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a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Class : 영어 회화수업 내의 효과적인 그룹활동

        파슈엘, 마리 샤메인 M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5039

        본 논문은 한국대학의 회화수업에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신상자료를 작성한다; 2) 수업에 제공되는 강의실을 설명한다; 3) 영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영어를 배우는데 동기를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소그룹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4) 소그룹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실에 대한 권장을 정형화한다.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이것은 이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어를 배우는 그들의 동기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소그룹활동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고안된 질문지에 응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의 특징과 수업에 이용되는 강의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관찰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며, 학생들과의 비공식적인 면담은 조사의 결과에 따라 기록된다. 전체 31개의 질문지는 한국의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전남대학교에서 중급 영어 회화 1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적용된다. 조사의 결과는 학생들의 특성,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한 자신들의 평가, 이 과정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로 세분된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으로 나뉜다. 이것은 빈도를 표시하고, 특별한 항목의 빈도의 수 혹은 선택된 답변, 비율을 나타내는 도표에 기초한다. 빈도가 표시된 결과물은 분석되고, 도출된 응답이 가리키는 경향에 따라 분류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소그룹활동이 학생들의 언어발달과 동기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집에서와 같은 소그룹 활동과 숙련된 그룹의 토론, 수업에서의 토론과 같은 활동들, 개별적인 발표, 전자 우편 쓰기, 보고서 등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학생들은 교사의 모범적인 수업관리를 통해서 자신감과 자기 신뢰를 발전시킨다. 이 수업은 학생들의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네 영역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영어로 창의적인 사고를 하게 하는 능력을 계발시키고, 다른 사람들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적절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기술과 전략을 배우게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풍요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학생들의 실행과 동기에 대한 소그룹 활동의 긍정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 포함된 일부 학생들은 지루함과 흥미의 부족을 나타냈고, 수업에서 선정된 화제가 어렵거나 긴 경우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킨셀러스 (Kinsellas)의 비판과 학습구조의 상관 유형에 귀착시킬 수 있다. 본고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영어능력에서 자신감이 결핍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급우들과 교사에게 영어를 말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정규 수업이나 활동을 하는 상황 밖에서는 외국인들과의 회화를 편하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부족은 한국의 교육체계에서는 유교 교육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에서 기인한다. 한국의 교육체계는 분석적, 비판적, 창조적인 사고에 주의를 덜 기울인 기계적인 암기에 초점을 맞추어진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권고하고 싶은 것은 콘텍스트 연구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 관계되는 문헌들을 참고로 학급 관찰, 비공식적인 인터뷰 ,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 고는 소그룹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고 , 다른 소그룹활동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conversation clas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make a profile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2) to describe the classroom management employed in the class; 3) to asses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 learners increase their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and 4) to formulate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ponses of students enroll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o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m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n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It also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 classroom management techniques used in the class. Observations made in the classroom,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recorded to support the results of the survey. A total of 31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Korean students attending Intermediate English Conversation Class 1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ubdivided into Students’ Characteristics, Student’s Assessm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Student’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Course. The analysis of data wa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t was based on the tabulation of frequency counts, or the number of times a specific item or answer was chosen, and percentage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counts were analyzed and ranked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a trend in the respondents’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mall group activities show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and motivation. Small group activities like home and expert group discussions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lass such as whole class discussions, individual presentations, writing e-mail and reports gave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the English language as a mode of communication. The students developed self-confidence and trust through the teacher’s exemplary classroom managem ent. The course helped the students to progress in the areas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developing the abilities to think creatively in English, pay attention to others, learn appropriate language learning skills and strategies, and work productively with others. Despite the positive outcome of small group activities on students’ performance and motivation, some of the students included in this study also showed boredom and lack of interest, and displayed less interactivity when the topics chosen for the class were difficult and lengthy. These findings can be attributed to Kinsellas’(1991) critical and relational type of learning constructs. This study also shows that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self-confidence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felt awkward to speak English to their classmates and teacher, but felt comfortable to speak to foreigners outside of formal class or activity situations. The students’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ue to the negative effects of Confucian educational values on Korean education system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focusing on rote learning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analytical, critical or creative thinking(Lee, 2003). Recommenda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assroom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 and survey, as well as the research context and the related literature accum ulated in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divided into planning small group activities, implementing small group activities, and after small group activities.

      • Effects of Flavonoids on Oxidative Stress Caused by High Glucose Concentration in Rat Podocytes : 쥐 신장 족세포에서 고농도의 글루코오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플라보노이드의 효과

        조현나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국내박사

        RANK : 235023

        쥐 신장 족세포는 높은 포도당 농도 하에서 ROS 생성 및 세포 외 기질 분해에 관련되어 당뇨병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로써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거나 항산화제 효소의 양을 증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은 세포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저자는 쥐 신장 족세포에서 글루코오스에 치한 ROS 생성에 대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ROS 생성은 DCF-D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지질 손상은 지질과산화물, 단백 손상은 카보닐 함량으로 측정하고 GSH 함량은 GSH/GSSG 비율을 통해 측정하였다. 기질금속분해효소-9 활성은 zymography를 통해 정량하였고 단백질 발현 정도는 Western blot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고농도의 글루코오스는 세포내의 ROS, 지질과산화물, carbonyl 형성을 증가시켰으며 글루타치온 함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고농도의 글루코오스 처치는 신장 족세포의 기질금속분해효소-9 활성을 증가시켰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플라보노이드 즉 (-)-epigallocatechin gallate (BGCG), fisetin, kaempferol, quercetin, genistein, resveratrol(3,5,4'-trihydroxystillbene), morin, chrysin, rutin, luteolin, myricetin, propyl gallate, gallic acid, naringenin, caffeic acid, catechin gallate, epicatechin이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지질 과산화와 단백산화를 방지하고 GSH 함량을 정상으로 회복시켰다. 또한 글루코오스에 의해서 증가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9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보노이드가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Glucose-related ROS (Reactive Oxygen Species) play a central role in diabetic pathogenesis. The increased production of ROS caused by hyperglycemia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latelet dysfuction, tissue remodeling via metalloproteinases and an increased production of 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Glomerular visceral epitheial cells (podocytes) are highly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cells which form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glomerular filtration barrier In this respect, the podocyte is important in the progression of glomerular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antioxidants on ROS production of the podocytes treated with high glucose (30 mM).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2', 7'-dihydro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lteration of intracellular GSH (glutathione) was assessed through GSH (glutathione)/GSSG (glutathione disulfide) ratio and AGE were measured by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carbonylation. MMP-9 (Metalloproteinases-9) activity was analyzed with gelatin zymography and the protein level was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Glucose-related oxidative stress Induced the increase of ROS production, MMP-9 activity,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oxidation and the depletion of GSH in podocytes. The flavonoids used in this study were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isetin, kaempferol, morin, quercetin, genistein, resveratrol (3,5,4'-trihydroxystilbene), chrysin, rutin, luteolin, myricetin, propyl gallate, gallic acid, naringenin, caffeic acid, catechin gallate, epicatechin gallate. Most of them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carbonylation induced by glucose-related oxidative stress. Also they restored the level of intracellular GSH and led to a reduction of the MMP-9 activities in pod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lavonoids might be useful to develop reagents to inhibit the glucose-related nephropathy.

      • Studies of the Ubiquinone Binding Properties in the Urea-Functionalized Porphyrins : Urea 작용기를 도입한 포르피린과 Ubiquinone의 결합 특성에 관한 연구

        송기주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5023

        meso-(a,a,a,a)-tetrakis [2-(arlyurea)pheny]porphγrins 을 ubiquinone 유사체의 분자 인식을 위하여 합성하였다. 포르피린 유도체는 분자내에 urea그룹을 가지고 있어 quinone 분자와의 수소결합을 통하여 두 분자 사이에 마주 보는 구조를 갖게 된다 UV-vis, NMR titration을 통하여 quinone 분자에 첨가된 mothoxy 그룹의 수가 증가 할 수록 binding 의 세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 binding 의 세기는 2,6-dimethoxyl,4-benzoquinone의 경우 2.4*10^(5) 의 값을 갖는다 또한 meso-(a,a,a,a)-tetrakis[2-(arlyurea)phenyl]porphyrins 의 존재하에서 2,6-dimethoxy-1,4-benzoquinone 의 매우 큰 전위 이동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비 정상적인 이동은 prophyrin 의 4쌍의 N-H 와 퀴논 분자에 존재하는 2개치 methoxy 와의 결합뿐만 아니라 퀴논에 존재하는 carbonyl group 과 N-H 간의 수소결합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Meso-(a,a,a,a)-tetrakis[2-(arlyurea)phenyl] porphYrins were synthesized as receptors for ubiquinone analogues. These porphyrins bind a series of quinones with a cofacial structure linked by hydrogen bonds.UV-vis, NMR titration data reveal that the binding constants of for quinones increase with the number of MeO substituents bound to a quinone ring. The binding constant of P5 with DMBQ was about 2.4×10^(5). Also, the remarkably potential shift (722mV) on the reduction of 2,6-dimethoxy-1,4-benzoquinone i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meso-(a,a,a,a)-tetrakis [2-(pentafluorophenylurea)phenyl] porphyrin.The uncommon shift is attributed to the hydrogen bondings between four N-H bonds of porphyrin and two carbonyls of quinoe as well as four N-H bonds of porphyrin and two mehtoxys of quinone.

      • Experimental Study of the Femoral Head Deformity Following Vascular Infarct in Growing Rabbits : The effect of subluxation = 가토에 있어서 혈관 경색 후 발생하는 대퇴 골두의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아탈구의 영향

        이휘재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5023

        Legg-Calve´-Perthes 병(소아 대퇴 골두 무혈성 피사)에 의한 대퇴 골두의 변형은 퇴행성 관절염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Legg-Calve´-Perthes병의 병인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본 질환 초기의 대퇴 골두 아탈구가 대회 골두 변형의 주요 원인중의 하나임은 널리 보고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탈구가 대퇴 골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Legg-Calve´-Perthes 병에서 대퇴 골두에 대한 아탈구의 영향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어린 가토에서 골단 동맥 및 원형 인대 동맥의 혈류를 차단하여 Legg-Calve´-Perthes 병과 유사한 실험 모델을 만들고, 고관절의 아탈구를 유도하기 위하여 동측 슬관절을 신전 고정하였다. 무게가 500에서 600gm인 생후 4에서 5주된 72마리의 가토를 실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혈류 차단 및 아탈구 유도의 유무에 따라, 혈류 차단 및 고정을 시행한 A군, 혈류 차단만 시행한 B군, 고정만 시행한 C군의 3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실험군의 가토를 1주, 2주, 4주, 8주 및 12주에 각각 4에서 6 마리씩 계획 도살하였다. 주기적 방사선 청사 및 토살 후 적출한 대퇴 골두의 육안 검사상 각각 여섯 가지의 방사선상 및 육안상 변형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총 12 가지 변형의 가토당 출현율은 각각 A군에서 7.6, B군에서 4.4, C군에서 0.3이었다(p<0.001). 관찰된 모든 변형중 순수한 골두의 변형만을 나타내는 골두 변형 점수(HDS) 는 A굴, B굴, C군의 순서로 높게 관찰되었다 (p<0.001). 형태학적 변형중 가장 현저한 소견인 대퇴 골두의 완전 함몰은 25 바리의 A군 가토중 9바리에서 관찰되었고, B군의 25마리중 1마리에서 관찰되었다. 보다 정확한 비교 평가를 위하여 혈류 차단을 시행하고, 대퇴 골두 변형이 충분히 완성된 시기라고 생각되는 8 내지 12 주에 도살한 A굴과 B군의 20 마리 가토를 고관절 상태에 따라 골두 변형을 비교하였다. 유치된 고관절을 갖는 가토에서의 평균 골두 변형 점수(HDS)는 4.4점, 아탈구된 가로에서는 5.5점, 탈구된 가토에서는 7.2점을 보였으며, 비구내 골두 유치정도에 따른 세 군간의 점수의 차이는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다 (p=0.006, γ=0.863). 결론적으로 성장중인 가토에서, 무혈성 괴사가 있는 대퇴 골두의 아탈구는 유치성 무혈성 괴사 관절에 비하여 보다 빈번하고 더 심한 대퇴 골두 변형을 초래함을 관찰하였다. To validate the adverse effects of subluxation of the femoral head in Legg-Calve´-Perthes' disease (LCPD),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model of LCPD with subluxation in growing rabbits by interrupting the epiphyseal artery (devascularization) and immobilizing the knee in extension (immobilization). Seventy-two rabbits, 4 to 5 weeks old,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A with both devascularization and immobilization (25 rabbits), Group B with devascularization only (25 rabbits), and Group C with immobilization only (22 rabbits). In each experimental Group, four to six rabbits each were sacriflced at one, two, four, eight, and twelve weeks. After reviewing the serial radiographs and gross specimens, the author found 6 radiological and 6 macroscopic abnormalities. The incidence and the severity of deformity in Group A rabbits were higher than that of Groups B or C in terms of the overall incidence of deformities (p<0.001), Head Defermity Scores (p<0.001), and the incidence of a total collapse of the capital femoral epiphysis. In conclusion, subluxation of tile immature femoral head with avascular necrosis in rabbits increased femoral head deformities.

      • Effect of Antihistaminic Agents on the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 Activity in Isolated Mouse Ventricular Cardiomyocytes

        Piao, Ling Hu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ion School 2005 국내석사

        RANK : 235023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first generation histamine H1 receptor antagonists on the adenosine triphosphate-sensitive potassium (K_(ATP)) channel in the isolated mouse ventricular cardiomyocytes using excised inside-out and cell-attached patch clamp techniques. In the excised inside-out patch configuration, H1-antihistaminic agents (chlorpheniramine, pyrilamine and diphenhydramine), doses ranging from 1 to 100 μmol/L, inhibited KATP channel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otency order reducing the channel activity was pyrilamine > diphenhydramine > chlorpheniramine. All the antihistamines (100 μmol/L) also inhibited the pinacidil-induced KATP channel activity in the cell-attached patch configuration. The potency order of the 3 antihistamines inhibiting KATP channel activity is pyrilamine > chlorpheniramine > diphenhydramine in the cell-attached configurations. Histamine did not affect the pinacidil-induced KATP channel activities by itself, in addition, did not influence the effects elicited by the 3 antihistamines on the pinacidil-induced KATP channel acitivities in the cell-attached patches. From these results, it concluded that the first generation histamine H1 receptor antagonist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 activities in the mouse cardiac ventricular myocytes, and that the inhibitory actions of the antihistaminic agents on the channels are not dependent on the H1-receptors. H₁-항히스타민제가 효소분리법으로 분리된 생쥐 단일 심실근세포에서 ATP-민감성 칼륨통로 (K_(ATP)) 통로 의 활성 조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excised inside-out 및 cell-attached patch clamp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H₁-항히스타민제는 1~100 μmol/L의 용량 범위에서, excised inside-out patch 시행 후 나타나는 내향성 전류의 통로 활성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는데, 각 항히스타민제가 통로활성을 억제하는 효력은 pyrilamine > diphenhydramine > chlorpheniramine 순 이었다. 또한 각각의 antihistamine (100 μmol/L)은 cell-attached patch 시행 후 pinacidil (200 μmol/L)에 의해서 유도된 내향성 전류의 통로 활성을 갔소시켰고 통로활성 감소의 효력은 pyrilamine > chlorpheniramine > diphenhydramine 순 이었다. Histamine(100 μmol/L)은 K_(ATP) 통로 활성에 영향을미치지 않았을 뿐만아니라 항히스타민제에의한 K_(ATP)통로 활성 억제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지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제1세대 H₁ 수용체 길항제는 H₁-histamine 수용체와는 상관없이 ATP-민감성 칼륨통로의 활성조절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며 허혈심근 병태생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할것이라고 추론하였다.

      • Effect of glucooligosaccharide(GOS) on intestinal bacterial population of broiler chickens

        Lee Hee-Sun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5 국내석사

        RANK : 235023

        The influence of glucooligosaccharides (GOS) on the popula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were examined. Chickens were fed a basal diet with or without 2% GOS. Addition of 2% GOS stimulated health-promoting bacterial growths (Bifidobacteria sp. and Lactobacilius sp.), while reduced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sp. and Salmonella sp.) in the cecal digesta. In vitro competition experiments with Bifidobacteria adolescent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performed with glucose or GOS as the primary 2% of carbon source. The CFU (log10 colony forming units per ml) of S. typhimurium with GOS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glucose. 본 연구에서는 올리고당이 닭의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고, 올리고당을 첨가한 배지에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의 균의 성장을 알아보았다. 올리고당을 2% 첨가한 식이를 닭에게 6주간 섭취하게 하였을 때, 장내 균총의 변화에 대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올리고당 섭취군들은 장내 유익균인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균이 증가하였고, 병원성 균인 살모넬라균이 감소하였다. 변 중 수분함량은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고, 변의 pH는 올리고당을 섭취한 군이 낮게 나타났다. 비피더스균인 Bifidobacteria adolescentis와 병원성 균인 Salmonella typhimurium를 올리고당이 2% 함유된 배지에 혐기적인 조건으로 혼합배양을 하였을 때, 탄소원인 글루코스가 함유된 배지와 올리고당을 함유한 배지에서의 Bifidobacteria adolescentis 의 균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Salmonella typhimurium의 경우 글루코스가 함유된 배지에 비해 올리고당이 함유된 배지에서의 균의 수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닭에게 올리고당을 섭취하였을 때에 장내 유익균이 증가하고 유해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관내 실험결과 올리고당이 살모넬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올리고당이 장내 유용미생물인 비피더스균에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생리활성기능의 증가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Reg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ene Expression by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2 : 뇌 특이 혈관형성 억제유전자2에 의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 조절 연구

        Kang, Seok Jo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일반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35023

        Previously, it was reported that the decreased expression of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2 (BAI2) by anti-sense strategy induced the increas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xpression. However, its intracellular mechanism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author found that GA-binding protein gamma (GABPγ), the ETS-related transcription factor, was associated with the cytoplasmic domain of BAI2 through the yeast two-hybrid assay. The whole portion of GABPγ interacted with the cytoplasmic domain of BAI2 more than N-terminal portion containing ankyrin repeats, middle portion of GABPγ that is conserved between GABPβ and GABPγ or C-terminal portion containing GABPβ- or GABPγ-specific region. RT-PCR analyses of GABPγ cDNA transfected SHSY5Y neuroblastoma cells revealed increased GABPγ expressions but a decreased VEGF expression. Also, transcriptional activity of VEGF was decreased when either GABPα/β or GABPα/γ cDNAs were co-transfected with VEGF promoter-luciferase construct into monkey kidney fibroblast (CV-1) cells. The gel mobility-shift assays showed that in vitro translated GABPα protein did form the complex, which was abrogated with an addition of anti-GABPα antibody, indicating that GABPα/β or GABPα/γ participated as a transcription factor in the regulation of VEGF expression. In in vitro hypoxic cell culture model by cobalt treatment, GABPα and GABPγ expressions decreased concomitantly with BAI2 after the time course of hypoxia, and they preceded the increased VEGF expression in the SHSY5Y cells. The relocation of GABPγ to the transmembrane region was observed at 2 h, when BAI2 expression was returned to the basal level after acute dropping. It indicated that the available GABP transcription factor was sequestered to the cell membrane rather than nucleus with the deactivation of BAI2, thereby leading to the increased VEGF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iostatic BAI2 suppresses and also redistributes GA-binding protein through binding to its cytoplasmic domain, regulates the angiogenic VEGF expression at the promoter level, and thereby controls brain angiogenesis. 뇌 특이 혈관형성 억제유전자 2(BAI2)의 발현을 anti-sense방법에 의해 감소시키면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의 발현이 증가됨이 보고 되었으나 그 세포내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yeast two-hybrid assay를 이용하여 전사 인자인 GA-결합 단백 gamma (GABPr)가 BAI2의 세포질내 도메인과 결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GABPr 의 전체 부분이 N-말단, GABPr와GABPβ의 중간부분 및 C-말단 보다 더 BAI2의 세포질내 도메인과 잘 결합하였다. 역전사 효소-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을 통해GABPr cDNA를 형질 도입한 SHSY5Y 뇌종양세포에서 GABPr의 발현이 증가하나 VEGF의 발현은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GABPα/r나 GABPα/β를 VEGF promoter-luciferase construct와 함께 CV-1세포에 동시에 형질 도입시키면VEGF의 전사가 감소하였다. GABPα단백은VEGF promoter에 결합하고 이는GABPα항체 존재 하에 감소됨이 gel mobility-shift assay를 통해 관찰되었다. 이는GABPα/r나 GABPα/β가VEGF 발현 조절에 전사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배양된 SHSY5Y 세포에 코발트를 처리하여 세포 허혈 상태를 유지시키면 초기 2시간 이내에 GABPr의 발현이BAI2의 발현감소와 동시에 감소하였으나 반면GABPβ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세포 허혈 유지 8시간에HIF-1α와 VEGF의 발현 증가는 최고치를 보였고 이때BAI2, GABPα, GABPr는 현저히 감소하여 서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 중2시간 이내BAI2와GABPr의 발현감소는 2시간 이후의 VEGF의 발현 증가에 선행하였다. 이때 GABPr는 코발트 처리 2시간에 오히려 세포막으로 이동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세포 허혈 초기에BAI2의 발현 감소시 GABPr가 BAI2의 세포질 도메인에 결합함으로써 VEGF의 발현을 억제 시키는 전사인자 GABPα/GABPr의 발현 감소를 초래하고, 또한 GABPα전사인자의 핵내 진입을 돕는GABPr를 핵보다는 세포막으로 이동하게 하여 결국은 VEGF의 발현 증가를 유도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본 실험결과는 세포 허혈 초기에BAI2가 전사인자인 GABP 결합단백의 감소와 재분포를 통해 VEGF의 발현을 promoter 수준에서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Expression Profiles of Cell Motility-related Genes Induced by Metastasis Enhancing Gene, KITENIN : 암전이 촉진 유전자 KITENIN이 세포이동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Chang, Jeong Hwa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일반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35023

        KITENIN은 대장암 세포의 세포기질간의 유착 및 침윤을 증가시키고, 전이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KAI1 유전자와 상호 결합하여 암 형성과 전이 조절에 관여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KITENIN이 대장암 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배양된 생쥐 대장암 세포주인 CT-26 세포를 대상으로 KITENIN이 세포 형태학적 표현형과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confocal study와 cDNA microarray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CT-26 세포에서 KITENIN 발현 감소는 세포내 actin 배열을 파괴시켰다. 대조군과 KITENIN을 과발현시킨 CT-26 세포(CT-26/KITENIN) 간에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 중, CT-26/KITENIN 세포에서 25개의 유전자는 증가하였고 반면 30개의 유전자는 감소하였다. KITENIN은 세포주기, 신호전달, 세포 골격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변동을 유발하였다. cDNA microarray 방법에 의해 발현 변동이 관찰된 몇 개의 세포 운동성 조절유전자는 반정량 역전사 효소-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을 이용해 재확인 하였다. 특히, RhoA 와 MMP-9 유전자는 CT-26/KITENIN 세포에서 증가하였고 반면 MMP-2 유전자는 감소하였다. KITENIN 유전자의 C말단에 있는 PDZ-domain binding motif와 상호 결합하는 PDZ-RGS3 유전자를 yeast two-hybrid 분석법을 이용하여 클로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KITENIN 발현이 감소된 CT-26 세포를 주입한 생쥐에서 관찰된 간 전이 억제가 KITENIN 발현 감소에 의한 actin 배열 파괴와 그로 인한 세포운동성 감소에 일부 기인하고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KITENIN에 의해 유도되는 일단의 유전자들이 세포 이동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발견된 유전자들의 연구는 대장암의 침윤과 전이 조절에 관여하는 KITENIN의 역할을 더욱 추구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증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eviously, it was reported that KITENIN promotes adhesion and invasion of colo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and KITENIN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the tumor formation and metastasis by interacting with KAI1, a metastasis suppressor. In this study, to assess the role of KITENIN in motility of colon cancer cells, the author examined the effects of KITENIN on the morphological phenotypes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mouse colon cancer (CT-26) cells through confocal study of actin and cDNA microarray of the approximately 12,000 genes, respectively. The absence of KITENIN expression distorted actin arrangement in the CT-26 cells, indicating that it resulted in decreased cell motility. Among the genes showing more than 2-fold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levels between parent CT-26 cells and CT-26 cells overexpressing KITENIN (CT-26/KITENIN cells), 25 genes were up-regulated and 30 genes were down-regulated in CT-26/KITENIN cells. KITENIN triggered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in cell cycle, signal transduction, ECM/cytoskeleton and metabolism. The altered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genes observed by cDNA microarray were also confirmed by semiquantitative-RT-PCR. Especially, increases in expressions of RhoA and MMP-9 were observed in CT-26/KITENIN cells, whereas MMP-2 was down-regulated. Using the yeast two-hybrid system, the author also isolateda cDNA clone of regulator of G-protein signaling protein that possesses a PDZ domain (PDZ-RGS3), which interacted specifically with the C-terminal domain of KITENIN that has putative PDZ-domain binding motif. Taken all together, actin distortion in the CT-26/AS-KITENIN cells and thereby decreased cell motility may partially explain the absence of distant metastasis observed in the mice injected with CT-26/AS-KITENIN cells, and because several KITENIN-induced genes found in the present study are associated with cell motility,studies of these genes provide some new clues for the roles of KITENIN in invasion and metastasis of colon cancer.

      • Synthesi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γ Agonists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γ 효능제의 합성

        윤현진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국내박사

        RANK : 235023

        세포 핵 속에 존재하는 PPAR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d recetor r)는 전사인자로서 다중불포화 지방산과 그들의 대사산물들에 의해 활성화되어지고 지방세포 형성에 관여한다. 비만은 제2의 당뇨병과 다른 대사성 질병의 위험 요인이며, 강력한 PPARr 활성체는 제2당뇨병 환자의 지질농도와 포도당을 떨어뜨린다. 또한 아테롬성 동맥경화증과 고혈압에 효과적이다. TZDs는 항당뇨 활성과 PPARr를 활성화하는 능력 사이에 강학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은 TZDs의 항당뇨 활성과 PPARr을 활성화하는 능력 사이에 강한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은 TZDs이 downstream-regulated genes 을 통하여 나타나는 PPARr의 활성을 조절하여 항단뇨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가 기대되는 TZD PPARr, (5-[4-(2-biphenyl-4-yl-5-methyl-oxdzol-4-ylmethoxy)-benzyl]-thiazolidine-2,4-dione, 11 과 그것의 바로 전구물질로 활성이 기대되는 10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6-[2-(2-biphenyl-4-yl-5-methyl-oxazol-4-ylmetholxy)-eth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 17 과 그것이 바로 전구 물질로 활성이 기대되는 16을 합성하였다. The nuclea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otor(PPAR) r i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activated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their metabolites and is essential for fat cell formation. Although obesity is a atrong fisk factor for type 2 diavetes mellitus and other metabolic diseases, potent PPAP r activators such as the glitazaone drugs lower glucose and lipid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tetes and also have antiatherrosclerotic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The strong interaction beween the antidiabetic antivity of TZDs and their ability to activate a PPAR r suggests that PPAR r, through downstream-regulated genes, mediates the effects of TZDs. In this repot, the synthesis of (5-[4-(2-biphenyl-4-yl-5-methyl-oxdzol-4-ylmethoxy)-benzyl]-thiazolidine-2,4-dione, 11 and its analog, 10 potential TZD PPAR r agonistsare described. And the synthesis of 6-[2-(2-biphenyl-4-yl-5-methyl-oxazol-4-ylmetholxy)-ethoxy]-2,5,7,8-tetramethyl-chroman-2-carboxylic acid, 17 and its analoge, 16 are descrri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