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명박 정부의 안전보건정책에 대한 산업간호 전문가의 평가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이재덕 한성대학교 안전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에서는 산업간호 분야의 전문가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이명박 정부의 안전보건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이었으며, 조사는 2012년 7월 2일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와 한국산업간호협회 학술대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응한 대상자는 총 89명이었으며, 여성이 76명(85.4%), 남성이 13명(14.6%)이었다. 전공은 산업간호(63.5%), 보건행정(5.6%), 환경보건(3.9%), 산업위생(1.1%),기타(5.6%) 및 무응답(11.2%) 등 이었고, 소속기관 및 신분은 사업장(37.1%), 보건관리대행기관(18.5%), 검진기관(16.9%), 학생(11.8%), 대학(9.0%), 정부・공공기관(3.4%), 연구원(1.1%) 및 기타(1.1%) 등 이었다. 본 조사에서 얻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명박 정부에서의 우리나라 안전보건 분야는 전반적으로 발전했다(긍정, 42.7%, 부정 13.5%)고 평가했으며, 산업안전, 산업보건, 교통안전, 건설안전, 생활안전 분야가 모두 발전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2. 국민들의 안전의식 수준에 대한 변화에 대하여 약 55%의 응답자가 크게 높아졌다거나 높아졌다고 응답하였고 약 40%정도가 크게 변화가 없으며, 국민들의 안전의식수준이 낮아졌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6.7%에 불과하였다. 3. 안전보건 규제에 대해서는 크게 강화되었다거나 강화되었다는 응답이 응답자의 절반이상(51.6%)으로 나타나 안전보건 규제는 강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4. 이명박 정부의 안전보건 정책개발(긍정 31.5%, 부정 33.7%), 정책 추진노력(긍정 69.6%, 부정 6.7%), 안전보건 성과(긍정 11.2%, 부정 26.9%), 안전보건 정책 만족도(긍정 9%, 부정 37.1%) 등에 대해 평가한 결과 정책개발은 보통, 정책추진은 긍정, 안전보건 정책적 성과나 만족도에 대해서는 상당히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산업안전, 산업위생, 산업간호 및 산업의학 분야의 정책 및 성과에 대한 평가의견은 대체로 긍정과 부정이 비슷했으나 산업안전은 약간 긍정적이었고 나머지 분야는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았다.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분야는 산업간호 분야였다. 6. 김영삼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까지 안전보건 정책 및 성과에 대한 평가의견을 점수화한 결과, 노무현 정부가 51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김대중 정부는 440점, 김영삼 정부는 398점, 그리고 이명박 정부는 395점으로 나타났다. 7 이명박 정부에서의 각 기관별 산재 예방을 위한 성과를 평가한 결과를 점수화한 결과, 산업안전보건공단이 536점으로 가장 높았고, 고용노동부가 490점, 한국노총은 350점, 청와대가 342점 그리고 민주노총이 34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8. 사업주의 안전의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8%가 높아졌다고 응답하였고 15.7%는 낮아졌다고 응답하였다. 근로자의 안전의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7%는 높아졌다고 응답하였고, 11%는 낮아졌다고 응답하였다. 9. 이명박 정부에서 산업안전보건 규제는 응답자의 약 절반(48.3%)이 강화되었다고 평가하였고, 8.9%만이 완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산업안전보건 감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41.5%가 강화되었다고 응답하였고 6.7%만이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주요어】 안전보건정책평가, 이명박정부, 안전정책, 보건정책, 산재정책, 정책평가, 산업안전보건정책 평가 The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of occupational nurse professionals’ opinion on the evaluation and impression of the safety and health policy, practices, achievements and outcome of the President Lee Myung-Park government.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in the annual conferences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Nurses and Korean Occupational Nurses Association in June 2012. The number of total respondents was 89.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 In general, safety professional believed that overall safety and health status have improved during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positive evaluation 43%, negative 14%). Fifty fiv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lied that people’s safety awareness has been improved, 40% replied there was no changes and 7% replied that it got worse. Around hal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were strengthened during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During the President Lee government,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on the safety policy development were 32% and 34% respectively. For the safety policy implementatio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were 70% and 7% respectively. However, for satisfaction on safety policy implementatio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were 9% and 37% respectively. Relative overall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subjective evaluation on safety and health policy for recent 4 government. The score of the President Kim Young Sam government, the President Kim Dae Jung government, the President Roh Moo Hyun government and the President Lee Myung Bak government were 398, 440, 510 and 395 respectively 【Keyword】OSH policy evaluation, Lee Myung-Park government, Safety policy evaluation, occupational health policy evaluation, OSH gover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 산업안전 분야 종사자의 전문가적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하지윤 한성대학교 안전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Ⅰ. 서론 산업안전은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안전사고를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요소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산업안전 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관리들은 업무상 불가피하게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때로는 윤리적 딜레마에 봉착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산업안전 분야는 많은 윤리적 문제에 부딪힘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윤리에 대한 기준이 없으며, 윤리강령 및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 분야의 윤리적 문제에 대하여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산업안전 분야의 윤리적 문제 해결과 발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Ⅱ.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2012년 5월 10일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자기기입식으로 진행하였다. Ⅲ.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는 121명으로 남성이 100명(82.6%), 여성이 21명(17.4)이었다. 연령별분포는 20대가 50명(41.3%)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23명(19.0%), 40대 26명(21.5%), 50대 21명(17.4%), 60대가 1명(0.8%)순이었다. 전공분야별로는 안전공학이 49명(40.5%)로 가장 많았으며, 기계안전분야 23명(19.0%), 화공안전 21명(17.4%), 건설안전 10명(8.3%), 기타 8명(6.6%), 전기안전 7명(5.8%), 산업안전 2명(1.7%) 무응답 1명(0.8%)이었다. 소속별로는 전일제 학생 39명(32.2%)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 31명(25.6%), 정부/공공기관/연구원 각각 19명(15.7%), 사업장 7명(5.8%), 안전관리대행기관/컨설팅기관 4명(3.3%), 기타/무응답이 각각 1명(0.8%) 순이었다. 업무경력별로는 무응답이 48명(38.8%)이 가장 많았으며, 20년이상 21명(17.4%), 9년 이상 14년 미만 14명(11.6%), 4년이상 9년 미만 9명(7.4%), 1년이상 2년 미만/2년이상 4년 미만 각각 8명(6.6%), 1년 미만/14년이상 20년 미만 각각 7명(5.8%)순이었다. 주업무별로는 연구 65명(53.7%)가 가장 많았으며, 무응답 22명(18.2%), 교육 12명(9.9%), 자기 사업장관리 9명(7.4%), 컨설팅 7명(5.8%), 안전관리대행/정책/행정 각각 3명(2.5%)순이었다. 산업안전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약 13.2%는 거의 매일 윤리적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으며, 39.7%는 일주일에 한두 번, 19.8%는 한 달에 한두 번, 11.6%는 서너 달에 한두 번 정도 윤리적인 문제로 갈등을 느낀다고 하였으며, 대다수의 산업안전 분야 종사자가 윤리적인 문제로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인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강도는 매우 높다가 11.6%. 높다가 50.4%였고, 보통이 30.6%, 낮음은 5.0%, 매우 낮음은 1.7%인 것으로 나타나 2/3이상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대부분(91.7%)은 산업안전 분야 종사자들이 산업안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일반인보다는 더 도덕적이고 윤리적이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산업안전 전문가에 대해 윤리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에 대해 대부분(86.0%)이 찬성하였고, 그 효과도 클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73명(60.3%)). 대부분의 응답자(88.4%)가 산업안전전문가의 윤리강령 제정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그 효과에 대해서 35.5%는 상당히 도움이 될 것, 43.0%는 약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윤리강령의 형태는 윤리헌장 제정에 22.3%, 자체윤리규약의 제정에 41.3%, 법적 윤리규정을 제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34.7%가 찬성한다고 응답하였다. IV. 고찰 및 결론 1. 산업안전 분야 종사자들의 절반이상이 최소한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 윤리적인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산업안전 분야 종사자들은 대부분은 직업적 또는 전문적 윤리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윤리교육 및 윤리강령의 제정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윤리강령의 형식으로는 자체 윤리규약(Code)을 두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법적 윤리규정을 제정하는 방안을 선호하였다. 윤리헌장을 제정하는 방안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 유기용제용 시료채취기 개발을 위한 활성탄 성능검정에 관한 연구

        배야성 漢城大學校 安全保建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It has been tried to develop passive samplers for organic solvents in Korea.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charcoal tube and passive samplers is very simple. However, it is critical to select and pack the suitable charcoal to obtain good performance. Adsorption capacity for the charcoal were tes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m for the use of the sampling media in industrial hygiene field. Two set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was to test performance of the tested charcoal that were assembled in the laboratory with the use of the GR grade charcoal. The other tests were investigate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charcoal tested in this study and charcoals embedded in the commercial charcoal tubes. Known air concentration samples for benzene, toluene, and o-xylene were prepared by the dynamic chamber. 1. At low air concentration levels (0.1 x TLV),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ed charcoal tubes and the SKC charcoal tubes.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defect with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charcoal. 2. At high concentration with 60 minutes sampling, the breakthrough were found only in the tested charcoal while no breakthrough were shown in the SKC charcoal. In the tested charcoal, benzene were pass through to the back section of the tested charcoal tube. 3. From the breakthrough tests for the charcoal, the micropore volume (Wo) were calculated by the curve fitting with the use of Dubinin/Radushkevich(D/R) mass balance equation. The calculated values were 0.687 cc/g for the SKC, 0.504 cc/g for Sensidyne, and 0.41 9 cc/g for the tested charcoal(Aldrich). 4. Adsorption capacities were obtained from the isotherm curves shown adsorption capacities at several levels of the challenge concentration. All range of the air concentration concerned in industrial hygiene, the SKC charcoal showed approximately two times of adsorption capacity compared to the tested charcoal.

      • 전남동부지역에서의 산재예방시설자금(보조금) 지원실태 및 지원방식에 관한 사업장 투자경향에 관한 조사연구

        김훈 한성대학교 안전보건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79

        Since the year of 1984, Korean government has developed several kinds of financial support programs for small size enterprises. One of the main program called "the CLEAN workplace program" has been greatly expanded during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financial support status by this program in east chonnam province area, Korea during 2002-2004,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financial support scheme of this program by survey for industries that hav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322 enterprises have participated in the Clean workplace program and the total amount of financial support was 3.26 billion won during 2002-2004 in east Chonnam province area. The average of financial support was 10.126 million won for an industry. The number of items requested for financial aids was 5.4 at each industry. 2.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78% of surveyed industries responded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Battery-operated forklift, ventilation systems, walkway renovation, and renovation of workplace floor was ranked high priority in the survey result for items satisfied by employers. 3. Employers are willing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ancial aide, if the policy for matching fund is changed to b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financial aide up to 20% in the survey result. However, if the policy for matching fund is increased more than 30% of total finance, the application rate would estimated to be decreased. 4. Main reasons and/or major considering points were workers' complaints, productivity, their own financial capability. 5. Most critical factor to choose the items for financial support was the total amount required for each item. 6. If the matching fund policy was the fixed rate of 20%, some of employers would have not applied for this program, especially for renovation of workplace floor, ventilation systems, and noise reduction facilities in series. 7. More than 72% of surveyed employers want to participate in additional financial aide in the future.

      • 국내 반도체 공장의 직업병 논란에 대한 산업의학 전문가의 인식도 조사 연구

        김진경 한성대학교 안전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wareness, perceptions and opinions of occupational medical professionals on recent controversies over the occupational disease (leukemia) case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study employed a self-administered written questionnaire provided to individuals who attended the fall 2011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and Medical Professionals conference.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106. It was found that most of occupational medical professionals have well recognized the controversies(30% in detail and 52% roughly). Forty two percentage of respondents ranked high reliability on the 2008 epidemiologic study conducted by the KOSHA Research Institute, but 10.4% ranked low reliability. For 2009 workplace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team, 33% ranked high reliability and 7.5% ranked low. For 2011 the industry (Samsung) self-investigation conducted by a consultant, the Environ Inc., only 11.3% ranked high reliability and 45.3% ranked low. For possibilit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miconductor workplace and leukemia, 6.6% of total respondents checked in very high, 50% in high, 34% in low and 5.7% in very low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believed to reach a conclusion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and leukemia in high, half and half and low possibility were 42%, 28% and 28% respectively. For the primary organization that have responsibility to solve the recent controversies, 76%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industry(Samsung), 6.6% considered the Workers Welfare Corporation, 4.7% considere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3.8% considered NGO, and 1.7% considered the Court. On the question for the opinions that workers compensation should be approved for the leukemia cases under the debate, 14.2% agreed absolutely, 49.1% agreed, 24.5% middle, and 5.7% disagreed. Fifty on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these kinds of debates could be resolved by improvement of the annual workplace monitoring institution (system). Thirty four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these kinds of debates could be resolved by improvement of the health management agenting institution. Forty six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these kinds of debates could be resolved by improvement of the periodic medical check up institution. 【Keywords】 Semiconductor Occupational Disease, Samsung Leukemia, Samsung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eukemia 최근 국내에서 있었던 반도체 제조공정과 백혈병에 대해 이와 가장 밀접하 게 관련된 전문가 집단인 산업의학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인식도를 조사.분 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11월 10일, 대한직업 환경의학회 추계 학술대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응해 준 10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반도체 공정과 백혈병 논란에 대해서는 30.2%가 구체적으로 알 고 있었고, 51.9%는 대략적으로 알고 있었으며, 13.2%는 신문이나 방송에 난 정도만 알고 있었다. 잘 모른다는 응답은 2.8%였다. 둘째, 2008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역학조사에 대해 서 41.5%는 신뢰도가 높다고 하였고, 10.4%는 낮다고 하였다. 2009년 서울대 학교 보건대학원 조사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33.1%가 높다고 하였고, 7.5%는 낮다고 응답하였다. 2011년 인바이런사를 통한 삼성 반도체의 자체조사의 신 뢰도에 대해서는 11.3%가 높다고 하였고, 45.3%는 낮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반도체 직업병과 논란과 관련하여 고용노동부에 대한 신뢰도는 높음 이 15.1%, 중간이 54.7%, 낮음이 20.8%, 매우 낮음이 3.8%로 나타났고, 근로 복지공단의 신뢰도는 높다가 16.0%, 중간이 49.1%, 낮다가 20.8%, 매우 낮다 가 7.5%, 평가할 수 없다가 2.8%로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신뢰도는 매우 높다가 4.7%, 높다가 37.7%, 중간이 40.6%, 낮다가 9.4%, 매우 낮다가 2.8%, 평가할 수 없다가 2.8%로 조사되었다. 넷째, 반도체 공장의 백혈병이 업무에서 기인된 직업병인지에 대해서는 전 적으로 그렇다는 응답은 6.6%, 거의 그럴 것이다가 50%, 반반이다가 34%, 거 의 그렇지 않다가 5.7%, 전혀 아니다가 0.9% 등으로 조사되었다. 반도체 공장 의 백혈병에 대한 업무연관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 는 41.5%가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28.3%는 반반, 27.4%는 불가능할 것 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반도체 공정의 백혈병 논란과 관련하여 가장 책임이 큰 기관 또는 단체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5.5%가 삼성(사업장)이라고 응답하였고, 그 다음이 근로복지공단(6.6%), 고용노동부(4.7%), 시민단체(3.8%), 법원(1.9%) 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공정에서의 백혈병 문제에 대한 해결의 열쇠를 쥔 기관은 삼성(48.1%), 노동부(13.2%), 전문가 집단/관련학회(10.4%)라고 응 답하였다. 여섯째, 논란이 되고 있는 반도체 공장에서 일했던 백혈병 환자에 대한 산 재보상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해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14.2%, 해주어야 한다는 의견은 49.1%, 반반이라는 의견은 24.5%, 해주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은 5.7% 로 나타났다. 일곱째, 작업환경측정제도 개선을 통하여 반도체 백혈병과 같은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을 것인지 대해서는 50.9%가 그렇다고 보고 있었다. 보건관리대행 제도 개선을 통해 반도체의 백혈병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35.9%가 그럴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37.7%는 반반, 21.7%는 그럴 가 능성을 낮게 보았다. 특수건강진단제도 개선을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에 대해 서는 46.2%가 높다고 보았고, 30.2%는 반반, 9.4%는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 다. 【주요어】반도체 직업병, 삼성 백혈병, 삼성 직업병, 반도체 제조공정, 반올림

      • 확산식 시료채취기에서 기류제어막 공극 크기에 따른 시료채취율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이광용 漢城大學校 安全保建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Windscreen of the passive sampler plays critical role to obtain constant sampling rates. To minimize the variation of the sampling rates, smaller pore size of the windscreen would show better performance. However, it is desirabl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the target analytes as much as possible. It can be achievable to increase the sampling rate. In the viewpoint of the sampling rate, thus, larger pore size of the windscreen is preferable. Therefore,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sampling rate and variation. Several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 11 ㎛, 20 ㎛, 60 ㎛, 100 ㎛, 140 ㎛ and 180 ㎛) were tes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of the sampling rate and variation. Tested filters were replaced with the windscreen of the 3M OVM #3500 badge. Those tested passive samplers installed with various windscreens were tested in the chamber against benzene, toluene, and o-xylene. 1. Same level of sampling rates were shown for all the filters with no apparent air movement in the chamber during sampling period. 2. Both the random variation and magnitude of the sampling rates were increased as the pore size of the windscreen increased. Passive samplers installed the windscreen of the pore size of 11 and 20 ㎛ showed less than 5% sampling rate error that is the recommended maximum sampling rates error by the NIOSH. 3. Sampling rates with the windscreen of the pore size of 11 ㎛ were 36.8 cc/min for benzene, 32.6 cc/min for toluene, and 30.4 cc/min for o-xylene respectively. 4. Sampling rates with the windscreen of the pore size of 20 ㎛ were 38.2 cc/min for benzene, 33.0 cc/min for toluene, and 31.0 cc/min for o-xylene respectively. 5. Sampling rates for 3M OVM #3500 badge were 35.4 cc/min for benzene, 31.2 cc/min for toluene, and 29.5 cc/min for o-xylene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e sampling rates provided by 3M(35.5 cc/min, for benzene, 31.4 cc/min for toluene, and 27.3 cc/min for o-xyl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