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농촌의 "남아있는 아동"의 실태와 대안에 대한 문헌연구

        조리리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Since the end of 1970’s, Chinahas developed into the transitional period rapidly. The economic development undoubtedly results in more and more population migration in the nation, especially from rural to urban floating. The large labor emigration from the countryside induces the specific "Rural Labourer Tide". Only the extremely minority of migrant workers bring their underage children with them, while most of them have to entrust their children to aging grand-paraents, other relatives or friends. Sometimes one parent will stay care. It is unbelievable that some of children will even be taken care of by their young siblings. Thus, there gradually forms a Chinese characteristic community - the "Left-behind Children ". According to the latest official numerical data from "The research of the condition of national left-behind children", published by Nationwide Women Union on Feb. 27th 2008, the statistical analysis of 1% samples in 2005 demonstrated that the "Left-behind children" from 0 to 17 years account for about 21.72%. There are about 58 000 000 rural "Left-behind children", among which about 40 000 000 are under 14 years. The scale of rural "Left-behind children" enhanced obviously in 2005 compared with that in 2000. The "Left-behind children" account for about 28.29% among the whole rural children. The majority of these "Left-behind children"live with their grand-parents, a few children are taken care of by their relatives, maybe some of them live alone, in the state of unattended supervisation. They have many difficulities and problems in many aspects, including learning, living, sentiment, moral character, psychological feeling and safty etc. The profits of this community have been paid attention in society and academic community widely.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eft-behind children" , who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rural children, have displayed some worrying problems and related social problems in the reception of education, safety and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ir growth and fates will exert inestimable influence on the national future. All these problems have been given extensive and high emphasis by people from various walks of life includ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t all levels. The ministry of education held the specific symposium on the topic of "The problems of the rural Left-behind Children in China" on May 31st 2004. The leaders of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nd the State Council paid extreme attention to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education strengthened the research and accepted expertise widely. The nation also presented a series of policies and the local governments at all levels formulated practical and matching regulations in succession. Some achievements have been achieved by now. In the long term, with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these problems will be solved fundamently with the lapse of time. Although it still has a long way to go, we still will promote it unswervingly and gradually. Firstly,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develop rural economics vigorously to eliminate the urban-rural gap, to facilitate the reform of the household register system and to perfect the relative law and institution. Secondly, each family should identify their own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parents should communicate and exchange ideas with their children promptly, schools should renovate educational doctrines and promote comprehensive Quality Education. Thirdly,the rural public service system should be secured, the surrounding unhealthy environment should be eliminated, and social attentions and supports should be strengthened. Only under the combined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society, school and family, will the country be thriving and prospering, will the nation be more strong, will the society be more stable and harmonious. And then, the grand Objectives of building a Well-off Society and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will be achieved. 개혁개방이래 도시와 농촌의 경제체제 개혁과 현대화에 따라 전국적으로 1억4천만 농촌노동력이 도시로 들어왔으면. 이런 노동자들 중 대부분은 자녀를 농촌에 남겨 두였다. 그래서 농촌에는 대규모의 아동집단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아동들을 농촌 “남아 있는 아동(留守兒童)”이라고 한다. 현재 도시화와 공업화에 따라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노동자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 “남아 있는 아동”의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동시기는 신체발육, 성격양성, 지식함양에 중요한 시기이며, 생활환경의 불안정, 부모의 사랑 결핍으로 인하여 많은 “남아 있는 아동”의 성장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정부에서는 “남아 있는 아동”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농촌“남아 있는 아동”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남아 있는 아동”의 현실과 “남아 있는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정부와 사회의 노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중국 “남아 있는 아동”의 발생배경, “남아 있는 아동”의 규모, 발생 원인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는 “남아 있는 아동”의 생활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남아 있는 아동”의 건강, 심리. 안전, 학습, 품행 등 방면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셋째는 중국정부가 “남아 있는 아동”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을 설명하고 성과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조사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남아 있는 아동”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국은 향후 20년, 매년마다 대략 천만 명의 농민 노동자가 증가할 것이고 그에 따라서 “남아 있는 아동”의 수도 급격히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남아 있는 아동”문제로 점점 심각해 것이다. “남아 있는 아동”문제는 농촌 노동력의 이주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이며 이는 사회의 전환 시기 내에는 장기적으로 존재할 것이다. 길게 볼 때 중국 경제의 발전에 따라 농촌에 “남아 있는 아동”들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될 것이지만 이는 비교적 긴 기간이 필요하다. 현재에는 정부, 사회, 학교, 가정이 서로 협조하여 관심을 가지고 “남아 있는 아동”에게 도움의 손길을 베풀어야만 “남아 있는 아동”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 차 문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찬이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0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차문화 기능을 통하여 다양한 활동을 체험해가면서 자신을 탐색 및 통찰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경험하게 됨에 따라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차 문화 프로그램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차문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차문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차 문화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기별 반응변화는 어떠한가? 다섯째, 차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차문화의 기능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전문가들의 차문화 기능 인식을 조사하여 차문화 프로그램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안정감, 자부심, 정서순화, 스트레스 해소, 의사소통의 매개체, 대인관계 적응, 구성원간의 소속감, 건강증진, 운동 기회 제공, 오감자극, 실제생활에 실천, 새로운 지식 형성, 절차에 대한 이해, 학습에 대한 점검, 예절에 대한 이해,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의 16개 요소로 구조화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거쳐 확정하였다. 이렇게 확정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내용을 선정하고 활동을 구상하였으며, 예비연구 및 수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차 문화 프로그램 희망자 14명을 실험집단, 희망하지 않는 14명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여 사전ㆍ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진행되었다. 정서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한태영(1998)이 연구하고 한국적성연구소에서 개발한 Big 5 성격성 척도지의 5요인 중 하나인 정서적 안정성을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차정은(1997)이 개발·사용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의 회기별 반응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자들의 자유기술한 소감문을 분석체계로 범주화하여 9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차문화 프로그램의 적용은 2008년 9월 3일부터 12월 2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매주 1회씩, 1회기 당 90분 동안 총 12회기에 걸쳐 D시의 청소년 문화의집 강당에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문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에 대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차문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차문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참여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문화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정서적 안정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차문화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기별 반응 변화는 전반부의 경우 새로운 영역에 대한 관심 및 흥미유발, 중반부의 경우 구성원간의 활동 체험, 그리고 후반부의 경우 활동을 통한 성취감 및 생활에서의 실천의지를 특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회기별 범주에 따른 반응은 학습기회의 체험이 대부분의 회기에서 반응을 보이고 있는 반면, 상호작용 촉진의 경험은 일부 회기에서만 반응을 보이고 있는 특성이 있었다. 넷쩨,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하여 13개의 내용별 만족정도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그중에서도 프로그램 진행교구에 관하여 가장 높은 만족반응을 보였으며, 프로그램 참가 학생의 선발에서 가장 낮은 만족반응을 보였다. 또한 참여자들이 자유기술한 소감문을 토대로 7개의 내용별 만족정도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장 만족하는 이유에 관하여 체험의 기회가 되었음을 가장 만족하였고,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은 한복 입어보기였으며 역시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참가전후의 변화에 있어서는 예의범절을 준수하게 되었고, 정서와 관련된 자신의 변화에 있어서는 편안함을 더 느끼게 되었고, 감정조절과 관련된 자신의 변화에 있어서는 조절력이 강화되어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과제수행과 관련된 자신의 변화에서는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기타 참가자의 의견 중에서는 또다시 차문화와 관련된 경험을 해보고 싶다는 희망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차문화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자신을 탐색 및 통찰하게 함으로써 정서적인 안정을 향상시키며, 또한 새로운 활동을 체험하며 과정을 준수함에 따라 성취감 및 자신감을 배양하여 자기효능감을 촉진시켜,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develop the tea culture program that encourages the youth to observe and see through themselves by experiencing various activities, and helps them to recognize their ability positively when they finish the program successfully and then final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toreach the goal of the study are listed as blow: Firstly, what are the contents of tea culture program that is suitable for the teenagers? Secondly, how effective the tea culture program is for the teenager’s emotional stability? Third, how effective the tea culture program is for the teenager’s self-efficacy? Fourth, how the program participants’ reaction changes each session? Fifth, how much are participants satisfied? To that end, we checked over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functionsof tea culture and surveyed knowledge of experts on functions of tea culture. By doing so, we were able to structure sixteen elements: a sense of stability, self-confidence, emotion purifying, stress relief, communication mediator, interpersonal relations adjustment, a sense of belonging among members, promotion of health, offering a chance to exercise, stimulating the five senses, practicing in real life, forming new knowledge, understanding the procedure, checking the learning, apprehending manners and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these can strengthen tea culture program. We confirmed it after having experts check on the reasonability of contents. Based on these constituent elements, we selected the contents and planned the activities, and finally completed the program after gone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revi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developed program, we had formed an experimental group with fourteen people who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tea culture program, and a controlled group with another fourteen who were non-volunteered people, and proceeded with pre-and past inspection controlled group layout. A method used to measure emotional stability was the one drawn out of ‘Big 5 Personality Scale,’ which has been studied by Han, TaeYoung in 1998 and developed by Korean Aptitude Test Institute, and to measure self-efficacy, we used ‘Self-Efficacy Scale,’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by Cha, JungEun in 1997. When we wanted to see the changes of participant’s reaction as each session goes along, we used nine subordinated factors that had been formed by categorizing participant’s feedback letters into analysis system. I, myself as a researcher, had executed application of the tea culture program from September 3rd, 2008 to December 2nd once a week, 90 minutes for each session, total twelve sessions. It took place at the auditorium of House of Youth Culture in the D city. In the research, we operated ANCOVA with a pre-inspection abou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as a covariate and post-inspection as a dependence variable to see the effects of tea culture program. We also executed t-test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content analysis was taken place to examine participant’s reaction towards the effects of tea culture program.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a culture program was over, we had performed the Program Satisfactory Test to see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test results we have got are listed as below: Firstly, the tea culture program is effective for elevating the teenager’s emotional stability. Secondly, the tea culture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efficacy. Third, we witnessed the participants’reaction changes over sessions, and each period has their own characteristic; inducing interest about a new field in the beginning, experiencing activity among members as going towards mid-sessions, and having a sense of achievement and willingness to practice in real life at the end of session. One interesting fact is that while having learning experience was in most of the sessions, experiencing acceleration of an interaction was only in a few sessions. Fourth, as we check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irteen different contents to see how satisfied the participants were, most of them were satisfied, and teaching aids topped the list. What they were the least happy about was selecting participants for the program. Based on the feedback letter that participant wrote freely, we studied each satisfaction level of seven contents. What they felt most happy about the program was that it offered them the chance to experience, and the most memorable program was trying-outa traditional Korean costume, which was also perceived as the chance to experience. There have been changes after the program. They have become obeyed the etiquette, and emotion-wise they felt more at ease. When it came down to controlling their emotion, they felt satisfied that their ability to control got stronger. They felt more confident in performing their tasks, and some of participants had mentioned that they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other tea culture related events. From all the results mentioned above, we could draw a conclusion that tea culture program helps the teenagers to observe and see through themselves and it promotes emotional stability. And as they experience a new activity and follow the procedure, they will build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It will ultimately elevate self-efficacy and help them to perceive their abilities in a positive way.

      • 자아존중감과 애착이 청소년의 또래동조성향에 미치는 영향

        문선영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애착유형이 또래동조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또래동조성향에서 청소년 비행에 노출될 경우 보호요인을 알아내어 청소년상담이나 생활지도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남여 청소년들 34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김희화(1998)의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했고, 애착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ollins 와 read가 제작한 RAAS(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로써 박은경(19930의 번역판을 청소년에게 맞게 문항을 일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동조성향 척도로는 오경희(1998)가 Berndt의 척도를 수정, 보완한 것을 김은진(2001)이 요즘 학생들의 실정에 타당하도록 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또래동조성향에 관련이 있는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으로는 친구관련자아가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친구관련자아는 중립적인 동조현상과 함께 반사회적 동조현상에서도 역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의 하위유형에서는 친밀애착일수록 반사회적 동조현상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애착이 또래동조성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밝혀내어 청소년비행에서의 보호요인을 알아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또래동조성향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또래동조성향에서 단순한 성별의 차이보다는 성별차이가 일어나는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what juvenile's self-esteem and attachment gives affection to the peer conformity.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nd the factor of protection when juveniles exposed to peer group delinquency, so it's purpos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youth counseling and life guidance. 34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For the measurement tools, it's used 'Self-esteem scale' by hee-hwa Kim. For the attachment, it's used eunk-young Park(1993)'s report that modified partially RAAS(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by Collins and Read. The scale of peer conformity used eun-jin Kim(2001)'s that had modified appropriately for the student theseday which Kyoung-hee Oh(1998) had modified and added the Berndt's scale before. The main results revealed by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factor of the self-esteem related peer conformity shows the (Ego of friend related) meaningfully. The Ego of friend related were revealed to give the significant affection to the phenomenon of neutrality and also to the anti-social phenomenon. In the sub-type of attachment, it was searched that more intimate attachment are affected less by the anti-social phenomenon. Implication of this study means to uncover how the self-esteem and attachment of juveniles relate to peer conformity , so looks for the factors of protection from youth delinquency. But there are sort of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was not researchment why the gender differences are occured in the peer conformity. So, in a follow-up study, it need to search about definite reason of the gender differences rather than just difference of gender.

      • 다문화가정 여성의 삶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류순희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삶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들이 한국생활에 적응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다양한 문화적인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한국생활에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한국 사회 환경에 정착하는데 출신국가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자녀들은 한국생활에 만족하는 요인들은 어떠한가? 넷째,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다섯째,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구사능력이 아동의 언어발달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여성 3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출신 국가는 중국(조선족, 한족),베트남, 일본, 필리핀, 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미얀마 등 이었다. 이들은 설문 조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의 삶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t-test, 교차분석(X2) 및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1) 경제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2)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원으로 다문화 가족에 대한 고충 상담의 기관이나 상담활동이 요구된다. 3) 법적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4) 문화적인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 5) 이주국과의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 6) 다문화가정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6) 다문화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단위의 교육과 프로그램의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7) 다문화가정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한다. 8) 상담 및 치료서비스의 확대이다. 9)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사회활동 및 취업능력 강화를 해야 한다. 10) 청소년 지도자 대상 다문화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문화 가족이란 한 문화를 가진 사람이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의 문화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문화가 존중받고 어우러지는 동화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올바른 정책의 방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life-satisfaction of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tors that affect them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cultural factors. To fulfill this purpose, we set following problems. First, what factors affec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apt in Korean society? Second, is mother country of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ke differences of their adjustment? Third, what factors m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atisfy with their living in Korea. Forth, how communication of coupl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children from learning Korean. Fifth, how lingual ability have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is based on 34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san. These 341 women are from China, Vietnam, Japan, Philippines, Thailand, Uzbekistan, Kazakhstan and Myanmar. We conduct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life-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nalyzed through t-test, cross tabulation and ANOVA analysis. Followings are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s financial aid. 2) Counseling activities and rooms are needed as a social security. 3) Legal system should be improved. 4) We should admit cultural differences. 5)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their mother countries should be expanded. 6) Educational aid is needed to multi-cultural families. 7) To make healthy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provided based on family unit. 8) Social security for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supported. 9) Counsel and Theraphy service should be provided. 10) Multi-cultural families specialist traing program should be initiated to youth leader.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mean that one person from different cultural base assimilates into major cultures. Thus, we need policy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which means each culture is equally respected.

      •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은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2 국내박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하위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오감자극 생활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위하여 기초조사1과 기초조사2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기초조사1은 대학생들의 오감자극 생활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서대학교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초조사2는 한서대학교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Cohen과 Hoberman(1983)이 개발한 대인관계지지평가척도(Interpersomal Support Evaluation List : ISEL)를 기초로 하여 평가적지지, 소속지지, 자존심지지, 유형적지지로 구성된 소척도를 김정희(1987)가 우리 문화권에 맞는 문항으로 번안한 하위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의 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Beck(1967)이 개발한 BDI한국판을 이영호(1993)가 사용한 도구이었고, 합리적 신념척도는 Jones(1968)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했고, 자아정체감척도는 Dignan(1965)의 Ego Identity Scale을 서봉연(1975)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오감자극 생활척도는 일상생활에서의 오감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고안된 척도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로서, 대인관계, 우울, 합리적 신념, 자아정체감이 오감자극 생활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기초조사1과 기초조사2를 바탕으로 5단계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통해 개발된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한서대학교 대학생 중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각각 선발하여, 실험집단을 통해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을 10회기에 걸쳐 실행하고, Ryff의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한국의 정서에 맞게 수정 보완한 하태민의 심리적 안녕감 검사지를 이용하여,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8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 오감으로 느끼는 습관을 오감에 집중하는 훈련이 있어야 매 순간 생각에서 머무는 시간이 줄게 되고, 감각에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감각에서 주는 만족감과 풍요로움, 새롭고 신선한 느낌으로 행복해 질수 있는 시간이 더욱 늘어날 수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불안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특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오감자극 생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하위 요소인 낙관적 사고, 삶의 목적, 긍정적 친구관계, 긍정적 자아인식, 자기 주장성, 환경조절력, 개인적 성장, 내적귀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인의 긍정적 자아인식과 낙관적 사고요인이 향상된 점으로 보아 오감자극 생활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에 효과적인 원리와 방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긍정적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실제 생활에 적용 할 수 있는 도구의 적극적인 모형과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life program which stimulates five senses and figure out how this program affec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to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t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five senses affect college students' standard of living? Second, what composes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Third, how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affec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For this study, we perform 2 basic researches which are research 1 and research 2. In research 1, we use qualitative method and randomly sampled 20 students from Hanseo University in both sexes. Then in research 2, based on 100 students in both sexes from Hanseo University, we us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Cohen & Hoberman, 1983) which evaluates sub-scales of appraisal, tangible, self-esteem and belonging support, adapted by Kim Jeong Hee(1987), suitable to our culture. For measure types and degree of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eck, 1967), adapted by Lee Young Ho(1993), is used and for rational beliefs, Jones scale(1968) is used. We also use Ego Identity scale(Dignan, 1965), adapted by Seo Bong Yeon in 1975 to measure ego-identity and develop scales to measure the use of five senses stimulation in real life. Based on research 1 and 2, we follow 5 stage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develop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Then, we select both 20 students from Hanseo University to compos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experimental group, we provide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10 times and evaluate results with Ryff's Psychological Well Being Scale. By using this scale, we perform pre and post test to figure out whether this program affects 8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five senses can reduce the time that participants spend on thinking. And concentrating on senses can give satisfaction, richness and happiness. Second, five senses stimulation program makes college students think optimistic about future anxiety and recognize themselves as positive which is especially effective. Third,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program affect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its sub-factors: optimistic thinking, life goal, positive friend relationship, positive self-recognition, self-assertion, environment control, personal growth and internal attribution. This study suggest that five senses stimulation life is a effective method to person's positive emotion as improvement on individual's positive self-awareness and optimistic thinking factors show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need to develop model to apply five senses stimulation program in real life.

      • 장애인의 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인택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1663

        이 연구는 장애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장애인의 여가선용과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대회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장애인탁구선수 남·여 20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중 181부를 회수 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1부는 제외하여 총 18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로 자기효능감 측정은 쉬러(Sherer, 1982)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리크먼(Ryckman, 1982)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박경민(1994)이 통합하여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항 11문항,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항 6문항,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9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반효능감에서 3문항, 사회효능감에서 1문항, 신체효능감에서 2문항을 삭제하고 20문항으로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12문항을 사용하였고, 자원봉사활동 특성은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기법은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종교, 학력, 가족의 구성유형, 가족의 동거 유형, 건강상태, 경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원봉사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자원봉사활동을 하게 된 계기와 자원봉사 활동 횟수, 자원봉사 평균시간, 자원봉사 활동 분야, 자원봉사 교육 유무, 자원봉사 교육 횟수, 자원봉사활동을 만족하게 되는 이유, 다른 자원봉사자들과의 시간외 교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가족의 동거유형과 건강상태, 경제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특성에서는 자원봉사활동분야와 자원봉사 교육의 유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장애인이 자원봉사활동을 함으로써 사회공익에 기여하고 자원봉사를 할 때 기관 및 사회단체에서 고려해야할 기초적인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and self-efficiency. There was the impact of the volunteering activities on the disabled in necessity and significance. For this reason, it seems considera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between the self-efficiency of the disabled and the volunteering activity as a social activity which was regarded in the search for alternative description to increase the quality in the life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table tennis players who were registered as a disabled and who were active in the national table tennis games and, who also are working as voluntee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disabled table tennis players and 181 were withdrawn. One questionnaire was excepted because it was unreliable. In the research method, the dependant variable was the self-efficien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ing activity.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self-efficiency which Park Kyung-Min(1994) integrated the general and social self-efficiency of Sherer(1982) and physical self-efficiency of Ryckman(1982) Originally there were 26 question items, made of 11 for general self-efficiency, 6 for social self-efficiency and 9 for physical self-efficiency. However, this study removed 3 question items from general self-efficiency, 1 question item from social self-efficiency, and 2 from physical self-efficiency to secure the reliability. In this study, 20 question items are used. And there are 12 question item for general characteristic and 22 question item for the characteristic of volunteering activity. In the analysis method, SPSS 12 program was used to carry ou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following summarized the study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self-efficiency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disabled were different in statistic according to religion, scholastic ability, type of family structure, family living pattern, state of one's health and economic capabilities. Second, for self-efficiency on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ing activity are differen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motive, frequency, time, field of volunteering activity and frequency of volunteer education, reasons of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activity and personal friendship with other volunteers. Third, the result show tha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self-efficiency was affected by family living pattern, state of one's health and economic cap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ing activity, self-efficiency is affected by the field of volunteering activity and in the relation to volunteer education. This study is purposed to show that the volunteering activity of the disabled is helpful to the public good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the administrative organ or social organizations when they employ the disabled.

      • 중국 한부모 가정 자녀교육 문제에 관한 문헌연구

        이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51663

        The main ideas of the thesis are to observe the situation of the single parent family in China now and to anaysis the relative problems about the education of these families and the reason why that happens. Then the thesis also offers the right advice to solve the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researches are as follow: 1.Research of the type of single-parent families. 2.Research of the tense of single-parent families. 3.Research of the education characters of children who are from single-parent families . 4.Research of the education reasons of children who are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research collected the publication about the education of the single parent family which printed from 1998 to 2006 . And it studied and anaysised them from July to November 2008. and the important points of it are to lear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about the single family in China,to make sure the problems about the education of these families and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problems happ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ingle-parent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the death of a spouse, divorce-based, single-based and separated-based. Secondly, the rate of the single family which parents are separating or one parent was dead is decresing, bu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single parent family, we can know that the number of the children in one single parent family is increasing quickly. Thirdly, the number of the problems about the educatian in one parent families are increaseing quickly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children in one single family. The most serious problems are about the study and the mentality of these children. Fourth,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in one single family, tne thesis analysis the reasons why that happens and there are three results, the weakness of the education function,the lack of school education and the lack of society awar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in that family grow up healthy and happily. These families should not only love their children but also teach them. And schools should help these families find a right way to teach their childern and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The society should set up a special organization to guide them and creat a good environment for these children io grow up. 본 연구는 현재 중국 한부모 가정 상황을 살펴보고 중국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에 관한 문제 및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올바른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한부모 가정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중국 한부모 가정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3. 중국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 문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4. 중국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 문제의 발생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중국 한부모 가정 자녀교육에 발간된 출판물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2008년 7월부터 11월까지 분석함으로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내용을 중국 한부모 가정의 실태, 자녀교육 문제 및 문제 발생 원인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한부모 가정의 유형은 넷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배우자 사망 형 한부모 가정, 이혼 형 한부모 가정, 미혼 형 한부모 가정, 분가(별거) 형 한부모 가정이다. 둘째, 중국 현재 별거형 한부모 가정과 배우자 사망형 한부모 가정 비울 적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이혼율의 증가에 따라 한부모 가정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한부모 가정 자녀 증가율이 대폭 상승하고 있다. 셋째, 중국 한부모 가정의 자녀 숫자 증가에 따라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 문제가 많이 생기고 있다. 그 중에 가장 심한 문제가 한부모 가정의 자녀교육 학습문제 및 심리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한부모 가정 자녀교육 문제에 근거하여 중국 한부모 가정 자녀교육 문제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3가지로 나타났다. 즉, 가정의 교육적 기능의 약화, 학교교육의 심화 결핍 및 사회적 관심이 부족한 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국 한부모 가정을 위한 대안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가정, 학교 및 사회가 한부모 가정의 자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가정에서는 사랑과 교육이 결합해야 한다. 사회가 한부모 가정의 자녀를 효율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기관등을 많이 설립해야 한다. 가정, 학교 및 사회가 함께 한부모 가정의 자녀가 좋은 생활환경에서 교육 받을 수 있도록 그에 맞는 환경을 제공해 줘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