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전소설을 통한 인성교육 내용 연구

        구민정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19

        교육의 목적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현대 교육에서는 이런 사람됨을 위한 교육이 외면당하고 있다. 학력 중심 교육이 팽배해짐에 따라 학력 교육과 관련이 적은 인성교육은 상대적으로 홀대받게 된 것이다. 게다가 학력중심사회에서 협력, 조화 보다는 경쟁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주류를 이루다보니 학생들은 서로에 대한 배려나 인정보다 상대를 눌러야 자신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경쟁적 사고방식에 더욱 익숙해져 버렸다. 이러한 서로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폭력, 왕따 등의 각종 사회적 범죄로 연결되기도 하고 충동적 행동이나 무분별한 모방 행동으로 문제를 만들기도 한다. 전통사회에서의 교육은 곧 인성교육이었던 바, 오랜 시간 전통적 인성교육 내용이었던 오륜과 오상의 윤리지침은 인성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오늘날에도 그 교육적 활용도가 높은 덕목이다. 우리는 인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바른 것과 바르지 못한 것의 차이를 구분하고 또 그 잣대에 비추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자신을 위해 노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끊임없는 노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노력의 원동력, 즉 이상적 목표를 교육은 제시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가치 잣대가 전통 인성교육의 오륜과 오상의 덕목이다. 그래서 이를 학습자들이 내면화할 수 있도록 고전소설을 통한 인성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래 사회의 인재는 사람과 함께 상생의 삶을 살 수 있는 존재여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인간의 존재 자체를 제일의 가치로 인식했던 전통적 인성교육 내용을 계승하여 고전소설을 통한 더욱 다양한 교육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 퇴계 이황의 스포츠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김남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19

        우리 사회의 지나친 경쟁 문화가 낳은 서열화 현상은 교육의 본질을 흔들어 놓았다. 교과목 학습을 통한 학업능력은 높아졌으나, 교육으로 이루고자 하는 정신적 가치는 정량화되지 않아 점차 소홀히 다루게 되었고, 이에 따른 올바른 품성과 예절, 관계성 함양을 골자로 하는 인성교육의 부재는 여러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어 우리 사회로 되돌아오고 있다. 이러한 교육 현상은 오늘날 실효성있는 인성교육을 강하게 요구하며, 어떤 가르침을 인성교육의 모델로 삼아, 교육 현장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일으켰다. 이에 인성교육의 바람직한 지향점으로, 체육교과를 통한 실천방안에 퇴계의 성학(聖學) 교육을 제안하고, ‘성인에 이르는 길’이 미래 인성교육 현장에서 갖게 될 새로운 가치를 조명하였다. 인성은 인격을 이루는 근간이기에, 인성의 문제는 인간의 본질적 문제로 귀결된다. 퇴계는 이(理)에 해당하는 인간 본성을 지향하고, 기(氣)에 해당하는 삶의 현상이 경(敬)으로 합치될 때, 인간완성에 이른다는 교육의 대전제에 따른다. 이러한 퇴계의 인간 본질에 대한 탐구와 교육은 인성교육의 가장 좋은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퇴계의 성학을 반영한 체육교육인 스포츠인성교육의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퇴계의 교육철학이 응축된 『성학십도』를 주요 텍스트로 삼고, 이와 관련된 각종 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논증한 문헌 연구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인성교육의 개념론이다. 성학은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교육으로, 퇴계에 있어 본성은 곧 인성을 의미한다. 즉 인성은 하늘의 이치인 도(道)가 인간 안에서 완성된 덕(德)으로써, 이치를 깨우치는 궁리(窮理)에 그치지 않고, 주체적인 경(敬)의 삶을 통해 실천될 때, 성인에 이른다. 이러한 성학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인격적 삶을 실현하는 이상적인 교육이다. 이에 따른 스포츠인성교육은 스포츠인성을 실현하는 교육으로, 스포츠의 삶을 통해 인성(덕)의 밝힘과 살림이라는 활인지학(活人之學)을 내포한다. 둘째, 스포츠인성교육의 목적론이다. 퇴계는 성학의 목적은 성인이요, 주체는 마음이라 하였다. 성인은 인(仁)의 덕(德)을 실현한 자로써, 사적 자아를 조율하고, 공적 자아를 보존하는 존양·성찰에 의한다. 이에 스포츠인성교육의 목적은 경(敬)을 통한 스포츠인성의 체득이고, 이를 실현한 활인은 본성(이)을 지향하고, 발현된 인성(기)을 조율하여 삶을 살리는 체육인이다. 구체적 목표는 스포츠인성을 체득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이 된다. 학생들은 건강한 삶과 올바른 삶의 방식을 스포츠를 통해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셋째, 스포츠인성교육의 방법론이다. 퇴계의 성학을 반영한 스포츠인성교육의 수업구조는 일반적인 체육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도입-전개-정리의 구조가 아니라 지덕(知德)-행덕(行德)-성덕(省德)의 과정이 덕(德)을 중심으로 수렴되는 구조이다. 이는 퇴계의 인격 완성에 이르는 궁리-역행-거경을 적용한 것으로, 교육의 본질인 인성(덕)과 통합되고, 전 과정은 경으로 일관한다. 이상의 연구를 현재 우리 스포츠 현장에 적용해보면 오늘날 스포츠인성교육은 스포츠를 통해서 자기를 삼가 돌아보고(敬:存養省察), 자기를 위한 공부(爲己之學)요, 건강한 삶을 위한 공부(活人之學)로, 덕을 알고(知德), 덕을 행하며(行德) 덕을 성찰하기(省德) 위한 활인 교육이다. 체육에 있어 기능·지식·태도의 탁월한 구슬은 덕(德)이라는 하나의 실로 꿰어질 때, 아름다운 인성을 함양하게 된다. 고로 스포츠의 정신(이)을 스포츠의 행위(기)로 실현하는 퇴계의 스포츠인성교육은 한국 체육에 적합한 모델이 될 것이다.

      • 인성 동화를 활용한 장애유아통합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지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 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유아의 배려행동 및 창의적 인성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인성 동화를 활용한 장애유아통합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인성 동화를 활용한 장애유아통합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K도에 위치한 J어린이집과 G어린이집, B어린이집 만5세반 세 학급(실험집단 9, 실험집단 9, 비교집단 18)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평균 연령은 69.17개월, 비교집단 유아들의 평균 연령은 70.33 개월로 동질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배려행동 검사, 창의적 인성검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용 배려행동 측정도구로는 이춘희(2008)의 도구이며 Lipman(2003)의 배려적 사고 유형별 특성을 기본으로 한 교사용 척도를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인성 측정 도구로는 Rimm(1983)의 PRIDE를 참고한 도구로 이영, 김수연, 신혜원(2002)의 유아의 창의적 행동의 특성을 검사하는 도구인 RSCCP를 보완한 조현정(2010)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선행연구 및 인성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후,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 활동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장애통합 교실에서의 인성 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 활동을 제공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일반 교실에서의 인성 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 활동을 제공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유아 배려행동과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처치 전, 사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처치는 2018년 5월 17일부터 7월 6일까지 일주일에 2회, 동화 및 협동미술활동으로 8주간 총 18회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에 배려행동과 창의적 인성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사후검사를 통해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자는 사전과 사후검사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연구결과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통합교실에서의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일반교실의 유아들보다 유아의 전체 배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 발달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장애통합교실에서의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일반교실의 유아들보다 유아의 전체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소인 독립성-몰두, 개방성-유머, 독특성-호기심, 상상력-놀이성, 민감성-다양한 흥미에서도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using character story on 5-year-old children’s caring behavior and creative personality in 2 different education classroom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y using character story on Children’s Caring Behavior in inclusive education clas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y using character story on 5-year-ol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 inclusive education class? Children in three classes of 5-year-old (9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 J Childcare center, 9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in G Childcare center, and 18 children of control group in B Childcare center)located in K province.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69.17 months old whereas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as 70.33 months old. To measure the children’s caring behavior, this study used the tool for testing children’s caring behavior adapted and modified by Chung-HeeLee(2008)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aring behavior developed by Lipman(2003). In addition, to measure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used the RSCCP tool for testing creative personality modified by Hyeon-Jung Cho (2010) which was the PRIDE tool originally developed by Rimm(1983) and adapted and modified by Lee Yeong,Kim Su-yeon, and Shin Hye-won(2002). The validity of two measurement were verified prior to the study. This study collected the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children’s personality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to compose cooperative art activity using character story. For experimental groups, the cooperative art activity using character story was offered in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 and for control group, same cooperative art activity using character story was offered but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Prior to the experiment, a pre-test was conducted to check on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8 weeks, for 18 times by using fairy tale and cooperative art activity from May 18 to July 6, 2018.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 pos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hildren’s caring behavior and creative personality.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ffects of children’s caring behavior and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used statistical software SPSS 20.0.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 significati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2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positive affects on children’s caring behavior in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 using cooperative art activity compare to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operative art activity have effects on children’s caring behavior. Second, there was a positive affects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 using cooperative art activity compare to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In the sub-factors of independence-endurance ,openness-humor,uniqueness-curiosity,imagination-playfulness,sensitiveness-various interests,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자아개념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에 따른차이를 분석하여 영아의 인성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2세 영아 82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41명씩이며, 실험집단의 영아는 24회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검사도구는 서미경(2004)의 ‘만 2세아 기본생활습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예절, 질서, 청결, 절제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아개념 척도는 김호인(2010)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중 자아개념 부분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을 사전⋅사후 측정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생활습관 전체 및 하위 요인인 예절, 질서, 청결, 절제영역 모두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표준보육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점수가 높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아의 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아개념 점수가 높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성, 기본생활습관과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영아의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때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를 영아 인성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김정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919

        Character is being transformed and expanded into a fulfillment-oriented core competence perspective to demonstrate one's potential and accomplish a successful task throughout one's life. Due to the change of perspective to see the character as a core competence, the university students are also required to have multidimensional character competence as a social member in the professional world,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scale to measure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and to find effective ways to support learning in companies and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onstruct model that explains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was set up and the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this mode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results of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scale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construct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established and a sub-factor framework was developed by extracting the behavioral indicators by sub-factors. Second, an initi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sub-factors of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Third, two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norms were developed of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was considered to occur at the 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ty levels, and the structur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lf-management, openness, empathyㆍcommunication, collaboration, civic virtue, and a sense of community. Second, unlike the organizational citizens' behavior which is mainly exhibited in the existing enterprise, citizens 'ethic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are exercised at the social level of the individual were derived.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that should be emphasized and directed in university's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which was originally personal or focused on other individuals to community competence (civic virtue,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measurement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an integrated viewpoint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competence dimensions. In this study, the occupational character was considered as the competence that is actually expressed by approaching the competence necessary in the professional world, and the recognition, definition and action area of the character that is necessary in the context of context were examined. Fourth,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derived from this study considere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self-management, understan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joint social responsibility, by searching competence necessary as a social member in the professional world. Fifth, a scale was develop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hanges accordingly to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job. Sixth,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and character competence could be don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isciplinary approach.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organic combination and stereoscopic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concept of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which university students should have as social members in the world of work was defined and sub-factors were derived and conceptualized. Second, basic data were provided to allow future studies on the leading factors and the trailing factors related to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Third, a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scale was developed that reflects the tal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Korean companies. Fourth, by defining the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of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the core competence-oriented educational goals including character were presented. Fifth, it was confirmed that vocational characters should be integrated. Sixth,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should be accompanied by 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uld be verified by observing individual character level changes. 인성은 평생에 걸쳐 자신의 잠재 가능성을 발휘하고 성공적인 과업 수행을 하는 데에 필요한 성취 지향적인 역량 중심 관점으로 확대되고 있다. 인성을 역량으로 보는 관점의 변화로 인해 대학생 역시 직업 세계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차원적인 인성역량이 요구되며, 직업인성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효과적인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 기업과 사회에서의 실효성 있는 학습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대학생의 직업인성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을 설명하는 구인화 모형 설정과 설정 모형을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직업인성 역량 척도 개발과 타당화 결과는 첫째, 연구자가 최초 설정한 대학생의 직업인성 역량 구인화 모형이 확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하위요인 측정을 위한 요인별 행동지표를 추출하여 하위요인 틀을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 하위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초기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 예비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차 예비조사 및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본조사 실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 척도의 규준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론 및 논의는 첫째,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직업 인성 역량의 여섯 가지 구성요인을 개인, 관계, 사회 차원에서 발현되는 다각적 요인으로 보았다. 둘째, 기존의 기업 내에서 발휘되는 조직시민행동과 달리 개인이 속한 사회 차원에서 발휘되는 시민적 덕성과 공동체의식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직업인성 역량에서의 도출된 시민적 덕성과 공동체의식을 도출함으로써 대학 인성교육에서 강조하고 지향해야 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인지, 비인지 역량 차원의 통합적 관점을 갖고 측정 문항이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을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역량으로 접근하여 실제 발현되는 직업인성을 역량으로 보고 상황적 맥락에서 필요한 인성 역량의 인지, 정의, 행동영역을 밝혔다. 넷째, 이 연구에서 도출된 직업인성 역량은 훌륭한 직업인과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기관리, 자기 분야에 대한 책임, 공동의 사회적 책임 등을 포함한 대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였다. 다섯째, 직무 수행 시 필요한 직업인성 역량을 밀레니얼 세대인 대학생으로 이들의 특징과 그에 따라 변화하는 조직문화를 반영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여섯째, 대학생 직업인성 역량이 학년별, 전공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인성 역량이 분과학문별 접근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학에서는 직업인성교육이 유기적 결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입체적 인성교육을 도모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이 직업 세계와 사회에 진출할 때 필요한 직업인성 역량 개념을 정의하고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개념화하였다. 둘째, 향후 직업인성 역량과 관련된 선행요인 및 후행 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셋째, 국내 기업의 인재상과 조직문화를 반영한 직업인성 역량 척도를 개발하였다. 넷째, 국내 대학생의 직업인성 역량을 정의함으로써 대학에서 인성을 포함한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다섯째, 직업인성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직업인성 역량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하며, 개인의 인성수준변화추이 관찰과 함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20세기 성악곡에 나타난 인성기법의 연구 : 1950년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919

        20세기는 그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 변화가 빠른 시기이며, 음악의 본질이나 작곡기법에 이르기까지 음악양식에 대한 새로운 개념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는 시기이다. 다른 기악곡들과 마찬가지로 성악곡도 현대 작곡가들에 의해 획기적으로 다뤄졌는데, 특히 성악곡에서는 전통적인 발성법을 벗어나 인성이 가지는 한계점과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인성으로 가능한 모든 표현들이 실험되었다. 쇤베르크(A. Schoenberg;1874-1951)의 <달에 홀린 삐에로:Pierrot Lunaire(1912)>에서 사용된 ‘말하듯이 부르는 노래(Sprechstimme)’가 20세기 성악곡의 새로운 장을 연 이래로 1950년 이후 많은 작곡가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인성을 새롭게 다루었다. 인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수많은 소리들로는 혀를 차거나 입술이나 뺨으로 ‘펑’ 소리를 냄으로써 나는 타악기 같은 소리뿐만아니라 속삭임 소리에서 개 짖는 소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소리들-고함, 울부짖음, 헐떡거림, 한숨, 절규의 소리, 콧소리등-과 같은 ‘소음적 음향’들로 매우 광범위하다. 이렇듯 인성음향의 확대로 인해 전통적인 성악곡에서 보여지는 음악과 언어와의 긴밀한 관계는 점차 상실되어 갔고 극단적으로는 결국 정상적인 언어로는 전혀 인식될 수 없는 독립된 자음과 모음에 의한 음성적인 소재만으로 된 성악곡이 출연하게 되었으며 이런 실험적인 작품들이 현대음악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본 논문에서는 20세기의 성악곡에서 나타나는 언어와 음악간의 관계를 ‘의미론적 측면’과 ‘음성학적 측면’을 살펴보고, 특히 이 논문의 중심이 되는 1950년대 이후 성악곡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인성기법들을 케이지(John Cage:1912-1992)의 <Aria(1958)>와 죠지 크럼(George Crumb:1929-)의 <Night of the Four Moons(1969)>, 루치아오 베리오(Luciano Berio:1925-)의 <Sequenza III (1966)>, 죄르지 리게티(Gyorgy Ligeti:1923-)의 <Aventures(1962)> 네 작품을 중심으로, 20세기 후반의 성악곡에서 나타나는 인성기법의 일면을 연구하고자 한다. 케이지의 <Aria(1958)>는 악보 자체부터 상상을 초월하고 있으며, 특수한 인성기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음악의 전개방식에 있어서 모든 것을 연주자의 자유에 맡기고 있으며 인성을 사용한 ‘소음’을 직접적으로 음악에 포함시키고 있다. 반면 크럼의 <Night of the Four Moons(1969)>은 비교적 전통적인 기보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음악 전개방법에 있어서 작곡가의 의도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크럼은 특히 가사가 의미하는 내용을 음악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에 사용된 인성기법으로는 말하는 듯이 부르는 노래, 소리없이 부르는 노래, 속삭임, 말하기, 소리치기 등으로 인성의 색깔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 해서 가사의 내용과 함께 음악 전반적인 분위기를 주도한다. 베리오의 <Sequenza Ⅲ (1966)>은 우연성의 도입과 특수 기보된 악보가 사용되어 있는데, 전체는 단악장으로 일정하게 정해진 가사와 중심음은 없고, 음의 높낮이, 강약, 리듬 등은 연주자의 임의에 맡기고 있다. 또한 무대 위에서 행위가 요구되어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음악을 만들고 있으며 연주자에게 고도의 기술과 즉흥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작품 전체에 나타난 인성기법은 노래되는 선율, 리듬효과, 음색효과, 입 위에 손을 얹어 그것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들로 상당히 확장된 인성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리게티의 <Aventures(1962)>에서 리게티는 의미있는 가사를 사용하지 않고 의미없는 음성학적 기호들을 이용하여 소리 자체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무대적인 동작’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악보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곡에서 사용된 인성기법으로는 노래되는 선율, 말하는 선율, 또는 말로 처리된 가사, 음색효과 등이 있다. 20세기 후반(1950년대 이후)의 성악곡은 새로운 인성기법의 사용으로 음악의 새로운 음향학적인 기능성과 풍요로운 음악언어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The 20th Century has been a time varying faster than any other century and when new concepts of music form, style, composition technique have a complex and varied aspect. Like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also was epochally treated by modern composers, and especially in vocal music, freed from traditional vocalization, all vocal writing expressable was experimented with in spite of the limits and boundaries vocal writing has. Since ‘Sprechstimme’, used in <Pierrot Lunaire (1912)> by A. Schoenberg(1874-1951), opened the new field of 20th century vocal music, many composers dealt with human voices in their works. Sounds expressable through vocal writing is ‘noisal sound’ and very wide ranging, for example not only the percussion sounds by clicking tongue or uttering ‘bang’ with cheeks or lip, but also almost all sounds from whispering to barking - shouting, crying, gasping, screaming and nasal sounds. Thus the close connection of music and language seen in traditional vocal music little by little was lost, vocal sounds, like independent consonants and vowels unrecognizable by normal language, appeared, and the influence on modern music these experimental works had is very deep. In this paper, ‘The Semantics side’ and ‘The Phonetic si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music after the 1950’s is studied, especially examing various vocal writings in <Aria (1957)> by John Cage, <Night of the Four Moons (1969)> by George Crumb, <Sequenza Ⅲ (1966)> by Luciano Berio, <Aventures (1962)>by Gyorgy Ligeti. <Aria> by Cage surpasses the imagination even in the score itself and there is no specific vocal writing in this work. He includes ‘noises’ in his <Aria> and leaves all to the freedom of the singer. On the other hand <Night of the Four Moons> by Crumb by comparison traditional music notation and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is clearly expressed in music development. Crumb especially expresses musically the contents of the textual meaning. The vocal writing in these songs, are used, half singing, unvoiced singing, whispering, speaking, shouting and lead the mood of the whole music with the contents of the text by such means varying the color of vocal writing. <Sequenza Ⅲ> by Berio, is an example aleatory music and the score employs a special notation. The structure is of one section and there is no fixed text or tone center. According to the performer’s own will, dynamics, rhythm and pitch are limited only by, the performers ability. <Aventures> by Ligeti stresses the symbols of sound itself using not the text but meaningless phonetic sings. ‘stage gestures’ are required and this is explained in the score. The vocal writing in these songs are for singing voice, rhythmic effects, timbre effects, hand over mouth and so on. Vocal music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had a pote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usic language by using such varied vocal writing techniques.

      • 인성교육 프로젝트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안미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친구를 주제로 인성교육 프로젝트 적용을 통하여 나타나는 아동들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학년 29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이 연구와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젝트를 적용한 집단은 일반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에 비해 피선택 수와 상호선택 수에서 더 큰 증가를 보인다. 따라서 인성교육 프로젝트는 일반수업 프로그램보다 사회성 증대에 효과적이다. 둘째, 인성교육 프로젝트를 적용한 집단과 일반 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간에 나타난 피선택 수와 상호선택 수의 변화 정도는 성별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아동에 관계없이 인성교육 프로젝트는 일반수업 프로그램보다 사회성 증대에 효과적이다. 셋째, 인성교육 프로젝트를 적용한 집단이 일반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보다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친구를 주제로 한 인성교육 프로젝트는 친구에 대한 신념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친구를 존중하는 마음과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되고 이러한 마음이 친구를 위하는 행동으로 이어져 아동의 사회성 신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인성 유형 연구

        김현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인성(character)이란 개인이 내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중립적인 기질 및 특성(personality)과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윤리·도덕(morality)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고유한 개인의 품성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인성은 그 사회의 안녕과 질서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특히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이 될 중요한 인적 자원으로,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청소년의 인성 및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성에 주목하여 서로 다른 인성 유형이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유형에 따른 학습적 특성을 파악하며, 학습에 대한 인성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 유형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변인-중심적 접근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점차 개인-중심적 접근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개인-중심적 접근방법은 개별 집단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다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개인-중심적 접근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해 인성 유형을 탐색하고 추출된 인성 유형별로 학교생활적응, 학습동기, 학습전략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된 인성의 구성 요인에 정서적 요인을 추가하여 지표를 구성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인성유형에 따른 학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 변인(학교생활 적응, 학습동기, 학습전략)에 대한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학습에 대한 인성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중·고·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06명, 고등학생 155명, 대학생 76명으로 총 1028 명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결과로는 첫째, 청소년의 인성 수준은 예절/존중, 공동선, 도덕적 판단력의 순으로 높았고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생, 대학생, 고등학생의 순이었다. 또한 고등학생은 높은 수준의 부정정서와 무기력을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에게서는 성숙형, 보통형, 미성숙형의 3가지 인성 유형이 추출되었다. 성숙형은 인성과 긍정정서 수준이 높고 부정정서와 무기력 수준은 낮은 모습을, 미성숙형은 인성과 긍정정서 수준이 낮고 부정정서와 무기력 수준은 높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인성과 정서에서 평균적인 수준을 보이는 보통형은 학교급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는데, 중학생 보통형 집단에 비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지표 간 수준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부정정서와 무기력을 높게 경험하고 긍정정서 수준이 낮은 반면, 대학생의 경우 긍정정서 수준이 높고 부정정서와 무기력에서 낮은 모습을 보였다. 셋째, 탐색된 인성 유형에 따른 학습 특성으로는 인성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성수준에 따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학습 변인은 학교수업이었고 가장 작은 차이를 나타낸 학습 변인은 외재적 동기였으며, 대학생에 비하여 중·고등학생이 유형별 학습변인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개인적·관계적·공동체적 3개 차원의 인성은 학교생활적응, 학습동기, 학습전략에 대하여 각각 57%, 48%, 4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의 세 차원에 정서를 추가할 때 학교생활적응은 7%, 학습동기는 32%, 학습전략은 15%의 설명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인성이 학교생활이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인성에 정서를 포함하게 될 때 설명량이 훨씬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성의 구성요인에 정서 요인을 함께 포함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인성 유형이 안정적으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성과 정서 요인이 학습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인성 유형에 따른 학습 특성을 탐색함으로써 유형별 차이를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Character is a unique personality of person, combination with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lso the value-neutral nature, socially required ethics and morality. The character of members of the socie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well - being of the society and the maintenance of order. Especially, The adolescent is an important human resource that will be the future leader. Our society getting increase for interested in character and educate about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different character type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adolesc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 confirm that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learning. The study of learner types has been done mainly the way of traditional variable-centric approach. However, recently, it has gradually developed into a person-centered approach way. As the individual-centered approach can more realistical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group,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 type according to the LPA, which is a personal-centered approach. Moreover, explores different between character types in school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To do this, constituent factors of character researched from previous studies and added emotional to factors. And investigated trough these constituent factors by LP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on learning variables (school life adapt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to identify learn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racter type. Also, the relative influence of chracter factors on learning was confirm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028 students, 206 middle school students, 155 high school students, and 76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main results confirm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type of chacter showed that etiquette/respect is highest and then common good, then moral judgm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is highest, and then colleg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las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y are high level of negative emotion and helplessness. Second, three types of character were extracted from adolescent: mature, normal, and immature. Maturity type has high level of character and positive emotions, and low level of negative emotions and helplessness. Immature type showed that contrasted results, they are low level of character and positive emotion but also high level of negative emotional and helplessness. The normal type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ompa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howed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indicators.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high levels of negative and helplessness and low levels of positive emotions while college students have high positive emotions and low negative emotions. Third, as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racter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haracter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The variables that showed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haracter were school class, the smallest difference was external motivation, and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big differences in learning variables according to character type. Fourth, the character of adolescents showed 57%, 48%, and 47% explanatory volume on school life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respectively. When adding emotions to the factors of personality, explanatory volume increased by 7% for school life adaptation, 32% for learning motivation, and 15% for learning strategy.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 of adolescents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school life and learning, and the amount of explanation is much larger when emotions are included in charact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toughness typ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stably by including emotional factors in the constituent factors of toughness. Also, we confirmed the relative influence of character and emotional factors on learning. It is meaningful that the learner-centered character educa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 by type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