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urch vitalization through nurturing area leader : Centered on Pohang Pyungkang Church = 구역지도자 양성을 통한 구역활성화 방안 : 포항평강교회 중심으로

        이호국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3247

        필자가 섬기는 교회는 1984. 12. 30 오후 3시에 현 소재지에서 개척 설립 예배를 드렸다. 당시 교회주변은 대한 주택공사에서 지은 5층 건물인 주공 APT 670세대가 입주를 했고, 그 주위는 전부 허허 벌판이었다. 세월이 흘러 오늘에 이르러는 교회주변이 APT 밀집지역으로 변화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가 섬기는 교회도 성장해왔다. 나름대로 교회가 성장해 오면서 점점 구역활동을 시작하게 되었고, 구역이 세부적으로 나눠지다 보니 구역지도자가 부족하였다. 구역지도자가 없으니 자연 구역활동이 저하되었다. 지난해에는 5-10가정을 구역조직을 했는데, 현재는 구역지도자 부족으로 인하여 20-30 세대를 한 구역으로 뭉쳐 구역지도자 중심으로 구역활동을 하고 있다. 그래서 구역이 성장하기 위하여 구역지도자 양성을 하여 구역목회 활성화를 가져오는 것이 필자가 섬기는 교회의 현재 목회 상황이다. 교회의 이상적인 상황은 교회가 활성화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역지도자를 많이 양성하여 구역의 일꾼을 많이 만들어 구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구역활성화를 위하여 즉 구역목회가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구역지도자 양성이 필요함을 느꼈다. 필자는 이번 논문을 통하여 구역지도자 훈련과 양성의 과정을 통해 구역지도자가 구역을 돌보고, 섬기고 작은 교회의 지도자로, 구역지도자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과 그 결과를 집필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런 상황에 있는 교회를 분석하고, 비전을 세우고 장애를 제거하고, 타개책을 가져 성장하는 구역을 만들어 보며 그 과정을 틀에 맞추어 맥코믹 목회학 박사 논문을 작성코자 한다. The church I have been serving served the first worship at 3 p.m on Dec. 30, 1984 at the present site. At that time there were Apartments of 5-storied with 670 households constructed by Korea Housing Corporation around the church. Around the apartments and our church there was the wide wilderness. As the days pass the vicinity of our church has changed into crowded places of residences of apartments. Under these contexts our church has been grown. Through putting all my effort the area activities have been implemented with the growth of our church., but our church has had the shortage of the number of area leader as new area has been organized. Without area leader the area activities are not active. Last year our church organized area system to have 5-10 households but owing to the lack of area leader the area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with 20-30 households as one area members. Current situations of our church request the nurturing of area leaders to make area grow and vitalize the area ministry. The ideal situation of the church is vitalizing area by nurturing many area leaders. I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rturing area leader for vitalizing area ministry. Through this dissertation I made effort in writ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my plan mainly on training the area leaders. The area leaders shall serve and care their area members through area ministry. I tried to analyze the situations, made vision, removed the impediments and organized the area through interventions as I have been taught from D. Min Program of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 Multiple Mission Programs for rural church

        이정심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1994 해외박사

        RANK : 233231

        개요: 교회는 억센 개인주의를 벗어나 희망찬 공동체(교인들을 위해서 뿐 아니라 지역사회나 세상을 위해서도)가 되어야 한다. 농촌교회가 농민들을 위해 희망의 공동체가 되며 신앙, 생활, 봉사공동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각적 선교방안을 제시함. Ⅰ. 목회를 위한 상황 1991년 서울 여자 대학교 고황경 총장의 권고를 받아 그해 가을학기부터 미국 시카고에 있는 McCormic theological seminary의 목회학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 멕코 믹 박사과정 중에 서울 구의동 무궁교회를 돕는 사역에서 단독교회를 하고 싶은 마음이 일 어났다. 드디어 1993. 3월에 경북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에 있는 돈산교회 농촌교회를 맡게 되었다. A. 현재 농촌 돈산교회의 상황- 이농현상으로 인한 심각성, 문화적 혜택의 빈곤 B. 문제에 대한 규정을 하게된다-노인들, 돈산마을 위한 식생활을 도움, 벼베기, 고추농사 일손을 도움, 교통봉사 C. 문제해결을 위한 이상적 상황을 제시-한달에 한번, 교회절기마다 공동식사잔치, 봉고차 마련, 공중목욕탕 건축계획 D. 문제해결을 위한 도전을 하게됨-우상숭배타파, 문맹퇴치교육(밤 프로그램 잘 활용, 봉고차 운행) Ⅱ. 고찰할 문제들 연구와 적용 제1부 : 교회의 모형 A. 성경적 교회론 - a.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b. 그리스도의 몸으로 교회 c. 성령의 친교로서의 교회 B. 칼바르트 교회이해-(사건으로서의 교회(신앙은 사건이다), 성령과 기독교 공동체의 모임, 종으로서(봉사공동체)의 교회) Ⅲ. 연구와 적용 제2부 : 한국 농촌 현실과 한국 농촌 문제, 농촌문화 A. 한국농촌 교회현실 (a. 농촌인구 b. 한국농촌 사회의 특징) B. 한국농촌 교회의 문제(농촌의 현실, 한국농촌 사회의 특징, 한국농촌 교회의 문제) C. 농민과 문화 (거짓문화, 지배문화의 정체인식, 이것들과 대결할 힘을 키우며, 농민을 위한 노동문화, 참 농민 문화창조) Ⅳ. 연구와 적용 제3부 : 농촌선교에 대한 이해 A. 성서에 나타난 농촌선교(예수의 농촌지역 그들을 의한 관심, 활동, 사역) B. 한국농촌선교의 필요성(a. 신학적 측면에서 b. 목회적 측면에서 c. 변화이론) C. 변화이론 (한스킴의 성찬공동체, 한스요한킴의 교회 공동체의 사귐의 이론) a. 교회공동체가 신앙공동체로 되는 변화이론 적용 b. 교회가 생활공동체로 되기 위한 변화이론 적용 Ⅴ. 이론적 근거(하나님의 부르심과 그리스도인의 의인화와 성령의 성화(주관적 체험강조) 신앙으로 연결된 공동체(객관적으로 잘 인식 →봉사공동체의 책임감당(섬김의 교인됨을 실 현) Ⅵ. 신학적 원칙(농민도 하나님의 백성으로 부름받는 자들의 공동체로 만드는 선교적 과제, 생활, 신앙, 봉사의 공동체가 되는 선교적 과제 Ⅶ. 논문의 목적과 타개책 (희망적 교회의 모델을 세워 아름답고 굳건한 교회를 세워나가며, 농민들에게 희망을 주며 농민과 농촌생활과 연대하여 지역사회에 유익을 주려 하는데 있다. Ⅷ. 평가 A. 평가(설문조사에 95%참여, 지역사회에 유익하며 위로와 도움을 주는 희망 공동체로 평가 B. 본 논문의 중요성과 의미 (우선적으로 돈산교회는 돈답의 농민들에게 희망을 주어서 잠정적 교회가 현시적 교회로 되기 위해 꾸준한 인내와 믿음과 봉사의 다각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교를 시도하며 실천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The method of actualizing the church through specialzation of district organization : gentering on "gruteogi" ministry of shindong church = 구역특성화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신동교회 "그루터기" 목회를 중심으로

        정대엽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2991

        필자가 10년 전(1994년 10월)에 부임하였던 신동교회는 급속한 서울 강남 권의 개발로 인해서 주변 상황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교회는 그 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고 침체된 상태로 옛날 서울시로 편입되기 전 개척 당시 교회 모습 그대로 40년 동안 지나오고 있었다. 이에 교회 침체의 문제를 새로 이주해 온 교인들과 오래된 교인들과의 연합의 문제에 있다고 진단하였다. 온 교인들이 함께 참여하여 건강하고 작은 교회로써 교제 공동체인 구역공동체를 어떻게 활성화 할 것인가? 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우선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교회의 본질에 대하여 전체 교인들에게 분명히 설명하고 위원회를 구성하여 이 위원회로 하여금 교회의 비 활성화의 문제와 타개책들을 연구 제안토록 하였다. 위원회가 제안한 문제와 타개책이 목회자가 진단하고 생각했던 것과 다르지 아니하여 구체적인 타개책을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위원회는 먼저 구역 조직을 연령, 교육정도, 문화수준, 영적 상태, 회집 시간 등을 고려하여 특성화된 구역 조직 즉, 그루터기라는 조직으로 변경하고 그루터기 목회를 시도하였다. 그루터기라는 특성화 구역 조직의 비전(Vision)을 "성장과 돌봄"이라고 결정하였다.그루터기란 나무를 베고난 밑둥을 말한다. 그러나 그 그루터기는 죽은 나무가 아니라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새순을 내어 자라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의미를 담아 27개의 그루터기를 조직하고 지도자 훈련과 그루터기 조직의 역할을 교육해 나갔다. 교재를 주일 예배의 설교를 재구성하여 말씀을 나누고 기도와 교제를 나눔으로 그루터기 예배를 하게 하였다. 무엇보다도 목회자의 신학적 기초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교회가 무엇인가 ?, 실천하고자 하는 그루터기 목회의 계획들이 성서적이고 신학적이며 문화적 상황 속에서 정당하고 효과적인 것인가 ?를 연구하고 그 기초를 분명히 하였다. 교회사적으로도 소그룹 활동은 교회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 사회 속에서 교인들이 느끼는 소속감과 가치 추구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그 욕구에 맞는 소그룹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사실 또한 인식할 수 있었다.그루터기 목회가 이러한 사실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 이론적 틀 위에 실천되었다. 실천의 단계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음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비전을 세우는 과정이나 규범화하는 과정에서 세밀한 관심을 두지 아니하면 예기치 않는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배우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다원화되고 개인주의 적인 사회 속에서 교회도 그 동질성의 가치와 문화경험을 공유하게 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가장 큰 배우점이라 할 수 있다. 신·구의 갈등과 일부 소외 그룹의 발생, 변화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이 예측되는 문제로 인식되었다. 이는 여러 차례의 설교와 세미나를 통해서 갈등 없이 극복되어졌다. 작은 교회로써 기쁨과 은혜가 넘치고 생동감 있게 활성화하는 유기체로써 그루터기 목회는 그 이상적 상황을 잘 이루어 가고 있다. 이 구역조직의 특성화로 인해서 모든 교인들과 위원회는 교회가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것에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년도 대비 약 30% 정도의 구역 모임이 외형적 성장을 가져왔고 내적으로도 기쁨과 평화가 있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Since I came to Shindong Church ten years ago (October 1994), its surrounding environment has drastically changed due to rapid development of Gangnam area. But the church have not responded to these rapid and drastic changes in an appropriate way, and it still has the image of the old church 40 years ago when its location had yet to be incorporated into Seoul. Stagnation in growth of the church was judged to be attributed to problems in cooperations between new church members and existing ones. In this regard, it was necessary to figure out how to activate the district community that is the communion community as a small wholesome church in which each and every church member participate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what the church truly means was clearly explained to the entire church members, and a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an effort to come up with measures to activate the church. Since the committee suggested the same solutions and countermeasure as those put forward by the minister, they have been implemented. The committee converted district organizations into Gruteogi (which means stump in Korean), a specialized district organization, in consideration of age, academic background, cultural background, spirituality and time of congregation in an effort to activate the church in the name of Gruteogi Ministry. The Gruteogi,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designated "Growth and Care" as its vision. 27 Gruteogi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roles of the Gruteogi were educated along with leader training. Sermon of the week became teaching materials, and Gruteogi services were held based on prayers and communion. Most of all, it was focused on defining true meaning of church, examining whether what the Gruteogi ministry is trying to achieve is biblical, theological, justifiable and effective in terms of culture and clarifying its foundation based on understanding that theological foundation of cleric is important. The Gruteogi ministry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it was judged that it could meet the desire as a specialized district organization. It is fortunate that any serious problems occurred while it was implemented. It was also found that unexpected problems could occur without cau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vision and standard. And most of all, it was found that church needed organizations that make it possible to share value of homogeneity and cultural experiences in diversified and individualistic society. All church members and committee members judged that the Gruteogi mini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activation of the church. District gatherings have increased about 30 percent from last year, and the church became filled with more pleasure and peace.

      • WAYS OF CHURCH REVITALIZATION THROUGH SMALL GROUP DISCIPLESHIP TRAINING - Centered on senior deacons of Moonhwa Church- : 소그룹 제자훈련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문화교회 안수집사회를 중심으로-

        KIM, HYUNG DON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5 국내석사

        RANK : 232991

        It is the situations of the meeting of senior deacons(ordained) of our church that it has not been revitalized in the church due to the inactive and nonparticipational attitude of the leaders as having been operated by a few officer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goal and plan of accomplish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meeting of deacons by implementing new small group disciple training and ministry program of executive group voluntarily by organizing small group revitalization committee for all the members of the church to participate at the joint vision and goal as the members of the church which is the body of Christ. The impediments to such goal and vision are the lack of under standing on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the duties as the servant of the leaders of the meeting of deacons, egoistic trends, absence of small group training program, nonparticipation of the middle class incumbents, problems of the system of the meeting of deacons. As the Biblical researches I clarified the essence of the church, consciousness of deacon, and concrete examples of small group disciple training appeared in Bible. I examined how small group movement has been don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world and Korea. Culturally I tried to find the evidences of the small group performed in the consciousness of mutually aiding of the leaders in Korean society. I examined psychological causes why the incumbents of the church require small group training, and finally I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small group disciple training through my own personal experience. As the theological mandate the small group theory has been cla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ministry can be maximized since man has the proper originality and personality through which man feel closeness in the relation of love united to be living together. As the interventions the vision has been presented to go through the unfreezing stage through reasonable theory of plan, and induced the voluntary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al consciousness for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training and ministry. The organizations are reformed for the materialization of the change, and the small group revitaliz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and the norms are made for the committee. As the refreezing stage the training of the officers and members of small group has been implemented with the practical ministry. The result was that small group disciple training could be the chance for the leaders to be armed individually and spiritually with the trust in the church and to have the sense of being a member and related that they are the members within the body of Christ, but the small groups of the church are being processed at this time, and owing to the lack of the exercise of the participational leadership of each practical ministry member, present activities has been weakened gradually compared with the energetic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The significance of this dissertation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n middle scale church with the small group disciple training and small group ministry activities in the church simultaneously performed. I learned how important the leadership of serving and training of Christians is in implementing this program, and I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church can be revitalized more and better when this program is spread to all parts of the church through conversion and expansion. 필자가 맡고 있는 문화교회 안수집사회는 소수의 임원 몇 사람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많은 제직들이 소극적이고 비참여적이라 집사회가 교회 안에서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모든 지체가 하나님 나라의 공동의 비전과 목표에 참여하도록 소그룹활성화 위원회를 조직, 자발적 필요에 의한 소그룹 제자훈련과 실행그룹 사역프로그램을 새롭게 실시해 집사회의 활성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이상과 목표였다. 본 교회 집사회의 장애요소는 제직들의 교회의 본질과 청지기직에 대한 이해부족, 이기적 성향, 소그룹훈련 프로그램 부재, 중직 제직자의 비참여, 집사회 시스템상의 문제점 등이 있다. 신학적 연구로는 교회의 본질과 집사의식이 무엇이며 소그룹 제자훈련 활동의 구체적 사례가 성경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밝혔다. 또한 세계사와 한국교회사에서 소그룹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문화적으로는 한국사회 속의 제직들이 상호부조의 의식이 깔려 실행된 소그룹 형태의 유산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오늘날의 제직들이 왜 소그룹 훈련을 필요로 하는 것인지 그 심리적 요인을 연구하였고 끝으로 필자의 경험을 통해 소그룹제자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신학적 요청으로는 인간은 고유한 독자성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함께 살아가는 연합된 사랑의 관계에서 가장 친밀감을 느끼며 또한 사역의 효용성이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소그룹이론을 밝혔다. 타개책으로 우선 합리적 계획이론을 통해 해빙의 단계를 거치기 위해 비전을 제시하고 훈련과 사역의 병행을 위해 자발적인 이해와 참여의식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변화를 실제화 시키기 위해 조직갱신을 하고 소그룹 활성화 위원회구성, 규범화를 정하였다. 그리고 재결빙의 단계로 소그룹을 위한 임원훈련, 소그룹훈련계획, 실행사역을 구체적으로 실행하였다. 그 결과 소그룹 제자훈련은 제직들로 하여금 개인적 영적 무장과 교제와 신의를 쌓게 하고 나아가 그리스도안의 지체라는 소속감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계기는 되었으나 사역부서별 소그룹의 확대가 진행중이고 각 실행사역 회원의 참여리더십 행사의 부족으로 인해 전반기의 왕성한 활동에 비해 점차 활동하는 것이 미약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 논문의 특성은 중대형교회에서 소그룹 제자훈련과 교회내 소그룹 사역활동 등을 병행했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그리스도인의 섬김과 헌신의 리더십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배웠으며 본교회 전체에 파급, 전환, 확대되어 추진될 때 교회는 더욱 활성화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활성화 방안

        정지원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5 국내박사

        RANK : 232991

        필자가 교회에 부임하면서 교회가 지역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주민들에게 교회의 위치를 물어 보았다. 그러나 대부분 잘 모르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은 오랫동안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도심공동화 현상이 나타나 있었다. 교회내의 상황도 55년이라는 전통은 있었지만 활력이 부족했다. 따라서 교회는 직 간접적으로 변화를 요구했다. 따라서 필자는 교회를 활성화하고 지역에 대한 교회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기위해 교회가 먼저 지역을 섬겨야 한다는 판단과 함께 교회 내외적으로 많은 노인세대를 바라보며 노인 목회를 통해 섬김과 돌봄을 추구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노인 목회를 통해 섬김과 돌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로대학 개교의 필요성을 느꼈다. 본 소고에서는 현재의 지역 상황과 교회 상황에 따른 동성교회의 이상적 상황을 먼저 설정해 보았다. 그리고 이상적인 상황을 실천함에 장애되는 요소를 찾아보았으며, 목표에 대한 도전과 질문을 해보았다. 그리고 연구조사를 통해 교회의 본질, 섬김과 돌봄으로서의 교회, 신학적 이해, 역사적 이해, 문화적 이해, 노인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적인 근거에서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 활성화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언급하고 있으며 신학적인 요청도 함께 기록했다. 그리고 월리의 변화이론을 핵심으로 구조적 변화를 추구했다. 그리고 타개책으로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을 위해 경로대학을 운영하기로 했으며, 타개책 실천을 위해 설교와 세미나를 통해 비전을 제시했고, 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위원회를 중심으로 계획과 실천 그리고 지속성을 위한 규범을 설정했다. 필자는 이 방안을 실천함에 다양한 계층의 봉사로 교회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지역 사회에서의 교회에 대한 관심도 날로 새로워 전도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고, 노인들이 기뻐하며 복음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며 아직 미약하지만 경로대학을 통한 노인 목회 프로그램을 잘 시작 했다고 본다. I asked the residents of the local society on the location of our church at the time I arrived at this place to take my office of the pastor to confirm what influence our church had upon the neighborhood. Most of the residents had no knowledge on the location of our church. It was because the church had not been able to have the change due to the urban vacancy situations. With the history of 55-year tradition our church had the poor vitality requesting direct and indirect changes. Under such reason I had the plan of pursing the ministry of serving and caring through the ministry for the aged since our church had a large number of the aged among all church members judging that church shall serve the local community by renewing the old image for final purpose of church revitalization. I fel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ollege of the aged in order concretely realize the ministry of serving and caring through ministry the aged. This study started by designing the ideal situations of Dong Sung Church according to the current neighborhood and church situations. I tried to find the impediments to the growth of the church in implementing the ideal situations, and I also had the challenges and questions on the goal and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Through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I examined the essence of the church, church through serving and caring, theological mandate, historic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the theories of the aged.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study mentions the necessity and propriety of church revitalization through the ministry of the aged for the first including the theological mandate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al changes are pursued as the key of the theory of change of Worley. As the interventions our church established the college of the aged for church revitalization, and presented the vision through preaching and semina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s, and our church organized the committee through which the concrete implementations could be performed after making the plan and norms for the continuity. In implementing this program I have been able to see the revitalization of the church through the service of diverse classes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the increasing concerns of the local residents which helps much in evangelizing the neighborhood, the changed images of the aged in happiness and peace, and many other affirmative results. I think that it was a great pleasure for me that I started this program of the ministry of the aged through the college of the aged though it is still weak and not satisfactory. In conclusion our church saw the changed the gospelized image of the aged through this program.

      • REVITALIZATION OF THE CHURCH THROUGH THE CELL-GROUP LEADERS' PRAYER TRAINING

        김하영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1999 해외박사

        RANK : 232991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마지막 시대에 하나님의 택하심과 부르심을 받아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공동체이다. 그리스도의 공동체인 교회는 주님으로부터 위임 받은 선교적 사명을 수행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교회가 활성화 되기 위하여는 부흥하고 성장하는 교회, 사도행전교회 다운 교회를 이루고 구역 지도자들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훈련하므로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진 교회가 되게 한다. 본 교회의 구역은 전 교인을 총망라하여 조직이 되어 있다. 필자가 시무하고 있는 교회는 60여년이 된 교회로서 전형적인 농촌 교회이다. 지평교회는 한국에서도 유교적 전통이 깊은 곳이며, 낙후된 농촌 교회로서 경제적, 교육적, 문화적 혜택에서 상당히 소외 되어져 있을 뿐 아니라 교인들의 대부분이 도시의 막노동자와 일용직 근로자, 축산업자, 농부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교회는 오랜 역사가 있으나 상당히 정체화 되어가는 현상에 처한 교회이다. 이것이 본교회의 성장에 큰 장애요소라는 점을 찾아내고 이것을 타개하기 위하여 구역장들을 훈련 시켜 교회를 활성화하여 교회가 맡은바 사명을 감당하도록 하게 된다. 많은 훈련이 있으나 본 교회는 기도훈련을 통하여 교회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한다. 구역을 재정비하고 구역장들을 현실에 맞게 선정 하여 구역장들로 하여금 훈련 시켜 교회의 활성화를 모색하였다. 그래서 구역장들로서의 사명감을 감당케 하게 한다. 구역장들의 기도훈련을 통하여 주님의 몸된 교회가 활성화의 장애를 발견하며 이것을 극복하는 훈련을 하므로써 이상적인 교회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역장들의 기도훈련을 통하여 교회를 활성화하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주님의 교회로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지평교회의 모든 장애를 극복하여 교회와 구역이 활성화하여 건강한 하나님의 자녀로 하나님 나라의 일군이 되게 한다.

      • Way of revitalizing the church through training the mission band : 전도대 훈련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비산동 교회의 현장을 중심으로

        이현실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2991

        교회는 전도 공동체(Kerygma Community)이다. 예수께서 이땅에 오신 목적도 범죄한 인간들을 구원하시기 위한 전도의 사역을 감당키 위해 오셨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다른 가까운 곳으로 가자 거기서도 전도하리니 내가 이를 위하여 왔노라"(막1:38). 뿐만 아니라 그를 따르는 제자들에게 마지막 위임한 사명도 역시 전도의 명령이었다(마28:19-20)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에게 성령을 주시며, 그리스도인으로 불러 세우심도 땅끝까지 복음전하는 전도의 사명을 감당케 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행1:8) 그런데 한국교회는 199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성장이 멈추었거나 아니면 하향국면에 이르는 위기를 맞고 있다. 필자가 시무하고 있는 비산동교회 역시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교인수가 급감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무엇보다도 교인들의 전도에 대한 사명감 결여가 가장 큰 요인이며, 또한 어떻게 전도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전도방법론과 실질적인 전도실천 기술이 전무하기 때문에 전도에 자신감을 상실한채 망설이고 있거나 관망하는 성도가 대부분인 가운데, 타 지역으로 이사가는 교인들은 많으나 교회안으로 들어오는 교인은 너무도 미미한 것이 본교회의 현 실태인 것이다. 이러한 장애요소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인들이 전도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다음은 교인들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전도훈련을 받아야만 한다. 본 논문은 전도대를 조직하여 그들을 통해서 침체된 비산동교회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월리(R. C. Worley)의 교회조직갱신 이론과 소그룹이론 그리고 합리적인 계획을 통한 변화이론을 중심으로 추진하였다. 본 교회는 이런 변화이론에 근거해서 다음과 같은 여러단계의 타개책을 통해서 활성화를 꾀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인들에게 비전을 제시하여 전도의식이 결여된 교인들에게 전도의 사명감과 전도의 중요성을 갖게 만드는 것이고, 그 다음 전도위원회가 전도대를 구성하여 그들을 철저히 훈련 시키는 것이다. 이런 타개책은 다음의 몇가지 단계를 거치는데, 첫 번째 타개책은 비전만들기 이며, 두 번째 타개책은 전도위원회를 조직하고 전도대를 구성하는 것이며, 세 번째 타개책은 전도대의 훈련과 실천이며, 네 번째의 타개책은 규범화 실천이다. 본 논문의 평가는 목사의 평가와 전도대의 평가와 교인들의 평가로 실시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본 교회가 처해있는 특수한 상황속에서 목회의 장애물들을 찾아 보고, 전도에 대한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이해를 통해서 교회와 전도의 관계를 정립하고,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화와 정서를 살펴 본 후 교회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타개책으로 전도대 훈련을 통하여 실제적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교회활성화에 기여 하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having the mission band perform evangelical activities at the site of missionary works after being educated and trained with the theory and realit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hurch as our Bisandong Church which is situated at the outskirts of Anyang City and stagnant. Such plan will be successful when implemented under the motto of making the church the missionary community without harming the specific characters of our church. God sent Jesus Christ to this world to deliver man. And God sent the Holy Spirit to preach Gospel and build the church. It is important for the church to build the mission community to be able to take the mission which is the essence of the church. For such goal our church organized the mission band thinking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our church to dispatch the mission band to the site of evangelical activities after being trained and educated. Our church presented the goal for evangelism, and implemented the project to be able to reach the goal by intervening the existing impediments. Theological principle and change theory have been applied as the theoretical frame including Biblical, church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understanding in pursue of changing the church centered on evangelism. While implementing such changes the vision has been made concrete through unfreezing, changing, and refreezing stage, and the church revitalization has been aimed to be achieved according to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theory, organizational reformation theory, and small group theory of R. C. Worley. Especiall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hurch the task of envisioning, establishing goal and pl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as been processed, and we organized the mission committee and mission band, and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and band were given the training of "Mission Explosion". And for effective evangelical activities the mission meeting has been held every Wednesday, and our church made the norms and regulations for the committee and band for effective and successful result. Through this program our church could have harvests. They are the wide understanding of the members on the missionary works, and the activities of the mission band have been settled with the deep root on the actual site of missionary works. The visible result is that our church has about 61 new family as of Oct. 2003. It was the remarkable result to see that we had only 16 new family last year. The result was excellent and remarkable making our church members have affirmative and hopeful vision.

      • The plan to encourage activity in the church through church laws : 교회의 준법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홍콩한인교회를 중심으로

        박재필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2991

        본 교회는 홍콩 교민사회와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지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회이다. 역사와 규모 면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큰 규모를 가져 그 영향력이 지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문제를 세속 법정에서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어서 큰 분열을 겪어야 했고, 그 분열의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한 장치로 '홍콩한인교회회칙'을 마련하여 시행하고자 하였으나 그 해석과 시행에 또 다른 분열이 있어서 매우 심각한 형편에 놓여 있었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담임목사와 장로의 재신임 문제, 장로의 은퇴 연령, 새로운 직분자의 선출 등에 대해 첨예한 의견의 대립이 있어서 회칙의 제정 후 단 한차례도 시행되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시급한 해결책은 다소 미흡하고 여러 가지 정서적으로 한국의 교회들과 불일치 하는 부분이 있어도 이미 정해진 회칙을 시행하는 일이었다. 즉 은퇴할 연령에 은퇴하고, 재신임 대상자들이 재신임 여부를 묻고, 또 그 공백에 대해 새로운 인물로 보충하는 일이 교회를 활성화 하는데 어느 것보다도 우선해야 할 일이었다. 교회 공동체는 구약시대나 초대교회 시대, 또는 개혁교회 이후에도 언제나 언약 공동체로서 제도적 요건들을 구비했고, 마련된 제도적 장치들을 수용하고 집행하는데 인색하지 않았다. 물론 교회 공동체가 은혜와 사랑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그러나 사회 속에서 존속하는 공동체로서 제도와 규칙을 실행하는 것은 성경적, 신학적, 윤리적인 면에서 늘 요청되는 일이다. 또 일반 사회에서 교회를 바라보는 시각도 오히려 사회의 어느 조직이나 공동체보다 더 엄격한 정의 개념, 윤리적 실천 등을 교회에 요청한다. 규칙이나 제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으면 그 교회 공동체는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고 교회 본연의 힘을 잃어 정상적인 교회로서의 기능을 감당할 수 없게 된다. 그런 면에서 본 교회는 사회적인 면에서 윤리적인 약점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교회를 정상적으로 회복하고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교회 구성원이 합의하여 마련한 제도들을 시행할 의무가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맥코믹신학교의 데보라 �(Deborah Kapp) 교수가 강의한 르윈(K. Lewin)의 '변화이론'을 차용하였다. 교회 구성원들을 향한 해빙의 단계(unfreezing stage), 변화의 과정(change stage), 재결빙의 단계(refreezing stage)를 시행하였다. 설교를 통해 비전을 제시하고, 과거의 상처를 용서하고 화해하도록 호소하였고, 교회 본연의 질서와 위치를 회복하도록 요청하며, 교회의 책임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실제적으로는 엄격한 법을 집행하였다. 그리고 그 일들의 시행 후에는 공백이 생긴 지도력을 위해 사람을 새로이 세우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힘겨운 과정이었으나 결과적으로 교회는 안정을 되찾았고, 가시적으로는 교회가 큰 부흥을 다시 경험하며, 사회에서는 신뢰를 회복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Hong Kong Korean Church is a church that takes a leading position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and Hong Kong Korean residents society. It has the longest history and because of its size, it makes a huge impact in the society. Despite that fact, the church tried to resolve its church problems in a secular courtroom. As a device to prevent the church from undergoing another split, the church established "The Hong Kong Korean Church Rules" and have attempted to administer them but it has caused more disruption in the defini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rules and was in the midst of a serious situation. Especially in problems pertaining the reappointment of the minister and elders, the age of retirement for elders, the election of new people in position, etc.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opinions of these rules, they have been drifting and no rules have been administered properly. The best resolution to this urgent situation was to take existing laws from the churches of Korea, although there are weak areas in it as well, but to enforce them in the church here. By using their laws such as, retiring at the retiring age, asking those necessary whether they would like to be reappointed, filling in and supporting the empty positions through a new face to make the church active. This was the highest priority. Whether it be in the age of the Old Testament or the Early Church period, or after theReformed Church, the church community, as a covenant community always required an organized structure. There was no hesitation on whether or not to accept and enforce its system devices. The premise of the church community is of course on love and grace. But as a community in the society, the system and rules are always reflected upon biblical, theological and ethical aspects. When society looks at the church, it expects the church community to be even more strict in its justice ideal and ethical principles than any other community in the society. If the rules are not administered properly, the church community cannot help but go through conflict and the church will lost its nature of strength. The church will not be able to fulfill its function as a church. In this aspect, the Hong Kong Korean Church has an ethical weakness in the society. To restore and activate the church, the church members must mutually agree and oblige to enforce the 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Professor Deborah Kapp of McCormick Seminary used "The Change Theory". She used the church members and implemented them in the unfreezing stage, the change stage and the refreezing stage. To reinforce the vision through sermons, and encourage the church to forgive and resolve thepast wounds, to request the church to restore its nature of order and position and to empashize the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And to actually enforce rigid regulations and to fill empty positions and build people up.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but as the church has stabilized and has been able to experience a great revival again, the church was able to gain trust and restorative results in the society.

      • Ways of revitalizing the church through settling new family : 새 가족 정착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안동 용상교회를 중심으로

        박석진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2991

        본 연구는 새 가족의 정착율을 높임으로 교회 성장과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용상교회는 새 가족 정착을 통해 교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인들의 배타성과 미흡한 새 가족 관리 체제, 그리고 교육 및 관리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새 가족의 정착율이 30%를 밑도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바울과 바나바의 관계를 성경적 이상으로,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유기적 공동체로 이해한 신학자들의 견해를 신학적 이상으로, 그리고 "가정 같은 교회·영혼을 사랑하는 교회"를 목회적 이상으로 삼고 새 가족의 정착율을 향후 70%이상으로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는 먼저 교회관의 정립이 필요했다. 따라서 필자는 교회를 '양육하는 공동체'로 이해했으며 새 가족 양육과 관련하여 성서적, 역사적, 사회 문화적 근거를 찾고자 했다. 특히 사회 문화적 이해를 위해서는 무교와 불교, 그리고 유교에 의해 형성된 한국인의 심성을 살펴보았고, 교회 안팎에서 처하게 되는 새 가족의 삶의 자리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새 가족 정착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에 타개하기 위해서는 변화이론을 도입했다. 첫 번째, 해빙단계에서는 '학습이론'을 적용했으며 설교와 세미나를 구체적인 방법으로 사용했다. 두 번째, 변화 단계에서는 '구조갱신이론'을 적용하여 새 가족부를 확대 재편성하고,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이 실시했다. 세 번째, 재 결빙의 단계에서는 '참여 확대를 통한 활성화 이론'을 적용했는데 토의식 교육을 통한 규범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새 가족부 교육과 활동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졌는데 담임목사인 필자의 목회적 관점에서의 평가, 당회원들의 정책적 측면에서의 평가, 새 가족 부원들의 자기 반성적 평가, 공동체성에 근거한 구역장 ·권찰의 평가, 그리고 새 가족부원들에게 좋은 피드백(feedback) 자료가 될 수 있는 새 가족들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 모든 평가들은 보다 나은 새 가족부를 만들어 가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church growth and vitalization through elevating the rate of settlement of new family. Our has had the problems of having the rate of settlement of new family by 30% due to the lack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program enabling church vitalization through settling the new family. Therefore I made plan of elevating the rate of settlement by 70% in the future with Barnabas of St.Paul as the ideality Biblically,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the opinions of theologicans who understood the church as the organic monnunity as the theological ldeality, and :the church like home, and the church loving the soul "as the ideality of ministry. For the realization of this goal what was urgent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the church. Therefore I understood the church as "Nurturing community", and tried to find the evidence Biblically, hiastor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in relation with nurturing new family. Especially for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I examined the sentiment of Koreans formed by the thought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I also researched in the place of life of new family with which they are closely related. In order to conquer the impediments to the settlement of new family I introduced change theory. In the first stage of unfreezing I applied study theory by using preaching and seminar concretely. In the second stage of chaging I applied organization reformational theory by re-organizing and expanding new family department, I implemented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third stage of refreezing I applied the vitalization theory through participation activation, and there, and our church made the norms through education by discussion. The evaluation on education and activities of new family department has been performed in ways of diversity. There were the evaluations of senior pastor, the writer, in view of ministry, governing board in view of policy of ministry, new family committee in view of self-reflection, area leaders and supervisors based on the character of community, and the new family which will be good feedback materials for new family committee members. Such evaluations would be good materials for the new family committee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A study on church vitalization through the church annex college for the aged : in the case of ulsan yompo presbyterian church = 경로대학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 염포교회를 중심으로

        이승일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2004 해외박사

        RANK : 232991

        한국사회는 준비가 미흡한 가운데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고 있어 많은 노인문제를 낳고 있다. 교회는 사회문제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할 사명이 있기에 깊은 성찰과 연구를 통해 그 해결점을 찾는 노력에 최선을 다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 땅에서 그리스도의 기대와 소원을 이루어 사명을 다하고자 하는 교회는 섬김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필자가 시무하는 염포교회는 지금까지 노인들을 섬김에 있어서 관심은 있었으나 구체적이고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해 오지 못하였다. 교회 내에 노인 섬김 의식 부족, 자원 부족, 정책 및 전문 지도자의 부족 등이 그 동안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못한 원인이었다. 따라서 경로대학을 통하여 교회가 노인 섬김의 원리를 성서적, 신학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이론에 초점을 맞추고 도입하여서 경로대학 운영에 전 교인이 함께 참여하고 기여하도록 교육하고 의식화 하고자 한다. 또한 노인복지를 위한 교인들의 의식변화와 실제적인 실천방안을 소그룹 이론중심에 두고 협력자를 훈련하였다. 교회 내에 경로대학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교회의 각 기관과 평신도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경로대학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노력하였다. 그 결과 노인들은 교육을 통하여 소속감과 성취감을 얻었고 교회 내의 젊은 교인들은 섬기고 돌보는 교회의 사명에 보람과 긍지를 갖게 되었고 불신 노인들을 전도할 수 있는 길을 열게 되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단순히 경로대학만을 위한 프로그램을 전개해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건설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본질을 모색해가면서 교회가 활성화되어지고 궁극적으로 성장되어 가는 길을 찾아감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As the korean society makes its way to an era of increased aging population with insufficient social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m, it's inevitable to face various social issues regarding the aged. The Ulsan Yompo church for which I have been served as a senior minister has acknowledged these issues, yet failed to offer any specific, organized, and lasting program for the aged. Poo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hurch and its calling for the church members, insufficient resources, lack of awareness for the needs of the elderly as well as abscondence of proper policy and professional leadership in the church might be the possible causes of less frequent activities for the aged. Our church, thus, has established a church annex college for the aged, organizing and educating the whole church congregation to participate in our church program designed to encourage the aged to achieve a better life, by applying theological principle of serving the elderly to the biblical, theological, historical, sociocultural theories. For this program, our church endeavored to induce the concerns and participation of all the church members by providing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Eventually, a preparation committee to address the specific issues on the annex college for the aged was formed, and the committee played a key role to induce a church wide participation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annex college. Through the annex college activities, the elderlies could enjoy the sense of belonging and accomplishment, whereas the young church members had a chance to witness to the non-believing elderlies of the annex college for the aged, achieving the missionary works and devoting themselves for serving and caring of the aged. In this dissertation, I focused on providing the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 social issues regarding the aged, which will also contribute to vitalize and expand our church through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ies, on search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as a means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on this land, thus achieving the will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