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소재 사립대학교 입지의 풍수적 연구 : 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한양대를 중심으로

        정윤화 한양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University is an advanced education institution if students want to take education at a higher level after graduating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t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which people can select a specific major, obtain a degree, and be socially recognized. The talented people nurtured at universities lay the found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play a role in con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by creating new knowledge through research in each field.  Since the 1650s in Korea, it has been possible to make rapid economic growth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have surged together. Many universities that pursue to provid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to develop the colleges have made a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expansion. Universities wanted to settle in a ‘good place to produce great people and results’. In order to select the good place, universities set a location of their campus by applying Feng Shui, and then they built structures and composed spaces. This study researched characteristics and common points of Feng Shui as focusing on Korea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hich were organized in the modern era of Korea in earnest.   First, they are located in auspicious places depending on Feng Shui. Their spots meet requirements that Jusan and the waterway had an auspicious shape and they also had Baesanimsu, Jeonjeohugo, and Jeonchaghugwan. The reason why the universities are located in the auspicious places is that they want to produce good academic results and produce many talented people by receiving energy of earth called Jigi(地氣) in Korean.  Second, the universities located a main building on Hyulcheo. The main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building. They set the main building on the best place of Feng Shui where energy gathers in order to pursue development.   Third, the universities are located on side of a mountain called Myeon in Korean(面). Since the Myeon (面) is bright, clean, tidy, and gentle, it could produce good campus environment to have activities for students.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pursu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by inheriting Saenggi (生氣) gathered in Myeon (面).   Fourth, the universities were built in a nature-friendly measure by conforming to the topography. When choosing the direction of Jwahyang, they did not insist on facing south, but they tried to adapt to nature by considering flow of Ibsuryong (入首龍) and the direction of Sansu (山水). When choosing the height and shapes of buildings, they considere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of Sanse and they induced a sense of stability in the building.  Fifth, the universities recycled old sites known as a good place for their campus. They tri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business by recycling these good places that ancestors used as tombs, palaces, and temples in Korea.  Sixth, the universities conducted Bibo Feng Shui in order to make up for weakness. In order to prevent Palohwangcheonsal, Palosarohwangcheonsal, and other disastrous deaths called Hyungsal in Korean (凶殺), each school ut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trees, statues, stairs, and lakes for Bibo.   As it mentioned, the universities have campuses that could meet requirements for good places of feng shui.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common points between the ultimate goal of Feng Shui and universities, which is that they want to provide many talented people and good places where people live well.   The four universities chose the good place called Gilji in Korean, based on Feng Shui and made their campus environments eco-friendly. After about a hundred years of development, they became the first-class universities that many students want to go to. The reason why each university considered Feng Shui for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is because they believed that talented people can be born and growth and development can be achieved in Gilji. Inspiring interest in Feng Shui and changing awareness can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develop universities, and provide numerous talented people to the societ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대학교는 초⦁중등교육을 졸업한 이후 더 높은 단계의 교육을 받고자 할 때 진학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특정 전공을 선택하여 학위를 취득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이다. 대학에서 양성된 인재는 국가 발전에 밑바탕이 되고, 각 분야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함으로써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뤘고, 전문 인력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였다. 고급 인력을 사회에 배출하고 동시에 학교 발전을 추구하고자 많은 대학들이 신설 및 확장의 과정을 거쳤다. 대학교들은 ‘인물을 배출하고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터’에 자리잡고자 하였는데, 좋은 입지를 선택하기 위해 학교들은 풍수 논리를 적용하여 캠퍼스 위치를 정하였고, 건축 및 공간 구성의 과정을 거쳤다. 우리나라 근대기에 본격적으로 대학체제를 갖춘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특징과 공통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학적 길지에 입지하고 있다. 주산과 물길이 길(吉)한 형상을 갖추면서 배산임수, 전저후고, 전착후관의 조건에 부합한다. 대학교가 길지에 위치한 것은 지기(地氣)를 받아 학업적으로 좋은 결과를 내고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하기 위함이다. 둘째, 혈처에 본관을 배치하였다. 본관은 대학교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가장 중요한 건축물로써 학교의 발전을 추구하고자 풍수에서 기가 뭉쳐있는 가장 좋은 곳에 본관을 배치하였다. 셋째, 산의 면(面) 쪽에 위치하고 있다. 면(面)은 밝고 깨끗하며 단정하고 완만하여, 학생들이 활동하기 좋은 캠퍼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면(面)에 모여있는 생기(生氣)를 이어받아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 넷째, 지형에 순응하여 자연친화적으로 건축하였다. 좌향을 정할 때 남향을 고집하지 않고, 입수룡(入首龍)의 흐름과 산수(山水)의 방향을 고려하여 자연에 순응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높이와 모양 선택에 있어서도 주변 산세와 조화를 추구하여 건물에 안정감이 들도록 유도하였다. 다섯째, 명당으로 알려진 옛터를 학교부지로 재활용하였다. 우리 선조들이 무덤, 궁궐, 절 등으로 이용했던 명당을 재활용하여 교육사업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여섯째,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비보풍수를 실천하였다. 팔로황천살, 팔로사로황천살, 기타 흉살을 막아내기 위해 각 학교들은 수목과 동상, 계단, 호수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비보하였다. 이상과 같이 위 대학 캠퍼스들은 풍수의 명당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대학교 입지에 대한 풍수적 고찰을 통해 풍수의 궁극적인 목적과 대학교가 인물을 많이 배출하고 사람들이 생활하기 좋은 곳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함을 함께 확인하였다. 4개 대학교들은 풍수 이론에 근거하여 길지를 선택하고 자연친화적으로 캠퍼스 환경을 조성하였고, 약 백여년 간의 발전 과정을 거쳐 많은 학생들이 선망하는 일류 대학이 되었다. 각 학교들이 입지와 공간구성에 있어 풍수를 고려한 것은 길지에서 인재가 나고,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풍수에 대한 관심 고취와 인식의 전환은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학교를 발전시켜 수많은 인재를 사회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김수진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ABSTRACT A Study on Examination of Current College Dance Curriculum Compliant with Introduction of Art and Culture Instructor Policy Kim, Soo Jin Dep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research on improvement of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through looking into changes in the curriculum following introduction of a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and ascertaining a necessity of the system.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after selecting seven colleges which have opened courses about those instructors or include certified courses out of 19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compare and analyze collected data on the dance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about the year 2011 before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other about the 2013 when the system began to be executed. Whether or not certified courses about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were executed and whether or not those course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dance curriculum of each school were confirmed referring to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curriculum. The study produced following results. First, Dankook University had two courses that have been certified equally as courses for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Chung Ang University have three each, Sangmyung University one, Yong In University four, Kookmin University six and Ewha Woman's University seven, even if those schools haven't opened programs for those instructors. In addition, Sungkyunkwan University had five courses, University of Suwon four, Hanyang University (ERICA) one, Hanyang University (Seoul) two and Hansung University one. Second, after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was conducted in 2013, Dankook University newly opened five courses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ne. Hanyang University (ERICA) opened the largest nine courses and Hansung University two. Based on su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has changed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and the reality of opening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courses to cultivate professionals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certified programs still is not satisfactory. There are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dance programs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should be additionally opened as same programs after uniting various systematic courses executed in dance of culture and arts instructor education with college dance programs. Second, educational institutions whose students can acquir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licenses should be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capacity as college dance departments to cultivat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professionals. In this way, students of college dance departments will be able to acquire licenses immediately after their graduation to hav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bout effects of acquisition of licenses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on expansion of graduate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ir choice of course after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changes after including courses about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license system. 국문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조사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필요성을 밝혀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개선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서울·경기 지역 19개의 대학 중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교과목이 개설되거나 인정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는 7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교과과정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무용(학)과 교과과정 자료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도입되기 전 2011년과 실행되기 시작한 2013년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각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안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인정교과목의 실행 및 개설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이 개설되지는 않았지만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과목과 동일하게 인정받은 교과목들이 단국대학교에선 2과목, 숙명여자대학교와 중앙대학교에서는 3과목, 상명대학교에서는 1과목, 용인대학교에서는 4과목, 국민대학교에서는 6과목이 인정되었으며, 이화여자대학교는 7과목이 인정되었다. 또, 성균관대학교에서는 5과목, 수원대학교는 4과목, 한양대학교(ERICA)에서는 1과목, 한양대학교(서울)에서는 2과목, 한성대학교에서는 1과목이 인정되어 교육되어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실행에 따른 대학 교과과정이 단국대학교에는 기존에 없었던 5개의 문화예술교육 인정 교과목들이 개설되었고, 숙명여자대학교에는 1개의 과목이 개설되었다. 한양대학교(ERICA)대학교에서는 가장 많은 9개의 과목이 개설되었으며, 한성대학교에서는 2개의 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에 따라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이 변화되었으며, 대학에서의 무용교육에 있어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교과과정 개설 및 인정교과목이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교과목들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무용분야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목들을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과 조합하여 동일한 과목으로 추가 개설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이 취득가능한 교육기관을 대학 무용(학)과의 역량으로 인정하도록 함으로써 대학 무용(학)과 학생들이 졸업함과 동시에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여 졸업 후 취업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 도입에 따라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과목을 포함하여 변화함에 따라 졸업함과 동시에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졸업생들의 취업영역의 확대와 진로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대학의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알리기 위한 U.I(University Identity) 연구 : 서울예술대학을 중심으로

        윤치호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사회 환경의 전반적 변화로 인해 대학의 교육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취업난으로 대표되는 사회 변화의 양상과 함께 대학 정원대비 입학 예정자의 비율도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결과, 대학들의 상호 경쟁이 심화되어 학생 유치를 위한 치열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대학들의 노력들 가운데 대학의 정체성 확립과 이미지 통합화를 위한 U.I(University Identity)디자인 개발은 중요한 방안으로 대두되었다. U.I는 대학의 분병한 정체성 확립은 물론 자긍심과 단결심, 연대감 성립과 더불어 대학의 미래 비젼을 제시하는 가장 효율적인 매개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새롭게 리뉴얼된 대학의 U.I디자인들은 신문,TV, 인터넷은 물론 기타 홍보매체나 대학 내 다양한 환경에 적용시켜 대학의 정체성 확립은 물론 미래 비젼을 분명하게 각인시키고 나아가 대내외적으로도 높은 홍보 효과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는 날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이 된다. 한편 문화 예술분야 교육기관으로서의 분명한 독자성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서울예술대학은 1962년에 개교한 이래 이 분야를 선도해오고 있는 특성화된 종합 예술대학임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면이 있다. 서울예술대학의 U.I디자인은 2000년에 리뉴얼되어 대학 홍보와 정체성 확립에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유명 연예인을 사용하는 홍보, 마케팅으로 치우쳐져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정체성을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는 U.I 디자인과 적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서울예술대학의 효과적 U.I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환경과 변화, 미래 전망과 대학 정체성 확립을 위한 디자인 효율성에 대한 관계성을 선행 연구논문, 관련 서적,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 사례 조사는 국내외 주요 대학의 U.I 디자인의 베이직 디자인 요소와 적용 사례를 분석,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외 대학의 심볼 마크를 형태별로 여섯 가지 요인으로 조사하였다. 그 중 국내 대학은 최근 리뉴얼한 대학을 중심으로 U.I 디자인에 대해 ‘정통성’, ‘상징성’, ‘심미성’, ‘주목성’, ‘차별성’의 다섯 가지 항목 분류, 5점 리커트 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5점 만점에 고려대학교(4.18)> 서울예술대학(4.04)> 성균관대학교(3.90)> 한양대학교(3.74)>단국대학교(3.68),연세대학교(3.68)> 청강문화산업대학(3.66), 중앙대학교(3.66)> 국민대학교(3.48)> 계원디자인예술대학(3.4)> 건국대학교(2.96) 순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비교적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은 대학의 U.I 디자인 특성은, 기존의 심벌에서 리뉴얼에 있어 정통성과 상징성을 유지해 그 안에서 변화를 연출했기에 구성원의 혼란이 최소화되었다는 점이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정체성이 더욱 확고해졌다는 장점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며, U.I에 있어 디자인은 대학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 비젼, 홍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제 사례라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효율적 U.I디자인 활용 방안은 첫째, 심볼마크, 로고 타입의 형태는 대학의 정체성이 적절한 내포성. 둘째, 심벌마크, 로고타입, 캐릭터, 사인류 등의 각종 응용디자인 사용에 대한 적정한 규정과 일관된 적용과 시행 유지이며 특히 컬러에 대한 적절한 실행력이 중요하다. 셋째, 적극적인 슬로건 제정과 사용이 중요한 것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안은 모든 대학들의 U.I 디자인 적용에서 효율적이며 서울예술대학에서도 적절히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부인들이 주로 접하는 대학의 서식류와 사인, 홍보물에 있어 일관적인 U.I디자인 적용과 서울예술대학의 슬로건 제정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구성원들의 이해와 자부심을 고취시켜야 한다.. 서울예술대학의 새로운 슬로건인 ‘세계와 함께하는 종합예술대학’ 이라는 이미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대외적으로 학교의 예술적 이미지를 알리는데 효과적인 U.I디자인의 적용과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이는 결과적으로는 대학 내의 조직원들은 물론 외부적의 예비 구성원이나 기타 많은 대중들에게 대학의 정체성을 알리고 이미지를 구축하고, 홍보를 실천하는 가장 중요한 단초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들의 U.I 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 근거나 데이터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이것도 충분한 정량적 자료가 되기는 미흡하리라 생각된다. 향후 더욱 방대하고 세분화된 조사와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본 연구가 향후 대학들의 U.I 차별화 전략 수립을 통한 국내 대학들의 정체성 확립과 경쟁력 확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 UI(University Identity) 시스템 디자인 연구 :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창배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Universities leading knowledge industry of the 21th century are faced with new problems to do qualitative renova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it has been about 60 years since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from Japan. Today, our universities closed down due to decreasing students or the lack of competitive edge unlike the universities 10-20 years ago. Because of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requently chang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r the opening of oversea colleges in Korea, Korea's universities lie on the hard struggle for existence. Therefore,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active and realistic changes. Because of such reasons, each university is introducing "University Identity Program"(UI) to enhance university images. Every university has its image based on its history and tradition. Such an image is influenced by how college students take their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heir university. Thus, for the competitive edge of universities, universities are in need of systematic UI. That is to say, based on characteristic and obvious UI, each university should make differentiated images by using sensational factors. Many colleges try to change all things such as office work, administration and schoolaffairs by unifying a variety of colors and remarkable patterns, unlike the stereotyped image logos. There is a university composed of "Brand Association" to enhance university's image and brand. Some colleges say " When the value of a university's brand increases, people regard the university as a top clas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planned to enter ranking the 100th among the world's universities by 2039,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university. Thus, despite the fact that Hanyang university needs a new image establishment, the staff of the school do not pay attention to these periodic changes and necessity. Now, unlike Corporate Identity (CI), communications between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but they are excessively niggardly of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Most of them agree to introduce the marketing system of enterprise 82 in the university, but they are on negative lines to be a future-oriented college image. People often think of symbolic images and their objects as a fixed idea. They are afraid that it might be commercial. What they are considering more importantly is that a university is only absorbed in study, not the university's image. Thus, there is a limit to expect renovative UI. This paper suggests Hanyang University's identity system design to cope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The visual identity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can give differentiated images to all people as well as the students studying there. Moreover, it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do the university's public relations-campaign. Universities should be a competitive advantage from other colleges by introducing an epoch-making marketing 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to apply UI to Hanyang University in actuality, by forming a part of an effort to cope with rapidly educational environment. 21세기 지식산업의 원동력이 될 대학의 역할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광복 이후 60여 년 동안 이룬 양적 성장의 단계를 넘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질적 혁신을 이뤄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수험생이 넘쳐나던 과거와는 달리 점점 줄어드는 학생 수와 경쟁력 없는 대학들이 문을 닫거나 축소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대학시장의 해외개방, 입시전형의 변화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으로 인한 생존 경쟁이 심각한 상태로,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대학에 맞는 이미지 개선을 위한 의식 변화와 함께 '대학 이미지 통합 프로그램(UIP : University Identity Program-이하 UI라고 한다)'을 도입하고 있다. 어느 대학이나 역사와 전통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수용자들이 특정 대학에 대해 가지는 태도나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특하고 명확한 대학의 개성을 표현한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감성 요소라는 매개체를 통해 차별적인 대학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들은 새로운 UI작업을 통해 획일적이던 이미지의 로고, 엠블럼을 다양한 색감과 튀는 문양으로 통일하고 이를 모든 대학의 사무ㆍ행정ㆍ학사에 응용하는 총체적 변신을 꾀하고 있다. '브랜드 위원회'를 신설하여 대학브랜드를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에 나서고 있는 대학이 있는가 하면,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일류로 높여야, 일류대학이 될 수 있다고 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양대학교는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와 요구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개교 100주년이 되는 2039년에는 '세계 100대 명문 대학'에 진입한다는 야심찬 포부를 세우고 있는 현재, 새로운 이미지 구축과 자극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UI를 통해 새롭게 변화된 대학 이미지로 대학의 위상을 높여야 할 때이다. 하지만 현재 대학의 UI는 기업 CI디자인과는 달리 내부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많은 비중이 차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외부환경 변화에 지나치게 인색하다. 기업마케팅 원리를 대학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소극적인 변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미래지향적인 대학 이미지를 형성해 나가기에는 부족한 현실이다. 고유의 형태와 색깔을 나타내려고 하는 의지가 부족하고, 상징이미지의 정체나 대상이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경우가 많다. 상업적으로 치우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오는 보편타당한 표현으로 우리 학교만의 개성을 찾기 보다는 '학교' 다워야 한다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는 만큼 혁신적인 UI의 변화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양대학교의 아이덴티티 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의 시각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내ㆍ외부 구성원에게 대학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서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도 이젠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타 대학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경쟁전략을 세워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시각화된 대학 아이덴티티 개발 방법을 모색해보고 실제 한양대학교의 UI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중국 소비자 한식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 중심으로

        곽춘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외논문 Christopher W.L. Hart & Gregory D. Casserly, 1985, Quailty A Brand-Bew, Time-Tested Strategy,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6, No3, pp.52-63. David L. Romm, The Quiet Revolution at Allies: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30, No.2, pp.26-34. Dominngo Ribeiro Soriano, 2002, Customers’ expections Factors in Restaurants,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Management;19, 8/9, p.1055. Ernst R. Cadotte and Norman Turgeon, Key Factors in Guest Statisfaction,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8,No.4,pp.45-56. Filliantrault, Pierre and Brent Ritche, J. R. (1988), the impact of situational factor of hospitality service, Journal of research, spring, pp.67. Jaksa Jack Kivela, 1997, Restaurant Marketing: Selection and Segmentation in Hong Kong,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9/3, pp.116. James F. Engel and Roger D. Blackwell (1982), Cornsumer Behavior, 4th ed, The Dryden Press, p.415. (1986),and Paul W. Miniard, Cornsumer Behavior, 5th ed, The Dryden Press, p.521. John J. Schroeder 1985, Restaurant Critics Respond "We’re doing our job,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5, February, pp.57-63. L.Dube, L.M.Renagh& J.M.Miller (1994),"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for Strategic Management", The Cornell H.R.A. Quarterly(Feb) Lundberg Donald E. (1989), The Hotel and Restaurant Business. NY: Vam Nostrand Reigold, p.228. Marta Pedraja & Jesus Yague, 2001, What Information do Customers use When Choosing a Restaurant? Internation Joural of Conternporary Hospitality Management,13/6, pp.316-318. Morgan Michael S. 1993, Benefit Dimensions of Midscale of Midscale Restaurant Chains,The Comell H.R.A. Quarterly, Vol.34, No.2, pp.40-45.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Serivice Department, Consumer Expectation With Regard to Dining at Family Restaurant, 1983 Peter Jones, Stress: Are you serving it up your restaurant pardoned, The Comell H.R.A. Quarterly, Vol.31, No.3, pp.38-43. Segan spiggle and murply A. Sewall (1987), A choicesets model of retail selec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51. Aprilp.98. Soriano, D. R. 2002, Customers' expectations factors in restaurants; The situation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vol.19 no.8/9, pp.1055-1067. Susan Auty, 1992, Consumer Chioce and SEGMENTATION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Serice Industries Journal, Vol.12, NO.3, PP.324-339 Swinyard, W. B. & Struman, K. D. (1986), Marketing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estaurant's market, the cornell H.R.A.quarterly, may, pp.126-127. Swinyard & Struman, 1986, Willian R.Swinyard and Kenneth D.Struman, Market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setaurant Market ,the cornell H.R.A.quarterly, June, PP. 55 Willian R.Swinyard and Kenneth D.Struman, Market Segmentation: Finding the Heart of Your Rsetaurant Market,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7. No.1 pp.89-96 국내논문 강운영, 2005, "한국 중소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전략에 관한 연구", 중양 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pp.13-15. 고호석, 1996,"패밀리 레스토랑 고객 된 서비스 품질에 따른 이용고객 만족 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삭사학위논문 구경현. 김장하. 이상우. 1999, <식음료 실무론>, 백산출판사, PP.41-42. 금회연, 2002,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 도서판출 그린 , pp.190-191. 김광 규,1984, 전략적 소매 마케팅, 서울: 형설출판사,pp.81-82. 김동현, 2002, "한국기업의 대중투자에 따른 현지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1. 김민경, 2005, "중국 외식소비자의 한식당 이용 속성에 관한연구", 경기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 김용준, 2000 , 중국 소비자와 중국시장, 박영사 ,p.61. 2000 , 중국 소비자와 중국시장, 박영사, pp .61-65. 2006, 중국 마케팅 , 박영사, pp.89-97. & pp.100-134. 김용호, 2002, 판매촉진유형과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아기 기 저귀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1-34. 김재숙.정해옥, 2004. 3.,《한국 조리학》 pp.16-17. 김종달, 2004, "글로벌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중국 천연조미료 패키지를 중심으로-",홍익 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논문 p.13. 김헌회, 1995, "외식서비스 신 경영" pp.167-168. 김홍범.허창, 1998, "고객의 외식동기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차이", 한 국 관광 학회- 관광학 연구 제21권 제2호, pp.209-210 노호정, 2001, "외식산업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p.17-18. 박병렬.김대경,1994 “호텔식당경영관리" , 첨단과학기술도서출판원회, 1992, “현대호텔식당 경영론”, 대왕사,pp.45-46 박정준, 1998 , "레스토랑 고객의 선택기준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한관광 경영헉회, PP. 66. 박형진, 2002, "합리적 소비생활을 위한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호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pp.32-33. 박희정. 양위주 (2002), "이용행태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선택속성간 관계 에 관한 연구"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 pp. 492-499. 송윤아, 2003, "한국 의류업체와 중국 거래업체간의 '관시가 관계성과에 미 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7 서성한, 1990, "소비자 행동론",서울 .박영사, p.13. 오세철,박헌중,정승화, 1999, "중국기업의 구조적 변화", 경영학연구28권4호. 오정환, 1985, "호텔케이터링 원론",기문사,p.52. 원융회, 1992, "현대 호텔식당 경영론", 대왕사, pp.45-46 유영진, 2001,"패밀리 레스토랑 이용행태에 따른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대구중심 으로 – <관광.레저연구> (제11권 제1호) pp.44-45. 육주희, 2005, "13억 중국인의 입맛을 공략하라" ,월간식당241호, p.91 윤인상, 2003,"한국적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중국시장 진출에 관한 연 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pp.1-2. 윤향란,2006, "한류의 흐름을 보다", p.15. 임계순. 우심화. 양오진. 于长江 .전게서, p.108 이대식, 1997, "프랜차이즈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 교 석사 학위논문, p.36. 이보연, 1999,"호텔 외식업체 이용객 만족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식사 학위논문 이애주.황보성,2002,"호텔의 외식사업부에서 운영하는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호텔관광경영2002.3.17. 155-43 이용석, 2005, "외식기업 해외시장진출의 문화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 중. 일 외식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분대학 원 박사학위논문,pp.33-34. 이정학, 1999, "호텔식음료 상품의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하교, 경 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6. 2001, "호텔식음료 실무론",기문사, p.15. 이지호. 임붕영, 1996, <외식산업경영론>, 형설출판사, PP.67-69. 임정현, 2002, "매장 선호에 따른 스포츠 상품 구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논문, pp. 14-17。 장영훈, "우리나라 식문화와 외식산업의 발전방향",新韩给合研究所 1988,p20 전근홍, 2003, 중국시자의 한류를 통한 스타마케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13). 정덕현, 1998,"호텔 연회고객 선택속성과 만족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6. 정덕화, 2001"소비자의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 경영전문 학원 석사학위논문, pp.35. 2001,"소비자의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 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8-50 최언호, 2003, "패밀리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선택속성",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6-32. 한양옥, (2003),외식산업의 중국진출 현황에 관한 연구 – 중국심양을 중심 으로 - 한국조리학회,pp.139-140. 丁美阑, (2005)“호텔 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 이태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관광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 교육 실태 분석

        김수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과 응대화행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교육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과 그에 대한 응대화행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양상을 발견했고 이것을 토대로 보완이 필요한 내용을 제시했다. 먼저 본고는 한국어 정표화행의 교육적 가치를 밝혀 본 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냈다. 정표화행은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여 청자의 감정 이입을 유발하려는 언어 행위로서 언어를 통한 감정 소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국어 정표화행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로 감정을 소통하기 위해 배워야 하는 기본 화행이다. 본고는 이러한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 기능에 중점을 두고 심리학적 분류를 한국어 교재 분석에 최초로 적용한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심리학적 분류는 인간의 여섯 가지 기본 감정(기쁨, 놀람, 슬픔, 분노, 공포, 혐오)으로 한국어 정표화행 유형을 분류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분류를 활용하여 한국어 중급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 양상을 분석했다. 심리학적 분류를 이용한 분석은 한국어 교재에서 정표화행이 어떠한 감정 유형을 주로 실현하는지, 다양한 감정 유형을 표현하는지 등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 기능에 초점을 맞춘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본고는 정표화행이 청자의 감정 이입을 요구하는 화행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청자의 대응을 보여주는 정표화행의 응대화행 역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정표화행의 응대화행은 선행 정표화행이 표현한 감정에 공감하는지 여부에 따라 공감화행과 비공감화행으로 구분했다. 이러한 분류로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의 응대화행을 분석함으로써 선행 정표화행에 대해 적절한 응대를 제시하는지 교육 실태를 살펴봤다. 분석 결과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표화행은 주로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며 다양한 유형의 감정을 다루지 못했다.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기쁨화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기쁨화행을 실현하는 형태 역시 ‘고맙다’와 같은 특정한 감정 동사를 많이 사용하는 등 다양성이 떨어졌다. 또한 응대화행은 정표화행에 비해 교재에 나타나는 빈도가 확연히 낮았다. 이는 곧 한국어 교재가 정표화행을 제시할 때 요구화행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교재 대화문을 통해서는 정표화행의 발화 목적인 청자의 감정 이입 여부를 알아내기 어렵다는 실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교육 방향을 제언한다. 첫째로, 한국어 교재에 정표화행을 통한 감정 표현의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 교재를 구성할 때 정표화행을 활용해 다양한 감정 표현을 다루어야 외국인 학습자가 다양한 감정을 한국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로, 교재에 정표화행의 응대화행 비중을 늘려야 한다. 교재에 나타난 적절한 응대화행을 통해 학습자가 한국어 감정 표현을 들었을 때 한국어로 적절히 응대하는 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정표화행과 응대화행 양상 분석을 통해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언했다. 한국어 정표화행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표화행의 감정 표현에 주목해 심리학적 분류를 적용한 본 연구가 보탬이 되길 바란다. 또한 교재를 구성하는 데 참고 자료로 쓰여 향후 출판될 한국어 교재들이 한국어로 감정을 소통하는 대화를 다양하고 비중 있게 다루기를 희망한다.

      •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이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

        이정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의 목적은 Keller(1983)의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이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대학교양무용의 효과적인 수업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교양무용 수업 중 재즈댄스를 수강하는 남녀대학생 84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에는 ARCS모형을 통제집단에는 적용시켜 12주 동안(주 1회, 회당 100분) 실험이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는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 질문지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3회 반복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ARCS모형이 적용된 대학교양무용 수업은 대학생들의 행동조절과 학업시간관리, 외적동기 증가와 무동기 감소 그리고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및 만족감 등의 학습동기 수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은 자기조절학습 요인 중 행동통제와 학업시간관리의 행동조절 향상에 효과가 있다. 행동통제 조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험 6주차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학업시간관리 조절은 12주차에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은 외적동기 중의 동일시 규제 수준을 높이며 무동기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비록 내적동기 수준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였지만 외적동기 중의 동일시 규제 수준은 실험 처치 6주차부터 향상되었으며, 무동기 수준 역시 실험 6주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무동기 수준의 감소는 통제집단에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6주부터 나타났다. 셋째,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은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및 만족감 등 학습동기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수업흥미 요인 중의 주의집중은 12주차에, 관련성과 자신감 및 만족감 수준은 모두 실험 6주차부터 효과를 나타냈다. 다만 관련성 요인은 통제집단에서 실험처치 6주차에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전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Keller(1983)의 이론이 대학교양무용 수업에도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interest in university elective dance course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84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Jazz Dance as an elective dance course. ARCS motivational model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direct method of teaching was applied to the regulation group. Each 100-minute long experiment was held once a week for 12 weeks. As a means of measurement, questionnaires about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interest were completed 3 times by both experimental and regulation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wo-way repeated measure variable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As a result, the ARCS model-based Instruction on elective dance course was shown to be effective on the students' behavior regulation, study time management, and caused an increase in external motivation and a decrease in non-motivation. It was also revealed to have positive effects of changing the learning motive standard such a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specific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RCS model-based Instruction on elective dance course shows its effects as it improves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 regulation of study time management which are som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The regulation of behavior control show the effects after the 6th experiment and the regulation of study time management showed the effects in the 12th week. Second, the ARCS model-based Instruction on elective dance course increases the level of identified regulation of external motivation and decreases the non-motivation level. Although, it didn't improve the internal motivation level, the level of identified regulation of external motivation did improve after the 6th week and the non-motivation level also started to decrease gradually after the 6th week. Especially, a decrease in the non-motivation level was shown in the regulation group after the 6th week. Third, the ARCS model-based Instruction on elective dance course promotes learning motivation such a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level of attention, which is a course interest factor, was shown to be influenced after the 12th week and the levels of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howed the effects after the sixth week. However, the relevance factor in the regulation group showed the effects after the 6th week.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Keller's theory to elective dance courses since ARCS motivation model proved itself to be effective on teaching method in school by improving th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interest.

      • 대학 노후시설의 리모델링 경향과 요인에 대한 사례 조사 연구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의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최근 대학은 사회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놓여 있다. 저출산 문제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대학의 진학률 하락에 따라 대학의 입학 자원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같이 미래 사회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대학의 구조개혁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요구받고 있다. 이는 양적으로 성장과 확장을 했던 대학들에게 대학의 수와 재학생 수 및 학과 수 등의 감소가 예상된다. 이로 인해 캠퍼스 대학시설은 신, 증축의 성장 및 확장 계획에서 캠퍼스 교지의 부족과 학생 수 감소로 인해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계획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대학시설은 준공 후 경과연수에 따라 물리적으로 노후화되어 건물의 구성 재료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학사 개편과 교육과정 및 정책의 변화에 따라 공간 재배치, 용도전환 등의 기능적 노후화로 인한 공간의 변경이 발생하게 되며 시대와 사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대학 구성원(학생, 교수, 직원 등)의 가치 추구 형태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는 교육 환경으로의 리모델링이 발생하게 된다. 대학시설의 리모델링은 다양한 요인과 유형으로 발생하지만, 건물의 실제 발생 건수를 통해 리모델링 요인과 경향을 분석한 연구논문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사례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건축물대장을 기준으로 준공 후 경과연수 40년 이상의 노후 교사시설을 대상으로 10년간(2007~2016년) 발생한 리모델링 공사 계약 현황과 실적 자료를 통해 원인, 공종, 분석 요소, 수법, 목적, 사례 유형 등의 요인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노후 교사시설의 리모델링 경향은 첫째, 신·증축은 감소하고 부분 리모델링이 활성화되었다. 둘째, 리모델링의 원인으로는 사회적 노후화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리모델링의 분석 요소로는 건축계획요소의 비중이 높았고 세부 분석 요소는 내장 성능 개선 중 마감재 교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리모델링 수법(범위)으로는 증축보다는 개보수 범위인 갱신, 개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리모델링의 목적으로는 성능 향상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여섯째, 리모델링의 사례 유형은 시설 교체형과 설비 교체형의 비중이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통해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노후 교사시설 리모델링이 발생하는 요인은 다양하며 한 가지 요인으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리모델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대학의 노후 교사시설의 리모델링 방향과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덧붙여 지금까지 대학은 성장과 발전 중심의 캠퍼스 마스터플랜으로 교육 환경의 기능과 성능 향상, 이미지 개선의 측면에서 시설의 현대화를 추진해왔었다. 이로 인해 대학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상징적인 건물도 역사적 보존보다는 내·외부의 현대화를 통한 외관의 형태와 디자인 변경 및 성능 향상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비록 건물이 오래되면 노후화로 인해 그 기능과 성능이 떨어져 대학 구성원들의 교육 환경 개선 요구가 발생하게 되지만 대학은 역사적 보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사적 보존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리모델링 계획과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대학시설의 리모델링은 대학 구성원들의 고유 기능인 교육과 연구와 사회봉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기능을 영위하기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여 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끝으로 대학은 건학 이념을 기초를 두고 비전과 발전 계획을 세운다. 이에 따라 대학시설의 리모델링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여 발전적이고 융통성이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부합하는 미래 지향적인 인프라 구축을 위한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경여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As globalization has been proceeding, the number of tourists over the world has been increasing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despite progress in English educa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ne inconvenience cited among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s still communication. English is spoken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mong foreign languages, and colleges which send tourism workers out to the society have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English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ourism English approache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and it should consider many factors related to learning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Learning motivation impacts the success of learning English an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is. However, studies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cyber universities were not only short but most researches have been restricted to quantitative studies. In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Q methodology is a useful way of investigating people’s views of any issues. Using Q methodology and open-ended response promp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different factors. Preceding researches and open questions about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provided the development of 150 Q statements and with help of two Q methodology professionals the structural framework for 33 domain specific Q sort statements was confirmed and those statements were made by Q cards so as to be easy to read and facilitate sorting. Twenty two P samples were extracted out of 99 students who were studying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15, considering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age, major, and job. The data was coded into grades from 1 to 9, and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Q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was categorized into 4 factors. The factor 1 was named as ‘Travelling abroad’ and half of the all students belonged to it. Eleven students of factor 1 wanted to study tourism English for speaking while travelling abroad. The factor 2 was named as ‘Intrinsic motivation’ and six students belonged to factor 2. They liked learning foreign languages a lot and had wanted to speak English well for a long time. The factor 3 was named as ‘Utilization at work’ and two students belonged to it. They all had been working for tourism industry and needed to speak tourism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The factor 4 was named as ‘Improvement for English ability’ and three students belonged to it. All the students of factor 4 had not worked for tourism related job currently but they all needed to speak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and wanted to improve their basic level of general Englis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into 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well as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the effective curriculum suggestion of tourism English class was discussed at the end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Q methodology is tried to apply to the study on tourism English as ESP at a cyber university mixed with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o make better cyber universities which offer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meet the potential students’ demand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계의 관광객 숫자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또한 예외는 아닌 이 시점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가장 불편한 사항이 아직도 의사소통의 문제라는 것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그 중에서도 영어는 세계 국제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광종사원을 사회로 배출하는 관련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증진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관광관련학과에서 진행하는 관광영어 수업은 특수목적 영어로 접근되며 영어학습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학습관련 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학습동기는 영어학습의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대다수가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교의 관광영어 수업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Q 방법론을 이용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주관성에 따른 유형화를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각 유형에 맞는 학습방법으로 사이버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관광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고 관광영어, 학습동기, 사이버대학교 및 Q 방법론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학습동기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자유로운 의견이나 생각을 바탕으로 총 150개 진술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진술문은 Q 연구 전문가 2인의 자문을 거쳐 33문항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확정하였으며 조사 대상자가 읽기 쉽고 분류가 용이하도록 카드로 제작하였다. P 표본은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222에 소재한 H 사이버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 호텔관광외식영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총 99명 중에서 성별, 연령, 전공, 직장유무의 비율을 고려하여 총 22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는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제1유형은 ‘해외여행형’으로 영어실력을 길러 해외여행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유형이고, 제2유형은 ‘내재적 동기형’으로 외국어 학습을 좋아하며 이전부터 영어를 잘하고 싶었기 때문에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진 유형이다. 제3유형은 ‘업무활용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여 현재 업무에 필요하기 때문에 관광영어를 학습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고, 제4유형은 ‘영어실력 향상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지 않으나 모두 현재 업무에 필요하고 영어 기초실력의 향상을 위한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라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방법에 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분야와 특수목적으로서의 관광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에 Q 방법이라는 주관성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생들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관광영어 수업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시사점을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