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wage and rent shocks on migration

        홍성관 Michigan State Univ. 1996 해외박사

        RANK : 215823

        지역개발 정책자들은 지역발전을 위하여 직업창출, 임금보조, 조세혜택, 산 업구조 개선 등 경제적인 여건을 개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는데, 이러한 경 제적 여건 못지 않게 지역환경의 질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다 제 1 차 모형에서는 기업과 노동자들의 임금과 주택가격을 종속변수로 하는 Hedonic Model를 구하고 여기에서 얻어낸 오차항으로부터 도시환경의 예기치 않은 변화의 나타내는 정보를 구한다. 제 2 차 모형에서는 오차항을 종속변 수로 하고 노동자에 대한 개인별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도출한 다. 제 3 차 모형에서는 제 2 차 모형에서 구한 새로운 오차항을 종속변수 로 하고 개인이 아닌 도시의 특성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모형을 도출한다 . 여기에서 얻은 또 다른 오차항은 도시환경의 숨겨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환경지수가 될 것이다. 미국내의 중요도시들로부터 임의로 추출된 노동자들에 대한 과거의 이주경 험과 앞으로의 이주 가능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제 3 차 모형에서 구한 새로운 환경지수가 기존의 환경지수와 더불어 인구이동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환경지수는 과거의 인구이동 경험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입증하 고 있고 이 논문에서 구한 새로운 환경지수는 노동자들의 앞으로의 이주가능 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이 논문은 입증하고 있다. 지역경제 정책입 안자들의 기존의 지역경제의 여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이외에 지역의 환경의 질 을 높이는 것이 장기적인 지역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는 것임을 정책적인 교훈으로 보여주고 있다. In recent years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the role of the location-specific amenities in the migration model under the assumption of interregional equilibrium.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migration takes place as a result of various kinds of shocks such as a technoIogica1 shift and a change in the federal government expenditure. The data which will be used in this migration model come from three sources. The main source is extracted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PSID) which is annually released by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in the University of Michigan. The PSID is panel-survey data composed of individual-level and family-level data. The data is operated by the 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The final aggregate data are composed of 2024 individuals residing in 123 counties. The model sets up two kinds of hypotheses, one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new hypothesized relationship in this work.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existing amenity endowment is locally fixed so that quality of life differenc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ctual in-migration.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regional shocks or exogenous changes in level of amenities are locally variable so that wage and rent premiums are positively related to actual in-migration and are negatively related to future out-migration. The empirical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amenity difference as a pull factor for the actual move in migration behavior and the importance of wage and rent shocks as a pull factor for the actual and potential move. The results from the first hypothesis and the second hypothesis also show that both the systematic and unsystematic portions of amenity variations have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migration behavior of households. This results also send us the implication of that environmental policies and others that protect and improve areas would induce the in-migration and thus regional development.

      • Litterfall, nitrogen availability, and the growth of northern red oak (Quercus rubra L.) seedings at various levels of canopy cover in oak and pine stands

        김춘식 Michigan Technological Univ. 1994 해외박사

        RANK : 215823

        루브라참나무(Quercus rubra L. )의 임목 갱신에 있어서 부분적인 임관 제거 가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지만 여러 수준의 상층 및 하층식생 제거 후 루브라 참나무 유묘의 생장이 이들 인자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 져 있지 않다. 4수준의 상층임관을 (개벌, 25%, 75%, 무처리)과 4수준의 하 층식생 제거 처리구(무처리, 임상제거, 초본층제거, 관목층제거)를 가지는 실험구가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루브라참나무림과 레시노사소나무림(Pinus resinosa Ait. )에 만들어 졌으며, 낙엽량, 낙엽 분해율, 토양 15㎝에서 질소 무기화율, 1991년 4월말에 파종된 참나무 유묘의 생장이 2년동안 조사되었다. 상층식생에 의한 낙엽, 질소, 인산의 유입량은 상층임관율의 감소와 함께 감 소되었으며, 낙엽 분해 속도는 루브라참나무의 개벌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루브라참나무림의 토양 질소무기화율은 상층 임관율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레시노사소나무림 에서는 개벌처리구에서만 질소무기화율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한 상층임관율에서 루브라참나무림은 레시노사소나무림에 비해 항상 높은 질소 무기화율을 보였으나, 두 임분의 개벌처리구를 제외한 같은 상층임관을 가지 는 루브라참나무 유묘는 유사한 건중량, 양분함량과 총량, 질소이용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개벌처리구내 참나무 유묘는 루브라참나무 임분이 레시노사 소나무 임분보다 높은 건중량과 양분량을 보였다. 하층 무처리와 임상제거처 리에서 루브라참나무 유묘는 일반적으로 초본층이나 관목층제거 보다 높은 질소이용효율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개벌처리구에서 자라는 루브라참나무 유묘의 생장이 질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처리 구에서는 질소보다는 광이나 수분 같은 인자에 의해 생장이 제한 받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lthough the effects of partial canopy removal on northern red oak (NRO) (Quercus rubra L.) regeneration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nitrogen (NJ availability and NRO seedling growth under various levels of canopy cover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oak and pine stands are not well understood. A series of experimental plots with four levels of canopy cover (i.e., clearcut, 25% (50% during first sampling year), 75%, and uncut) and four understory treatment subplots (i.e., control, litter layer removal, herb layer removal, and shrub layer removal within each canopy cover treatment) were established in NRO and red pine (RP) (Pinus resinosa Ait.) stands in northern Lower Michigan. NRO acorns were planted in each plot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growing season (late April 199%) following the canopy cover treatments. Overstory litterfall, understory leaf mass, litter decomposition rates, N mineralization rates in the top 15 cm of mineral, soil, and NRO seedling growth ~were measured over two years. Annual litter, total N, and total phosphorus (P) inputs decreased with decreasing canopy cover. Understory leaf mass and N and P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earcut treatment than in other canopy cover treatments. Litter decomposition, rates in NRO sta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earcuts than'in other canopy cover treatments. Net N mineralization rates increased with decreasing canopy cover in NRO stands, but were higher only in RF clearcut when compared to the uncut treatment. Net N mineralization rates under the same canopy cover were consistently higher in NRO stands than in RP stands. NRO seedlings from the same canopy cover treatments in NRO and RP stands had similar dry mass, nutrient (N and P) concentrations and content, and N-use efficiency, despite differences in soil N availability. The only exception was greater seedling dry mass and nutrient content in the NRO clearcuts. NRO seedlings from the understory control and litter removal treatments within the clearcut treatment had generally higher N-use efficiencies than those from the herb and shrub layer removal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 NRO seedling growth, N, and P uptake in the clearcuts were,controlled by available soil N; and 2) these same parameters in NRO seedlings under partial canopy cover were influenced neither by N availability caused by canopy quality (NRO vs. RP), nor by differing degrees of light intensity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canopy c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