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전통디자인을 적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연구

        여빈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has been being developed and changed in a long history. Currently, it has become the representative of the Oriental culture with the stream of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globalization of information.However, as various cultures tend to be converged and the essence of unique Chinese culture tends to be increasingly distorted or excluded, you can see Chinese ethnic symbols and patterns design limited to simple visual elements. Therefore, Chinese-style reproduction elements are becoming obstacles to hand down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refore, measures to keep the Chinese ethnic features by discovering the unique traditional and cultural elements of China in the amidst of world development is required. Based on a topic for discussion on how to apply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o the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pplications of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to have the humanistic nature of China as well as the look of interior design elements by analyzing ancient Chinese culture and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hought.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as follows. Chapter 2 reviewed three factors which are 'cultural ideas, form symbols and the expression of implication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e "three thoughts of China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which are the root of spirit inherent in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lso, the study reviewed the features of design appeared in the furniture and interior design amo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space. The study researched the principles of design, which are 'Unity and harmony' pursuing visual order, Symmetry and balance' emphasizing on proportional beauty about things or space and "Design focusing on the living of space users'. Chapter 3 prepared the framework for traditional design elements to be able to be applied to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by analyzing the furniture arrangement in a traditional Chinese space and interior design skills. Chapter 4 proposed specific interior design applications reflecting the spirit and customs of Chinese ancestors beyond the reproduction of the outer structure of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Conclusions obtained by the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designing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advanced ideology of the Western world, based on which the type and symbol of traditional ornaments that can be created or embodied in contemporary expression should be extracted. Second, when reflec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on the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raditional Chinese ornament design, its internal cultural significance with the outer structure of the elements, and interact with it. The artistry and cultural atmosphere that appeared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chinese ancestors are accomplished when the look and thoughts that are inherent in traditional cultural space are overlapped each other.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idea on whether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can be deeply understood, apply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raditional design to the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and search and strive to form a unique traditional Chinese design in order to hand down and succeed to the excellent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oughts. It is meaningful tha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space that could be reinterpreted modernly to hand down and develop and the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on which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s reflected. 중국의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발전·변화되어 왔다. 현대의 중국 전통 디자인 시장은 경제·기술발달, 정보의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동양의 문화를 대표하게 되었다. 그러나 점차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고 중국문화 고유의 본질이 왜곡되거나 배제되는 경향이 늘어나면서 중국민족 기호 및 패턴을 단순한 시각적 요소에 국한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보기에 중국 스타일 같은 재현요소가 중국의 전통문화성을 계승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 고유의 전통문화요소를 발굴하여 세계화 발전 속에 중국 민족 특색을 지닐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현대 실내디자인이라는 범위 속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제를 바탕으로 중국 고대 문화와 생활, 중국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실내디자인 요소의 외형성 뿐만 아니라 중국의 인문학적 본질성을 내포하는 현대 실내디자인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국 전통문화에 내재된 정신의 근본이 되는‘중국의 3대 사상(유가, 도가, 불가)을 중심으로 한 문화이념, 형식기호, 함축적인 경지의 표현’의 3가지 요소를 고찰하였다. 또한 중국 전통공간의 구성요소 중 가구나 실내 디자인에 나타나는 디자인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시각적 질서를 추구하는‘통일과 조화로움’, 사물 혹은 공간에 대한 비례미를 강조한‘대칭과 균형’,‘공간사용자의 생활 및 중심으로 한 디자인’원칙을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 전통공간의 가구 배치 및 실내 디자인 수법을 분석하여 현대 실내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 디자인요소에 대한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중국 전통문화요소의 외형적 구조물을 재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선인들의 정신과 관습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구체적인 실내 디자인 적용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통문화를 디자인할 때 서방국가의 선진적인 이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표현으로 창조하거나 구현할 수 있는 전통 장식품의 형식과 기호를 추출해야 한다. 둘째, 중국 전통문화의 요소를 현대 실내 디자인에 반영할 때 외형의 구조형태와 함께 중국 전통적인 장식품 디자인의 근본적 의미, 즉 중국의 전통적인 장식품의 내적인 문화적 의미를 인식하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맺어야한다. 중국의 선인들의 거주환경에 나타나는 예술성과 문화적 분위기는 전통 문화공간에 내재된 외형성과 정신사상이 서로 중첩되어 이루기 때문이다. 셋째, 중국의 우수한 전통 문화와 사상을 이어받고 계승해 나갈 수 있도록 중국 전통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켜 전통 디자인의 우수한 성과를 현대 실내디자인 적용하고, 중국의 독특한 전통 디자인을 형성하는 데에 꾸준히 탐색하고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문화 공간특성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계승·발전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통문화의 가치가 반영된 현대 실내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를 둔다.

      • 중국 한나라 복식을 응용한 디자인 연구 : Punk 패션을 중심으로

        라산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Clothing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of a nation’s culture identity, but also a demonstration of an era. After the industrialization, the art of clothing became more diversified. Chinese civilization has a long history, the fine art of clothing is the center of attention.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paper aims at combining the clothing culture of Han dynasty and modern design in order to develop a new design with ethnic characters. First of all, the art of clothing in Han dynasty is highly developed, the popular style of shenyi and nuchun is both elegant and line fluent. And it is of great influence for the later design. This paper examined the shape, pattern, material and color of the clothes, and systematically summarized all the characters of the clothing art of Han dynasty. Secondly, the PUNK in 70s is an anti-tradition teenager culture. Mohicans head, smoke makeup, machine wagon jacket, broken stockings and jeans, metal pins and rivets represents a strong resist of tradition and it emphasis the self-existence and personality. This quickly became popular among young generations and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usic and clothes In the whole European society. It inspired the fashion design, even we can still observe the unique MIX style of Punk in today’s designer clothes conference. The new design of clothes, although has no pattern to track, brings more fresh ideas for the modern designing. Thirdly, Punk has been developed into 'CNPUNK' as a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Chinese ancient philosophy. In the recent decade, the popularity of Punk has not decreased. In general, Chinese Punk can be divided into Pure Punk, Cosplay Punk and Semi-Punk. Following the designing idea in Han dynasty, the first designed highlights the female waist, and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sleeve. The design uses leather, the popular material of Punk design, England lattice, Gauzeand Chinese brocade, and Grommet is used for accessories. The second design is inspired by the leather jacket and 曲裾深衣'Qu Jun Shen Yi', it applies the "Y" neckline which constantly appears in the design in Ham dynasty to the Punk style jacket. Using conventional embroidery, the design imitates and recreates the animal pattern used in Han dynasty and combines a lot of Stude decorations. The idea of third design comes from the 直裾深衣'Zhi Ju Shen Yi' from Han dynasty, It uses leather jacket as coat, however, unlike conventional leather jacket, the design uses the concept of Right lapel(右衽) and incorporates the design of 重缘‘Chong Yuan’. Overall, the design of skirt uses MIX style, combining leather, lattice and brocade. Irregular hem originates from quju style. It uses Punk style shackles as accessory. This research aiming at 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e identity with modern designing philosophy by combining traditional clothing design in Han dynasty of China with Punk elements. This paper emphasis the redesign of the structural and pattern characters of the traditional clothes in Handyn asty an ddeveloped three pieces of clothes each combined Punk elements and clothing designin Handynasty in different ways. 복식은 시대문화의 산물이자 민족의 정신문화를 보여준다. 현대 패션에서 디자이너들은 복식을 하나의 예술로 인식하며 새로운 미학을 추구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복식 문화를 현대 패션에 적용, 그 민족의 정체성을 담은 현대 패션을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 한나라의 복식과 펑크(Punk) 패션의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적 복식 특성과 동양의 정서가 담긴 독창적이고 폭넓은 펑크 스타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국 한나라 남녀 복식의 조형, 색상, 무늬, 소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 시기의 복식문화가 현대 디자인에 풍부한 소재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특히 기괴한 문양 장식, 자수, 심의 등의 독특한 요소를 현대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었다. 둘째, 1970년대 반역, 개방, 퇴폐와 청춘기의 강렬한 자존심, 자아 세계에 대한 해방을 표출하고자 등장한 펑크가 현대에 와서 새로운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이 결합하면서 그 모습이 고급화되고 절충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패션에서 다양한 믹스 표현기법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었다. 셋째, 펑크 스타일이 중국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중국적 정체성과 문화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CnPunk'가 등장하였다. 중국 현대 패션에 나타난 펑크 스타일은 서양의 펑크 스타일을 그대로 모방하는 순수 펑크와 만화나 영화 등의 스타일을 따라하는 코스플레이(Cosplay) 펑크, 다른 스타일과의 혼합으로 편안하면서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세미(Semi) 펑크 스타일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정체성이 담긴 동양적인 펑크 스타일의 부재가 아쉬웠다. 이러한 연구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나라 복식과 펑크 스타일을 응용한 작품을 3벌 제작하였다. 작품 Ⅰ은 허리에 벨트로 사용하여 여성의 라인을 강조하는 한나라의 여성 예복에서 영감을 얻어 한나라 시대에 자주 사용했던 소재와 펑크 패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를 혼합하고 한나라의 대표 색상인 검정색과 빨강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한나라의 곡거형 의상 특징과 펑크적 장식도 활용하여 새로운 느낌의 펑크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작품 Ⅱ는 한나라 복식의 중연포와 펑크 패션의 가죽 자켓을 혼합하여 변형된 디자인의 자켓에 한나라의 곡거심의를 변형하여 비대칭적인 실루엣을 구성하고 여러 가지 색상의 망사와 가죽 등의 소재 사용한 스커트로, 한나라의 전통적 문양에 대량의 피어싱과 스터드 장식을 사용하는 등 전통적인 한나라 복식의 특징과 펑크 패션의 반전통적이 특징을 믹스(mix)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펑크적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하였다. 작품 Ⅲ은 한나라의 기하학적 문양, 한나라의 중연과 직거 형태를 응용한 펑크 패션의 주요 아이템인 바이크 가죽 재킷을 제작하였다. 자켓 안에 착용한 원피스는 한나라의 곡거 형태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펑크적 요소인 가죽과 체크 소재에 중국의 금단을 혼합, 지퍼와 사슬 등의 장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중국 한나라 복식을 응용한 디자인 연구는 중국의 사상과 전통적 특성이 담긴 펑크 스타일이라는 미적 가치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중국 CnPunk에 영향을 끼쳐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스타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독창적이고 폭넓은 디자인 개발에 영감의 자료로 제시함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중국의 자동차디자인 Identity 확보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자동차디자인 중심으로

        정방여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It has been a century since the automobiles came into the world. Meanwhile the automobile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the types of automobile have increased and the class of quality is getting higher than before in the modern society. The special differentiated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among world brand products. The sales volume of Chinese automobile in 2006 was more than 7 millions, which makes China the third biggest car-producing country and exceeded Germany. It shows that China’s economy has been developing constantly and that China is getting globalized gradually. However, China must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e big international stage. There must be some Chinese style factors in the design of automobiles too. In the design of automobile, the pursuit of good form design can meet consumers’ demand for the price of the products and the cultural spirits. In addition, we can make sure that special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applied in the automobile design. The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crucial meanings in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industry.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history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the marketing research of brand of the main automobile design. Based on all these,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Chinese automobile designed will be carried on. First of all,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automobile market will be studied. Secondly,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ill be figured out. Thirdly, the automobile companies in Europe, USA, Japan, Korea and China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ly,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automobile design and the problem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will be investigated. With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Chinese automobile design in the form and color will be integrated. The Chinese factor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should have Chinese factors in the design and technique aspects so that it can has its own vitality and brand and can receive much recognition in the global automobile market. 자동차가 탄생한지 100년이 되었다. 그 동안 자동차 산업은 많은 발전을 가해왔다. 경제가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사회에는 자동차 종류가 더욱 더 많아지고 자동차 디자인 품격도 높아졌다. 세계 명품 자동차브랜드 간에 명확히 차별화된 특별한 전략으로 발전해 왔다. 2006년 중국자동차 생산 판매량이 700만대를 넘었다. 이는 독일을 추월하여 세계 3대 자동차 생산국가로 되었다. 이것은 중국 경제가 끊임없이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중국은 천천히 국제화에 들어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필히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으로 국제무대에 서야 한다. 자동차 디자인 발전 중에서 이러한 중국적 특색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자동차 디자인 중 좋은 형태 설계를 추구하는 것은 소비자의 제품가격과 문화정신 수요성에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예술성에서 중국 자동차의 디자인이 특수한 중국적 특색을 응용하였다는 것을 확실히 보증하여야 한다. 중국적 특색은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결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3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황 발전사, 중국 문화의 이해, 주요 자동차 디자인의 브랜드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자동차 디자인의 방향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첫째,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를 이해하고 중국 자동차 시장의 현황에 대 하여 연구되었고, 둘째, 중국 전통 문화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으며, 셋째, 유럽, 미국, 일본, 한국, 중국 의 자동차 회사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넷째, 중국 자동차 디자인의 현 상태와 현재 중국 자동차 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중국 자동차의 디자인에서 형태, 색상 방면의 발전 방향을 종합하였다. 중국의 요소는 중국 자동차가 산업의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디자인과 기술적은 방면에서 반드시 중국만의 요소를 부가하여야만 생명력을 갖게 될 것이고 중국만의 브랜드를 갖고 있어야 세계자동차 시장에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 도시형 전기자동차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국전기자동차 중심으로

        이문빈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Technology continued to grow since the 1990’s due to the worldwide increase in the oil price, interest in the earth environment protection, new energy automobile technology R&D and demand for industry advancement. Advanced nations, the US, EU nations and Japan are actively pursuing after the advancement of the new energy automobile industry. China too is journeying on that path, following this worldwide trend. Automobile industry tended to rely solely and entirely on petroleum during a number of years, which in turn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tted due to the considerable demand for petroleum and drastic industry growth. Automobile industry too faces energy crisis and environment destruction issue. Likewise, electric car advancement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ective measure to resolve this issue will bring about significant convenience to the society. Electric car design stage is an important stage that will determine the fate of the products during the product selection decision-making process. Electric car is driven with electricity by using the motor that is operated with electricity. Moreover, it is classified as environment-friendly vehicle since there is no exhaust gas while the noise is small. Electric car is a green product, and it is a clean transport medium with composite new technology. Meanwhile, it is also the energy for the automobile technology, electronic and computer technology, electricity technology. Accordingly, it is the key for transforming the human life into new life. For the present automobile industry, replacement into new energy is being studied in detail by each automobile maker, and continual development is underway for commercialization. This indeed became the ultimate goal of the R&D centers affiliated with automobile makers around the world. Many cities in the world face complex traffic issue. This is an issue that everyone has to cooperate to resolve. The situation is even worse in most of the developing nations including China due to population increase.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energy issue in relation to automobile and the seriousness of the air pollution caused by traffic congestion. Moreover,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cards in each of the industries in the world are analyzed, to present the design that is suitable for the Chinese market. Giugiaro, an Italian automobile design expert said, "Design of Chinese automobiles lack Chinese element." From this, it is possible to see the two problems that the Chinese automobiles face. First is the lack of the designers who can design effectively, which leads to lack of ideas and technological know-how. Second is the rushed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utomobile industry. Of course, the Chinese automobile designs too grew significantly during a number of years. Still, however, they are manifesting significant gap due to the belated start compared to the foreign automobile makers. This research sought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design of China specific electric cars by leveraging the above mentioned issues to conduct research on the automobile environment in the cities in China, analysis of the strategy and direc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and study of China’s cultural elements. 1990년대 이후로 국제적으로 원유가의 상승,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의 연구 개발과 산업 발전의 요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기술이 진보해 왔다, 선진국인 미국, 유럽과 일본은 적극적으로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중국 역시 그 길을 가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오직 석유에 대한 의존으로 석유 수요의 상당한 증가와 급속한 산업화의 성장 상황에서 온실 가스 배출량을 증가 시켰다. 자동차도 현재의 에너지 위기와 환경파괴의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발전은 시급한 당면과제가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는 지역 사회에 커다란 편의를 가져올 것이다. 전기 자동차 디자인 단계는 제품 선택의 의사 결정 단계에서 제품의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으로 모터를 사용해 전기에너지로 구동한다. 또한 배기가스가 없고 소음이 적어 친환경 차량으로 구분된다. 전기 자동차는 녹색 제품이며 자동차 기술, 전자 및 컴퓨터 기술, 전기 기술의 에너지로 복합적인 신기술로 깨끗한 운송수단이다. 따라서 인간의 새로운 삶의 변화를 위한 열쇠가 되고 있다. 오늘날의 자동차 산업에 있어 새로운 에너지의 교체는 각 자동차 메이커별로 깊이 있게 연구되고 있으며 활용 화를 위한 끝없는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것은 전 세계 자동차회사 연구소들의 궁극적 목표가 되었다.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복잡한 교통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것은 모두가 풀어야할 과제로 대부분 개발도상국들과 중국 또한 인구 증가에 의한 상황도 예외가 아니며 오히려 더 심각한 수준이다. 본 논문은 자동차의 에너지문제 및 교통 혼잡에 의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세계 각 업계의 전기 자동차의 특성을 분석하여 중국시장에 적합한 디자인을 제시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탈리아의 자동차 디자인 전문가 조지아로(Giugiaro)는 "중국의 자동차 디자인은 중국적인 요소가 부재되어 있다." 이것에서 중국의 자동차가 직면한 두 가지 문제로 볼 수 있다, ​​첫째. 효과적으로 디자인 할 수 디자이너의 부족으로 아이디어 및 기술적 부재 둘째, 국내 자동차 산업의 성급한 개발이다. 물론,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자동차 디자인도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여전히 외국 자동차에 비해 늦은 출발로 인해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위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중국 도시의 자동차 환경조사, 중국의 자동차 산업 발전의 전략과 방향 분석, 중국의 문화적 요인을 통하여 중국고유의 전기 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중국 휘주시 관광청 셀프 프로모션 디자인 연구

        백경곤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정보의 유통이 이전의 그 어느 시대 때보다 빠르고 사람과 사람간의교류도 매우 편리해졌다. 신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생활방식은 디자인의 전형적인 개념에서 일련의 다원화된 창의적 통합디자인으로 바꾸어 놓았다. 감각적으로든 디자인개념으로든 현대 디자인은 시각적 디자인과 멀티미디어 영역을 통해 시시각각 우리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때문에 당대 디자인은 이미우리들의 생활방식과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다. 오늘날 비록 대량의 상업정보와 문화 자분이 전통적인 인쇄미디어에서 디지털 출판 미디어로 전이되고 있지만, 정교한 조판과 잉크의 향기가 묻어나는 전통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감각적 정취를 제공해주며 손에 쥐여지는 책의 촉감은 가상 디지털 출판으로써는 비교도 안 되는 소통의 가치로 점철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휘주 여행 프로모션의 홍보방법을 연구하고, 휘주 여행을 위한 홍보책자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중점은 휘주 및 휘주 주변지역의 현실적인 소재에 입각하여 휘주 특유의 홍보 책자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디자인을 통해 지역적 홍보 전략과 브랜드 가치를 확대하는 것이며, 나아가 관광산업의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디자인 제안은 중국식 전통문화의 각도에서 출발했으며 민간예술, 자연풍광, 민간풍습이 포함된다. 끝으로 현대 디자인의 시각에서 소재를 다루었으며 중국 전통문화의 요소를 현대 시각 디자인의 기법을 통해 포장과 수식을 진행하였고, 중국 전통문화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흥미로운 관심을 유도하게 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실사적인 효과를 사진의 예술적 표현 기법을 활용하는 것에도 디자인의 주된 표현기법으로 적용하였다. As the economy globalized, technology developed rapidly and social civilization progressed, the intense competition within the businesses and social communities have changed our lives completely. Speed of information being transformed is faster than ever. Which helped u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ore conveniently. It is convenient for us to communicate between each other. The concept of design has changed from the simplification to the series of the multi creative design as a whole due to the variety of the life styles. The modern design has influenced our lives in everywhere through a visible design to multimedia field, it comes from our sensation or commercial view. Therefore, modern perspective has been combined into our life styles significantly.Nowadays, although there is a great change on the media that the digit has been utiliz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paper, referring to the plenty of commerc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sultation, the traditional culture showed on the paper with an attractive edit and the special ink aroma can provide the variety of sense perception which the intangible digital edit can not reach that performance. The aim of the text is to provide an approach by researching and designing brochure of tour for Huizhou. This studying focuses on Huizhou and its surroundings and is going to provide a design for the proprietary tourist brochure of Huizhou. Through the design, our purpose is to distribute a strategy that more people are aware of this region well and create a valuable brand in order to promote the tourist development. The perspective is oriented by the Chinese culture which includes the traditional culture, folk art, natural landscape and folk custom. Finally, using the modern technique to describe this culture that comprises the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could increase the preference to get an understanding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e objective and feature of this design is to utilize the artistic appeal effectively to achieve our purpose. In the preface of this article, the author rais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solution of issues. The author focuses 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Huizhou'tourism promotion. Commonly, th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which sell and promote their products all around the world value their self-image and credibility more than other. Commercial promotion design is usually used to promote the product and image of enterprises to gain greater profits through print media. The research in this article is based on "how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through self promotion conveying information of the design". It not only enhances the brand image of tourism resources in huizhou, but also promot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Huizhou and its surrounding areas, in order to keep these cultural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influence of time. By this way, when self promotion is used on this topic, the author pays more attention on the connotation and practicability of the design, and makes more people like this consumer-oriented design. In the second part, the author explains and researches the basic conception of self promotion design , and then analysis some perfect Chinese and foreign designs. With the basis of comparing brochures from other tourism cities and worldwide excellent designs, has come out the design concept of this plan. During the design procedure, Huizhou tourism promotion plan is upgraded by creative thoughts and unique design technique as well as benefits from excellent designs. In the last part of this thesis, the updated design type of brochures is provided. The final purpose of the plan is to provide an example for the tourism promotion plan of every city by combining the city culture with its tourism resources.

      • 디자인을 활용한 창의성신장 방안연구-의사실기 아동을 중심으로

        박상진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Creativity education raises high creativity socially and culturally in the variety and complexity of a social structure and imagination grows the ability of problem solution. Accordingly, art education of the childhood becomes the motive power to rose up infinite creative will by suggesting new and various materials and children repeat the actions emitting desire and interest and feel happiness to form creative attitudes such as discovery of new challenges or thoughts or novel ideas so that it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rt education for creativity improvement has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it enables a lot of possibility immanent in human beings to be naturally revealed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It can be called education which expresses and understands the feelings and thoughts about our worlds and raises artistic characters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appreciation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activities and help have creative thoughts to understand and express ourselves and our world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and make children experience their expressions through formative learning and raise artistic appreciation ability and furthermore, help form human beings, namely ego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otion, society,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creativity development in art education can be achieved from interest inducement through children’s free and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ve work development through voluntary expression desire. In other words, the various expression method and utilization of materials become important media to form self-confidence and stimulate immanent creative desire by providing satisfaction through stimulation of children’s curiosity and new expression and experiences. Art education can discover children’s true emotion hidden inside through creative works such as drawing and making and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who should understand and help it provide various data to bring creative will through new expression so that excellent guidance should be supported. Children have the tendency to express their practically felt and experienced impression in their own ways and these activities can help have individual creativity. Design includes emotion and intellectual possibility, physical development, perceptive recognition, creative relationship, aesthetic taste and eve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individual sociality. However, design education is understood as a field of art education in our country to be educated as part of the art curriculum. In case of advanced countries, design education is based on all education and this is related to children’s creativity and intellectual growth so that more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is required.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sign education is as following. Children’s knowledge grows intellectually when the positive design activity is made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balance between intellectual growth and emotional growth. The physical growth in children’s design creation work can be seen in the sight and physical exercise which draw lines and perform functions by controlling bodies. Various areas are reflected to design and changes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children’s growth also become clear. The importance of growth about this development area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design education.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vides the chances for emotional growth and the scope to make it achieved and a direct relationship with creative tension related to work. In this viewpoint, the fact that children’s design education influences creativity improvement and develop human being’s potentiality has a meaning to understand the value of creativity. This research believes that the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is effective to perform in the childhood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rt programs to efficiently and easily children’s creativity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art and design as part of the art areas and expects that art education programs to wake up children’s creativity and potentiality to be active. In addition, when the research on the program and guidance through teacher’s consistent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children’s art is added, art education can be the center of creative competent person education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창의성 교육은 사회구조의 다양화와 복잡함 속에서 사회적 문화적으로 높은 창의성을 길러주며 상상력은 문제 해결능력을 키워준다. 따라서 아동기의 미술지도는 새롭고 다양한 재료를 제시하여 무한한 창작의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아동들은 욕구와 흥미를 발산하는 행위를 반복하면서 행복감을 느끼게 되어 새로운 도전이나 생각, 기발한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등의 창의적인 태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미술교육은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수많은 가능성을 미적 체험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발현하도록 한다는 데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자신의 세계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고 이해하며 조형 활동, 감상 활동, 이해활동을 통하여 예술가적인 품성을 기르는 교육이며, 미적 경험을 통하여 자기와 세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창조적 사고를 갖게 하는 것으로 아동들에게 조형 학습을 통하여 스스로의 표현에 따른 경험을 얻게 하고 예술적인 감상 능력을 기르며 더 나아가서는 아동의 정서와 사회성 발달 지적 발달, 창의성 발달을 바탕으로 한 인간형성 즉. 자아형성을 돕는 교육이라 할 수 있겠다.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은 아동들의 자유롭고 다양한 활동을 통한 흥미 유발과 자발적인 표현 욕구를 통한 독창적인 작품 개발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양한 표현 방법과 재료의 활용은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새로운 표현과 경험을 통해 만족감을 제공함으로서 자신감을 형성하게 되며 잠재되어있던 창조의 욕구를 자극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미술교육은 그리기, 만들기 같은 창조적 작업을 통하여 그 속에 숨어있는 아동들의 진실한 감정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것을 파악하고 도움을 주어야 하는 교사들은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여 새로운 표현을 통한 창작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탁월한 지도방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동은 자신이 실제적으로 보고 느낀 감동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활동은 개성 있는 창의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디자인은 감정과 지적 가능성, 신체적 발달, 지각 인식, 창의적 관련성, 미적 취향, 심지어 아동개인의 사회성의 발달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디자인 교육이 미술교육의 한 분야로 이해되어 미술교과의 일부분으로 교육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디자인 교육은 모든 교육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는 아동의 창의력과 지적 성장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디자인 교육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아동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동의 지식은 적극적으로 다자인 활동을 할 때 지적 성장을 하며 지적 성장과 정서적 성장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어린이의 디자인 창작 작업에서의 신체적 성장은 몸을 조절하여 선을 긋고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인 시각과 운동의 조화에서 볼 수 있다. 디자인에는 이러한 영역들이 반영될 뿐만 아니라 아동이 성장함에 따른 변화와 발달 역시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발달 영역에 대한 성장의 중요성은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동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특징은 정서적 성장을 위한 기회와 이를 이루게 될 범위까지도 제공하며 작업과 관련된 창조적 긴장과의 직접적인 관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아동기의 디자인 교육이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개발시킨다는 관점에서 창의성의 가치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은 아동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아동미술의 일반적인 특징과 미술의 영역 중 디자인을 통해 효과적이고 손쉽게 아동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술 프로그램과 개발을 제안하면서 아동들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일깨워주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의 지속적인 아동미술의 이해와 관심을 통한 프로그램 및 지도법의 연구가 더해진다면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교육에 미술교육이 중심에 설 수 있으리라 본다.

      • 상업공간 파사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홍익대 인근 `차 없는 거리`의 소규모 상점을 중심으로

        김현진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상업공간의 파사드는 해당공간의 이용의지를 가진 구매자나, 이용의지와는 무관한 불특정 다수의 예상 이용자들에게 의도적으로 브랜드 또는 상품 및 상점의 실내공간이미지를 연결하는 상업공간의 외부 상징성과 주목성이 극대화된 시너지를 창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소규모 상업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중요한 창작대상으로 기획하는 파사드 디자인, 즉 외부이미지에 적극적인 브랜드 이미지의 전달을 위하여 부여한 형태적 질서의 구성 체계 및 특징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소규모 상업공간 파사드 계획 시 디자인 근간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소규모 상업공간의 파사드 디자인을 구성요소과 원리로 도출한 분석 Matrix로 파악하여 업종별 파사드 디자인이 내포하고 있는 효과적인 결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지역은 서울지역의 ‘차 없는 거리’로 지정된 지역 중, 소규모 상점이 밀집된 홍익대학교 인근의 상가지역으로 정하였고 평면적 150㎡이하의 상공간을 소규모로 칭하였으며, 90개 업체를 선정하여 업종별로 분류, 분석하였고,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상업공간디자인과 파사드에 대한 문헌조사로 상업공간디자인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파사드의 개념, 역할,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등을 고찰한다. 둘째, 파사드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류 및 구성분석을 위한 기준표(Matrix)를 도출하였다. 셋째, 분석대상들의 파사드 디자인에 대하여 기 도출된 Matrix에 업종별로 분석하여 그 내용을 종합하였다. 넷째, 분석 내용의 종합적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였다. 업종별 분석결과, 의류점은 각 브랜드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하면서도 과하지 않도록 안정감 있고 조화로운 형태로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CAFE’ 분석결과,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친근한 이미지를 주어 쉬어가는 공간으로 인식시키고 내·외부의 연결성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둔 디자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음식점 분석결과에서는 같은 식음공간의 하나로서 CAFE’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띠지만, 음식점은 식사가 주를 이루는 공간으로 청결도와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형태의 디자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하면 소규모 상업 공간 파사드 디자인은 매우 다양한 편이었다. 그러나 각 공간의 특성상 업종과는 별도로 과시성이 아닌 주위환경과의 자연스런 조화를 이루는 접근방법이 필요했고, 소규모 상업공간 디자인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두는 공간 활용이 우선적으로 중요시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의 극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 구성원리가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도시미관과 소비문화에 대응하는 계획과 발전이 토대가 되어야 하는 파사드 디자인은 지역문화와 상업 공간 디자인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와 교체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상업공간의 업종별 파사드 디자인 구성의 특성을 전부 규정하였다고 볼 수는 없겠으나, 분석결과가 다양한 파사드 구성기법의 기초적 근거가 되어 디자인 전개 시 혹은 객관적 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commercial space with façade design is where users meet at first, so it should be created with synergy of maximized attractiveness of color and symbolism. However, in terms of scale of facade in commercial space, small space has less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rather than large one due to visually weak attractiveness of color. This thesis aims at redounding to base of façade design in commercial space by comprehending what system the components of design and the constituting principles in form of façade design in mini stores have. Location scope for this thesis was limited in 150 square meters as mini shop and ninety mini shops was chosen and analyzed out of those in vehicle-free promenade around Hongik University. Details that the thesis conducted are the following; first, to study literature on façade and design of commercial space, which helps to study not only the fundamental concept, role, component, and constituting principle of façade but als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design in commercial space; second, to draw the matrix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component of façade; third, to classify and analyz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atrix for analyzing components depending on industry and finally to synthesize th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results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according to industrial classification show that clothing stores are designed stably and harmoniously to express their own unique individualities but not excessively. In case of Café’, design is formed to place emphasis on connectivity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space for user to recognize it as a room to relax by giving comfortable and friendly atmosphere. Finally, design of restaurants, one of eating and drinking space, has the same aspects as café’. Nevertheless, since restaurants are based on meal, the design form usually gives confidence and cleanliness. As a result, variety of façade in mini stores needs approaches not to show off design but to be in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it is prominent that utilization of space in mini shops is the most important, so the components and constituting principles to give the effect are frequently used. The thesis can be meaningful because characteristics of façade design reflected with city and culture can be beneficially used as design technique or design data when designing small space.

      • 하지절단 장애인을 위한 남성복 디자인 연구

        전성철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하지절단 장애인은 하지를 상실하였기 때문에 일상적인 생활에 불편을 느끼게 되며, 비장애인과 같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목발, 의지, 보조기, 휠체어 등의 이동보조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절단 장애인의 보조기구의 사용은 일상에서 보다 많은 이로움을 주지만 의복의 착용에 있어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하지절단 장애인의 의복의 착의 및 탈의에서 초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지절단 장애유형 및 보장구 종류에 따른 장애인 의복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장애인의 의복은 신체구조와 보장구를 고려하여 의복으로써 무리가 없고, 착·탈의가 편리하며, 그들의 활동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인들을 고려한 의복은 1차적으로 외모를 보완하고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고, 2차적으로 사회 환경에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지절단 장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들 의복에 요구되는 장애인복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능성과 편리성을 고려한 하지절단 장애인을 위한 의복을 개발함으로써 장애인복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the handicapped people with lower limbs amputated do not have a leg, they feel inconvenient in their daily living. They use the ambulatory assist devices such as crutch, leg prosthesis, accessorial device, and wheelchair in order to lead a life just like a non-disabled person. The assist device provides much advantage for lower limb amputees in their daily routine life but it frequently causes inconvenience in wearing the clothes. To minimize this problem for those who have a leg amputation when they put on or put off the clothes, it needs to develop the costume available for them according to amputation type and assist device. Especially, as to the disabled person's clothing, su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clothing function, comfortableness, and activity in view of bodily structure and assist device. Firstly, this clothing can give compensation and self-confidence in appearance. Secondly, this kind of costume can help them accomodate themselves to the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ould look into details about the lower limb amputation and characteristics about the handicapped people's clothes. Based on this, the work would aim at contribution to the disabled person-specific wear industry through development of their own function and convenience. For the research method, review was followed over the definition of disabled person, type of lower limb amputation, and its characteristic by examining the precedent works and literature. With reference to those work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comprehend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points to be improved and then the wear for their own purpose was designed and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results from the empirically statistical data.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a random sampling from the lower limb amputees in Seoul Brace, Korea Orthopedic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Research Center, and Seoul Veterans Hospital.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were also made on the questionnaire shee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what they wear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lement. In case of Unilateral Below-Knee Amputation,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wear damage and wear mend. In Unilateral Above-Knee Amputation, there were problems with putting on and off or opening the clothes in easing nature and with contamination, damage, and mend of clothes in washing the face. In case of Bilateral Below-Knee Amputation, the overall improvement was needed. Particularly, many problems were found regarding the damage. In Bilateral Above-Knee Amputation, there happened many problems on the whole. In the usage category, the uncomfortableness in townwear was the biggest problem. Especially, the uncomfortableness appeared largely in the lower garment when gait assist device or wheelchair was used. In the category of clothing preference, people had the relatively high preference toward flexible cloth in material, the soft one in feel and touch, and the comparatively large size in style. In the color category, they generally favored the achromatic and blue color series. For the adjusting or straightening accessory, zipper and button types were favored. For the type of neck shape, the prefer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round, V, U, and shirt collar. Based upon the findings from survey, the functional garment was designed and produced according to types. As there was not much problem or inconvenience in design for the Unilateral Below-Knee Amputation case when wearing the clothes, this case was excluded in production. For the case of Bilateral Below-Knee Amputation wear, it was designed so that enough room could be given to the length of upper garment and side and back could be separated. For the upper garment, a rubber band was used as belt in order to prevent the tightening of waist and it was designed in the way that attachment or adjustment of prosthetic limb is easy in indoor and outdoor with application of zipper along the separation line. Many accessorial pleats were also given to knee area for easy movement. For the lower garment with Bilateral Above-Knee Amputation, a rubber band was applied to waist and a double locking device was used with button and zipper, thus making it easy to adjust the prosthetic leg. In addition, zipper was utilized in the knee area along the separation line. For the amputee case of Unilateral Above-Knee, a high frequency to wear the prostheses was found both in indoor and outdoor. Among the prosthetic devices, the higher frequency was revealed in walker than in wheelchair and crutch. For the lower garment, attention was paid to the wear-out problem in the knees and buttocks. To solve this, the less abrasive material was used together with design consideration with a link of buttocks and knees. Also, it was designed with application of separation zipper for amputees to put on or adjust the gait device without having to put off the clothes. For the upper garment, the design was adopted that its wait part could be detachable for activity and its hand part could also be separable to make a vest. The functional clothing introduced for lower limb male amputees would provid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for them as members of society that they belong to. This will help rich in the emotional satisfaction in their daily life and guid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clothing industry to improve the special garment and active marketing.

      • 당(唐)조 여자복식이미지를 활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류염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중국역사 상에서 당나라는 정치, 경제, 문화 분야에 뛰어난 성과를 얻었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당나라는 중국 고대문명의 가장 활발한 시기였으며, 세계적으로도 앞서 나가는 위치에 있었다. 후세에게는 강대한 국력, 맑고 깨끗한 정치, 번창한 경제와 태평천하의 사회로 깊은 인상을 남길뿐만아니라 찬란한 문화도 당나라의 두드러지는 장점이다. 당조의 여자 복식은 초기에는 좁은 소매, 짧은 저고리에 긴 치마가 주를 이루었으나 당의 전성기 이후에는 소매가 넓어지고 커졌다. 또 피백(披帛)을 착용하였는데 보통 가볍고 얇은 사(紗), 라(羅)로 만들었다. 긴 것은 일반적으로 2m이상 되어 양 어깨에 걸쳐 걸을 때는 자연스럽게 움직여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당대 부녀 복식은 삼(衫), 유(襦) 외에 반비(半臂)의 상의가 유행했는데 처음에는 궁녀들의 옷이었으나 민간에게까지 전해졌다. 당 중기 이후는 반비의 착용이 점차 줄어들었다. 반비(半臂)는 반소매의 짧은 저고리에서 나온 복식의 일종인데 그형태는 맞깃이며 길이는 허리까지 오고 가슴 앞에 띠를 매어 여몄다. 호복은 천보년간(天寶年間)에 유행하였는데 번령(젖힌깃)에 통좁은 소매의 포이다. 당대 부녀자들의 머리쓰개는 전신을 감싸는 멱리(冪䍦)가 있고 이것은 점차 유모(帷帽),호모(胡帽)로 성행하였다. 당 초기에는 여자들의 머리형태가 비교적 간단하였으나 태종 때에 점점높아져 형태가 더욱더 풍부하게 되었으며 머리 위에 각종 비녀나 빗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천보년간 이후에 가발이 유행하였고 오대 전성기에는 고계(高髻) 위에 각종 꽃가지를 꽂았다. 귀족여자의 복식으로 황후(皇后)의 복식은 2종류가 있다. 위의(褘衣)는 착용시 상색(裳色)을 따라 폐슬(蔽膝)을 착용하였다고 하였는데 상색은 심청색(深青色)이니 심청색의 폐슬을 착용하였다. 폐슬은 감색(緅色)으로 영연(領緣)을 삼았고 적문(翟紋)을 3등으로 무늬를 나타냈다. 국의(鞠衣) 착용은 친잠(親蠶)할 때 입는 것으로 황라(黃羅)로 만들었고 폐슬(蔽膝)은 의색을 따라 황색이다. 감색(緅色)으로 연식(綠飾)하였고 적문(翟紋) 3등이다. 당조 여자 복식은 가장 유행하였던 유군복(襦裙服)과 호복(胡服),“여성신사복”인 여착남장(女著男裝)의 세 종류의 조합이 특징이다. 특히 전반적으로 노출이 특징이다. 현대복식 요소가 매우 많아서 네크라인은 깊은 V라인으로 파이며 매우 예쁘고 화려해서, 근대의 의복 디자인에도 많은 영감을 주었다. 따라서 당조 여자의 복식 예술 연구를 통하여 현대 의복의 디자인에 응용과 개발은 의미가 있다. 당대 여자의 기본옷으로는 유(襦), 삼(衫), 오(襖), 반비(半臂), 군(裙), 피백(披帛), 호복(胡服) 등이 있다.봉건사회에 있어서 한송이 광채무비한 아름다운 장미꽃이라고 이를 수 있다. 작품1 작품은 중말기 당나라시대 귀부인들의 복식 모양을 응용하였다. 상유(上襦)는 큰 소매 셔츠를 적용 하였으며 큰소매는 아치형이다. 소재는 당나라의 고귀한 탁황색(拓黄色)이며 가볍고 투명한 사(纱)를 적용 하였으며 가벼운사로 몸을 가리는 장식의 특징을 나타내였다. 당나라 여성들은 투명한 사의(纱衣)를 즐기 였으며 나중에 5대(五代)까지 전파되었다. 사라(纱罗)를 여성 의복의 소재로 하는것은 당나라 여성 의복중의 중요한 특색이다. 유군(襦裙)은 몸에 부착된 긴 치마를 형태로하며 아래 부분은 아크형을 적용하여 큰 소매 셔츠의 아크형 소매 모양과 대응하였다. 유군은 가슴을 절반만 가리는 것으로 당나라의 “핑크 가슴을 절반가리여 숨겨진 눈설인가(粉胸半掩疑暗雪)”의 특징을 나타내였다. 유군은 비교적 두꺼우며 “보상화문(宝相花纹)”과 상사한 소재를 사용 하였다. 컬러는 조금 어두운 대추 적색을 적용하였으며 금황색 “당초문(唐草纹)” 소재로 칼라의 가장자리와 허리띠를 만들었다. 작품2 백조모군(百鸟毛裙)은 당나라에서 가장 딜럭스한 치마 이다. 작품의 상의 가장자리는 서로다른 컬러인 깃털을 적용 하였다. 또한 전지화(缠枝花)을 상의의 무늬로 하였으며 칼라는 사각형을 적용하였으며 무늬는 금황색 “당초문(唐草纹)”을 적용하였다. 치마는 적색인 “보상화문(宝相花纹)”, 금색인 “당초문”,남색인 “전지화(缠枝花)”등 4가지 무늬를 서로 결합 시켰다. 작품3 상의는 당나라에서 유행하는 반비(半臂)의 형태를 적용하였으며 칼라 입구가 넓고 크며 가슴이 드러나는 모양이다. 반비의 아래 부분은 밖으로 나타난다. 수공으로 자수한 “당초문(唐草纹)”은 칼라 가장자리 및 가슴앞의 대칭하는 문금(门襟)을 형성한다. “헬멧(盔甲)”과 상사한 모양으로 상의의 어깨 부분을 구성하였다. 길이가 무릎 이상인 넓은 유군(襦裙). 소재는 투명한 화이트 사라(纱罗)를 적용 하였으며 무늬는 비교적 큰 “보상화문”을 위주로 한다. In Chinese history, the Tang dynasty can be called the golden age with many achievements i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The Tang dynasty is the most dynamic period in Chinese ancient civilization and even takes its place in the front ranks of the world. It not only leave behind a peace society with strong national strength, clean politics and flourishing economy, splendid cultures are the obvious advantage of this dynasty as well. Tang dynasty feminine costume is in the form of narrow sleeves, short blouses and long skirts. After the prime period, sleeves get wider and much loose. Meanwhile, it also uses Phi Tang silk, which is usually made of light silk or gauze. In general, the long ones can be more than two meters long, which lies across the shoulders and moves naturally when women walking, seeming much beautiful. The main popular feminine costumes in the Tang dynasty are shirts, short jackets and half-sleeve upper dresses, which are garments for palace maids at the very start and then spread to folk. Half-Sleeve costumes become fewer after the middle period of the Tang dynasty. Half-Sleeve is a short sleeved upper dress, which is in the form of front opening, with a length reaching the waist and with straps over the breast. Hu Fu is the popular feminine costume during the Tang Tianbao years, which uses lapels and narrow-sleeve robes. The cloth covers worn on the heads of the women in the Tang dynasty can muffle the whole body, which gradually become Curtain caps and Hu caps. In early Tang dynasty, the hair styles of women are relatively simple, and gradually become higher during the Taizong period, with more and more plentiful styles and nobly decorated with hair clasps or comb around the head. Wigs are prevalent in the Tang Tianbao years, and in the flourishing time of the Five Dynasties, various flowers are inserted on GaoJi. Costumes for queens, as noble feminine garments, have two types. When Hui garments are dressed, shelters should match with the colors of the skirts, which means that if the skirt is in dark cyan, the shelters should also be dark cyan. Shelters take Zou colors for collar edges, and the patterns on cloth are Zhai Pattern in three grades. Ju garments are dressed in Qincan ceremonies. They are made of yellow gauze, and the shelters are in yellow as well matching with the shirts colors. They also take Zou colors for edge decorating, and the patterns are Zhai Pattern in three grades. Tang dynasty feminine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the most popular Slip Skirts, HuFu and Cross-dressing, which is also called “feminine man wear”. And especially, most of them are exposing. Modern costumes have many factors, and Tang dynasty costumes also provide a lot of inspirations for the designs of modern dresses. The neck lines adopt deep-V collars, seeming much beautiful and gorgeous. Meanwhile, Tang Dynasty feminine costumes’ arts make it more significant for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dress designing. The basic ones of Tang dynasty feminine costumes include short jackets, shirts, coats, Half-Sleeve, skirts, Phi Tang silk, Hu Fu, etc., which can be distinguished as a bright beautiful rose in feudal society. Works 1: It uses the style of noble feminine costume. The short jackets use big-sleeved shirt, whose sleeves are arc-shaped. And they are made of Tang dynasty noble yellow silks, light and transparent. They are characterized by costumes of covering body with light gauzes. Females in the Tang dynasty like dressing themselves with transparent gauzes and this come down to until the Five Dynasties. It is a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ang dynasty feminine costume to use silk and gauze as the apparel fabric. Slip Skirts are in the shape of close-fitting long skirts and the sweeps are also in arc shape to match with the arc-shaped wide sleeves. This kind of skirts can cover half chest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 of “half-covered pink bosoms seem as white as snow” in the Tang dynasty. They are made of thicker materials seemingly like “Baoxiang Pattern”. They use slant dark date red color and take golden “Tangcao Pattern” cloth for collar edges and waistbands. Works 2: Bird plume skirts are the most magnificent ones in the Tang dynasty. The edges of the upper garments are made of plumes in different colors. As well, they take flowers pattern for upper garments, and use square necklines for collars, which are in golden “Tangcao Pattern”. The skirts are in the four-mixed pattern of red “Baoxiang flower Pattern”, golden “Tangcao flower Pattern”, blue “Flower Pattern” and white “Flower Pattern”. Works 3: The upper garments use prevalent style of “Half- Sleeve” in the Tang dynasty, with wide necklines and in the style of bosom exposed. And the sweeps of “Half-Sleeve” are external. They adopt hand embroidery “Tangcao Pattern” to make collar edges and symmetrical front edges in the chest. And they use cloth materials similar to “corselet” to make the shoulders of the upper garments. Slip Skirts are wide and loose, with a length reaching above the knees. The cloth materials are white silk and gauze, and the patterns are based on “Baoxiang Pattern”.

      • 무형문화유산의 지식재산권 보호방안 연구

        양정미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In this knowledge-information-based society, intellectual property has emerged as a source of added value in international trade. In other words, the economic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 has increased. Recognizing IPR as a core element of creating national wealth,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finding ways of reinforcing protection of IPR, such as recogniz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promoting its use.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raditional knowledge, which remained out of protection, because it is commercialized and used as intellectual property by Western industries. Traditional knowledge, which covers all inherited knowledge, includes traditional medicine, food, and arts. There is renewed interest in the economic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its commercialization has been increasingly successful. Behind this trend, however, lies misuse and abuse of traditional knowledge by Western industries who do not seek consent from natives with traditional knowledge. As a result, the personality and identity of traditional knowledge holders is undermined, and they are ignored in the cultural and religious aspects. Moreover, a problem has emerged in that Western industries refuse to share profits created by the commercial use of traditional knowledge. Owing to advances in IT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trade, the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holders have been violated. 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a single country but is an international issue. India, for instance, has used an ingredient from the Neem tree for home remedies. However, a US pharmaceutical company acquired an international patent using this method, which eventually ended in patent cancellation due to protests by the Indian government. As the traditional knowledge or of a country become more and more commercially used, developing countries with such knowledge are demanding a firm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norms under which relevant profits are shared. To discuss international legal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mediat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advanced countries (the powerhous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genetic resources holders), WIPO established an intergovernmental committee in 2000. Since 2001, the committee has held conferences, up until December 2012 (when the 22nd conference was hosted). The process of past conferences can be summed up in four stages. The first five conferences, in Stage1,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toolkit with which to document traditional knowledge. To this end, countries directly involved agreed on a measure that includes traditional knowledge in searchable prior technology-an establishment of DB. They agreed on the need to unify natives’various languages that are used in the toolkit to a single language. However, all parties could not come to an agreement, as the developing countries insisted on stronger protection through a sui generis system. In the sixth to tenth conferences, in Stage 2, developing countries demanded legally binding international norms(e.g.,reorganizing legislation in each country while establishing DB). In contrast, advanced countries argued that it was premature to discuss norms, and that the purpose of traditional knowledge protection and consensus on principles should be first discussed. In the eleventh to nineteenth conferences, in Stage 3, both sides addressed ten issues proposed in the tenth conference. From the nineteenth to the present conference, in Stage 4, they created the unified draft on traditional knowledge,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Still, both sides are failing to find common ground.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and Brazil are strongly demanding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introduction of a sui generis system, a legally binding system of its own. Although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Japan agree on the basic concept of traditional knowledge protection, they argue that the knowledge should be protected within the frame of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Korea, with relatively less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takes the same position as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WIPO intergovernmental committe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examine its scope. That is because defini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is closely connected to what is the protection directed to and the scope of the protection. This study will identify patent-related problems with the existing IPR system by analyzing the trend of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the WIPO protection system. Also, it aims to present a defensive measure that sticks to the existing IPR protection system and a more aggressive measure (four models) that is proposed by the new system of its own. Although some traditional knowledg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can be protected by the existing IPR protection system, it is insufficient to meet all demands and expectations. For this reason, it is desirable to take various approaches to protecting traditional knowledge, because such protection cannot be achieved by one legal system alone, but by a flexible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thnic group and culture. Under the circumstances, Korea needs to review relevant IPR law that is in accord with international discussions, in order to prepare for possible enactment of international law on the sharing profits from genetic resources, and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Particularly, the country should continuously work on a DB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so as to meet requirements of PCT minimum documentation. Moreover, Korea should not remain passive, saying that it does not contain sufficient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Rather, it should realize that i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ational economy and industries with its own biotechnology and 지식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지식재산은 세계 무역 경제에 있어서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식재산권의 경제적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지식재산권을 국부창출의 핵심요소로 인식하여 지식재산 창출 및 활용촉진 등 지식재산권 보호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금까지 지식재산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보호되지 않던 전통지식이 서구산업계에 의해 이용되어 상업화가 되고 지식재산권화 되면서 전통지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지식이란,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모든 지식을 총망라하는 개념으로서 전통의약, 전통식품, 전통예술 등을 포함한다. 전통지식의 경제적 가치의 재발견과 상업화 성공사례의 증가는 전통지식에 대한 관심과 상업화를 활발하게 추진시키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서구산업계가 전통지식을 보유한 개인 또는 토착민의 동의를 얻지 않고 무분별한 전통지식의 사용과 오·남용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로인해 전통지식 보유자들의 인격 및 정체성이 훼손되고, 문화적·종교적으로도 무시당하고 있다. 그리고 서구산업계가 전통지식의 상업적 사용으로 인해 창출된 이익을 공유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국제무역의 활성화로 인하여 전통지식의 보유자들의 권리와 이익이 침해되는 문제는 단순히 한 국가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여러 나라에 걸쳐 발생하는 국제적인 문제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면, 인도에서 민간요법으로 Neem 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을 약제로 활용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한 제약회사가 이를 이용한 국제특허를 취득하였다. 하지만 인도 정부의 노력으로 그 특허는 취소가 된 사례가 있다. 이처럼 특정 국가의 전통지식이나 유전자원을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게 됨에 따라, 전통지식을 보유한 개발도상국들은 전통지식이나 유전자원의 활용과 관련한 이익을 공유하는 국제적인 규범의 확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기술 혁신 강국(선진국)과 전통지식 및 유전자원 보유 강국(개발도상국) 간에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 조정과 전통지식의 국제적 법적 보호 논의를 위하여 2000년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서 정부간위원회를 설치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 22차 회의까지 계속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회의의 과정을 간단히 4단계로 요약된다. 1단계는 1차부터 5차 회의이며, 전통지식을 검색 가능한 선행기술에 포함시킬 수 있는 방안, 즉 DB구축을 하자는 데에 양자가 합의를 한 것이다. 그 내용은 전통 지식의 문헌화를 위한 툴킷Toolkit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툴킷에 사용되는 원주민의 다양한 언어를 단순한 하나의 언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은 추가로 독자적 제도sui generis system을 통한 적극적 보호 방안을 주장하여 여전히 대립점이 남아 있었다. 2단계는 6차부터 10차 회의이다. 이 단계는 합의된 사항에 대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입장차가 드러났다. 곧 개발도상국은 DB구축을 실행화하면서 각 국가별 독자적 법령을 정비하는 등 법적 구속력을 갖는 국제 규범의 논의 진행을 주장하였다. 반면 선진국은 실질적인 규정의 논의는 시기상조이며 전통지식 보호의 목적 및 원칙 합의 도출이 우선시 돼야한다고 주장하였다. 3단계는 11차부터 19차 회의이며, 10차 회의에서 상정된 10가지 이슈를 규정하고 문안 협상을 진행하였지만 양자의 충돌은 계속되었다. 4단계는 20차 회의부터 현재까지의 전통지식, 유전자원, 전통문화표현물에 대한 문안을 단일화했다. 하지만 여전히 양자간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즉 개발도상국에 해당되는 인도, 브라질 등은 전통지식의 보호를 강력히 주장하며, 구속력있는 새로운 독자적 제도sui generis system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에 해당되는 미국, 일본 등은 전통지식을 보호한다는 기본 취지에는 동의하나 기존 지식재산권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호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리나라는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이 상대적으로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WIPO 정부간위원회에서 개발도상국의 입장보다는 선진국과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먼저, 전통지식과 무형문화유산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하는데 있어서 전통지식의 개념 정립 및 범위를 살펴보았다. 전통지식의 개념 정의는 지식재산권 제도의 보호 대상과 범위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 및 보호제도를 분석하기 위해 WIPO 회의의 진행 추이와 현행 지식재산권 제도의 특허요건이 가지는 문제점을 밝히고, 기존의 지식재산권 제도를 고수하자는 방어적 방안과 새로운 독자적 제도가 제안하는 4가지 모델, 적극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지식재산권 제도는 전통지식과 무형문화유산을 제대로 보호하기 어렵다. 전통지식의 보호는 한 가지의 법체계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국의 민족과 문화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접근법이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우리나라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