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小兒 慢性 B形 肝炎 患者에서 스테로이드 離脫 療法 後 알파인터페론 倂合 投與의 治療 效果

        유나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 효과는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으나 30-40%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만성 지속성 간염, 혈청 아미노전이효소(alanin aminotransferase; ALT)치가 낮은 경우나 혈청 HBV DNA치가 높은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알파 인터페론 단독 투여 시 그 치료 효과는 더 적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알파 인터페론 단독 투여 시 치료 효과가 적다고 알려진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prednisolone 이탈 요법 후 인터페론을 병합 투여하여 그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 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중 간 조직 검사 상 만성 활동성 간염을 보이고 혈청 ALT치가 100 IU/L이상이면서 혈청 HBV DNA치가 100 pg/300μL 이하인 14명(group 1)은 알파 인터페론(용량 : 5 MU/㎡)을 6개월 동안 주 3회 단독 투여하였다. 그 외 만성 지속성 간염이거나 만성 활동성 간염이면서 ALT치가 100 IU/L 미만 또는 HBV DNA치가 100 pg/300μL 초과인 14명(group 2)은 6주간 prednisolone 이탈 요법 후 (2주 동안 60 mg/㎡→ 2주 동안 4mg/㎡→ 2주 동안 20 mg/㎡→ 2주간의 휴약 기간)에 알파 인터페론을 group 1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인터페론 투여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완전 반응(HBeAg의 음전 및 항 HBe 항체 양전, 혈청 ALT 정상화 및 혈청 HBV DNA 음성), 부분 반응(혈청 ALT 정상화 또는 혈청 HBV DNA 음성) 및 무반응으로 평가하였다. 1)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30.6개월(21.0개월-192.0개월)이었고, 남아는 22례, 여아는 6례이었다. 만성 지속성 간염은 11례, 만성 활동성 간염은 17례이었고, 15명의 환아에서 모친이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보유자이었다. 2) 알파 인터페론 단독 치료군인 group 1에서 평균 연령은 144.1개월(97.0개월-169.0개월), 14례 전례에서 만성 활동성 간염이고, 혈청 ALT 299.9±215.3 IU/L, HBV DNA 49.3±33.1 pg/300μL이었다. 스테로이드 이탈 요법 후 알파 인터페론 치료군인 group 2에서 평균 연령은 115.9개월(21.0개월-192.0개월), 만성 지속성 간염 11명, 만성 활동성 간염 3명, 혈청 ALT 87.8±73.4 IU/L, HBV DNA 561.1±1098.1 pg/300μL이었다. 3) group 1에서 항 HBe 항체 양전은 10례(71.4%)에서, 혈청 ALT는 9례(64.3%)에서 정상화되었고, HBV DNA는 11례(78.6%)에서 음성화되었다. group 2에서 항 HBe 항체 양전은 7례(50.0%)에서, ALT는 상승을 보인 9례중 5례(55.6%)에서 정상화되었고, HBV DNA는 9례(64.3%)에서 음성화되었다. 4) group 1에서 완전 반응은 8례(57.1%), 부분 반응은 3례(21.4%), 무반응은 3례(21.4%)이었고, group 2에서는 완전 반응 7례(50.0%), 부분 반응 2례(14.3%), 무반응 5례(35.7%)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알파 인터페론 단독 투여로 효과가 적다고 알려진 환자 군 즉, 만성 지속성 간염이거나 만성 활동성 간염이면서 혈청 ALT치가 낮거나 혈청 HBV DNA치가 높은 경우에 스테로이드 이탈 요법 후 알파 인터페론 투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며, 향후 치료 효과의 지속 여부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efficacy of alpha interferon has been shown to be a promising antivir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 in children. Approximately 30 to 40% of patients responded to therapy with loss of circulating HBeAg and HBV DNA, and normalization of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However, patients with less active inflammation on liver biopsy, high levels of serum HBV DNA and normal or slightly elevated ALT levels responded poorly to conventional alpha interferon treatment. Interferon after prednisolone priming in those patients showed better response than interferon alone. Little is known, however, about the efficacy of such therapy in pediatr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lpha interferon with prednisolone prim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viral hepatitis B in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viral replication and less active disease. Twenty-eight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were diagnosed at Departments of Pediatrics,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7.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upon their inflammatory activity on liver biopsy, pretreatment serum ALT levels and HBV DNA levels. Fourteen children (group 1: chronic active hepatitis, ALT≥100 IU/L and HBV DNA ≤ 100 pg/300μL) received interferon alpha 2a 5 MU/㎡ of body-surface area three times weekly for 6 months. Fourteen children (group 2: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or chronic active hepatitis with ALT < 100 IU/L or HBV DNA > 100 pg/300μL) received prednisolone in decreasing daily doses of 60mg/㎡, 40mg/㎡, and 20mg/㎡, each for 2 weeks, followed after 2 weeks by interferon alpha 2a on the same schedule. Response to treatment at the end of therapy was defined as follows: 1) complete response was defined as seroconversion to antibody to HBeAg with or without HBsAg clearance, normalization of serum ALT levels and clearance of serum HBV DNA; 2) partial response was defined as either normalization of ALT values or clearance of serum HBV DNA; 3) no response, defined as persistence of active viral replication and hyperaminotransferasem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wenty-eight children (22 boys, 6 girls, mean age 130 months) had seropositive results for HBsAg, HBeAg and HBV DNA; 11 had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and 17 had chronic active hepatitis. 2) In the group 1, mean age was 44.1 months (95-169 months), and mean pretreatment values of ALT and HBV-DNA were 299.9±215.3 IU/L and 49.3±33.1 pg/300μL, respectively. 3) In group 2, mean age was 115.9 months (21-192 months), and mean pretreatment values of ALT and HBV DNA were 87.8±73.4 IU/L and 561.1±1098.1 pg/300μL, respectively. The pathologic types were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in 11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in 3. 4) At the end of treatment, HBe antigen-to-antibody seroconversion was higher but not more significant in group 1 than group 2 (71.4% vs. 50.0%). Only one patient in group 2 who lost HBeAg, also cleared HBsAg. ALT normalization was similar in both groups (64.3% in group 1 vs. 55.6% in group 2). Clearance of serum HBV DNA was observed in 78.6% of patients in group 1 and 64.3% in group 2,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5) Complete response was similarly achieved in both groups (57.1% in group 1 vs. 50.0% in group 2). Partial response was achieved in 21.4% in group 1 and 14.3% in group 2. No response was noted in 21.4% in group 1 and 35.7% in group 2. 6) Interferon alpha therapy with prednisolone priming was well tolerated and all children finished therapy. The combined treatment with prednisolone followed by interferon alpha may be safe and effective in inducing a serological and biochemical remission of the disease in approximately 50% of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with a high level of viral replication and less active disease. However, a controlled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confirm these results.

      • B형 간염 보균자의 간염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예방적 건강행위

        박미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40대 사망 원인 1위가 만성 간 질환이며 만성 간 질환의 약60-75%가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과 관련이 있다. 무증상 만성 B형 간염보균자는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어도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과 같은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어 만성 B형 간염 및 보균자의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은 국민 보건학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추적 관리가 잘 안 되는 지역사회 내 만성 B형 간염 및 보균자들에게 효과적인 보건 교육이 중요하다는 필요성하에 직장 건강 검진을 통해 B형 간염 보균자로 판정되어진 근로자를 대상으로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예방적 건강행위를 파악한 후 이들 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교육과 관리를 위한 내용과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개 중소도시 제조업을 하는 9개 산업장에서 직장 건강검진 결과 B형 간염 보균자로 판정되어진 근로자 126명이었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02년 4월 19일에서 5월 7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김숙현(1989)이 개발한 도구를 엄순자(1998)가 수정 보완한 것을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예방적 건강행위 측정도구, 최영희(1983)가 개발한 도구를 김경례(1989)가 수정 보완한 것을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한 건강신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염에 대한 지식 정도는 총 20점 중 평균 8.30으로 낮게 나타났고 전염 경로와 간 수치의 이해 항목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 신념은 16점에서 80점 범위에 대해 평균 56.38로 B형 간염에 대해 보통 정도의 건강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민감성, 심각성, 장애성은 보통으로 유익성은 비교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13점에서 65점 범위에 대해 평균 35.14로 B형 간염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를 보통으로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항목은 병원 검진과 건강 정보 획득 노력에 대한 항목이었다. 2.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정도와 건강신념과의 관계는 중 정도의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3, p<.001) 건강신념은 예방적 건강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r=.22,p<.01) 건강신념의 하부 개념 중 유익성(r=.30, p<.001)과 장애성(r=.27,p<.01)만이 예방적 건강행위와 약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병원 검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순 상관관계(r=.3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과 병원 검진은 중 정도의 순 상관관계(r=.40, p<.001)를 보였고 건강신념의 하부 개념 중 유익성(r=.23, p<.05)과 장애성(r=.52, p<.001)이 병원 검진과 약한 그리고 중 정도의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염에 대한 지식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지식 점수가 높으며(F=2.97, p<.05), 평균 월수입에서는 250만원 이상인 경우가 100-150만원인 경우보다 지식 점수가 높으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90, p<.05) 건강신념은 평균 월수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9, p<.05) 예방적 건강행위는 연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3.06, p<.05) 30-39세가 예방적 건강행위를 가장 잘 하고 50-60세가 예방적 건강행위를 가장 잘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족이 건강검진 결과를 정확히 알고(F=7.08, p<.01) 본인이 간수치 결과(t=-2.60, p<.05)와 건강검진 결과를 정확히 아는 경우(t=-4.18,p<.001)와 교육을 받은 적이 있고(t=2.97, p<.01) 교육 참여에의 의지가 고(F=3.75, p<.05) 가족력이 있고(F=3.14, p<.05) 가족들이 예방 접종을 받은 경우(F=11.16, p<.001), 병원 검진을 규칙적으로 받는 경우 (F=17.74, p<.001)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간염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t=-4.95, p<.001)과 가족(t=3.63, p<.05)이 건강검진 결과를 정확히 알고 교육받은 적이 있고(t=2.43, p<.05) 가족들이 예방 접종을 받은 경우(F=5.85, p<.01)와 병원 검진을 규칙적으로 받는 경우(F=7.69,p<.001)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간염에 대한 건강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본인(t=-3.25, p<.01)과 가족(F=6.88, p<.01)이 건강검진 결과를 정확히 아는 경우와 교육을 받은 적이 있고(t=2.41, p<.05) 가족들이 예방접종을 한 경우(F=6.48, p<.01)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예방적 건강행위를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만성 B형 간염 보균자들을 교육할 때 예방적 건강행위시의 유익성을 강조하고 장애성을 제거해 주는 방향으로 전체적 교육의 흐름이 모색되어야 하며 가족을 대상자들의 건강행위에 대한 행동 계기 변수로 이용할 것을 제언한다. 그러나 지역과 직종을 달리하여 대상자들의 간염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예방적 건강행위 정도를 비교하여 교육 전략에 반영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major cause of death in Korean 40s is a chronic liver disease. And about 60 to 75% of the chronic liver disease is related with chronic hepatitis B. Since an asymptomatic chronic hepatitis B carrier has the possibility to advance into ch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hepatoma without any specific symptoms, therefore from the point of national health view,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carried out by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nd carriers is very important. This bore the need of the importance of effective health education given to the community that has problems practicing the track management. Therefore, workers who diagnosed as a hepatitis B carrier from a work check up were selected for being analyzed their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 hepatitis B to know correlation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for searching details and directions about how to educate and manage the subjects by applying the result. The subject group of this study was 126 people who diagnosed as a hepatitis B carrier chosen from 9 manufacturing companies in 4 small and mid-sized cities. The period of survey time was from April 19 to May 7, 2002. The measuring instrument of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 hepatitis B was Kim, Sook-hyuns instrument(1989)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Um, Soon-ja(1998) and of health belief was Choi, Young-hees instrument(1983)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Kim, Kyoung-rhe(1989).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on hepatitis of the subject was low (8.30) from the total score (20) and the questionnary on understanding of transmission route and liver numerical value hit the lowest score. The awareness of advantage seemed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averaged (56.38 with the range of 16 to 80 points) health belief and also by averagely shown susceptibility, severity and barrier. Averaged (35.14 with the range of 13 to 65 points) preventive health behavior showed moderate practice carried on it. However, the concerns on regular check ups and obtaining health information placed the lowest score. 2. Middle level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knowledge on hepatitis B and health belief. (r=.63, p<.001) Statistically comparable weak level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r=.22, p<.01) From the subordinate concept of health belief, only advantage (r=.30, p<.001) and barrier (r=.27, p<.01) showed weak level correlation with preventive health behavior. Statistically comparable weak level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knowledge on hepatitis B and check ups. (r=.38, p<.001) Between health belief and check ups, middle level correlation was shown. (r=.40, p<.001) Advantage (r=.23, p<.05) and barrier (r=.52, p<.001), health belief subordinate concept, showed weak and middle level correlation with check ups. 3. Older age groups showed higher knowledge marks about hepatitis. (F=2.97, p<0.5) By comparing average monthly wage, the case of earning 2.5 million won hit higher knowledge marks and statistically comparable with that of 1 to 1.5 million won. (F=2.90, p<.05) Health belief only showed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case of comparing monthly wages. (F=3.09, p<.05) On the contrary,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ly showed comparable difference in each age group. (F=3.06, p<.05) The age group from 30 to 39 carries out preventive health behavior best and age 50 to 60 does worst. 4. Cases like a person who has family knowing well about the check up result (F=7.08, p<.01), a person knows well about the result of both liver numerical value(-2.60, p<.05) and check up (t=-4.18, p<.001), a person who has been educated (t=2.97, p<.01), a person who has a strong will to participate education (F=3.75, p<.05), a person who has family history (F=3.14, p<.05), a person who has family with vaccinated condition (F=11.16, p<.001), a person who has a regular check up (F=17.74, p<.001) had higher knowledge about hepatitis. Cases like a person (t=-4.95, p<.001) and his family (t=3.63, p<.05) know well about the check up result and being educated (t=2.43, p<.05), a person who has family with vaccinated condition (F=5.85, p<.01) and a person who has a regular check up (F=7.69, p<.001) showed strong health belief. Cases like a person (t=-3.25, p<.01) and his family (F=6.88, p<.01) know well about the check up result and being educated (t=2.41, p<.05), a person who has family with vaccinated condition (F=6.48, p<.01) carried out better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conclusion, at the time of educating hepatitis B carriers, focusing the advantages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get rid of barriers is advisable for the future. And the family of carriers can take a part as a cue-to-action variable. More researches to be needed and compared with various areas and vocational groups for properly applying this study.

      • 광주ㆍ전남 지역의 A형 간염환자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

        노두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배경/목적: 급성 A형 간염은 소아에서 감염되어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었으나, 위생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A형 간염에 대한 면역이 감소되어 최근에 젊은 성인층에서 현증 감염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A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대부분 IA형이었다. 최근에 IIIA형의 유전자형의 비율이 증가되는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광주ㆍ전남지역에서 A형 간염 환자에서 유전자형을 파악하고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한 A형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VP1/2A 부위에 대해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임상 양상 및 생화학 검사소견을 비교하였다. IgM anti-HAV 양성 환자의 혈청에서 RNA를 분리하여 VP1/2A 부위에 대해서 RT PCR을 통하여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기존의 발표된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염기서열, 아미노산의 변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기간 중 A형 간염환자는 총 82명이었으며, 이중 67명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 RNA가 분리되어 A형 간염바이러스 검출률은 81.7%였다. A형 간염 바이러스 RNA의 검출 여부에 따라 검출군(67명)과 비검출군(15명)으로 나누어 증상 발현에서부터 채혈일까지의 기간을 비교하였을 때 비검출군에서 의의 있게 길었다. 유전자형 분석에서 IA형은 8명(11.9%), IIIA형은 59명(88.1%)으로 주된 유전자형이 IIIA형이었다.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각각의 아형별 VP1/2A에서 변화 정도는 IA 형은 2%미만, IIIA는 6%로 IIIA에서 염기서열의 변화가 더 많았다. 아미노산의 치환은 IIIA형은 최대 3개까지 보였으나 IA형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IIIA형과 IA형의 유전자형에 따라 성별, 만성간염의 유무, 거주지역, 음주 여부의 임상양상과 AST, ALT, 총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 혈소판, 알부민 등의 검사 소견은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IIIA군에서 연령이 더 높았다. 결론 :광주ㆍ전남지역에서 발생한 A형 간염환자의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형은 주로 IIIA형이었으며,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다기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A형 간염환자들에 대해 유전자형 분석과 임상 양상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Aims: Hepatitis A is a disease of self-limited episode in the children, but recently many symptomatic cases and serious complicated cases such as fulminant hepatitis and acute renal failure have been reported for previous 10 years. Dominant genotype of hepatitis A virus (HAV) had been known to genotype IA in Korea. Recently, genotypic change of HAV were reported with an upsurge of acute hepatitis A. The genotype of HAV and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s were evaluated in province of Gwangju and Jeonnam. Methods: Eighty two patients of acute hepatitis A who admitted in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from November 2008 to October 2009. HAV RNA was extracted by QIAamp viral RNA mini-kit from patient sera. Reverse transcription (RT) PCR and direct sequencing for VP1/2A region of HAV were perform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all enrolled patients were recorded. Results: The HAV RNA was detected in sixty seven patients (81.7%) among enrolled 82 cases. The number of patient of genotype 1A was 8 and that of genotype IIIA was 59. The rate of genotype IIIA (8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otype IA (11.9%). The subtype distribution of genotype IIIA were AJ299467 Norway (29 cases), HA-JNG04-09 Japan (16 cases), HS-14-12-00 Spain (13 cases) and that of genotype IA were FH1 Japan (4 cases), HA J04-3 Japan (4 cases). The change of nucleotide in genotype IIIA was less than 6% and that of IA was less than 2%. Several amino acid substitutions were found in IIIA but no amino acid change in IA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 IA and IIIA by nonparammetric independent t-test except age. Conclusions: The major genotype of HAV was IIIA at province of Gwangju·Jeonnam and there is no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s. To know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genotypic difference of HAV, multicenter study of many cases is needed.

      • 慢性 肝炎, 肝硬變 및 肝細胞癌腫患者에서 上皮性 成長因子 濃度의 變動

        조용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성장인자는 세포증식에 있어 양성 또는 음성적으로 영향을 주어 태아발생과 성장 조직의 손상복구와 재생 종양형성등의 생리적, 병리적 현상 조절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작용기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현상학적 이해에 그치고 있다. 상피성 성장인자는 간의 실질세포를 비롯한 여러 세포에서 강력한 세포분열인자로 작용하며 간종양의 증식 간내상피세포에서 콜라겐의 합성, 간내 세포막단백의 인산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지속성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 암종등의 일련의 간실질성질환에 있어 상피성 성장인자의 혈중 변동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만성 실질성 간질환 환자에서 성장인자의 역할과 간세포암종발생과의 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병리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만성 지속성 간염 5예, 만성 활동 성간염 4예, 간경변 19예, 간세포암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침공복시의 혈청시료들을 1:200으로 희석하여 ELISA에 의해 발색반응을 일으킨 후 흡광계로 계측함과 동시에 kit내 대조군 항원의 8단계 희석계열의 두차례반복 계측에서 얻어진 표준상관방정식에 대입시켜 농도를 정량하였다. 간질환에 따른 EGF의 농도는 간세포암종에서 253.33±69.5pg/ml(평균치±표준오차)로 가장 높았고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246.60±97.19pg/ml(평균치±표준오차), 만성지속성간염에서 222.71±115.97pg/ml(평균치±표준오차), 간경변증에서 141.14±23.12pg/ml(평균치±표준오차)순으로 나타났다. 간세포암종과 간경화증사이의 EGF혈중농도는 p-value 0.02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만성 활동성 간염과 만성 지속성 간염사이 간경변증과 만성 지속성 간염사이, 간경변증과 만성 활동성 간염사이, 만성 활동성 간염과 간세포암종, 만성 지속성 간염과 간세포암종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건데 만성 간염에 비해 미세혈관구조의 재구축이 현저한 간경변에서 결국 EGF의 하향조절이 일어나며, 간경변을 거쳐 간세포암종에 이르는 데는 EGF의 재상승이 아마도 MAP kinase활성도를 자극하여 혈관 신생과 더불어 간세포암종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Epidermal growth factors(EGF) is known to activat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 kinase) in hepatocytes by the route of both Raf-dependent and Raf-indefendent pathways. And this is likely to play important role in normal liver cell growth and regeneration. EGF is also reported as a potent mitogen and one of the angiogenic factors. To elucidate the dynamic changes of the serum concentr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chronic liver disease and its correlation with role of EGF and mechanism of tumor development,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loy an ELISA in 38 biopsy-proven cases. Methods: Sera taken out of 5 patients with chronc persistent hepatitis, 4 patients with chronic active hepatits, 19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10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hat pathological diagnosis was proven later were tested for EGF employing Quantikine™ ELISA Kits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evaluated by student's t-test. Results: EGF concentration was 253.33±69.5pg/ml(Mean±S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246.60±91.19pg/ml(Mean?SE) in chronic active hepatitis, 222.71±115.97pg/ml (Mean±SE) in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141.15±23.12pg/ml(Mean±SE) in liver cirrhosis in due order. Serum EGF concentr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liver cirrhosis(p value= 0.021695), but than the ot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networks in liver cirrhosis results in down-regulation of the EGF in comparison to chronic hepatitis. But it is suggested that re-elevation of EGF stimulates MAP kinase activity eventually playing in tumorogenesis of the liver with neoangiogenesis.

      • B형肝炎바이러스 表面抗原 및 抗體의 陽性率에 關한 追跡調査 :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은행원을 중심으로

        지혜원 全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807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은 사회 경제적 여건, 성별, 연령별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형 간염의 세계적인 유행 지역인 우리나라에서도 직업및 지역에 따라 양성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최근 수년동안에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 예방을 위하여 예방접종이 널리 시행되고 있는 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체의 양성율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및 항체의 양성율을 동시에 보고 한 문헌은 그리 많지 않으며 특히 동일 집단에서 양자를 모두 동시에 일정 기간 동안 추적 검사하여 관찰한 보고는 매우 드문 현황이다. 저자는 이러한 점에 흥미를 갖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이환된 인구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은 RPHA법으로, 예방 효과가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체는 PHA법으로, SGOT는 Kinetic method로 407명(남 : 252명, 여 : 155명)의 은행원 집단에서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추적 관찰하고 그 양성율에 대해 분석 검토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HBsAg 양성율은 1984년에 8.85%, 1985년 8.11%, 1986년 7.86%로 각 연도별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antiHBs 양성율은 1984년에 9.82%, 1985년 30.71%, 1986년 34.40%로서 B형 간염 백신 접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던 1985년에는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으나(P<0.01), 1986년에는 1985년에 비하여 변화를 볼 수 없었다. 2. 성별에 따른 HBs-Ag 양성율은 남녀의 비가 1984년에 1.85, 1985년 2.28, 1986년 1.84로 남자에서 계속 높았다. 성별에 따른 antiHBs양성율은 남녀의 비가 1984년에 1.84, 1985년 1.26, 1986년 1.30으로 남자에서 계속 높았다. 3. 연도별 HBV에 의한 간장에는 HBV에 의한 간장애군으로 간주한 SGOT가 40. I. U. 이상이면서 HBsAg 양성인 예는 407명중 1984년에 3예(0.74%), 1985년 2예(0.49%), 1986년 1예(0.25%) 이었으며, 아임상형 B형 바이러스성 간 장애 또는 HBsAg 보유군으로 간주한 SGOT가 40 I. U. 이하이면서 HBsAg 양성인 예는 1984년에 33예(8.11%), 1985년 및 1986년에 각각 30예(7.37%) 및 31예(7.62%)로서 의의있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어 HBV에 의한 간 장애자 발생율의 변화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4. HBsAg 보유양상의 변화는 HBsAg이 3년동안 지속적으로 양성이거나 음성인 예가 각각 26예(6.39%) 및 365예(89.68%), 양성이었다가 음성으로 된 예가 9예(2.21%), 음성이었다가 양성으로 된 예가 5예(1.23%), 일시적으로 양성이었거나 음성으로 된 예가 각각 1예(0.25%)로, 지속적으로 변동이 없었던 예는 391예(96.07%)이었으며, HBsAg이 음성으로 된 예가 양성으로 된 예보다 약간 높았으나 의의있는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antiHBs 보유양상의 변화는 antiHBs가 3년동안 지속적으로 양성이거나 음성인 예가 각각 34예(8.35%) 및 252예(61.92%), 양성이었다가 음성으로 된 예가 4예(0.99%), 음성이었다가 양성으로된 예가 103예(25.31%), 일시적으로 양성이었다가 음성으로 된 예가 각각 12예(2.95%) 및 2예(0.49%)로, 지속적으로 변동이 없었던 예가 286예(70.27%)이었으며, 최근 3년동안 antiHBs가 양성으로 된 예가 음성으로 된 예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1)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은행원에 있어서 HBsAg의 양성율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고, 예방접종 및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의 증가등으로 인하여 HBV감염을 예방한다고 알려진 antiHBs 양성율은 증가함을 알수 있었으며 이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The follow up study for positivities HBsAg by RPHA method and antiHBs by PHA method with SGOT by Kinetic method were checked from 1984 to 1986 in Bankers who are resident in Kwangju city.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HBsAg in 1984 was 8.85%, 8.11 % in 1985, and 7.86% in 1986.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nnual positivities. The antiHBs in 1984 was 9.82%, 30.71% in 1985 and 34.40% in 1986. It was significant in the change of positivities for antiHBs between 1984 and 198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s between the 1985 and the 1986. 2. The positivity of HBsAg was higher in male than female as 1.85: 1 in 1984, as 2.28: 1 in 1985 and as 1.84: 1 in 1986. 3. I regarded as B type hepatopathy, if HBsAg is positive and SGOT is over 40 I.U.. The annual occurrence of hepatopathy as HBV were 3 cases (0.74 %) in 1984, 2 cases (0.49 %) in 1985 and 1 case (0.25 %) in 1986 in 407 subjects. I have regarded as subclinical B type hepatopathy or health carriers, if HBsAg is positive and SGOT is under .40I.U.. The occurrence of subclinical B type hepatopathy or health HBV carriers were 33 cases (8.11%) in 1984, 30 cases (7.37%) in 1985 and 31 cases (7.62%) in 1986 respectively. 4. In HBsAg positive patterns for 3 years, all positive and negative types were 26cases (6.39 %) and 365 cases (89.68%) respectively. Conversion from the positive to the negative were 9 cases (2.21 %), the negative to the positive 5cases (1.23 %). The transient positive and negative were 1 case (0.25 %) respectively. So persistent HBsAg positive or negative for 3 years were 391 cases (96.07 %). Negative conversion rate of HBsAg were slight higher than the positive convers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ces. In antiHBs positive patterns for 3 years, all positive and negative types were 34cases (8.35 %) and 252cases (61. 92 %) respectively. The negative conversion were 4cases (0.99 %), the positive conversion 103cases (25.31 %). But the transient positive and negative were 12cases (2.95 %) and 2cases (0.49%) respectively So persistent antiHBs positive or negative types for 3years were 286cases (70.27 %). The positive conversion rate of antiHBs for the 3 years were higher than the negative conversion significantly (P <0.01). The above results surgested that the positivity of HBsAg is not increased any more for the 3years. The increase of antiHBs positivity in 1985 might be due to HBV vaccination, considering the active HBV vaccination compaign in our country for the past 4 to 5 years.

      • 만성 B형 간염의 새로운 만성간염의 등급체계에 따른 장기간 추적결과

        박병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만성간염은 과거에는 만성 지속성 간염, 만성 소엽성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분류하였으나 이 분류법의 문제점과 한계점이 제기되어 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병리등급이 제시되어 왔고 국내에서는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 만성간염을 간염활성 정도(grade)와 섬유화 진행정도(stage)로 나누고, 간염활성의 등급은 소엽내 활성도와 문맥역/문맥주변부 활성도로 구분하는 새로운 만성간염의 등급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조직검사를 시행받은 만성 B형 간염환자들을 새로운 만성간염의 등급체계에 따라 재분류하여 장기간 추적결과와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간조직검사로 만성 B형 간염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 적어도 6개월이내의 간격으로 2년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검사시의 연령, 성별, 간기능검사를 알아보고, 추적관찰 기간동안의 생화학적 간염활성도를 구분하기 위해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치의 변화에 따라 생화학적 간염활성군과 생화학적 간염비활성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환자들에서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으로 대상성 간경변증, 비대상성 간경변증, 간세포암종으로의 진행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간조직 병리표본은 새로운 만성간염의 등급체계에 따라 소엽내 활성도, 문맥역/문맥주변부 활성도 및 섬유화 진행정도로 구분하여 재판독하였다. 1. 대상환자의 평균 연령은 35.0세, 남녀비는 3.9:1이었고,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80.6개월(15-180개월)이었다. 2. 간조직검사 당시의 혈청 ALT치는 소엽내 활성도와 문맥역/문맥주변부 활성도가 높을수륵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문맥역/문맥주변부 활성도와 섬유화 진행정도가 높을수록 대상성 간경변증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만성간염의 등급체계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 발생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 40세 이상의 연령과 추적관찰 기간동안의 생화학적 간염활성군에서 각각 대상성 간경변증, 비대상성 간경변증 그리고 간세포암종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6. 다변량분석 결과 대상성 간경변증과 비대상성 간경변증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연령과 추적관찰 기간동안의 생화학적 간염활성도이었다(p<0.05). 간세포암종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연령, 성별 그리고 추적관찰 기간동안의 생화학적 간염활성도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새로운 만성간염의 병리조직학적 등급체계는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간염의 활성정도를 나타내고,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예측가능하게 한다.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의 생화학적 간염활성도는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 발생의 독립적인 예후인자이었다. 그러므로 간염활성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가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ronic hepatitis has been divided into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chronic lobular hepatitis and chronic active hepatitis. However these terms should be discontinued in favor of etiologic terminology. The activity of necro-inflammation and the degree of fibrosis should be evaluated for grading the severity and the stage of diseas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of chronic hepatitis type B according to the new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chronic hepatitis proposed by the Korean Study Group for the Pathology of Digestive Diseases. One hundred and eighty-eight patients with biopsy-proven chronic hepatitis type B, who have been followed up for at least 2 years at no more than 6-month intervals,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Grade of lobular activity, porto-periportal activity and stage of fibrosis were evaluated for each biopsy. Age, sex and liver function test were reviewed at the time of biopsy. To classify the biochemical hepatitis activit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n active group and an inactive group according to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hanges during follow-up periods. The development of compensated cirrhosis, decompensated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ere investigated during follow-up periods. As well, the biopsy specimen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new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chronic hepatitis. 1.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0 years and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3.9:1,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80.6 months. 2. Lobular activity and porto-periportal activity correlated with the serum ALT level at the time of biopsy(p<0.05). 3. The development of compensated cirrhosis correlated with porto-periportal activity and stage of fibrosis (p<0.05).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decompensated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s well as between the histopathological grade and stage. 5. The probability of the development of compensated cirrhosis, decompensated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lder age group (≥ 40 yrs) and the biochemically-active hepatitis group(p<0.01). 6.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nsated cirrhosis and decompensated cirrhosis were old age (≥ 40 yrs) and biochemically-active hepatitis during follow-up perioids, whil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hey were old age (≥ 40 yrs), male gender and biochemically-active hepatitis during follow-up perioids by multivariate analysi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new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chronic hepatitis indicates the hepatitis activity and the prospect for progression to cirrhosis in chronic hepatitis B. The biochemical hepatitis activity during follow-up periods i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hronic hepatitis B. Therefore, effective treatment to decrease hepatitis activity may reduce the development of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 국내 의료기관에서 주사 등 침습적 행위가 C형 간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심정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C형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잠복기가 길고 대부분 무증상이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으로 진행되어 치명적인 합병증과 사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에 정부는 표본감시 감염병으로 지정해 관리를 하고 있는데, 표본 감시기관의 수가 적고 신고율이 저조하며, 표본 감시대상이 아닌 의원, 요양병원에서의 감염발생으로 현황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국내에서 의원 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되면서, C형 간염의 감염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아직 국민의 인식이 낮고 감염의 원인도 불확실하고 복합적이서 역학적 연구가 저조한 편이다. 이 연구에서는 감염의 주요 원인인 주사 등 침습적 행위가 C형 간염의 감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침습행위별, 의료기관 종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2년에서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DB자료에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의료기관에서 침습적 행위로 인해 C형 간염 진단코드로 새롭게 진단된 환자 1,651명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성, 연령, 주사 등 침습적 행위의 시작시점에서 C형 간염 진단 시간까지의 기간이 같은 C형 간염으로 진단되지 않은 사람 5,027명을 대조군으로 1:3 매칭하여 연구대상으로 6,678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Nested case-control study로 매칭된 코호트자료 내에서 국내 의료기관에서 주사 등 침습적 행위가 C형 간염의 감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고, 오즈비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주사 등 침습적 행위의 평균 횟수는 환자군에선 94.2±240.2, 대조군에서는 6.8±5.3회이었고,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C형 간염의 발생이 1.005배(P<.0001) 많았다. 의료기관을 종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의원에서 평균 46.00±188.7회로 침습적 행위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병원, 상급 종합병원, 한의원, 치과, 요양병원 순이었다. C형 간염 상대위험도는 의원이 1.031배(P<.0001), 한의원 1.029배(P=0.0133), 요양병원, 치과, 병원, 종합병원 순으로 높았다. 환자 개개인에게 행해진 침습행위의 종류에 따른 C형 간염의 발생을 분석한 결과 피하 및 근육내, 정맥내 주사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 연구 결과, 주사 등 침습적 행위의 빈도 및 종류에 따라 C형 간염의 감염발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피하 및 근육내, 정맥내 주사의 침습적 행위가 많을수록 C형 간염이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상급 종합병원을 제외한 종별 의료기관에서 주사행위 빈도 횟수에 따라 C형 간염의 감염발생에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의원과 한의원에서 높았다. 따라서 국민의 합리적인 의료이용을 유도하고, 감염으로 인한 질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일환으로 전 의료기관에 대한 질 관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의 대책 및 정책의 도입을 확대,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xamine hepatitis C virus infections via injection practices, we analyzed the effect of injection practices on the incidence of HCV(hepatitis C virus), considering attribute data of patients,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injection practices. Design of Analysis Method We selected 1,651 patients (case group) from the patients, who have been infected HCV through medical practices that possess risk factors of HCV transmission, which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1st of 2004 and December 31st of 2013, which is verified by HCV diagnosis code. 5,027 people in control group are randomly chosen from non-HCV group whose three conditions, which is gender, age, the injection point, are the sam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Designing the analysis of generalized attribute data of two groups, the study used T-Test. The research is based on nested case-control study, setting the matching ratio as 1:3, and conducted multivariate analysis in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finding odds ratio. Result of analysis While the average number of injection practices in case group (patients group) is , the average in control group (non-HCV) is (P<.0001). The odds ratio of patients group due to injections is 1.005 times (95% CI 1.004-1.0065, P<.0001)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racking each 6,678 research object, the study counted the number of injection practices that have been treated before the diagnosis to classify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tertiary hospital, general hospital, hospital, clinic, Korean medicine hospital, dental hospital, sanatorium. The patients group have had most of the injection practices at clinic (average: ). The odds ratio is 1.031 (95% CI 1.016-1.045, P<.0001) at clinic, 1.029 (95% CI 1.006-1.053, P=0.133) at Korean medicine hospital. Studying the effect of injection practices on the incidence of HCV by types of injection practices,, the study classified all types of injections into four types; hypodermic and intramuscular, intravenous, acupuncture and other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hypodermic and intramuscular, and intravenous type of injection.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ypes and number of injection practices have an effect on the incidence of HCV. The more hyperdermic and intramuscular injections, and intravenous injections the patients had, the higher possibility of HCV infections they had. Also except tertiary hospital, all 6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ffected the infections of HCV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all kinds of injections. Especially clinic and Korean medicine hospital indicated higher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