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판과 건물 입면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간판 규제 도입 이후의 양상을 중심으로

        김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간판은 사람들이 도시를 인식하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 도시 속의 수많은 정보들 중 본인의 것이 더 잘 보이도록 하는 간판들의 공통적인 목표로 인해 무분별한 난립 문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간판을 통해 도시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바탕이 된다. 특히 상업가로의 구성 요소 중 건물의 입면과 간판의 역할을 케빈 린치와 로버트 벤추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입면은 건물의 indentity로써 주로 인상메시지를 전달하며, 또한 도로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structure로써 위치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반면 간판은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meaning으로써 문장메시지를 전달하며 보행자와 소통한다. 이들은 각자 역할을 하며 보행자가 목적지까지 way-finding하는 과정을 돕는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은 특정 상황에 따라 혼재되거나 대체되기도 하는데, 특히 간판 규제로 인해 간판의 물리적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건물의 입면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이 변화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에 관한 분석은, 현 간판 규제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절히 기능하고 있는지 그 타당성을 고찰하는 바탕이 된다. 본 연구는 이를 목표로 하여 강남역 인근 상업가로 중 두 도로를 대상으로 총 55개의 건물의 간판과 입면 실태를 조사한다. 대상지의 간판과 입면의 관계성은 간판 규제에 대한 대응 방식의 결과로 그 양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인접도로의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로변에 인접한 건물의 경우 도로 환경 특성상 간판의 가시성 및 광고 기능이 크게 중요시 되지 않아, 작은 크기의 평범한 간판으로도 충분히 기능을 하며 입면이 간판의 역할을 보충해줘야 할 필요성이 적으며, 이에 따라 입면이 독자적으로 디자인되는 경우가 드물게 관찰되었고, 골목에 인접한 건물의 경우 간판 규제로 인해 간판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는 등 가시성 및 광고성 등의 기능을 거의 상실하게 되어 입면의 디자인이 중요해지며 그 비중이 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간판 규제의 타당성을 고찰한 결과, 대로변의 경우 규제의 적용이 간판의 기능을 저해하기보다는 오히려 편의성을 높여 입면의 변형 없이 정돈된 미관을 형성하였고, 골목의 경우 또한 난립 문제를 해결하고 미관이 개선되었다는 점에서 간판 규제는 각 환경에서 모두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Signboards play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in the process of people recognizing cities and finding destinations. Understanding how to recognize a city through a signboard is the basis for solving the problem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indiscriminate confusion arises due to the goal of signboards that make one's own among the numerous information in the city more visible.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building's elevation and signboar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mmercial street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e theories of Kevin Lynch and Robert Venturi. Elevation mainly delivers the ephysiognomic message as an identity of a building, and also delivers the locational message as a structure that forms a relationship with the road. On the other hand, signboards communicate with pedestrians by delivering the heraldic messages as meaning that contains information and meaning. They play their respective roles and help pedestrians in the process of way-finding to their destination. However, their roles may be mixed or replaced depending on certain situations, especially as the physical shape of the signboard changes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signboard, the building's elevation is also directly aff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board and the elevation change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boards and elevation is the basis for examining the validity of whether the current sign regulations are functioning appropriately to solve urban problems. With the aim of this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boards and elevation status of a total of 55 buildings on two of the commercial streets near Gangnam S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board and the elevation of the target site appears as a result of the method of responding to sign regulations, especial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djacent road. In the case of buildings adjacent to the boulevard, the visibility and advertising functions of the signboard are not very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 road environment, so there is little need for the elevation to supplement the role of the signboard. In the case of buildings adjacent to alleys, the size of signboards has become very small due to regulations on signboards, and functions such as visibility and advertising have almost been lost, so the design of the elevation has become important and its proportion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sign regulations based on these studies, it was determined that sign regulations function appropriately in each environment in that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both boulevards and alleys solved the problem of signboards and improved aesthetics.

      • 간판의 시각적 요소가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의 상가 임대빌딩의 간판을 중심으로

        김미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4 국내석사

        RANK : 247807

        Outdoor Signboards act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the sensation of human feeling to urban environment. I investigated the method of improvement revalu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signboards of urban streets which was giving visual disturbances and disorders.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basis, characteristics, faculties and rales of signboards and, with relating the them analyzed the visual elements of the signboards which stand closley together at the main streets in Pusan. I considered the material of signboard, sticking situation the color of characters, the color of background, the contrast and harmony of the colors of characters and backgrounds, the numbes of used colors and the type of character which was used to display the store name or trade mark as the visual elements. Considering the positional condition of Pusan which acts as an arriving point or a gate of Korea in case that many foreign events are held in Korea, the method of the improvement of the visual elements mentioned above must be treated with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 faculties and rolls of the signboard. On the basis of visual principles and urban spectacles, we must design the signboard as small and neat as possible and select the colors of characters to form great contrast to the colors of background of the signboard with considering the harmony with other signboards of surrounding stores.

      • <간판>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

        권정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이 어떻게 증진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로서,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4세반 22(남9명, 여1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활동에 관한 연구를 2018년 09월∼2020년 06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활동결과물, 학부모 면담과 가정과 연계, 교사 저널 등을 통하여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관한 탐구를 하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대해 탐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성 사고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은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간판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탐색하고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의 유창성이 증진 되었다. 유아들은 많은 아이디어 속에서 정보들을 선택하여 표상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간판을 구체화-상세화 시키며 세련되게 하는 정교성이 길러져 창의적 사고가 증진 되었다. 둘째, <간판>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태도가 신장되었다. 유아들이 직접 생활 주변에 있는 간판의 모습을 관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민감성이 증진되었다.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 문제에 대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해결해 나가며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심이 증진되는 창의적 태도가 증진 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판>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사고와 창의적 태도가 신장하였으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도시간판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 지역 중심으로

        박신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아름다운 거리 환경은 건물의 형태, 간판, 가로수 형태와 배치, 환경 조형물, 거리의 차량, 공공 사인물 등 거리를 만들고 있는 이 모든 것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가능하다. 이 중 간판은 정보전달 매체로서의 기능은 물론 시각적으로는 도시미관이라는 차원에서 도시전체의 이미지 구성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공통적인 기반 없이 특이성만을 주장함으로서 전체로서의 개성을 연출하지 못하고, 크기 색채, 형태에서 극단화 경향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은 건물의 고유성 마저도 흐려지게 되었고 획일적인 간판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의 고밀도화와 맞물려 무질서한 간판에 의해 혼란스러운 도시환경으로 변모 되어가고 경제 활동의 커뮤니케이션매체로서 그 일차적인 기능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한편으로는 간판이 시각공해의 요인으로 되 두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 원인으로는 도시경관 구성의 기본적 개념을 갖추지 못한 채, 이윤만을 추구하는 상업종사자들이 시각적 생활환경의 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지금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또한 옥외광고물을 규제하는 법규가 지키기도 힘들고, 단속하기도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 오늘날 우리의 간판문화를 이 상황에 이르게 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많은 사업자들의 의식변화, 그리고 관계 법규에 대한 재검토 및 개정, 간판제작자와 디자이너들의 예술성 있고 수준 높은 간판 제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등이 반영됨으로 점차 바뀌어 갈수 있을 것이며, 쾌적한 도시 경관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Beautiful street may exist when building formation, signboards, tree formation and location, environmental sculptures, cars on the street, public signs, etc are in harmony. Among those factors, signboard has a function of informing people and has visual influence on the beauty of a city. Recently many signboards demonstrate their characteristics without common principle so they do not demonstrate their character properly. Many of them show the trend of extremism with their size, color and formation so they obstruct the originality of a building, and they produce regiment signboards. This trend, with high density of a city, produce a disorganized urban environment with disorganized signboards. Signboards only have a function of commercial activity communication mean, which produces enormous visual pollution in a city. This outcome is observed because merchants, whose only interest is making more profit, have produced signboards without realizing any concept of urban scenery structure and the importance of visual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Also it is difficult to obey the rules for external advertising signs, and it is also difficult to regulate them. This has led to today's signboard culture. This problem may be solved through the change of sense of awareness, review of relevant regulations and continuous designers' effort for making better signboards with artistry. This will lead to a better visual urban environment.

      • 도시간판디자인의 현황과 그 환경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이선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성장하고 있는 도시 환경속에서의 간판은 인류의 문화와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재료와 전달 기술등에 많은 발전이 있어 왔지만 상호 의사전달의 매개체라는 기본개념은 변함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옥외광고는 정보전달매체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그 시각적 표현은 도시미관을 형성하는 한 요소가 된다. 효율성 위주로 건설된 도시는 삭막한 도시환경과 환경오염 속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소외를 부추겨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낳고 있기 때문에 문화를 향유하고 가꾸어 나갈 환경조성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다. 따라서 도시의 발전 측면에서 '개발한다'는 의미에서 도시를 '만든다, 가꾼다'는 의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대건축물은 구조물의 외관과 실내, 재질 등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으나 상가지역에서의 건축물을 둘러싸고 있는 외장간판의 무분별한 설치는 시각공해의 문제로 등장하였다. 단일건물에 개별간판이 군집 부착되고 있고, 간판의 부착 위치가 도시민의 시각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이며, 간판제조업소의 비전문화와 영세성이 실외간판 개선의 장애요인으로 등장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측면이 노출되었다. 이러한 해결책에 대해서 여러 가지 방법론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렇다할 만한 규제방법이나 초안이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현대 도시나 과거 도시는 많은 사람들이 주거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기능의 복합적인 것으로 얽혀서 생활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에 따라 도시건물, 건물의 외부와 간판의 관계는 좀더 예술적인 요소를 추가하여야 하며 도시의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을 감안하여 도안되고 설치되어야 한다. 간판은 이제 객체로서가 아닌 건축물과 가로수, 광고의 내용물, 도시민과의 조화를 생각하여 도시미관과 환경을 효율적이고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으로 조성하는 한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In the recent urban environment which has been fast growing, the signboard has resulted in the unchanged general concept which means a carrier of mutual communications, although the huge development of its material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ome out as human culture and science technology is developed. The outdoor advertisement thu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is functioning as not only a carrier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but also a beauty builder of bleak urba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its visual expression.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issue that we build up an environment enjoying and making up human culture, because the cities being mostly constructed in the respect of efficiency which is the first consideration bring human beings under the bleak urban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to several kinds of social problems. In the respect of Urban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hat we change into our own senses being the meaning of "Making Up" instead of "Developing". In the modern buildings, exterior, interior and materials, etc. of their structures have been varied and developed so much. However, imprudently installed outdoor signboard being surrounded in the business building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of visual pollution. It is exposed a lot of infinitive factors to be able to develop and improve the present situations of outdoor signboard such as a group of individual signboards installed to the single building, no visual consideration of signboard's location and non-specializing and small scale business of signboard manufacturers, etc. There have been lots of trial ways to improve the above obstacles, but no preparation of regulations and drafts of law so far. Many peoples lead their life in the modern cities as well as the past ones, where is a multi-functional living space including residing, so that Building and its Exterior should be designed and installed by the signboard adding to a work of artistic value on the consideration of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ities. The signboard is standing on one of the fields for the study to make beauty and environment of the cities more efficient and tidier thinking about the harmony with Building, Street Trees, Advertisement Contents and living citizens, not a part of the above mentioned.

      • 간판개선사업을 통한 옥외간판 시각요소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백상은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공공디자인이 새롭게 주목 받으면서 각 지자체별로 도시가로환경 정비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그 사업의 일환으로 옥외간판 개선사업도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간판개선사업은 도시미관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서울시의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과 행정안전부의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사업을 들 수 있다. 도시가로환경에 활력 있고 정돈된 가로공간으로 개선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시행된 간판개선사업의 사용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거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서울시의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과 행정안전부의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사업 정책현황을 살펴본 뒤 사업별로 최근에 완료되거나 진행 중인 대표지역의 간판개선사업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으며 둘째, 전국 옥외광고물의 20%를 차지하는 서울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판개선사업 중 행정안전부의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사업이 시행된 명동지역의 옥외간판 시각요소와 정보전달 효과를 분석하여 간판개선사업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셋째,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도시가로환경의 사용자인 업주와 보행자를 대상으로 도시가로환경, 옥외간판 시각요소, 정보전달 효과 등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간판개선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옥외간판에 대한 의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국내 간판개선사업의 대표적인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의 디자인서울거리 사업과 행정안전부의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사업이 연차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현 단계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대안과 사후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대상지역인 명동지역은 행정안전부의 아름다운 간판사범거리 사업이 시행된 곳으로, 옥외간판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디자인 획일화를 들 수 있다. 간판개선사업이 시행된 곳의 옥외간판이 비슷한 형태의 채널간판으로 획일화의 문제는 거리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옥외광고물 디자인과 소재의 다양화 등의 차별화된 방법으로 지역 특성을 살린 아이덴티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디자인을 디자인 능력과 경험을 갖춘 제작 시공사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시급하며, 사업 진행 시 제작 기간을 충분히 할애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관주도로만 사업을 진행할 것이 아니라 해당지역 업주 및 주민과의 조화로운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업주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사업완료 후에 지속적인 관리 등의 자발적인 관심은 필요한 과정이며, 간판만 개선할 것이 아니라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접목한 통합디자인 관점에서 주변 환경을 개선한다면 지역의 개성을 살린 도시가로경관을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간판디자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연구 : 강원도 간판정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많은 공공기관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국제화와 지방화라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도시 환경의 개발을 추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판 정비 사업’은 거리의 이미지 개선과 함께 불법 간판의 수적 감소를 유도하며, 사람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디자인과 사후관리 등 적지 않은 문제점도 노출시키고 있다. 간판 정비의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대안이 잘 나타나 있지 못하고. 주로 행정적 역할의 중요성과 간판 정비의 프로세스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추상적 대안 마련에만 급급하여 실효성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의 경우도 간판 정비 사업을 시행하였으나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하여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지의 간판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추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간판과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간판의 개념과 기능, 종류,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커뮤니케이션 요소 등을 알아보았다. 둘째, 춘천시 명동 닭갈비골목, 원주시 중앙로 문화의 거리, 강릉시 경포 해안상가, 단오상가 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간판 디자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인 로고타입(Logotype),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레이아웃(Layout), 색채(Color)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 5명을 선정하여 시각적 표현의 분석틀에 의하여 내용 분석을 의뢰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적 특성과 업종의 특성이 간판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과 간판디자인에서 주목성과 표기 요소간의 조합이 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정량적인 요소에만 집중하여 획일적인 결과만을 양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조건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로고타입(Logotype),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레이아웃(Layout), 색채(Color) 등 조화를 가질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간판정비사업‘의 디자인 개선을 위해 유용한 표본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A lot of public institutions have given unflagging attention to developing for urban environment with interna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global era. "The Sign Organizing Business", which is in force a lot in these flows, got a good response from the people with improving the image of the street and inducing numerical reduction of illegal signs. But, there is exposed to quite a few problems about monolithic design and following-up controls. The research has progressed to improve signs maintenance, examining relation materials, there is no specific alternative for design aspects. Usually, the mainly research is composed of an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roles and process model about maintenance of signs, but they are busy providing abstract alternatives which are revealing the limits of effectiveness of specific measures. Chuncheon City, Wonju City, Gangneung City, which is the most typical city of GangWon-do, enforce the sign organize business to execute. But this is also determined can not get a actual effect as a standardized design. So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about Sign Design and introduce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For the study of this paper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I found a signs of the concepts and features, type, visual factors of design, factors of communication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Second, I selected an object of study Chuncheon-City Myeong-dong Dakgalbi alley, Wonju-City Joongangro Street of Cultures, Gangreung-City Gyeongpho coast downtown, Gangreung-Dano downtown and analysis Logotype, Illustration, Layout, Color which is a designs factors of visual communication. Third, I elected 5 experts and commissioned analysis with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ramework.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us that features of local and type of business had affected Sign Design and it showed us that harmony with attention and typographic factors in sign design for a improvement. Also, I can confirm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harmony with Logotype, Illustration, Layout, and Color. In other words, I analyzed our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various conditions to overcome uniform features on account of focusing standardized form of design guide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ce to become a useful sample for designed to improve the "Sign Organizing Business".

      • 간판어 실태분석을 통한 국어교육 활용방안 연구

        김순옥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간판에 쓰인 말의 실태와 이들 말이 주는 의미를 분석하여 언중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말을 오남용 된 말이라고 하며 결합어로 정의하였다. 결합어는 우리말을 오염시키기도 하고 또는 쓸 수 없게 만든 사례도 있다. 우리말은 우리의 문화와 정서가 담겨있어 소중하다. 우리말은 소통에 있어서 사실을 명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외국어는 우리말보다 이해력이 떨어져 우리말을 사어로 만들 때가 있다. 우리말연철과 외국어가 결합한 사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우리말연철과 외국어가 결합한 사례는 우리말로 바꾸지 않으면 신조어를 만들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외국어오남용 사례에서는 ‘우리말과 외국어를 섞은 경우’, ‘외국어를 그대로 쓴 경우’, ‘외국어를 한글로 쓴 상호가 바뀐 경우’ 로 분류하였다. 우리말과 외국어를 섞어 쓴 경우에는 우리말과 서양어 결합사례, 한자어와 서양어 결합사례, 우리말과 한자어 서양어 결합사례, 우리말과 한자어 결합사례로 나누고 오남용의 본보기가 되는 간판어를 분석하였다. 우리말과 서양어 결합에서는 우리말과 외국어를 뜻에 맞지 않게 쓰거나 잘못 쓰고 있었으며 마켓(Market) 의 변종인 ‘마트’ 라는 단어가 접미사처럼 쓰여지고 있었다. PC방에서는 이미 영어에도 없는 PC 라는 특수한 단어가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으며 영어를 한국어 발음으로 적고 영어 PC를 사용하여 조합하였다. 취학 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돌봄 교실로 운영 하는 어린이집은 영어를 한국어 발음으로 접두어처럼 적고 뒤이어 ‘어린이집’이라는 우리말을 붙인 서양어와 우리말의 결합 형태를 간판어로 사용하여 우리말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외국어끼리 결합한 한자어과 서양어 결합에서는 외국어만으로 표현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간판어가 많았다. 우리말과 한자어 서양어 결합은 의미가 다른 서양어가 중복 사용되고 있으며 간판어의 길이가 길어진 현상도 볼 수 있다. 노인들을 낮 동안 돌봐주는 주간보호센터는 ‘센터’ 라는 영어를 한국어 발음 그대로 접미사처럼 사용하였다. 외국어를 그대로 쓴 간판어는 읽을 수는 있어도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힘들다. 대부분 영어를 그대로 가져와 표현하였지만 오늘날엔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다양한 국가의 언어가 간판어로 등장하였다. 한글로 쓴 상호를 외국어로 바꾼 경우는 카페, 슈퍼마켓, 헬스클럽, 호프 등으로 변경되어 시대변화를 알 수 있다. 신조어는 만든 사람과 사용하는 사람만 아는 말이 많아 소통의 문제가 되고 있으며 우리 언어를 오염시킬 수 있다. 신조어 오남용으로 ‘우리말로만 된 경우’, ‘우리말과 외국어를 섞은 경우’, ‘외국어를 그대로 쓴 경우’로 나누고 오남용의 본보기가 되는 간판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오남용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결합어와 신조어를 학교 교육으로 줄여나가고자 한다. 안 써서 사라진 우리말을 되찾는 방법으로 ‘외국어를 우리말로 고쳐 사용하기’를 일반화한다. ‘외국어를 차용한 경우 우리말로 만들어 쓰기’는학교에서 발행하는 학교신문공모전을 활용한다. 새로운 우리말을 만들고 ‘신조어예방하기’에서는 우리말을 훼손할 수 있는 여건이 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생활에 적용하여 우리말을 보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