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ductivity growth, technological progress, and efficiency change of manufacturing and agriculture in the NICs and Japan

        김창수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campus) 1994 해외박사

        RANK : 235023

        생산성 증가는 경제성장 및 경쟁력의 초석으로 간주되는 바, "생산성 높이 기"는 학계와 정책당국의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 에서는 한국의 제조업 및 농업부문의 생산성변화를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생산 성변화의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신흥공업국가들을 중심으로 상대적 생산성(Relative Productivity)을 비교분 석하였다. 생산성 추정을 위한 계량적 모형은 Fare, Grosskopf, Lindgren, and Roos (1989)의 Malmquist Productivity Index(생산성지수)분석기법을 토대로 하였 으며, 생산성변화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효율성(Efficiency)측면과 기술개 발측면으로 나누어 추정한 결과, 한국경제 전체 뿐 아니라 제조업과 농업부문 모두 다른 샘플국가에 비해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둔화 내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생산성 둔화는 주로 상대적 기술개발의 낙후에 기인 한 것으로 추정되며, 효율성 증진을 통한 생산성 증가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한국경제와 농업 및 제조업 부문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무엇보다도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투자와 정책배려가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효율성증진 을 위한 시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Since productivity increase is often considered a fundamental contributor to economic growth, it is a key economic issue for economists and policy-makers to raise productivity . This dissertation employs the Malmquist index to measure productivity growth for a sample of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NICs) as well as Japan.Following Fare , Grosskopf , Lindgren , and Roos ( 1989 ) ,the Malmquist index, which is based on distance functions,is decomposed into two components: efficiency change (catching-up) and technical change (innovation or technological progress). This decomposition of the Malmquist indez allows us to identify whether catching-up innovation drives productivity growth. or The construction of the "world'' production frontier based on the data from our sample of NICs (Korea,lS Taiwan , Singapore , Malaysia , Indonesia , Thailand ,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Japan over the period 1975-1988. To complete our empirical work, we solved 416 linear programming problems to calculate distance functions which comprise the Malmquist index, exploiting the fact that distance functions are "reciprocals'' to the Farrell (1957) measures of technical efficiency. The empirical work found strong evidence that technical change significantly drove productivity growth in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in our sample, whereas improvements in efficiency were insignificant. The average value of the efficiency change component was close to be one, i .e. , the relative performance for our sample seemed to be fairly efficient in the sense of the Farrell (1957) measure of efficiency. Especially,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 Korean economy found in this study deteriorated (or regressed) over the 1975-1988 period. The relative productivity declines in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as well as in the Korean economy were attributable to technical re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