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실버산업 활성화방안

        전진성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by reviewing current literature and statistical analyses to observe the long-term care system and related industry trend. The world has been going through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and increasing the life spans; and Korea is no exception. Until the early 1960s, Korea was one of the poor agrarian countries in Asia. However, the speed and the extent of socio-economic change and development have introduced many changes in Korean society. The change of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is one of the distinctive changes. First, the development of med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made the life expectancy of people longer than ever before. Due to more delicately expanding needs of the elderly for their welfare service and because governmentally subsidized service is very limited for the range of service quality, we expect silver industry expansion over retirement facility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health and consumer industries. In Korea, still there are about 300 licensed care facilities such as retirement communities and nursing centers, while more than 1,000 of un-registered welfare facilities. There has been a long-term policy time tables for activating those un-registered facilities, but the guidelines for the activating the facilities are nevertheless barricades to inducing the facilities within the institutionalized systems. Korean elderly want to live with their families more than other countries, but some of them have no choice but to live alone because of family support problems. In this study, we suggest more advanced and challenging level of activity and learning programs must be delivered to the subgroup of younger age but higher school education. Our initial projects for activating elderly have so far been focused on keeping up pastime programs for the older frail members in late 70s. Second, Review of Study is necessary. Because the profession of social work has a longstanding relationship with community-based practices, community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the bonds that support families and communities; students of social work could benefit from training within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 In addition, guiding and settl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newly started young married workers, particularly at early stage of admission to the retirement facilities. Also, future aspects of facility visions should be guided for the workers, so that they are relieved from stressful routines without any future plan. And medical workers such a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should be further monitored for main reasons of increasing their stress. Finally, we expect generation-shared(or so called commonly enjoyable intergenerational) activity program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s a silver industry for the retirement and continuing care places.

      • 국내 드론 레이싱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하경호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내 드론 레이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델파이(Delphi)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드론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와 체육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계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 되어지는 드론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의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드론 전공 대학교수, 드론에 대한 지식이 있는 현장 전문가, 드론 관련 산업체 전문가, 그리고 체육관련 교수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대분류의 우선순위는 선결과제, 기대효과, 발전방안, 문제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중분류의 우선순위는 경기장 프로그램 과제, 드론 산업의 활성화, 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 교육기관 및 대회 유치, 드론 산업의 시설 및 제도개선, 드론 산업의 다변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법적 제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드론 레이싱 활성화를 위한 소분류의 우선순위는 드론 레이싱 연습 및 경기장 시설 확보, 드론 레이싱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드론 레이싱 연습 및 경기장 시설 부족, 항공스포츠 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의 관련 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의 홍보 및 국내외 대회 유치,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기관 확대, 드론 산업의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드론 산업의 다변화, 드론 레이싱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부족,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및 홍보 부족, 드론 산업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 프로팀 창단 및 리그의 활성화, 드론 레이싱 관련 법규 및 제도개선, 드론 레이싱 전문 인력 양성, 드론 레이싱의 법적 제한 및 국내외 대회 부족, 드론레이싱 개발비용 절감 및 산업체 지원, 드론레이싱 국내·외 대회개최, 드론레이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s currently active in drone-related fields and academic researchers doing physical education-related research using the Delphi technique in order to propose a plan to activate domestic drone rac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for experts who field experts with knowledge of drones, operators of drone leagues, drone-related industry experts, and sports experts. In order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Expert Choice program. First, the priority of the major classification for activating domestic drone racing appeared in the order of pre-results, development directions, expected effects, and problems. Second, the priority of the middle classification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drone racing is stadium program tasks, activation of the drone industry, lack of facilities and programs, attrac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petitions,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systems of the drone industry, diversification of the drone industry,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ublicity and legal restrictions. Third, the priority of sub-classification for revitalizing my drone racing is to practice drone racing and secure stadium facilities, develop and operate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drone racing, practice drone racing and lack of stadium facilities, revitalize the aviation sports industry, and promote drone racing related companies. Activation, promotion of drone racing and attrac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training of drone racing experts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employment and added value creation of the drone industry, diversification of the drone industry, lack of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drone racing, lack of drone racing experts and publicity, drones Revitalization of industry, establishment of drone racing pro team and vitalization of league,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rone racing, training of drone racing experts, legal restrictions on drone racing and lack of domestic and overseas competitions, reduction of drone racing development cost and support for industry, drone racing domestic and foreig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holding the competition and support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drone racing.

      • 협력적 노사문화 정착방안에 대한 연구-대산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이윤복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 논문은 대산산업단지 노사관계의 현상과 변화 추세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산산업단지의 노사관계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선진 노사문화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세부적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산산업단지의 노사환경 및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2000년을 전, 후로 일부 노동조합이 상급단체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전환하면서 상급단체 및 지역 내 노동조합의 연대 화를 명분으로 국내 여타지역과는 달리 노동조합 대표자협의 기구인 충남서부지구협의회가 활성화 되면서 집단적/대립적 노사문화가 형성되었고 상급단체의 지침에 각 노동조합이 경쟁적 선명성을 지향함으로써 상당수 기업들이 대립적 노사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둘째, 회사 측에서도 과거의 낡은 관행에 얽매여 노동조합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관리적, 권위적 노사 관을 탈피하지 못하고 대립적 노사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즉 임시방편적 대응, 권위적 조직문화,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 채널 부재, 중/장기 노사발전 Master plan 부재, 조직문화 활성화 프로그램 부재, 노무관리 전문가 부재 등의 요인으로 인해 노사관계가 허약한 상태에 직면하게 되었고 노조는 집단적/대립적 노사관계를 지향하면서 대산산업단지의 노사관계가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해 왔다. 셋째,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구조조정과 대량실직이 발생하면서 노사관계 및 노사환경이 빠르게 변화되면서 노동계에서는 산하 단체조합원들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조직의 위기감이 팽배해지면서 연대 화 및 신자유주의 저지를 명분으로 산별노조 건설과 정치세력화를 도모함으로써 노사환경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넷째, 대산산업단지는 석유화학제품 관련 산업단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울산과 여수공단에 이어 세 번째로 조성된 석유화학제품 관련 생산 산업단지로 수출의존도가 70%에 육박한 수준으로 생산 활동을 하고 있으나, 향후 석유화학 산업의 전망에 대한 전문가들은 중국 석유화학 산업의 성장속도와 산유국인 중동국가들이 석유화학산업에 막대한 신규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머지않아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에 커다란 위기가 될 수 있으며, 일부 석유화학 분야는 이미 경쟁력의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으로 향후 노사관계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and changing trend of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n the Daesan Industrial Complex, so that it can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this industrial complex, and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establish advanced labor-management culture. The detailed discussion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labor-management environment and culture in Daesan Industrial Complex, some of Korean labor unions have withdrawn their umbrella group from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to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KCTU) before and after Year 2000. Meanwhile, on the contrary to other regions in Korea, the Western Chungnam Chapter of KCTU, an organization representative consultation for labor unions, began to be more activated in the name of solidarity between umbrella groups and regional labor unions, so that the activation of this Chapter has created collective or oppositive labor-management culture, while each of labor unions pursue any competitive clarity under the directives of their umbrella group. As a result, a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have faced confrontative labor-management environment. Secondly, companies still followed old practice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rested on even unstable benefits from old-fashioned paradigm of managerial and authorit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rather than positively responded to changing labor unions, so that they have faced oppositive environ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n other words, many companies have faced a critical condition of weak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primarily due to various potential factors such as quick-fix responses, authorit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bsen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in-house communication channels, absence of mid- or long-term maste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bsence of any program for activ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ack of specialists in labor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Korean labor unions have pursued collective or confront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 so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Daesan Industrial Complex have remained unstable. Thirdly, the outbreak of Korean financial crisis in 1997 triggered a series of restructuring measures and large-scale layoffs in parallel with rapid change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environment. In the labor world of Korea, there has been a surging feeling of crisis around labor organization due to abrupt reduction of group members under each labor union. In the name of solidarity and anti-neoliberalism, Korean labor world began to plan the establishment of trade unions and the enhancement of a political power for labor organizations, so that Korean labor-management environment faces a new aspect. Fourthly, the Daesan Industrial Complex is an industrial complex associated with petrochemical products. Next to Ulsan and Yeosu Industrial Complex, it is also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for production activities related to petrochemical products in Korea. This industrial complex develops massive production activities enough to accommodate about 70% of Korean petrochemical export in volume. Concerning future perspectives of Korea petrochemical industry, experts warn that the phenomenal growth of Chinese petrochemical industry and the emerging massive investments of oil-producing Middle East countries in petrochemical industry will be possibly a great crisis in Korean petrochemical industry sooner or later, and they also point out that some petrochemical industrial sectors have already faced their limitations in the competitiveness over those in other countries. These warning sign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future labor-management relations.

      •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방향에 관한 고찰

        김낙교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빈곤, 질병, 역할상실, 소외와 고독감, 노인 부양문제, 고령화에 따른 여성노인의 사회문제에 직면하며 경제사회의 발전에 따른 경제수준증가와 노인들의 가치체제 변화로 전통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자기들만의 세계를 가지려는 가치변화가 다가오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반영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 닥칠 수많은 노인들의 욕구를 실버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한국의 실버산업이 발전되어 나아가야 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치매, 중풍 등과 같은 노인성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노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노인성질환 등으로 장기간의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은 전체 노인인구의 14.8%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치매노인의 경우에는 2000년에 278천명이었던 것이 2020년에는 619천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장기보호의 주 대상자는 대개 75세 이상의 노인들이며, 여성노인의 수가 남성노인에 비해 많다. 장기보호대상 선정은 일반적으로 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나 기동력의 제한정도, 보호자 여부, 보호자의 배우자 연령, 자녀보호자의 직업활동을 유무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요인 가운데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에 의한 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가 주요 기준이 된다.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효과성은 전달체계의 합리적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즉 장애노인은 우선 시설보호와 재가보호 중 하나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그리고 앞으로 도래할 고령사회에 대한 사회적 대처방안의 일환으로 유료노인복지시설의 활성화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버산업 활성화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진정한 효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고,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맞는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업 기관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시설운영 면에서 노인들의 개별적 욕구를 적절히 제공하도록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시설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실버산업은 실버타운을 개발함으로써 집중화와 효율증대를 기할 수 있다고 본다. 노인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보다는 대규모 집합주거단지를 중심으로 집중될 때 더욱 적인 인원으로 최대한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인을 위한 주택이나 기타 주거시설은 대부분 노인들만이 머무르는 곳이기에 사회로부터 격리됨으로써 그곳에서 생활하는 어르신들의 정서가 위축되고 활력적인 교류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노인 주거공간내에 가족이 방문하여 장기간 머물 수 있는 별도 공간과 세대간 공유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민간부문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노인촌락이나 노인주택단지등에 자녀와 손자녀가 방문하여 일시적으로 체류하며 노부모와 친밀한 정서교류를 즐길 수 있도록 별도의 유료 가족생활관을 만들고, 특히 방학기간동안 학령기 손자녀가 체류하며 조부모와 정서교류를 할 수 있는 세대간 공유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민간에 권장보급하는 복지시설 관리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다섯째, 노년기의 어려움중 하나는 무료함이다. 무료함은 우울, 식욕저하, 운동부족으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에 어찌보면 무료함을 관리하는 것이야 말로 노년기 어려움을 관리하는 근본적인 과제다. 선진국 예를 볼 때, 어르신들이 무료함을 달래는 가장 보편적인 일은 장난감, 로고, 문자 맞추기등 뭔가를 조립하면서 호기심과 탐구력과 흥미를 유지하는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조립제품 개발에 있어 중소기업들이 다양하게 참여하여 판로를 개척하는 일이 아주 유망한 중소기업형 실버산업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current literature and statistical analyses to observe the silver or elderly care industry trend in Korea. Due to more delicately expanding needs of the elderly for their welfare service and because governmentally subsidized service is very limited for the range of service quality, we expect silver industry expansion over retirement facility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health and consumer industries. The Korean government is now launching the insurance system of long-term care, equivalent or Medicare, Medicaid, or OHIP in America. In addition, we are planing to expand the care facilities upto more than a thousand by 2011. But still there are about 300 licensed care facilities such as retirement communities and nursing centers, while more than 1,000 of un-registered welfare facilities. Korean elderly want to live with their families more than other countries, but some of them have no choice but to live alone because of family support problems. In this study, we suggest more advanced and challenging level of activity and learning programs must be delivered to the subgroup of younger age but higher school education. Our initial projects for activating elderly have so far been focused on keeping up pastime programs for the older frail members in late 70s. Second, we need to launch a huge scale of silvertown, where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elderly resident maintain a city life, and where intensified care systems are densely located. Also, future aspects of facility visions should be guided for the workers, so that they are relieved from stressful routines without any future plan. And medical workers such a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should be further monitored for main reasons of increasing their stress. Finally, we expect generation-shared activity program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s a silver industry for the retirement and continuing care places, where aged resident can share their normal household life with their visiting families.

      • 울릉공항 건설과 도서 지역 관광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김충은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울릉공항 건설 관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로 도서 공항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과 함께, 우리나라 도서 가운데 관광지로 각광을 받는 제주도의 사례와 비교하여 공항 건설과 도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통하여 제주도에 편중된 국내 도서 관광의 다각화와 활성화 및 항공교통을 통한 접근성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국가 동편의 보루인 독도를 지원하는 기지로서 울릉도에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국가안보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범위는 교통산업에 대한 고찰을 통한 교통산업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이전에 발표되었던 통계자료를 종합하여 울릉공항 개항에 따른 해운 운항에서 항공교통으로의 전환을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도서 지역의 개발에 있어서 주민의 편의가 기반이 되는 개발 및 발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울릉공항 등 소규모 공항 개항에 따른 기종 등을 살펴보고, 개항 이전 선결과제를 검토하여 적용하여야 할 부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항공운송을 통한 도서 지역의 발전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의 공항 개항은 국가적, 지역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공항이 건설된 후에 지역에 미칠 파급 효과를 사전 예측하여, 공항 개항과 동시에 불편함 없이 운영되도록 개항 전 계획을 수립 및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 공항 건설을 위한 제반 요소들에 대한 분석, 계획 및 수행하는 접근을 한다면,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환경을 보전하면서 한 차원 높아진 지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으며 이와 연동하여 국토의 균형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되는 울릉공항 건설은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해외여행을 국내로 돌려 외화 유출을 줄이고 내수 확충을 통하여 경제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소형항공기 운영에 따른 항공산업 발전과 조종사, 정비사, 기내 승무원과 지상 지원 인원의 소요로 항공종사자 관련 고용 증대를 가져오며, 호텔 위락시설 등의 확충으로 건설 및 여행 관련 산업발전을 통하여 또 다른 고용 증대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울릉공항 개항에 따른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서 공항의 건설에 따른 파급 효과 및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한 근거의 발굴과 도서 공항이 개항되어도 주변 환경과 상황이 너무나 다르므로 이를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제주도의 자료와 울릉공항의 운영을 통한 장단점 등의 비교분석과 이를 통한 발전 방향을 토대로 한 백령도, 흑산공항 등의 항공운송사업과 관광산업의 연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Ulleung Airport. In addition to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island airports, compared to the case of Jeju Island, which is in the spotlight among islands in Korea, the direction of airport construction and island development is sought,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ersify and revitalize local island tourism, promote diversity of accessibility through air traffic, and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n Ulleungdo as a base to support Dokdo, a fortress on the eastern side of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pening of airports on islan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aspects,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hav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lan as predict in advance the ripple effect on the region after the airport is built, so that the airport can be operated without inconvenience at the same time as opening the airport. Therefore, if we take an approach of analyzing, planning, and carrying out all factors for the construction of an island airport, it can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and preserve the environment, while developing into a higher-level area,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it will be able help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The construction of Ulleung Airport, which is being pursued with the goal of opening the airport in 2025, can develop the local community, reduce foreign currency outflow by returning overseas travel to Korea, and increase the self-sustainability of the economy through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due to the operation of small aircraft and the need for pilots, mechanics, flight attendants and ground support personnel will bring about an increase in employment related to aviation workers. Expansion of hotel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will contribute to another increase in employ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and travel related industries.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t is a limit to its application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opening of Ulleung Airport, to find the evidence to derive the ripple effect and proble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island airport, and to generalize it becau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are so different even when the island airport is opened.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stud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air transportation business of Baengnyeongdo and Heuksan Airpor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Jeju Island's data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lleung Airport's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 조수간만차기반 해안감시를 위한 드론의 자동비행 경로 구축

        지현규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나라 갯벌 44%를 차지하고 있는 서해안은 복잡한 해안선과 바닷물의 빠른 조위 상승속도의 위험도가 매우 높아 각종 해양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를 어렵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조석 차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변하는 조위 상승속도가 동·남해안에 비해 서해안이 상대적으로 빠르다. 특히 태안반도는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긴 559km의 해안선과 28개 해수욕장, 42개 항·포구를 보유하고 있어 해양사고 발생에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태안군은 2018년도부터 2020년까지 222건의 연안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2020년의 경우에는 연안 사고 53건의 109명 중 외지인이 44건 92명으로 83%를 차지했다. 대부분 서해안 물때의 특성을 인지하지 못해 고립되거나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물에 빠지는 등 외지인의 개별안전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갯벌 고립, 물놀이 등에 의한 해양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석예보 정보는 신속한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 요소로써 매우 중요하다. 태안반도는 태안, 천리포항, 안흥, 백사장항 등 4개소 지역에 대한 조석예보 정보를 제공받는다. 본 논문에서 바닷물의 빠른 조위 상승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조위의 변화에서도 드론이 자동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위에 따라 달라지는 천리포항과 안흥의 해안선 형태들을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보들로 수집하여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분석 모델로 적용하였다. 조위별 해안선의 위도와 경도를 비모수 커널 기반의 확률적 모델로 학습하고 드론의 해안선 탐색을 위한 기준 waypoint를 예측하였다. 조수간만차가 반영된 해안선을 탐색하는 waypoint는 기준 waypoint를 활용하여 드론이 이륙시간에 맞는 조석예보표에 따라 반복 탐색이 가능하도록 자동화 하였다. 해안선 waypoint를 자동 비행하게 되는 드론의 고도는 장착된 카메라의 FOV(Field of view)를 기준하여 수학적 함수를 통해 산출하였다. 실험은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석예보 시간과 조석예보표를 드론의 이륙시간과 동기화하여 조석 차가 반영되는 해안선의 waypoint 탐색을 드론이 오차 없이 수행하는지 검증을 수행하였다. 드론의 waypoint 설정은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LITCHI 플랫폼과 DJI의 Mavic 2 드론을 활용하였다. LITCHI 플랫폼은 GNSS waypoint 비행을 자체 지원하지 않는 DJI 사의 Mavic 2 등 일부 드론도 웹으로 연동되는 Mission Hub 기반으로 GNSS waypoint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접근 권한을 가진 다양한 사용자가 Mission Hub를 통해 다중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들은 waypoint 설정 및 비행 제어를 위한 GCS(Ground Control Station) 전담 인력과 현장 조종자의 역할 분담을 통해 신속한 제어와 임무를 수행해 낼 수 있다. 또 조종자는 현장에서 드론의 시계비행 감시에 집중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많은 인력을 동원하지 않아도 해안선 탐색의 임무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력이 닿을 수 없는 비 가시지역의 탐색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해안선을 따라 비행하는 드론에 장착된 FPV(First Person View) 카메라 등 다양한 정보들을 관제 임무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조위정보가 반영된 드론의 실시간 해안선 정보들을 통해 유사 시 대응이 필요한 기관 간 관제자들은 신속한 상황별 협업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다. The west coast sharing 44% of tideland in Korea makes timely rescue difficult during various marine accidents due to complicated coastal line and very high risk of rapid rising tide. In addition, speed of rising tide which changes the height of sea level by difference of tides is relatively fast in the west coast compared to the east and the south coasts. In particular, Taean Peninsula has the coastal line over 559km which is the 6th longest one in Korea, 28 beaches, and 42 ports, resulting in difficulty in timely responses to the marine accidents. 222 coastal accidents have occurred from 2018 to 2020 in Taean-gun. Especially in 2020, among a total of 109 persons with 53 accidents, the accidents of outsiders accounted for 83% including 92 persons with 44 accidents. Most of them were from the outsiders’ neglects of individual safety such as isolation without recognition of tidal characteristics in the west coast, falling into the water without wearing life jacket, and so on. Hence, information of tidal prediction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is very important as the golden time element for timely rescue in case of the marine accidents by isolation in the tideland, swimming, and so on. Information of tidal prediction is offered for four locations in Taean Peninsula including Taean, Chullipo Port, Anheung, and Baiksajang 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 able to fly drone automatically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tides to prevent marine accidents which occurred from rapid tidal rising of sea water. The information on the dynamic shapes of coastal lines in Chullipo Port and Anheung by tides was collected with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nd it was applied to Gaussian process regression model.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oastal lines by tide was learned with nonparametric Kernel-based probability model and reference waypoint was predicted for drone to search the coastal lines. The waypoint searching coastal line applying the tidal differences were automated to be able to search repeatedly according to the prediction table of tides to meet the takeoff time of the drone using the existing waypoint. The altitude of the drone under automatic flying following the waypoint of the coastal line was estimated from mathematical functions based on field of view (FOV) of the embedded camera.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drone searched the waypoint of the coastal line applied with tidal difference without error upon synchronization of its takeoff time with tidal prediction table issu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To set the waypoint of the drone, LITCHI platform and Mavic 2 drone made by DJI were used for general public to be easily accessed. LITCHI platform can use Mission Hub-based GNSS waypoint which some drones like Mavic 2 by DJI that does not support GNSS waypoint flying can be accessed by internet.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for various users who have access authority to be able to use it in a multiple way through Mission Hub. Users can perform rapid control and missions by role allocations including waypoint setting, Ground Control Station (GCS) dedicated personnel for flying control, and onsite controller. Also, the controller can concentrate on the visual flight monitoring onsite so as to perform missions in a stable manner.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s that missions of coastal line searching are possible without mobilizing numerous people; and searching in the non-visual areas where people cannot access is possible. These results with multiple information such as First Person View (FPV) camera embedded in the drone can be used as very useful source for controllers of drones which will fly along with the coastal lines. Controllers in different institutions that require the countermeasures in case of accidents can establish the timely collaborative system by situation through real-time coastal line information for drones applying tidal information.

      • 노인종합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 참여경험, 만족도 및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이국권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 참여 경험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제약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하고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300부 가운데 응답이 부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많은 것을 제외한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72부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질문, 여가프로그램 이용경험, 여가프로그램 이용만족도, 그리고 여가제약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oneway-ANOVA,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여가프로그램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과반수이상 이용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중간 이상이었다. 만족 프로그램은 댄스스포츠, 노래교실, 탁구 등이었고, 불만족 프로그램은 요가, 사물놀이 등으로 나타났다. 충분한 정보를 얻은 경우가 정보를 얻지 못한 경우보다 많았으며, 의견반영 정도는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반영되는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반수이상의 노인들이 건강관리를 위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프로그램 이용경험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교양프로그램 이용경험은 남자노인, 고졸 이상 노인, 한달 수입이 150만원 초과 노인, 취미프로그램은 배우자가 없는 노인, 불교를 믿고 있는 노인, 독거노인, 정보프로그램은 남자노인, 60대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고졸이상의 노인, 150만원 초과 수입이 있는 노인, 생활수준은 ‘상’ 및 ‘중’이라고 지각하는 노인, 부부동거 노인의 이용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프로그램 이용만족도는 농촌거주 노인, 교양프로그램은 직업이 있는 노인, 생활수준이 ‘상’이라고 지각하는 노인, 정보프로그램은 여자노인, 배우자가 없는 노인, 독거노인이 이용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여가프로그램 참여 제약요인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낮게 인지하였으며, 제약요인 중 내재적 제약을 가장 높게 인지하였고, 대인적 제약요인은 가장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제약은 초졸 미만 노인, 농촌거주 노인, 생활수준이 ‘하’라고 지각하는 노인, 한달 수입이 80만원 이하 및 30만원 이하 노인, 대인적 제약요인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 구조적 제약은 생활수준이 ‘중’ 및 ‘하’라고 지각하는 노인, 농촌에 거주 하는 노인이 제약요인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가프로그램 이용경험과 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종합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차이점에 유의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노인 각자의 눈높이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체제의 강화와 다양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여가프로그램 제약에 관한 다양한 접근과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도 활용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약요인 이외의 변인들도 찾아내어 여가프로그램 제약요인 및 변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연구방법과 단기종단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조사방법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여가시설 중 일부분인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기에 노인여가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여가프로그램간의 비교를 통하여 참여 실태, 만족도 및 제약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leisure program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leisure restriction. This survey carried out targeting 300 seniors over 60 who are use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reside within Inchon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nam-do from August 1, 2009 to September 1, 2009. Among 300 surveys, only 272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in final data analysis except in cases the data is insufficient.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ques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used experience of leisure programs, user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s and the leisure restriction. Collected data had been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ANOVA as questions. The main output of this reserch are as follows. First, if I had examined the participation condition of senior leisure programs , more than half of the seniors have been to used and the satisfaction was over a medium.Satisfactory programs were dance sports, class for singing, table tennis and unsatisfactory programs were yo-ga, samulnori.Threr are more cases I got a sufficient data than a insufficient data, and unreflected cases are more than reflected cases in the degree of reflected opinion. moreover, by far the majority seniors participated for health care. Secondly, if I examined the used experience of leisure program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satisfaction, old man, seniors with at least a high school diploma and seniors who earn over 1,500,000won per month had more experiences in educational programs and spouseless seniors, seniors believe in Buddhism and elders who live alone had more experiences in hobby programs and old man, seniors over 60, seniors who have spouses, seniors with at least a high school diploma and seniors who earn over 1,500,000won per month, old people who perceive their the standard of living is 'medium' or 'top' and old married couple who live together had more experiences in information programs. In addition to, it was showed that old people live in countries in case of health care programs, seniors who have a job and old people who perceive their the standard of living is 'medium' or 'top' in case of educational programs, old woman, spouseless seniors and elders who live alone in case of information programs had more satisfaction. Thirdly, if I looked at the restriction factor of senior leisure programs, it was recognized low generally ,and the immanent restriction among restriction factors were recognized the highest instead of interpersonal restriction factors were recognized the lowest. Seniors with under elementary school diploma, old people live in countries, elders perceive their the standard of living is 'low', seniors who earn below 800,000won per month and earn below 300,000won per month perceived the immanent restriction highly ,and old people live in countries and elders perceive their the standard of living is 'low' or 'medium perceived the interpersonal restriction factor high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rch, some proposals are needed as follows for a follow-up study. Firs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used experience of leisure programs and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it, leisure program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for old people which should be offered by careful attention to differenc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to develop diversity programs to tighten up active support and to participate leisure programs by choosing as a each seniors' eye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diversity access and interpretation about the restriction of leisure programs. Because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is research, restriction factors of leisure programs, th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what are change factors and the research method which have worked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continuously should be conducted after finding change factors except restriction factors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because of the survey was obtained from a part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among the senior leisure facilities in this research,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and positive research about the restriction factor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camparative study of leisure program targeting all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 코로나-19로 인한 민간항공 조종사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및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태환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world economy has undergone many changes due to the Corona-19 pandemic. The global economy has faced a slowdown in growth due to the prolonged Corona-19, and norm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s difficult due to slowing employment and reduced private consumption. The global economy is expected to recover, but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as the supply and inoculation of vaccines are expanding and economic stimulus measures are effective. Among them, the aviation industry is one of the most damaged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civil aviation pilots responsible for aircraft safety are needed. Currently, many pilots are feeling Employment Instability due to frequent paid, unpaid leave and fewer flight work days due to Corona-19. As a civil aviation pilot, this researcher also feels a lack of job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it may affect aviation safety in relation to aircraft operations in addition to large and small aviation safety hindrances or incidents. As part of the Delphi technique, job in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safety behaviors were the most common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when pre-surveyed to 12 pilots and bosses around. The continued decline in job satisfaction caused by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resulting precarious behaviour can pose a risk to aviation safety. Therefore, we began the study, judging that identifying the correlation would make safety management easier for individuals or airlines of pilot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in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safety behavior of civil aviation pilots due to Covid-19 Pandemic. Sub-variables of each item were set to determine its correlation, and each sub-variable that affected the items were analyzed. And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ivil aviation pilots. Studies have shown significant changes in job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Job insecurity increased relatively significantly compared to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decreased. Safety behaviour factors have declined, but not to a significant extent. Among the components of job insecurity, job characteristics showed the biggest change, and among the safety behavior factors, there were the smallest changes in conformity behavior. It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questions about freezing salaries among job losses. Of the three factors of job insecurity, job losses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ole satisfaction and leadership, and tho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s. Among the factors of job insecurity, job los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no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safety behavior was identified. Amo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leadership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safety behaviour. In age-specific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between job losses and job losses. It was the biggest figure in the 40s due to job losses and job characteristics. Analysis by marriage statu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riage and job characteristics, and in most categories, marriage was higher than unmarried. Analysis by position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but in most factors, the Captain was higher than the First officer. In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irline, the FSC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than the LCC due to job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ormational behavior, and the response of the small pla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rge plane. Analysis by flight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with most passenger responses higher than cargo responses. Differences due to reduced flight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response scale of respondents whose flight time decreased by more than 40% was the highest. Differences in salary redu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behavior. Due to the nature of the job, respondents with increased flight time were the lowest in both participatory and participatory behaviors. In terms of career differenc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lessness and the lowest level of helplessness among respondents who worked for more than eight years. An analysis of the safety behaviour of civil aviation pilots in the aviation industry, which has been transformed by the Covid-19 pandemic,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The researcher analyzed what changes were mad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job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re related to safety behaviors. I hope this will effectively manage the fast-recovering aviation industry in the post-corona era and contribute to future aviation safety management. State agencies or airlines will have to manage Employment In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for civil aviation pilots and seek various measures to improve safety behavior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세계 경제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성장둔화에 마주쳤고, 고용둔화와 민간소비 감소 등으로 인해 경제활동 정상화는 어려운 상황이다. 백신의 보급과 접종이 확대되고, 경기부양책 등이 효과를 보면서 세계 경제는 회복될 전망이나 여러 가지 난관이 놓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 항공산업의 피해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이고, 특히 이와 관련하여 항공기의 안전을 책임지는 민간항공 조종사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조종사들이 잦은 유,무급 휴직과 적은 비행근무일수로 인해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자도 마찬가지로 민간항공 조종사로서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크고 작은 항공기사고 및 항공기준사고 외에 항공기의 운항 등과 관련하여 항공안전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는 것을 말한다. 항공안전장애, 항공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끼쳐 항공기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준사고 등이 나타나게 되었고, 주변의 사례로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델파이 기법으로 주변 조종사 동료와 상사 12명에게 사전설문을 하였을 때, 코로나19로 인하여 부정적 영향을 끼친 요소들 중 고용불안,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이 가장 많았다. 고용불안으로 인한 지속적인 직무만족의 저하와 그로 인한 불안전한 행동은 항공안전에 위해를 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면 조종사 개인 또는 항공사의 안전관리가 더 수월하리라 판단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민간항공 조종사의 고용불안, 직무만족, 그리고 안전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각 항목의 하위 변수들을 설정해 그 상관관계들을 파악하였고, 항목들에 영향을 미치는 각 하위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들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고용불안과 직무만족 요인들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고용불안은 직무만족 변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직무만족은 감소하였다. 안전행동 요소들은 감소하였지만 크게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고용불안 구성요소 중 직무특성상실이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고, 안전행동 요소 중 순응행동의 변화가 가장 적었다. 직무특성 상실 중 급여동결에 대한 문항에서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다. 고용불안의 세 가지 요인 중 직장상실은 직무만족 요인인 관계만족, 역할만족, 리더십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요인들은 안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용불안 요인 중 직장상실은 직무만족과 부(-)적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고, 고용불안과 안전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파악되지 않았다. 직무만족 요인 중 리더십은 안전행동에 양(+)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나이에 따른 분석에서,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40대의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혼인 여부에 따른 분석에서는 직장상실과 직무특성상실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 항목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책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대부분 요소에서 기장이 부기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공사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특성상실에서 FSC가 LCC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종에 따라서는 순응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소형기의 응답이 대형기의 응답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행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환경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 여객의 응답이 화물의 응답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행시간 감소에 따른 차이는 직무특성상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비행시간이 40% 이상 감소한 응답자의 응답 척도가 가장 높았다. 급여감소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특성상실과 참여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특성상실과 참여행동에서 모두 비행시간이 증가한 응답자의 응답척도가 가장 낮았다. 경력의 따른 차이에서, 무력감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8년 이상 근무한 응답자의 무력감이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변화된 항공산업에서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안전행동 분석은 항공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이 안전행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빠르게 회복하는 항공산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앞으로의 항공안전관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국가 기관이나 각 항공사는 민간항공 조종사의 인력관리를 위해 고용불안과 직무만족에 대한 관리를 해야 하고 안전행동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초경량비행장치 안전성인증제도에 대한 연구 : 무인비행장치 운용자 중심으로

        강민정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정부는 2021년 주요정책 추진 현황 및 향후 과제 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과 국 가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라는 주제로 정책을 발표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 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전환의 ’속도‘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 하게 됨으로 디지털기술 발전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이 사람 의 일상과 산업 사회 전 영역에서 패러다임을 변화시킴에 따라 여러 나라들도 앞서 서 법제 개선으로 대비하고 있다. k-로드맵에 의하면 2025년 UAM( Urban Air Mobility) 상용화를 위해 2021년 김포공항에서 신개념 드론 택시를 실증하고 실증행사를 통한 도심항공의 인허가, 통신, 관제 등을 통한 미래 안전관리와 효율적이고 타 항공분야와 상충되지 않는 미래 UAM 운항을 위하여 K-UAM ConOps 1.0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발전시켜, 국 가항행계획(NARAE) 2.0을 마련하였다. 항공안전전문기관으로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인 항공안전기술원(KIAST)은 항공 분야 인증, 시험, 기술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항공기 및 공항시설, 항행 안전시설 등을 대상으로 관련된 안전성과 성능시험 등을 통하여 이를 인증하는 업 무와 함께 안전에 영향을 주는 위해요인에 대한 식별과 분석을 통한 항공사고를 예 방하는 관련 기술의 개발과 국제적인 표준을 지키기 위한 연구수행 등을 통한 항공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민간에서 드론이라 일컫는 것은 주로 초경량비행장치와 경량항공기를 넘나드는 무인기로 전 세계적인 상용화 발전의 물결을 타고 있고, 앞으로 그 활용도는 더욱 더 발전적일 것으로 드론의 안전성 확보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에 따른 제도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9년 「드론법」을 제정하여 드론 산업 육성 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드론산업 육성에 초점 - ix - 이 맞추어져 있고, 안전과 관련된 사항은 「항공안전법」을 비롯한 개별 특별법에 따라 규율 되어 드론의 안전성 확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성장 산업으로 불리고 있는 초경량 비행 장치의 안전성 인증제 도에 대한 개선방안의 항공 선진국의 사례와 인증제도 사용자 설문을 통하여 개선 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안전성 인증제도에 대한 사용자 편리성, 갱신주기, 검사 장 소의 적합성, 검사 대상 기준의 적합성과 같은 제도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개선점 등을 제시 하고자 한다. 주요내용으로 각 용어별 개념에 대 해 혼란이 많은 드론과 무인 항공기,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비행장치의 용어에 대 한 내용을 정의하였으며, 국외 및 대표항공 기관들의 무인기 제도 개선 동향에 대 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점들을 정 리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policy under the title of “Accelera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National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resentation of the main policy implementation status and future tasks for 2021. In particular,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 era has come when the 'speed' of digital transformation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and companies. As the paradigm changes in the field, many countries are preparing ahead of time by improving the legal system. According to the k-roadmap,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UAM (Urban Air Mobility) in 2025, a new concept drone taxi will be demonstrated at Gimpo Airport in 2021, and safety systems such as licensing, communication, control, etc. for safe flight of urban aviation through demonstration events and future UAM operation The concept of K-UAM ConOps 1.0 was checked, and the National Navigation Plan (NARAE) 2.0 was prepared. The Aviation Safety Technology Institute,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is the only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aviation safety in Korea, performs - 82 - certification, test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viation field. The Institute of Aviation Safety Technology (KIAST) tests and certifies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civil aircraft, airports, and navigation facilities, identifies and analyzes risk factors affecting aviation safety, develops technology to prevent aviation accidents, and conducts international standard research, etc. We are working hard to ensure aviation safety. The drone known in the private sector is mainly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rosses ultra-light aircraft and light aircraft, and is riding the wave of commercialization worldwide, and its use is expected to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will also have to be supplemented. Korea enacted the Drone Act in 2019, creating a foundation for nurturing the drone industry and securing safety. However, the 「Drone Act」 is focused on fostering the drone industry, and safety related matters are regulated by individual special laws including the 「Aviation Safety Act」, so that the safety of drones is not effectively secured. This study intends to draw improvement points through the cases of advanced aviation countries and the user survey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of ultra-light flight devices, which is called a future growth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by examining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such as user convenience, renewal cycle, suitability of inspection site, and conformity of inspection target standards. As for the contents, there was a lot of confusion about the concepts of each term of drones, unmanned aerial vehicles, ultra-light flying device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so the terms were defin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oints for improvement were summarized and points for improvement were derived.

      • CDTI기능이 적용된 MFD기능 구현에 대한 연구

        구자혁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새로운 CNS/ATM 시스템에 적합한 조종석 항공교통정보 디스플레이 장치(CDTI: Cockpit Display Traffic Information) 기능이 포함된 차세대 다기능 디스플레이(MFD, Multi-Function Display)개발에 관한 것으로, 항공기의 정보와 지상 정보를 수집하고, 군용 Data Bus인 MIL-STD 1553B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항공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MFD를 구현하였다. 이에 I장 서론에서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관련 연구개발 동향 및 배경이론을 알아았고, II 장에서는 본 논문의 바탕이 되는 분석 연구로, 일반적인 CDTI 시스템의 특성 및 ADS-B 시스템을 파악하고, 이 기능에 탑재된 시현장치를 분석하였다. III장에서 본 연구개발의 목적인 CDTI기능의 MFD패널의 설계하여, 각 시스템의 구성부를 설명, 기대효과를 파악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를 요약하고, CDTI 시스템 활용시의 개선된 효과로 마무리를 지었다. This thesis is study on development of future MFD that includes CDTI function which is suitable to new CNS/ATM system. The CNS/ATM system not only collects airborne information and ground information,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process the information delivered from MIL-STD 1553B. Chapter 1 states on related study and theory through research. Chapter 2 is about general specific of CDTI system and ADS-B system, and analyzes function of the display. On Chapter 3, after designing MFD panel of the CDTI, explanation on components of each system and its expected effects are stated. Lastly, Chapter 4 summarizes the study and concludes by stating the improvement effect when using CDTI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