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3~4학년 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담화이해력

        이조영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서론: 담화는 말로 실현되는 구어 담화와 글로 실현되는 문어 담화로 나뉜다. 학령기에는 문어 담화를 활용한 의사소통 기술이 확장된다(Pae, 2016). 교육부(2015)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과 목표 성취를 담화 듣기와 읽기 이해의 정도로 측정한다. 따라서 담화 듣기와 읽기 수행은 교과 성취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구어 담화 이해는 듣기를 통해, 문어 담화이해는 낭독과 묵독을 통해 이루어진다. 낭독은 입으로 소리를 내어 글을 읽는 읽기 방식을 말하며, 묵독은 소리를 내지 않고 눈으로 글을 읽는 읽기 방식을 의미한다. 낭독과 묵독에 따라 읽기이해력은 달라진다(신미향, 2005; 왕억문, 원미진, 2017). 또한 읽기이해력은 해독과 읽기유창성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설아영, 2016; Gough, Tunmer, 1986 ; Kim, 2020), 언어이해력과 서로 연관을 가지므로 듣기모드와 읽기모드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담화 이해는 이해 질문의 유형(사실적 정보이해, 추론)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정미란 2009; 장현숙, 이은주, 2016) 다양한 질문 유형을 사용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발달성 난독은 정상 범주의 지능을 보유함에도 정확하고 유창한 낱말 해독 및 철자법에 어려움을 가진다(배소영, 신가영, 2017). Bishop과 Snowling (2004)은 학령전기에 언어장애를 보인 학생이 난독을 동반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해독과 읽기 유창성에 어려움 보이는 발달성 난독 집단과 제한된 어휘력과 난독을 동반하는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담화이해력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지와 언어 및 읽기에 정상 범주의 발달을 보이는 일반집단과 정상 범주의 인지 및 언어 발달을 보이나 제한된 읽기능력을 보유한 발달성 난독 집단, 정상 범주의 인지 발달을 보이나 제한된 읽기 및 언어 능력을 보유한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낭독모드에서의 세 집단별 읽기유창성(소요시간, 오류 음절수) 능력을 분석하여 담화 읽기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대상은 총 39명으로 초등 3~4학년의 일반아동 13명, 발달성 난독아동 13명, 읽기의 어려움을 동반한 언어학습장애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 집단 모두 한국어 비언어성 지능검사에서 지능지수 85 이상으로 정상 범주에 속하며, 교사 및 부모에 의해 신체 발달과 정서, 감각에 이상이 없음이 보고되었다. 일반 집단과 발달성 난독집단은 수용어휘력검사에서 백분위수 21 이상으로 어휘력에 어려움이 없으나,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경우 백분위수 20 이하로 낮은 어휘력을 보유하였다. 일반 집단은 한국어읽기검사의 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세 영역에서 표준점수 85 초과로 정상 범주였다. 그러나 발달성 난독 및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중 한 개 이상의 영역에서 표준점수 85 이하에 속해 읽기 어려움을 보였다. 담화이해 과제는 한국어 해독해(배소영, 2017)와 이조영 외(2019)를 참고하여 학년에 친숙한 주제의 6개의 이야기글로 구성되었다. 이야기글의 길이는 한국어 읽기검사의 초등 3~4학년용 유창성 텍스트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텍스트별 난이도가 비슷하도록 제작하였다. 검사 시 텍스트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별 6개 유형을 구성하였으며, 순서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마다 제시 순서를 달리하였다. 대상자는 42개의 이해 질문(텍스트별 7문항; 사실적 정보 4문항, 추론 3문항)에 구어로 응답하였다. 연구문제별로 집단(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 집단*질문유형(사실적 정보, 추론)에 대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시행하였다. 낭독모드에서의 유창성(소요시간, 오류 음절 수)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집단 간 비교를 하였다. 모든 통계 처리는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세 집단의 담화모드에 따른 담화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F=.746, p=.564), 집단(F=10.746, p=.000)과 담화 모드(F=9.678, p=.000)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집단에 대한 주효과를 사후분석한 결과 일반과 발달성 난독 집단의 수행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담화모드에 대한 주효과를 사후 분석한 결과, 낭독과 묵독, 낭독과 듣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묵독과 듣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등3-4학년의 일반 집단과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난독 및 언어학습장애 집단 모두 읽기이해에서 듣기이해보다 더 나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교과보다 짧게 조절한 친숙한 내용의 담화 텍스트를 구성하여 사용한 것과 시간제한이 없이 과제를 시행한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즉 읽기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 조절된 텍스트와 여유 있는 읽기 시간을 제공하는 등의 발판을 통해 읽기를 활용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읽기모드(낭독, 묵독) 중 낭독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읽기이해의 제한을 보완하기 위해 낭독하여 읽는 연습과 과정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난독과 함께 빈약한 어휘를 보유한 언어학습장애집단은 일반 및 발달성 난독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은 담화이해력을 보였다. 즉 친숙한 주제의 조절된 텍스트일지라도 낮은 어휘력과 읽기기술로 인해 발달성 난독아동보다 제한된 이해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담화이해에 제한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읽기능력 향상과 더불어 어휘학습을 함께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세 집단의 질문유형에 따른 담화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F=3.693, p=.035). 상호작용효과에 대하여 사후 분석한 결과, 사실적 정보 이해 질문에 대하여 일반 및 발달성 난독 집단은 비슷한 수행력을 보였으나, 언어학습장애집단은 유이하게 낮은 이해력을 보였다. 이는 해독 가능한 텍스트를 제공할 때 일반과 발달성 난독 아동의 수행력에서 차이가 없다는 국제난독협회의 주장을 지지한다. 반면 추론적 이해질문에 대하여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다른 이해력을 보였다(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 이러한 결과는 읽기의 어려움을 동반한 아동이 제한된 해독 및 유창성으로 인해 ‘읽기’ 자체에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읽기 어려움을 동반한 아동의 인지적 자원의 부족은 읽은 내용에 대한 고차원적인 추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읽기기술을 개발하고 읽거나 들은 내용에 대하여 다각적인 활동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낭독모드에서 보인 세 집단의 읽기 소요시간(F=4.698, p=.015)과 오류 음절 수(F=15.840, p=.000)를 비교한 결과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읽기 소요시간과 오류 음절 수 모두에서 일반과 발달성 난독 집단, 일반과 언어학습장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발달성 난독 집단과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읽기유창성 측면에서 속도와 정확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측정된 이해력에서는 발달성 난독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발달성 난독 아동의 경우 조절된 텍스트와 친숙한 주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경우, 더 나은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 학습 장애 아동에게는 충분한 시간과 언어지원뿐만 아니라 읽기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Discourse comprehens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communication and can have an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s children enter school age and acquire writing, these skills expand to include written discourse (Pae, 2016).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easures the achievement of 3rd and 4th graders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hear, read, and understand discourse. Therefore, children’s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an integral par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understanding of spoken discourse is acquired through listening, but written discourse can be understood via two methods;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Oral reading refers to reading aloud using one’s voice. Silent reading refers to reading with the eyes, without making a sound.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reading method (Wang and Won, 2017; Cho, 1998; Shin, 2005). Gough and Tunmer (1986)’s Simple View of Reading (SVR) suggests that both decoding abil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skills are needed to achieve reading comprehension. Additionally, several studies (Kim, 2020; Seol, 2016) have reported that the ability to read quickly and accurately predicts reading comprehension.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chieve reading comprehen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bility to decode along with reading fluency. Moreover, since language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related to one anoth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two discourse modes together. Additionally, discourse understan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questions being asked (factual information vs. inference) so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comprehension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s (Jang and Lee, 2016; Jeong, 2009). Developmental Dyslexia (DD) is a category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which individuals have difficulty decoding words fluently and correctly, along with difficulty spelling, despite having normal intelligence (Pae and Shin, 2017). Bishop and Snowling (2004) found that in students with Language Learning Disorders (LLD) in early school age, these language disorders may also appear comorbid with dyslexi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school-age discourse in children with DD and children with LLD accompanied by dyslex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scourse comprehension in various discourse modes (listening,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among children with DD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and LLD children with dyslexia and a vocabulary deficit. Additionally, the reading duration, and the number of incorrectly read syllables in the reading passages exhibited by children in each group were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o examine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13 children with DD, and 13 children with LLD, for a total of 39 participants. All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normal intelligence, having received a score of 85 or higher on the figure section of the Korean Nonverbal Intelligence Test (K-CTONI-2), and there were no reported abnormalities in physical, emotional, or sensory development according to teachers and parents. Children in both the TD and DD group received scores in the 20th percentile or higher on the receptive section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R), indicating that they did not have any language disorders. Children in the LLD group, on the other hand, received scores beneath the 20th percentile on the REVT-R. Children in the TD group received a score of 85 or higher on the Korean 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in the three areas of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Conversely, children in the DD and LLD groups received a score of 85 or less in at least one area of the KOLRA. The text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were comprised of six stories (Supermarket Errands, Birthday Party, Watching Movies, Going to the Library, Hospital, and Changing Day) which were pulled from Hangukoh Haedeokhe (Kim et al., 2017), Lee et al. (2019), and the reading fluency section of the 3rd to 4th graders of the KOLRA. The texts were then adjusted to control and match the number of syllables (310syllables), differentwords(80-85), and sentences (10sentences) ; including complex sentences (approximately 8). In addition, the six texts were divided according to discourse mode. The order of discourse mode comprehension tasks was varied, with one third of the children using oral reading first, one beginning with silent reading, and one third beginning with listening. All of the texts were provided in the same order; however, the discourse mode order was staggered to counter the repetition effect. After the children were asked to listen, read aloud (oral reading), or read with his or her eyes (silent reading); they were asked a series of comprehension questions. Seven questions were provided for each text; including 4 factual information comprehension questions and three inference questions. The questions were asked immediately after reading or listening, so that children were able to answer the comprehension questions directly after reading or listening to the texts in one of the three discourse mod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a repeated two-way ANOVA was conducted for group (TD, DD, and LLD), discourse mode (listening, oral reading, silent reading) and question type (factual information, inference). Post-test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fter one way variance analysis for each group’s reading fluency (required reading time) and reading accuracy (error syllable count).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5.0.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of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discourse mode revealed no interaction effect(F=.746, p=.564), between group (F=10.746, p=.000) and discourse mode(F=9.678, p=.000).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group was significant. Results of the post-analysis of the main effect on the group showed that only the L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TD group. Results of the post-analysis of the main effect on the discourse mode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al and silent reading, and oral reading and listening. However,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silent reading and listen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in this study used vocabulary that is familiar to students in grades 3 to 4, and presented them with 6 adjusted discourse passages, which were controlled for length and complexity. In addition, there was no time limit placed on the task, so children were able to take as long as they needed to perform the comprehension task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D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DD.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text adjusted for reading in order to ai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D in the future. In contr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the adjusted text, children in the LL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TD group. These results may indicate a possibility that the LLD group may have a vocabulary deficit alongside a difficulty with decoding. Consequently, children with LLD may be expected to face greater difficulties with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with children with DD.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and support the vocabulary learning of children with LLD and dyslexia. Analysi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according to question type and group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F=3.693, p=.035). Post-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showed that the TD and DD group showed similar performance on the factual information question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ourse comprehension between the DD and LLD group. For inference ques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between the TD and DD groups, the TD and LLD groups, and the DD and LLD groups. Inference comprehen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chool aged children, and studies have found that children with language disabilities show deficits in reasoning due to difficulty performing tasks as a result of limited working memory. Therefore, the role of the SLP should not only be focused on language development, but also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hool-age discourse comprehension. Analysis of the oral reading time(F=4.698, p=.015) and number of wrong syllables(F=15.840, p=.000) to oral reading mode and group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Us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and controlled texts; various accommodations and methods of support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LD can be expanded by considering discourse modes suitable for each child’s disability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the SLP in this should not be confined to language development, as reading support is also essential.

      • 기능성위장관질환을 가진 대학생의 자가간호 구조모형 : 만성질환 자가간호 중범위이론을 중심으로

        이아람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기능성위장관질환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간호과정에 대한 구조를 규명하고 만성질환 자가간호 중범위 이론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평가,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 포함된 변수로 외생 변수는 동기, 자신감, 습관, 다른사람의 지지, 의료접근성이며, 내생 변수는 자가간호과정, 삶의 질, 증상심각도, 적응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 K도, G도에 소재한 대학생으로 ROME IV Diagnostic Questionnaire for Adult(R4DQ)을 통해 기능성소화불량, 과민성장증후군, 기능성변비로 진단받은 자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총 20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을 시행했으며 적합도 지수를 기준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자가간호과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1.993, p=.048), 두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삶의 질은 높고(F=2.126, p=.035), 증상심각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2.203, p=.022). 확인적요인분석과 탐색적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정제과정을 거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지수는 적합도는 χ2=644.873(p<.001), Normed χ²(CMIN/df)=1.796, RMSEA=0.064, SRMR=0.091, TLI=0.907, CFI=0.920으로 권장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10개의 가설 중 5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기능성위장관질환을 가진 대학생의 자가간호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신감(β=0.577, p<.001), 습관(β=0.316, p<.001), 의료접근성(β=0.274, p<.001)이었으며, 자가간호과정은 증상심각도(β=-0.203, p=.01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습관이 단일질환집단보다 중복질환집단에서 자가간호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R.=2.051). 따라서 기능성위장관질환을 가진 대학생의 자가간호 향상을 위해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중복여부를 확인하고 조기에 예방해야 하며 자신감과 습관, 의료접근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개별적인 중재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지식-태도-실행 모델을 통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청각지식 분석 및 난청 노인을 위한 청각중재용 교육책자 개발

        곽찬범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목적: 전세계적인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화성 난청과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의 중요성과 더불어 질환 간 연관성의 파악과 중재 방안의 필요성을 야기하였다. 노화성 난청은 생애주기에 걸친 노화의 영향으로 인해 청각계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이며 생애주기 중 축적된 청각적 자극으로부터의 노출이 노화와 결합되어 발생한다. 치매 역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의 저하로 유발되는 의사소통의 문제와 신체적 능력의 저하로 인한 자기주도적 일상 생활의 제한을 보인다. 노인 코호트 연구를 통해 난청은 치매의 발생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된 위험 요인이며 모두 노화로부터 영향을 받는 질환임이 밝혀졌다. 난청과 치매는 사회적 고립, 우울감, 분노와 같은 삶의 질과 관련된 증상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같은 행동적 증상에서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에 노인을 간병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종사자의 유심한 관찰과 난청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지식-태도-실행 (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에 근거했을 때,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가 집단의 지식의 향상은 태도와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요양시설 내 보건의료전문가는 노화성 난청을 동반하는 노인에 대한 청각 선별 검사 및 보청기와 같은 중재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관련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의료서비스 능력의 향상을 기대하지만, 실질적인 노인요양시설의 난청 관련 중재 방안 및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 태도, 실행 이론에 근거하여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태도와 실행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난청 노인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지식-태도-실행 모델에서 분석된 부족한 지식과 알고자 하는 지식에 근거하여 난청 관련 지식의 향상과 이를 통한 태도 및 실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난청이해지침서 (H-GUIDE, Hearing Guideline of Unified Information of Dementia Experts)를 개발하였으며 지침서의 학습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식-태도-실행 모델을 통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난청 노인에 대한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1>에서는 국내 286개소의 치매안심센터에 종사 중인 보건의료전문가 557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전문가의 지식, 태도, 실행의 영역에 대한 측정을 목적으로 고안된 KAP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간병인 및 그 외 관련 의료종사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직책과 역할 수행에 따라 시설관리자 (n = 104)와 의료종사자 (n = 453)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의 KAP 설문 결과는 측정 영역인 지식, 태도, 실행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 간 직/간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2>에서 개발한 난청이해지침서는 1) 보청기 이해, 2) 보청기 사용, 3) 보청기 유지 및 보수의 3가지 주제 및 난청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위한 부록 (예를 들어, 난청과 치매, 청력검사)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1>과 동일하게 국내 286개소의 치매안심센터에 종사 중인 보건의료전문가 71명을 대상으로 지식, 태도, 실행의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KAP 설문지, 난청이해지침서에 대한 사용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설문지, 보청기 사용 및 관리 지식과 재인 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Hearing Aid Knoweldge Inventory (HAKI) 설문지를 수행하였다.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은 2일 간 총 2 ~ 3시간 수행되었다. 교육 도구를 활용한 중재가 종료된 직후에는 교육 효과의 평가를 위해 사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사후 평가의 항목은 사전 평가와 동일한 3개의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사후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2개월 후 추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시점에 따른 교육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 검정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과 교육 효과의 정량적 측정을 위한 효과 크기 (Cohen’s d)를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의 지식-태도-실행 영역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한 구조방정직모델링의 구조 모형의 검증과 잠재 변수 간 직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경로 분석 결과, 시설관리자의 구조 모형의 경우, 지식 항목은 태도 항목과 실행 항목에 유의미하면서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항목 역시 실행 항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설관리자의 구조 모형과 유사하게 의료종사자의 구조 모형에서 역시 지식 영역은 태도와 실행 영역에 대해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 모두 그들의 지식을 확장하게 되면 태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그들의 환자에 대한 케어 또는 관리의 실행 의도와 직접적인 실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난청이해지침서의 개발과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 2>의 결과,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지식-태도-실행은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에 따라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시설관리자는 지식 영역에서 사전 평가 대비 유의미하게 향상된 사후 및 추적 평가 결과를 보였으며 의료종사자 역시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에 따른 유의미한 지식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 모두 태도 영역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행 영역에서 시설관리자는 추적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의료종사자 역시 추적 평가에서 실행 영역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난청이해지침서의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한 TAM 설문 결과에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사용 의도를 보였으며 사용 의도의 향상은 추적 평가에서도 유지되었다. 인지된 유용성 역시 사전 평가 대비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검정되지 않았다.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보청기 사용 및 관리를 포함하는 보청기 관련 지식을 측정하고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HAKI 설문 결과는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 및 추적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사후-추적 평가 간 비교를 통해 학습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KAP 이론의 적용을 통해 지식의 확장이 난청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립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과 이를 통한 지식의 확장은 건강 행동 촉진의 역할을 함으로써 지식의 습득과 확장이 긍정적인 태도와 적극적인 실행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은 높은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로 나타났으며 보청기 사용 및 관리의 지식과 이해도 역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관리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청각적 지식을 분석하고 난청 노인의 청각적 중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첫 걸음이며 향후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반복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일정과 학습 기간 등 방법론적 확립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Wtih the global issue of aging and increased number of the older adults, the age-related diseases such as age-related hearing loss (ARHL) and dementia were highlighted. The various studies with cohort study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vealed that the ARHL was major risk factor of prevalence of dementia. The ARHL and dementia had common symptoms such as communication disorder, social isolation, depression, and rage. On the other hand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model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ffected to the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ractice. Applying the main concept of KAP model, the contemporary researchers demontrated that although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had lack of knowledge,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audiological intervention (i.e., hearing screening test and hearing aid) and clinical guideline. Nonetheless of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udiological knowledge and intervention, the guideline for hearing-related knowledge and intervention was abs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crutinize the hearing-related knowledg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and its impact on attitude and practic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nd/or practice, the education booklet for audiological intervention, namely, Hearing Guideline of Unified Information of Dementia Experts (H-GUID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effect on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Methods: Of the 286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557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104 facility manager and 453 allied healthcare proefssionals) we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Ⅰ. The KAP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for their older adults.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was applied to identify the direct and/or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The development and efficacy of H-GUIDE was confirmed in Research Ⅱ. The contents of H-GUIDE were 1) Introduction of Hearing Aids, 2) Use of Hearing Aids, 3) Maintenance of Hearing Aids and the Appendix (i.e., Hearing Loss and Dementia, Hearing Test). Identical methodology of Research Ⅰ was applied in Research Ⅱ. A total of 71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in 286 LTC facilities were participated. They conducted thre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ch as KAP survey for quantify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urvey for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of H-GUIDE, and HAKI questionnaire for measure the knowledge of hearing aid usage and maintenance.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were compared while being tested at pre-test (before education), post-test (after education), and follow-up test (2 months after post-test). The independent t-test and effect size using Cohen’s d index were used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Research Ⅰ using SEM technique demontrated that the knowledge significantly and directly affected attitude and practic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of knowledge led to the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ractice in both facility manager and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Research Ⅱ revealed that the H-GUIDE led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hearing-related knowledge and practice. Al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partially identified, the improvement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ere observed using effect size. The intention to us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st-test and this increament was sustained in follow-up test. The percent correct of HAKI questionnaire also significantly enhanced in post-test when compared to the pre-test and maintained in follow-up tes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KAP survey in Research Ⅰ,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identified. That is, the sufficient knowledge can improve the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Moreover, the efficacy of H-GUIDE which the education booklet for audi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was confirmed to various aspects (i.e., hearing-related knowledge, perceived usefulness, intention to use, and knowledge of hearing aid) of questionnai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further step, such as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new contents and methodological evidence for effective period and session of H-GUIDE.

      • Study of anti-cancer activity by cancer cell- specific ROS amplification and resistance of cancer cells to ROS

        Shende Madhuri Rameshwar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15

        메트포르민(M), 에파비렌즈(E), 플루옥세틴(F)의 조합(M+E+F)의 항암 활성 가능성을 정상 HDF 세포와 HCT-116 인간 결장암 세포에서 조사했습니다. Metformin은 HDF에서 세포 FOXO3a, p-FOXO3a, AMPK, p-AMPK 및 MnSOD 수준을 증가시켰지만 HCT-116 세포에서는 증가시키지 않았습니다. 세포 내 ATP 수준은 메트포르민에 의해 HDF에서만 감소했습니다. 메트포르민은 HCT-116 세포에서만 ROS 수준을 증가시켰습니다. siFOXO3a를 HCT-116에 형질감염시키면 메트포르민에 의해 유발된 세포 ROS유도가 역전되어 FOXO3a/MnSOD가 세포 ROS 수준의 핵심 조절자임을 나타냅니다. M, E 및 F 단독의 생존율 판독값은 약간 감소했지만 세 가지 약물의 조합은 HCT-116, A549 및 SK-Hep-1 암세포에서 세포 생존을 극적으로 감소시켰지만 HDF 세포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HCT-116 세포의 ROS 수준은 M+E+F 조합에 의해 엄청나게 증가했지만 HDF 세포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세포 주기 분석에 따르면 M+E+F 조합은 HCT-116 세포에서만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E+F의 조합은 개별 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HCT-116 세포에서 시너지적으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와 미토콘드리아 전자 수송 사슬 복합체 I 및 III 활성을 감소시켰습니다. 웨스턴 블롯 분석에 따르면 M+E+F 처리된 HCT-116 세포에서 DNA 손상, 세포사멸, 자가포식 및 괴사 관련 요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주 동안 M+E+F 조합을 경구 투여하면 치료되지 않은 마우스와 비교했을 때 누드 마우스의 HCT-116 이종이식 모델에서 종양 부피와 무게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M+E+F가 ROS로 유발된 DNA 손상, 세포사멸, 자가포식 및 괴사를 통해 암세포 특이적 ROS 증폭(CASRA)을 통해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모두에서 심오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키워드: 메트포르민/에파비렌즈/플루옥세틴, 항암 활성, FOXO3a, MnSOD, 암세포 특이적, ROS 증폭,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및 III, 세포사멸/괴사/자가포식 Background & Purpose The possible anticancer activity of combination (M+E+F) of metformin (M), efavirenz (E), and fluoxetine (F) was investigated in normal HDF cells and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Metformin increased cellular FOXO3a, p-FOXO3a, AMPK, p-AMPK, and MnSOD levels in HDFs but not in HCT-116 cells. Cellular ATP level was decreased only in HDFs by metformin. Metformin increased ROS level only in HCT-116 cells. Transfection of si-FOXO3a into HCT-116 reversed the metformin-induced cellular ROS induction, indicating that FOXO3a/MnSOD is the key regulators for cellular ROS level. Viability readout with M, E, and F alone decreased slightly but the combination of three drugs dramatically decreased cell survival in HCT-116, A549, and SK-Hep-1 cancer cells but not in HDF cells. ROS levels in HCT-116 cells were massively increased by M+E+F combination, but not in HDF cells. Cell cycle analysis showed that of M+E+F combination caused cell death only in HCT-116 cells. The combination of M+E+F reduced synergistically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complex I and III activities in HCT-116 cells when compared with individual treatments. West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DNA damage, apoptosis, autophagy, 12 and necroptosis-realated factors increased in M+E+F-treated HCT-116 cells. Oral administration with M+E+F combination for 3 weeks caused dramatic reductions in tumor volume and weight in HCT-116 xenograft model of nude mice whe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Our results suggest that M+E+F have profound anticancer activity both in vitro and in vivo via a cancer cell-specific ROS amplification (CASRA) through ROS-induced DNA damage, apoptosis, autophagy and necroptosis. Keywords: metformin/efavirenz/fluoxetine, anticancer activity, FOXO3a, MnSOD, cancer cell-specific, ROS amplification, mitochondrial complex I and III, apoptosis/necroptosis/autopha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