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역량과 윤리적 간호역량이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민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intention of nurses as well as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6 nurses who worked and provided direct nursing car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Y City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July 17 to August 6, 2023. The survey wa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at comprised measurement tools for general and patient safety accident-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patient safety competenc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Result: The participant’s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was 61.28±26.27 points, intention to report adverse events was 85.31±17.32 point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was 3.51±0.43 points, patients safety competence was 3.97±0.40 points, and ethical nursing competence was 3.17±0.34 points.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2.34, p=.020) an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r=.20,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r=.23, p<.001), and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accidents definitions (r=.26, p<.001) and reporting system (r=.26, p<.001). Intention to report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accidents definitions (r=.16, p=.009) and reporting system (r=.20, p=.00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β=.30, p<.001) and adverse events (β=.35, p<.001) increased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0.5% (F=9.24, p<.001) and 12.7% (F=8.42,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o improve the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and familiarity with the reporting system should be emphasized in the nurses’ training program. Furthermor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nurs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윤리적 간호역량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Y시 소재 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56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 17일부터 2023년 8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일반적 특성 및 환자안전사고 관련 특성,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역량, 윤리적 간호역량,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 측정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61.28±26.27점, 위해사건 보고 의도는 85.31±17.32점이었고,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51±0.43점, 환자안전역량은 3.97±0.40점, 윤리적 간호역량은 3.17±0.34점이었다. 대상자의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결혼상태(t=2.34,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r=.20, p=.001), 총 임상 경력(r=.23, p<.001), 환자안전사고 정의에 대한 인지 정도(r=.26, p<.001),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에 대한 인지정도(r=.26,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위해사건 보고 의도는 환자안전사고 정의에 대한 인지정도(r=.16, p=.009),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에 대한 인지정도(r=.20, p=.002)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 근접오류 보고 의도(β=.30, p<.001)가 높았으며 회귀모형 설명력은 20.5%이었다(F=9.24, p<.001).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β=.35, p<.001) 위해사건 보고 의도 또한 높았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2.7%였다(F=8.42, p<.001). 결론: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 보고에 대한 중요성과 보고체계에 대한 정보를 교육 내용에 포함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병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 간호부서를 중심으로

        정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indicators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used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Data were collected from 372 nurses working at inpatient ward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Won-Ju cities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a$$a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a$$aFirst, The mea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3.41 which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The mean of communication within the ward was the highest, whereas tha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culture was the lowest.$$a$$a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nurs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length of employment, and work hours per week.$$a$$aThird, three variable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unit, attitude of top management, and attitude of nurs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a$$aFourth, 37.4% of the variation i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explained by the study variables.$$a$$aIn conclusio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nursing managers should make an effort to learn the knowledge of patient safety program, show their deep interest on the patient safety to the employees and motivate them to communicate effectively each other within the work unit to develop a good patient safety culture and system.$$a$$a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병원 내 종합적인 환자안전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지표들을 토대로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병원 내 환자안전문화의 수준을 파악하며, 셋째, 병원 내 간호사들의 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환자안전문화 평가지표는 미연방보건복지성(HHS)의 의료연구품질관리부(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에서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의 측정은 Likert 5점 등간격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5년 9월 26일부터 2005년 10월 10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서울과 원주에 위치한 2개 대학병원의 입원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배포된 38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372부의 설문지에 대해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a$$a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a$$a첫째, 환자안전문화와 관련하여 변수들의 개별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종속변수인 병원 내 안전관리 활동의 평균은 3.41로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이 밖에도 부서 내 의사소통의 평균이 3.67로 가장 높았고, 안전관리문화가 2.76으로 가장 낮았다.$$a$$a둘째, 응답자 특성별 안전관리활동 평균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안전관리활동 평균은 교육수준, 병원근무연수, 주당평균근무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a$$a셋째, 독립변수들과 병원 내 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병원근무연수, 주당평균근무시간, 부서 간 업무협조, 부서 내 업무협조, 부서 내 의사소통, 병원 내 안전사고 모니터링, 경영진의 태도, 간호사 환자안전 의식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a$$a넷째, 병원 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부서 내 의사소통, 경영진의 태도, 그리고 간호사 환자안전의식수준 순으로 간호사들의 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은 환자안전관리활동변수의 변이를 37.4% 설명해 주었다.$$a$$a결론적으로 병원에서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므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부서 내 의사소통과 직원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교육의 실시, 적정업무 부담 및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 부서 내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위한 경영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a$$a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윤시언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탐색하고 기술하여 이해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Hsieh와 Sahnnon (2005)의 질적 내용분석법 중 전통적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질문은 본 연구 질문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G병원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로 연구자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듣고, 연구에 대해 이해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에 서면 동의한 11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2022년 7월10일 부터 7월 30일까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통적 내용분석법(Conventional 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의 촉진요인’,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의 장애요인’,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위한 개선점’ 이라는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을 위한 지름길이며 의료기관 종사자뿐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 모두 함께 해야 한다고 표현하였고, 환자안전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간호사와 의료기관 모두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적자원의 부족과 과중한 업무, 의사소통의 문제가 정확한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의 장애요인이라고 하였으며, 적정 간호인력기준의 법제화와 적절한 인력배치, 지속적인 교육시스템과 의료기관 구성원 간 존중하는 분위기까지 인적·환경적 자원의 개선을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책임감을 가지고 지침의 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인적·환경적 자원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적절한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므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위한 인적·환경적 자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환자안전사건 진실말하기 도입 가능성 평가

        옥민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Objective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defined as series of process as follows: “When a patient safety incident occurs, medical professionals preemptively explain the incident to th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express sympathy and regret for the incident, deliver apology and compensation appropriately if needed, and promise to prevent recurrence.”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known for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level of patient safety, reducing the number of medical lawsuits, and increasing the credi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s. In this study, three substudi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assessment of the general public’s and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o introduce policies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o comprehensively examine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first section systematically reviews the frequency, effect, obstacles and facilitator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The second section examines in-depth perception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of the general public and medical professionals, using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he third section confirms the effect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using a survey based on hypothetical cases,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Desired eff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such as decrease in the likelihood of legal action and increase in the credi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s, were confirmed. Results First of all, in the systematic review, 101 article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synthesis among 4,382 articles identified by database search. There was quite a variation in the reported frequency of medical professionals’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However, the majority of medical professionals clarified their willingness to perform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majority of the general public were completely supportive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gardless of typ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eff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confirmed as follows: decrease in the in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to file medical lawsuits and punish medical professionals, increase in the credi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s, increase i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the physicians or hospitals. rise in the evaluation score for quality of care, ease in the medical professionals’ guilty feelings and so on. The obstacle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confirmed as follows: fear of medical lawsuits and punishment, fear of losing professional reputation among colleagues and patients, diminished patient trust when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performed, complexity of situations regarding the conduct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abs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Meanwhile,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troduction of policy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identified as facilitator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four focus group discussions and twen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34 participants. By analyzing the verbatim transcriptions, perception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summarized in terms of five W's and one H. The specific categories were as follows: “Why should medical professionals conduct open disclosures?”, “When should open disclosures be performed?”, “When should open disclosures start being conducted?”, “What should medical professionals convey in open disclosures?”, “Who should conduct open disclosures?”, “To whom should medical professionals conduct open disclosures?”, “Where should open disclosures be conducted?”, “How should medical professionals conduct open disclosures?”, and “How should open disclosures be facilitated?” All physician participants and the general public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normative justifiability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participants mostly agreed on the known eff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but the physician participants relatively had negative opinions on the effects, such as decrease in the in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to file a medical lawsuit, and increase in the credi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s. Generally,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s required in the case of major errors. However, the physician participants and the general public participants had contrary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 the case of near miss. The participants in general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four main componen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explaining patient safety incidents; expressing sympathy and regret and promising an investigation on patient safety incidents; making an apology; and promising to avoid recurrence). The majority of physician participants did not know how to conduct open disclosures and some physician participants had bad experiences due to inappropriate or incomplete open disclosur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Finally, a survey questionnaire using hypothetical cases was conducted on 700 respondents who apporpriately represent the general public of South Korea. Almost every respondent (699, 99.9%) recognized the need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a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on the eff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ccording to the pooled analyses on the entire hypothetical case, the predicted odds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the judgement of medical errors was 0.63 times lower than the odds for no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95% confidence interval (CI): 0.52~0.76). The odds of intention of revisit and recommendation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2.63 times (95% CI: 2.33~2.98) and 2.44 times (95% CI: 2.11~2.81) higher than those of no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odds of intention of medical lawsuit and criminal charges for punishment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0.41 times (95% CI: 0.36~0.47) and 0.44 times (95% CI: 0.39~0.50) lower than those of no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spectively. Moreover, the trust score of a physician was 1.24 points higher in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compared to no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95% CI: 1.15~1.34). Appropriate amount of compensation was 1,637 (10,000 won) lower in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compared to no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95% CI: -2,573~-700). Conclusion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and medical professional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e general public of South Korea showed their yearning and unconditional support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effects of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dentified through hypothetical cases in this study, yielded a more positive outlook on introducing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Henceforth, developing guidelines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enacting apology law to ensure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developing of education programs for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should be of priority to introduce open disclosur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South Korea. 연구 배경 및 목적 진실말하기란 환자에게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했을 때 환자 및 보호자에게 자발적으로 그 사건을 설명하고, 공감 및 유감을 전달하며, 필요한 경우 사과를 하고,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진실말하기는 환자안전의 수준을 높이고, 의료소송 감소, 의료진에 대한 신뢰도 증가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진실말하기를 도입 및 활용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실말하기에 대한 일반인과 의사의 인식 평가를 중심으로 한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진실말하기에 대한 포괄적인 고찰을 위하여 연구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연구 내용은 진실말하기의 빈도, 효과,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 등 진실말하기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로,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은 진실말하기에 대한 일반인 및 의사의 심층적 인식 파악으로,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론 중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과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를 활용하였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은 진실말하기의 효과 평가로, 환자안전사건과 관련된 가상적 사례를 이용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진실말하기가 의료소송 및 의료진의 신뢰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검색된 총 4,382편의 문헌들 중 최종적으로 101편의 문헌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문헌들에서 밝힌 실제 진실말하기의 수행 및 경험 빈도의 편차가 심한 편이었지만, 대다수의 보건의료 종사자들은 진실말하기에 대한 의향을 밝혔고, 일반인들은 진실말하기에 대한 거의 절대적인 선호를 보였다. 진실말하기의 효과로는 의료소송 및 처벌 의향 감소, 의사에 대한 신뢰도 증가, 의사 추천 및 재방문 의향 증가, 의료 질 평가 점수 증가, 의사의 죄의식 감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실말하기의 장애요인으로는 의료소송 및 처벌과 관련된 요인, 보건의료 종사자와 관련된 요인, 환자와 관련된 요인, 진실말하기 수행 상황과 관련된 요인, 환자안전문화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촉진요인으로는 환자안전문화 형성, 진실말하기 정책 도입, 진실말하기 교육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토의에서는 총 3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20번의 심층면접 및 4번의 초점집단토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진실말하기를 육하원칙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 ‘1. 왜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2. 언제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3. 언제 진실말하기를 시작해야 하는가’, ‘4. 무엇을 진실말하기에서 전달해야 하는가’, ‘5. 누가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6. 누구에게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7. 어디서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8. 어떻게 진실말하기를 해야 하는가’, ‘9. 어떻게 진실말하기를 촉진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모든 의사와 일반인 참여자들은 진실말하기의 필요성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인정하였다. 진실말하기의 알려진 효과들에 대해서도 참여자들은 대체적으로 수긍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의사 참여자들이 의료소송 감소 효과, 의료진의 신뢰도 증가 등에 대한 효과에 회의적인 의견을 더 나타내었다. 심각한 위해를 초래한 의료오류의 경우 참여자들은 대체적으로 진실말하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지만, 근접오류에서 진실말하기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의사 및 일반인의 의견이 전반적으로 각각 부정적, 긍정적인 입장으로 나뉘었다. 참여자들은 대체적으로 진실말하기의 네 가지 요소들(사건 설명, 공감 표현 및 사건 조사에 대한 약속, 사과 전달, 적절한 보상에 대한 약속, 재발방지 약속 전달)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정하였다. 대부분의 의사 참여자들은 진실말하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 잘 몰랐고, 부적절하거나 완전하지 못한 진실말하기로 인한 부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할 수 있는 일반인 700명을 대상으로 가상적 사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번 설문조사로 거의 모든 일반인들이 진실말하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진실말하기의 효과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가상적 사례의 응답 결과를 종합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 따르면, 진실말하기를 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가상적 사례에서의 의료오류 유무 판단의 오즈(odds)가 약 0.63배(95% 신뢰구간: 0.52~0.76) 낮았고, 재방문 의향의 오즈가 약 2.63배(95% 신뢰구간: 2.33~2.98) 높았으며, 추천 의향의 오즈가 약 2.44배(95% 신뢰구간: 2.11~2.81) 높았고, 의료소송 의향의 오즈가 약 0.41배(95% 신뢰구간: 0.36~0.47) 정도 낮았으며, 형사적 처벌 의향의 오즈도 약 0.44배(95% 신뢰구간: 0.39~0.50) 정도 낮았다. 뿐만 아니라 진실말하기를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의사의 신뢰도 점수가 약 1.24점(95% 신뢰구간: 1.15~1.34) 높았고, 적절한 보상 금액이라는 판단한 액수가 1,637만원(95% 신뢰구간: -2,573~-700)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진실말하기에 대한 일반인과 의사의 인식 평가를 중심으로 한 진실말하기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일반인들은 진실말하기에 대한 열망 및 절대적인 지지를 나타내었다. 또 가상적 사례를 통하여 확인한 진실말하기의 효과에 대한 결과는 진실말하기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갖게 만들어 주었다. 진실말하기를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그 제도적,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진실말하기의 가이드라인 도입, 진실말하기 보호를 위한 사과법 제정, 진실말하기를 위한 교육 과정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직무만족도가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 직무만족도, 안전간호활동에 대해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추후 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S시 소재한 3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7곳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편의 추출한 21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2월 29일부터 3월 15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40점이었으며,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에 관한 인식점수가 3.50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단위의 근무 환경에 대한 인식점수가 3.27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차이는 주당 근무시간 과 간호등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3.16점이었으며, 동료관계요인 점수가 3.62점으로 가장 높았고 업무환경 및 복리후생요인 점수가 2.37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현 부서경력, 근무시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현 부서경력, 근무시간, 간호등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3.88점이었으며, 수혈 영역의 활동 점수가 4.6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 영역의 활동 점수가 2.36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의 차이는 결혼상태, 직위, 총 임상경력, 간호등급, 안전관리규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 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487, p<.001), 직무만족도(r=.494, p<.001)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즉,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안전간호활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직무만족도(r=.604, p<.001)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5.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회귀 분석 한 결과, 안전문화인식의 하부영역인 의사소통절차과정(β=0.213, p=.002)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안전문화인식의 하부영역인 간호단위의 근무환경(β=0.213, p=.008), 직무만족도의 하부영역인 직무자체 관련 요인(β=0.161, p=.033), 안전업무 규정 여부(β=.118, p=.041)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36.2%로 나타났다. Purpose: Although the patient safety is the first priority in hospitals, the safety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still poor in small-sized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working at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11 nurses from seve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on safety care activities was the communication method (β=.213, p=.002) followed by working environment (β=.213, p=.008), job contents (β=0.161, p=.033), and safety manual (β=.118, p=.04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ssociated with safety care activities were marital status, position, length of clinical experience, and grade of nursing staffing.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require positive and open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nurses, supportive working environment, clear job contents, and qualitative safety manual.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간호근무환경 및 안전간호활동의 관계

        신솔희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lation among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Hospital Nurses Shin Sol He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urpose :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practices. Method :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0 nurses working at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located in Gyeongsa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rch 23 to April 1, 2018. The tools used were the 'Questionnaire on Patient Safety' translated into Korean by Jeongeun Kim et al(2007) which is a translation of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developed by AHRQ(2004),‘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translated by Eunhee Cho et al(2011) and originally developed by Lake(2002), and the 'Questionnai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revised by Miyoung Han and Myeonsuk Jeong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 24.0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 patient safety culture score for subjects was an average of 3.39(±0.03) points on a scale of 5. In terms of the sub-categories, ‘Frequency of Events reported' scored the highest at 3.92(±0.66) points, and ‘Work Area/Unit' scored the loweset at 3.26(±0.31) points. 2) The perception of subjects towards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a positive 2.56(±0.38) points on a scale of 4. In terms of the sub-categories, ‘Nurse manager ability, leadership, and support of nurses’ and ‘Nursing foundations for quality of care’ scored 2.73(±0.46) points and 2.73(±0.39) points, respectively, while ‘Staffing and resources adequacy' scored the lowest at 2.12(±0.53). 3)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subjects scored 4.43(±0.47) on a scale of 5. In terms of the sub-categories, ‘Identification of patient’ was the highest at 4.54(±0.54), while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at 4.19(±0.63).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across different ‘age’ (F=4.75, p=.001) and ‘clinical career’ (F=3.80, p=.003).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cross ‘age’ (F=4.06, p=.004) and ‘clinical career’ (F=5.55, p<.001) as well as in safety nursing activities across different ‘age’ (F=2.58, p=.040) and ‘clinical career’ (F=3.19, p=.009). 5) Subjects’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r=.531, p<.001), while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r=179, p=.029).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too had a positive correlation (r=.421, p<.001).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ie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Nurse manager ability, leadership, and support of nurses’ category showe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ulture(r=.541, p<.001). Safety nurs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categories of patient safety culture, with the ‘Hospital’ category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r=.394, p<.001). Safety nurs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foundations for quality of care' (r=.292, p<.001) and ‘Staffing and resources adequacy' (r=.227, p=.005) in the category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verified that a higher perception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sco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while a higher patient safety culture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safety nursing activities. Moreover, among the sub-categorie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Nursing foundation for quality of care’, ‘Nurse manager ability , leadership, and support of nurses’ was correlated with higher safety nursing activities. A higher age and longer clinical career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refore, improved safety nursing activities through better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care and the safety of the healthcare environment. Key word :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연구목적 :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간호근무환경,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환자안전간호 실무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상남도 300병상 이상 병원에 소재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3일에서 4월 1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환자안전문화는 미국 의료연구품질관리부(AHRQ)에서 2004년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HSOPSC)를 김정은 등(2007)이 한글로 수정, 번역한 '환자 안전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하여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안전간호활동은 의료기관평가원에서 개발한 환자안전 문항을 한미영과 정면숙(2015)이 수정하고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39(±0.03) 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는‘사건보고의 빈도’영역이 3.92(±0.66)점으로 가장 높았고,‘병원/병동’영역이 3.26(±0.31)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정도는 4점 만점에 2.56(±0.38)점으로 긍정적이었다. 하위 영역별로‘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지지’,‘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영역이 각각 2.73(±0.46)점, 2.73(±0.39)점으로 가장 높았고,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영역의 점수가 2.12(±0.53)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43(±0.47)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정확한 환자확인’영역이 4.54(±0.54)점으로 가장 높았고,‘의사소통’영역의 점수가 4.19(±0.63)점으로 가장 낮았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연령’(F=4.75, p=.001)과‘임상경력’(F=3.80, p=.003) 에 따라 환자안전문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연령’(F=4.06, p=.004)과‘임상경력’(F=5.55, p<.001) 에 따라 간호근무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연령’(F=2.58, p=.040)과‘임상경력’(F=3.19, p=.009) 에 따라 안전간호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과 환자안전문화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531, p<.001)를 보였고, 간호근무환경과 안전간호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179,p=.029). 또한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21, p<.001). 환자안전문화는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의 전체 하위영역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 지지’영역이 환자안전문화와 가장 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41, p<.001) 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의 전체 하위영역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병원’영역이 안전간호활동과 가장 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94, p<.001). 안전간호활동은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영역(r=.292, p<.001), ‘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 지지’(r=.227, p=.005)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근무환경에 대해 높게 인식할수록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의 점수가 높았고, 환자안전문화가 높을수록 안전간호활동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간호근무 환경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과 ‘간호관리자의 능력, 리더쉽,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높을수록 안전간호활동이 높음이 확인되었다.‘연령’과‘임상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안전문화, 간호근무환경, 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간호근무환경 향상 및 환자안전문화 향상을 통한 안전간호활동 증진으로 궁극적으로 의료 질 향상 및 안전한 의료 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환자안전문화, 간호근무환경, 안전간호활동

      •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Effects on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Park Ji-Young Advisor: Choi Hanna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Nambu University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s to determine how general hospital nurs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ffect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study’s subjects comprised of 245 ward nurses who provided direct care to patients in 5 hospital accreditation evaluation non-accredit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A and B.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whi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3 to 26, 2022.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u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atient safety competency scale, and patient safety and management activities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attempt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general hospital nurs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 impac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to aid in effectively manag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s. It is an investigative study. 1. In terms of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221 (96.1%) were female, 155 (67.4%) were single in their marital status, and 151 (65.7%)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for their final education. The average age was 32.2 years, and the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3.5 years; 196 people (85.2%) were general nurses, and 186 people (80.9%) worked in 3 shifts. 2. The subjects’ degree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3.92±0.47 points out of 5, with 3.92±0.42 points out of 5 for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4.30±0.43 points out of 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3.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age (F=3.22, p=.042) and position (F=4.11, p=.018). Patient safety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F=4.49, p=.012) and patient safety-related work experience (F=2.57, p=.011). In addit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reported patient safety accidents (F=3.85, p=.01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dication error experience (F=3.50, p=.001) over the past 12 months. 4.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y (r=.62,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r=.60, p<.001). In addition, patient safety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64, p<.001). 5.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9.83, p<.00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ression model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tient safety competency (ß=.44, p<.001),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ß=.31, p<.001), and medication error experience (ß=-.15, p=.002)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50.7%.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tient safety competenc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medication error experience were influencing factor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fore, to promote general hospital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Furthermore,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an increase in fees, should be sustained to continue systematic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s. ........................................................................................................................................... Key terms: patient safety, risk management, awareness, competence, general hospital 국문초록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지도교수: 최한나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도와 B광역시 소재 병원인증평가 미인증 종합병원 5곳에서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병동 간호사 2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9월 13일부터 2022년 9월 26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박미정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환자안전역량은 Lee & Jang(2012)의 도구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한미영과 정면숙(201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종합병원에서의 효율적인 환자안전간호활동 관리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자가 221명(96.1%), 결혼 상태는 미혼이 155명(67.4%),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51명(65.7%)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나이는 평균 32.2세, 임상경력 평균은 3.5년,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96명(85.2%),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자가 186명(80.9%)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3.92±0.47점,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92±0.42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30±0.4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연령(F=3.22, p=.042)과 직위(F=4.11,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역량은 직위(F=4.49, p=.012)와 환자안전관련 업무경험(F=2.57, p=.011),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지난 12개월 동안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F=3.85, p=.010)와 투약오류경험 유무(F=3.5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환자안전역량(r=.62, p<.001), 환자안전간호활동(r=.60, p<.001),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간호활동(r=.6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회귀모형 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9.83, p<.001). 환자안전역량(ß=.44, p<.001),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ß=.31, p<.001), 투약오류경험(ß=-.15,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으며, 이 변수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50.7%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투약오류경험 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향상을 위하여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종합병원에서의 체계적인 환자안전관리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지속을 위하여 수가 개선 등의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전성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분위기,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3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3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안전분위기는 Singer 등(2009)이 개발한 PSCHO 도구를 황미숙(201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은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2014년에 개발한 상급종합병원용/종합병원용 병원인증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한미영, 정면숙(201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Version 24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분위기 평균 3.36±0.41점,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평균 3.36±0.35점, 비판적 사고성향 평균 3.30±0.37점, 환자안전간호활동 평균 4.15±0.5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현부서 근무경력(F=3.571, p=.030)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안전분위기(r=.413, p<.001),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r=.442, p<.001), 비판적 사고성향(r=.465,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 관관계가 있으며, 현부서 근무경력(r=-.206, p=.008)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β=.273, p<.001), 비판적 사고성향(β=.263, p=.001), 현부서 근무경력(β=-.167,p=.010),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경우(β=.210, p=.044)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4%였다. 본 연구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안전분위기 형성,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수준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보고 절차 확립, 높은 비판적 사고성향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대상자의 근무경력 및 부서 특성을 고려한 환자안전간호활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팀워크, 안전통제감, 사건보고태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남주언 순천향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팀워크, 안전통제감, 사건보고태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와 C도 및 S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2곳, 종합병원 1곳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9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팀워크를 측정하기 위해 Battles와 King (2010)이 개발한 TeamSTEPPS의 축약한 Brief-TeamSTEPPS (Castner, 2012)를 황지인과 안정훈(2015)이 번역한 도구를, 안전통제감을 측정하기 위해 Anderson (2004)이 개발한 Safety Control Scale을 정수경(2010)이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건보고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한미영, 정면숙(2017)이 2014년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환자안전평가의 항목을 토대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59명의 연구대상자 전원이 여성이었고, 20대가 66.0%였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73.6%, 최종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75.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직책은 일반 간호사가 91.2%, 내과계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71.7%, 총 임상경력은 3년 이상~10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가 4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경력은 2년 이상~4년 미만이 45.9%로 가장 많았다. 2. 1년 이내 환자안전교육을 받은 간호사는 94.3%, 환자안전사고를 3회 이상 경험한 간호사가 52.8%,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3회 이상 보고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39.0%로 나타났으며, 인증평가를 경험한 간호사가 56.6%, 병원 또는 병동 내 환자안전관련 업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58.5%였다. 3. 대상자들의 팀워크는 평균 83.43±9.23였다. 안전통제감은 평균 27.40±3.94였으며, 사건보고태도는 평균 45.97±6.44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평균 150.17±12.55였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중 직책,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책임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가 일반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이 2년 이상인 간호사들이 6개월 이상 2년 미만인 간호사들에 비해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5. 대상자의 팀워크, 안전통제감, 사건보고태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팀워크, 안전통제감, 사건보고태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팀워크, 안전통제감, 사건보고태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6.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정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팀워크, 직책,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해 28%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일반간호사에 비해 책임간호사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이 6개월 이상 2년 미만인 간호사들에 비해 2년 이상인 간호사들이 환자안전간호활동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근무경력 2년 미만인 일반간호사들을 위한 표준화된 환자안전간호활동 매뉴얼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팀워크 수준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팀워크의 기술 및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방법과 효과검증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환자안전사고 관리를 위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 개발 및 시뮬레이션

        김진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사용하여 환자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통해 올바른 한자안전문화 형성 및 안전한 의료 환경 구축을 위한 전략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각종 통계자료를 참고하여 환자안전사고 발생 인과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VENSIM DSS 6.3D version을 사용한 환자안전사고 관리 모델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델에 환자안전교육, 환경개선, 시간지연의 변화를 중심으로 8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요 변수의 변화에 따른 환자안전사고 발생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시행 결과 환자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교육과 환경개선에 대한 활동이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동시에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하며 시간지연이 적을수록 환자안전사고의 발생을 줄이고 근접오류의 보고 건수 또한 빠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환자안전사고 발생 예측과 관리를 통해 환자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한 적합한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안전사고 발생과 관련된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환자안전사고 발생 수준을 예측 할 수 있고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계획이나 시스템 구축에 있어 전략적 근거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