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2 in the developing mouse cerebral cortex

        오성민 Hallym Univ. 2013 국내박사

        RANK : 231951

        Cell migration plays a pivotal role during nervous system development. Newly generated neurons migrate from their points of origin to their final locations, often over long distances, and assemble into the complex circuits found in a mature nervous system. Although there may be some variation in the mode of migration according to cell type, the main steps involved in the physical movement of a neuron appear to be similar.Sphingosine-1-phosphate, S1P,is known to be involved i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migration. Though the cellular effect of S1P,mediated through its cognate G protein-coupled receptorsis well understood, the regulation of S1P2during brain development has notyetbeen studiedingreatdetail.Here, we report th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1P2during mouse brain development. By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S1P2gene in embryonic mouse brain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e found low but clearly detectable expression of S1P2at embryonic days 14.5, 16.5, and 18.5 in whole embryo brain. Introduction of multiple copies of S1P2gene into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ventricular zone at embryonic days 13.5 by in utero electroporation revealed perturbation of radial migration of ventricular zone cells, suggesting a role S1P2in embryonic neural cell migration. To test whether S1P2is able to induce neurite retraction, we analyzed morphological changes of primary cultured telencephalic neuroblast cells transfected with S1P2. Our results implicate S1P2as an important receptor in S1P2-mediated embryonic brain formation during development.

      • Effects of neck exercise program on deep cervical flexor cross sectional area, lordosis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정신호 Hallym Univ. 2013 국내박사

        RANK : 23195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운동프로그램이 만성경부통증환자의 심부 굽힘근 단면적, 경부만곡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정기준에 맞는 41명의 만성경부통증환자를 두경부 굽힘 운동프로그램군 21명, 등척성 경부 운동 프로그램군 2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두 운동군 모두 각각의 프로그램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심부 굽힘근 단면적은 목긴근을 측정하였고, 경부만곡도를 알아보기위해 순수회전각과 통증척도인 시각상사척도를 측정하였다. 군내에서 실험 전, 4주, 8주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군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군 모두 목긴근 단면적과 통증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5), 경부만곡도에서는 두경부 굽힘 운동프로그램군에서 전만곡이 증가하여 실험 전∼8주, 4∼8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등척성 경부 운동 프로그램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두 군간의 목긴근 단면적과 통증 비교에서는 두경부 굽힘 운동 프로그램군이 등척성 경부 운동 프로그램군에 비해 향상되었고(p<0.05), 경부만 곡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만성경부통증환자 운동 프로그램적용에서 두경부 굽힘 운동 프로그램이 등척성 경부 운동 프로그램보다 근 재교육과 근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 (The) effects of chair height and foot position on sit-to-walk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최영은 Hallym Univ. 2013 국내박사

        RANK : 231951

        연구목적: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과제 수행 시 의자 높이와 발 위치가 움직임의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뇌졸중 환자 11명과 성별, 나이,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에 차이가 없는 정상인 11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발 위치와 의자높이가 서로 다른 4가지 조건(하지길이의 120 % 의자높이와 무릎 후방의 발위치, 하지길이의 120 % 의자높이와 무릎 전방의 발위치, 하지길이의 100 % 의자높이와 무릎 후방의 발위치, 하지길이의 100 % 의자높이와 무릎 전방의 발위치)에서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걷기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걷기는 4 구간으로 정의하여 구간에 따른 움직임의 연속성을 분석하였다. 구간은 다음과 같다: 준비 구간, 이행 구간, 초기 보행시작 구간, 이차 보행시작 구간. 4가지 조건 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에서 사후검정은 Bonferroni’s metho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하지길이의 120 % 의자 높이와 무릎 후방의 발위치일 때, 신체중심의 수평 모멘텀(COM horizontal momentum)은 준비 구간이 끝나는 시점에서 감소폭이 가장 작았으며, 초기 보행시작 구간의 마지막 시점인 첫 걸음을 내딛는 다리의 발끝떼기(swing leg toe-off) 시의 이동 속도와 신체중심과 압력중심 사이 거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5). 결론: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걷기는 시작자세에 따라 보행개시가 달라져 보다 효율적인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걷기가 이루어지므로, 임상에서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걷기의 운동조절을 실시할 때 환자에게 맞는 의자높이와 발 위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Activation of chemokine gene expression and MAPK signaling pathways in murine scrapie models

        이현필 Hallym Univ. 2005 국내박사

        RANK : 231951

        전염성 해면상 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이라고도 불리는 프리온 질환은 사람과 동물에서 나타나는 치명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으로서 신경세포의 소실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공포(spongiosis), 성상세포의 증식(astrocytosis)등의 신경조직학적 병변을 나타낸다.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AD)이나 파킨슨 질환 (parkinson's disease; PD)등의 퇴행성 신경질환과 많은 유사점을 보이지만, 감염성을 가진다는 면에서 이들과는 다르게 분류 된다.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cytokine인 chemokine은 기능적인 면에서 단지 면역세포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확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온 질환의 퇴행성 신경변화 기작에 chemokine과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신호전달 기작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째로, 마우스 ME7 스크래피 모델에서 CC chemokine RANTES와 그 수용체 CCR1, CCR3, CCR5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RANTES 유전자의 mRNA는 스크래피 감염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감염된 마우스 해마의 GFAP 양성인 성상세포에서만 관찰되었다. 수용체들의 mRNA는 전체 뇌조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감염군의 해마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고, 해마의 활성화된 성상세포에서 관찰되었다. CCR5의 경우, 해마의 microglia에서도 관찰되었다. 두번째로, 프리온 질환의 병인기작에 MAPK 신호전달 기작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햄스터 263K 모델에서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APK, extracellular signal-resulted kinase (ERK)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감염군에서 활성화된 JNK, p38, ERK가 모두 증가되었다. ERK의 하위 전사인자중 하나인 CREB의 인산화가 감염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JNK의 기질인 c-Jun은 mRNA와 protein 모두 감염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GST-c-Jun을 이용한 JNK의 in vitro kinase assay결과 또한 감염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Phospho-c-Jun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결과, immunoreactivity가 감염군의 thalamus neurons에서만 관찰 되었다. 따라서 스크래피 감염에 의하여 JNK 신호전달 기작이 활성화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스크래피 감염결과 말초로부터 염증세포의 침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감염군에서 chemokine이 증가되는 것은 스크래피 감염결과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세포들이 반응한 결과라고 불수 있다. 스크래피 동물 모델에서 chemokine과 수용체의 발현증가는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사이의 communication에 변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다른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유도할수 있다는 점에서 프리온 질환의 pathogenesis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해 준다. 또한 MAPK 신호전달 기작은 세포내에서 엄격하게 조절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스크래피 감염군에서 chronic activation 형태의 dysregulation을 보이는 것은, 이들 kinase pathways 조절이상이 퇴행성 신경변화를 조절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fat mass, muscle mass, and musculoskeletal pain in community residents

        유종진 Hallym Univ. 2014 국내박사

        RANK : 231951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 mass, muscle mass, fat/muscle mass ratio, metabolic syndrome, and musculoskeletal pain in community residents. Methods. In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1530 participants completed pain questionnaires and underwent dual x-ray absorptiometry to calculate body composition. Pai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in regions, such that the most severe category of pain was widespread pain, defined as pain above the waist, below the waist,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in the axial region.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using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5 recommendation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ain was evaluated by dividing the population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high BMI. Results. Total fat mass and fat/muscle ratio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only among female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ch quartile of fat/muscle mass ratio and widespread pain after adjustment for sex, age, and self-reported arthritis. Although widespread pain was more prevalent among those with metabolic syndrome in both normaland high-BMI subjects, the association was non-significant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ex. Conclusions. Increase in fat mass and fat/muscle mass rati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among females. Widespread pa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 fat/muscle ratio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by which increased fat mass causes pain may provide insights into preventative measures and therapeutic strategies for musculoskeletal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