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무특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캐빈승무원을 대상으로

        이계옥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job characteristics on inflight attendant affect thei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irlines responsiveness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in today'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The industry is going through global strategic alliances in order to sustain competitiveness. Airlines are striving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competitors by means such as renewing aircrafts and adding new destinations to their existing schedule.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in attaining such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s to creat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ervice, which is mainly delivered by the flight attend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for the flight attendant as well 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ervice quality for the airline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on inflight attendant affect thei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flight attendant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airlines. The study is conducted by the following approach. First, job characteristics of flight attendants doesn't affect job stress, and job stress as characteristics ha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relatively. The job characteristics results from the factors which affect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such as skill variety, importance and independence of duty, feedback from duty have an effect on job stress, on the other hand, job's stagnation has nothing to do with job stress. The second, the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s of flight attendants. The level of job stress is inverse proportion to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 study is conducted by analyzing with concrete evidences assumes that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o analyze with evidences allows me to find out many inds of points which can show job characteristics and also a way to manag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ffectively. Moreover, this study which can shows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mad job satisfaction indicates the way of a further study included in a variety of factors that could affect not onl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ut also many various fields of airlines. There is something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respondents are only Asiana Airlines' inflight attendants, and it may raise the issues about emphasis or generalization on specific sample. I believe that this study which shows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ill allow other organization to study job stress. In order to alleviate organization stres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the flight attendants, it is imperative to create a liberal and flexible organization culture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ased on formal ranks and administrative actions such as appearance checks.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가간 상호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항공 산업은 물류와 인적교류의 국가 중요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급속한 경제 발달과 폭발적인 해외여행 수요로 인해 항공산업이 급격히 발전하였고, 여기에, 항공서비스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는 항공사의 서비스 개선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으며, 항공사는 각 조직내 구성원의 지속적인 교육과 조직의 효율적 운영, 운항서비스의 개선과 중장거리 노선 확보 등 자사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현실이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항공사 소속 직원들의 인적 자원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 항공산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되어 왔으며, 항공 산업 현장 직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항공 산업을 비롯한 서비스 산업은 서비스 현장 직원이 서비스 생산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서비스 산업을 이용하는 고객의 요구 사항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을 비추어 볼 때, 항공 산업의 서비스 주체인 캐빈승무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인적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캐빈승무원이 고객의 항공사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써, 캐빈승무원의 직무가 단순 편의서비스 제공이 아니라, 국제노선의 증가에 따른 언어소통능력이 요구되고, 승객의 안전, 및 쾌적성, 서비스 욕구증대에 따라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여러 환경에서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캐빈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캐빈승무원의 사기저하 및 그에 따르는 서비스 질 저하를 예방하고 나아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양질의 캐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에서의 캐빈승무원이 직무를 매개로 하여 발생하는 것을 스트레스원으로 간주하여, 기존의 연구성과로 제출된 정형화된 연구모형을 차용하는 대신, Hackman의 직무특성이론 모델의 5대 직무특성을 기초로 한 직무특성요인을 직무스트레스의 주된 요인으로 설정하여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6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조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아시아나항공의 캐빈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유효표본 150부로 확정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의 통계처리는 SPSSWIN Version 1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캐빈승무원에게서 인지되는 직무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빈승무원의 직무특성으로 나타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은 상호 작용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빈승무원의 지각된 직무특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나고 있었는데, 캐빈승무원의 직무특성 중 기술 다양성, 직무 중요성, 직무에 대한 자율성 요인, 피드백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빈승무원의 직무특성 중 직무정체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빈승무원의 지각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직무 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항공사 캐빈승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시사점을 도출해 냄과 아울러 항공사 캐빈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대한 효과적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항공사 캐빈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에 있어 스트레스의 적절한 위치에 관한 연구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는데,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후속 연구들에서는 보다 다양한 관련 변수들을 포함시키고 보다 다양한 경로들을 설정한 모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설문 응답자가 아시아나항공으로 국한되어 표본의 편중과 일반화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항공사 캐빈승무원을 대항으로 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라는 특수한 형태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형태, 다른 조직의 직무스트레스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 국내 항공사고조사기관의 독립성에 관한 법적 제도적 고찰

        임동헌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항공 대재앙의 원인은 ‘실수, 사건, 조건, 또는 사고ㆍ준 사고 를 유발하는 원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의 상용항공기, 항공사, 항행시스템은 기술ㆍ운영적으로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도 복잡하다. 항공사고의 원인규명은 개인, 항공사, 항공기 제조사, 관제, 공항, 항공기 정비업체, 정부 기관에 대해 정치ㆍ경제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들의 평판이 악화되며 징벌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조직ㆍ개인이 조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 국제민간항공협약은 체약국이 독립ㆍ자율적인 사고조사를 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시민들은 공공의 교통안전 증진, 교통사고 조사 과정ㆍ결과에 있어서 공정ㆍ정확ㆍ신뢰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항공산업 선진국들은 다른 정부 부처로부터 법ㆍ제도적으로 독립ㆍ자율성을 보장받는 사고조사기관을 설립했다. 국내 항공사고조사기관인 항공ㆍ철도사고조사위원회(ARAIB)의 설립과 관련 법률 제정은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나라 사고조사 분야에서 큰 발전이었다. ARAIB가 독립적이고 공정한 사고조사를 할 수 있도록 국토해양부 내에 설치되었고 국토해양부장관은 일반적인 행정사항에 대하여는 위원회를 지휘․감독하되, 사고조사에 대하여는 관여하지 못하게 되어있어서, ARAIB에 일견(一見) 완전한 독립성을 부여한 듯 보인다. 그러나 국제기준인 『ICAO 부속서 13』과 독립성이 중요한 부서의 독립성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위원회의 독립성 요건』으로 살펴볼 때 ARAIB 독립성 정도는 형식ㆍ실질적인 면에서 낮은 단계이다. 항공규제당국인 국토해양부는 항공기 운항, 관제, 공항, 항공사, 정비조직 등 항공 관련자들의 업무를 규제ㆍ감독하여 안전운항이 되도록 하는 책임(Responsibility & Accountability)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항공안전업무의 이해관계자이다. 항공규제당국의 업무상 과실(過失)이 항공기 사고의 원인ㆍ기여요소(Contribution Factor)가 된다면 그 항공규제당국은 항공사고조사기관의 조사ㆍ안전권고의 대상이 된다. 현재 ARAIB의 유일한 상임위원은 항공규제당국 행정책임자(항공정책실장)가 겸직하고 있다. 위원장이 비상임이고 상임위원을 항공규제자가 겸직하도록 한 ARAIB 관련 법령은, 사고조사의 독립과 절대적 권한 보장을 의무화하고 있는 국제기준을 충족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허용하는 대통령령인 『국토해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는 일종의 「직무상의 이해충돌(利害衝突)」을 만들고, 사고조사의 주체(主體)와 객체(客體)를 동일하게 만들어 놓고 있다. 즉 사고조사 대상자가 될 수도 있는 기관으로 하여금 사고조사를 하도록 허용한 것이다. 이것은 항공사고 및 철도사고 등에 대한 독립적이고 공정한 조사를 통하여 사고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함으로써 항공사고 및 철도사고 등의 예방과 안전 확보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항공․철도사고조사에 관한 법률』의 취지에 반하고 항공사고조사기관의 독립ㆍ자율성을 상당히 훼손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항공규제당국에 대한 사고조사ㆍ안전권고 발행에 있어서 객관ㆍ공정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 국토해양부는 항공법 제49조에 따라 국가 항공안전프로그램(Aviation Safety Programme)을 입법화하여, 2009년부터 운항ㆍ항공교통ㆍ공항운영ㆍ항행시설분야의 안전을 총괄하여 관리하므로 우리나라의 기본적인 항공안전관리 체계는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 항공안전프로그램의 운영상 과실이 사고의 원인ㆍ기여요인이 된다면, 이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조사 후 안전권고를 발행하고 이행을 감독 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은 ARAIB뿐이다. 현재의 ARAIB의 독립성의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동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ARAIB의 독립ㆍ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단기 방안으로 ARAIB 독립ㆍ자율성을 저해하는 법적, 제도적인 개선이 시급하고, 장기 방안으로 가칭 「국가교통안전위원회」를 설립하여 해상ㆍ지상 대형교통사고, 기준 이상의 환경오염을 유발한 교통사고 등을 전문적으로 조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관련 사고조사 부처를 통합하므로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성 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교통안전을 강력히 요구하는 시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고 사고를 예방하여 국가 물류산업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 육군조종사 레저만족과 직무만족도 연구

        백상수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육군항공 조종사들의 레저활동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육군항공 조종사들의 업무효율과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육군항공조종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조사대상의 여건을 감안하여 단순 무작이 무선표집법(Simple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조종사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표집하였다. 사용된 도사도구의 세부내용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은 김지선(1995)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위, 월평균 소득 등으로 구성하였고, 레저활동은 Ragheb(1980)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일과 야외활동, 문화활동, 개인활동, 사회활동, 미디어, 컴퓨터등 6개 영역 15문항, 레저태도는 Ragheb과 Beard(1982)가 레저태도 측정연구의 36개 항목을 중심으로 이훈(1991)이 사용한 3개범주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레저만족은 Ragheb과 Beard(1980)의 레저만족 측정연구의 51개 항목을 중심으로 6개 범주 18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직무만족은 DI 척도(Job Descriptive Index : 현재 수행직무, 상급자의 행동, 동료, 급여, 승진의 기회)를 기준으로 Herzberg(1966)의 2요인이론과 Locke(1976)의 연구에서의 직무만족 요인, 미네소타 대학의 연구에서 제시된 20개의 요인을 조합 하여 5개범주 1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기법과 문항간 내적 합치도 검사 방법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케 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각 응답 내용을 코드화 하여 Window용 한글 SPSS version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비행직위에 따른 레저활동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조종사보다 젊은 부조종사 집단이 야외활동, 문화활동, 개인활동, 미디어, 컴퓨터 등의 레저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비행직위에 따른 레저태도요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레저인식과 감정태도가 부보종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비행직위에 따른 레저만족요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적, 육체적, 사회적, 심리적, 오락적, 교육적인 레저만족 요인에서 부조종사가 정조종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육군항공 조종사의 레저활동이 직업만족도, 환경만족도, 관계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레저활동이 직업만족도와 환경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계 만족도에는 사회활동이 정(+)적인 영향, 미디어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육군항공조종사의 레저태도가 직업만족도, 환경만족도, 관계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레저태도가 직업만족도와 환경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관계 만족도에는 레저 인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육군항공조종사의 레저태도 요인중 레저 인식이 높을수록 관계만족도가 높아짐을 알수 있다. 여섯째, 육군항공 조종사의 레저만족이 직업만족도, 환경만족도, 관계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만족이 환경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업만족도와 관계만족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기내업무 방해행위에 대한 법적 고찰

        전방언 한국항공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Cases of In-flight disturbance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nd there are many signs that it is getting worse. In light of the fact that any unruly and offensive behaviors by passengers may harm the safety of other passengers and airline employees as well as that of the judicial authorities of many countries, airlin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mmercial air carriers are in the best position to enact and implement safety and security measures that would deter dangerous passenger behavior Airlines should immediately change certain practices and implement new policies and procedures for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potentially disruptive passengers. Airlines should adopt policies and procedures for handling unruly passenger behavior, such as those suggested in the IATA guidelines. These policies and procedures must be supported by on-board mechanisms for monitoring passenger behavior. Passengers should be advised that the airlines will not tolerate certain prohibited behavior. Passengers should be given written notification of violations, and the airlines should readily enforce the available criminal and civil penalties when incidents occur. Airlines should make this information available at airline counters, at the gates, and in airline in-flight magazines. Preventive measures can impact the number of violent incidents that occur on-board commercial flights.

      • 항공기 소음규제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안연구 : 공항운영시간 개선을 통한 비지니스기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김길성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전 세계적인 단일 문화 생활권을 실현시킨 항공교통은 오늘날 교통이용가치 측면에서 우리들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항공기에 대한 대형화·고속화는 인간의 끊임없는 도전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다가올 우주시대에 대비하여 항공교통의 중요성은 그 역할 및 책임이 더욱 막중해 지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는 항공교통량 증가에 따라, 오늘날 항공기는 공항주변에서 공항주변지역의 소음 및 환경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각종 항공소음관련 법령 및 규정을 고찰하여 항공소음과 관련한 항공기 운항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소음으로 인한 공항운용시간의 제한을 제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지방공항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비즈니스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항공소음과 관련한 각종 법령, 규정 및 절차들의 규제적 측면과 특정 기술에 대한 해결방안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형기에 비하여 상대적 소음도가 낮은 비즈니스기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항공운송산업 발전과 공항활성화에 역점을 두었으며, 재정난에 허덕이는 지방공항의 활성화 방안으로 비즈니스기의 운항을 통하여 지방공항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장에서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제2장서는 비즈니스기의 수요전망과 활성화방안에 대하여 다루었고, 제3장서는 비즈니스기 운영시 장단점 및 운영시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제4장서는 국. 내외 공항의 운영시간 제한과 외국의 소음관련법규 및 대책 등을 고찰하고, 외국공항사례를 통한 국내공항운영시간 개선 방안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제5장에서 공항운영 시간의 단계적 완화와 동 시간대 소음감시체제 강화를 통하여 소음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연장시간대 투입기종을 우선 자체 하중이 적으며, 소음발생이 적은 비즈니스기로 한정한다. 둘째, 단계적으로 1시간 전후의 공항운영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시간대 항공소음 발생을 최소화 한다. 셋째, 보다 규격화된 공항감시체제의 구축과 소음관할기관의 통합화로 업무효율을 향상시킨다. 넷째, 항공소음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보완을 통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안들에 대한 이행을 위하여 항공기 운항관련 기관, 공항당국, 항공사 및 공항주변 주민들의 합의와 적극적인 협조체제의 유지이다. Air traffic has changed global culture by influencing to human life in terms of the valuation of air transportation. Especially bigger and faster aircrafts are concerned as constant challenges. Moreover, the importance and responsibility of air traffic are getting bigger for preparation of the future space age. The continual traffic growth has raised concerns over the direct impact of noise and air pollution at the surrounding area.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problems of operating aircrafts concern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laws, policies or provisions about noise, find systemic solutions of airport curfew and suggest utilization of business aircraft for revitalization of regional airports. A lot of researches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solutions and responses to specific technology and the regulation aspect on noise laws, policies and processes. Whereas, this paper focu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ir transport industry and revitalization of airports by using business aircraft which has less noise comparing to bigger aircrafts. Our suggestion is that business aircrafts should be used in revitalization of regional airport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This paper introduces research background, objection and range which have concerned about airport curfew. at the national-international airports and laws in its second part of introduction section. In the second section, it has forecasted a demand on business aircrafts and suggest to utilize them. The third section of the paper describes pros and cons of operating business aircrafts. In the fourth section, airport curfew at the national-international airports, laws and further suggestions of curfew at Korea airports with foreign case studies. Lastly, the study concludes suggestions, deregulations of curfew stage by stage and consolidates synchronous noise observation system to minimize noise damage. Followings are the suggested responses or solutions: First, aircraft should have limited light and less noisy during the extended business hour. Second, noise during the night around airport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1 hour of extended business hour. Third, airports can improve operating efficiency by integrating noise control department and building more standardized observation system. Fourth, airports can solve the noise problem rationally by complementing related laws. Fifth, airports should reach agreement and keep positive attitude to implement the suggested solutions including participation of aircraft operating related departments, airports, airlines and residents near airport.

      • 연료탑재량 절감을 위한 운항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중열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燃料搭載量 節減을 위한 運航管理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논문 요약 항공기 운항은 안전성, 정시성, 쾌적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운송하게 된다. 근래 들어 150불에 육박하는 고유가 하에서는 안전에 위해가 되지 않는다면 연료를 가능한 적게 싣고 운항함은 환경보호와 함께 항공사의 사활이 걸린 문제이다. 또한 유류비가 항공사의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유가상승 영향으로 화물기는 50%에 이르고 여객기는 40%를 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연료탑재량을 줄이면서 항공기를 운항하는 것은 운항관리의 중요부분으로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여러 연료절감 방안 중에서 운항관리와 관련 있는 부분에 한정하여 적은 양의 연료를 탑재하고, 회항 등의 비정상 운항을 발생치 않으면서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착하는 과정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 단계에서의 절감방안을 살펴본 후 향후 추진되어야 할 방안도 함께 연구, 경제성분석까지 기록하였다. 연료량 관련 운항승무원과 지상의 운항관리사간의 갈등이 야기되는 부분을 조심스럽게 언급, 그에 관한 해결책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부분을 보면 첫째, 탑재량을 줄이기 위해 제 3장에서 항법 및 항법보조시설을 활용한 비행방식을 다뤄 비행계획과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항공기 중량 관리 및 합리적 예비연료 산정을 통하여 연료를 절감하는 여러 사례를 기술하였다. 특히 2006년 12월에 인가받아 시행하고 있는 법정보정연료(LCF) 10%에서 5% 조정부분을 심도 있게 다뤄 LCF 조정에 따른 연료절감량의 효용가치를 따져 항공사의 이익을 개략적인 수치로 나타내었다. 둘째, 주기 및 TAXI 중 연료절감 개선 사례를 간단히 기술하여 비운항 분야에서도 절감 가능함을 언급하였다. 셋째, 운송현장과 협력으로 정확한 Payload를 예측하여 비행계획 대비 실제 Payload의 편차를 줄여 불필요한 연료탑재량을 축소 가능토록 하는 사례와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넷째, 북극항로로의 운항에 있어 연료 결빙온도 확인은 운항 전 필수 체크사항이다. PLAN 상 외기 온도가 -65°C 이하이면 출발지에 AFFP (Actual Fuel Freezing Point) 측정을 요청하고, FTPP 를 구동하여 연료 온도 변화를 예측하여 낮으면 고도, 속도, 항로변경 등의 추가 검토하는 절차를 거쳐 비행계획을 하는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영어연수의 폭발적인 증가는 항공사의 예약숫자에서 소아승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예약상황을 기초로 여객기의 Payload를 예측할 때 소아 승객수를 예측할 수 없어 일괄 성인기준으로 배행계획을 함에 항공기 무게 예측이 부정확하다. 소아승객의 중량반영을 위해 운송시스템과 APIS(Advanced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활용 생년월일(DOB) Data와 연계하여, 성인-소아-유아의 표준 중량을 Payload 예측 단계에 반영하는 Payload 산출 Process 개선을 통한 연료 절감 방안을 자세하게 다루었다. 여섯째,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하고 일정거리 이상의 가시거리가 확보되는 기상 조건하에서도 교체공항을 선정하고 그곳까지 가는 연료를 탑재 후 운항하는 것은 연료낭비일 것이다. Diversion 및 ATC 지연으로 인한 추가 연료 소모의 가능성이 없는 단거리 노선과 평행활주로를 갖춰 한 개의 활주로에 문제가 생겨 운용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활주로로 착륙 가능한 공항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교체공항 지정없이 비행계획 수립함으로써 연료소모 효율성 향상을 가져오는 비행계획 분야를 제 3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기술하였다. 일곱째,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운항승무원과 운항관리사간 연료량 불일치에 따른 갈등(Conflict), Minimum Fuel과 힘의 균형(Balanced Power), 비행감시(Flight Watch)을 통한 운항품질 향상부분을 운항통제와 항공종사자간 협력(Collaboration)으로 해소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공항의 혼잡에 따른 체공회수의 증대, 항로 내 교통량 증가 및 악기상 조우로 탑재된 연료량에 대한 운항관리사와 조종사의 갈등은 필연적이다. 양자간의 관계에서 한쪽에 의존적일수록 다른 한쪽이 힘을 갖게 되며, 힘의 행사자가 자원(또는 정보)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힘이 커진다. 이는 전문지식이나 경험을 갖추었다고 지각할 때 갖게 되는 힘으로 양자간에 상호신뢰(Mutual Trust)를 바탕으로 그 갈등은 해소 될 것이다. 비행계획 당시의 자료와 실제 비행시의 자료를 모니터링하는 비행감시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Alerting하여 지상과 운항중인 항공기간 상호 보완작용으로 연료부족 등의 비정상 운항을 사전 예방하고, 운항 관련 각종 제한사항을 실시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통제센타의 운항관리사와 비행중인 운항승무원간의 협력(Collaboration)을 통한 운항품질의 향상으로 연결되어 목적지에 안전하면서 경제적으로 수송이라는 고유업무를 종료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 제조 기업에서 종합 서비스기업으로의 변신전략 사례연구 : 웅진코웨이 사례를 중심으로

        오채윤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현대사회의 선진국 경제를 살펴보면 국가 경제 내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나 중요성이 증대하는 서비스 경제로의 이행(Shift to service)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경제가 선진화되면 궁극적으로 부가 가치 창출이나 고용에서의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고 서비스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1980년대 이후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과거 제조업 중심의 제품지배원리 패러다임에서 서비스 중심의 서비스 지배 원리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세상이 된 것이다. 기업의 관점에서 보자면 제품지배논리에서 서비스 지배논리로 변화 할 수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는 ?자원에 대한 관점의 변화? 때문이다. 제품지배논리에서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주요 자본으로 토지, 노동, 자본이 반드시 필요하게 돼 있다. 문제는 이들 자원이 고정적인데다가 그 양마저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토지, 노동, 자본만으로는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경제 주체들이 관심을 가진 것이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경쟁력 또한 높일 수 있는 자원이었는데 이 자원이 바로 지식과 기술, 역량 등이었다. 그리고 이들 자원이야말로 제품 자체가 아닌 제품이 지닌 본질적인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서비스 지내논리가 정착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경제 시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시대에 성공하기위해서는 제품이 아닌 서비스를 혁신하는데 집중해야하고 소비자의 참여를 통해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21세기는 특정 산업이나 제품군 중심으로 경쟁하던 방식이 아니라 경쟁자를 특정할 수 없는 초 경쟁시대이기 때문이다. 산업 간 영역이 붕괴된 21세기에는 `융합형 제품`이나 혁신적 `서비스 빅뱅`으로 경쟁해야 하고, 다시 말해 제품이 갖고 있는 고유 가치에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결합해 하나의 `묶음 서비스`를 창출해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트렌드는 상품의 서비스화(servicization) 서비스의 상품화(encapsulation), 서비스의 대통합(grand integration)이라는 `서비스 빅뱅` 형태로 분출되고 있다고 보도하는 것을 보아도 현대사회는 분명한 서비스 전성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제조업에서 서비스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기업에게 웅진코웨이 차별화된 성공 전략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전략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Looking at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modern world economy;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ies in the economy,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a service economy (a shift to service), it is continuous. Ultimately, if there is a continued economic increase, employment and development in the service industry will also increase in proportion to (or advance of) the actual economy; the service industry will play an important economic role by all means. Since the 1980s, the Korean service industry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is exact way. In manufacturing, the dominant principle of the product-centric paradigm of the past, will be replaced by service-oriented principles. Service governance will become, and has become, a new-world paradigm. Look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governance, products require a logical change to more service responsibility. For manufacturing and product production, the traditional resources of land and labor to create capital, was supposed to be the only necessity. These resources are in fact limited, therefore, land, labor, and the logical conclusion of capital to create competitive advantage alone is bound to be limited. Because of this, to sustain a competitive advantage, corporate governance must adapt and increase the resources to include knowledge, skill, competence, reliability. Indeed, these resources are not the product itself, but the essence of the products usefulness. The creation of a service linked to the essence of a product is proof of the fact that the service had started to settle into the logic of the product and its development and ultimately its profitability. Thus, modern society is based on the service, and it can be defined that a product to be successful in this day and age is not just a product, but should be focused on innovative services and should seek out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o maximize its value. In the 21st century, industry regions have collapsed to create a 'convergence' of regions. For innovative products to compete, they have adapted to include ?big bang services?, ie: the product of a unique value to the customers must have a ?bundled services? (a combined services package which decreases the price but increases the selection of services). Recent trends of products involve this entire process (servicization),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services (encapsulation). Service is the new united (or grand integration), in the form of ?big bang services? and are creating a perception of a golden age of ?modern servicization products?. ? Through this service research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heir servicization, Coway is looking at ways to differentiate their successful strategies and to help develop the next Strategic Plan for servicization and encapsulation.

      • 위해요소 식별 및 위험관리의 의사결정 모델에 관한 연구

        장문광 韓國航空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1679

        항공 산업은 지난 세기 동안 괄목할 만한 기술 진보를 이루었다. 이러한 발전은 航空安全을 저해하는 要素들을 통제하고 감소시키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비행이 시작된 이래, 航空업계는 손실과 위해를 일으키는 航空事故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해 왔다. 이러한 安全管理를 이해하기 위하여 “安全”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安全을 유지하기 위하여 危害要素를 識別할 수 있는 튤이 필요하고, 事故.준事故에 대한 危險의 심각도 및 발생빈도를 이용하여 危險管理를 할 필요가 있다. 危害要素는 개인에게 부상을 가져다 주는 잠재적인 물체 또는 조건, 장비. 구조의 손상,장비 및 손실, 지시기능의 실행능력 감소 등을 초래한다. 또한 危險은 부상.손실을 가져다 준다. 危險의 척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심각도와 발생가능성의 조합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危險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SEM방법론을 이용하여 潛在變數와 測定變數를 이용하여 危險管理 意思決定 모델을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Fault Tree 방식은 인위적으로 고정된 방식에 의하여 危險의 정도가 판단되므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나 意思決定 모델은 潛在變數를 이용하여 대화와 같은 방법으로 事故 원인을 판단하므로 危害要素와 危險을 유연하게 판단하고 확률적으로 정확한 결론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