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기본어휘 선정 및 분석 : 경영학 전공 기본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상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기본어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 목록의 특성을 분석하여 경영학 기본어휘 교수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고, 선행연구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과 학문 목적 어휘 목록 선정 관련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교육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어휘 능력을 고찰해 보고 학문 목적 어휘로써 학문 목적 기본어휘와 학문 목적 전문어휘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하고자 하는 경영학 기본어휘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경영학 기본어휘 학습 대상자와 학습시기, 학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어떤 어휘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를 전문어휘의 특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경영학 기본어휘 선정 과정을 명사 어휘 선정 과정과 경영학 기본어휘 분류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최종 884개의 경영학 기본어휘를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선정된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을 분석하였다.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비율을 살펴보고, 일반 목적 한국어 기본어휘 목록인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 내 의미적으로 유사한 어휘들을 의미군으로 묶어 12개 영역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읽기 수업을 바탕으로 한 어휘 수업안을 구성하였다. 읽기 자료로서 신문기사를 선택하였고 기사문 내에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 비율을 조사하여 구축된 어휘 목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전체적인 수업은 읽기 수업으로 하되 경영학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한 어휘 교수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6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내용을 요약 ? 정리하고 한계점을 지적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국내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본 대학에 입학하기 전 그들을 지도해야 하는 언어교육기관 교사들에게도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2015년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측

        전희원 대구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2015년에 그들이 졸업하였을 때 호텔업계가 그들에게 요구하는 지식과 능력(적성)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하여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정치·경제, 사회·문화 등의 영역에서의 변화하는 추세의 내용과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호텔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중요한 교과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예측의 도구로는 델파이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18명 지배인 21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그 질문은 2015년에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현상, 문화적인 현상, 정치적인 현상, 경제적인 형상, 관광(호텔)업계의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을 파악하였다. 2015년도에 학부에 있어서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기타 중요한 현상, 미래의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 과정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객실 관련 과목, 식음료 관련 과목, 호텔경영관련 과목, 외국어 과목, 리서치 과목, 전산관련 과목, 기타 특수과목에 대하여 1차 설문을 받았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된 1차 델파이 설문지는 구조·개방형 질의가 담겨져 있었다. 2, 3차 질의는 1차에서 응답한 것으로부터 설문문항이 개발되어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문화적 현상, 정치·경제적인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기초 및 경영일반 교과 과정,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 외국어 교과 과정, 전산 관련 교과 과정, 기타 특수과목 교과 과정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 3차 조사의 결과는 체크되어 있는 점수를 모두 더하여 그것을 다시 문항수로 나눔으로서 평균을 구하였다. 이 평균은 변화 예상도 점수로서 제시하였고, 아울러 적합성지수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선행 연구들의 내용들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거의 모든 부분 에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내용들이 4년제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 및 산업 인턴쉽을 통해서 가르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면, 교과 과정 계획과 수정은 환대 산업에서의 변화에 대하여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바뀔 수도 있으며, 새로운 환대 관리자가 환대 관리 작업장에 투입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미래의 국내대학에서의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할 내용으로는 전문적이고 윤리적 태도, 전문가다운 외양이나 포즈, 효과적인 구두나 문서를 통한 의사전달, 긍정적인 고객 관계, 그리고 긍정적인 직무 관계 등도 중요 하지만 재무, 마케팅, 법, 컴퓨터 기술 활용 능력 또한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기술, 창조적인 사고 능력, 서비스 지향의 업무 혁신능력,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 기술, 고객-피드백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 협동을 이루어 내는 능력등도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인지적 능력, 아이디어를 생산적 활동으로 바꾸는 마케팅 능력으로서의 리더십, 타인과의 효율적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대인관계 능력 및 이를 뒷받침해주는 고객관계 구축 및 마케팅 활용능력, 사업을 위한 직원과 재무 관리측면에의 관리운영 능력 글로벌화 된 지구촌에서의 다국적 호텔경영능력등은 상당히 중요한 능력이 될 것이다. 오늘날 호텔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국제화의 증대, 글로벌 환경에서의 투자, 국제 자금조달 결합, 국제적 경쟁, 초국적 소유 문제, 문화 간 인적 자원 문제, 외국인 근로자 고용 문제, 브랜드의 국제 프랜차이징 문제, 그리고 다국적 개발과 관리 문제, 서유럽의 통화 통합 문제, 자유 무역 협정의 증가 문제, 세계 어디에나 여행할 수 있는 여행자의 증가에 따른 필요조건으로서 국제 마케팅, 국제 재무, 문화, 그리고 법적, 회계적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내용으로의 교과과정의 개편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들과 관련한 내용들이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대학의 호텔경영교과목 개발의 방향은 학부 호텔경영학과는 호텔경영학의 독자성과 차별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짐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교과과정 개발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가진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광범위한 구조와 효율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일반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구체적 지식이 첨가된 비즈니스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환대서비스론, 호텔 경영론, 인간관계론,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객실업무, 호텔연회관리,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호텔 마케팅 분석, 고객관계경영, 다국적 호텔경영전략, 전산 관련 교과 과정의 경우 컴퓨터 활용, 전산실무, 장기현장실습(인턴쉽), 호텔서비스 사례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어 능력이 호텔 종사원에게 있어서 필수적 조건이 되므로 외국어 교육은 교과과정에 의해서만 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양적인 면보다는 실질적 활용 효과를 위한 교수법 개발, 시청각 기자재의 활용,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의 개발에 정진해야 한다. 또한 현업실습에 있어서도 대학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학교와 업체와의 상호 협조 아래에서 시행되지 못함으로써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고, 실습 기간의 부족, 실습시설의 미비함 등의 개선으로 장기 업체 파견 실습이나 장기 체류 실습과 같은 인턴쉽 프로그램의 개발로 보다 효율적인 호텔 현장실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실행이 필요하다. 외국의 교과과정을 국내와 비교하여 보면 기능적인 측면보다 사고능력 중시,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의 필요, 일반 경영학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화, 서비스산업 경영에 필요한 폭넓은 교과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업계의 요구에 일치하는 대학 교육 강조, 마케팅적 시각에서의 교과목 편성의 중요성 제시, 일반 경영기술과 인간관계 기술이 중시, 인턴쉽의 활용, 경영정보 시스템(MIS)에 중점, 마케팅, 인사관리, 시장 타당성분석의 중요성인식, 국제화 사회에 적합한 재무 및 마케팅 능력의 향상 등 국내 대학들과는 다른 교과과정 선택의 중심축들을 중요시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도 호텔경영학 교육에 있어서 선진외국의 사례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참조하여 각 대학의 교육의 지향하는 바를 중심으로 국내 호텔경영학 교육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graduating students with hotel management degree in the year 2015 prepare knowledge and aptitude required in the hotel indust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ly, it identifies contents and direction of future trend in the area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ever changing environment of the hotel industry as managers. Secondly, it identifies important aspects of future trends and changes in the hotel industry so that graduating students from the hotel school learn and adapt quickly and efficiently in their workplace. Thirdly, it suggests core requirement curriculum for students in hotel school to adapt in ever changing hotel industry as managers. Throug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delphi technique is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forecast future curriculum. Panel of 18 professors and 21 hotel manag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each of them were contacted three times individually to be asked their opinions on followings; current situation in social, cultural,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industrial matters as well as ideal course subjects in core electives and core requirement which possibly influences the curriculum of hotel management school in the year 2015. Findings from the delphi technique through panel survey imply that future curriculum of the hotel management school should include professional and ethical attitude, professional appearance and manner, effective verb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functional relationship as well as finance, marketing, related law, computer handling skill, interpersonal skill, creative thinking skill, innovative service oriented functional skill, problem recognition and solving skill, feedback handling skill, adaptability to change, initiative. What's important especially are leadership as a marketing skill which turns ideas into productive activity, interpersonal skill drawing efficient interrelationship with others and marketing application skill and customer relationship backing that up, staff members carrying out business, financial management skill and global hotel management skill. Also it was suggested from the research finding that following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otel industry at present such as globalization, global investment environment, global fund raising, global competition, ownership issue beyond the boarder, human resources issue between cultures, foreign workers employment issue, global franchising issue of brand right, multinat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sue, currency integration issue of EC, expansion issue of free trade agreement as well as revision of current curriculum delivering more in depth knowledge in international marketing, international financing, cultural, legal and financial system. In conclusion, curriculum for the hotel management school in Korea needs to be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common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apply in real business situation and to help students bring forth their potential. The ideal direc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needs to be such that contains new asp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rovides extensive structure and efficient initiative. Core electives and business elective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inciple of hospitality service, hotel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 Core requirement in practical and service courses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actical operation of front office, hotel banquet operation and hotel management operation. Core requirement in hotel operation analysis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hotel marketing analysi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ultinational hotel management strategy. Core requirement in computer related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computer operation practice, basic computer operation, internship and case study in hotel service. As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is a must for hotel staff, it is therefore advised to develop foreign language program more geared toward practical aspect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Cooperation with industry should be regarded in developing curriculum in terms of practical field experience both short and long term and internship program that will certainly help overcome the shortfall of inadequate lab environment and facilities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view of curriculums i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in Korea in such ways that they emphasize on thought process, creative ideas in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business program, extensive course subjects necessary for service industry management, industry demand based curriculum structure,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structure in marketing perspective, internship, MIS, marketing, personal management, feasibility studies, financial management and marketing skill necessary in glob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in Korea need to take a giant leap to the next stage by thoroughly reviewing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findings from this study to offer a new and ideal curriculum model for the school of hotel management.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 : 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이영우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5

        【초록】 상경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이 연구는 상경계열 진학 외국인 유학생들이 입학과 동시에 배우게 되는 전공과목인 ‘경영학원론’ 의 교재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를 밝혀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입학에 있어 ‘공인 한국어능력시험(TOPIK) 3등급~4등급’의 실력을 요구하는 것과는 달리 내국인에게도 어려운 전공용어를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실로 어려운 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학 전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용어를 별도로 학습한 적이 없으며, 입학과 동시에 전공용어를 접하게 됨으로써 학업을 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경영학 전공 어휘들은 기존에 공부했던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대다수 어휘들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외래어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어지거나 어휘간의 상호결합에 의해 또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대학에 진학하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이 상경계열로 입학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경영학과 유학생을 위한 어휘 연구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 주요 대학 10곳을 선정하여 교과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9개의 경영학원론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있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주요 어휘들을 파악해 보았다. 9개 서적에 수록된 약 101만 어절을 분석하여, 이 중 명사를 중심으로 약 26만 빈도수, 3,551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 중 총 빈도수의 5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고빈도 어휘 1,475개를 다시 추출하였다. 이는 1,475개의 어휘를 익히면 9개 전공교재에서 출현하는 명사형 어휘 빈도 중 50% 이상의 빈도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475개의 다빈도 어휘에는 ‘일반목적의 한국어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에 대한 제거를 위해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ㆍ중급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을 제거하였으며 더불어 경영학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면접’ 방식을 활용하여 ‘1차 어휘평정 작업’을 실시, 비전공어휘를 뺀 546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2차 어휘평정 작업’은 1차 어휘평정 작업까지의 제거된 어휘들에 대한 검증 후 재 산입을 위한 과정으로 활용하였으며 1차 어휘평정 작업보다는 보다 전문성있는 ‘경영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산성 경영체제(PMS;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인증제’ 심사원 10명 중 4명이상이 추천한 어휘를 채택하였으며 초급 어휘에서 14개, 중급어휘에서 45개, 원시말뭉치에서 탈락되어 재 추천된 어휘 38개 등 총 97개의 어휘를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643개의 어휘가 확보되었다. 3차 어휘평정 작업은 2차 평정작업을 마친 후의 전공 어휘 목록 643개를 ‘전공 기본 어휘’와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기 위한 작업을 하는 과정으로 ‘경영학 전공 교수’ 3명이 어휘평정 작업을 진행하였고 2명 이상의 교수가 선정할 경우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여 ‘전공 기본 어휘’에서 제외하였다. 3차 어휘평정 작업 결과 총 18개의 ‘전공 심화 어휘’를 제외한 625개의 최종 결과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의 누적빈도는 약 30%로 Coverage 50%의 명사 어휘였던 1,475개에 비해 1어휘 당 보다 많은 빈도 Coverage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625개의 명사형 어휘를 학습할 경우 9개 교재의 평균 명사 어휘 출현에 있어서 30%를 cover 할 수 있음을 뜻하는 유의미하는 수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Coverage 50%의 명사 어휘군인 1,475개의 어휘에서 제외된 850개의 탈락 어휘들 또한 사실은 상경계열에서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에서 기 학습한 어휘들과는 상당부분이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빈출 문장을 함께 조사하여 수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영학 전공서적의 주제를 크게 ‘11개 주제’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대상인 9개 교재, 총 127개의 단원을 주제별 카테고리로 재분류하였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말뭉치 작업을 거친 후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와 비교,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100개씩의 다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각 주제별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가령 ‘투자’라는 어휘는 ‘회계ㆍ재무관리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조직관리 카테고리’에서는 순위에서 빠져 있었다. 또한, ‘창업’이라는 어휘는 ‘창업(경영자)ㆍ정보화’ 카테고리에서는 최상위 빈도 어휘지만 ‘경제(거시)’카테고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순위 내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어휘 분포의 연구는 해당 주제의 카테고리 교육에 있어 어떤 어휘가 주로 출현하는지, 어떤 어휘를 선행하여 교육시킬 때 학습자 【Abstract】 A Study on Basic Vocabulary Selection of Korean for Major Field of Studies for Foreign Students -With focus on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giving assistance to foreign students by making clear the basic vocabulary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by doing research with focus on the text for the major subject-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foreign students in business and economics come to study on entering college. Unlike the case where domestic colleges require foreign students to possess the Korean ability equivalent to Class-3~4 in the certifie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t’s really a difficult situation to foreign students who have to learn major subject terms which are hard even to domestic students. Most of the foreign students come to be in contact with major subject terms at the same time when they enter college without any preparation for major subject terms before college entrance,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m to carry out schoolwork. Actually, most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vocabulary is used in a different meaning from ‘Communication-centered Korean’ which they learned before. Moreover, a great many words are composed of Sino-Korean words, and not a few foreign words are used mixed with the Sino-Korean words, or used in another different meaning through the mutual combination between words in many cases. It’s true that a largest number of foreign applicants for domestic colleges are entering the field of business and economics, but, extremely insufficient is the vocabulary research or teaching method for foreign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s yet. Accordingly, this study grasped the major vocabulary that should be essentially mastered in th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with focus on the currently used 9 textbooks for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by selecting 10 major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extracted about 260,000 frequencies of use, and 3,551 words around a noun by analyzing 1,010,000 words included in the 9 books. Then, this study extracted 1,475 high frequency words again,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otal frequency numbers. This means mastering 1,475 words leads to the understanding more than 50% frequencies out of the noun-form word frequencie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words which were overlapped with ‘Korean words for general purpose’ in 1,475 high-frequency words. In order to remove the overlapping words, this study first removed the word overlapped with the elementary-intermediate level words set in Test Proficiency in Korean, and also extracted 546 words excluding non-major words by implementing ‘the Primary Word Rating’ using the ‘Group In-depth Interview’ method targeting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study us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as the process for re-inclusion of the removed words during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after verifying them, and implement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targeting more specialized ‘Management Consultants’ than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the vocabulary recommended by more than 4 persons out of 10 judges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PMS) Certification’, and added a total of 97 words, such as 14 words from the elementary vocabulary, 45 words from the intermediate vocabulary, 38 re-recommended words after being dropped out of raw corpus, Through this, a total of 643 words were secured. The ‘Tertiary Vocabulary Rating is the task process for classifying 643 lexicons of the major subjects after finishing the secondary rating as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and ‘intensive major vocabulary’ and the tertiary rating was conducted by 3 major ‘profess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is study excluded them from the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by classifying the vocabulary selected by more than 2 professors as intensive major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tertiary rating, this study could extract the final output of 625 words exclusive of a total of 18 ‘intensive major words.” The cumulative frequency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s about 30%, being found to have a lot more frequency coverage per 1 word in comparison with 1475 noun words whose cumulative coverage was 50%. This is a significant numerical value meaning that it can cover 30% of the average noun words appearance of the 9 texts in case of learning 625 noun-form words. However, a considerable portion of 850 rejected words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lexis of 1,475 nouns whose coverage is 50% are also are used in departments of business and economics differently from the already learned words in ‘Korean for general purpose’;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 included their frequency sentences. Finally, this study roughly classified the subjects of business management major books as ’11 subjects’ and re-classified the research subjects, or 9 textbooks, and a total of 127 Units into a category by subject. After doing a corpus task of individual categories, this study extracted 100 multi-frequency words evenly by each subject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raw a very dissimilar result by each subject. For example, the word of ‘Investment’ appeared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ccounting & Financial Management Category’, but the word was dropped out of the ranking in ‘Organization Management Category.’ In addition, the word of ‘Start-up’ was the highest frequency word in ‘Start-up & Informatization’ cat

      • 儒家思想의 企業 經營學的 價値에 관한 硏究

        왕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757

        지난 세기 미국을 비롯한 구미 선진국들의 경제 발전은 급격한 경영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기업들의 성장으로 인하여 이루어졌다. 과거의 경영은 단순 가내수공업으로 이루어져 단순한 경영관리가 필요하였다면 현대에 와서는 기획과 전략을 수립하기부터 예산, 생산, 운송, 판매, 운영관리까지 정밀한 계량적 시스템이 갖추어진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그 결과 기업경영 기법에 대한 연구가 아주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만큼 서양의 기업경영이론도 공전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 동안 동양 기업들은 자기에 맞는 경영 기법을 찾기보다는 문화적 기반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서양 선진 기업들의 경영기법을 벤치마킹하여 그대로 적용시켰다. 일부 성공한 기업도 있었으나 서로 다른 문화로 인한 기업 조직원의 갈등과 윤리위기로 인하여 많은 기업들이 손실을 보게 되었으며,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동양 문화에 맞는 경영기법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서양의 경영이론은 고전적 이론에서부터 행위이론과 관리과학론으로 발전하였다. 기업경영의 목표는 이익을 최대화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경영학자들은 사람을 경영 활동 중 하나의 생산 요소로 간주하여 이를 기반으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해 왔다. 게다가 서양의 경영 관리 방식이 이성적이고 격식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오늘날과 같이 인성화 정도가 높은 시장 환경에서는 유연하게 대응을 하지 못해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다수의 경영학자들은 보다 인성화된 경영 방식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기 시작했다. 옛 동양 철학인 유가사상은 사람을 교화(敎化)하고 다스리는 준칙으로서 동양 주요 국가에서 몇 천 년 동안 공식 철학 또는 ‘국학(國學)’의 자세로 활약하였다. 유가사상은 시대를 초월한 철학적 경영사상이며 그 중 많은 경영사상과 이념을 현대인도 이용할 수 있다. 경제 다원화와 경영 인성화의 추세에 따라 유가경영사상과 같은 진정한 인본관리(人本管理)의 경영방식이 필요하며 지금이라도 한동안 현대인에게 가려져 있던 유가사상을 다시 현대기업경영에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유가사상의 보편적인 윤리를 검토하고, 또한 현대기업경영에 대한 가치를 연구하여 기업경영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견해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유가사상에 대해 소개하고 유가사상의 형성과 발전 및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유가사상의 경영학적 의의와 현대 기업에 대한 의미를 살펴봤다. 특히 유가사상의 ‘인(仁), 의(義), 예(禮), 지(智)’ 4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양경영학이론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자의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며 서로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인사관리, 조직관리, 리더십, 마케팅관리 및 전략관리 등으로 나누어 유가사상이 현대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을 현대기업경영 활동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주제어: 유가사상, 경영윤리, 인본관리, 경영철학, 경영학이론 The western countries led by USA have experienced rapid growth i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last century. Playing a key role in the process, the businesses entities in various sectors have grown swiftly and many of them have now become multi-national or global enterprises. They are no longer small business units but have been developed as large scale business entities such as international enterprises with sophisticated system in strategic planning covering budget, production, transportation, marketing and operations management etc. At the same time, researches in business management were conducted and difference theories of management evolved. Most of Asian or Eastern enterprises often apply such theories of management without realizing the difference in cultural background of the enterprises. Though there are many successful enterprises emerged in Asia, it comes with them the conflicts and ethical crisis among the staffs resulting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and hence leading to significant loss to the enterprises. It has become a great concern in finding a suitable way of managing an enterprise with oriental culture. Key word: confucian thought, business ethics, people-oriented management, management philosophy, management theory

      • 경영학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목적의 전공기초 교육 방안 연구

        최신혜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74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pecialized introductory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 broad academic field that deals with various dimensions of corporate management, requires a high proficiency of Korean and English simultaneously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tudy. As many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business administration as their major, there has been a great need for a curriculum considering the specific language us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takes various step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need analysis of both learners and professors, content analysis of fundamental sub-areas, and task analysis of those areas to make an introductory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busines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specialize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s curriculum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KSAP). And to fully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major, it is necessary to apply content-based instruction. Moreover, among the content-based models, the sheltered instruction mode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onsidering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the educational settings. To design a result-driven sheltered curriculum, backward course design is chosen as a compelling strategy to prioritize content knowledge. Next, a nee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nd lecturers to clarify the necessity of the specialized preparation curriculum.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both the students and the professors agre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d great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ir core content concepts and vocabularies. Based on the need analysis, a unique curriculum that covers fundamental content knowledge, basic vocabularies for business studies and procedural knowledge of assignments was found to be necessary at the very early stage of entering the major. On the other hand, content sub-areas that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learn first were identified and specified. Business administration is usually divided into about 6 sub-areas. However, by listing the compulsory courses for 10 business schools in greater Seoul, the four sub-areas were identified as fundamental. Specific contents for each sub-area were listed by referring to the table of contents of textbooks for the compulsory courses. By analyzing the assignments of the course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ssignments for each sub-area.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research sets objectives for the introductory curriculum that can be divided into content objectives, language objectives and assignment objectives. To acheive these objectives through the course, examples including lecture readings, additional lecture materials, foreign language lists, thesaurus, and task performance guides were presented. This study suggest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the content and the language after cautiously carrying out a needs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i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proposes examples of language adjustment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introductory curriculum along with examples. However, the suggested curriculum may still have limitations since it has never been practiced. It is expected that these limitations will be supplemented in future studies to lead to various discuss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in other majors as well.

      • 뷰티샵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강혜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92

        본 연구는 이론적, 실무적인 교육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으로 뷰티샵 창업의 성공적인 성과와 운영관리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뷰티샵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업 중 헤어 미용업 창업교육을 의미하며, 헤어 미용업에 종사하는 예비창업자, 기창업자, 재창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창업교육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하여 ADDL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교수설계 모형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뷰티샵 창업교육의 하위요인을 ‘창업학’, ‘경영학’, ‘뷰티산업학’의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단계 중 문헌 분석을 통하여 창업학에 대한 하위요인은 ‘기업가정신’, ‘창업절차’, ‘사업타당성분석’, ‘사업계획서작성’, ‘사업아이템 선정’, ‘상권분석’, ‘입지분석’, ‘창업법률 및 제도’. ‘창업자금조달’, ‘재무관리’ 10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영학에 대한 하위요인은 ‘마케팅’, ‘직원관리’, ‘인성교육’, ‘서비스교육’, ‘고객관리’, ‘리더십’, ‘매장관리’, ‘브랜드관리’, ‘정보화관리’, ‘협력체관리’ 10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뷰티산업학에 대한 하위요인은 ‘기술교육(커트, 펌, 컬러, 두피관리)’, ‘공중보건학&위생법규’, ‘(신)제품사용교육’, ‘제품판매교육’, ‘(신)기기사용교육’, ‘영업메뉴(커트, 펌, 컬러, 두피관리등)에 대한 이론적 교육’, ‘모발생리학’, ‘두피관리학’, ‘최신트랜드’, ‘이미지메이킹’의 10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하위요인의 요구분석으로 헤어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하위요인 10가지를 요구분석을 통하여 총 12가지 세부범주와 그에 따른 구성내용을 도출하였다. 구성내용으로는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시기’, ‘교육방법’, ‘교육횟수’, ‘1회당 교육시간’, ‘총 교육시간’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설계단계는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내용으로 본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수전략’, ‘평가 방법 및 도구’를 설계하였다. 넷째, 개발단계는 ‘뷰티샵 창업교육프로그램(안)’을 개발하고 총 3모듈,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모듈-1회기 기업가정신, 1모듈-2회기 사업계획서, 1모듈-3회기 창업절차, 1모듈-4회기 상권분석이며, 2모듈-1회기 인적자원관리(직원관리&서비스교육), 2모듈-2회기 리더십, 2모듈-3회기 마케팅, 2모듈-4회기 매장관리로 설계하였다. 또한, 3모듈-1회기 영업메뉴, 3모듈-2회기 기술부문, 3모듈-3회기 제품부문, 3모듈-4회기 이미지메이킹으로 세부내용(안)으로 개발하였다. 다섯째, 실행단계는 ‘뷰티샵 창업교육프로그램(안)’을 가지고 10명의 헤어 미용업 종사자에게 교육을 진행하였다. 여섯째, 검증단계로 본 프로그램의 적합성에 대한 미용학 박사 7인의 전문가 검증을 진행하였다. 검증결과에 따라 적합성은 평균 4.55점으로 모든 항목에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도 분석을 위한 헤어 미용업 종사자 10인의 교육만족도, 교육성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평균 4.54점으로 모든 항목에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일곱 번째, 최종 프로그램 확정으로 검증단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프로그램을 최종 프로그램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검증단계에서 얻어진 의견들을 종합하여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뷰티샵 창업교육프로그램’은 ADDLE 교수설계 모형의 프로그램 개발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고, 뷰티샵 창업교육에 맞게 교수-학습방법과 교수전략을 설계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뷰티산업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체계 및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제시함으로서 학문적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미래의 잠재적인 창업가인 대학생들의 창업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경영교육인증제도의 정당성 확립 과정에 대한 연구 : 제도화 이론을 중심으로

        김아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연구는 경영학 교육의 품질관리와 혁신을 선도하고자 경영학계의 자율규제(self-governance) 형태로 실행되고 있는 경영교육인증제도의 제도화 과정을 제도화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도화 이론은 동일한 영역에 속한 조직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조직형태나 제도 등의 제도화 과정을 정당성(legitimacy)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지난 6년간(2004년~2010년) 경영교육인증제도의 제도화 과정을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경영교육인증제도가 제도적 환경내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정당성을 확보하며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교육인증제도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정부, 기업, 경영학계 등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점차적으로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실질적인 인증제도로 정착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국내 선도대학들의 참여부족,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부족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사회적 수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경영교육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개인의 두뇌활용유형과 직업선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경영학 전공 4년생을 중심으로

        박창균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개인의 두뇌활용유형과 직업선호간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174명의 경영학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에서 개인의 두뇌활용유형에 따라 직업선호가 다르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또한 성별에 따라 두뇌활용유형 및 직업선호가 다름을 발견하였다. 두뇌활용유형은 사고의 선호를 야기하고, 사고의 선호는 흥미를 유발하며, 흥미는 적성의 개발을 향상시킨다. 개발된 적성은 결국 직업의 선호 및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Herrmann의 가정을 전제로 두뇌활용유형과 직업선호간의 관계를 탐색해 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지스타일적 관점에서 직업선호에 대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들을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