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es avatars du Roman de Renart au dix-neuvieme siecle et au vingtieme siecle

        길우경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87 해외박사

        RANK : 237343

        Roman de Renart는 중세문학의 주요작품중의 하나로서, 사회의 모든 계급층에서 상 당한 popularit�馝�누렸다. 원래 roman이란 단어는 12·13세기의 중세문학에 있어서 속어로 씌여진 작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Roman de Renart는 1171-1250년에 걸쳐 씌여 진 27편의 각기 독립된 지편을 모은 것이다. 이 작품의 성공으로 말미암아 Roman de Renart의 후편들이 연달아 등장했고, 여우를 가리키던 goupil이란 단어는 15세기에 없 어지고, roman do Renart의 주인공인'renard'가 여우를 지칭하는 일반명사가 되었다. Roman de Renart의 첫번째 현대어(fran��is moderne)로의 번안각색은, 1861년 Paulin Paris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면서 Roman de Renart의 versions modernes 들이 잇달아 등장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대표작으로 볼 수 있는 5개의 Rena rt 소설을-Paris, Chauveau, Schmidt, Haumont, Genevoix -선택해서 각각 분석하고 비 교해 봄으로써, 19세기에서 20세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여우이야기」의 변화와 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 Moliere et l'esthetique "Naturaliste"

        Lee, Sang-Ou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2 해외박사

        RANK : 237103

        몰리에르가 고전주의자라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운명지어진 한 삶의 모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류가 늘 불안정한 균형으로써 대표되는 모델이다. 그의 극미학은 자연과 반자연 사이에 영원히 대립되었다. 그는 자연의 이법에 기초되고, 자연 철학에 근거하며, 자연주의적 미학을 묘사하는 균형스런 삶의 추구를 촉구한다. 그의 작품 속에서 "자연주의적" 미학을 논할 수 있다면, 그것은 그의 극작품 세계가 자연스러움의 모방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모든 작품이 동시에 이상주의적 美의 장소이며 모든 오해의 장소인 자연의 섭리에 따라서만 중요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그의 미학의 주된 주제는 자연의 이름으로 진리의 표현을 묘사하고 자연에 일치하는 모든 것을 추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몰리에르는 "재치를 뽐내는 여자들"로부터 "위선자"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자연주의적 극미학의 이론을 정당화한다. 그는 자연스런 쾌락을 찬미함으로써 자연의 승리를 극의 결말로 유도하는 몽떼뉴적·가쎈디적 지혜와 결합한다. 여기에서 교양인의 역할은 작가의 대변자로서 반자연적인 모든 요소들을 배척하며, 미와 진실에 기초된 양식과 중용을 인류의 실천 규범으로써 부각시킨다. 물론 그의 희곡의 목적은 나쁜 풍습과 인간의 모든 결함들을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으면서, 그의 스승인 가쎈디적 쾌락주의에 근거한 절제와 중용을 구현한다. 그러나 "위선자"를 발표한 이후, 그는 "돈주앙"에서 교양과 진정성과 진실 가운데 놓인 자연과 반자연에 관하여 자문하기에 이른다. 인간이란 진정으로 교정될 수 있는 존재인가? 그러나 "인간혐오자"(1666년)와 더불어 교정 불가능성을 고백한다. 따라서 도덕적 희곡의 존재이유는 다소 모호한 색채를 띠게 된다. 이것은 당대 그의 친구였던 라 모뜨 르 봐이에의 사상과 완전히 일치하는 점이다. 그는 인간을 교정하고 사회를 개혁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스스로 자각한다. 그의 주인공 알세스트의 세계관으로부터 불가능한 세계를 만들음으로써 희곡의 교육적 소명으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한다. 마침내 몰리에르적 의식의 드라마는 예술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이어서 종합예술의 성격을 띠는 코메디-발레를 통하여 쾌락적 예술과 자연스러움의 예술을 향하여 이끌려 간다. 인간은 스스로 교정될 수 없는 존재이다. 따라서 작가는 인간을 광기의 상징으로 미화한다. 자연과 반자연, 예술과 의술, 이성과 몰이성, 양식과 광기는 그의 마지막 작품 속에서도 언제나 대립한다. 의술이 인간의 고통만을 연장시켜 줄 때, 예술은 광기어린 인간에게 영혼의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잠시나마 고통을 잊게 해 주며, 본성 스스로 치유되기를 바라는 정신물리학적 치료를 제공해준다. 그것은 자연과의 교감이며 본성과의 교감이다. 따라서 그는 삶의 즐거움이란 예술 속에 몰입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작가의 환상이며, 예술의 고독인 것이다.

      • Apollinaire et la sculpture

        권용준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6 해외박사

        RANK : 237087

        본 논문은 금세기 초엽 프랑스의 전위 예술가들에 의해 주도된 예술의 현대성을 탐구하기 위한 운동으로 일대 전환기를 살아간 시인이자 예술 비평가인 기욤 아뽈리네르 Guillaume Apollinaire 의 조형예술에 관한 관점을 밝히는데그 목적이 있다. 예술에 관한 그의 관점과 단상에 관한 연구는 이미 다양한 각도에서, 특히 입체파와 그 화화예술에 관한 그의 안목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 역시 그의 예술에 관한 글을 연구 대상으로 하되 특히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는 ‘조각 평론'을 중심으로 예술에 대한 그의 생각을 탐구하여, 회화가 아닌 조각 비평가로서 시인의 위상을 최초로 정립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금세기 초엽은 예술의 현대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고 낡은 전통에서 벗어나 예술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이던 시기 로, 시인이 <<혼란을 질서화 시키는 것, 그것이 창조행위이다 Ordonner un chaos, voila la creation>>라고 규정했듯이 <<전통과 창조 즉 질서의 모험의긴 투쟁 une longue querelle de la tradition et de l'invention / de l'Or-dre et de l'Aventure>>이 가속화 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질서의 탐험을 위한 격동기에 나타난 아뽈리네르의 미학은 본질적으로 입체파예술정신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특이한 점은, 한 예술정심이 일단 질서 체계화되면 전통 규범화 된다는 이유로 전위 예술가들의 예술적 결과보다는 이를 위한 그들의 노력과 과정 자체를 중시하면서도, 새로움을 지향하는 예술적 고뇌라는 추상적 가치가 지니는 내적이며 창조적인 힘 - 마치 그가 우위에 두는 예술을향한 정신적인 힘은 바로 구속력을 갖는 모든 체제의 거부이며 창조행위의 우월성인 만큼 - 을 현대 예술운동에 국한시키지 않고 과거의 위대한 예술정신 에까지 포괄적으로 적용시키는 유연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 게 있어서 이 창조정신은 규정되고 고착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성에 따라 다르게 표출되는 가변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이 정신은 미래에 대한 가능성의 시사 속에 과거의 전통 체계에 항거하는 집단이라기 보다는 개인적이 며 독창적인 무형의 가치를 지니는 만큼 다양하게 표출된다고 할 수 있으며, 그가 <<진실은 항상 새로운 것이기에 그 현실은 결코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Mais on ne decouvriria jamais la realite. La verite sera toujours nouve-lle>>라고 이야기한 만큼 이 가변적 정신 자체를 예술적 진실로 간주함을 알 구 있다. 더우기 그는 금세기 초엽의 신 미학의 특징을 ‘놀람 la surprise'의 효과 로 규정하고, 이 효과를 위한 또다른 예술형태의 창조를 가능케하는 원동력을‘신 정신 l'esprit nouveau' 이란 용어로 함축시키고 있다. 이 용어를 통해 아뽈리네르가 중시하는 것은 하나의 규정화된 예술 이론이나 특정 유파 혹은 한 예술 경향의 지지를 고집하는 편협성이 아닌 다양한 예술 경향에 대한 개 연성과 함께 각 예술가가 보이는 개인적 독자성과 개별성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의 이러한 예술에 대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전개되는 견해는 회화 뿐 아니라 조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본인은 본 논문을 통해 시인이 언급한 조각가들의 작품을 찾아내 조각에서 아뽈리네르가 높이 평 사했던 제 양상과 유파의 예술적 특성을 현대 예술 사가들의 견해와 비교하 고, 또한 당대의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나타난 다양한 사실들을 통해 시인의 비평문에 대한 당위성과 그의 독자적인 조각 예술관을 밝히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소재로는 시인이 언급한 수많은 조각가들 중에서 그들의 예술정신과 의도가 아뽈리네르에 의해 중요시된 몇몇의 경 향과 예술가를 선별함으로써, 흑인 예술 l'art negre을 비롯해 전통보다는 모험적 조형성을 시도했던 독자 정신 l'esprit nouveau을 지닌 뤼드 Rude와 로 댕 Rodin, 그리고 입체파 정신에 입각해 건축에 비견되는 ‘순수성' 이라는 조각의 새로운 운명을 제시했던 아르쉬펜코 Archipenko, 뒤샹 빌롱 Duchamp- Villon, 나델만 Nadelman, 부랑꾸지 Brancusi 및 이탈리아 미래주의 운동과 그 선두 주자였던 보치오니 Boccioni 등과 같은 전위 사상 l'idee d'avant- garde의 예술가들, 그리고 전통적인 아카데미 범주에 들지만 그들의 개별적 독자성이 각별치 돋보이는 여러 경향의 조각가에 이르는 범위라 할 수 있다.

      • Le regard et la parole : du Chevalier de la charrette de chre>tien de Troyes au "conte de la charrette" du Lancelot en prose

        김정희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3 해외박사

        RANK : 23708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소설에서 저자가 표방하는 글의 성격과 실제 텍스트 가 형상화하는 것 간의 관계를 narratologie이론을 통해 밝히는 데에 있다. 비교분석 대상으로는 같은 에피소드를 기술하되 서로 대조적인 글의 성격을 표방하는 두 텍스트, 12세기에 쓰여진 크레티엥 드 트르와의 운문소설 「수레를 탄 기사」와 그것을 개작한 작자 미상의 13세기 산문소설 「산문 랑슬로」가 선택되었다. 크레티엥은 서문에서 주제와 소재를 그의 후원자로부터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우선 완성된 형태의원전이 존재하지 않음을 밝힘으로써 자신이 그 소설의 저자임을 인정한 것, 그리고 당시 소설에 진실성을 부여하는 유일한 근거였던 목격담의 성격을 포 기하고 작품의 허구성을 인정한 것이 바로 그것들이다. 반면에 13세기에 이 작품을 개작한 「산문 랑슬로」는 주인공 랑슬로의 체험담이 기록된 라틴어 서적을 번역한 것임을 암시하는 이야기 구조를 새로 도입, 실화의 성격을 전 면에 부각시킨다. 작품에 드러난 視點과 話者에 대한 분석은 소위 목격담인 「산문 랑슬로」 의 모순들을 여지없이 노출시켰다. 작품의 유일한 시점이여야 할 랑슬로가 없는 곳에서 일어난 일들의 기술, 즉, 랑슬로 외의 다른 시점의 존재를 폭로 하는 묘사 등은 증언성을 강조하는 이야기 구조에도 불구하고 이 텍스트를 기법상 비사실적인 이야기로 만들고 있다. 반면에, 실화의 강박관념에서 벗어 나 스스로 허구임을 인정한 크레티엥의 소설은 사건의 실재성 여부와는 상관 없이 엄격한 내적 제약에 의해 사실성을 획득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즉, 작 품의 시점을 제공하는 인물의 시야의 한계와 착시현상 등을 치밀하게 의식한 묘사들이나 '무대'와 '막후'에 비견될 만한 공간의 이분법 등은 이미 중세작 가에 의해 소설의 내적 사실성이 추구되고 있었다는 점을 증거한다. 크레티 엥의 허구선언은 소설의 진실성에 대한 소설의 내적 사실성이 평가기준을 사 건의 실재성에서 이야기의 내적 사실성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다.

      • L'analyse sociocritique du cycle de Saccard : la Curee et l'Argent d'Emild Zola

        조성애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2 해외박사

        RANK : 237071

        1. 문학 비평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사회비평 사회비평은, 아도르노가 "예술은 자율성을 가진 기호이며 동시에 사회적 사실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문학텍스트를 사회적 지식의 창고이며 동시에 문학 텍스트 자체의 역동적 구성으로 미학적 즐거움을 동반하는 존재로 본다. 사회비평은, 그러므로 문학 텍스트의 특수성을 간과한 채 사회의 직접적인 투사나 반영으로 보는 루카치와 골드만류의 '내용의 문학 사회학'과, 문학을 언어와 같은 체계 구조로 파악, 의미의 공간을 체계의 공간으로 제한하고 그 체계를 체계화시킨 주체의 공간을 제거한 형태의 비평학인 기호학을 비평하면서 출발한 새로운 시각의 텍스트 분석방법론이다. 사회비평은 이들의 장단점을 보완해, 문학성과 사회성을 동시에 다루고자하며, 클로드 뒤셰의 말처럼, '텍스트를 목표로 하되 (내적 독서), 최후의 목표는 형식주의자들의 텍스트에 사회적 내용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2. 이데올로기의 정의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사회비평적 관점의 정의 루카치는 "La forme interieure du roman"에서 예술에 대한 새로운 두 개념을 정의한다. 즉 외적 세계의 이념과 개인의 유토피아적 이념의 내면적 투쟁의 장인 소설은 형태의 차원을 띨 수밖에 없다는 것과 이 대립되는 가치들의 만남은, 부분들의 상대적 자율성속에서 부분과 전체와의 강력한 맞물림인 전체성의 체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루카치의 전체성의 개념은 골드만의 세계관에서 반영된다. 즉 자유 경제체계에서의 교환의 구조와 소설의 구조는 서로 대응한다는 가정아래 전체와 부분의 상호관계로서, 이해와 설명이라는 두 상호인식적인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 그의 발생론적 구조주의에서 중요하고도 혁신적인 점은 개인보다, 이상적이고 가능한 존재로서의 집단의 의식을 행위의 주체로 본 것이다. 사회비평적인 관점에서는, 루카치와 골드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개념을 존중하면서, 또한 동시에 '어떤 이데올로기든 가치가 활성화되는 단계에 의해 드러난다'라는 그레마스의 말을 중요시하면서, 이데올로기를 '집단의 가치와 평가의 체계가 실현되는 과정'으로 인식하고자한다. 3. 텍스트 분석 1)인물과 공간 : 르네라는 주인공의 시각, 행위 등을 통해 드러나는 사회적 공간은 인간의 사물화를 동반하는 절대적 기능체계로 평가되며, 개인적 공간은 그녀의 유아방을 통해 소우주적인 조화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 두 공간의 불균형은 절대적 힘을 가진 사회와 그 안에서 전락하는 개인이라는 관계외에도 힘과 돈의 불균형적인 분배로 인한 인간간의 기생체계로 드러난다. 르네의 잃어버린 내적 공간을 찾으려는 여정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식에서 나온 인간의 잃어버린 관계를 되찾고자하는 그 당시 민중의 본능적인 노력을 상징한다. 그러나 르네에게서 공존하는 남성성과 여성성, 지성과 관능, 고상함과 천함의 양면성은 그녀 자체가 상반된 가치체계가 만나는 네거리로서 가치체계의 혼란의 시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체계의 혼란은 새로운 가치평가체계로 가기위한 기술구조상의 필요조건임을 알 수 있다. 2) 인물과 사물 : 사물은 개인적이며 동시에 집단적인 참여의 담론이다. 또한 인간과 세상의 매개물로서 세상을 다루려는 욕망과 세상을 초월하려는 욕망을 동시에 드러내는 이데올로기적 네거리로 볼 수 있다. 이 장은 인간과 예술의 환유적 표현인 '종이'라는 사물간의 이항적 대립(가득 참/ 비어있음)을 통해 작품의 내면구조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1)과 3)의 연결부분이다. 3) 작가와『집없는 소년』의 고아간의 대응성 : 이 소설에서의 고아와 예술가간의 상징적 구조는 인간 사회의 무의식적 힘의 구조의 양면성-단절로 가는 차별화의 본능과 화해와 공존으로 가려는 동질화의 본능-을 보여주는 구조이다. 결론적으로 집단적 공간과 개인적 공간의 대립이라는 매개체적인 프리즘을 통해 이 대립의 다각적인 면을 밝히면서 결국 이 대립이 인간의 자연적이며 사회적인 두 본능인 절대적인 권력지향과 창조적 화해라는 양면성을 상징함을 보고자했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L'evolution methodologique de la critique Goldmannienne (1955-1970)

        홍성호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Paris III 1989 해외박사

        RANK : 237071

        1955년에 발표된 논문인 (숨은 신)에서 라신느와 파스칼의 작품에 내재된 비극적 세계관을 밝혀낸 후, 1970년 마지막으로 사르트르의 극작품에 관한 평문을 발표하기까 지 약 15년간, 비평가로서의 뤼시앙 골드만은 현대소설과 현대극 또는 시에 관하여까 지 폭넓은 작품분석을 시도한다. 우리의 연구는 이 기간동안 골드만 자신에 의해 사용 된 비평방법론들 사이에 일정한 편차들이 존재함을 밝혀내고, 이 편차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분석함을 그 목표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우리가 출발점으로 삼은 기본 가 설은 다음과 같다. :골드만 비평의 방법론적 변화는 그의 정치적 전망의 변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의 마르크스주의적 현실인식의 변화와 필연적 관계를 맺고 있다. 이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우리는 골드만의 저술을 정치철학적 성찰과 문학비평 방법론 그 리고 실제비평으로 나누어 검토하므로써, 이 세 층위에서 각기 확인되는 변화의 양상 과 이들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를 고찰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우리 는 골드만의 정치적 전망의 변화를 세 단계로 구분하게 되었다. 즉 골드만은 자신의 입장을 "급진적 혁명론자"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불가능성을 절감하는 "암묵적 절 망의 마르크시스트"로, 이후 다시 신노동계급의 잠재적 역량과 자주관리의 전략에 사 회변혁의 희망을 거는"수정주의적 정치노선"으로 변경하게 되는데, 이 변경은 1959년 과 1964년을 기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치적 전망의 변화가 문학비평 방법론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골드만이 문학 작품과 사회와의 사이에 매개적으로 설정하였 던 "세계관"개념을 강조하거나 폐기, 혹은 재도입하게 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그러므 로 라신느의 비극과 현대소설, 그리고 현대극에 관한 골드만의 실제비평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방법론적 편차는 비평대상의 차별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 의 현실인식틀의 변화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Narrateurs et techniques narratives dans les Chroniques romanesques de Jean Giono

        송지연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2 해외박사

        RANK : 237071

        장 지오노(1895-1970)의 소설 중 <소설 연대기>에 속하는 작품들은 20세기 의 서사 기법에 알려지지 않은 큰 혁명을 일으킨 작품들이다. 본 논문은 연 구 대상으로 『기분전환 없는 왕 Un Roi sans divertissement』(1947), 『위 대한 영혼 Les Ames fortes 』(1950), 『대로 Les Grands chemins』(1951), 『폴란드의 풍차 Le Moulin de Pologne』(1952)를, 연구방법으로는 서사학 narratologie 과 발화 행위의 언어학 linguistique de l'enonciation을 사용 하고 있다. <소설 연대기>의 특이한 점은 두 가지 대립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하 나는 사실성 factualite과 허구성 fictionalite 사이의 대립이며, 다른 하나 는 비밀 enigme과 진실 verite 사이의 대립이다. 이 작품들은 사실상 허구 이야기(<소설>)면서도 사실 이야기 (<연대기>)를 발화행위의 모델로 삼는다. 소설의 발화자로 등장하는 연대기자는 증인을 내세우거나 자료를 인용하면서 진짜 연대기의 기법을 모방하나, 어느 순간 이 연대기자는 증인을 내세우거 나 자료를 인용하면서 진짜 연대기의 기법을 모방하나, 어느 순간 이 연대기 자가 사라지고 소설의 진짜 발화자인 전지전능한 화자가 그 배후에 등장함으 로써 이야기의 허구성이 드러난다. 연대기자는 지나간 역사의 진실을 추구하지만, 주인공의 진실은 끝내 비밀로 남고 마는데, 이를 위해 사용된 기법은 '외적 초점 focalisation externe'과 '생략 ellipse'이다. 지오노는 <소설 연대기>에서 불확실성과 모호함의 미학을 추구하는 것이다. 한편 이 작품들의 서사기법적 특징을 '서술 narration', '초점 focalisation', '서사 시간 temporalite narrative', '시제 temps verbal'의 네 관점으로살펴보자. '서술'의 측면에서 <소설 연대기>의 특징은 다수 증인들의 등장에기인하는 목소리의 복수성이다. 이러한 다성악 polyphonie 은 때로 발화 행 위의 기원을 알아낼 수 없는 무음조 atonalite에 이르기도 한다. '초점'의 측면에서 보면 세 가지 초점 방식 (외적 초점, 내적 초점, 비초점)이 모두 사용되어, 궁극적으로 다양식 polymodalite, 혹은 무양식 amodalite에 이른다'서사 시간'의 기법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시간변환 anachronie, 생략, 반복 서사 repetitif 이다. 마지막으로 동사의 '시제'를 중심으로 발화행위를 살 펴보면 벤베니스트 Benveniste의 '담화 discours'체제와 '이야기 recit'체제 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있다. <소설 연대기>의 세계는 이처럼 근본적으로 복수성의 세계 (다성악, 다양식반복 서사)이다. 이러한 서사기법들은 '복수의 진실 verite plurielle' 을 통해 지오노의 근본적인 회의를 보여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