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tiulcer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Rutin

        김소연 Graduate School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154127

        Patients with gastric disease like gastritis, peptic ulcer and functional dyspepsia have increased every year. According to the reported data of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igestive disorders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disease’ like gastritis, peptic ulcer and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are over 10,360,000 in 2015. Also, gastric cancer occurred 30,184 cases which ranked 2nd in the frequency of cancer as 13.4% of total cancer rate. In age over twenties, gastric cancer has always been one of the top three causes of death, and it is the number one cause of the death of those in their thirties. Therefore, it has a high mortality among young people. Most of gastric diseases like gastritis, peptic ulcer and functional dyspepsia tend to turn into chronic diseases through repeated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despite appropriate medication treatment, thus the high rate of direct and indirect social costs as well as medical expenses are used. The economic losses are rising even higher if the gastric cancer is included. So,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functional foods for prevention is increasing. Antacids, H2 antagonists, proton pump inhibitors (PPIs),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s), H. pylori antimicrobial agents, prokinetics and adjuvant medication like anti-depressant and antianxiety drug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s for gastric disease. These medications are proven the efficacy but side effects have also been consistently report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ynthesized pharmaceuticals. The side effects of antacids include constipation, diarrhea, reduced concentration of serum phosphate and metabolic alkalosis, while the side effects of the H2 antagonist cimetidine include gynecomastia, impotence, reduced sexual desire and drug interaction caused by inhibition of CYP3A4. Also, PPIs which are most frequently prescribed drugs worldwide for their effectiveness increase the risk of fracture and cause rise of blood pressure due to decrease a blood vessel relaxation according to the Science Daily report on November in 2013. This study aims to search material from the natural substances of safety and effectiveness empirically which can improve gastric disease treatments. To begin with,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hawthorn that is a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as well as its effective compounds. The results of preliminary experiments showed that hawthorn’s water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 have effects on gastritis, especially noticed rutin’s effectiv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rutin on gastric disease, animal models were used to confirm the protective effects both on acute gastritis caused by HCI·ethanol and the protective effects on gastric ulcer by indomethacin. As for gastric acid which can act as an aggressive factor when gastric mucosa becomes weak, it was also identified through acid-neutralizing test, gastric secretion test, and proton pump (H+/K+-ATPase) inhibition test. In addition, antibacterial activity experiment was done on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which is known to be the causing factor of chronic gastritis, gastric ulcer and gastric cancer. In regards to the protective factor for gastric damage, prostaglandin E2 produced by arachidonic acid cascade which is a chain of enzyme response started from arachidonic acid at biosynthetic pathway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mucus secretion through alcian blue stain was conducted to prove the increase of protective factors. For functional dyspepsia test, the experiments of gastric emptying and intestinal motility were conducted using animal model. In order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experiments such as reducing power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lipid peroxidation assay were accomplished. Cytotoxicity was identified through MTT assay through SNU638 and AGS cells that are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rutin’s effectiveness for cancer cells was confirmed through DAPI staining by AGS cells and flow cytometry analysis. Also, rutin’s effectiveness for apoptosis-inducing activity was confirmed through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for the experiment of aggressive factors, rutin showed a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n acute gastritis by HCI-ethanol and on gastric ulcer caused by indomethacin. On the experiments of acid-neutralizing capacity and gastric secretion, rutin shows a significant increasing effect on pH. Also, rutin inhibited acid secretion by inhibiting proton pump (H+/K+-ATPase), which is the gastric acid secreting enzyme involved at the final phase of gastric acid secretion. In the test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n H. pylori which causes diseases such as gastritis, gastric ulcer, gastric cancer and the aggressive factor in gastrointestinal disorder, rutin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H. pylori coloniza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of protective factor, rutin was identified with gastric mucosa protection effects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GE2 and mucus secretion that is protective factors of gastric mucosa preservation. In the experiment for improving functional dyspepsia, rutin showed a significant gastric emptying effect without gastric damage in the gastric emptying test, and rutin had better effectiveness on intestinal motility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and positive control. So, the development as purgatives or diet pills c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 In experiments of antioxidant effect for active oxygen in regard to gastric disease by oxidative stress, rutin showed a reducing power capacity in the reducing power experiment, but the result was relatively low rather than control, pyrogallol. Rutin had the hydrogen-donating activity to DPPH radical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showed a significa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n IC50 of 9.62 μg/ml. Also, rutin showed approximately 40-70%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ith an IC50 of 9.8 μg/ml. Therefore, rutin shows a protective efficacy for cell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experiment of cytotoxicity for gastric cancer cells, IC50 was shown as 74.5 μM and 131.2 μM below 200 μM in SNU638 cell and AGS cell respectively which showed the cytotoxicity of rutin for cancer cells. With DAPI staining experi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cells for AGS cancer cell lines was decreased and the cells were transformed concentration-dependently. So, rutin was identified that it had effects on apoptosis of cancer cells. Through the flow cytometry assay, rutin was also identified that it had effects on apoptosis of cancer cells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the result of protein expression associated with apoptosis by western blot analysis, rutin may influence the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by the JNK pathway, but rutin may not induce the anticancer effect by extrinsic apoptosis.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rutin had effects on inhibiting gastric acid, NSAIDs, proton pump and H. pylori, on enhancing protective factors by increasing PGE2 and mucus secretion in gastritis and gastric ulcer. Rutin showed outstanding effects in the experiments of gastric emptying and intestinal motility, so improvement effect for functional dyspepsia was confirmed. Rutin showed a protective efficacy for cell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through antioxidant effect through significa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ffectiv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it also had partial effects on gastric cancer by cytotoxicity of cancer cells. Also, rutin may not induces the extrinsic apoptosis, but it influences the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through the JNK pathway.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substance rutin as use of supplement treatment and preventing agent for gastric disease was confirmed.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drug for gastric mucous protectection, because rutin showed superior effects though the defensive factor enhancement. Further studies of the mechanisms of effects on gastric disease and apoptosis pathway should be conducted for scientific verific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rutin as a drug for gastric disease. 위염, 소화성 궤양, 기능성 소화불량 등의 위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6년 2월 발표자료에 따르면 소화기 질환인 위염, 역류성 식도염, 위궤양 등의 '식도, 위 및 십이지장의 질환' (질병코드 K20~K31)으로 2015년 병원을 찾은 환자는 1,036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에 발표된 보건복지부 국가암정보센터 (National Cancer Informantion Center) 자료에 의하면 위암은 30,18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3.4%로 2위를 차지하였다. 연령대별 위암관련 사망률은 20대 이상의 사망률에서는 3위 이내이며, 특히 30대의 암 관련 사망률에서는 1위를 차지하여 다른 암 과 비교했을 때 젊은 층에서 높은 사망률을 차지하고 있다. 위염, 소화성 궤양, 기능성 소화불량 등 위 질환의 대부분은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만성 질환으로 이행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직접의료비뿐 아니라 질병관련 간접비용까지 고려할 때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되고 있으며, 위암을 포함하면 경제적 및 사회적 손실은 더욱 증가되어 새로운 치료제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필요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위 질환의 치료제로 제산제, H2 antagonists, proton pump inhibitors (PPIs),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s), Helicobacter pylori 제균제, 위장운동촉진제 (prokinetics)를 비롯하여 보조제로 항 우울제, 항 불안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합성 의약품으로, 해당 질환에 대한 효능은 입증 되었으나 부작용 또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산제는 설사나 변비 유발, 혈청 인 (Potassium) 농도 저하와 대사성 알칼로시스를 초래하며, H2 antagonist 인 cimetidine은 여성형 유방, 발기부전, 성욕 부진 및 CYP3A4의 억제 작용으로 인한 약물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PPIs는 우수한 효능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처방되는 약물이지만 골절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2013년 11월 Science Daily 따르면 장기 사용 시 혈관의 이완기능을 감소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등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도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과 효능이 확인 된 천연물 중에서도 특히 위 질환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중에서 위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장미과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의 열매인 산사 와 그 유효 성분에 대하여 위 손상 에 관한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산사의 H2O 추출물과 70% ethanol 추출물이 위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분리성분 중에서도 특히 rutin 의 효과에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utin의 위 질환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HCl·ethanol로 유도한 급성 위염 동물 모델 및 indomethacin로 유도한 위궤양 동물 모델을 통해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위 점막 약화 시에 공격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위산에 대한 실험으로 제산력 시험, 기초 위액 분비량, pH 및 산분비량에 미치는 작용 시험과 proton pump (H+/K+-ATPase)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만성위염, 위궤양 및 위암의 원인 인자로 잘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균에 대한 항균 활성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 손상에 대한 보호인자로는, arachidonic acid 에서 시작되어 일련의 효소 반응에 의한 생합성 경로인 arachidonic cascade 로 부터 생성되어 방어 인자를 증강시키는 prostaglandin E2 에 대한 정량 분석 및 alcian blue stain을 통한 점액 분비량을 측정 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실험으로는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위 배출능 및 장관 수송능을 확인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환원력 시험, DPPH 소거 활성 측정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을 실시하였다. 위암 세포인 SNU638 과 AGS를 사용 한 MTT assay를 실시하여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고, AGS 세포주에 대한 DAPI 핵 염색법 및 flow cytometry analysis 를 실시함으로써 암세포에 대한 rutin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analysis 를 이용한 protein expression을 통해 rutin이 apoptosis inducing activity 에 관여하는지 확인하였다. 공격인자에 대한 실험 중 HCl·ethanol에 기인한 급성 위염 흰 쥐 모델에서 rutin은 용량 의존적으로 뚜렷한 위 손상 억제 효과를 보였고, indomethacin에 기인한 위궤양 모델에서도 용량 의존적으로 뚜렷한 위궤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위산을 중화시키는 제산력 시험과 위액에 의한 위 손상을 관찰하는 gastric secretion (위액분비량, pH 및 산분비량에 미치는 작용) 실험 결과, pH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다. 위산 분비 최종 단계에 관여하여 위산을 분비하는 효소인 proton pump (H+/K+-ATPase)를 억제하여 위산 분비 억제하는 효능도 확인하였다. 또한, 위염, 위궤양과 위암의 원인인자이며 위 질환의 공격 인자인 H.pylori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방어인자에 대한 실험을 통해, 위 점막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어 인자인 PGE2의 농도를 높이고 점액 분비를 촉진 함으로써 위 점막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화불량 개선을 확인할 수 있는 위 배출능 실험에서 rutin은 위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정도의 농도 의존적인 위 배출 효능을 보였으며, 장관 수송능에는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장관 수송능 효과를 나타내어 사하제 또는 비만치료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었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위 질환 발생에 대하여 항산화 효능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환원력 시험에서 rutin은 대조군인 pyrogallol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환원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시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수소 공여 활성을 나타내었고 IC50에서 9.62 μg/ml 로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지질과산화 억제 시험에서는 IC50인 9.8 μg/ml 대략 40-70%의 지질 과산화 억제효능을 보여 활성 산소종에 의한 세포 손상에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실험에서, SNU638 cell 및 AGS cell에 대한 rutin의 IC50가 각각 200 μM이하인 각각 74.5 μM 및 131.2 μM로 나타나 암세포에 대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PI 핵 염색법으로 AGS 암 세포주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수 감소와 세포 모양 변형을 관찰함으로써 암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rutin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flow cytometry assay 실험을 통해서도 암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rutin의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Apoptosis 관련 protein expression 실험을 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rutin은 JNK pathway를 통해 세포의 생존과 증식 억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extrinsic apoptosis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rutin은 위 손상의 공격인자인 위산, NSAIDs, proton pump 및 H. pylori 를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PGE2 농도 및 점액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어 인자를 강화하여 위염 및 위궤양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배출 효능과 장관 수송능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여 기능성 소화불량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수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과 지질 과산화 억제능을 통해서 활성 산소종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위암세포의 세포 독성 실험에서도 효과를 보임으로써 위암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extrinsic apoptosis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JNK pathway를 통해 세포의 생존과 증식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연물 분리 성분인 rutin의 위 질환 보조 치료제 및 예방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방어 인자 강화를 통한 점막보호 효과가 뛰어나 위 점막보호제로서의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었다. Rutin의 위 질환 효능 기전과 apoptosis pathway 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실시되어 향후 위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제제로의 개발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뒷받침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Forward genetic screens for dfin(DFPM-insensitive to root growth)mutants from the Activation tagging mutant populations

        김서정 Graduate school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154127

        The Agrobacterium-mediated T-DNA integration has been a powerful tool to generate valuable mutant populations for functional gene characterization in plants. However, T-DNA integrations are frequently occurred as complex patterns of T-DNA and it is difficult to fully characterize these various T-DNA structures using conventional methods. Furthermore, simply integration of the T-DNA in the genome generates only loss-of-function mutants, which cannot solve the genetic redundancy or lethality problems often found in plants. In contrast, the activation tagging of T-DNA can lead to generate gain-of-function mutants by induction of nearby genes after the T-DNA integration as well as to produce the loss-of-function mutants. To discover novel genes which function in the DFPM-induced root growth arrest, here, I performed the forward genetic screenings for isolation of the dfin (DFPM-insensitive to root growth) mutant from the Arabidopsis activation tagging population. After confirming the mutant phenotypes in the next generation, I tri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DNA insertions in the dfin mutant genome. To do this, I conducted several experimental approaches addressing the complex T-DNA inserts, such as the TAIL-PCR, map based cloning, and plasmid rescues. A total of 19 dfin mutants with strong primary root growth arrest phenotype were isolated from the screening and 12 T-DNA integration sites from these dfin mutant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the TAIL-PCR. Through the map based cloning and genetic crossings between mutants and several wildtype ecotypes, I found that the generation of DFPM-induced root growth phenotype requires the activity of functional VICTR in a copy number dependent way. Agrobacterium을 매개로 한 식물체 지놈 내 T-DNA의 삽입은 미지의 유전자들의 in vivo 기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여러 돌연변이 집단들을 생산하여 유전학 연구에 널리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T-DNA의 삽입은 복잡한 구조적 형태로서 자주 발생되어 이러한 형태의 T-DNA는 전통적 실험방법만으로는 그 삽입 구조를 완전히 특성화해내기 어렵다. 또한 단순히T-DNA의 삽입으로 발생된 기능 상실 돌연변이의 경우에는 식물에서 흔히 보이는 유전자들의 중복이나 치사 형질과 같은 경우는 분석이 어렵게 된다. 반면에 T-DNA의 activation tagging을 이용한 방법은 기능 상실 돌연변이 외에도 주변 유전자들의 발현 유도에 의한 기능 획득 돌연변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FPM에 의해 유도되어 뿌리생장 저해 표현형을 결정하는데 기능하는 유전자를 찾고자, 기능 상실 돌연변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Activation tagging 돌연변이 개체군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여 dfin (DFPM-insensitive to root growth) 돌연변이체의 선별을 위한 forward genetic screening을 진행하였다. 선별된 돌연변이들은 그 다음 세대에서도 표현형이 유지되는지 확인하였고, 이후에dfin 돌연변이들의 유전체 상에 삽입된 T-DNA의 분리를 위해 TAIL-PCR, map based cloning, plasmid rescue 와 같은 여러 분자생물학적 실험 방법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DFPM에 의한 뿌리생장의 저해표현형을 억제하는 19 개의 dfin 돌연변이체들을 선별하였고, TAIL-PCR 방법을 통해 이들로 부터12 곳의 T-DNA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ap based cloning과 돌연변이와 다른 아종들간의 교배를 통하여 DFPM에 유도되어 나타나는 뿌리 생장 저해 표현형의 발생에는 기능적인 VICTR의 활성이 요구되며, 특별히 이는 VICTR의 유전자 갯수에 의존적임을 보였다.

      • Effects of oxidative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s, Yap1 and Skn7, on the genome instability in Saccharomyces

        이지현 Graduate school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154127

        Maintenance of genome stabil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tress response have been considered as fundamental biological processes for life, respectively. Interestingly, recent studies shows that there is a mutual influences between both proces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his study has employed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model system. In Saccharomyces cerevisiae, Rad51 plays a necessary role in homologous recombination and double-strand break (DSB) repair. Meanwhile, Skn7 and Yap1 are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response as transcription factors to regulate antioxidant genes. In this study, when ROS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YAP1 or SKN7, was deleted in rad51Δ mutant, we observed synergistic effects on sensitivity of the double deletion mutants to ROS and DNA damaging agents. Also, the results of survival and mutation rates under treatment with phleomycin (PHL) and hydrogen peroxide (H2O2) suggest that both responses to ROS and DSB collaborate on maintenance of genome. Unexpectedly, although over-expression of Yap1 or Skn7 recovered growth defects of their deletion mutants, high level of each transcription factor reduced viability of rad51Δ cell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oles of both transcription factors for proper response in the absence of Rad51 must be multi-directional. Coll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ROS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s, Yap1 and Skn7, are required for DSB repair. Given that proper response to DSB is also crucial for anti-oxidant defenses, our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Reciprocal mechanisms on genome maintenance. 유전체 불안정성 그리고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tress response는 근본적으로 살아있는 생물체가 겪어야 하는 과정에서는 죽을 때 까지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다. 최근에 흥미롭게도 이 둘의 작용이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연구되었다. 이 둘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Rad51은 상동재조합과 양가닥 절단 수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한편 Skn7과 Yap1은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로서 antioxidant 유전자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ROS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인 Skn7 또는 Yap1에 Rad51이 결핍된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두 유전자 모두 없는 double deletion 상태에서 ROS와 DNA damaging agent 환경에서 서로 작용하여 민감성이 상승이 되는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phleomycin (PHL)과 hydrogen peroxide (H2O2)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과 돌연변이 비율 측정 실험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유전자들이 ROS와 DSB 이 둘에 협력하여 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뜻밖에도, Yap1 또는 Skn7 over-expression이 발생하면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 주의 성장억제를 회복시켰다. transcription factor이 증가하면 rad51Δ 세포의 성장이 줄어든다. 이 결과로 transcription factor가 단백질이 결핍된 Rad51에 여러 방향으로 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ROS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인 Yap1 또는 Skn7이 DSB repair에 요구되어 진다. 결정적으로 DSB 또한 anti-oxidant를 방어하는 요인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유전자를 유지하는 다양한 상호 기작이 존재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 Study on Polymorphism of DA-8159 : DA-8159의 Polymorphism에 關한 硏究

        류지윤 Graduate School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2004 국내박사

        RANK : 154127

        DA-8159는 새로운 Pyrazolypyrimidinone 유도체로서 (주)동아제약에서 발기부전의 경구투여제로서 개발 중인 약물이다. 이 물질은 Phosphodiesterase 5 (PDE 5)의 잠재적이고 선택적인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Sidenafil(Viagra^(�))와 유사한 작용기전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DA-8159 의 다른 결정형이 존재하는 지와 결정형의 용출속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제조, 분리된 다형은 열분석법과 X선 회절법에 의하여 검출하고 특성화 하였으며 각 다형을 6시간 동안 인공장액 중에서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DA-8159의 세 가지 결정형 (Form Ⅰ, Form Ⅱ, Form Ⅲ) 이 제조되었다. 세 가지 결정형은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결과 화학적으로 동일하나,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와 X-ray powder diffractometry (XPRD) 에 의하여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측정 결과, Form Ⅰ은 163.9℃에서 녹았고 그 융해열은 12.3 cal/g였다. Form Ⅱ의 녹는 점은 162.6℃이며 융해열은 20.9 cal/g였다. Form Ⅲ는 52.3℃ 와 148.9℃에서 흡열곡선의 최고점을 나타냈다. 그 융해열은 각각 1.7 ca1/g 과 6.8 cal/g였다. 37℃, 인공장액 중에서 실시된 용출시험에서 세 결정형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1시간 후, Form Ⅲ의 용출속도가 가장 놓았고 Form Ⅰ 이 Form Ⅱ 보다 높았다. 그러나 6시간 후, Form Ⅲ의 용출속도와 용해도가 여전히 가장 높았고 Form Ⅰ 과 Form Ⅱ 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습도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결정형을 동일한 온도조건 (실온)에서 0%와 52%, 95% RH로 습도를 달리하여 2개월간 방치하였다. Form Ⅱ는 형의 전환이 없었으나, Form Ⅲ는 52% RH와 95% RH에서 Form Ⅱ로 형이 전환되었으며, Form Ⅰ은 0%와 52%, 95% RH에서 Form Ⅱ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와 X-ray powder diffractometry 결과에 의하여 결정성이 낮은 물질로 보이는 Form Ⅲ가 더 안정된 형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DA-8159 is a new Pyrazolypyrimidinone derivative showing potent and selective Phosphodiesterase 5 (PDE 5) inhibition. It was developed as an oral treatment for erectile dys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different polymorphic forms of DA-8159 and the effect of these different polymorphic forms on the dissolution rate. The isolated polymorphs were detected and characterized by thermal method and X-ray powder diffraction crystallography(XRPD). The dissolution behavior of polymorphs were also studied. The existence of three polymorphs (Form Ⅰ, Ⅱ and Ⅲ) was confirmed fr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rofile and respectively different X-ray powder diffractometry (XRPD) patterns. From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rofiles, Form I melted at 163.9 ℃ and its heat of fusion was 12.3 cal/g. And Form Ⅱ melted at 162. 6t and the heat of fusion was 20.9 cal/g. The endothermic peaks of Form Ⅲ were at 52.3℃ and 148.9℃ and then their heats of fusion were 1.7 cal/g and 6.8 cal/g. In the dissolution studi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at 37 ℃, three polymorphs showed different patterns. After 6 hours, the dissolution rate and solubility of Form Ⅲ were the highest of all. The dissolution rate of Form Ⅰ did not differ from that of Form Ⅱ significantly. But for 1 hour, the dissolution rate of Form Ⅲ was the highest and that of Form Ⅰ was higher than that of Form Ⅱ. Form Ⅱ was stable physically at room temperature in 0%, 52% and 95% relative humidity_ conditions for 2 months. Form Ⅰ converted to Form Ⅱ in 0%, 52% and 95%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Form Ⅲ was not transformed in 0% relative humidity condition but converted to Form Ⅱ in 52% and 95%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