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구 고령화와 가계소비관계에 관한 연구

        김진희 한국해양대학교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Based on life-cycle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consumption. The hypothesis deduces that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ption(APC) is high in old age because the old people who belongs to the areas where lifetime consumption is higher than lifetime income lead a life by using the assets accumulated in middle-aged period. If this conjecture is interpreted socially, the increase effect of APC by the elderly is greater than the reduction effect of APC by the middle-aged. Based on these inferences, factors were divided into aging factors(elderly population ratio, total dependency ratio, aged dependency ratio, median age) and other economic factors(consumption expenditure, employment ratio, interest rate) to analyze the impact of aging on consumption. A linear estimation model has been set up to estimate with time series data(2013-2018 year) and cross section data from the local governments in 17 reg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maining aging variables except the median age variable, affect APC in the positive direction significantly at a 5% significant level. The result is that in terms of individual households, the consump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income level, and the elderly, who cannot afford to save, are more likely to spend on average, as they are covered by assets accumulated in their mid- to long-term years. It also means that at this point the impact on consumption by the elderly population is greater than that by the middle-aged. This is in line with the implication of life-cycle hypothesis that APC is higher as the population ages. Consumer spending, one of the other economic factors, has affected average consumption propensity in a positive direction. This shows that the impact of APC by the large number of poor people is greater by the small number of wealthy people. The use of local data here reflects inequality between regions. The increase in employment rate is also having a positive effect on APC. This means that the growth rate of consumer spending is higher than that of the employment rate. Interest rates are having a negative impact on APC. This is in line with the inference of the intertemporal consumer theory that higher interest rates would reduce current consumption and increase savings because substitution effect overwhelms income effect.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local data in this study, proxy variables were used a lot. Therefore, there is no choice but to have limitations in interpreting the estimation results. In particular, assets have a real impact on current consumption through the wealth effect, where no local data related to the assets exist and are not included in the variables. The inclusion of assets in the future is a future task. The main estimates of this paper are that in terms of individual households, the consump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income level, and the elderly, who cannot afford to save, are covered by the assets they have accumulated in their mid- to long-term years. In reality, however, there may be a considerabl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do not have sufficient assets to cover. Such a problem will expand further if the aging population progresses in the future.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 government needs to review welfare policies. 본 논문은 생애주기가설을 기반으로 인구고령화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생애주기가설에 의하면 노년기는 평생소비가 평생소득보다 높은 구간으로 중장년기에 축적한 자산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평균소비성향이 높다. 이것을 사회적으로 확대하면 현재시점에서 노령층에 의한 평균소비성향 증가효과가 중장년층에 의한 평균소비성향 감소효과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이런 추론을 바탕으로 고령화가 소비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고령화 요인(고령인구비율, 총부양비, 노인부양비, 중위연령)과 기타 다른 경제적 요인(소비지출, 고용률, 이자율)으로 구분하여 2013- 2018년간 시계열자료와 17개 지역의 지자체를 횡단면 자료로 추정할 수 있는 선형추정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위연령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고령화 변수는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평균소비성향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개별가계의 측면에서는 소비수준이 소득수준보다 높아 저축여력이 없는 고령층이 부족한 소득을 자신이 중장년기에 축적한 자산으로 충당하고 있어 평균소비성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현시점에서 고령층인구에 의한 소비에 대한 영향이 중장년층에 의한 소비에 대한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고령화가 될수록 평균소비성향이 높아진다는 생애주기가설의 추론과 부합된다. 기타 경제적 요인의 하나인 소비지출 변화는 평균소비성향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다수의 빈자층에 의한 평균소비성향에 대한 영향이 소수의 부유층에 의한 평균소비성향에 대한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소득 불균형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지역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지역간 격차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용률 증가도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은 고용율 증가보다 소비지출의 증가율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자율은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더 큰 경우 기회비용이 높아지게 때문에 현재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린다는 기간별 소비자이론의 추론과 부합된다. 이 연구에서 지역자료의 한계 때문에 대리변수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래서 추정결과를 해석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자산은 부의 효과(wealth effect)를 통해 현재소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서는 자산에 관련된 지역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변수에 포함하지 않았다. 앞으로 자산을 포함경우는 향후 과제로 삼는다. 이 논문의 주요 추정결과는 개별가계의 측면에서 소비수준이 소득수준보다 높아 저축여력이 없는 고령층이 부족한 소득을 자신이 중장년기에 축적한 자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충당할 자산이 없는 고령층이 상당 수준 존재할 수 있다. 앞으로 고령화가 진전되면 이런 문제는 더 확대될 것이다. 이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복지정책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커피박, 계분 및 바이오숯과 미생물증강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퇴비

        유장연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Spent coffee ground, poultry manure, and agricultural waste-derived biochar were used to manufacture functional composts by bioaugmentation of microorganisms. The highest biochar yield (40.7%) was obtained at 450oC with the surface area (2.35 m2/g). Four pilot scale composting reactors were established to perform the composting for 45 days. The ratios of NH4+-N/NO3--N as an indicator of compost maturity in the composts TR-2, TR-3 and TR-L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R-1, indicating a rapid and successful composting via microbial bioaugmentation and biochar amendment. Moreover, germination indices for radish also increased by 14 -34% through the augmentation and biochar amendment, indicating their positive impacts on manufacturing of mature and functional composts. The microbial diversity was also enhanced in the augmented and biochar-amended composts by 7.1-8.9%, where two species of Sphingobacteriaceae were dominant (29-43%). TR-2 and TR-3 enhanced DPPH scavenging activity in pepper leaves by 5.9% and 13.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R-1 in a field study while the scavenging activity in fruit by 14.1% and 8.6%. TR-3 also enhanced total phenolic content in pepper fruit by 68%. Moreover, the composts TR-L and TR-L(2x) boosted DPPH scavenging activity in leek by 111% and 7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 while TR-1 and TR-3 increased the content by 33.9% and 44.8%,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a composting facilitated by the microbial augmentation and biochar amendment could shorten the composting time and enhance the quality of functional compost that could better compete with the commercially available fertilizers, and render an eco-friendly recycling of organic wastes such as spent coffee ground, poultry manure, and agricultural wastes.

      • 건설사업관리(CM)업무모델 개선방안

        박성제 한국해양대학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1997년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으로 CM(Construction Management, 이하 CM) 도입된 지 올해로 8년이 지났다. 도입 초기에는 제도자체에 대한 이해와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정착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으다. CM관련학회, 협회 등의 노력으로 CM은 현재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기를 수 있는 하나의 통로로 자리잡아 가고 외형 규모 또한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풀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CM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이러한 난제들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우리나라의 CM 제도 정착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특히 CM업무범위에 대하여 기존의 감리와 별다른 차이점을 못 느끼고 있으며 2001년 8월20일에 건설기술관리법 CM업무지침을 제정하였을 때 최소한의 업무만을 규정하고 있어 사업주체간의 책임·권한·업무범위가 불명확하고 업무가 구체적이며 세분화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공공공사의 원활한 수행과 CM제도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하여 사업주체간의 업무범위의 정립과 그 절차의 확립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그 동안 CM수행사업의 결과물을 통해 업무체계를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도 느끼게 되었다. 이에 CM의 발전적인 업무범위 설정을 위하여 미국의 CMAA 및 국내의 인천국제공항건설사업 및 우수 CM사례를 토대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 CFD 및 실험에 의한 마이크로 횡류수차의 성능해석에 관한 연구

        임재익 한국해양대학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Recently, small hydropower attracts attention because of its clean, renewable and abundant energy resources to develop. However, suitable turbine type is not determined yet in the range of small hydropower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effective turbine type. Moreover, relatively high manufacturing cost by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turbine is the highest barrier for developing the small hydropower turbine. Therefore, a cross-flow turbine is adopte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high possibility of applying to small hydropower. The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ir layer in the runner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turbine performance. Because of air layer , recirculation flow loss decreases from 14% to 1% in occasion of 1kW class hydro turbine. 2) In 80kW class hydro turbine, the region of Stage 1 produces almost 70% of output power from total output power. 3) Pressure and velocity at the runner blade around gives considerabl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cross-flow hydraulic turbine simultaneously. Therefore, cross-flow turbin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impulse turbine and reaction turbine.

      • Evaluation of Impregnation Property on Liquid Composite Molded CFRP Aircraft Wing Spar through Resin Flow Simulation

        박동철 한국해양대학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VaRTM) is emerging as one of the most robust alternatives for the autoclave process. VaRTM applies the resin infusion method in a vacuum environment. It generally uses reinforcement and a polymer matrix separately in the process. VaRTM is influenced main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such as preform permeability and resin viscosity. Among these, the process design involving the arrangement of the resin inlet/outlet lin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rocess performance. Furthermore, an inappropriate inlet/outlet layout cause voids, porosities, or resin-starved areas,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quality degradation. In a typical VaRTM process, the inlet and outlet lines are used as a runner for the resin to flow. Furthermore, an equal length of line is used for uniform infiltration and outflow rate during infusion. In addition, excess resin is infused into the preform to reduce the risk of unsaturated zone after the infusion process. This prolongs the infusion process and results in excessive consumption and wastage of resin. In this study, a highly curved and twisted winglet spar structure was used as the test specimen. Its complex and asymmetrical shape caused non-uniform impregnation, which results in local unsaturated zone during infusion. Therefore, the adjustment of the inlet/outlet line length was attempted for flow simulation and experiment. The permeability, which is the most critical parameter for flow simulation, was predicted theoretically by incorporating an experimental constant.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rough a comparison with a reference experimental measurement and was used for flow simulation. In addition, the geometrical ply wrinkle on the outer flange of the spar preform and cross-sectional ply wrinkle on the corner area caused by the local compression load over the preform material were investigated. Local slitting on the 0° layer and the rotated rosette method were experimentally verified and proposed. Moreover, the effect of the draping membrane material on single diaphragm forming was studied experimentally. It was verified that during single diaphragm forming, the draping membrane should have sufficient stiffness and plasticity to maintain a uniform draping pressure and constant rate. The infusion process for an asymmetrical complex-shaped winglet spar structure was simulated using PAM-RTM software. Nine cases with the adjustment of the inlet/outlet line length proportionally selected were attempted for simulation. The most optimized simulation case of the winglet spar was determined based on the impregnation behavior, injected volume, and lost volume calculated by flow simulation. Furthermore,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results of three actual test part experiments. There was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simulation result helped predict the resin impregnation behavior and defect during inf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unsaturated zone was altered and improved by controlling the resin infiltration rate by adjusting the inlet/outlet line length. It was verified that the flow simulation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reduce the need for the trial-and-error method in infusion process design and to optimize the infusion process window for full impregnation of preform.

      •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해양안보를 중심으로

        김성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319

        미・중 패권경쟁은 무역, 금융, 에너지, 과학기술, 군사적인 분야 등 전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군사적인 분야에서 그 전장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해양이다. 미국과 중국의 해양패권 경쟁은 중국의 국가전략인 일대일로와 군사적인 A2AD(반접근 지역거부) 전략을 통해 핵심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남・동중국해와 인도양에서 팽창정책을 펼치고 있다. 세력전이 이론가들은 국가 간 국력의 상대적 변화가 국제체제의 불균형을 가져오고, 이 불균형속에서 신흥 국가와 기존 강대국 간에 새로운 국제체제 균형을 위한 패권경쟁이 전개된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국력의 기준을 대체적으로 경제력과 군사력을 중시하는데, 군사력 가운데에서 특히 해군력 증강을 국제질서상 강대국의 요소로 평가한다. 왜냐하면, 강대국이 보유하고 있는 군사력중에서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위협적인 군사력은 해군력이었다. 해군력은 다른 종류의 군사력과 달리 힘의 투사(Power Proj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군사력이기 때문이다. 해군력의 증강이야말로 한 나라가 패권을 추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물론 20세기 중반 이후 과학기술의 발전추세에 따라 핵무기와 우주 공간에 배치된 위성시스템, 그리고 사이버 무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미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있어 양국간의 군사적 긴장이 국경선에서 마주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포함한 서태평양과 인도양 지역에서 서로 정면 승부를 구사하는 모양새이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주창하면서 중국의 옛 명성을 되찾겠다고 다짐하고, 미국은 일본 및 호주, 인도 등과 ‘인도-태평양시대’를 열어가겠다는 구상으로 Quad 연합체를 형성하여 중국을 압박한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은 외형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개발과 현대화에 목적을 두고 추진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중국 서쪽의 변방지대 개발과 중국과 인접해 있는 동남아 및 인도양 인접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로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저소득 지역인 중국의 서북과 서남 방면에 대한 개발정책이면서 중앙아시아, 인도양 및 동남아시아로 영향력을 확장하여 중국의 위성국가화를 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숨은 의도는 중국과 유럽까지 이어지는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고, 해외에 해군기지를 건설하여 미국의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양통제에 대응하고 전시를 대비한 전쟁지속능력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하고 있는 듯 하다. 반면에,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은 미국이 인도양 및 서태평양에서 해상활동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인도, 일본, 호주가 핵심국가가 된다. 냉전기에는 미국이 주로 소련의 공산권을 봉쇄하기 위해서 이 지역에 전략구도를 잡았지만, 탈냉전기에는 중국의 무리한 확장정책에 따른 인도-태평양의 해양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지역적 협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중간에 역내 영향력 확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해양에서 군사적인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미・중간 패권경쟁과 함께 서해에서 중국과 바다를 맞대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중국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공세적인 해군력 운용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중국은 서해를 중국의 내해로 만들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고, 앞으로 서해에서 EEZ 획정 문제와 이어도 문제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양국간 패권경쟁을 전망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국가전략과 정책 그리고 해양전략과 해군력 건설방향 등을 분석해보고, 이러한 미・중 패권경쟁의 전망과 함께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본 논문의 주제인 해양안보를 중심으로 한국의 전략적인 대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2013년 시진핑 집권 이후 지정학적・지경학적 전략으로 ‘일대일로’ 구상을 펼치면서 ‘서진(西進) 전략’을 통해 중국의 부상과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의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여 ‘인도・태평양 전략’과 ‘쿼드’를 추진함으로써 중국을 모든 분야에서 견제하고, 미국 주도의 해양포위망을 구축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이는 결국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의 전략이 대립하는 양상으로서 중・장기적 차원의 ‘패권경쟁’ 성격으로 발전되고 있다. 중국이 제1도련선을 설정한 의도는 태평양 서부 지역을 중국이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며, 중국은 서태평양은 물론 궁극적으로 태평양에서의 패권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룬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을 지배하려는 ‘욕망’을 숨기지 않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9단선을 설정한 것처럼 바다에 선을 그어놓고 중국의 해안으로부터 중국이 설정한 선까지의 지역을 방어해야 할 지역, 혹은 지배해야 할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은 바다의 일부분을 마치 육지의 영토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행태를 보이면서 해양에서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개념이라면 중국은 ‘거부전략(area denial)을 넘어서 제2도련선까지 뻗은 해상에 진입불가지역(No-Go Zone)을 설정’할지도 모른다. 미국은 중국의 A2AD(반접근 지역거부) 전략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설정한 도련선 지역내에서 항행의 자유작전을 전개하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미국의 군사력은 물론 Quad 4개국인 일본・호주・인도와 함께 다국적 군사연합체를 형성하여 대응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2021년 아프간에서 철수한 이후 미국・영국・호주간 3각 안보협의체인 ‘오커스(AUKUS)’ 동맹을 결성하여 중국을 더욱 더 압박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중국의 해양패권 추구의 가장 큰 희생국은 대한민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천안함 피격사건 직후 북한 제재에 유엔 안보리 성명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북한을 일방 두둔했던 중국은 제3국과 대화하면서 ‘미국만 없었으면 한국은 진작에 손봤을 나라’라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중국은 화평굴기론을 내세우면서도 실은 끊임없이 세력을 확장하여 주변 국가를 굴복시키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만약 중국이 제1도련선을 장악하게 되면 한국은 핵심적인 해상교통로를 위협받게 된다. 중국어선에 해상민병대를 태우고 NLL 근해와 동・서・남해 전해상에서 불법 조업을 일삼으면서 대한민국의 해양질서를 어지럽히는 것도 해양패권전략의 일환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즉 ‘회색지대전략’을 통해 한국의 서해 바다를 미국과 한국이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중국의 통제하에 두려는 전략을 쓰고 있는 것이다.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과 주변국과의 영토분쟁도 남의 일이 아니다. 중국이 남중국해를 장악하게 되면 한국의 수출입 생명선을 중국이 쥐게 된다. 중국은 서해를 내해화(內海化)하려 할 것이고 이어도 영유권과 한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에 본격적으로 강압해 올 것이다. 미래 남북통일 과정에서는 중국과의 경계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들이 제기될 것이다. 이는 한국이 일본과의 독도 문제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영토분쟁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철저한 준비를 통해서 한국의 주권과 국가이익이 침해당해서는 안 될 것이다. 미・중 해군력 경쟁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는 한국이 국가적・군사적 차원에서 장기적인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여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 무엇보다 한미동맹을 발전시키면서 한중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방향을 잘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한국은 중국의 팽창적 해양정책과 해군력 증강이 한중 간 서해 배타적경제수역을 포함한 경계선 획정문제와 이어도 문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준비해야 한다. 군사적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고 해양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과 동맹관계 속에서 자주적 방위능력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해양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첨단 지휘통제체계, 해군력과 공군력의 건설과 정밀 타격이 가능한 탄도미사일 전력증강에 중점을 둬서 만약 전쟁이 발생한다면 해양에서 차단하여 짧은 종심의 한반도를 보호할 수 있는 전략개념과 전력건설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중 패권경쟁 상황에서 한국이 선택해야 할 전략적 원칙을 9개로 설정하였고, 각 전략적 원칙에 적합한 대응전략과 준비해야 할 과제들을 크게 3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좀 더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위협이 높은 미・중 패권전쟁을 대만해협 충돌로 가정하여 구체화하였다. 3가지 분야는 정책 및 안보분야, 다자간 안보협력 및 경제・과학기술 분야, 그리고 군사적인 분야이다. 이런 분야를 발전시켜 국가이익과 우리의 안보가 지켜져서 과거 우리 역사에서처럼 유린되지 않도록 현명한 선택과 혜안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의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장영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19

        미국이 1950년 최초로 방공식별구역(ADIZ)을 설정한 이래 현재까지 약 28여 개국 에서 방공식별구역을 운영하고 있지만, 해당구역에서 국가 간 국제적인 분쟁이 발생된 사례는 없었다. 이는 관련 국가간 묵시적 합의에 의해 중첩되는 구역이 존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국제법상 명확한 근거에 의해 설정된 구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중에서의 구역은 해상에서와 동일하게 육지의 국경선과 같이 명확하게 그어진 선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서 천연자원과 어족자원을 둘러싼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분쟁이 일부국가 간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중에서도 방공식별구역을 둘러싼 국가 간의 분쟁이나 의도하지 않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이 지난 2013년 11월 23일 동중국해에 일방적으로 방공식별구역(ADIZ)을 선포함으로써, 동북아지역에서 해상뿐만 아니라 공중 에서도 관련 국가간의 분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방공 식별구역 선포는 중국의 급부상한 경제력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이 강력 해지면서 가능해 졌다. 이러한 중국의 ADIZ 선포는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 댜오위다오, 대만명 : 댜오위타이) 영유권 분쟁에서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동북아지역에서 높아진 중국의 위상을 과시함으로써 영향력을 확대 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의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따라 우리 정부도 기존 한국방공식별구역 (KADIZ)에서 제외된 홍도와 마라도 남단과 이어도 상공을 KADIZ 범위에 포함 하여 확대 선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한 바 있다. 그리고 중국이 선포한 방공 식별구역 내에는 우리와 중국과 관할권 문제로 분쟁발생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이어도와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문제로 분쟁중인 센카꾸 열도가 포함되어 있어 한ㆍ중ㆍ일 3국간의 갈등이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 과 함께 한ㆍ중ㆍ일 3국의 방공식별구역이 중첩되면서 외교적 갈등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에서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자 북한과 적대적 으로 대치하고 있는 우리의 안보 현실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동안 방공식별구역(ADIZ) 운용을 통해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 국가와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 할 때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에 대해 보다 실효적인 지배를 강화하고 선제적 으로 우리의 관할권을 유지하고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행작전을 우선시하는 軍에서 한국방공식별구역을 운용하다 보니 국내법상으로도 2009년도에 이르러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는 등 다소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그리고 국제법상으로 근거가 없어 이와 관련된 연구기관 이나 전문가 등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방공식별구역은 1951년 美 공군에 의해 설정되어 현재까지 우리 軍에 의해 관리되어 왔기 때문에 軍 내부적 으로만 방공식별구역 운용에 관한 절차가 규정화되어 있을 뿐 관련 제도의 발전과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에 대한 실효적인 지배 강화와 더불어 안정적 운영을 위한 대응전략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을 택 하였고, 참고자료는 국ㆍ내외 논문과 주요 연구기관의 간행물, 언론보도, 국내ㆍ외 학술지, 인터넷 검색자료 등 접근이 가능한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방공식별구역(ADIZ)에 대한 개념과 방공식별구역의 국제법적 지위와 주변국 의 방공식별구역 운영 현황 등 일반현황을 살펴보고,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 배경과 법적 근거ㆍ문제점 등을 알아본데 이어, 이에 대한 우리 정부와 주변국 대응,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의 문제점 등 분석을 통해 향후 확장된 KADIZ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연구하였는데, 대응전략으로 효율적인 KADIZ 관리를 위한 대응방안, KADIZ의 국내법적 문제 개선방안과 향후 과제, 우리의 해양권익과 연계한 KADIZ 확장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논문의 핵심인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의 실효적 지배 강화 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대응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방공식별구역은 항공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공을 효과적 으로 방어하기 위한 일종의 완충구역이며, 영공방위를 위한 실질적인 사전 필수 공간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중국의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ADIZ) 획정에 대해 우리 정부가 보여준 조치는 여러제약을 안고 지내왔던 한국방공식별구역의 오랜 숙원까지 한꺼번에 해결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 일본이 중첩된 방공식별구역을 공유하게 된 것은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 등 동북아지역의 안정과 평화에 상당한 위협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외교안보측면의 전략 구비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확장된 KADIZ를 기준으로 중국과 일본의 방공식별구역 경계를 재조정하도록 지혜를 모아야 하며, 이에 앞서 중첩된 방공식별구역 내에서 군사적 충돌을 막고 안전한 비행을 보장할 수 있는 조속한 협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인천 비행정보구역(FIR)內 KADIZ 확장구역에 대한 관할권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인천 FIR內 KADIZ 관할권 강화 방안으로 A-593 항로에 대한 관제권 회복과 제주 남단 한국방공식별구역 확장구역에 훈련공역을 설정하는 방안 등이 추천된다. 아울러 중국이 서해상에 새로운 방공식별구역을 획정하더라도 우리의 방공식별구역 서쪽경계선이 절대 손상되지 않도록 군사 외교적으로 총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또한 확장된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장악하고, 우리의 권리를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도록 현재의 방공작전수행체계를 면밀히 점검하여 미비한 부분은 빠른 시간 내에 보강해야 한다. 둘째,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둘러싼 국내의 관련법령상의 미비한 요소 를 수정ㆍ보완하고 국제사회에서 방공식별구역(ADIZ) 관련 국제법 형성 논의를 적극 주도해야 한다. 한국방공식별구역을 둘러싼 관련 법령은 무엇이 문제이고 어떠한 것을 보완해야 하는지 등의 KADIZ 관련 국내법령 정비는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과연 한국방공식별구역은 어떻게 운용되고 이를 위반할 시 어떤 조치가 취하여 진다는 내용을 일반법령에 공포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항공법 과 군용항공법규 간 정비나 적용범위에 대한 조정도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장기적으로 대한민국의 해양주권과 관할권이 미치는 해양관할권역과 연계되면서 우리의 군사력 운용범위도 포함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으로 추가 확장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해양주권과 관할권이 미치는 해양관할권역은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EEZ), 대륙붕 등 해상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軍의 군사력 운용범위와 그 경계는 유사하다. 그러나 일본ㆍ중국의 방공식별구역(ADIZ)이 각국의 배타적경제수역 또는 대륙붕 경계와 일치하는 것과 달리 현재 우리 해ㆍ공군 항공전력의 主 작전경계선인 한국방공식별구역은 우리의 해양관할 권역의 상공에 대한 경계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평시 한국방공식별 구역 외곽의 해양관할권역에서 해ㆍ공군 항공전력의 지속적인 해양권익보호 작전이 제한되고, 유사시 잠재적인 위협에 의한 해양 분쟁 또는 갈등시 공중전력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전대응이 보장되지 않아 국제적 안보환경에서 불리한 여건에 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주변국과의 해양 갈등ㆍ분쟁시 자국의 해양 권익보장을 위해서는 해상ㆍ공중전력의 활동 영역을 수평적으로는 자국의 해양 권익이 미치는 해역을 작전영역으로 획정하고 수직적으로는 그 상공까지 작전공역을 확보하여 유리한 국제적 안보환경과 여건 조성을 보장 해야 하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해양권익을 유지하고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양주권과 관할권의 영향이 미치는 全 해양관할권 상공과 해ㆍ공군 항공전력의 군사력 운용영역을 한국 방공식별구역 범위와 일치되도록 KADIZ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최근 급변하는 동북아지역 정세 속에서 확장된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에 대한 실효적인 지배 강화와 이어도 주변해역 관할권 보호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과 정책 수립에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다수 자료가 군사자료로 인한 보안문제로 접근 및 취급이 제한되어 연구결과 에 수록하기가 힘들었으며 군사비문이 아닌 군사자료나 국내ㆍ외 연구 논문, 간행물, 언론보도 등 시사성 있는 최신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였으나, 심층 깊은 문제 도출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1~2년간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이 부족하다 보니 자료 최신화가 다소 부족하였고 확장된 한국방공식별 구역의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대응전략이라는 큰 틀에서 연구하다 보니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대한 법적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 에서 제시한 우리의 해양권익과 연계한 KADIZ 확장(안)의 유효화 방안과 우리 軍의 전장권역의 경계 등을 고려한 동북아지역의 해상작전공역에 대한 주변국 과의 공역관리협조방안 연구도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확장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대하여 실효적 관할권을 유지 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대응해야 하며, 이는 곧 대한민국의 해양관할권 활동 보장과 영공을 수호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의 안보현실은 그 어느 시기보다 국가적인 역량의 결집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만 대한민국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 판단된다.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ADIZ) has been operated in about 28 countries since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it in 1950. To date international conflicts over ADIZ have yet been found between the nations. This is because the zone does not encroach upon the mutual consent by the interested countries and the legitimacy has not been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Laws. However, the possibilities of accidental and unintended military conflicts in the air exist as shown in the maritime conflicts between some countries over territorial demarcation lines, which define zones for natural resources and fisheries, This indicate its ambiguous nature of delineation both in the air and the sea, unlike in the land. Meanwhile,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unilaterally declared its own ADIZ in November 23, 2013,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severe conflicts both in the air and the sea of Northeast Asia. The abrupt declaration was made possible because of its rapidly growing economy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PLA). China's recent behavior is due to its objectives to seize the initiatives in territorial dispute over Senkaku Islands(Diaoyu in Chinese, Diaowitai in Taiwanese) and to display its escalated status quo in Northeast Asia, while seeking hegemony in the region. In the wake of Chinese unilateral declaration, the Republic of Korea duly responded by including Hongdo and Marado area into the ADIZ, which was excluded in the previous plan. However, a new plan is expected to cause further trilateral conflicts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s the plan covers not only Ieodo Island, where South Korea and China claim territorial rights, but also the Senkaku Islands where Japan and China have disputes In addition to Jap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JADIZ), it is expected to result in more collisions in military as well as diplomacy among the three nations as the zones becomes overlapping one another. Furthermore, KADIZ is a very critical element in our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especially since we are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and stand against North Korea. Moreover, the operation of the ADIZ prevents unnecessary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Russia.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need to reinforce an effective control over the expanded KADIZ and proactively maintain and strengthen the jurisdiction over troubled territory. However, the response by the Republic of Korea to ongoing challenges surrounding KADIZ has been considered passive as shown in 2009 when finished its touches in the legal system for KADIZ, which indicated the armed forces' tendencies to prioritize current operations over others. In addition, it not only lacks legal basis in International laws but also has few 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and experts to develop the system. Also, since the KADIZ was established by the U.S. Air Force in 1951 and has been operated by our armed forces so far, as stipulated in the operation procedure, the scope of reinforcement and the means of development of the system have been greatly limited. Therefore, the need to discuss the way to overcome its limitations and to find an effective way to control KADIZ has been on the ris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 have reviewed the academic papers and listened to advice of the experts. In addition, multiple resources have also been referenced such as research papers both from home and abroad, periodicals from major research institute, media coverage, academic magazines and online search data to identify the concept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DIZ of neighboring countries. Moreover, the paper also aims to study the legal background and the strategies behind Chinese unilateral declaration of the zone, identifying the surrounding countries' response and its status quo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s. The research entails an analysis of the expanded KADIZ, which results in the three proposals : a pla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KADIZ, a plan to tackle the obstacales in terms of domestic laws, and an expansion plan for the KADIZ to increase national maritime interest. the response strategy for effective control enhancement of the expanded KADIZ as a the focus of this thesis are as listed below : First, we need to build up a new master plan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xpanded KADIZ. the ADIZ is a buffer zone to effectively defend the air space of the nation based on aircraft operational features, which is the essential to national defense. In this regard, the response exerted by South Korean government against Chinese unilateral decision is deemed as an attent to loosen the long prevalent constraints. However, the overlapping of ADIZ among three nation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China and Japan presages accidental military clashes, posing a grave threat to the peace of Northeast Asia. Therefore, zone readjustment through diplomatic efforts should be made to reinforce its extended validity and an agreement should be followed immediately in order to prevent contingent situations and gaurantee safe aircraft operations. In addition, we ought to seek a way to strengthen jurisdiction over expanded KADIZ within the Incheon FIR. The restoration of air control right of A-593 air route and setting up a training area off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are recommended. Furthermore, diplomatic and military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to secure the west demarcation line of ADIZ in case of another abrupt decision made by the Chinese government. Second, deficient components on national decree surrounding KADIZ need to be revised and complemented. We need to take initiative on leading discussion on enacting international law regarding the ADIZ in international society. Arrangement on national decree regarding KADIZ, such as what are problems about decree regarding our ADIZ and what needs to be complemented, need to be carried out successively. Also, how ADIZ is operated and what kind of measures are taken when it is violated need to be declared in a general law. In that sense, arrangement between aviation law and military as well as conciliation on coverage is needed. Third, in the long­term, KADIZ need to be extended to include military operation capability and the maritime jurisdiction area where maritime sovereignty and jurisdiction reach. Maritime jurisdiction area, where maritime sovereignty and jurisdiction reach, includes maritime area such as maritime territory, contact sea area, Exclusive Economic Zone(EEZ) and continental shelf. Similar to how JADIZ and China Aerial Defense Identification Zone(CADIZ) do not correspond with each country's exclusive economic zone or continental shelf boundaries, the operation area of Korea's current naval and aerial aviation force, KADIZ does not include aerial territory of maritime jurisdiction area. Therefore, sustained operation for maritime interest protection of naval and aerial aviation force in the maritime jurisdiction area. Also, immediate and efficient operation response of the aviation force in case of maritime conflict by a potential threat is not secured, thus leaving Korea vulnerable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In other words, should maritime conflict/dispute with surrounding countries occur, horizontally, naval and aerial aviation force's areas of activity must be demarcated as operation areas to secure maritime interest. vertically, its area of operation in the air must also be secured to ensure advantageous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condition. Therefore, to secure South Korea's maritime interest, the military operation area of maritime jurisdiction area's aerial parameter and naval and aerial aviations force, as affected by maritime sovereignty and jurisdiction, should correspond with KADIZ.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likely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nationwide strategy and policy to defend jurisdiction over water around Ieodo Island and strengthen effective control over KADIZ which has been expanded by the recent rapid change of circumstances in northeast Asia. However, since most of the data is restricted due to security of military materials, it was difficult to include them in the results. Although this research used as much nonconfidential military material and recent data such as essays, publications, news reports as possible, it has limitation in term of in­depth conclusion. Also, due to lack of recently published research papers, there has not been enough updated data. Conducting broad research of countermeasures for effective control over expanded KADIZ has prevented this research from being thorough and detailed. Therefore, future research must establish legal grounds about KADIZ and validate a plan of maritime interest linked with expansion of KADIZ Furthermore, there is also a need for research on cooperative measures for the control of international water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aking into account South Korea's boundaries of battle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