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가 자살생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

        안효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교육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충청남도 D시에 거주하는 26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매개하고 이러한 매개관계를 희망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여 노인의 자살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1, 4, 14를 이용하여 매개,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고,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차이비교 분석 결과 희망과 삶의 질은 모두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았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는 중졸이상이 초졸 및 무학보다 높았으며, 자살생각은 배우자가 없다는 집단이 있다는 집단이 높았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평생교육 참여는 자살생각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희망과 삶의 질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삶의 질은 평생교육 참여와 희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이 매개하였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자살생각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희망이 조절하였다. 자살생각이 증가하면 삶의 질이 감소하는데 희망의 고집단에서 그러한 경향이 낮았다. 다섯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자살생각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평생교육 참여 → 자살생각 → 삶의 질 간의 경로의 조건부 간접 효과는 희망이 중간 이상일 때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 지역은 D시로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D시만이 아니라 대도시,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을 군집화하고 선정하여 다양한 지역 특성을 가진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평생교육 참여, 종속변인은 삶의 질이었으며, 매개변인은 자살생각, 조절된 매개변인은 희망이었다. 이러한 모형보다는 독립변인은 평생교육 참여로 같지만 종속변인은 자살생각, 조절변인은 희망이면 현상을 보다 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판단되며, 추후 연구에서 이 모형을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셋째, D시는 이미 노인들의 평생교육 참여 정도가 높고 자살생각이 낮은 지역이다. 평생교육 참여가 낮고 따라서 자살생각도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모델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 id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deter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hope on the relationship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uicide ide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uicide preven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266 elderly people living in D city of Chungcheongnam-do. SPSS PC + Win.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PSS macro PROCES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difference of hope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among female elderly than male elderly.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higher in above middle school graduates than non schooling respondents. The suicide idea was higher in a group that there was no spouse.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hope. Third, mediatio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suicidal ide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hop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When th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decreased, but the tendency was less in the high group of hope. Fifth,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the path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 suicidal ideation → quality of life was effective when the hope was more than medi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rea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D city.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uster and select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not only in D, but also to study elderly people with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dependent variable was quality of life, mediating variable was suicidal ideation, mediated variable was hope. Rather than this model, if a new model is lik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i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dependen variable is suicide ideation, and the moderating variable is hope, it can explain the phenomenon more clearly. We expect to apply this model in future studies. Third, D city is a region with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low suicidal ide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ether the model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by selecting a region with low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high suicidal ideation.

      •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과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김소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증가와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과 평생교육 참여 실태, 평생교육 요구우 선순위 및 희망과 평생교육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소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여성결혼이민자를 주 대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6개 기관에서 여성결혼이민자 121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차이분석(t-test, ANOVA), 상관분석, Borich 우선순의 결정공식, The Locus for Focus Model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설경혼이민자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를 알아본 결과 참여기관은 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고, 최다 수강과목은 한국어이며, 참여방법은 자발적인 참여가 높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결혼 전·후의 희망 차이를 파악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주도사고는 자신과 배우자의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결혼 전·후의 차이는 없었다. 경로사고의 경우 배우자의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결혼 전·후의 차이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살펴 본 결과 자녀교육·임신·출산·건강생활, 취업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과 평생교육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주도사고와 경로사고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경로사고와 취업교육 요구수준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희망의 주도사고가 높으면 경로사고가 높고, 취업교육 요구수준이 높으면 경로사고가 낮아짐을 의미하였다. 희망과 취업교육 요구수준이 부적관계로 나타난 것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을 위한 높은 요구와 이의 활동은 다양한 실천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희망 중 특히 경로사고에서의 좌절 등으로 표현되어 취업 요구수준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취업 요구수준이 높은 여성결혼이민자의 희망 실현을 위해 이러한 희망에 도달하는 다양한 경로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omen immigrants’ hope, situation of participation, educational needs, and relation between hope and education needs in the situation where women immigrants increase and society changes to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performed questionnair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nam-do and 6 institutions which operated life-long education for women immigrants. Then, 121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final analysis. For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formula to decide priority of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checking situation of women immigran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y mainly learned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ith high degree of spontaneous participation. Second, grasping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arriage, agency thinking varie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occupation of the person and spous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arriage. In pathway thinking, there i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ccupation of spouse and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arriage. Third, checking women immigrant's priority in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mselves, it was found that they gave top priority to children education, pregnancy, delivery, health life and employment training. Fourth, check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immigrants’ hope and life-long education need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ncy thinking and pathway thinking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thway thinking and level of needs in employment training. This meant that high agency thinking of hope refered to high pathway thinking and high level of needs of employment training refered to low pathway thinking. Women immigrants' high needs & activity for employment experience diverse practices, in which they experienced diverse difficulties. This was especially expressed as frustration in pathway thinking among hope, which was interpreted as showi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needs of employment. Thu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needs to present methods that solves diverse routes reaching such hope so as to realize hope of women immigrants who have high needs of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