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선도 수련이 성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nfluence of Kouksundo practic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of adults.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instrument, results gathered from 232 Kouksundo adult practitioners showed: 1. Kouksundo prac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except endurance and muscular strength, of 232 Kouksundo practitioners. 2. Kouksundo prac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the practitioners. 3.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he practitioner’s gender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health and disease, sports and competence, and endurance. 4.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he practitioner’s ag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sports competence and flexibility. 5.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he practitioner’s job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health and disease, and endurance. 6. Kouksundo practice as applied to physical self-concept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factors except self-esteem. 7. The analysis according to Kouksundo practice level (dan-beup) as applied to physical self-concept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factors except body fat and slimness. The analysis according to Kouksundo practice level (dan-beup) as applied to mental health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factors. Joongki dan-beup level shows more meaningful differences than Kouksundo practitioners with higher practice level. 8. The relation between 28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24 factors except four factors. It is said that adults practicing Kouksundo shows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28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As a result, continued Kouksundo practice has good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of adults. Korea has two big problems: (1) the budget increase for public welfare by the government, and, (2) the rapidly increasing aging population. Therefore, Kouksundo practice is an alternative way to foster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aging population, as well as adults in general. 본 연구는 국선도 수련 중인 성인 232명에 대하여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선도 수련을 하는 성인들은 신체적 자기 개념에 대하여 지구력과 근력을 제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선도 수련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건강/질병과 운동/유능감, 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연령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결과는 운동 유능감,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직업별 신체적 자기개념 구성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질병 요인과 지구력 요인에서 직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국선도 수련 기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자기 존중감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7. 수련단법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분석 결과 체지방/날씬함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련단법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 분석 결과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 요인에서 중기단법이 한 단계 높은 수련단계인 건곤단법에 비해 더 긍정적 정신 상태를 나타내었다. 8. 신체적 자기개념의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체 28개의 상관 중 4개를 제외한 24개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성인들의 국선도 수련은 대체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의 요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지속적인 국선도 수련은 성인들의 긍정적 신체적 자기 개념과 정신건강에 유익한 방법이다. 이는 복지 분야에 대한 재정 지출의 증가와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가는 한국의 실정에 노인을 비롯한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필요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오창진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bility,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depending on gender?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bility,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does self-contro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Fourth, does self-efficac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4 students (97 males, 107 females) attending a middle school located in H-gu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were smartphone addiction, school lif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cales. This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April 3 to April 14, 2023.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included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naging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al anxiety in order to help students with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adapt to school life, and provide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It seems necessary to structure appropriate subjects such as activating activities. Second, specialized programs for emotional stability must be developed and actively operated so that students can be satisfied with their classes and school life and have smooth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Third,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and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hygienic use of smartphones for mental health reason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school life adapt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latter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is should also be actively conducted in parallel. Second, it is believed that developing and distributing a program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by improving their sense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will be of most practical help. Third, as a way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t is necessary to guide programs for correct smartphone use, develop and distribute counseling programs and youth mind-body training programs, develop various media that can stimulate educational interest in youth, and train related experts. It is believed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we examined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but we believe that various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also necessary. In addition, because the sampling area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sampling area of the study subject in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ways to improve school life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chool life adaptation, smartphone addic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I hope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for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for healthy school life and prevention of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 key words: Smartphone addiction, school life adaptation, self-control, self-efficacy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 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통제능력, 자기효능감 및 스마트 폰 중독에서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통제능력, 자기효능감 및 스마트폰 중독과의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기통제력이 조절하는가?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 H군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04명 (남;97명, 여;10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 학교 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는 2023년 4월 3일 부터 4월 14일까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 해서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학생들 의 학교적응과 정서적 불안에 대한 관리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체육활동 활성화 등 적절한 과목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생들이 수 업과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할 수있도록 정서적 안정 을 위한 전문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상 위생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 교육 및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의 상당수가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둔 반면, 학교생활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향후 후자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 어야 하며, 이에 대한 질적 연구도 병행하여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통제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스마트 폰 중독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 안내, 상담 프로그램 및 청소년 심신수련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흥미 를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 개발, 관련 전문가 양성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바탕으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등을 살펴보았지만 다양한 심층면담과 질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표본추 출 영역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본영역을 확대하여 연 구결과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학교생활 적 응과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가 학 생지도 및 상담 등에 활용되었으면 좋겠다. 아울러, 건강한 학교생활과 학교생활 부 적응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 다. 주제어: 스마트폰 중독, 학교생활적응,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 Test-retest reliabilities of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test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문유경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Aim: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tests are generally used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re are have been limited studies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such tests.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est-retest reliabilities of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assessment test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5 childr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children were aged 9 to 12 yea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 that all children were male (age: 10.31 ± 1.25 years old, body mass index: 21.20 ± 2.57 kg/㎡) and were selected from a school in Seosan, South Korea. All selected tests for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assessment have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are focused on testing basic components of physical condition and motor development such as strength (grip strength test), muscular endurance (modified sit-ups test), flexibility (sit and reach test),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15 m shuttle run test).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in the pretest-posttest and Bland-Altman graphs study. The convergent validity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Finally,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different tests in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assessments.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that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assessments have obtained adequate reliability parameters and are able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hildren between 9 and 12 years old. The tests used were safe, easy to perform, and suitabl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Gross motor function and health fitness assessment tests are valid, reliable, and easy to assess gross motor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적: 일반적으로 대근육운동기능과 건강체력검사가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용되고 있지만, 이 검사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대근육운동기능과 건강체력검사의 검사-재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35명의 아동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9-12세이었다.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르면 모든 참여자는 남성(연령: 10.31 ± 1.25세, 신체질량지수: 21.20 ± 2.57 kg/㎡)으로 서산의 장애학교에서 선정되었다. 대근육운동기능과 건강체력평가를 위해 선택된 모든 검사는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으며, 근력 (악력), 근지구력 (수정형 윗몸일으키기), 유연성 (좌전굴) 및 심폐지구력 (15미터 왕복달리기)과 같은 운동 발달의 기본 구성 요소를 검사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신뢰성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와 Bland-Altman 그래프 연구에서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를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수렴 유효성은 Pearson의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령 간의 차이는 분산분석 (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변인은 두 차례 검사에 대한 Pearson 상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9~12세 사이 발달장애 아동에 있어 대근육운동기능과 건강체력 평가는 적절한 신뢰성을 갖추고 있으며, 연령별 차이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즉, 두 가지 검사는 발달장애 아동에게 안전하고, 수행하기 쉬우며, 적절한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대근육운동기능과 건강체력 평가는 발달장애 아동의 재-변인들을 평가할 때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쉽게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Effect of Inline Skating on Physical Fitness and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박민구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표: 신체활동을 하는 지적장애 어린이의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장단점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APS-D를 활용하여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건강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대상자는 발달장애 판정을 받은 중고등부 학생 10명으로 구성되었고 16주 동안 주2회 총32회 수업을 하였으며, 수업시간은 매 시간 60분으로 하였다. 건강 체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2016학년도 교육과학부에서 개발한 PAPS-D 프로그램으로서 비만도 측정을 제외한 심폐기능(6분 걷기), 유연성(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근 기능(윗몸 말아 올리기),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을 적용시켜 측정하였다.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한 검사 결과는 심폐기능과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연성과 근 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변인 중 3개변인(심폐기능, 유연성, 근 기능)은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이 건강 체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의 변인(순발력)은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전 사후 검사에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된 3개 변인의 결과에 따라 결론적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의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 적용은 건강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Inline Skating on Physical Fitness and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im: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provided through physical activity programs, but it is not yet clear what effect inline skate provid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n inline skat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s physical fitness and gross motor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Five participants aged 6 to 9 years voluntarily took part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center for motor development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a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id not exercise regularly during the prior 6 months.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group (ASD, n = 3) and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ITD, n = 2). The variables included body mass index, cardiopulmonary function, flexibility, muscle endurance, and power of the PAPS-D program. This study assessed the Run, Gallop, Hop, Leap, Horizontal jump, and Slide using the gross motor development scale-II to measure gross motor development. All children performed the inline skating program for 15 min a day, 2 days a week for a duration of 8 wee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olmogorov-Smirnov test,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between groups and between times in each group.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body mass index, physical fitness, and locomotion ability seemed to be increased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 group and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after 8 weeks’ inline skating program.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imes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utistic spectrum disorder group and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Conclusion: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argeted, but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isability category and compare them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inline skating program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 중년 여성의 국선도 참여 동기와 수련 만족도에 대한 연구

        박희경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중년여성(中年女性)의 국선도 수련 참여 동기(參與動機)와 수련 만족도(滿足度)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중년여성들이 신체적(身體的), 심리적(心理的)인 변화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아정체감을 찾기 위해 국선도 수련이 유효한가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과 충청지역, 대전, 대구, 부산 등의 국선도 수련장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중년여성 2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통한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중년여성들의 국선도 수련 동기(動機)는 ‘건강을 위하여’가 가장 높았고, 체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신체 능력의 향상, 신체적 활력을 찾기 위해, 신체의 조절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순서로 나타났으며, 주제별로는 건강(健康)과 체력(體力), 생활(生活)의 전환(轉換), 즐거움, 교제(交際)의 순으로 나타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국선도 수련에 대한 만족도(滿足度)는 ‘수련을 통해 건강을 지킨다’ 가 가장 높았고, 체력을 증진 시킨다, 신체의 활력을 찾게 해 준다, 수련 장소가 마음을 편하게 해준다, 마음의 여유를 찾는다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제별 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86으로 높게 나왔으며 신체적(身體的), 정서적(情緖的), 환경적(環境的), 교육적(敎育的), 그리고 사회적(社會的) 만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련동기와 수련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모든 요인의 비교에서 p<0.001의 유의(有意)한 상관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중년여성들의 동기가 수련을 통하여 만족할 만한 긍정적 결과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선도 수련이 우리나라 여성의 40.9%, 전체 인구의 20.4%를 차지하는 중년여성의 건강(健康)과 자아실현(自我實現)을 통한 삶의 질(質)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유효(有效)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 Participate in Kouksundo. Its purpose is to utilize as the basic research data- for the middle-aged women demanded various roles in our society to receive their physical and mental changes positively and to recognize self-identity, how Kouksundo discipline is effective. I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227 middle-aged women who are disciplining at the Kouksundo centers in Seoul, Kyeong-gi Province, Choong-cheong Province, Daejeon City, Daegu City , Busan City, etc.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ings. Firstly, the middle-aged women's motivations of Kouksundo discipline show by order of this following- 'for health' is the highest, 'for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for improving systematic physical abilities', 'for gaining physical vital power', for enhancing physical controlling abilities. Classified by the subjects, the result shows by the order of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the conversion of life', 'pleasure', 'association'. So the important motivations are for health and improving the qualities of life. Secondly, the degrees of satisfaction on the Kouksundo show by the order of this following- 'to keep health through the discipline' is the highest. and 'to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the satisfaction to the discipline center', 'to find the composure of mind'. The total average of the degrees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ubjects is 3.86 as the high level. and it shows by the order of this following-'physical', 'emo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al' and 'social' satisfaction. That proves that the correlation with disciplin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p<0.001 with the comparison of whole factors. This means that the middle-aged women's motivations of Kouksundo discipline resulted in satisfactory positive consequences through the Kouksundo discipline. Accordingly, I draw a conclusion that Kouksundo discipline is effective significantly to the middle-aged women's health occupying 40.9 % of Korean women, 20.4 % of total population and through the self-realization as the method of enhancing quality of life.

      • 척추체열 검사로 알아본 대학생의 부정렬증후군 실태조사연구

        김경준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correct posture and to give awareness of Malalignment Syndrome due to prolonged incorrect posture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dividuals must utilize and maintain a correct posture while at school, work and during their social life to help maintain spinal health and lead healthy lives. Between September 30 and October 1, 2014, a total 256 H university students (122 male students and 134 female students) visited Hanseo Chiropractic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Digital Thermal Scanner and Self-Diagnosis Malalignment Syndrome Survey. Information was collected based on gender, region, academic year in school and college major. Results from the Digital Thermal Scanner demonstrated the prevalence of Malalignment Syndrome to be (56.6%)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represents over half of the the students surveyed (sample).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51.7%) were found to have Malalignment Syndrome than men. Furthermore, complications of Malalignment Syndrome were more common in women, such as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Students in lower academic yea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rate of Malalignment Syndrome; freshmen students, in particular, had the highest occurrence rate (84.7%). Overall,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had the highest occurrence of Malalignment Syndrome (95%). A total of eight questions were posed on the Self-Malalignment Syndrome Survey. Students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ree out of eight questions were considered highly likely to have Malalignment Syndrome. Out of the sample taken, it was found that (54.6%) of both men and women responded positively to three out of eight questions. The question that the highest number of women answered positively was whether their skirt or pants titled to one side (right or left) and whether their purse slipped off easily (56.2%). The question that men answered positively to most commonly was whether they were leaning on one foot (51.2%). Results from the Digital Thermal Scanner and Self-Diagnosis Malalignment Syndrome Survey reveal that over fifty percent of university students have Malalignment Syndrome.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studies on Malalignment Syndrome in adolescents, yet there is hardly any research on Malalignment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early prevention and care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early twenties, since this is an important period of life for maintaining long term health and forming good health habits. This paper addresses patients with Malalignment Syndrome, however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treat those currently with Malalignment Syndrome.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자세의 실태를 파악하고 바르지 못한 자세의 장기화로 인해 신체의 균형이 깨지며 나타나게 되는 부정렬증후군을 인식시키며 대학생들의 척추 건강과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올바른 생활습관 자세를 형성시켜 근골격계 질환을 조기 예방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대상자는 2014년 9월 30일부터 2014년 10월 1일까지 충남 서산시 H대학의 한서카이로프랙틱센터에 방문한 총 256명(남122, 여134) 중에서 척추체열검사와 부정렬증후군 자가진단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성별, 부위별, 학년별, 그리고 학과별로의 부정렬증후군의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척추체열검사로 검사된 대학생의 부정렬증후군의 발병률은 145명 56.6%로 연구대상자의 반이 넘는 비율을 보였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의 부정렬 비율이 75명 51.7%로 높았고 여성이 좀 더 복합적인 (경추+흉추+요추) 척추 부정렬을 가지고 있었다. 학년별에서는 고학년 보다는 저학년이 특히 1학년의 부정렬 비율이 50명 84.7%로 높았으며, 학과에서는 치위생과가 부정렬의 비율이 19명 95%로 높게 나타났다. 자가 부정렬진단 설문에서는 총 8문항의 설문조사에서 3개 이상이 Yes 이면 부정렬 증후군으로 의심할 수 있는데 남녀 140명 54.6%가 3개 이상에 Yes로 표시 하였다. 설문지 문항 중에 남성은 한쪽 다리에 체중을 싣고 서있는 습관이 61명 51.2%, 여성은 치마나 바지가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고 핸드백 가방끈이 자꾸 흘러내린다가 77명 56.2%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처럼 척추체열기와 설문으로 조사되어진 대학생들의 부정렬증후군의 분포는 반이상이 넘는다. 하지만 청소년에 비해 성장이 정지된 연령대인 대학생들의 부정렬증후군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평생의 건강의 밑거름이 되는 성인 초기 시기인 대학생들에게 부정렬증후군이 발병하지 않도록 대학교에서는 주기적인 예방프로그램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이미 부정렬증후군이 진행된 대학생들을 위해서 단순한 조사 연구를 넘어선 본격적인 치료방법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 국선도의 생명 사상 연구 : 精氣神 三丹田의 양생론을 중심으로

        최동춘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 문 초 록 국선도법은 한 민족의 심신 수련 양생법이다. 양생이란 생명을 기른다는 의미로 건강을 유지하여 장수하는 방법을 말한다. 무병장수(無病長壽)는 인간이 추구하는 본능적인 욕구이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제 생명 사상 속에서 공통분모를 도출하여 이를 정기신 삼단전에 근거한 국선도의 양생론을 현대의 생명 사상으로 확장하는 그 기초를 다지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동양의 儒·佛·道의 생명 사상은 불이(不二), 불이(不異)이다. 모든 생명은 유기적으로 연결된 한 생명이라는 것이다.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조화로운 통일을 이루며 어울려 사는 천지인 합일의 자연 중심적 또는 자연 동화적 삶이다. 둘째, 서양의 생명 사상은 주로 생물체 중심으로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창조적 관점과 진화론적 관점이 있다. 서양에서는 각각의 개체가 독립적인 생명으로 그 개체들이 모여 전체를 이룬다는 관점이다. 셋째, 우리 민족의 생명 사상에는 인간과 자연을 함께 살리는 홍익의 정신이 있다. 단군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사상은 인간만을 널리 이롭게 하라는 인간중심주의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며 상생하는 생태·환경적 세계를 이룸으로써 인간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을 널리 이롭게 하는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존중을 의미하는 홍익 생명 주의라 할 수 있다. 또 동학의 경천(敬天)의 천(天)은 우주 자연을 의미하며, 경인(敬人)은 인간존중이며, 경물(敬物)은 땅 위의 모든 것들을 존중하는 천지인(天地人) 삼재론(三才論) 공생적(共生的) 생명 사상이다. 넷째, 국선도의 생명 사상은 정기신(精氣神)이다. 유기체의 몸은 정이요 유기체의 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는 기이며 생명 활동은 신의 작용이다. 인간의 육체는 정이요,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에너지는 기이며, 인간의 삶을 주재하는 정신은 신이다. 모든 생명은 정기신을 갖추고 있다. 생명체의 몸은 정이요, 생명체의 활동성은 기이며, 생명체의 정신은 신이다. 식물의 뿌리[精]가 튼튼하면[精實] 가지와 잎과 꽃[氣]이 탐스럽고[氣壯] 그 식물의 어우러진 모습[神]이 아름답다[神明]. 마음의 참됨[眞: 精]은 착함[善: 氣]으로 드러나고 그 인품은 덕스러워 아름답다[美: 神]. 국선도 수련은 정각도[精實], 통기법[氣壯], 선도법[神明]을 수련하여 극치적 체력[精實], 고귀한 정신력[氣壯], 숭고한 도덕력[神明]을 얻는다. 조신(調身)은 정이요, 조식(調息)은 기이며, 조심(調心)은 신이다. 그동안 국선도를 통한 심신의 건강증진 측면에서는 다방면의 연구가 되었으나 그 근본 가치인 생명 사상에 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생명 사상이라는 측면에서 국선도의 정기신을 조명한다. 또 이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발판으로 국선도가 미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 생명 사상, 국선도, 정기신, 단전호흡, 양생, 무병장수. ABSTRACT A Study on the Life-Force Concept of Kouksundo - Perspective on the Internal Alchemy Theory of Jung ·Qi ·Shin Samdanjeon Dongchun Choi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Major in Sundolog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Promotion Hanseo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yunmoon Kim Kouksundo is an ancient inherited Korean way of fostering life-force by cultivating the body(jung), mind(qi), and spirit(shin). In this way, one could preserve his/her own health, gain longevity, and enhance his/her quality of life. Attaining a healthier and longer life is an instinctive desire pursued by human beings throughou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mmon denominator in both the Eastern and Western approach to the idea of a healthy life, by integrating mind, body, and spirit which can be called the concept of Jung ·Qi ·Shin Samdanjeon. The result will also lay the foundation for expanding the theory about fostering life-force in Kouksundo to a more modern way of healthy living. To begin, Eastern life philosophie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re organically connected. They are naturally-centered or are idealistic versions of life as represented in the Cheon Ji Yin concept which is interpreted as living together in harmony within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human. Furthermore, the Western way of thinking based on Christianity’s way of life is mainly focused on each living creature with its own creative and evolutionary perspective. In the West, each individual is thought to be an independent life who bond together with other individuals to form a coherent whole, or humanity. In addition, there is contained in the spirit of Hong-ik the idea that humans and nature are bound together—the philosophy from Dangun who is known to be the founder of ancient Korea. Dangun's idea of Hong-ik has a different connotation than humanism, rather it's Lifeism which means, fundamental respect for life that benefits all lives that exist in the human world by leading an ecologically beneficial world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and circulate. Finally, Gyeong-cheon, respecting Heaven in Dong-hak, a religious movement in 19th century which means Eastern Thought, is a concept that arose against the Western Thought or religion. Gyung-in is human respect, and Gyungmul is respecting everything in all sentient beings. ‘Cheon Ji Yin, Samjae-ron,' the Heaven, Earth, Human was born to be coexisting and is the fundamental philosophy of Dong-hak. The Life-Force Concept of Kouksundo encompasses the theory of Jung ·Qi ·Shin. The energy of the human body is Jung, the energy to sustain life in the body is Qi and life’s activities are the work of God, or Shin. According to Kouksundo, every life has its Jung, Qi and Shin. The body of life is Jung, the activity of life is Qi, and the spirit of life is Shin. For instance, in plants, if the roots of the plants[Jung] are strong, the leaves of the branches and flowers[Qi] are gleaming, then the combination of the plants[Shin] are beautiful. In human beings, the truth of the heart[Jung] is manifested in goodness[Qi], then the personality is virtuous and beautiful[Shin]. The training of Kouksundo is to acquire the ultimate physical strength, noble mental health, and moral maturity through the ideal training of Josin (Jung, harmonious body), Josik(Qi, harmonious breath), and Joshim(Shin, harmonious spirit). Until now, there has been multidisciplinary studies in terms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mind and body through Kouksundo practice, but there has been no studies on the fundamental value of life.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Kouksundo theory of Jung ·Qi ·Shin in terms of Life-Force Thought. The new perspective gain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ssibly contributing to the healthy living of future generations. Main terms : Thought of life-force, Kouksundo, Danjeon breathing, Fostering life-force, Longevity. 국선도법은 한 민족의 심신 수련 양생법이다. 양생이란 생명을 기른다는 의미로 건강을 유지하여 장수하는 방법을 말한다. 무병장수(無病長壽)는 인간이 추구하는 본능적인 욕구이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제 생명 사상 속에서 공통분모를 도출하여 이를 정기신 삼단전에 근거한 국선도의 양생론을 현대의 생명 사상으로 확장하는 그 기초를 다지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동양의 儒·佛·道의 생명 사상은 불이(不二), 불이(不異)이다. 모든 생명은 유기적으로 연결된 한 생명이라는 것이다.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조화로운 통일을 이루며 어울려 사는 천지인 합일의 자연 중심적 또는 자연 동화적 삶이다. 둘째, 서양의 생명 사상은 주로 생물체 중심으로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창조적 관점과 진화론적 관점이 있다. 서양에서는 각각의 개체가 독립적인 생명으로 그 개체들이 모여 전체를 이룬다는 관점이다. 셋째, 우리 민족의 생명 사상에는 인간과 자연을 함께 살리는 홍익의 정신이 있다. 단군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사상은 인간만을 널리 이롭게 하라는 인간중심주의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며 상생하는 생태·환경적 세계를 이룸으로써 인간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을 널리 이롭게 하는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존중을 의미하는 홍익 생명 주의라 할 수 있다. 또 동학의 경천(敬天)의 천(天)은 우주 자연을 의미하며, 경인(敬人)은 인간존중이며, 경물(敬物)은 땅 위의 모든 것들을 존중하는 천지인(天地人) 삼재론(三才論) 공생적(共生的) 생명 사상이다. 넷째, 국선도의 생명 사상은 정기신(精氣神)이다. 유기체의 몸은 정이요 유기체의 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는 기이며 생명 활동은 신의 작용이다. 인간의 육체는 정이요, 인간을 살아가게 하는 에너지는 기이며, 인간의 삶을 주재하는 정신은 신이다. 모든 생명은 정기신을 갖추고 있다. 생명체의 몸은 정이요, 생명체의 활동성은 기이며, 생명체의 정신은 신이다. 식물의 뿌리[精]가 튼튼하면[精實] 가지와 잎과 꽃[氣]이 탐스럽고[氣壯] 그 식물의 어우러진 모습[神]이 아름답다[神明]. 마음의 참됨[眞: 精]은 착함[善: 氣]으로 드러나고 그 인품은 덕스러워 아름답다[美: 神]. 국선도 수련은 정각도[精實], 통기법[氣壯], 선도법[神明]을 수련하여 극치적 체력[精實], 고귀한 정신력[氣壯], 숭고한 도덕력[神明]을 얻는다. 조신(調身)은 정이요, 조식(調息)은 기이며, 조심(調心)은 신이다. 그동안 국선도를 통한 심신의 건강증진 측면에서는 다방면의 연구가 되었으나 그 근본 가치인 생명 사상에 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생명 사상이라는 측면에서 국선도의 정기신을 조명한다. 또 이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발판으로 국선도가 미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사회적지지, 직무 만족도

        김민조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65세 이상 연령층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인구 고령화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유병률이 높고 의료비 및 간병비 부담이 큰 고령 노인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회와 가족의 부담은 더욱 가중 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과 사회적지지, 그리고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수준은 어떠하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업무부담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상사, 동료, 가족, 그리고 친구 등의 사회적지지 수준은 어떠하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지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도는 어떠하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서산 지역에서 활동하는 방문 요양보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 for Windo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은 등급별 업무부담, 일 평균 활동 시간, 요양보호사 활동 외의 업무부담 순으로 높았다. 또 요양보호사의 학력, 생활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업무부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지지 총점은 평균 44.90점이었으며,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 친구의 지지, 가족의 지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차이 분석에서는 상사의 지지와 동료의 지지는 연령과 생활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는 연령, 생활수준, 건강상태, 경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 만족도는 평균 41.33점이었으며, 연령, 생활수준, 건강상태에 따라서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방문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사회적지지,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만 투입한 모델 1에서는 건강상태만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11.6%였다. 업무부담 변인을 추가한 모델 2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건강상태만이 유의미하였고 업무부담 변인은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모델2의 설명력은 모델1보다 2.5% 증가한 14.1%였다. 사회적지지 변인을 추가한 모델 3에서는 건강상태, 상사의 지지, 가족의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모델 3의 설명력은 모델 2보다 26.4% 증가한 48.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문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사회적지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급변하는 시대에 효 사상이 무너지고 이기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여 부모님의 돌봄을 소홀히 함으로써 정부의 대책으로 요양보호사제도를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음에 자녀 대신 효 도우미로 일하시는 방문 요양보호사의 업무부담, 사회적지지,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방문 요양보호사의 처우가 좀 더 나아지기를 기대해본다. As the number of elderly seniors, who have a high prevalence rate and a large burden of medical and nursing expenses, is increasing rapidly, the elderly support burden of society and families is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burde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care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ow the level of work burden of visiting care workers i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ork burd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how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f the visiting care worker's supervisors, colleagues, family members, and friends is, an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ird, how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care workers i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Last, what the affective factors are on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care workers. To achieve the goals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n 150 visiting care workers in Seosan, Chungcheongnam-do.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k burden of visiting care workers was highest on task burden by grades, followed by average daily working hours, and work burden other than the care worker activities, orderly.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work burden according to the care worker's education level, standard of living, and health status. Second, the total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44.90 points in average, which was high in order of support from supervisors, colleagues, friends, and family members.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analysis,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the support from colleagues according to their age and standard of living, and the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the support from friend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ge, standard of living, health status, and career. Third, job satisfaction was 41.33 points in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age, standard of living, and health status. Four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burde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care workers. As a result, only health statu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Model 1 in which only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input, with 11.6% of the explanatory power. In Model 2, in which the work burden variable was added, only th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le all of the work burden variables were in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2 was 14.1%, which was 2.5% higher than that of Model 1. In Model 3, social support variables were adde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the health status,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3 increased by 26.4% to 48.5%, compared to Model 2. Lastly, we suggested several resolut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reatment of visiting care workers, since the parental support function of the family is gradually weakening.

      • Effects of Exercise Addic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Musculoarticular System in Collegiate Men

        오현종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People may experience depression owing to excessive stress, unexpected events or accidents, or even for no particular reason. Specifically, the level of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young population is seemingly serious. College students take part in physical activities or exercise programs to eliminate such stress or depression. On the contrary, indulging in excessive exercise may bring about adverse effe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addic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the musculoarticular system in collegiate men. Materials and Methods: 40 male subjects (mean 20.52 ± 1.15 years) who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activities or exercises programs with intentions to alleviate stress or depressive feeling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addiction group (n=24) and control group (n=16). The participants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chosen using the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Kang, 2009; Allegre et al., 2006; Hausenblas and Symons Downs, 2002; Taranis et al., 2011; Thompson and Pasman, 1988). The stress and depression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referred to Kim (2001) and Jeon and Lee (1992), respectively. Moreover, the isokinetic machine was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musculoarticular system, which tested elbow and knee joints at 60°/se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software. All data are repor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groups were evaluated with the non-parametric analysis (Mann-Whitney U test). The between-group factor was the study groups (i.e. exercise addiction group vs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analyses was set a priori at p ≤ .05.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e of exercise addiction through instruments provided for each examination of exercise addiction, exercise dependency, and exercise obligation except for the one examined the exercise compulsion. The state of exercise addiction was distinguish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Second, although the stress levels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the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reas, percent fat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musculoarticular functionality of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represented through measurements of peak torque, work per repetition, and total work exerted from both elbow flexor and extens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ogether with similar measurements of isokinetic variables exerted from flexor and extensor of knee joints. Conclusion: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ere thought to be psychologically addicted to exercise, however, they actually exhibited less depression and higher physical functionality in their musculoarticular system seemingly due to the positive effects attained from exercise addiction. The amount of time the exercise addiction group was involved in exercise was 5.08 ± 4.11 yea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사람들은 누구나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예측하지 못했던 사건이나 사고로 인해, 심지어 아무런 이유 없이 우울증을 경험한다. 특히, 인간의 발달 단계상 가장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해야 할 청년층에게서 이 우울증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청년층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활동이나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이 신체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적•심리적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것을 즐기는 것 이상으로 생활의 중심이 되는 과도한 운동 즉, 운동에 중독되어 역효과를 일으키기 쉽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운동중독이 과연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우울증 및 근관절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연구에 착수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총 40명 (20.52 ± 1.15세)으로 규칙적인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자들이었으며 주로 스트레스나 우울증상 등을 해소하기 위해 운동에 참여했다고 밝힌 사람들만을 대상자들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운동중독집단 (n=24)과 통제집단(n=16)으로 나누어 연구에 임하였다. 운동중독집단에 포함된 참여자들은 선행연구 (Kang, 2009; Allegre et al., 2006; Hausenblas and Symons Downs, 2002; Taranis et al., 2011; Thompson and Pasman, 1988)에서 제시한 설문지를 통해 선별하였다. 한편, 스트레스 수준과 우울증 정도는 Kim (2001)과 Jeon & Lee (1992)가 보고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였다. 운동중독에 따른 근관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60°/sec에서 경첩관절인 주관절과 슬관절의 근기능상태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두 집단 간의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에 의한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검정 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p ≤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본 연구에서 선별한 운동중독집단은 운동중독, 운동의존, 의무적 운동 설문지에서 운동중독자들로 판명되었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강박적 운동 설문지를 제외하고는 세 가지 설문지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운동중독집단의 스트레스수준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울증 수준은 운동중독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집단의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체지방율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중독집단의 근관절계의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자 한 주관절 굴근(flexor)관 신근(extensor)의 최대회전력 (peak torque), 반복횟수 당 일량(work per repetition) 및 총일량(total work) 등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슬관절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운동중독집단은 운동기간이 5.08 ± 4.11년으로 그리 길지 않았고, 통제집단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뤄보아 심리적으로는 운동에 중독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은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운동을 통해 낮은 우울증 수준과 높은 근관절계 기능 상태를 보여 운동중독의 부정적인 효과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Health Fitness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남신영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적: 암에 대한 신체활동의 보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몇 가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지만, 난소 암 환자에게는 실험적 증거가 부족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난소 암 생존자의 신체구성, 건강 체력 및 면역 관련 기능에 대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재료 및 방법: 33세에서 58세의 난소 암 생존자들이 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난소 암을 제거하고 서울 송도병원 운동 면역 센터에 등록하여 1년 이상 정기적으로 관리를 받고자 한 환자들이었다. 이 연구에는 6명의 참가자가 등록되었다. 참가자들을 운동군 (n = 3)과 대조군 (n = 3)으로 배정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의 평균 ± SD 연령은 48.33 ± 9.22세였으며, 평균 체중은 55.73 ± 11.95 kg이었다. 운동군은 일주일에 1~3회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운동군은 5분 간의 준비운동을 시작으로 3단계의 운동 세션(저항운동+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다. 5분 동안 스트레칭으로 프로그램을 마쳤다. 결과: 실험 종료 후 대조군의 변인들과 비교하면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고 운동군의 근력, 근지구력 및 유연성을 증가시켰다. 이 연구는 또한 규칙적인 운동이 선천성 면역 기능 중 림프구 백분율을 개선하고 총 NK 세포 백분율 및 NKG2D + NK 세포 백분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조군의 변수를 비교하면, 규칙적인 운동은 helper T 세포, Th1 / Th2비, CD8+PD-1+T 세포 퍼센트 및 세포 독성 퍼센트를 개선하는 한편, CD4/CD8비를 감소시켰다. 결론: 규칙적인 운동은 근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며,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 기능 모두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었다. Aim: Several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 protective action of physical activity against cancer, but there is a lack of experimental evidence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immune-related functions of ovarian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Ovarian cancer survivors aged 33 to 58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enrolled in the Exercise Immune Center of Seoul Songdo Hospital, having undergone removal of ovarian cancer and experiencing regular care for over one year. Six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ercise group (n = 3) and a control group (n = 3). The mean ± SD age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48.33 ± 9.22 years, and mean body weight was 55.73 ± 11.95 kg.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exercise program one to three times a week. Exercise began with a 5-minute warm-up. Next,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phases of workout sessions lasting 30 – 40 min, walked for 50 – 60 min on consecutive days prior to resistance exercise sessions, and then finished their program by stretching for 5 min. Results: Regular exercise helped to maintain a healthy weight and increased strength,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also found that regular exercise impacts immune function by improving lymphocyte percentage and increasing total NK cell percentage and NKG2D+ NK cell percentage. Moreover, regular exercise improved helper T cell count, Th1/Th2 ratio, CD8+PD-1+ T cell percentage and cytotoxicity percentage, while decreasing the CD4/CD8 ratio in the exercis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regular exercise improves muscle function,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general function of the human body, leading to desirable changes in both the innate and acquired immune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