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플립러닝 기반 미술수업이 중국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참여도,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
자오양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미술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플립러닝 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참여도,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플립러닝 기반 미술교육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 사이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적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구이저우성 동인시 한 대학교 1학년 “미술기초와 수공제작 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는 4개 반을 선택하여 무작위로 2개 반 90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개 반 9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플립러닝 방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강의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022년 4월 중순부터 2022년 6월 말까지 약 10주에 걸쳐 주 1회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간의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플립러닝 기반 실험집단과 전통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교육 내용은 주로 미술기본과 수공제작으로 동일하여 simple line-drawing, 색채 기초, 수공제작 등 3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수업 모델은 ADDIE 모형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업 전 교사가 미리 준비한 동영상 학습 자료를 미리 보고, 도입단계에서 학생들이 사전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질문 등을 교사와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한다. 수업 중에는 수업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협동 학습 및 토론을 통해 다른 문제를 해결한다. 수업 후에는 학생들은 교사의 명확한 설명 및 피드백을 다시 참고하며 수업에서 배우는 지식 및 기술을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플립러닝 기반 미술교육은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진실추구, 개방성, 분석 , 체계성, 비판적 사고의 자신감, 호기심, 성숙), 문제해결능력(문제인식, 정보수집, 분석능력, 확산적 사고, 의사결정, 기획력, 실행과 모험 감수, 평가 및 피드백), 자기조절학습능력(메타인지 전략, 동기/의지 전략, 자원관리 전략, 학습전략, 정서조절 전략), 학습 참여도(주의 집중력,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생간의 상호작용, 수업 흥미도, 비판적 사고, 수업 만족도)와 학업성적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대학 미술수업을 통해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참여도, 학업성적이 향상됐다. 플립러닝에 기초한 대학 미술교육 과정의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미술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국 대학교 미술교육 개혁의 진행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flip learning classes on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y, problem-solv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university art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tendency, problem-solv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flip learning-based art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traditional classes. For this study, four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first year of a university in Tonyin, Guizhou Province, China, and 90 people in two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90 people in the remaining two classes as control groups. The flip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lecture classes were conduct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 total of 10 times, once a week, over about 10 weeks from mid-April 2022 to the end of June 2022. For data processing,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lip learning-based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traditional classes were mainly the same as art basic and hand-made, dealing with three topics: simple line-drawing, color basic, and hand-made. The ADDIE model was used as the flip learning-based instructional model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reviews video learning materials prepared by teachers before class and solves the difficulties or questions students face in pre-learning during the introduction stage through interaction with teachers. During class, various learning materials used in class are used to solve other problem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After class, students were asked to refer to the teacher's clear explanation and feedback again and apply and utilize the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in the class. According to the research, flip learning-based art education is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ruth-seeking, openness, systematic, confidence, curiosity, maturity of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problem awareness,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diffusion, decision-making, planning, execution and adventure-taking, evaluation and feedback). As such, students' critical thinking tendency, problem-solv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have improved through flipped learning-based college art classes. The need for a university art curriculum based on flip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ag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university art classes and promoting the progress of art education reform at Chinese universities.
인공지능시대의 시니어 콤플렉스 하우징에 관한 IPA 요인 분석 연구
방종혁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을 적용한 시니어 콤플렉스 하우징 노인 공동주고 시설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로 일반 중산층이 노후에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주거시설을 ‘시니어 콤플렉스 하우징’으로 정의하고 이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 정의와 이를 논리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에 적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인식 정도, 중요 정도를 5점 척도로 문항을 개발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항 추출을 시도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한 추출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12명의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받아 초기 연구 설계 내부요인 2개, 외부요인 2개를 내부요인 3개, 내부요인 2개 총 문항 39문항을 타당도 검증 CVR 값으로 추출하였다. 대상자는 부모님을 부양하고 있으며, 노후를 준비하는 50, 60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7케이스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IPA 분석 방법과 차이 검증, 일월 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인공지능 요인은 IPA(인식도-중요도) 전체 평균 결과에 비해 인식도는 낫게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평균과 같다. 또한 중요도는 평균값과 같게 나타났다. 인공지능의 구성요소는 중요도가 인식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은 IPA(인식도-중요도) 전체 평균 결과에 비해 인식도는 낫게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는 평균값과 같게 나타났다. 인공지능의 구성요소는 중요도가 인식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생활 요인은 IPA(인식도-중요도) 전체 평균 결과에 비해 인식도, 중요도 모두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콤플렉스 하우징은 노인들이 행복한 노후생활을 보내기 위하여 기본적인 주거와 식사 서비스 외에 입소 노인들이 재미와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여가 활용을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스마트팜이나 공동작업실을 만들어 용돈벌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수명 연장을 위한 친환경 급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입지 조건을 고려하여 되도록이면 대형 의료시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립해야 하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격진료와 의료실을 설치하여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노인들의 고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커뮤니티나 동호회를 만들어 상호교류를 통한 생활의 활력을 제공해야 한다.
Generalize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s
이근창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가 체 상에서 겹대수 일 때 가 여대수이고 가 여대수라 하자. 본 논문에서 일반화된 여곱 를 새로이 정의하고 가 coassociative 여대수가 됨을 보였다. 가 대수이며 여대수이고 D가 대수이며 여대수라하자. 본 논문에서는 대수로서 일반화된 곱 의 구조를 가지고 여대수로서 일반화된 여곱 를 동시에 가지는 겹곱을 정의하였다. 나아가 일반화된 곱대수 구조와 일반화된 여곱 여대수 구조가 겹대수가 되는 필요조건을 찾았다. (이 경우에 를 일반화된 admissible 쌍이라 하고 결과의 겹대수를 라 적는다.) 또한 본 논문에서 겹대수 가 Hopf 대수가 되는 필요조건을 찾았다. 나아가 이 admissible mapping system이 됨을 보였다. 나아가 주요 정의들에 관한 예들을 찾아보았고 겹곱 겹대수 의 예와 일반화된 겹곱 겹대수 의 예를 찾았다. Let be a bialgebra over a field and suppose is an -bicomodule coalgebra and is an -bimodule coalgebra. In chapter 4, we introduce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and show that is a coassociative coalgebra. Suppose is an -bicomodule algebra, -bimodule coalgebra and is an -bimodule algebra, -bicomodule coalgebra. In chapter 5, we define biproduct with generalized L-R smash product as algebra and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as coalgebra. We find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generalized L-R smash product algebra structure and the generalized L-R smash coproduct coalgebra structure on to afford a bialgebra structure. (In this case we say that is a generalized admissible pair and let denote the resulting bialgebra.) We give Hopf algebra structure on bialgebra . Furthermore we show that for bialgebra , is an admissible mapping system. We also find examples about definitions an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s and generalized L-R smash biproduct bialgebra .
유럽 프로 축구 리그 인플루언서들의 숏폼활동이 구단 이미지, 구단 인지도 구단 동일시와 구단 충성도 간의 관계
한진쩌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유럽프로축구리그인플루언서들의숏폼활동이구단이미지, 구단 인지도구단동일시와구단충성도간의관계 호서대학교대학원체육학과 한진쩌 본 연구는 유럽 프로 축구 리그 인플루언서의 숏폼 활동이 구단 이미지, 구단 인지도, 구단 동일시 그리고 충성도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을 통해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가설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성은 구단 이미지와 구단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구 단 충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오락성은 구단 이미지와 구단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구단 동일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창의성은 모든 경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구단 동일시 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호작용성은 구단 이미지와 구단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구단 동일시와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매력성은 모든 경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구단 충성도에 대한 간접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런한 결과는 스포츠 마케팅 분야에 중요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정보성과 신뢰성이 높은 콘텐츠가 구단 이미지와 충성도 형 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향후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역삼투막의 바이오파울링 세정에 관한 연구
김흥구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국내 다수의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 설비의 플럭스(Flux) 감소와 공급압력 증가 및 염제거율 감소 등의 성능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파울링(Biofouling) 형 성의 제어와 제거 기술이 필요하다. 바이오파울링에 의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RO 유입수를 적절하게 전처리하여 미생물의 부착과 바 이오필름(Biofilm)의 형성과 성장을 억제하여 방지할 수 있으며, 이미 생성된 바이오파울링에 대해서는 적절한 화학약품 세정(CIP, Clean In Place)을 통해 RO 설비의 성능을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O 설비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와 바이오파울링 저감 을 위해 RO 유입수에 비산화성 살균제(Non-Oxidizing Biocide)를 연 속 주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RO 유입수 내 TOC(Total Organic Carbon)의 농축에 따른 농축수를 재처리 하기 위해 생물학적 처리공정 단계로 반송하게 되는데, 이 경우 RO 농축수에 포함된 비산 화성 살균제도 같이 농축되어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이차적인 문제점들 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산화성 살균제를 연속 주입하지 않으면서 RO 멤브 레인 표면의 바이오파울링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CIP 공정에 살균력이 강한 비산화성 살균제의 적정농도를 적용하는 CIP 방법에 대해 연구하 였으며 CIP를 실시하고 사용된 비산화성 살균제는 CIP Tank 내에서 중화처리한 후 배출함으로써 RO 농축수 재처리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 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1972년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또 는 해당 기관)에 의해 살균제로 적격 결정을 받아 다양한 산업 공정에 수처리제로 적용 방법 및 적정 사용량이 등록되어 있는 DBNPA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를 CIP 약품으로 선정하여 적정 투입농도를 검증하였다. 바이오파울링의 생성으로 인해 성능 감소가 일어난 RO 설비의 성능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화학약품을 적용한 CIP의 실시와 DBNPA를 적용한 CIP(Cleaning In Place)를 실시한 후의 RO 시스템 에 대한 운전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은 TFC PA 재질의 상업용 나선형 막 카트리지가 적용된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실증규모 RO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RO 설비의 성능 감소와 운전상의 가장 많은 장해를 유발하는 바이오파울링 형성을 제어 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 로 RO 멤브레인의 성능 회복을 위해 RO 설비에 필수적으로 구성하는 CIP 장치를 이용하여 DBNPA의 간헐적 CIP의 실시를 통해 적정농도 와 빈도의 적용 변수에 대한 영향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변수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은 RO CIP 용액의 DBNPA 농도 를 50mg/L 또는 100mg/L 또는 200mg/L로 변화하면서 CIP 용액의 순 환시간을 30분간, CIP 빈도는 1일 1회 실시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RO CIP 용액의 DBNPA 농도를 50mg/L 또는 100mg/L 또는 200mg/L로 변화하면서 CIP 용액의 순환시간을 30분간, CIP 빈도는 1일 2회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RO 설비의 운전중에 DBNPA의 간헐적 CIP를 실시한 적용과 다른 적용 방법으로 기존의 산, 알카리 화학약품 CIP를 실시하 기 전에 DBNPA를 사용하여 전처리 살균 CIP를 실시하여 바이오필름 및 바이오파울링의 제거 효과에 따른 CIP 효율의 증가를 입증하였다. 실험방법으로 기존의 산, 알카리 화학약품 CIP를 실시하기 전에 DBNPA를 사용하여 전처리 살균 CIP를 실시하고 산, 알카리 화학약품 CIP를 실시하였으며, 전처리 살균 CIP 용액의 DBNPA 농도를 100 mg/L 또는 200 mg/L로 변화하면서 CIP 용액의 순환시간을 30분간, CIP 빈도는 1일 1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바이오파울링 저감은 하루에 두 번 200mg/L 으로 30분 동안 DBNPA 순환을 통해 가장 잘 제어되었다. 이 실험은 바이오파울링에 의한 플럭스 감소에 영향을 주는 바이오필름의 형성 메카니즘 및 바이오파울링의 특성화와 연관되며, 간헐적 살균 CIP 이 후 지속적인 운전데이터의 모니터링에서 RO 시스템의 공급압력 상승, 투과수 Flux 감소 및 염 제거율 감소의 성능감소 경향에 급격한 변화 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DBNPA의 전처리 살균 CIP를 통해 형성된 바이오필름과 바 이오파울링이 제거되어 CIP 효율이 증가하여 RO 시스템의 높은 성능 회복으로 운전효율이 개선되었다. DBNPA를 적용한 CIP의 효과는 사용된 DBNPA의 농도 조건에 관 계없이 RO 멤브레인 표면에 미생물의 부착과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 제하고 바이오파울링을 제거하여 RO 멤브레인의 성능감소가 완화되었 고 성능회복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RO CIP 장치를 이용한 RO 멤브레인 표면에 미생물의 부착 과 바이오필름 및 바이오파울링 형성의 저감방법으로 적정 투입농도와 순환시간을 적용한 DBNPA의 간헐적 살균 CIP의 적용이 기존 연구자 들의 DBNPA를 RO 유입수 유량에 연속 투입 또는 간헐적 투입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사용량의 절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이오파울링이 확인되는 RO 설비에 일반전인 산, 알카리 CIP를 실시하기 전에 DBNPA의 전처리 살균 CIP의 적용이 CIP 효율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verse Osmosis (RO) is used throughout the world for water desalination and it has gained wide popularity due to its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and the safe operating process. Fouling (of which biological fouling is the most problematic) of the membranes is, however, an inevitable process that cannot be avoided, only managed. Biological fouling i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membrane system, causing undesirable effects. The correct pre-treatment can reduce (but not necessarily prevent) biofouling. This is because microorganisms have the ability to reproduce and form secondary populations throughout the membrane system, even if 99.99% of the microorganisms are remov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Most modern RO plants are equipped with thin film composite polyamide (TFC PA) membranes. However, biological control on such membranes is restricted, since oxidising biocides like chlorine degrade the membrane material, thereby increasing salt passage and reducing membrane lif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a common non-oxidising biocide, i.e. 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DBNPA) to manage biological growth on TFC PA membrane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variables of optimal concentration and frequency by performing intermittent CIP of DBNPA using a CIP device, which is essential for RO membrane performance recovery, as a method to control and eliminate biofouling formation, which causes the most operational disturbance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RO plants. The first experiment on these variables was conducted with the DBNPA concentration in the RO CIP solution varying from 50 mg/L to 100 mg/L to 200 mg/L, with the CIP solution circulation time being 30 minutes and the CIP frequency being once a day. The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DBNPA concentration in the RO CIP solution varying from 50 mg/L to 100 mg/L to 200 mg/L, with the CIP solution circulation time being 30 minutes and the CIP frequency being twice a day. Finally, the application of intermittent CIP of DBNPA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O facility and the application of another method, pretreatment sterilization CIP using DBNPA before performing the existing acid and alkaline chemical CIP, wer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increase in CIP efficiency due to the removal effect of biofilm and biofouling. As an experimental method, pretreatment sterilization CIP using DBNPA was performed before performing the existing acid and alkaline chemical CIP, and then acid and alkaline chemical CIP was performed. The DBNPA concentration of the pretreatment sterilization CIP solution was changed to 100 mg/L or 200 mg/L, the circulation time of the CIP solution was 30 minutes, and the CIP frequency was performed once a day. In this study, this work in Tests in this study involves the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fouling that influences biofilm formation and flux reduction. Tests were performed in a full-scale RO systemwith commercial spiral membrane cartridges made of TFC PA material. During the inhibition of biofilm formation and removal of biological fouling on the RO membranes by CIP applying DBNPA,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RO feedwater pressure, permeate flux, and salt removal rate. CIP of DBNPA reduced the amount of biofouling, regardless of DBNPA concentration strategy used. However,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biological fouling was best controlled with a DBNPA circulation for 30 minutes of 200 mg/L twice daily.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예측모형 구축 : H 대학교를 중심으로
김경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H 대학교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을 분석하여 지역대학에 중요한 재학생 충원율을 상승시키는 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는 중도탈락의 패턴을 확인해보았는데,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는 정시모집에 입학한 학생들의 중도탈락이 높고, 서울 인천지역 소재의 학생들이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입학전형이 수능인 경우와 첫 학기 성적이 중도탈락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로는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학과의 특성에 따라 모형의 결과값이 다르게 나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도탈락 학생을 예측할 때 기존의 방식인 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만 이탈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학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이탈 할 수 있는 학생들을 예측해본다면 성적이 낮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성적이 높은데도 중도탈락 할 수 있는 학생들을 예측한다면, 교내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들을 통해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Reflection of Root Lattices for Generalized Kac-Moody Algebras
강전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Bocherds (1988) initiated the study of generalized Kac-Moody algebra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Kac-Moody algebras and GKM algebras is that GKM algebras can have simple roots of non positive norm (called imaginary roots.) In this thesis we enlarge the notion of special imaginary root in Kac-Moody algebras to Generalized Kac-Moody Algebras and show some properties on special imaginary roots of Kac-Moody can be generalized to GKM algebras.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question of existence of special imaginary roots and we find two large classes of Generalized Kac-Moody algebras having special imaginary roots. Also we determine all elements in the root lattices of symmetrizable generalized Kac-Moody algebras whose reflections preserve the root systems and we discuss elements in the root lattices whose reflections preserve the lattices. 캐츠-무디 대수 이론은 1988년 Richard Bocherd에 의해 일반화된 캐츠-무디 이론으로 확장되었다. 일반화된 캐츠-무디 이론과 캐츠-무디 이론의 정의상 차이점은 일반화된 캐츠-무디 대수에서는 음의 노름을 갖는 단순 허근 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캐츠-무디 대수에서의 특수 허근(special imaginary root)의 개념을 일반화된 캐츠-무디 대수로 확장하고 그 성질을 연구하였다. 또한 일반화된 캐츠-무디 대수의 경우 주어진 근으로 결정되는 반사사상(reflection)이 근체계를 보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규명하였다. 또한 주어진 근으로 결정되는 반사사상이 근 격자집합을 보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규명하였다.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 제품 특성이 리셀 시장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최근에 MZ세대는 리셀 시장에서 주요 소비자 그룹이 되었다. MZ세대는 일반적으로 독특한 소비 심리와 소비 행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Z세대의 소비 방식을 연구하는 것은 기업과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MZ세대는 기본 기능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스니커즈의 디자인, 색상 및 소재와 같은 개성화된 요소에 더욱 관심이 있다. 그들은 독특한 한정판 스니커즈를 선호하며, 제품의 차별화에 중점을 두어 특별한 스니커즈를 신음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MZ세대에게는 이미 중요한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MZ세대는 급성장한 인터넷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소셜미디어가 그들의 생활 방식과 소비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MZ세대는 소셜미디어에서 독특한 디자인이나 한정판의 고가 제품을 공개하여 자신의 신분과 취향을 강조하는 것을 선호한다. 고가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가치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이는 자아 가치와 사회적 위치를 표현하는 한 방법이 된다. 일반적으로 한정판 스니커즈는 소비시장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므로, 이러한 상황은 리셀 시장의 등장을 촉발한다. 일부 인기 있는 스니커즈는 가격이 원래 가격의 몇 배에 달할 수 있다. 리셀 플랫폼이 등장하기 전에는 위조품 및 사기 사건이 종종 발생했다. 그러나 리셀 플랫폼의 등장으로 위조품 및 사기 사건이 감소하면서 소비자에게는 더 안전한 쇼핑 환경이 제공되었다. 리셀 플랫폼은 전문적인 감별사와 성숙한 거래 시스템을 보유하며 운영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리셀 플랫폼의 등장이 리셀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Flex"는 소비문화에서 일반적으로 개인의 부와 소비 능력을 과시하거나 특정 성취를 자랑하는 행동을 나타낸다. 고가의 제품을 과시함으로써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소비문화는 종종 젊은이들 사이에서 과시 소비 성향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 및 조사에 따르면, "Flex" 소비문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젊은이들이 조사 대상의 전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Flex" 소비문화가 자기만족, 삶을 즐기기 및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요소들을 유발한다고 여긴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콜라보레이션의 정의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효과를 탐구하였다. 또한 "Flex" 소비문화로 인한 자랑 소비 경향과 최근 "Flex" 소비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탐구하였다. 동시에 리셀 시장 및 중고 시장의 유사점과 핵심 차이점, 그리고 리셀 플랫폼의 등장이 리셀 시장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의 특성 (독창성, 심미성, 희소성, 상징성) 및 과시적 소비 성향과 구매 의도를 조사하는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중국 MZ세대를 중심으로, 총 296건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통계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H1-H4에 대한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 제품 특성이 과시적 소비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검증 결과 모두 채택되었다.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 제품 특성인 독창성, 심미성, 희소성 및 상징성이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 성향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 H5에 대한 "과시적 소비 성향이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검증 결과가 채택되었다. 과시적 소비 성향이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리셀 시장과 콜라보레이션 스니커즈에 관해 초기 연구로 학술적 시사점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업과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실무적 시사점이 있을 것으로 한다. Recently,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a major consumer group in the resale market. The MZ generation generally possesses unique consumer psychology and behavior, making it crucial for businesses and brands to study their consumption patterns. Unlike being satisfied with basic functionality, the MZ generation is more interested in personalized elements such as the design, color, and material of sneakers. They prefer unique and limited-edition sneakers, emphasizing product differentiation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by wearing distinctive sneakers. Sneakers have already become essential fashion items for the MZ generation. Living in the rapidly growing internet environment, social media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lifestyle and consumption patterns. They prefer unique and limited-edition sneakers, emphasizing product differentiation and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through distinctive designs or limited-edition high-end products on social media to highlight their identity and preferences. Purchasing high-end products becomes a way for them to express their self-worth and social status. Limited-edition sneakers, often exceeding demand in the consumer market, trigger the emergence of the resale market. Some popular sneakers can be resold at several times their original price. Before the emergence of resale platforms, counterfeit and fraudulent incidents were common. However, with the advent of resale platforms, the occurrence of counterfeit and fraud has decreased, providing consumers with a safer shopping environment. Resale platforms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professional authentication and mature transaction systems, making operations simple. Therefore, the emergence of resale platforms is significantly impacting the overall market. "Flex" in consumer culture generally represents actions that showcase an individual's wealth and spending ability or boast about specific achievements. There is a tendency to seek recognition and admiration from others by showcasing high-end products. This consumer culture often induces a tendency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 among young people. However, recent research and surveys indicate that over half of the surveyed young people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Flex" consumer culture. They believe that "Flex" consumer culture induces factors such as self-satisfaction, enjoying life, and stress relief. This study explores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and its effect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the tendency of boasting consumption due to "Flex" consumer culture and recent attitude changes towards "Flex" consumer culture. Simultaneously, the research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key differences between the resale market and the second-hand market, along with study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emergence of resale platforms on the resale market. To validat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sneakers (originality, aesthetics, scarcity, symbo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survey targeted the Chinese MZ generation who purchased collaboration sneakers, and a total of 296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hypotheses (H1-H4) stating that "Collaboration sneaker product characteristics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were accep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sneakers, including originality, aesthetics, scarcity, and symbolism,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The hypothesis (H5) stating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will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was also accepted. It was confirmed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This paper offers academic insights as an initial study on the resale market and collaboration sneakers.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for businesses and brands related to these topics.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후추스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여기에 전공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교적응 간 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적 응의 관계에서 전공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 셋째, 중국 대학생의 전 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유 의한가? 이를 위해 중국 21개 성, 5개 자치구, 4개 직할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몰입, 교수-학생 상 호작용, 학교적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 설문 사이트 ‘问卷星’을 이용한 온라인 형식으로 자료를 배부하였고, 유효 설문 지 977건을 회수하여 최종 분석자료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전공선택동기 는 독립변인으로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외재적 전공선택동기 2가지 단일 차원으로 구성된다. 전공몰입은 매개변인으로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이상적 몰입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교수-학생 상호 작용 역시 매개변인으로 신뢰감과 친밀감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학교적응은 종속변인이며 대인관계적 적응, 학습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 응, 직업선택적 적응, 정서적 적응, 자기적 적응, 만족도 7가지 하위요인으 로 구성된다. 구조방정식 분석은 SPSS 26.0과 Mplus 8.2 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그러나 매개변인인 전공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를 전공몰입과 연계하여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높임으로써 성공적인 학교적 응을 하도록 유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몰입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선택동기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 이다. 즉, 전공몰입을 매개변수로 했을 때 전공선택동기는 간접적으로 학 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선택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변수로 했을 때 중국 대학생의 전공 선택동기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국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향상될 때 긍정적 인 전공몰입과 수준 높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쳐서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한다는 것을 확인해 보았다. 또한 중국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중국 고등교육의 질과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 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한편, 중국 대학생의 이상적인 진로지도와 학교적응을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 effect of professional commit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is basi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profess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hool adap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econ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major commitmen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ird, is ther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in grades 1-4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23provinces, 5autonomous districts, and 4 direct cities in China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 profess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hool adaptation. The survey distributed data in an online format using the Internet survey site "问卷星", and 97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In this study,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the independent variable.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nsists of two single dimensions: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Professional commitment is the mediating variable. Professional commitment consists of four sub-factors: emotional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ide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s also the mediating variab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nsists of two sub-factors: intimacy and trust. School adaptation is the outcome variable. School adaptation consists of seven sub-factors: interpersonal adaptation, learning adaptation, school environment adaptation, job-selective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self-adaptation, and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Mplus 8.2 programs.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school adaptation. But data shows that this directly affects professional commit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s mediating vari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motiv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choose majors, increase professional investment, enhanc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guide them to successfully adapt to the school. Secon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commitment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is means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effect of parameter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school adaptation. In other words, when professional commitment is used as a parameter, it in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In other words, wh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s used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in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through a method of promoting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wh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improved, positive professional commitment and high-quality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ill have an impact, leading to successful adaptation to school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ervice level of Chinese high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of related variables, while providing ideal career guidanc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basic data for complete school adap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