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igh pressure oxidation and hydriding of Zr/Zry/Zr in steam-hydrogen mixtures

        김연수 Univ. of California, Berkeley 1996 해외박사

        RANK : 200207

        고압의 수증기-수소의 혼합 기체하에서 운전 가능한 마이크로발란스(microbalance)장치 (TGA)를 이용하여, 표면에 sponge-Zr을 압출 접착한 Zircaloy디스크(Zr/Zry/Zr로 표시함)의 산화와 수소화 반응을 350-400℃ 온도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시편은 불필요한 모서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금으로 모서리에 막을 씌워 만들어 졌다. 각각의 실험후에는 산화물이나 수소화물의 조직 형태를 밝히기 위해 시편을 절단 표면처리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었다. 시편의 산화는 처음~6일까지는 시간에 비례하는 linear law를 따르며 그 속도는 w(mg/dm²-s)=50exp(-8200/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는 절대 온도이다. 달리 표현하면 산화에 필요한 활성 에너지는 ~16kcal/mole이라고 할 수 있다. 70기압의 수증기하에서 sponge-Zr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은 두 가지 종류였다. 하나는 검은색의 고른 표면을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회백색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한 것이었다. 산화의 속도는 수증기의 농도가 ~1%이상이면 수증기의 농도에 무관했으며 수증기의 농도가 ~1%이상인 영역에서 회백색 산화물의 산화 속도는 검은색 산화물의 산화 속도보다 2-3배 더 발랐다. 수소중의 수증기의 농도가 감소하여 수증기 고갈 영역(본 논문의 경우 400℃ 70기압에서~0.5% 수증기 였음)에 다다르면 산화속도는 감소하며 대신 수소의 흡수 속도가 증가한다. 수소화에 대해서는 세가지 영역에 걸친 실험이 수행되었다. 첫째, 상업용 등급의 수소를 이용한 Zty와 Zr/Zry/Zr의 수소화에 있어서의 압력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소수화의 속도는 70 기압의 수소에서 1기압의 수소에서보다 ~100배 더 빨랐다. Zry를 표면에서 싸고 있는 sponge-Zr층이 수소화를 지연시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sunburst 형태의 수소화가 몇몇 시편에서 관측되었다. 둘째, 수소화에 있어서의 온도, 기존 산화막의 두께 그리고 수증기의 농도의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존 산화막을 갖은 시편에서는 두 종류의 수소화가 관측되었다. 먼저 느린 수소화 가정이 있은 후 빠른 수소화가 뒤따른다. 느린 수소화는 산화와 수소화가 보합세를 이루는 조건하에서 일어 난다. 빠른 수소화가 일어 나면 곧 급격한 무게 감소가 측정되는데, 그것은 수소화합물이 시편에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다. 산화막이 시편을 수소화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면 (다시 말하면 검은색의 고른 표면을 한 산화막이면)산화막의 두께가 0-10㎛일때 산화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빠른 수소화가 일어날 때까지 걸리는 선행 시간이 늘어났다. 그러나, 회백색의 산화막은 비보호적이어서 산화막의 두께와 상관없는 선행시간을 나타냈다. 70 기압하에서, 400℃일 때는 그 이상에서 빠른 수소화를 일으키는 H₂/H₂O 의 임계율이 200이었으며, 350℃와 400℃에서 행한 두 개의 실험을 통해, 처음에 수증기 고갈 영역에서 시작한 빠른 수소화는 수증기가 첨가되면, 수소화를 막는 산화막이 재생성됨으로써 정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Extended semantic typ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German, English and Korean

        성상환 Univ. of California, Berkeley 1996 해외박사

        RANK : 200207

        본 논문은 문법관계(grammatical relations)와 어순(word order)의 문제를 의미론적 유형론(semantic typology)의 입장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에서는 독일어, 영어 그리고 한국어의 諸문법현상들을 전통적인 생성문법이나 관계문법의 다층적(multi-level) 접근방식을 통해 설명하려는 것이 아니라, 기능주의(functionalism)를 근거로 한 언어유형론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즉, 통사적 구조와 의미론적 표현체가 절대적으로 분리되어 간접적으로 연관 된다는 입장이 아니라, 諸언어가 가진 형태소(morphological case-marking)의발달 유무에 따라 통사적 구조와 의미론적 표현체가 상호 직접적으로 긴밀히 연결된다는 것이다. 특히 각 언어들에 있어서 문법관계의 논항선택제약성(argument selectional restriction)은 동사의 위치와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전통적인 문법관계(주어와 목적어)의 개념이 VO 언어인 영어와는 달리 OV언어인 독일어와 한국어의 諸문법현상들을 설명하는 데에는 부적합함을 지적하고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에 있어서는 문법범주간 불일치 (categorial mismatches)가 나타나고 전통적 문법관계를 해체한 통사격, 의미역 그리고 화용론적 개념인 토픽(주제)이 문법의 규칙을 결정하는데 복합적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방향들(지배와 결속이론 GB, 관계문법 Relational Grammer, 통합문법들 Unification-based approaches)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주어(subject)와 주제(topic)의 parameter를 재구성하여 언어들의 통사 적, 의미론적 양태를 기초적 문장구조(basic sentence structure)에 따라서 설명하려고 한다. 이 시도에서 우리는 문법관계를 확대의미유형론(Extended Semantic Typology)안에서 정의 가능한 상대적 변항(variable)으로 취급하며,결론적으로 언어의 문법 구성분야들, 즉 통사론(syntax), 의미론(semantics),화용론(pragmatics) 사이의 관계가 이 세 언어의 서로 상이한 문법현상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확인될 것이다. 2장에서는 확장의미론과 비교하여 지배와 결속이론, Keenan의 주어의 개념,관계문법, Vennemann과 O'Grady의 범주문법, 그리고 Primus의 일반위계문법등이 비판적으로 분석 되었다. 이어서 보다 진전된 Hawkins와 Muller-Gotama의의미유형론이 논의되었다. 3장에서 이 논문은 문법관계의 개념을 확장의미유형론의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정의가능한 변항으로서 취급하였다. 특별히 이 장에서는 주어와 주제의유형론과 관련하여 영어, 독일어, 한국어의 구조가 상세히 분석되었다. 4장은 영어, 독일어, 한국어의 태(Voice)를 다루고 있다. 영어와는 달리, 독일어와 한국어에 있어서는 격체계(Case-marking)와 자유로운 어순으로 인해비주어가 주제화가 될 때 통사적 상승이 필요없음이 밝혀지며, 이러한 전략은통사규칙변화없이 직접적으로 달성된다. 그래서 NP-Movement의 가정이 두 언어에는 필요없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독일어와 한국어의 수동화 분석을 위 해 의미론적 분석이 제시되었다. 5장은 독일어와 한국어의 어순의 규칙성을 Prague학파의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와 Hawkins의 Performance theory를 통해서 분석하고 있다. 특히 독일어 중역(Middlefield)의 어순과 Configurationality가 논의되고 있 으며, 한국어와 관련하여 주제구조와 화용적 어순이 분석되었다.

      • Impedance spectroscopy-based biosensors

        Nevill, Joshua T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ith the Univer 2008 해외박사(DDOD)

        RANK : 183837

        This dissertation presents novel integration of impedimetric-based sensing with microfluidic devices towards the development of biosensors. The applications for the devices discussed herein include an investigation of the electrical double layer at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an investigation of the electrical double layer when confined between two electrodes with a gap smaller than the Debye length, i.e. overlapping double layers, and impedimetric-based diagnosis of antibody-antigen binding inside a network of nanocavities. The importance of the electrode/elapectrolyte interface is addressed in many chapters, which is a crucial issue in biosensors. The electrical double layer is omnipresent, and this dissertation talks about how the double layer can be both good and bad for biosensing applications. The first chapter offers a general introduction to impedance spectroscopy and microfluidic integration towards the development of biosensors. The importance of the electrical double layer found at the interface between an electrode and electrolyte and the use of equivalent circuit modeling is also discussed. Chapter 2 offers in depth information into the impedi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with a mind towards biologically relevant solutions.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electrical double layer by using equivalent circuit modeling to isolate the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bulk. Different electrode surfaces are compared and discussed. Chapter 3 builds upon the previous chapter as it investigates two relatively new electrode materials that have great potential for impedance spectroscopy of biological materials in microdevices, iridium oxide and PPy/PSS (a polyelectrolyte). Focus is placed on the ability of these electrode films to reduce the influence of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ance on the impedance spectrum for biological applications. Chapter 4 introduces the concept of a nanogap capacitor, which consists of two electrodes separated by a nanoscale gap. This chapter extensivel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nanogap capacitors, and compares the different types of nanogaps and their respective applications. Additionally, this chapter introduces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overlapping double layers. A numerical solution to overlapping double layers inside a nanogap and how it relates to impedance spectroscopy is also presented. Chapter 5 introduces an all-semiconductor nanogap device designed for biosensing applications. Characterization of the nanogap sensor is shown including an extensive equivalent circuit model. Applications of this nanogap, including protein sensing, DNA hybridization, and water behavior are demonstrated. Chapter 6 demonstrates measurements using the nanogap capacitors to detect the conformational changes in a well known protein. A well-known alkaline conformational change of cytochrome c is induced by changing the ph of the solution. The change in shape is recorded in the impedance spectrum and demonstrates the ability of impedance-based nanogaps to act as biosensors. Chapter 7 expands on the uses of nanogap capacitors by investigating the impedance spectrum of water as it freezes under different ionic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water in everyday life is profound, and these nanogap devices could offer insight into the behavior of water and ions in the nanoscale. Chapter 8 presents a different impedimetric device with diagnostic applications. A nanocavity network is formed in a facile manner inside of a microfluidic channel by packing beads into a column. The complex impedance through this beadpack is monitored over time as a means to sense the binding of proteins to the surface. Due to the electrical nature of the detection, this setup offers the potential for inexpensive and rapid point of care diagnostics. The relative merits of microfluidic devices that incorporate bead-based assays are also discussed. The final chapter will briefly conclude the results obtained during my tenure as a graduate student as well as offer som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microdevices discussed here. Appendix A presents results from a feasibility study performed in Ecuador to assess the use of point of care microdevices for diagnostics. A direct result from the project discussed in Chapter 8, I traveled through Ecuador to specifically investigate using point of care devices for Dengue fever screening and monitoring. This chapter offers insight into using microdevices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for developing world diagnostics. (Abstract shortened by UMI.).

      • Local properties of articular cartilage: A combined nanoindent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pproach

        Li, Che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ith the Univer 2008 해외박사(DDOD)

        RANK : 183837

        Assess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joint cartilage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tissue-engineered cartilage. Only the bulk mechanical properties of articular cartilage have been characterized to date. Yet, with the advent of advanced material science, nanoscience, and tissue engineering, there is need for investigating micrometer to sub-micrometer scal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Such relationships are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roles that constituents and microstructures play and contribute to the overall property and function of cartilage and novel tissue engineering constructs. Nanoindentation is a material characterization tool which can target micrometer length scale material features in soft tissues. However, this novel application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or validated. This thesis begins with a survey of the challenges facing nanoindentation of articular cartilage and other soft compliant hydrated biomaterials. This is followed by three distinct studies illustrating the unique capabilities and usefulness of nanoindentation as a material characterization tool using quasistatic methods. In this undertaking, a range of specific issues are addressed. These include nanoindentation sample preparation and test protocol development; assessment of material anisotropy, nonlinearity and viscoelasticity; as well as data analysis and treatment. This thesis presents novel nanoindentation work and develops methods that support progress in developing novel clinical treatments and cartilage tissue-engineering solutions.

      • Mammalia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development in microengineered cellular environment

        Mai, Junyu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ith the Univer 2008 해외박사(DDOD)

        RANK : 183837

        Any mammalian cell inside an intact tissue is constantly interacting with its dynamic microenvironment composed of the neighboring cells, extracellular fluids and extracellular matrix.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microenvironment affect cell behaviors, biologists need tools to create microengineered bio-compatible environment where activities of single cells can be precisely probed, closely monito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In this dissertation, I will discuss how microfabrication methods have been used to manipulate the 2D and 3D cellular microenvironment and facilitate cell biology researches. Specifically, I will describe my studies on three novel microsystems, based on which new mechanisms underlying the complex cell-microenvironment interactions were discovered. The first study is cell migration under multidirectional stimulation on topographically textured surface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ctomyosin network in long-range communication and regulation of local cytoskeleton structure. The second study is axon initiation and turning on bound protein gradient created by diffusive printing. Our data show that bound gradient of secreted guidance factors can guide early neuron polarization and axon path-finding, and the attractive/repulsive effect depends on the density of the bound factors. The third study is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on 3D vascular matrix fabricated by microstereolithography. In this study, we built an artificial capillary structure mimicking the architecture and functionality of a natural capillary network, as an initial step towards vascularized tissue engineering. Future research on cell-microenvironment interaction requires more creative microsystems that can not only precisely control extracelluar environment and closely monitor intercellular activities, but also support high-throughput, high-content quantitati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