 전사인자를 촉진하여 혈관형성을 유도하고 골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의 연구에서 SB와 DMOG를 각각 또는 함께 적용하였을 때 유효한 골형성을 보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 신생골형성이 다소 유리한 국소적인 골내 결손부에서 이루어진 실험으로, 골내 결손부가 아닌 환경에서 수직적인 신생골형성을 보고자 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끼의 두개골에서 SB와 DMOG를 함께 황산칼슘 (CaS)에 탑재하여 수직적인 골형성을 유도하였을 때, 두 소분자의 상호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방사선학적, 조직학 분석 및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총 10 마리의 토끼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가 실험에 사용되었고, 각 개체의 두개골에 4 개의 플라스틱 실린더 (지름: 7mm, 높이: 5mm)를 고정 후, 실린더 내부에 군배정에 따라 무작위로 CaS 단독 (대조군), SB 를 탑재한 CaS (CaS/SB), DMOG 를 탑재한 CaS (CaS/DMOG), 그리고 SB 와 DMOG 를 함께 탑재한 CaS (CaS/DMOG/SB)를 각 실린더마다 적용하였다. 사용된 소분자의 농도는 각각 100 μmol/L 로 CaS 와 교반 후 체에 걸러 500 and 1,000 μm 의 균일한 입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수술 후 2 주와 8 주에 각 5 마리의 실험동물을 희생한 후 채득한 시편을 염색하였다. 시편 염색은 실린더가 강산과 유기용매에 녹는 이유로 탈회과정없이 염색한 후, 방사선적, 조직학적 그리고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동일 군내에서의 시간대별 통계적 비교를 위해서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고, 동일한 시기에서의 군간 통계적 비교를 위해서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p < 0.05). 방사선적 계측과 조직학적 분석에서, 4개의 군 모두 2주차에는 신생골층, 분해된 CaS층, 그리고 분해되지 않은 원형의 CaS층이 특징적으로 구분되어 관찰된 반면, 8주차에는 증가한 신생골량과 더 많이 흡수 또는 분해된 CaS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계측학적 분석에서는, 4개 군 모두 2주차에 비해 8주차에서 더 많은 신생골이 관찰되었고, 통계적 유의성은 CaS/DMOG군에서 8주차와 2주차 사이에서만 관찰되었다 (p < 0.05). 8주차에서 4개 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2주차에서는 CaS/DMOG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적은 잔존 이식재 면적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수직적 신생골형성 측면에서 SB와 DMOG의 상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나, 각각의 소분자의 역할은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DMOG가 골이식 후 치유 초기에 혈관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실험모델은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onlay graft model로 골형성에 있어서 외부 영향과 우연적 요소를 차단하는 극한의 조건을 제공하여 소분자들의 효과를 단독으로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였으나, 실제 구강환경처럼 투과성과 친수성을 띄는 실린더를 사용한다면 혈액과 체액이 공급하는 여러 성장인자의 영향으로 좀 더 많은 양의 신생골을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분자의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한 CaS가 너무 빨리 분해된 점을 극복하고, 조골세포의 분화 유도와 혈관형성을 촉진하는 데에 적합한 소분자의 농도를 규명하는 것이 후속 연구를 위해 필요할 것이다.

      • Isoproterenol이 백서 악하선의 분비 과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형태 계측학적 및 구조학적 분석

        이성출 전남대학교 1989 국내박사

        RANK : 248635

        신생백서의 악하선은 미성숙상태로서 출생후에도 증식과 분화를 계속하여 생후 약3개월이 지나야 조직학적으로 성숙되는데 신생백서에게 isoprterenol을 일정기간 이상 투여하면 악하선의 성숙이 촉진되며 선방세포의 비후를 일으킨다. 또한 생화학적으로 isoproterenol은 선방세포에서의 전반적인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며 정상 선방세포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소량존재하는 특수 단백질의 합성을 유도한다. 그러나 isoproterenol 투여에 의한 분비과립의 형태학적 변화에 대하여서는 문헌상 연구보고를 찾아보기 어렵다. 분비과립의 형태학적 소견에 의하여 그 변화를 추정하는 것은 다분히 주관적이기 때문에 대개는 시도되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최근 화상분석장치의 발달로 분비과립의 형태학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isoproterenol에 의한 분비과립의 형태계측학적 및 구조학적 변화를 추구하고자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세마리의 각각 다른 모성백서에서 출생한 산생백서의 복강내에 isoproterenol을 체중 100g당 15mg씩 오전 10시와 오후 6시, 하루에 2회 매일 주입하였으며 1주, 3주, 5주째에 각 배에서 2 마리씩을 희생시켜 악하선을 절취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는 다른 세마리의 모성백서에서 출생한 산생백서의 복강내에는 생리적 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주입하여 역시 1주, 3주, 5주째에 각 배에서 2마리씩을 희생시켜 악하선을 절취하였다. 절취한 악하선의 전자현미경사진을 화상분석장치로 처리하여 과립의 단면적과 휘도분포의 분산을 측정하였으며 단면적으로부터 동일면적원 직경과 실크기를 산출하였다. 대조군에서의 분비과립 크기는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isoproterenol 투여군에서는 과립의 크기가 1주 투여로 크게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되어 투여 5주째에 대조군에서와 비슷하여졌다. 그러나 구조물의 형태학적 이질성을 반영하는 휘도분포의 분산은 시간의 경과와 관계없이 대조군과 실험군사이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isoproterenol에 의한 분비과립의 구조학적 변화가 분비과립의 크기와는 달리 비교적 일정하며 분비물의 생화학적 변화를 시사하여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Isoproterenol stimulates cytodifferentiation into acinar cells and causes acinar cell hypertrophy in the submandibular glands of new born rats. Biohemically, the drug induces conspicuous production of certain proteins which are normally absent or meager in amount in the acinar cells. In this study, the secretory granules of acinar cell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in isoproterenoltreated and age-matched new born control rats. Profile area and grey Level variation of the granules were measured with an image analyzer and area-equivalent circular diameter and real size were calculated from the profile area measurements. Isoproterenol caused marked increase in size of the granules in 1 week-treated rats. In 3 week-treated rats, the size increase was not marked but still the granules were larger than in control rats. In S week-treated rats, the size was similar to that in control rats. the granular size of which were increased steadily as the rats were aged. Grey level variation as a textural feature, howev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soproterenoltreated and age-matched control rats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difference in textural term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could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biochemical changes induced by isoproterenol.

      • 돼지의 경골에 식립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관한 연구

        김이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0

        Statement of problem Titanium has been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for contemporary dental implant materials. But a few disadvantages are that it can result in poor esthetics, especially in anterior sites in the mouth, because of its greyish color, and that it can induce an allergic reaction. To resolve the allergy and esthetic problems caused by titanium implants, recently zirconia implants has been introduced as viable alternatives.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osseointegration around zirconia implants which had machined or alumina sandblasted surface,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itanium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tibia of 6 pigs. Three types of implants were investigated: groupⅠ-titanium implant, group Ⅱ-machined zirconia implant, group Ⅲ-alumina sandblasting treated zirconia implant. Zirconia implants were manufactured from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line (Acucera Inc, Seoul, Korea). Commercially anodic titanium implants (IMPLANT M, Shinhung Co., Ltd, Seoul, Korea) were used as controls.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SurfTest SJ-400 (Mitutoyo, Kawasaki, Japan). A total of 36 implants were installed in pigs' tibias. After 1, 4 and 12 weeks of healing period, the periotest and the histomorph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n Olympus BX microscope (Olympus, Tokyo, Japan) connected to a computer. SPSS statistical software for windows (release 12.0, SPSS Inc., Chicago, IL, US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cheffe 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those different implant groups. All tests were perform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1. In the measurement of surface roughness, highest Ra value was measured in group Ⅰ. Group Ⅰ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regarding Periotest values. 3. After 1 week, in comparison of bone to implant contact (BIC), group Ⅱ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bone area (BA), group Ⅰ and group Ⅱ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Ⅲ. 4. After 4 weeks, in comparison of BIC, group Ⅰ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son of B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implant. 5. After 12 weeks, the highest mean BIC values were found in group Ⅰ. Differences between the titanium implant and both zirconia implants were significant. Between two zirconia implants, group Ⅲ showed higher BIC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Ⅱ. In comparison of BA, group Ⅰ and group Ⅲ showed higher valu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group Ⅱ. Conclusions Titanium implant showed high levels of osseointegration in this experiment. Modification of surface structu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signing zirconia implants to improve the success rate. 임플란트 고정체 제작에 있어 타이타늄은 ‘표준 재료’로 언급될 만큼 가장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타이타늄은 자체의 회색 색조로 인한 비심미성과 생체 내에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여 더 안전하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임플란트 고정체 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지르코니아 임플란트가 크게 향상된 물리적 성질, 자연치와 유사한 색조, 뛰어난 생체 적합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용 타이타늄 임플란트와 개발 단계인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비교 연구하였다. 상용 타이타늄 임플란트 (Ⅰ 군)와 선반 가공된 나사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Ⅱ 군), 알루미나 샌드 블라스팅으로 표면 처리된 나사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Ⅲ 군)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후 6마리 돼지의 좌, 우측 하지 경골에 식립하여 1 주, 4 주, 12 주에 각각 희생하여 페리오테스트 안정성 측정, 조직학적 측정 및 조직 계측학적 측정,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평균 표면 거칠기와 페리오테스트 측정값, 조직계측학적 측정 결과는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통계 처리되었다 (P =.05). 각 군 임플란트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 Ⅰ 군이 Ⅱ 군, Ⅲ 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높은 평균 표면 거칠기 값을 보였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 1 주, 4 주, 12 주에 측정한 페리오테스트 결과는 Ⅰ 군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나 군간, 주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식립 1 주차 골접촉율 측정 결과 Ⅱ 군이 Ⅰ 군,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골면적율은 Ⅰ 군, Ⅱ 군이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식립 4 주차 골접촉율 측정에서 Ⅰ 군이 Ⅱ 군, Ⅲ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골면적율은 군간 유의한 차가 없었다. 식립 12 주차 골접촉율은 Ⅰ 군, Ⅲ 군, Ⅱ 군 순으로 낮아졌고 모든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골면적율은 Ⅰ 군, Ⅲ 군이 Ⅱ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골유착이 타이타늄 임플란트에 비해 부족하며,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의 표면 변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일부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송을로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620

        인간의 두개 악안면 골격의 특징은 인종과 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 인종이라도 기후조건이나 악구강계 기능 등의 환경적 요소에 의해서 악안면 형태는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치료나 악교정 수술시 이에 적합한 기준치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증례분석과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보다 양호한 치료결과와 치료후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인 부정교합 환자의 증례분석과 치료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단정한 안모와 정상교합을 갖는 전남대학교 치과대학생 중 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고, 각도 및 거리 계측과 비율 계산 등 62개 항목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부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두개 악안면부에 대한 계측 표준치를 산출하였다. 2. 여자의 상악골은 남자에 비해 전방돌출도가 크게 나타났다. 3. 남자의 두개 악안면 골격 크기는 여자에 비해 컸다. 4. 남자의 상하악 전치는 여자에 비해 전방돌출도가 크게 나타났다. 5. 남자의 전안면 고경에 대한 후안면 고경의 비는 여자에 비해 높았다. 6. 한국인의 상악 전치는 타 인종에 비해 비교적 전방돌출도가 크게 나타났다.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complex were different from each individual, based on age, sex, size, rac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sexual and racial difference of the craniofacial complex using lateral cephalometrics and previous studies. The material of this study wa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ms, obtained from 100 Korean adults (50 males and 50 females) ranged 20 to 27 years old, who have normal occlusion and pleasing profil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s in the craniofacial complex of some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established. 2. The maxillae of female subjects were more protrusive than those of males. 3. In size of the craniofacial complex, the male subjects were greater than females. 4. In position of upper and lower incisors, the male subjects were more protrusive than females. 5. In ratios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 the male subjects were higher than females. 6. The upper incisors of some Korean adults were relatively more protrusive than those of the other ethnic groups.

      • 前齒部 垂直被蓋率에 關한 模型 및 頭部放射線 計測學的 硏究

        박승종 朝鮮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86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caus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anterior overbite in spite of normal molar relationship in terms of skeletal, dental and dentoalveolar relations. The models and cephalograms taken from 154 subjects, 89 of shallow overbite and 65 of deep overbite ranging from 18 to 29 years of age were studi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anterior overbi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higher in the dental and dentoalveolar factors than in the skeletal factors and were higher in the proportional and angular measurements than in linear measurements. 2. The factor which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ntage of anterior overbite was the proportional parts of the dental and dentoalveolar heights. 3.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hich determined the percentage of anterior overbite was the SN-MP angle among the skeletal factors. 4. The percentage of the anterior overbite was more related to the dental and dentoalveolar factors in the posterior region than t hose in the anterior region among the dentoalveolar factors. 5. In the path analysis, the measurements which had the direct eff ect on the percentage of anterior overbite were AUDH/PUDH, ALDH/PLDH and SN - MP angle. 6. The anterior overbite was more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the correlated factors than by certain single factors.

      • Micro-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골계면 분석의 유효성

        김태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19

        The implant-bone interface is commonly evaluated in histologic section by morphometrical measurements. But, the processing of sample containing implant is critical, tedious and time consuming, and the procedure has a destructive nature that does not allow a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bone structure around mini-implant.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icacy of a micro-computed tomography(Skyscan 1076, Skyscan, Aartselaar, Belgium) for analysis of bone structure around orthodontic mini-implant by comparing micro-computed tomographic images with their histologic homologues.36 orthodontic mini-implants(ORLUS, Ortholution CO., Korea) were placed in the buccal jaw bone of 3 beagle dogs. After 12 weeks, micro-computed tomogram of the excised specimens were preformed, and histologic sections were subsequently made. After matching the homologues, bone volume and bone implant contact were measured.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bone volume, measured on the histologic slide and micro-computed tomographic image which has same thickness with histologic section(μCT108),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d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2. The bone volume, measured on the μCT108 and μCT1800 that covers bone all around the mini-impla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3.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bone volume on the histologic section and the bone volume on the μCT108 was calculat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87.4. The bone implant contact, measured on the histologic slide and μCT108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and significant linear corelation.5.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bone implant contact on the histologic section and the bone implant contact on the μCT108 was calculated and it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69.Thes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ameters measured through histologic slide and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this study presented a standard method of taking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a way of analysis on bone around orthodontic mini-implant with micro-computed tomographic image. 임플란트의 골계면 분석은 실험동물에서 비탈회 표본을 제작하고 이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는 조직 계측학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절편 제작 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 조직 시편에서 얻을 수 있는 미세 절편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오차의 가능성이 있고, 입체적 분석은 불가능한 이차원적인 분석이라는 단점이 있다.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micro-computed tomography(μCT)로 골과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계면 분석을 시도하고, 조직 계측학적 분석과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성견 3마리에 직경 1.8mm, 길이 7mm의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ORLUS, Ortholution CO., Korea) 36개를 식립하고, 12주 후, micro-computed tomogram(Skyscan 1076, Skyscan, Aartselaar, Belgium)으로 촬영한 후 비탈회 표본을 제작하여 각각에서 골 면적비율(bone volume)과 골 접촉률(bone implant contact)을 계측,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조직 슬라이드와 이와 동일한 두께의 μCT 이미지(μCT108)에서 측정된 골 면적비율은 유의차가 있으며(p<0.05) 상관계수는 0.90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련성이 있었다(p<0.01).2. 조직 슬라이드와 동일한 두께의 μCT 이미지(μCT108)와 미니 임플란트 주위 골 전체를 반영하는 μCT 이미지(μCT1800)에서 측정된 골 면적비율은 유의차가 있었으며(p<0.05) 상관계수는 0.96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련성이 있었다(p<0.01).3. 조직 슬라이드와 이와 동일한 두께의 μCT 이미지(μCT108)에서 측정된 골 면적비율간의 회귀 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고 그 결정 계수는 0.87로 두 계측치 간에 강한 연관성이 있었다.4. 조직 슬라이드와 이와 동일한 두께의 μCT 이미지(μCT108)에서 측정된 골 접촉률은 유의차가 있으며(p<0.05) 상관계수는 0.82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련성이 있었다(p<0.01).5. 조직 슬라이드와 이와 동일한 두께의 μCT 이미지(μCT108)에서 측정된 골 접촉률간의 회귀 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고 그 결정 계수는 0.69였다.본 연구를 통하여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 골계면 분석을 위한 μCT 촬영과 분석 방법의 하나의 표준을 제시하였으며, μCT 이미지에서 측정된 계측치와 조직 계측학적 분석의 유의한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