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벤처기업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이 직원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관계혁신문화의 매개효과

        이옥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raw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the stable growth of the organization by reduc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EO's core competency and corporate culture, breaking out of the existing approaches in terms of personnel system, such as compensation and promotion, etc. Through the resource-based theory(Barney, 1991)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CEO’s core competencies such as entrepreneurship, decision-making competency, and work competency were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The relation-innovation culture was set as mediated variable to study the relationship with employee’s turnov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EO's decision-mak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ut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Since the CEO's desirable decision-making on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benefits immediately and directly affects the interests of employees through changes in company policies or systems, there is a possibility of highly significantly lower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O's core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corporate culture is not only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CEO’s core competency, but also the speed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EO's influ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rporate relation-innovation cultu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t can be confirmed that employees of companies with a well-established relation-innovation culture have high job satisfaction based on corporate culture pride and have the effect of lower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Fourth, the relation-innovation cultur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s decision-making capability and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ut it has no mediated effect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s is because decision-making competency can not only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interests of employees but also exert direct and coercive power than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approached the personnel system, such as compensation and promotion, to manage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n SMEs, this study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flow and proposes managing employee’s turnover rate by the CEO's core competencies and corporate culture. Second, By presenting quantitative figures for the current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new employees, and the number of turnovers by company, as well as deriv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y the calculation method applied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roblem of common method bias,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survey, was partially overcome,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improv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resource-based theory and CEO’s core competency modeling, CEO’s core competencies such as entrepreneurship, decision-making competency, and work competency were derived as research variables. Four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two stag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ool an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concep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making competency is much more effective in manag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than the entrepreneurship or work competency, because the CEO has the power to directly coordinate the interests of employees through decision-making. Second, in an era where the speed of change is fast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is becoming common, it is important to elicit cooperation from members. CEOs should seek decision-making that emphasizes the balance among rationality, intuition, and dependence rather than blindly excluding intuition or dependence. Third, relation-innovation culture, unlike mission-bureaucracy culture, can be said to be a people-centered corporate culture that values innovation and creativit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human resourc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t was confirmed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establish relation-innovation cultur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ed role of relation- innovation culture is increasing to stably manag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ee’s turnover rate in uncertain time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벤처기업의 직원이직률 관리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보상, 승진 등 인사제도 측면의 기존 접근 방식을 탈피하여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기업문화 관점에서 직원이직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자원기반이론(Barney, 1991)과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의사결정역량, 업무역량을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으로 채택하여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Cameron & Quinn(2005)이 분류한 기업문화 유형에서 관계와 혁신문화를 결합한 관계혁신문화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직원이직률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은 직원이직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기업가정신과 업무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 근무조건, 복리후생 등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바람직한 의사결정은 회사의 정책이나 제도의 변화를 통해 직원들의 이해득실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직원이직률을 유의하게 낮출 가능성이 높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은 관계혁신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계혁신문화는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최고경영자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구축 속도와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의 관계혁신문화는 직원이직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혁신문화가 잘 구축된 기업일수록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기업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직원이직률이 낮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관계혁신문화는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과 직원이직률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나 기업가정신 및 업무역량이 직원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역량은 기업가정신과 업무역량에 비해 직원들의 이해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직접적이고 강제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이직률 관리를 위해 주로 보상, 승진 등 인사제도 측면에서만 접근하였지만 본 연구는 기존 연구흐름을 탈피하여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기업문화에 의한 직원이직률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둘째, 기업별로 현인원, 입직인원, 이직인원에 대한 계량적 수치를 제시하고 통계청 ⌜중소기업실태조사⌟에서 적용되는 계산방식에 의해 직원이직률을 도출함으로써 설문조사의 한계인 동일방법 편의의 문제를 일부 극복하고 연구결과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셋째, 자원기반이론과 최고경영자 핵심역량 모델링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가정신, 의사결정역량, 업무역량 등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을 연구변수로 도출하였다. 넷째,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제고하고 구성개념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2단계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는 의사결정을 통해서 직접 직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할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사결정역량이 기업가정신이나 업무역량보다 훨씬 더 직원이직률 관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수평적 조직문화가 일반화되고 있는 시대에는 구성원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최고경영자는 직관성이나 의존성을 무작정 배제하기보다 합리성, 직관성, 의존성 간의 균형을 중시하는 의사결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계혁신문화는 과업위계문화와 달리 혁신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사람중심 기업문화라 할 수 있다. 인적자원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중소벤처기업들도 관계혁신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시기일수록 직원이직률 뿐만 아니라 조직유효성과 기업성과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계혁신문화의 매개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우리나라 벤처지원정책에 대한 평가와 향후방향

        정평섭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is upon us with agriculture and industry advancing in great leaps. Every nation in our increasingly globalized world aggressively supports the venture industry to encourage each nations competitive power.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venture industry are primarily economies of scope and a law on increasing returns, as well as geographical agglomeration. It means that the venture industry boosts the synergy effect by reflecting agglomeration economies. The core elements consist of venture enterprise as a manufacturer, venture capital as a customer and the KOSDAQ and M&A as dissolver. The basic elements describe Angel as an unofficial venture capital and the formulation of the venture complex through venture incubation as basic networks among industr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external elements are the government policies aimed at developing the venture industry combined with the general status of venture industry overseas. The purpose of our government policy in stimulating venture industry particularly stresses the adjustment and enhancement of its structural competitiveness. However, such support policy has created problems such as duplicate investment, abuse of short-term policy and weakness of spontaneity among venture enterprises. Thus, the government should respect market functions and place their major effects on establishing venture infrastructure such as solving the digital gap in the arena of information syste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redundant policies and excessive support by establishing harmony among policies between government bureaus. The government should also expand investments with regard to the accumul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he government should also derive long-term policies to achieve technical progress and hegemony rather than deriving direct support for venture industries.

      • 중소벤처기업 직원들의 기업 미래전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정운섭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CEO 리더십, 동적 역량, 기술혁신 지향성, 조직 공정성을 중소벤처기업 성과 영향 요인으로 하여 미래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조직문화가 조절 효과를 수행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의 설문 대상자는 전국 중소벤처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7일부터 8월 21일까지 구글 설문지와 M리서치 회사를 이용하여 전국 중소벤처기업에서 357부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설문지의 통계 분석 및 처리를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EO 리더십, 기술혁신 지향성, 조직 공정성은 미래전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동적 역량은 미래전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적 역량, 조직 공정성과 미래전망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CEO 리더십, 기술혁신 지향성과 미래전망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CEO 리더십의 관리적 능력과 성과 보상에 대한 절차 공정성 체제에서 기술혁신 지향성으로 연결된다면 중소벤처기업의 저조한 혁신 활동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료 간의 신뢰 문화 속에 지식획득 활동이 이루어지고 목표 중시 문화 체제에서 분배 공정성이 이루어지면 경쟁우위, 경쟁력향상과 함께 미래전망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가설 검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EO 리더십의 회사 목표에 대한 관리적 능력과 혁신 활동 성과에 대해 공정한 보상 절차를 갖춤으로써 미래전망은 밝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관리 측면에서 CEO 리더십의 능력 발휘와 조직 공정성 정착을 통해 미래전망을 밝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가설 검증 결과에 따르면 동료 신뢰 문화 조절에 의한 지식획득 활동과 기술혁신 지향성으로 미래전망은 밝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혁신 활동 측면에서 핵심 인력의 지식획득 활동과 지속적인 기술혁신 활동 지원을 통해 미래전망을 밝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가설 검증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목표 중시 문화의 조절 효과로 분배 공정성이 미래전망은 밝게 나타났다. 이는 핵심 인력의 경우 혁신 활동 참여 성과에 대해 공정한 분배를 통해 개인 직무 만족과 더불어 회사의 미래전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기업특성과 상장특성이 코스닥 상장방법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지헌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면서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요인이 무엇이고 어떤 요인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업특성과 상장특성 차원에서 IPO 상장과 비교해 실증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이 SPAC 합병상장 추진에 대한 정형화된 모형을 파악하고 학문적 의미와 실무적 시사점을 파악해 보기로 한다.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우리나라 비상장기업 대상의 기업특성과 상장특성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규모, 안정성, 수익성 지표 등 재무특성이 열등한 기업이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할 것이라는 가정이 지지 되지 않았으며, 이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였다. 둘째, 역합병이라는 인수합병 절차를 통하여 상장되는 SPAC 합병상장은 비상장기업의 최대주주지분율이 높으면 합병주주총회 및 주식매수청구 등의 인수합병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어 SPAC 합병상장을 선호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동 가설은 상관관계의 방향성은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되지 못하였다. 셋째, 이미 검증된 상장방법인 IPO 상장보다 새롭게 등장해 익숙하지 않은 상장방법인 SPAC 합병상장을 위험 수용자(risk-taker)인 젊은 대표이사는 기피 하지 않을 것이라 가정하였고 회귀분석 결과 본 가설은 지지 되었다. 넷째, Big4회계감사인 특성은 IPO 상장과는 정(+)의 관계임이 선행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으나, SPAC 합병상장 추진기업은 내부통제 품질도 떨어지며, 이익도 조정하고, 엄격한 상장 절차를 회피하는 기업이라는 시장 인식으로, IPO 상장과 Big4회계감사인 사이에 입증된 정(+)의 인증효과가 우리나라 SPAC 합병상장 기업의 경우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부(-)의 관계가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회귀분석 결과 Big4회계감사인과 SPAC 합병상장 사이에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부(-)의 관계도 확인되지 않았다. 다섯째, 선행연구처럼 우리나라도 SPAC 합병상장의 경우 규모가 크거나 평판이 좋은 주간증권사보다 인수합병 자문에 전문성을 보유한 특화된 주간증권사와 매칭을 선호할 것으로 가정하였고, 회귀분석 결과 본 가설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여섯째, 우리나라 경우도 SPAC 합병상장은 합병가격 산정의 예측 가능성이 IPO 상장보다 높아 상장시점기업가치 산정 역시 안정적이고 상장시점기업가치 수준도 IPO 상장을 초과해, 이러한 기업가치의 차이가 우리나라 기업의 상장방법 선택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회귀분석 결과 상장시점기업가치의 차이는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SPAC 합병상장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일곱째, IPO 상장은 주간증권사의 렌트추구행위로 상장수수료 수입 증가를 위하여 공모비율 증가에 집착해 공모비율과 정(+)의 관계이지만, SPAC 합병상장은 설립 시 유상증자 참여나 전환사채 인수로 주간증권사가 상장수수료 수입 이외의 투자수익도 올릴 수 있어 공모비율에 덜 집착하고 그 결과 공모비율과 부(-)의 관계가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예상과 달리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SPAC 합병상장이 공모비율이 크지 않아 기존 주주의 지분율 희석을 방어할 수 있는 상장방법이라는 선행연구도 지지하지 못하였다. 여덟째, SPAC 합병상장 추진기업과 벤처캐피탈 투자 사이에 부(-)의 인과관계를 실증한 Kolb & Tykvova(2016)의 분석이 우리나라에도 적용될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회귀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SPAC 합병상장과 벤처캐피탈 투자 사이에 부(-)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고, 특히 벤처캐피탈투자를 받지 않았다고 SPAC 합병상장을 추진한다는 인과관계도 파악되지 않았다. 아홉째, 공모 과정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IPO 상장과 달리 SPAC 합병상장은 공모가 없는 절차상의 장점과 합병주주총회라는 절차상의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절차상 차이가 우리나라 기업의 상장방법 선택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려는 가설이었으나, 상장처리기간이 SPAC 합병상장이 IPO 상장보다 길게 나타나 이는 상장방법 선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 파악되었으며 회귀분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 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결정요인은 기업특성 요인보다 상장특성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경우 우리나라 SPAC의 작은 결성규모 상황을 반영하여 연구표본 기업을 결성규모(SPAC 합병상장) 또는 공모규모(IPO 상장) 기준 160억원 이하로 제한하여 선정하였는데, 그 결과 IPO 상장기업과 SPAC 합병상장 기업 사이에서 기업특성인 재무특성의 차별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재무적 특성이 우수한 기업은 IPO 상장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한다는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재무특성 차이가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요인은 아니었고 이는 본 연구가 갖는 차별성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주제인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이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요인 분석은 그동안 연구표본이 부족해 국내 연구는 미진한 편이었고, 향후에도 연구표본이 더욱 축적될수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분야로, 본 연구는 차재영 외(2019)와 홍지헌·양동우(2021)의 실증연구에 이어 연구표본의 대상을 2014년부터 2020년까지 확대해 선행연구의 연속선상에서 실증한 연구로서의 학문적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연구와 비교하여 독립변수를 상장특성까지 확대해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아직은 연구표본 부족으로 다양한 변수의 적용이 통계학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나, 향후 연구표본의 확대와 더불어 다변화된 요인과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이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그 외에도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자본시장과 유망 비상장기업의 성장 속도를 고려하여 이제 우리나라 SPAC의 결성규모 확대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SPAC 합병상장 제도는 도입이 이루어지고 나서 10년이 지나면서 새로운 상장방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본 연구 연구표본 기업의 자료를 확인하면서 우리나라 SPAC 결성규모가 작아 미국보다 활용도가 매우 낮은 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결성규모가 매우 작아 IPO 상장처럼 대규모 자금조달을 기대하는 우리나라 모든 비상장기업의 상장방법으로 고려되기에는 한계점을 보였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SPAC의 결성규모 확대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SPAC 합병상장 제도가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제도개선에 더욱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실질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SPAC의 소규모 이슈 역시 정부의 규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SPAC 스폰서를 보수적으로 행동하게 하고 SPAC 결성규모가 최소화되는 등 지나치게 정형화된 틀 속에서 성장하여 더욱 발전 가능성이 있는 SPAC 합병상장제도가 제한된 수준으로만 유지되고 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양적성장으로 IPO 상장을 통한 대규모 자금조달에 성공한 기업이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대규모 자금조달을 원하는 비상장기업의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나라 SPAC의 제도적 정비와 규제 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SPAC 합병상장 제도가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정부의 제도개선에 더하여 민간 부문의 활용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벤처캐피탈과 SPAC 합병상장 사이에 정(+)의 인증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관련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민간 부문의 SPAC 활용에 대한 의지가 여전히 크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확대 및 유망 비상장기업의 규모와 성장성을 고려해 민간 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규모의 확대는 대형 주간증권사의 SPAC 합병상장에 관한 인식 전환과 참여가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투자금 회수 관점에서 여전히 SPAC 합병상장에 관심도가 높지 않은 벤처캐피탈을 유인하기 위하여 SPAC 결성규모 확대와 제도개선으로 SPAC 합병상장의 활용도를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이제는 정부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SPAC 생태계가 축적해 온 경험을 신뢰하고 이들이 SPAC 합병상장제도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민간 부문에 자율성을 부여해 경쟁을 통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규제가 아닌 지원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Korea Exchange has diversified its listing method by adopting the SPAC listing system in 2010, and unlisted Korean firms have begun to go public by SPAC on the KOSDAQ market. Therefore, from the Korean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the choice of SPAC listing over IPO listing by 212 unlisted Korean firms, making a logistic regression of firm-specific and listing-specif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hoice of list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analysis have identifi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llows. Most of all,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mplies that the choice of SPAC listing by 212 Korean firms has been affected less by the firm-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low-quality firms in terms of firm size, stability, and profitability indicators would prefer SPAC listing. It was contrary to the prior studies. Secon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Korean firms of higher ownership would favor SPAC listing since the higher ownership would facilitate the merger and acquisition process, including shareholders' meetings and stock purchase claims.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is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Third, this study assumed that the young Korean CEO, a risk-taker, would prefer SPAC listing, a relatively less familiar listing method, to IPO listing, an already proven metho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statistically supported. Fourth, this study assumed that the positive certification effect between IPO listing and Big4 auditors would not apply to Korean SPAC listing. It is because SPAC listing firms would lack the quality of internal controls, adjust their profits, and avoid a strict listing review process. As expecte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proved that there was no effect between Korean SPAC listing firms and Big4 auditors. The subsequent implication of regression analysis is that the choice of SPAC listing by 212 Korean firms has been affected more by the listing-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s in the prior studies, while IPO listing firms would work with high-reputed underwriters, Korean SPAC listing firms would match with low-reputed underwriter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negatively supported, meaning that SPAC listing firms would judge underwriters by their expertise in merger and acquisition advisory, not by their reputation and size. Second, this study presumed that SPAC listing would have a higher predictability of calculating corporate value at the time of listing than IPO listing and that the corporate value of Korean SPAC listing firms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IPO listing firms. As expecte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statistically supported, meaning that the difference in the corporate value at the time of listing would affect unlisted Korean firms' choice of listing method. Thir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IPO listing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offering ratio due to the rent-seeking behavior of underwriters to increase the listing fee intentionally. Furthermore, it also assumed that the SPAC listing negatively affected the offering ratio due to the permission to invest in SPAC and earn capital gain other than the listing fee. Unlike the prior studies that SPAC listing could be a method of defending against the dilution of the existing shareholders' share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did not suppor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it was assumed that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which demonstrated the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SPAC listing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would be applied to the case of Korean SPAC listing. However,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Fifth, unlike IPO listing, which requires much time in the offering process, SPAC listing has both the procedural advantages of not having an offering process and the procedural disadvantages of having the shareholders' meeting for its merger and acquisition process. However,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SPAC listing would take longer than the IPO listing due to shareholders' meeting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is hypothesis was positively supported, meaning that listing process time would be a factor affecting unlisted Korean firms' choice of listing method.

      •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TOE 프레임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안문형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ICT 기술 발달과 함께 축적된 빅데이터의 활용은 글로벌 농산업계에 파괴적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최근 정부는 농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지원조직 신설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국내 농산업계는 작물생산 업종의 일부 기업 외에는 빅데이터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선도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을 창출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농업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조직, 환경의 복합적인 맥락에서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업종과 매출규모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농식품벤처·창업지원특화센터로부터 협조를 받아 309개 농업벤처기업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였으며, SPSS ver. 22.0과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기술적 요인 중에서는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적 요인 중에서는 경영층 지원과 비용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정책적 지원만이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호환성, 경영층 지원, 상대적 이점, 정책적 지원, 비용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업종은 호환성을 제외한 모든 TOE 변수들과 빅데이터 활용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째, 농업벤처기업의 매출규모는 조직혁신성 및 법적·규정적지원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가치는 농업 빅데이터 활용기술의 실수요자인 농업벤처기업의 입장에서 활용의도에 실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을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맥락으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있다. 특히 다양한 선행연구로부터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실증연구를 통해 농산업 분야와 벤처기업의 특성에 맞는 핵심요인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한 조절효과 검정을 통해 업종에 따른 요인별 영향력의 차이 또는 유무를 밝혔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우선 상대적 이점과 정책적 지원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정부기관에서 농업벤처로 하여금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와 운영 효율성 제고가 가능한 핵심사업을 선정하여 협업기회를 늘리는 정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호환성, 경영층지원 순으로 영향력이 높다는 결과는 작물별·기기별로 데이터 표준화가 부족하고 비정형 데이터가 많은 농업 특성에 맞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이 정책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며, 농업벤처와 같은 소규모 조직에서는 최고경영층의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높은 이해수준으로부터 출발한 조직문화 재편 의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업종의 조절효과 검정 결과는 핵심사업의 추진과 정책적 지원의 우선순위를 작물생산 분야와 이외 분야로 나누어 중단기/중장기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표본이 대부분 사업화 초기단계이거나 매출규모가 작은 기업 비중이 높은 점, 그리고 대부분 대표이사 등 경영층이나 일부 관리자급 응답이 포함된 점, 조절효과 검정에 업종을 보다 세분화하지 못한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업화 단계별 빅데이터 활용 인식과 사업화 성과 및 활용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업종별 심화연구가 이뤄진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벤처기업의 인적자본, 기업가정신, 벤처기업 역량이 창업가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경영성과를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정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대다수 창업가는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충분한 재정적 수단이 제공되는 기술 기반기업의 창업을 선호한다. 그러나 많은 야심 찬 기업가들에게 현실은 그들의 초기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우리나라 창업기업의 5년 차 생존율은 29.2%로 창업 후 5년이 되면 3분의 2 이상이 폐업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런데도 매년 많은 사람이 창업하는데 이는 사람들이 기업가 경력을 추구하도록 하는 동기부여와 목표 달성에 따른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내재적 요인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창업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영성과는 인적자본, 기업가정신, 벤처기업 역량과 창업가의 만족도 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만족도에는 세 가지 유형의 만족, 즉 소득 만족, 심리적 웰빙 만족, 여가 만족에 대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22년 05월 02일부터 2022년 07월 31일까지 수도권(서울, 경기) 및 중부권(충청, 강원), 그리고 남부권(전라, 경상, 제주) 등을 중심으로 중소벤처기업 창업가를 대상으로 모바일 SNS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312부 중 불성실 응답자 8부를 제외하고 최종 304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벤처기업의 인적자본과 벤처기업 역량이 창업가의 만족도 하위요인 소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과 벤처기업 역량이 창업가의 만족도 하위요인 심리적 웰빙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창업가의 만족도 하위요인 여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변수인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성과는 소득 만족, 심리적 웰빙 만족, 여가 만족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다섯째로는, 중소벤처기업의 인적자본, 기업가정신, 벤처기업 역량이 창업가의 만족도 간 경영성과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경영성과는 기업가정신과 벤처기업 역량이 소득 만족 간 완전매개 하고 심리적 웰빙 만족 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가 만족과의 관계에서 경영성과는 기업가정신에는 부분매개를 벤처기업 역량에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중소벤처기업 창업가의 만족도가 소득 만족, 심리적 웰빙 만족, 여가 만족에서 서로 다른 요인의 만족감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업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능력에 적합한 업종을 선택하면 만족도와 성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창업가들이 주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기업가정신의 발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ost entrepreneurs prefer to start a technology-based company that sufficiently provides financial means to lead a successful life. Reality, however, hardly meets many of the aspiring entrepreneurs’ initial expectations.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Korean start-ups is 29.2%, and according to research, more than two thirds of Korean start-ups close their businesses five years after their launching. Nevertheless, a number of people start companies each year, which indicates that there exist intrinsic factors that motivate people to pursue entrepreneurial careers and allow them to be highly satisfied with the achievement of their goal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entrepreneurs’ satisfaction and whether management performance plays mediating rol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the Venture Capabilities, and satisfaction. In entrepreneurs’ satisfac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satisfaction: incom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m empirically,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Google questionnaires from May 2nd to July 31, 2022. This researcher asked start-up entrepreneurs who had started and had been operating their own businesses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 Gyeonggi), central area (Chungcheong & Gangwon), and southern area (Jeolla, Gyeongsang, & Jeju) to participate in the surveys through mobile SNSs. Among the online questionnaires distributed, 312 sheets were collected, and 304 sheets were finally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eight that were unreliably answ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it has been found that human capital and the Venture Capabil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come satisfaction. Second, concerning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it has been analyzed that entrepreneurship and the Venture Capabilities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it has been learned that entrepreneurship has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management performance, the parameter,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com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ll.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nagement performance in correlation between the and of venture companies and satisfaction, it has been analyzed that management performance mediates correlation between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and the Venture Capabilities and income satisfaction completely and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In correlation with leisure satisfaction, it has been analyzed that management performance mediates entrepreneurship partially and the Venture Capabilities completely.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entrepreneurs’ different types of satisfaction such as incom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re influenced by different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that entrepreneurs can subjectively feel, as when entrepreneurs choose an industry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crease.

      • 벤처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박범룡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Entering in 21st century, internet fever which accompanied by digital revolution are causing great influence in our society. Digital time, having special feature of rapid changes, uncertainty, speed and severance, substitutes analogistic paradigm. This changes are quickly spreading in every sphere like politic, economy, and society field. Also it accelerates the globalization and the market will enormously grow larger. In this point, Internet networking system which produces global information will need to connect network more closely. According to this, not even the customers have an ability in product information, also customers will participate indirectly or directly in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y will reform as a 'Prosumer.'. Therefore, customers taste are becoming more variety and they tend to prefer specific product, also the vivid of anti products at the same time. Their changes of taste are rapidly changing as well. In this condition, companies will need to have clearness grasp about customers changing taste because the companies are now in the situation of being very sensitive about substituting to survive in business area. Corporations satisfy consumer through consumer oriented knowledge, and technology, knowledge etc.. must lead production. The speed of decision-making of corporation's formation should be fast should be soft and can set and announce product properly in change of age. So, in this digital period, there is no many a person who hesitate to count venture business in suitable corporation's form. Though government-initiated venture drive policy overcomes Korean foreign exchange crisis, it was big force. The world is infinity competition, knowledge competition, speed war, age of diversification. Competitive within this world environment and ambivalent venture business' the importance need no longer to say. Furthermore, our country is the country that human resources are copious by high education level that do not rummage paying to where in the world. Manpower is that base that venture business of knowledge putting first grows of abundant thing is hardened hard. If venture business' effort and governmental suitable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large enterprise etc. accomplish creation within strong base, clearness our country's venture business is going to grow steadily, and also, also economy also of our country may

      • 지방벤처기업의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적 입지를 중심으로

        정영목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to identify the necessity for vitalization of venture businesses in regional areas in Korea and to suggest appropriate way for that goal. To date , venture businesses in Korea have rapidly developed since the late 1990s. but, they have the limit concentrated in Seoul. And this matter is the restriction of the performance to knowledge based economy. While world economy have changed to globalization and knowledge based economy , the importance of local economy is embossed. Now, the local age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cality is arrived. and the necessity that rear the venture companies in locality is rising.Almost all of the venture companies is located in Seoul now. and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should be changed to the way that focus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schemes for venture businesses in regional area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assist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venture businesses in those areas. Such assistance includes R&D support for venture businesses. The support work by government is positive according to cooperation among university, R&D center and, companies. but, it lacks the contact because of running separately. and the raising of efficient cooperation among Industry , Education, R&D is needed eagerly.

      • 벤처캐피탈의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 및 신뢰가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대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벤처투자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벤처캐피탈은 펀드결성 확대와 신규 투자증가를 통해 투자성과 극대화를 위해서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벤처투자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인력부족 현상으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논의된 바가 없으며 방법적인 측면에서 해답을 찾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벤처캐피탈의 투자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리스트의 고유업무인 투자심사에 있어서 권한위임, 보상시스템, 신뢰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벤처캐피탈리스트로서 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벤처캐피탈리스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투자심사 권한위임은 직무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투자심사 권한위임과 내부 의사결정 참여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 내부 의사결정과정에 있어 의견 개진의 자유도와 의견반영 수용도가 높을수록 벤처캐피탈리스트가 느끼는 평가 우수성이 높아져 벤처캐피탈 직무적합도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성 중 동료신뢰는 직무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신뢰, 동료신뢰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적합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 참여도와 동료신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적합성을 매개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직무역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직무환경과 조직문화 개선 및 최적의 벤처캐피탈리스트 육성과 역량강화가 벤처투자 성과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As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expands, venture capital‘s have been focusing on enhancing its self-sustainability through increased fund formation and new investments to maximize investment performance. However, the recent rapid growth in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has intensified the importance of venture capitalists due to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the job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and methodological solu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se factors and ultimately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mpowerment in investment review, compensation systems and reliability on the job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as well as the role of job suitability in mediating these factors. The study involved a survey conducted among venture capitalists. The results show that empowerment in investment examination significantly affects job suitability and both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in internal decision-making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Notably higher levels of freedom to express opinions and acceptance of these opinions in the internal decision-making proces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erceived excellence in evaluation thereby impacting job suitability and performance of venture capitalists. Trust in colleagues a component of reli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s job suitability and both organizational and colleague trust positively impact job performance. The study finds that job suit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highlighting its role in positively affecting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uitability was observed in how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colleague trust impact job performance.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job competence of venture capitalists in influencing performance outcomes. The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of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venture capital and the crucial role of developing and enhancing the capabilities of Venture Capitalists in boosting venture investment performance.

      • 벤처기업의 成長戰略 : IPO 이후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오성배 湖西大學校 벤처전문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Individual company is severely trying to acquire the upper-hands for surviving and developing itself in the atmosphere which is changing drastically. The company has faced the change in its atmosphere (the introduction of a epoch-making communication tool such as the INTERNET) which is swaying down the conventional practices, making discontinuity and requiring the new paradigm. In this kind of environment, a company has more possibility to face the uncertainty of future, the risk is reproduced and a company is too difficult to survive and face fierce competition and new atmosphere is forming. But however a company cope with this situation, it gives numerous chances to challenge. With recent rapid spread of internet, the "hot wind of venture" blown to our country make KOSDAQ settled down as a second capital market in a short period. But the "hot wind of venture" blown with mistaken notion has induced a public criticism. Sudden riches have come up making a big fortune in a single occasion, wrong investment tendency whoever invest the money to KOSDAQ and get money easily had been spreaded. However, so-called "venture hot wind" had made the black money flown into the thru KOSDAQ and had given nations a hope triggering a venture business with technology and knowledge. Many people including investors said that IPO was the final objective of venture. It is important to see the venture business in the view of investment strategy but in the view that a venture business grows and develops into everlasting business the stock listing is not the final objective and the that of venture business was just speculation to make fortune in a single occasion and bubble was cleared just in one year and it showed the reality. As stated above, most of all, IPO must be recognized a new start rather than a final destination. Also the technology of venture business must not be that of engineers themselves but adaptability to the market and only the technology that can meet the needs of customer can be confirmed in the market by the customer. Although all kinds of technology and products produced with them included high-valued technology, they are useless without reflecting from the customer needs. Moreover, after the IPO, for the venture business to make continuous growth, the "step-by-step market strategy"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can be a chasm and a tornado appeared at a periodic time of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consumer behavior. The current situation is considered the worst and the "chasm" of the venture business. The causes seems to be originated from the rack of technology and marketing strategy suitable for the market and the unsettled core-value rather than telling on the capital. It is a rapidly changing era so the company only which forecast the sudden change and prepare the future can get the opportunity to open a new field of enterprise. It is natural that the venture business is risky and the troublesome era is thought to be faced by all of us together. It is the time that many venture businesses are falling in the mire of failure and also another venture business is created and a failed venture business is struggling to overcome. In this situation only a small number of venture business which overcomes the crisis can reach the final destination. The venture business should secure the competitiveness such as capital, technology power, marketing strategy and core value to overcome the hardship and develop itself continuously. Only the company only which set up its core value and making a step toward customers can make a continuous growth. In conclusion the venture business reach the IPO through the efforts which it stand on the basis of high technology and regard the change and threat of a market an opportunity The venture business can be considered to do a social responsibility as going-concern only if it accomplish the continuous growth on the basis of guaranteed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