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옥외 광고간판의 개선방안 연구 : 중국 길림성 연길시를 중심으로

        박성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20세기 1970년대 말에 시작한 개혁개방에 힘입어 급속도로 빠른 경제 산업화를 이룩했고, 필연적인 인구의 도시 집중현상이 나타났다. 길림성 연길시도 늘어나는 유입 인구의 수용을 위해 양적, 질적 변화를 요구하였고, 그에 따라 급속한 도시화가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경제, 사회적 국제 질서의 편입에 따른 경제적 풍요와 대중 소비사회로의 진입은, 건축적 표현에 있어서도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연길시 옥외 간판의 긍정적인 측면 이외에, 간판의 제작에 있어서 지나친 유행성과 맹목적 형태의 남용, 역사적 표현요소의 직설적 사용, 문자사용의 혼용 등으로 인하여, 도시 경관의 무질서를 초래하는 부정적 측면을 야기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공동적 기반의 전제 없이 각기 특성만을 주장함으로써 전체로서의 개성을 창출하지 못하였고, 결국 개개 건물의 고유성마저 흐려짐으로써 획일적인 건축물을 양산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연길시의 고밀도 집적과 맞물려 열악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한 원인이기도 한다. 현대에 이르러 연길시의 급격한 팽창과 발달은 한편으로 환경오염과 시각공해 등의 많은 문제점들을 노출시키고 있다. 우리가 피부로 느끼고 있는 옥외광고물은 간판의 홍수라고 할 만큼 기능성이 최우선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그동안 옥외 광고간판은 연길시정부의 규제와 정리정돈조례에 의해 관리되어오는 과정에서 제도개선에 대한 시도가 미진하였으며, 이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하면 체계화된 연구사례가 희박하여 옥외광고간판의 난립문제의 대처에 크게 미흡하였다. 그 중에서도 시각적 환경요인은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도시주민들은 그들의 창조적 활동을 위해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쾌적함과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도시 시각적 환경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논문에서는 오늘날 연길시 도시환경의 시각공해로 그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옥외 광고간판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길림성 연길시 옥외간판의 공해성은 단일 건물에 여러 개의 간판을 밀집하여 부착하였거나, 도시 미관이나 심미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대형화한 점, 도시환경 구조에 대한 기초적 개념을 갖추지 못한 채 환경의 질과 도시 이미지를 고려하지 못한 점, 또한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색채 사용으로 말미암아 필연적으로 초래할 시각적 공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점 등에 기인한 결과이다. 더욱 연길시 정부와 유관 분야에서 여러 가지 옥외 광고간판에 대한 규제를 벌이고는 있으나, 제반 법규의 미흡함으로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상황이다. 오늘날 길림성 연길시 옥외 광고간판 문화의 혼탁한 난립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대응하는 대안제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길시 주요상가와 중심거리의 옥외 광고간판 자체에 존재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 기업 경영인의 인식 변화와 관련 법 제도에 대한 공동의 토론과 정비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의 입면을 보호하고 건축물 고유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입면 대비 간판 광고물의 총량적 면적을 제한하는 등 옥외 광고간판에 대한 규제를 다시 내오고 실천해야 한다. 특히 디자이너와 사업가들의 예술성을 살린 고품격의 간판 제작을 위한 연구가 선행해야 업주와 제작자에 대한 광범위한 의무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옥외 광고물이 간판 본래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광고주, 제작업자 뿐만 아니라 관련 유관 행정 기관 스스로가, 간판이 도시 미관을 창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재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그 외 중국 조선족지역의 특성에 맞는 문화와 전통, 문자의 사용과 색채 사용 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복합적인 문제를 검토 연구하여 연길시 옥외 광고간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연길시의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데 효과적인 기여를 기대한다.

      • 간판의 기능과 디자인 요소가 고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광역시 간판개선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김현옥 한밭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가 발달하고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상인들은 판매증진을 위한 1차 홍보 수단으로 ‘간판’을 적극 활용한다. 이렇듯 간판이 도시에서 매장을 운영하는 상인들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되면서 최근 옥외광고 시장도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설치된 간판은 도시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도시경관을 해치고 있다. 이러한 간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각 지역별로 간판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다. 그 주된 이유는 간판제작 시 해당 점포의 위치표시를 시각적 흡인효과에만 의존하고, 획일화된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건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간판은 도시의 주거, 자연 및 상업 환경 등 사람들이 계속 접하는 거의 모든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간판은 고객들에게 교통정보 및 생활안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자인적, 기능적 요소를 적용하여 고객과 공간의 상호적인 연결효과를 제고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도시환경 개선에 기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판의 디자인적 요소 및 기능적 요소가 고객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152명의 전문가(간판 또는 디자인 종사자) 및 비전문가(고객,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간판의 기능은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제공 기능과 기업 이미지측면 기능이 고객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간판디자인 요소인 색채요소는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사색 간판이 고객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간판디자인 요소인 간판디자인 구성요소는 고객선호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체타입은 고객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지방자치단체 간판정비사업 디자인 제안 연구 : 화천군 중앙로를 중심으로

        박견식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Signboard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business it represents, thus, is an important medium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in urban life. Signboards are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ming urban landscape. Signboards designed in the past showed a tendency to cover advertisements all over the building by using large signboards or applying new signboard technologies, being anxious to advertise businesses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scape or building structure. After the 1990s, along with the signboard renovation project, the awareness towards signboard designs increased. Moreover, as streetscape sta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city image and as designs began incorporating building designs and landscapes, the importance of signboard design is increasing as an element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business the signboard signifies and representing the image of the building where the signboard is hung. Nevertheless, the signboard renovation project, which has been led by the government so far, has produced negative results by creating uniform designs. This result stemmed from the failure to consider the poor urban environmen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treetscap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also from the failure to collect sufficient opinions from resident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construct an image of a city by maintaining consistency through continuity of signboard designs relying on a design guideline when renovating signboards, especial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ere business change is frequent. This Article suggested a signboard design for Jungang-ro, the symbolic road at Hwacheon-gun, on the basis of the "beautiful signboard installment project" implemented from March 2011 to September 2011. In order to improve the street environment by suggesting a signboard design considering the street scenery, and to form Hwacheon-gun’s representative street scene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below. First, documents were studied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concept of signboards, design elements for signboards, urban environment of signboard design, and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s an element of landscape. Secon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Research Object, 2. Research Tool, 3. Research Procedure,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Hwacheon-gun, the city subject to this research, and the street scenery and current condition of signboards of Jungang-ro of Hwacheon-gun were examined. As research tools, surveys were used to collect opinions from business owners on Jungang-ro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per industry on two suggested designs. In the research procedure, after analyzing domestic signboard renovation projects and current conditions of signboards and streetscape of Jungang-ro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current trend of signboard designs, the designs incorpora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the detailed designs per sector. The signboard design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once again and the identity elements were applied to signboards per sector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and examining tools, hence, this research induced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signboards. In the meanwhile, to differentiate each industry, unique symbols and calligraphies were developed and while maintaining uniformity, the identity of each industry was emphasized through developing designs with unique characters by applying the opinions of business-owners. Through these methods, this Article attempted to establish future direction of signboard designs at Jungang-ro. Third, based on the signboard design proposal selected in the end, this research suggested a signboard design applying the opinion of business-own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cenery per sector and per industry. Moreover, by suggesting a simulation of cases applying the signboard design, a visual forecast was provided, and based on that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basic proposal for a signboard design guideline. As a result,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a design guideline based on urban landscape planning must be established before renovating signboards, a close relationship with construction firms is required, and a systematic effort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leading the signboard busines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seeks to become a useful material in suggesting signboard designs incorporating urban landscape for signboard renovation projects. 간판에 적혀있는 정보를 보면 이곳에서 무엇을 하는지, 무엇을 파는지를 알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판은 이렇듯 사람들에게 도시 삶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정보매체라 할 수 있다. 또한 간판은 도시경관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과거의 간판디자인은 건물의 형태와 가로경관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업소를 표현하기에 급급하거나 크고, 새로운 간판기술을 적용하다 보니 건물에 너무 많은 광고물이 뒤덮여 있는 경향을 보였다. 90년대 이후 간판정비사업 실행과 더불어 간판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가로경관이 도시이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신도시들의 건물 신축 계획에서부터 경관을 고려한 디자인과 더불어 간판디자인도 건축물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상업공간의 정보를 알리는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정부주도형으로 진행되어진 많은 간판정비사업은 간판디자인이 획일적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만들었다. 이는 도시의 환경이 좋지 않거나 건물의 재정비가 필요한 지방 중소도시의 가로경관과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주민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 결과일 것이다. 특히 업종 변환이 빈번한 중소도시의 경우 간판의 개보수 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의한 간판디자인의 연속성을 통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여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 화천군 중앙로의 아름다운 간판가꾸기 사업을 위하여 진행하였던 간판디자인 기획연구를 토대로 화천군의 상징도로인 중앙로 간판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가로경관을 고려한 간판디자인 제안으로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하여 화천군의 대표 가로경관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간판의 개념 및 간판디자인 요소와 간판디자인의 도시환경․경관 요소로서의 기능과 특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을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은 1. 연구대상, 2. 검사도구, 3. 연구절차의 순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인 화천군의 현황과 화천군 중앙로의 가로경관과 간판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로는 중앙로 업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2차 간판디자인 안을 제시하였고 업소 별 간판디자인 안 선정조사를 1대1 면접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절차는 국내 간판정비사업 사례조사와 분석과 화천군 중앙로 경관현황과 간판현황 분석을 통하여 간판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간판디자인을 대상지 구간별 세부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연구방법과 검사도구의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시 한 번 간판디자인의 수정․보완을 거쳐 구간별 가로간판의 아이덴티티요소 적용, 간판 세로 폭의 표준화를 유도하였다. 한편, 각 업소별 차별화는 독자적인 심볼과 캘리그라피를 개발하고 업종과 업주의 의견을 반영한 개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간판디자인의 통일성을 유지하되 업소 별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화천군 중앙로 간판디자인 방향 설정을 통하여 간판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간판디자인 안을 중심으로 지역적 경관특성과 업소의 의견을 적용한 간판디자인을 각 구간 별, 업소 별로 디자인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간판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를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여, 시각적으로 예측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간판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 안을 제안하였다. 제안 결과, 간판디자인 개발에 앞서 도시경관계획을 기초로 한 디자인가이드라인이 정립되어야 하고 대상자와 디자인개발, 시공업체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며, 간판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나 정부의 체계적인 제도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간판정비사업 시 도시경관을 고려한 간판디자인 제안을 위한 유용한 표본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간판>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

        권정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증진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로서,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4세반 22(남9명, 여1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활동에 관한 연구를 2018년 09월∼2020년 06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활동결과물, 학부모 면담과 가정과 연계, 교사 저널 등을 통하여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관한 탐구를 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대해 탐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 사고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간판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탐색하고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의 유창성이 증진 되었다. 유아들은 많은 아이디어 속에서 정보들을 선택하여 표상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간판을 구체화-상세화 시키며 세련되게 하는 정교성이 길러져 창의적 사고가 증진 되었다. 둘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태도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이 직접 생활 주변에 있는 간판의 모습을 관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민감성이 증진되었다.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 문제에 대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해 나가며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심이 증진되는 창의적 태도가 증진 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판>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사고와 창의적 태도가 신장하였으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간판디자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연구 : 강원도 간판정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많은 공공기관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국제화와 지방화라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도시 환경의 개발을 추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판 정비 사업’은 거리의 이미지 개선과 함께 불법 간판의 수적 감소를 유도하며, 사람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디자인과 사후관리 등 적지 않은 문제점도 노출시키고 있다. 간판 정비의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대안이 잘 나타나 있지 못하고. 주로 행정적 역할의 중요성과 간판 정비의 프로세스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추상적 대안 마련에만 급급하여 실효성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의 경우도 간판 정비 사업을 시행하였으나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하여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지의 간판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추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간판과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간판의 개념과 기능, 종류,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커뮤니케이션 요소 등을 알아보았다. 둘째, 춘천시 명동 닭갈비골목, 원주시 중앙로 문화의 거리, 강릉시 경포 해안상가, 단오상가 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간판 디자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인 로고타입(Logotype),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레이아웃(Layout), 색채(Color)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 5명을 선정하여 시각적 표현의 분석틀에 의하여 내용 분석을 의뢰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적 특성과 업종의 특성이 간판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과 간판디자인에서 주목성과 표기 요소간의 조합이 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정량적인 요소에만 집중하여 획일적인 결과만을 양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조건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로고타입(Logotype),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레이아웃(Layout), 색채(Color) 등 조화를 가질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간판정비사업‘의 디자인 개선을 위해 유용한 표본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A lot of public institutions have given unflagging attention to developing for urban environment with interna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global era. "The Sign Organizing Business", which is in force a lot in these flows, got a good response from the people with improving the image of the street and inducing numerical reduction of illegal signs. But, there is exposed to quite a few problems about monolithic design and following-up controls. The research has progressed to improve signs maintenance, examining relation materials, there is no specific alternative for design aspects. Usually, the mainly research is composed of an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roles and process model about maintenance of signs, but they are busy providing abstract alternatives which are revealing the limits of effectiveness of specific measures. Chuncheon City, Wonju City, Gangneung City, which is the most typical city of GangWon-do, enforce the sign organize business to execute. But this is also determined can not get a actual effect as a standardized design. So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about Sign Design and introduce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For the study of this paper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I found a signs of the concepts and features, type, visual factors of design, factors of communication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Second, I selected an object of study Chuncheon-City Myeong-dong Dakgalbi alley, Wonju-City Joongangro Street of Cultures, Gangreung-City Gyeongpho coast downtown, Gangreung-Dano downtown and analysis Logotype, Illustration, Layout, Color which is a designs factors of visual communication. Third, I elected 5 experts and commissioned analysis with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ramework.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us that features of local and type of business had affected Sign Design and it showed us that harmony with attention and typographic factors in sign design for a improvement. Also, I can confirm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harmony with Logotype, Illustration, Layout, and Color. In other words, I analyzed our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various conditions to overcome uniform features on account of focusing standardized form of design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ce to become a useful sample for designed to improve the "Sign Organizing Business".

      • 小商工業의 看板整備가 賣出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硏究

        이완범 韓國航空大學校 航空·經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가 흔히 보는 간판과 매출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지방자치단체의 간판정비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에게 쾌적한 도시공간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특히 소상공인들의 매출증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간판정비와 소상공인들의 매출저하에 따른 간판정비 반대로 인하여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에서 간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소상공인들은 간판을 크게, 개수를 많이, 현란한 색을 사용하여 좋은 위치에 부착하여야 매출증대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도 고양시 간판정비 대상지역의 소상공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간판 형태와 디자인, 부착위치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1> 간판의 형태는 옥외간판 매출 증대 기대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간판의 디자인은 옥외간판 매출 증대 기대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간판의 부착위치는 옥외간판 매출 증대 기대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와 같이 3개의 가설을 설정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 도구로써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고, 통계분석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검정,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간판 제작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간판 부착위치(38.3%), 간판의 디자인(29.5%), 간판과 주변과의 조화(16.1%), 간판의 크기(10.7%) 로 나타났다. 또한 간판의 개수를 묻는 내용에 1업소 2간판(47%), 1업소1간판(37.6%), 많을수록 좋다(6.7%)로 나타났으며, 간판의 주요 요소로는 디자인(66.4%), 크기(18.8%), 업소명(6%)으로 나타났고, 업소를 방문하는 이유로는 업소의 명성(51.7%), 업소의 위치(17.4%), 간판을 보고난 후(12.8%)로 나타났으며, 간판을 보고 오는 유형으로는 처음 찾는 고객(39.6%), 지나가던 고객(36.2%), 단골고객(14.1%)으로 검증이 되어서, 간판이 소상공인들의 매출증대에 상당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검증을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간판정비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쾌적하고 깨끗한 도시의 거리를 조성, 시민들과 그 도시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제공하고, 향후에 점포를 운영할 잠재적인 소상공인들과 현재 업소를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은 업소의 간판을 부착하는데 본 논문을 참고한다면, 간판으로 인한 점포의 매출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rearrange store signs through finding 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signboards and revenues of small business, to provide comfortable city environment to the citizens and especially to help small business owners to increase their revenues. In the seeking of a proper understanding about signboard, signboard re-arrangement planning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delayed due to the opposition of small business owners concerning about their sales reduction. Generally small business owners have their own ideal types of signboards which are bigger in size, more in quantity, more eye-catching in colors for increasing sales. In order to verify above assumptions, a questionnaire research was executed for 150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range of planning for rearranging advertizing signboard outside done by Goyang city. The types, designs of signboards and the location and position to install signboards were the objects to be examined. <hypothesis1> The shape of outside advertising signs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sales increase. <hypothesis2>The design of outside advertising signs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sales increase. <hypothesis3>The location and position to install advertising signs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sales increase. To verify 3 hypothesis, the followings are examples of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SPSS12.0 for Window, frequenc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ma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analysis, etc.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tables below. Consequently, signboard has considerable effects on sales increase. On the basis of verified results, local governments need to plan store sign rearrangement more efficiently and provide more pleasant streets and city environment to the citizens and tourists. This dissertation would help the current existing owners and new owners who are willing to run a small business in Goyang city to install signboards which may increase sales .

      • 간판디자인이 도시미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부산진구, 중구 중심으로

        전은숙 동명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변하고 있는 현대 도시사회에 있어서 간판은 도시소통의 의사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판디자인이 도시미관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객관적 이미지 조사를 통해 도시계획에 있어서 간판디자인의 지침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 인구 밀집 지역인 서면과 남포동을 중심으로 간판디자인이 도시미관형성에 미치는 현상에 대해 사례조사 하였다. 조사방법은, 층별 간판디자인의 디자인적 요소들을 조사하였으며, 이용자 120명에 대한 이미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지역의 간판 이미지는 문자크기와 간판의 크기가 조화롭지 않았으며, 원색계열의 색상사용으로 인하여 혼잡하며 복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미관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과 함께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간판제작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다음의 3가지로 요약해서 제안하였다. 1. 기존 간판형태의 틀에서 벗어나 입체형 재질의 문자를 사용. 2. 건물형태와 어울리는 조형적 요소를 가미한 일관성 있는 간판제작. 3. 도시미관적 요소와 주변의 지역적 이미지를 통일. 상기의 논문은 도시미관에 있어서 간판디자인의 일반적인 요소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와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디자인방법론을 제시한 내용이며, 앞으로의 연구는 상기 문제점 및 제안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간판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 것을 과제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