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江原地域의 原三國文化 硏究 : - 嶺東ㆍ嶺西地域 考古資料의 比較를 中心으로 -

        이일용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on the culture of the proto-Three-Kingdoms in Kangwon Province.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study products and the archaeological material dug up in Kangwon Province up to now has been collected and analyzed systematically. The archaeological material as analytical objects is focused on dwelling sites, earthenware, and graveyard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Yeongdong area and Yeongseo area has been made in order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both areas. The formative background of the culture of the proto-Three-Kingdoms in Kangwon Province has been also researched, based on the existing authorized facts, in connection with the tribes who built the dwelling sites. The dwelling sites appearing in Yeongdong and Yeongseo areas have rectangular shape, 凸 shape, and 呂 shape, hexagonal dwelling-site by the plane figure. But the hexagonal dwelling-site is discovered only in Yeongseo area. Thus, the shapes of the dwelling sites in Kangwon Province appear similar in both areas, except for the hexagonal site, which I have looked upon as the property of the dwelling sites of the proto-Three-Kingdoms in Kangwon Province. And it is inferred that the inhabitants holding such dwelling shapes and culture in common began to settle themselves gradually in both areas of Yeongdong and Yeongseo and then established their own characteristic culture with going through the exchange with and the absorption by new culture. The earthenware study is aimed at grasping the time order of the sites or the chronicle of them,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and of the aspects of the earthenware dug up in the dwelling sites. As a result of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excavation rate of the hard plain-coarse earthenware is very high. Among the sites are those of both the coiling-paddling patterned earthenware and the hard plain-coarse earthenware as well as those of only the hard plain-coarse earthenware, most of which mainly consists of the outward-hemmed-mouthed jars and the inward-hemmed-mouthed jars. It is found out, however, that the shapes of the coiling-paddling patterned earthenware appear more various in Yeongseo area than Yeongdong area. In addition, the relative chronicle of the dwelling sites, which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the earlier, middle, and later proto-Three-Kingdoms, has been arr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and aspects of the discovered earthenware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study accomplishments. When it comes to the graveyards all over Kangwon Province, the excavation of the tombs which may trace back to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has been done only in Yeongseo area and even the number of the cases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not easy to comprehend the cultural aspects between Yeongdong area and Yeongseo area. Nevertheless, the tombs of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has been looked into with stone-mound tombs and earthen-pit tombs in Yeongseo area and with Silla's tombs in Yeongdong area. The last study is on the forming and dividing of the proto-Three-Kingdoms culture which was researched through investigating the documentary material of the era as well as the archaeological material mentioned above. The Ye tribe having existed in Kangwon Province began to differentiate into the culture of Yeongseo and of Yeondong from the same culture as appearing in dwelling sites and earthenware, which resulted in leading to a remarkable cultural gab, since Baekjae had advanced into Yeongseo area and Koguryeo had occupied Yeongdong area. This historical background should be considered with relation to the fact that the hexagonal dwelling sites have been not discovered in Yeongdong area but in Yeongseo area. 이 연구는 강원지역의 원삼국시대 문화양상을 파악키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와 현재까지 강원지역에서 확인된 고고학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ㆍ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고고학적 자료는 주거지ㆍ토기ㆍ묘제가 중심이 되었으며 영동지역과 영서지역간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밝혀진 사실을 토대로 강원지역 원삼국문화의 형성 배경을 주거지의 축조집단인 종족집단과 연결하여 파악코자 하였다. 영동ㆍ영서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거지는 평면 형태에 따라 (장)방형ㆍ凸자형ㆍ呂자형ㆍ육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만, 육각형 주거지의 경우 영서지역에서만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강원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거형태는 육각형 주거지만 제외하면 영동과 영서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필자는 이를 원삼국시대 강원지역 주거양상의 특징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거형태와 문화를 공유했던 주민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동과 영서지역에 정착하여 새로운 문화와의 교류 및 복속을 통해 자신들 만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토기는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토기 양상과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유적별 선후 관계 및 편년을 파악코자 하였다. 그 결과 경질무문토기의 출토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토기양상에서는 경질무문토기만 출토되는 유적과 타날문토기가 공반되는 유적이 확인되었으나 경질무문토기의 외반구연호와 내반구연호 토기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다만, 영서지역에서는 영동지역보다 타날문토기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기존의 연구 성과와 토기 빈도 및 양상을 통해 주거유적의 상대편년을 원삼국시대 전기ㆍ중기ㆍ후기의 세시기로 구분하였다. 묘제는 강원지역 전체에서 원삼국기로 올라갈 수 있는 고분이 발굴조사된 것은 영서지역 밖에 없고 그 수가 한정 되어있어 이를 통한 영동과 영서 두 지역 간의 문화상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다만 원삼국시대 고분과 관련해서는 영서지역은 적석총과 토광묘로 영동지역은 신라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삼국문화의 형성과 분화와 관련해서는 앞서 보았던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 자료의 검토를 통해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강원지역에 존재했던 濊族은 처음에는 주거지와 토기에서처럼 공통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가 백제의 영서지역 진출과 고구려의 영동지역 장악으로 인하여 그 문화적 차이가 커지게 되었다. 영동지역이 영서와는 다른 양상으로 육각형 주거지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강원지역 폐교시설의 실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명한 江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entering into the 1990’s, the small scale schools in provincial areas have shown major closures or integrations. The fast increasing rate of aging society in agricultural and mountain village brought local school closings. This influenced various sectors of local community starting from education and economy. This study targeted closed schools and the education facilities that no longer function as schools in Gangwon province area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eries of directions in future utilization of such facilities by going through reuse features, building structures and methodologies of such schools in that region. Furtherm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possible problems that could be generated from such reuses and the feasible solutions for such problems. In Gangwon region, more than two hundreds schools were closed by the year of 2005. The small scale school closure and integration policy was declared in November of 2005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is policy boosted the increasing numbers of closed schools in 2006. The numbers of closed and integrated schools are only increasing, and this is not only limited to Gangwon area but is spreading to the general provincial areas in the n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how to productively utilize closed schools with much more advanced methodologies. The target facilities are closed school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as other means. This study selected 30 schools and went through documented references and interviews with leaseholders or the professional supervisors of such facilities. As for the closed schools that are abandoned or deserted, this study went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Followings are brief summary of the analysis generated from this study. In 1994, 42 schools were closed for the first time. The closing rate did not show rapid increase until 1999. That year, we see closing off of 56 schools, the ever highest number of school closings. Among the closed schools, 243 schools with 323 school buildings are still preserved. As for their construction years, the year of 1964 shows opening of new schools with new buildings. The number of school buildings and supplementary buildings(including faculty offices) are fast increased. As reaching 1970 and 1971, 52 schools (52 buildings) and 59 schools (59 buildings) are newly built, respectively. However, 43.87% of currently closed schools and buildings (as of 2005) are from these two years. As for the building structure, schools that are built after the Liberation were built with wood and galvanized iron sheet roofs. In 1960’s, the buildings were made up of masonry structure with slate roofs. By the end of 1960’s,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as masonry structure with slab roofs. By the middle and end of 1971’s, the schools were built as ferroconcrete buildings. We have to note that the ferroconcrete school buildings were first built in Gangwon region, especially, Samcheok, Taebaek and Jeongseon in the early 1970’s. This is due to the high accessibility of concrete materials since these regions produce limestone. The building materials could be easily supplied and delivered to these areas. There are several features of current reusing of closed schools. Closed schools are often used as the youth training facilit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relevant to this. First, most of the training programs are centered to summer. Secondly, the programs are all standardized, having no differentiated features in comparison with other regular summer camp programs even though they are being held in closed schools. In this regard, they will have to create their own programs that can be uniquely operated in closed schools. Third problem is that the training programs are only offered for young students. Except the summer season when these programs are open to young students, these facilities should open to college students, business companies or for other occasions. The relevant refurbishment and investment are also necessary. Also, the schools are reused as culture and art relevant facility. The first problem from this could be financial sector. There are high demand and necessity of creating programs and implementing of refurbish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constant support and promotion of these facilities. Secondly, the local residents feel so detached from such cultural or artistic activities. When the closed schools are being reborn as a cultural or artistic facility, the artist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local activities with local residents, so the facilities could mingle with the local community. Next, the closed schools are turned into manufacturing or office facilities, and these facilities show very poor accessibility except for few. In this way, most of closed schools have become research centers, which do not require frequent flow of visitors. As for the manufacturing facility, the products should be micro-scaled to minimize the logistics fee. Also, if the closed schools are used as manufacturing facility, there is a danger of facility damage and the random discharge of polluted materials due to the lack of any filtration system. At present, there is no case that was reported for reusing closed schools as accommodations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banns operation of any lodging facilities. However, some schools that are sold to civilians are sometimes turned into such features. Therefore, there should be amendment in this policy, so the closed schools could be used as family lodging facilities. Also, the local residents not the outsider should actively involved in operating such facilities so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y. At present, the lease type operations of closed schools manifest various problems. First of all, there are no systemized aftermath super visions available for such use. Secondly, the leaseholder is a local resident, but the actual owner and operator is the foreign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way, the ministry of Education cannot collect the adequate rent. This is because this kind of facility sales does not represent the local community’s voices and is only reflecting the interests of the village head or few people. They could take advantage of disposals and lease sales. Furthermore, if we apply BOT methodology and the small scale school closure and integration policy in 2006, the schools with large lands with high accessibility to downtown will be also closed in the future. Therefore, if we remodel the closed schools upon BOT method and use it as a different means, more revenues will be created due to the increase in value of the estate. This will generate more profits than current lease features. The earned revenues will create synergy effect and could be used as the means to attract tourist, to promote local village or to boost the local economy In sum,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to how to reutilize the closed schools in Gangwon region by going through the current status quo, problems and solutions to closed schools. In conclusion, the local community memb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closed schools along with integrated and the productiv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 In this way, no more closed schools will be simply abandoned or deserted, and they could be utilized in more advanced and proper ways. 1990년대를 들어 지방의 소규모학교 통ㆍ폐합이 가속화되었고, 이는 지역의 교육뿐만 아닌 다른 여러 분야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농ㆍ산촌은 급격한 평균연령 증가 및 노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폐지되어 더 이상 학교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폐교시설의 재활용형태 및 구조, 특성 등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폐교시설의 재활용에 있어 일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강원도 내 폐교시설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방향은 폐교의 재활용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 및 해결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2005년까지 강원지역에서 200여개의 학교가 폐지되었고, 2006년 이후에도 2005년 11월 교육인적자원부의 소규모학교 통ㆍ폐합 정책에 따라, 2005년 이전에 폐지된 학교 수에 버금가는 소규모학교들이 통ㆍ폐합되고 그에 따른 폐교는 더욱더 늘어가게 되는 것이 강원도뿐만 아닌 전국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폐교시설 재활용 형태를 보다 발전된 형태의 활용방안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조사연구 대상은 강원도 전역에 걸친 폐교 중 특색 있게 운영되고 있는 학교들로, 30개 학교를 선정하여 문헌조사 및 임대 자 또는 전문 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방치된 학교의 경우는 지역주민과의 면담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조사 및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정리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1994년에 최초로 42개교가 폐교 되었고, 이후 약간의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1999년에 56개교가 폐교되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현재 폐교 시설 중 교사가 보전되어 있는 243개교 323동의 교사 건물을 건축연도별로 분류해 보면, 1964년을 기점으로 신규 학교의 개교에 따른 교사동 및 부속 건물의 신축 및 기존 학교의 교사동 및 부속 건물의 증축으로 그 수가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1970년과 1971년에는 각각 52개교에 52개동 과 59개교에 59동을 갑자기 신축 또는 증축 하였으며, 이 당시에 신축 또는 증축된 교사동이 2005년 현재 전체 폐교 교사동의 43.87%에 이르게 된다. 건물의 구조적 분류를 보면 해방 후 학교들은 대부분 목조+함석지붕으로, 1960년대에는 조적조+슬레이트 지붕으로, 1960년대 말 이후 조적조 +SLAB 지붕으로 건축 되었으며, 그에 이어 1970년대 중 후반부터 철근콘크리트구조로 변천하였다. 특색 있는 점은 1970년대 초 삼척, 태백, 정선, 등의 지역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교사건물이 강원도 내에서 처음으로 건축되기 시작되었다는 점이라 하겠다. 이는 석회석 산지 인근지역에서의 재료의 반입 및 수급의 용이함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현재 폐교시설을 청소년 수련시설로의 활용 시 에는 따르는 첫 번째 문제점은 거의 대부분의 청소년 수련 활동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다는 현실이다. 두 번째 문제점은 수련 프로그램의 획일성이다. 이에 따라 폐교시설을 이용한 수련시설의 경우 자체적이고 폐교지역에서만 할 수 있는 자체 프로그램 개발에 몰두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문제점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련시설로서의 목적으로만 시설을 사용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청소년 수련시기인 여름철을 제외 하고는 대학의 MT 및 각종 기업체의 연수 및 각종 행사를 유치하려는 노력과 함께 그에 따른 시설투자가 필요하다. 문화예술 관련시설로의 활용시의 문제점은 첫 번째, 시설의 수익성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화예술관련 관광 상품개발 및 자치단체 에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의 문제점은 문화예술이 주민들에게는 너무나 멀게 느껴지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폐교를 재활용하여 문화예술 관련시설로 활용하는 예술인들은 지역주민과의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와의 융화에 보다 힘써야 할 것이다 생산 및 업무시설로의 활용 시, 첫 번째 문제점은 몇 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접근성이 매우 열악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현재 폐교를 이용한 대부분의 업무시설이 연구시설, 즉 외부와의 빈번한 교류가 없더라도 진행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고, 또한 생산시설 역시 물품의 운반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규모가 작은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이 적당할 것이며, 두 번째 문제점은 폐교를 생산시설로 활용하면서 시설 회손 과 공해물질의 무단 배출 등 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현재 임대 폐교시설을 숙박시설로 활용 경우는 전무하며, 매각된 폐교에서 그러한 활용용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숙박시설이 교육청의 임대불가 사업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교육청의 숙박시설 및 민박의 임대용도 불허 방침은 보완되어, 가족호텔용도의 숙박업은 허용하여야할 것으로 보이며, 숙박시설의 운영이 외지인이 아닌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될 경우 바람직한 활용형태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임대방식의 문제점은 폐교시설의 임대 이후 사후 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첫 번째의 문제점이고, 두 번째 문제점은 외지인이 임대하여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임대는 지역주민의 명의로 임대되어, 실제 교육청에서의 적정 임대료를 징수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는 임대과정에서 마을 전체의 의견이 수렴되지 못하고 몇 몇 지역유지 및, 이장을 주축으로 시설임대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BOT 방식을 폐교 재활용에 적용시킬 경우 2006년부터 적용되는 소규모학교 통ㆍ폐합 기준에 따르면, 현재 보다 교통이 편리하고 도심에서의 접근성이 유리한 대규모 부지의 학교들이 폐지될 것이고, BOT 방식으로 기존 학교의 건물을 Remodeling 후 새로운 시설로 활용한다면, 현재의 임대방식으로 인한 수입보다 부동산의 가치상승으로 인한 더 많은 수입이 발생될 것이고, 이 사업을 통해 관광객의 유치 및 지역의 홍보,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여러 가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강원도 내 폐교시설의 특성 및 문제점 및 해결방안 제시와 더불어 좀 더 낳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이 논문의 의의를 들 수 있을 것이고, 위내용을 종합해 볼 때 폐교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합리적인 협력을 통한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뒷받침 될 때, 현재처럼 방치되는 학교는 없어 질 것이며, 좀 더 올바른 형태의 폐교시설 활용이 이루어질 것이라 판단된다.

      • 江原地域 天主敎史 硏究

        이원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Roman Catholic Church of Korea was established from a faith community formed by Seung-Hun Lee who was baptized in Beijingin 1784. There was severe oppression on the Roman Catholicism in 1801 as it confronted existing social orders. The Roman Catholicism in Gangwon area was introduced by the people that were exiled or moved to avoid the oppression. It was illustrated that there were Catholic communities formed by examples of, Namin(南人) exiles land route, waterway in Wonju and Heongseong area, and the interrogation record of Hwang-sim that was supposed to deliver ‘Hwang Sa-Yeong’s Baekseo’ to Beijing in Chuncheon and Hongcheon area. For the case of Yeongdong(嶺東), it was adopted by the in-migrants like exiles to stay out of the Byeong-in Persecution(丙寅迫害) in Wonju and Heongseong area. The local Catholic community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Catholic introduction to areas where people tried to avoid the oppression as well as to have a safe and whole faithfulness. The study reviewed the lifestyle of Catholic community in Gangwon through the pottery, intermarriage, and change of church assembly location. It also acquired the related relics from the historical record proving that many Catholics lived making pottery, and the existence of pottery klin through an exploratory visit of Hakya area, the remaining Catholic community in Gosung area. In addition, the fact that Catholics were making pottery was backed up by hearing evidences in Hak-ya and San-du,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tholicism and pottery was locally confirmed as many residents still think like “Pottery = Catholicism”. Speaking of the intermarriage between Catholics, it was verified by the statement of Catholics from Yong-so-mak church in Wonju that Catholics were intermarried in order to maintain the faith, and the tradition was still succeeded till now. Regarding the church assembly location, it has been changed from a private house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to a western-style house. It was confirmed by the testimony of Catholics in Gangwon that they initially used a private house as a church assembly. The ‘Daean-ri Gongso(公所)’, a remaining traditional Korean-style Gongso showed that the location of assembly was changed from a private house to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t was also found from the drawing of ‘Daean-ri Gongso’ that they separated seat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process of indigenization. A traditional Korean-style Catholic church was reformed to a western-style after the ‘Korean-French Treaty’. Pung-su-won church in Gangwon was built in the western way based on Yak-hyeon church as a model. It was proven by statements and letters that Pung-su-won and Yong-so-mak church both were made by local Catholic members baking bricks. The interesting point of Catholic community in Gangwon was that there were no such things in Gangneung, especially in Donghae or Samcheok. It is presumed that these areas were very conservative excluding Catholics from their established culture. Catholic missionaries had the privilege of extraterritoriality and were seen as the powerful after the ‘Korean-FrenchTreaty’ where Gyoan(敎案) happened in the process. There were 30 Gyoan incidents in Gangwon from 1888 to 1907. Most of them happened between 1888 and 1900 and there was only one since 1905. From the Gyoan incident in Gangwon, it wa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義兵)’ who persecuted Catholics ironically asked them to connect with men of power. It means that the army at that time considered Catholics not as an entity of Catholicism but as a great power being mindful of the French legat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 army asked Korean priests for a help shows the change of recognition, that is, Korean priests as well as western priests were seen as a link to get to a dominant authority. Another interesting point about the Gyoan incident in Gangwon is related to the priest Bouladoux, which takes 8 out of whole Gyoan incidents. This explains that some of people who entered the church were corrupted to take non-believer’s economic property whereas some did with pure faith. The increased number of Catholics and Catholic churches in Gangwon since 1886 backed up this phenomenon. It was helpful for missionaries to expand the Catholic influence by protecting their believers but it also showed the duality of Gyoan through ones related with the priest Bouladoux. Study examined the local recognition of Catholic missionaries in Gangwon by reviewing their letters. There were 21 missionaries activating during the research period, and the controlling mission was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Paris in France’. It focused on education activities, especially establishing a seminary at Baeron in Gangwon to foster Korean clergymen. The Baeron Seminary was succeeded to the Bueonggol Seminary after the ‘Korean-FrenchTreaty’. The reason that the Bueonggol Seminary became the predecessor of present seminaries is becaus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angwon that is isolated, safe so it can establish schools and preach the Catholicism. It was also shown that Catholics in Gangwon area was enthusiastic about their education from the statements and letters which confirms that there were education activities taught by church or its members as a form of school and a village school house. The Holy Child activities in Gangwon, especially in Wonju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social welfare in the area along with education activities. It is considered meaningful because the social welfare business in Wonju has been continued till now. Missionaries dispatched to Korea had a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e Donghak(東學) and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nd it was written in letters that missionaries corresponded. It is interesting to see that these armies recognized Korean priests as a link to get to a dominant authority as same as the citizen in Gangwon area identified western missionaries as the powerful. 본 논문은 강원지역에 천주교가 전래되는 과정과 교인촌의 성립, 교인촌에서의 생활 그리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교안과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1910년대까지 강원지역의 천주교사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1784년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창설된 조선의 천주교회는 기존의 사회질서와 충돌하였고, 1801년에 이르러서는 천주교에 대한 격심한 탄압이 일어났다. 강원지역은 천주교 탄압을 피해 이주한 사람들과 유배를 받아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천주교가 전래되었는데 원주·횡성지역은 유배 온 남인 계열과 육로·수로를 통해서, 춘천·홍천지역은 ‘黃嗣永帛書’를 북경에 전달하기로 했던 황심의 추국 기록을 통해서 교인촌의 형성과정을 알 수 있다. 영동지역의 경우에는 원주·횡성 지역 천주교 전래의 연장선에서 병인박해를 피해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강원지역 교인촌은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거치면서 더 안전하고 온전한 믿음을 위해서 산간벽지로 숨어든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생활상은 옹기와 통혼, 그리고 집회장소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상당수의 교인이 옹기를 굽고 생활하였다는 기록과 현재까지 남아있는 교인촌인 고성 학야 지역의 현지답사를 통해 옹기가마터를 확인하고 관련 유물을 수습할 수 있었다. 또한 학야와 산두지역에서의 증언채록을 통해 교인들이 옹기를 구웠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직까지도 ‘옹기=천주교’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을 만큼 천주교와 옹기의 깊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인들 간의 통혼에 대해서는 원주 용소막 성당 신자들의 구술을 통해 신자들이 신앙의 유지를 위해 통혼을 하였고 그것이 근래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집회장소의 변화는 私家에서 한옥형 성당 그리고 서구식의 성당으로 변화하는데, 사가를 사용하였음은 강원지역의 교인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사가에서 한옥형 성당으로 변화되는 것은 현재 남아있는 한옥형 공소인 원주의 대안리 공소를 통해서 볼 수 있는데 종교가 토착화되는 과정 속에서 남녀의 좌석을 나누어 놓았음도 대안리 공소의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옥식의 성당은 조불조약 체결 이후에 서구식으로 변화하는데 강원지역의 경우 풍수원 성당이 약현 성당을 모델로 삼아 서구식으로 지었으며, 풍수원과 용소막 성당 모두 교인들이 직접 참여하여 벽돌을 구워 성당을 지었다는 사실을 증언과 서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지역 교인촌에서 특이할 만한 것은 강릉 특히 동해, 삼척 일대에서 전혀 교인촌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강원지역의 강릉, 삼척 지역이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었으므로 교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조불조약의 체결 이후 선교사들은 치외법권적 혜택을 누리고 있었고, 세력자로 인식되었다. 이 과정에서 敎案이 발생하는데 강원지역의 교안은 1888년부터 1907년까지 30건이 있었으며, 1888년부터 1900년까지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1905년 이후에는 1건의 사례만이 보인다. 강원지역 교안에서, 다른 지역의 사례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이한 것은 일부이기는 하지만 교회를 배척하는 의병이 교회의 선교사로 하여금 권력자와 연결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 보이는 것이다. 이는 의병이 선교사를 조선의 천주교회에 속한 일부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뒤의 프랑스공사관을 의식하여 커다란 세력으로 의식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의병들이 한국인 신부에게 도움을 청하고자 한 것은 한국인 신부 역시도 정권과 선을 닿을 수 있는 권력자로 인식한 것으로 이는 서양인 신부 뿐만 아니라 한국인 신부에 대한 인식까지도 전환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강원지역의 교안에서 눈여겨 볼 것은 블라두 신부와 관련된 것으로 전체 교안 중 8건을 차지한다. 이는 천주교에 입교하는 교인이 순수하게 입교하는 경우도 있지만, 선교사의 힘을 이용하여 교인이 비교인에게 경제적인 탈취를 행했음을 생각해 보면 순수하지 못한 의도로 천주교에 입교하는 이들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1886년 이후 강원지역의 천주교과 교인촌이 증가하는 것과도 맞물려 보이는 부분이다. 선교사들이 교인을 보호하는 것이 교세의 확장에 도움이 되는 것이기는 하였지만 블라두 선교사와 관련된 교안을 통해서는 교안의 양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서한을 통해서 이들의 지역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시기에 활동한 선교사는 21명이었으며, 관할 선교회는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였다. 파리외방전교회는 교육활동에 주력하였는데, 특히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해서 세운 신학교가 강원지역 배론에 세워졌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또한 이 배론 신학교가 조불조약 체결 이후 부엉골 신학교로 계승되며 이 부엉골 신학교가 현재 신학교의 전신이 되는 것은 강원지역이 외진 곳이었으므로 학교를 세울 만큼 안전한 곳이었고 전교 활동에 유리한 곳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학교와 서당의 형태로 교인들이나 교회에 의해서 교육이 이루어졌음 역시 증언과 서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강원지역 천주교인들이 교육에 열의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지역 특히 원주지역에서의 성영회의 활동은 교육활동과 더불어 사회복지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원주지역은 현재도 사회복지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어 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에 파견된 선교사들은 동학 및 의병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강원지역에서 활동했던 선교사들의 서한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강원지역에 있었던 사람들도 서양인 선교사나 한국인 신부를 권력자로 인식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의병들이 한국인 신부 역시도 정권과 선을 닿을 수 있는 권력자로 인식한 것은 강원지역의 특이한 사례라 할 수 있다.

      • 지역 미술관의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최승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강원지역 미술관과 미술환경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지역 미술환경을 개선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미술관의 역할과 발전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여러 개의 공사립 미술관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국공립 미술관에 한하여 살펴본다.(....) 연구 방법론적으로는 먼저 미술관의 정의와 현황,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Local)’을 하나의 제도권(George Dickie)이 형성된 상태로 파악하였다. 또한 형성된 지역의 미(美)라는 지역성 속에서 미술을 해석적인(Arthur Danto)인 시각의 입장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지역미술사의 주요한 요소들은 지역제도권의 이해와 그것을 배경으로 하는 해석을 통하여 새롭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강원지역의 미술관은 지역 미술문화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장소가 된다. 지역이라는 거점을 두고 활동하는 미술관의 역할은 ‘지역미술사를 통한 미술학적 학문 형성의 가능성’, ‘학문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지역에 관한 연구와 자료 수집, 기록과 보존의 기능’, ‘지역 예술가 지원’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으며, 이어 강원도 지역 세 개의 국공립 미술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황 분석은 앞서 고찰된 세 가지 역할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t museums and art environment in Kangwon region and explore the role of the art museum and measures to be carried out for their advancement to improve the local art environment.(...)As fo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discussed first the definition, current status and role of art museum.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local’ as a state in which an institution (customary practice) is established (George Dickie). This study approached art from an interpretive point of view (Arthur Danto) in the context of locality, that is, ‘beauty formed in an area’. The important elements of local art history would be newly form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institutionalization (customary practice) and the interpretation based on it. In this sense, art museums in Kangwon area are important places for advancement of local art and culture. The role of art museums based in the local region was considered from three aspect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rt scholarship through local art history’, ‘the function of research, collecting, recording and preserving data on the region that have academic and artistic value’, and ‘support for local artists’. Then, the current status of three public art museums in Kangwon Province was analyzed and the plans for development were suggeste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was based on the three roles discussed above. (...)

      • 江原地域 統一新羅·高麗時代 石塔의 硏究

        김남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Stone pagoda in Korea, since its introduction in Unified Silla, had established a unique style maintaining by Chosun dynasty, and it spread out be constructed outside Capital area. Although Kangwon province has nothing to do with main stream in Korean history being located far from the capital area, Sorak mountain district has been revered as a holy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otal 50 stone pagodas remain in Kangwon province including one that had been taken out to the outside. This study examines these 50 pagodas' historical meaning in their style. Ordinary stone pagodas in Kangwon area in Unified Silla are total 11 with room style, double stylobate, and three-story underpinning. The size is reduced compared to the stone pagodas in 7th and 8th centuries. Given the fact that carvings became diverse, and the number of stone resources is reduced, it was the period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And special type stone pagoda in unified Silla has a octagon stylobate suggesting the Pedestal of the Buddha Statue. Koguryo descent stone pagoda in Kangwon area in Koyro period is one which has octagon, double stylobate, and nine-story underpinning. This is the only Koguryo descent stone pagoda except for Cheongseok pagoda in the South Korea. Okgae(屋蓋) underpinning is Gakhogak type reflecting a craft pagoda. There is one stone brick pagoda in Koryo which has multiple stylobate, and seven-story underpinning. The different materials are used in part emphasizing "Gamsi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first story underpinning. There are 32 stone pagodas in Unified Silla, and the size is reduced to Silla. However, the craft style is still seen. The cases that Ansang is carved increased, and intaglio carvings and phantom statues are also shown. In case that lotus pattern is carved, there are increasing cases that "Gamsil" is carved. And there are also cases that "Gamsil" is carved not in the first story but in the middle story. The cases that extra stones are place between the stylobate and underpinning. Stone constructing method is sometimes shown different even though the same pattern is used sometimes. There are cases that the middle stone underpinning is omitted. And the underpinning of the first story are placed in diverse ways, there are cases that curve is made in "Sangdaegapseokbuyeon". It is "Sasaja stone pagoda" that the upper story pattern is changed from the ordinary stone pagoda. The extra stone is the first story underppining, and lotus is carved in extra stone to beautify the pagoda. The character of Kangwon area is seen in the stone constructing method. There are three Cheong stone pagoda; the stylobate types are both double and single stylobate. Two are carved in the underpinning in Sanskrit, but the other is is not left. While grantic rocks are used in the stylobate, black slates are used in the underpinning. Finally, the characters in style of stone pagodas are examined. First is the uniqueness of stone material constructing method in stone pagodas in Kangwon area. There are cases in the lower stylobate Hadaejeosuk and Hadaejungsuk is made of one stone, and Hadaejungsuk and Hadaegapsuk is made of one stone. There are cases in the underpinning where one stone covers lower story Okgae stone and upper stylobate stone, or lower story stylobate stone and upper Okgae stone is made with one stone. The cases that lower Okgae stone and upper stylobate is made with one stone is frequently shown in the Kangwon area. The lower stylobate constructing method is shown in four. It seems popular as it is used 15 out of 34, attracting special attention. Second, there are pagodas having extra stones. The stone pagodas in Unified Silla seem to be uniform with room type double story except for some exceptions. The size had been reduced becoming more magnificent, but the fundamental style was not changed. However from the 10th century on, the change in style began to be detected. Its change is not a total one, but a partly change is shown. For example, a depending table is prepared in the underpinning with lutus stone, or the every story has a depending stone. These seem to be demonstrating its artifact rather than showing its magnificence. Among stone pagodas in Koryo, the cases that six stone pagodas in Unified Silla not in Baekje has extra stones demonstrates its regional character. 우리나라는 석탑이 건립되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조선시대까지 거의 유지되는 양식이 정립된 후 점차 수도 이외의 지방에도 탑이 건립되기 시작한다. 강원지역은 수도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한국사에서 주목받는 곳은 아니나 불교사에서 보면 설악산권역은 불교의 성지로 추앙받기도 하였다. 이렇듯 불교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강원지역에 남아있는 석탑들 49기와 외부에 반출된 1점을 합하여 총 50기의 석탑을 통해 강원지역 석탑의 양식사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강원지역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석탑은 총 11기이고, 방형이고, 이중기단과 삼층의 탑신을 가졌다. 규모는 7~8C 석탑에 비해 축소되었다. 표면장엄이 다양하게 전개되었고 사용되는 석재의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는 과정에서 방식의 효율성을 찾아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통일신라시대 특수형 석탑은 기단부가 팔각인 점이 특이하고 마치 불상대좌를 연상케 한다. 강원지역 고려시대 고구려계 석탑은 총 1기이고, 팔각이며, 이중기단과 구층의 탑신을 가졌다. 남한에서 청석탑을 제외하면 유일한 고구려계 석탑이다. 옥개받침이 각호각형이며 공예탑의 일면을 보인다. 고려시대 모전석탑은 총 1기이고, 다층기단과 칠층의 탑신을 가졌고, 전탑계 모전석탑이다. 부분별로 사용된 재료가 다르고, 초층탑신 남면에 감실이 강조되었다. 통일신라계 석탑은 총 32기이고, 규모는 통일신라시대보다 더 줄어들었다. 그리고 공예성은 여전히 나타난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보다 안상이 조식된 경우가 증가했고, 음각 명문, 도깨비상 등이 새겨진 경우도 나타났다. 그리고 연화문이 새겨진 경우, 감실이 새겨진 경우도 증가하였는데 감실이 초층 탑신석이 아닌 상대중석에 새겨진 경우도 있다. 기단부와 탑신부에 별석이 삽입된 경우도 나타났고, 석재구성방식도 전시대와 같은 방식을 쓰기도 하였지만 다른 방식도 시도했다. 또 중석받침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고, 초층탑신받침의 방식이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상대갑석부연의 경우 곡선 처리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사사자 석탑은 일반형 석탑에서 상층기단부 양식만이 달라졌다. 초층탑신 받침을 별석으로 하고 있으며, 별석에는 연꽃이 조식되어 있고, 탑을 아름답게 보이려 하였다. 탑신부 석재구성방식에서 강원지역의 특징이 나타난다. 청석탑은 총 3기이고 기단의 양식은 이중기단과 단층기단으로 다르다. 2기는 모두 오층에 탑신석에 범어를 새겼지만 나머지 1기는 탑신이 남아있지 않다. 기단부는 화강암을 이용하고 탑신부에 점판암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강원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적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첫째, 강원지역 석탑 석재구성방식의 특이성이다. 두 가지 방법이 나타나는데, 첫째는 하층기단부에서 하대저석과 하대중석을 하나의 돌로 만들거나, 하대중석과 하대갑석을 하나의 돌로 만드는 경우가 나타난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탑신부에서 나타난다. 탑신부에서도 아래층 옥개석과 윗층 탑신석을 하나의 돌로 만들거나, 아래층 탑신석과 윗층 옥개석을 하나의 돌로 만드는 경우가 나타난다. 다른 지역에서도 탑신석과 옥개석을 하나의 돌로 만드는 경우는 있지만 아래층 옥개석과 윗층 탑신석을 하나의 돌로 만드는 경우는 강원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하층기단부의 석재 구성방식은 총 4기가 나타난다. 탑신부의 석재 구성방식은 총 11기가 나타난다. 그러나 강원지역 고려시대 석탑 총 34기 중 15기인 것으로 보아 그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석재 구성방식에 있어 눈여겨 봐야할 수법으로 보인다. 둘째, 별석을 삽입하는 탑이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은 몇 몇의 특수형 석탑은 있어도 방형중층의 획일성을 갖는다. 이후 시대가 내려오며 규모가 축소되고, 화려하게 발전하여도 근본적인 형태의 변화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고려사회의 새로운 성격이 두드러지기 시작하는 10세기 후반부터 양식상 통일신라시대에 비해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변형 보다는 부분적으로 변화를 보이니 이를테면 석탑의 탑신부에 연화석 등으로 괴임대를 마련하거나 기단갑석 그 자체가 연화대석으로 이루어지고 또는 각 층에 괴임석을 끼는 예가 있다. 이들 괴임대는 그 형태상으로 보아 석탑을 웅장하게 나타내려는 것보다는 공예적인 특수성을 보이고자 한듯하다. 고려시대 석탑 중 단 6기 뿐이긴 하나 백제계 석탑이 아닌 통일신라계 석탑 중 별석이 삽입되는 예는 강원지역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어 지역성이 보인다.

      •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 분석

        안용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pecialization and countermeasures of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climate change and further analyzed the trends of apple industry, compared and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apples,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individual farms. In addition, a survey of farmers for their ability to adapt to apple climate change was condu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response factors of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Although the specialized coefficient of apples in Gangwon Province was still small at 0.32 in 2015, it quadrupled from 0.08 in 2005, confirming that the growth rate was the biggest growth potential among the surveyed crops. If we look at the production volume and price of apples, prices between 16 and 18 are lower than similar production levels between 11 and 15.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demand for apples has shrunk.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apple industry and long-term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rear industry, includ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boost the shrinking demand for appl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products. In 2015, the distribution of farms by apple cultivation was 44.8% under 0.5ha, and 28.8% of 0.5 to 1.0ha, which is 73.6% of the total, which does not reach the level of apple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ple industry, scale should be actively promoted in a policy-based manner so that the benefits of economies of scale and specialization can be gained. The production cost per 10a apples in Gangwon Province is 7 percent lower than in the country. By tree, the cost of amortization of large farming tools is low, as there are relatively many orchards whose conditions are limited to the use of large farming machines. Based on the structure of production costs, the creation of new orchards in Gangwon-do should take into account possible land conditions for large farming machines. The income of each type of liquor by region is 15 percent higher than that of Hong-ro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Hong-ro in Gangwon Provinc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ong-ro and in other regions, it was not larger than the differenc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natural location, especially in Gangwon Province, where the time of portrait is faster than in other regions, so it is relatively disadvantageous in the case of Fuji, which is a universal species. In other words, the superior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main product category varies from year to year and region to region to region. Therefore, the choice of apple varieties should consider climate change in each region and future climate change, and in case of Gangwon, early or heavy varieti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regions considering the current climate conditions. Labor is also important among the tasks that can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 management balance of apples will worsen if the surge in agricultural labor wages is not eased under the recent slow decline in labor input time. Therefore, for the continued growth of the apple industry, various and continuous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labor for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work manual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such as ultra-low water storage and secret food cultivation, and to enhance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for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11 apple growers in Gangwon-do using the Data Environment Analysis (DEA) model,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analysis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scale efficiency, indicating that the caus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pple growers in Gangwon-do in 2018 was caused by pure technical factors. In order to find out how apple farmers in Gangwon Province feel and how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set up a population of 1,374 apple farms in Gangwon Province, which appeared in the 2015 general surve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analyzed sample farms in 397 in proportion to 18 cities and count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n important variable in feeling climate change is the number of farmers' group membership, which apple farmers perceive through information between their fellow groups rather than the Internet. Since the average age of apple owners in Gangwon Province is 63,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related to apple crops through offline rather than through the Internet and other information media. Second, major variables affecting climate change response include age and agricultural experience. The younger you are, the more you have agricultural experience, the more willing you ar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policies more efficiently to distribute mean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o young farmers with agricultural experience. Third, there is a growing trend of heterogeneity among farmers, such as age, size of management, and succ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se apple growers. Four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management is showing a tendency of higher education. As the proportion of returnees and successors increases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apple managers will gradually shift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policies based on IT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 through internet or smartphone apps. Fifth, as the scale of apple farms accelerates, the number of succession farmers is gradually increasing. Long-term policy establishment is important for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respon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long-term polic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o farmers who have secured successors.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특화 가능성 및 대응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기후변화와 사과농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아가서 사과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사과농가의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하고 개별농가의 사례도 조사하였다. 또한 사과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위한 농업인 설문 조사로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강원지역 사과의 2015년 특화계수는 0.32로 아직 작은 편이지만 2005년 0.08에서 4배 증가하여 조사 작목 중 증가율이 가장 큰 성장가능 작목임을 확인하였다. 사과의 생산량과 가격을 살펴보면, `16∼`18년 가격은 유사한 생산량 수준이었던 `11∼`15년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있다. 즉 사과 수요가 위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국내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위축된 사과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대국민 홍보 및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가공품의 개발 등 전방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사과 재배규모별 농가분포는 2015년의 경우 0.5ha 미만이 44.8%이며, 0.5∼1.0ha가 28.8%로 전체의 73.6%로 사과 전문경영 수준의 규모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사과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와 전문화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정책적으로 규모화를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강원지역의 사과 10a당 생산비는 전국에 비해 7% 적게 소요되고 있다. 비목별로는 대농기구상각비가 적게 소요되고 있는데 이는 과원의 여건이 대형농기계의 이용에 한계가 있는 과원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생산비의 구조로 볼 때 강원의 신규 과원 조성은 대형농기계의 이용이 가능한 경지조건의 고려가 있어야 한다. 지역별 주품종별 소득은 경북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15% 높으나, 강원에서는 홍로가 후지에 비해 소득이 크게 높고 다른 지역에서는 후지가 홍로에 비해 높기는 하나 경북에서의 차이보다는 크지 않았다. 이는 자연입지에 의한 차이로 특히 강원의 경우 초상시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만생종인 후지의 경우 강원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즉 주품종별 경영성과의 우열은 해에 따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강원지역 사과 품종의 선택은 현재의 기후여건을 고려할 때 조생종 혹은 중생종이 타 지역보다 유리하다. 경영성과와 관련이 있는 요인 중에 노동력도 중요한데, 최근의 노동투입시간의 완만한 감소 하에서 농업노동임금의 급등추세가 완화되지 않는다면 사과의 경영수지는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사과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노동력 절감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초저수고 밀식재배 등 작업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고용노동력의 작업능률을 제고하기 위한 표준화된 작업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다. 강원도 내 사과 재배 11농가의 경영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강원지역 사과 재배농가들의 생산효율성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수 기술적 효율성의 평균값이 규모 효율성의 평균값 보다 낮게 나타나, 2018년 강원도 사과 재배농가들의 경영 비효율의 원인은 순수기술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강원지역 사과농가의 체감 인식과 대응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내 사과농가 1,374호를 모집단을 설정하고, 18개 시군별로 비례 배분하여 397호의 표본농가를 설문 조사 분석한 결과 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체감에 중요한 요인은 농업인 단체 가입수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강원지역 사과 농가들이 인터넷보다는 동료 집단 간의 정보를 통해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강원지역 사과 경영주에게는 인터넷 등 정보매체보다는 오프라인 등을 통한 사과작목과 관련된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연령, 농업경력 등이 분석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농업경력이 많을수록 기후변화에 대응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농업경력을 갖춘 젊은 농업인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응수단을 보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정책실행이 가능하다. 셋째, 경영주 특성인 연령, 경영규모, 승계농 여부 등 농가별로 이질화가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과 재배농가의 이질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영주 학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귀농 및 승계농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사과 경영주의 고학력 비중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기후변화 정보제공 등 IT 기반 정책정보 제공도 가능하다. 다섯째, 사과 농가의 규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승계농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기후변화 체감 및 대응은 장기적 정책수립이 중요하다. 따라서 승계농을 확보한 농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장기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강원지역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장서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power of the coastal area in KangWon-Province, and proposes an effective development model of in KangWon-Province through continual tourist development. KangWon-Province has many tourist attractions and they are mainly located in 5 cities and 5 counties(gun) which have coastal district. They have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and national treasures. So KangWon-Province has relative strength in developing tourist attractions. The existence itself is not important. When they are conneted to each other, they can be a strong point.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ourism' can be achieved by cultivating for both the present and the next generation. In past centralized and large-scale facilities were common. It needed much capital, and to cover the cost the number of visitors were very important. The objet of development was non-natural and non-cultural. Nowadays development of much smaller scale is initiated. Smaller fund, regionalism, natural affinity, local culturalism(tradition) is its characteristics. This thesis, first of all, reviewed the concept of 'development to be continued', the necessity of tourist industry development in KangWon-Province.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aim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 theoretical review of regional development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The third chapter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 development and recent changes in the national and local policies for tourist development. The fourth chapter is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ourist development in KangWon-Province and the district of YoungDong and policy proposal'. In conclusion the expect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regional tourist development programs are carefully summarized.

      • 조선후기 강원도지역의 貢納制 개혁과 大同·詳定法 시행

        전상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조선후기 공납제 개혁은 공납물의 전결세화를 법적으로 公認하는 과정이었다. 이로 인해 전결수는 공납제 개혁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중앙정부는 各道의 전결수에 부합한 운영방식을 설계해야만 했던 것이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의도는 大同法, 詳定法, 收米法 시행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조선후기 공납제 개혁은 다양한 흐름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을 본 논문은 강원도지역에 국한하여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17세기 전반 강원도 대동법의 시행과 운영방식을 검토하였다. 16세기 공납제 운영상의 모순이 확대되면서, 공납제 개혁논의가 전개되었다. 이는 강원도 대동법 시행으로 이어졌다. 강원도 대동법은 삼도대동법이 폐지되는 과정에서도 유일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대동법 시행으로 인한 공납물 부담의 경감, 대동법 반대세력의 미미함, 한강 수운을 이용한 대동미 운반의 용이성을 고려한 결과였다. 그러나 강원도 대동법은 공납제 개혁을 위한 전결수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는 공물가 책정방식, 호남청의 공물가 지원, 지방차원의 광범위한 잡역 징수 등 강원도 대동법 운영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2장에서는 강원도 대동법 재정비 시도가 상정법 시행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강원도 대동법 운영방식은 결당부과액 16두, 경대동 방식으로 요약된다. 이를 기축양전 시행을 통해 삼남지역 방식으로 재정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결수 확보가 충분하지 못하면서, 강원도 대동법의 운영방식을 일부 개정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이후 관찰사가 기유상정을 시행하여 잡역을 상정함으로써, 강원도 대동법의 운영방식을 일부 보완하였다. 기축양전‧기유상정 시행 이후 강원도지역의 대동‧상정의 결당부과액이 군현별로 차이가 있었다. 중앙정부는 인삼 분정방식 개정을 통해 군현별 상정의 결당부과액 차이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영서미량읍의 양전 시행이 좌절되면서, 보삼고를 설립하여 속전 전세를 활용하는 차선책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기유상정 시행 이후 상정가 이외 잡역 징수가 확대되었다. 이는 기유상정의 한계와 인삼가격 상승 등 지출규모의 확대와 관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은 기유상정을 개정하는 ‘甲戌改詳定’이 시행으로 이어졌다. 갑술개상정은 󰡔邑摠節目󰡕과 󰡔詳定事目󰡕이라는 節目을 통해 운영방식을 법제화하였다. 이로 인해 ‘甲戌改詳定’은 ‘詳定法’으로 지칭되었다. 3장에서는 상정법 운영방식을 살펴보았다. 중앙정부는 󰡔邑摠節目󰡕과 󰡔詳定事目󰡕을 통해 세입과 지출에 대한 규정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중앙정부는 재정지원과 대동‧상정의 과세대상 확대를 통해 지방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정 부족이 만성화되면서, 각종 후속대책이 이어졌다. 중앙정부는 인삼의 경작공 확대시행을 통해 인삼 조달 방식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지방은 각종 식리전, 대동‧상정 이외 추가징수, 민고 운영 등 자구책을 시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