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orean EFL speakers’ pragmatic transfer in the speech act of complaints

        Lee, Joo Hyun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Korean EFL speakers’ pragmatic transfer when they make complaints in an international workplace setting through a 1:1 oral-role pla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Korean EFL speakers who have been using English in Korean companies for more than six months with speakers in other countries who might be native English speakers or non-native speakers excluding overseas Korean. In order to consider the workplace settings, the social status in role-play has been divided into low and high, each representing the level of the companies they are at. The higher status might indicate that one of the companies can be in a position of a buyer, while the other is a consum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pragmatic transfer, the current study first examined whether they were any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ness of complaints made by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social status in the role play. The quantitative analysis with paired samples t-test sugges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ticipants’ responses between low and high social status.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ad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aints strategies made by the participants and to locate some of the strategies related to pragmatic transfer. By coding the utterances of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coding schemes of each social status, the results examined the frequency of each pragmatic strategies and further revealed how some of the strategies might be related to pragmatic transfer. Some of the pragmatic strategies of complaints related to pragmatic transfer were confirmation check/comprehension check, needed future behavior, rhetorical question (implied personal criticism/complaint), and implied agreement with warning when the participants were at a higher status. On the contrary, request for review/change and rhetorical question (implied personal criticism/complaint) were the types of strategies that were indicating pragmatic transfer when the participants at a lower social status. Especially, request for review/change and rhetorical question (implied personal criticism/complaint) were also shared in the previous study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SL learners’ utterances exhibiting pragmatic transfer.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cluding these strategies also had lower acceptability. The results might suggest that rhetorical question was the most common strategy used for making complaints in Korean language, while this might not be the effective way of complaining in English.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se strategies are not always end up with misunderstanding. It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tendencies of Korean EFL speakers’ complaint response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can be helpful with teachers and Korean EFL speakers in understanding the pragmatic strategies of complaints needed in the workplace, Also, by referring to the results, Korean employees who are using English at work can better reflect their pragmatic strategie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a global context.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화자들이(English as Foreign Language) 영어로 불만을 제기할 때, 한국어로부터의 화용 전이 (Pragmatic transfer)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일대일 구술 역할극 (Oral role-pla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에서 회사에 다니면서 약 6개월 이상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영어로 업무를 처리했던 경험이 있는 한국인 직장인들이었고, 주어진 역할극 상황도 모두 직장 생활을 배경으로 하였다.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란 외국에 있는 한국 교포를 제외하고 영어 원어민이거나 제2외국어로서 직장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해외 직원들이다. 역할극은 높고 낮은 두 가지 사회적 지위를 포함하였는데, 이는 회사의 사회적 지위로 예를 들어 한 회사가 구매자이고 다른 회사가 생산자인 상황에서 각 회사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직원들 사이의불만 제기를 구현하려고 하였다. 위 한국 직장을 다니는 한국 EFL 화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먼저 참여자들이 회사의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이 구분된 역할극 상황에서 다른 사회적지위에 따라 불만 화행의 적절성이 달라지는지에 대해 양적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각 참여자의 발화에 사용된 불만의 화용 전략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화용 전이와 관련이 있는 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화용 전이의 발생을 알아보았다. 먼저, 양적 연구와 관련하여 참여자들의 불만 화행 점수를 평균을 내어 대응 표본T 검정 테스트 (Paired samples t-test)로 높고 낮은 사회적 지위 사이에 불만의 적정성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이후 질적 연구를 위해 코딩 체계를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불만 전략을 코딩하고 전략의 사용 빈도수를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각 사회적 지위에서 화용 전이를 나타내는 전략들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의 차이는 참여자들의 불만의 적절성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참여자가 높은 지위에 있었을 경우 낮은 지위에 있었을 때보다 평균 점수가 조금 낮았다. 또한, 참여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 화용 전이를 포함하는 불만 전략은 확인 및 이해도 질문(Confirmation check/ Comprehension check), 미래 행동 요구 (Needed future behavior), 수사학적 질문 (개인적인 비판/불만 포함) (Rhetorical question (implied personal criticism/complaint), 그리고 동의를 포함한 경고(Implied agreement with warning)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 확인/수정 요구(Request for review/change)과 수사학적 질문(개인적인 비판/불만 포함) (Rhetorical question (implied personal criticism/complaint)가 화용적 전이와 관련된 불만 전략으로 드러났다. 특히나 수사학적 질문과 동의를 포함한 경고, 이 두 전략은 Kim (2005)의 선행 연구에서도 한국어에서 화용적 전이가 일어난 전략들이라고 보여졌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전략들이 포함된 참여자들의 답변은 영어에서의 수용성(Acceptability)가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에서는 불만을 제기할 때 수사학적 질문을 많이 사용하지만, 영어에서는 이 전략이 강한 불만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는 없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러한 화용적 전이가 포함된 불만 전략이 항상 의사소통의 단절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고, 한국인들이 영어로 불만 전략을 채택할 때 나타나는 한국어의 특징들이 포함되는 경향들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한국 EFL 화자 및 직장인의 영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국제 업무 환경을 배경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순히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화자 간의 대화뿐만 아니라 비원어민들 사이의 영어 사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두 번째로, 영어를 사용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교육에서 화행 전략과 관련된 지식을 이해하는 데 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업무상 영어를 사용하는 직장인들이 불만 화행에서 어떤 전략들이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 코퍼스 기반의 청크 학습이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식고양활동과 역할놀이를 활용하여

        박승현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논문 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교수하고자 하는 청크 표현들을 원어 코퍼스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이하 COCA)를 활용하여 교안으로 제시하였을 때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습한 청크 표현을 창의적인 역할놀이로 표현했을 때 말하기 능력의 향상정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윈난성 쿤밍시에 소재한 윈난경제관리 대학교의 대학생 2개의 동질집단을 선정한 후, 사전 사후 말하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인 영역의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코퍼스 기반 의식고양활동의 단계에 따라 청크문장의 오류 인지- 올바른 청크에 대한 의식적인 자각-청크 쓰임에 대한 가설과 추론 과정을 거친 후 자기 주도적으로 대본을 작성하는 창의적인 역할놀이를 실행하였고, 통제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전통적인 교수 후 주어진 대본을 암기하여 발표하는 역할놀이를 실시하였다. 6주 간의 실험수업 후, 두 집단 간에 사후 말하기 평가와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 기반 의식고양활동을 통한 청크 학습은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은 의식고양활동을 통해 잘못된 표현들의 오류를 인지하고 코퍼스 예문들을 통해 청크의 다양한 쓰임을 학습하여 이를 말하기로 발화해낼 때 올바른 청크를 사용할 수 있었다. 둘째, 말하기 활동을 위하여 역할놀이를 실행한 것은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실험집단의 역할놀이 대본은 참여자가 앞서 배운 청크 표현들을 활용하여 직접 작성한 것이었기에 보다 자신감 있게 발화할 수 있었고 또한 스스로 작성하며 역할놀이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한층 더 몰입된 말하기를 할 수 있었다. 셋째, 코퍼스 기반 의식고양활동과 역할놀이를 활용한 청크 학습은 정의적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집단 간 사후 정의적 영역 조사 결과 세부 항목인 흥미도, 자신감, 자기 주도성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오류표현들을 스스로 찾아 고쳐 써 보고 올바른 패턴을 찾아보며 학습한 것이 영어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성을 고무시켰으며 교재에 제시된 지문이 아니라 본인들 스스로 자유롭게 작성한 대본으로 역할놀이를 함으로써 흥미도가 증진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퍼스 기반 의식고양활동을 활용한 교안은 학습자로 하여금 청크를 깨닫고 그 표현들의 쓰임에 대해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사용하는 것을 이끌 수 있는 것이라는데 교육적인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청크 표현들을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대본을 작성하는 창의적 역할놀이 학습은 영어표현의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언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자기주도성의 정의적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코퍼스 기반의 의식고양활동을 활용한 교안과 창의적인 역할놀이를 학교 현장에 확대 적용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Effectiveness of Corpus-based Chunk Learning for English Proficiency of College Students: With Application of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and Role-play Park, Seung-hyun Depart of TESOL The Graduate School of TESOL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unk learning using a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and a role-play on the student's English productive speaking ability and the affective domain when studying English. For this study, two group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se students were required to recognize and point out the errors in given sentences, and find the correct patterns through their own self-discovery work. Al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write a creative script based on chunks learned through th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followed traditional teaching according to the textbook and performed a typical role-play by repeating and memorizing dialogues from the textbook. The detailed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the use of accurate sent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hows that the participants' knowledge gained through th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helped increase their accuracy and recognition of correct chunks when speak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of speaking profici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the use of chunks through the role-play significantly progressed the experimental group's fluency, and it was also effective for keeping the chunks in a long-term memory.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learner's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unk learning using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and role-play is effective for improving English productive proficiency and increasing the affective domain.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duct further research as an extended applic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 (A) Case study of Korean secondary EFL learners’ student-generat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development as learning-oriented assessment

        Kim, Gi Jung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학생 제작 독해 시험 개발 과업의 배움중심평가로서의 특성을 탐색하고 조사하였으며 , 더 나아가 학생 제작 독해 시험 개발의 한 과정인 모둠 토의가 학생들의 독해 영역에서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중사례설계를 활용하여 한국인 11학년 학생 6명이 3명씩 두 모둠을 이루어 본 연구의 연구자인 한국인 영어 교사의 지도 를 받아 17 주 동안 세 개의 독해 시험을 만 들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시험 개발 과정 녹화본 연구참여자들이 직접 제작한 문항,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생 제작 독해 시험 개발의 배움중심평가로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러한 자료는 Carless (2007) 의 배움중심평가 체계에 기반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문항을 제작하면서 학습 목표와 연계된 효과적인 읽기 전략을 활용하고 개발하였다 또 한 연구참여자들은 시험 개발 과정에서 자신의 독해 과정을 자기 평가하고 서로의 독해를 향상하기 위하여 동료 피드백을 주고 받았다. 본 연구는 독해 시험 개발 과정의 일부인 모둠 토의가 학생들의 중심 내용 파악 영역에서의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고츠키 학파의 관점을 바탕으로 중심 내용 파악 영역에서의 학습을 학생들이 중심 내용에 대한 이해를 공동으로 구성하면서 학생들의 중심 내용 파악 기능에 대한 통제력과 참여하는 정도가 증대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조작적 정의를 기반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모둠 토의 과정에서 중심 내용 파악 기능에 대한 자신감과 통제력이 향상되면서 중심 내용 을 더 명확하게 파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읽기 수준이 낮은 연구참여자들이 중심 내용 파악 기능을 습득하면서 주변적 참여자에서 좀 더 완전한 참여자로 변화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움중심평가 과업에는 학생들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협력적 평가 과업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현재 가르치고 평가하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에 대해 학생들 이 공동의 이해를 구축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그들이 이러한 공동 구축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공동으로 구성한 지식과 기능을 내면화하도록 돕기 위하여 개별 학생들에게 공동으로 구성한 지식과 기능 을 개별적으로 드러내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student-generat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development as learning-oriented assessment and furth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group discussion as part of the student-generat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development on student learning in reading comprehension.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adopted a multiple-case study design where six Korean grade 11 students in an EFL context, who constitute two groups of three students, developed three sets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s over 17 weeks under the direction of a Korean English teacher, who is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participants’ video-recorded test development processes, the actual test items that they created, and post-interview data for th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oriented nature of the student-generat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development, the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Carless’ (2007) framework for LOA.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used and developed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aligned with the learning goals while creating test items. They also self-evaluated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exchanged peer-feedback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during the test development.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data to examine how the group discussion as part of the student-generated reading comprehension test development influenced student learning in the main-idea comprehension. Drawing upon a Vygotskyan perspective, learning in the main-idea comprehension was operationalized in the current study as students’ co-construction of the main-idea comprehension where their control over the main-idea comprehension skills and the extent of their participation increase. Based on this operationa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main idea with increased confidence and control over the main-idea comprehension skills during the group discussion. In particular, less capable participants’ participation patterns changed from being a peripheral participant to being a fuller participant as they took over the main-idea comprehension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LOA task should require collaboration among students. To design and implement a collaborative assessment task,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build a common understanding of knowledge or skills being taught and assessed and monit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co-building process. They also need to require individual students’ representation of co-constructed knowledge or skills to foster their internalization.

      • (A) Discourse analysis in an ESP context : voice communication spoken by Korean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이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질적 연구는 한국의 주요 항만인 울산항, 마산항 및 여수항의 총 9일치 영어 교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해상교통관제사의 실제 교신 내용을 분석하였다. 해양경찰청에서 규정하고 있는 항만 내 교신절차 및 정보 교환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신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관제사 영어 교육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제해사기구에서 다루고 있는 해상표준통신영어는 전 세계 항만 및 해역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상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관제사가 필요로 하는 영어 교과목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항만 환경에 적합한 관제사 영어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기반으로, 실제 이루어지는 관제사의 담화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전사된 총 9일치 교신 데이터는 입출항, 투묘, 양묘, 안전항해정보 제공 등 총 10가지 상황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상황은 항만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무적 보고 상황인지, 혹은 관제사와 선박 간 안전 항해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이루어진 부가적 교신 상황인지에 따라 구분되었다. 전체 교신 중, 의무 교신은 56.07%, 부가적 교신은 43.93%인 결과를 통하여, 관제사는 항만당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무적인 교신에서 더 나아가 항만 내 교통 관리를 위한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관제사 및 선박의 담화는 가장 작은 의미 단위로 분류되어, 어떤 정보가 상황에 맞게 적절히 제공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졌다. 공통적으로 관제사와 선박은 교신 수립 능력, 수신한 정보에 대한 반복 및 복창을 통한 정확한 정보 파악 능력, 원활한 교신을 위한 교신 구문 사용 등 필수적으로 관제사가 갖추어야 할 영어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상황의 특성에 맞게 어떤 정보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제공하여야 하는지 통계표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투묘의 경우, 정확한 경위도와 방위를 사용하여 선박에 투묘지 정보를 제공하는 담화가 빈번히 이루어졌다. 향후 한국 관제사의 영어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한국 내 다양한 항만 교신 분석이 추가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English is the most prevalent communication tool in the maritime industry.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areas controlled by vessel traffic services (VTS), where there are many vessels with operator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native languages. Thus, the importance of clea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s becoming more apparent and is strongly emphasized to ensure the safety of navigation at sea. As VTS operators (VTSOs) direct the overall flow of traffic in port-controlled area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ost practical direction and application of future training and testing to enhance Korean VTSOs’ English language capabilities from a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perspective. To this end, VTS voice communications are manually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nine-day authentic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major Korean ports (i.e. Ulsan; Masan; and Yeosu). Through transcription and segmentation of the very high frequency (VHF) communications in terms of moves and steps (macro and micro level), this work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Korean local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ways in which to maximiz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of future education and assessment of VTSOs for specific discourse from an ESP perspective.

      • (The) values of native Korean novice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Ideal English teacher: do they have the same dream?

        정현숙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As if on a blind date, a novice teacher and a student may not successfully understand each other in class.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novice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a teacher and what learners seek in a teache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0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4 novice teachers at school. Mismatches in the expectations that teachers and learners hold about the ideal teacher were reveal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longside stimulated recall sessions. Surprisingly, there were only a few areas shared by two groups of participants. In general, students seemed relatively less centered on language expertise and more concerned with other issues (e. g. utilizing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learners, and creating a comfortabl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novice teachers appeared more concerned with problems like pronunci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class recording conducted by one sample novice teache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being a novice, being naïve, and being a native Korean teacher. Novice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overly self-conscious about their language expertise and rather naïve in terms of interactivity in their own classes. It appeared that two problems cannot be cured themselves with time. In the same context, those who have man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t school may experience language attrition, and those who don’t take in-service courses may lack pedagogical knowledge as well.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that either in-service courses or Master degree of studie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supplement experience and they are required to include some contents connected to expectations which learners actually hold about the teacher.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ovice teachers need to place more weight on their strong points (such as native knowledge of Korean students and classroom) rather than merely their weaknesses (such as language expertise etc) in their teaching. This research will be a guideline for the novice teachers to create more successful classes with their students by sharing their point of views and not to waste time and energy meeting learners’ expectations which they do not actually hold. 소개팅과 마찬가지로 초임교사와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서로를 잘 이해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이 연구는 초임교사가 교사에게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점과 학생들이 교사에게 요구하는 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행해졌다. 100명의 중학생과 학교에 근무하는 24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인터뷰, 설문지, 자기관찰법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사와 초임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사가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놀랍게도, 두 실험집단은 오직 몇 가지 부분에서만 공통된 생각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교사의 언어능력에 신경을 쓰기보다는 다른 문제 (예를 들어서 다양한 수업기법을 사용하는 것, 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 편안한 수업분위기를 만드는 것)에 더 관심을 가졌다. 반면에 초임교사는 발음과 같은 언어능력이 교사에게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처럼 보였다. 한 명의 초임교사가 직접 녹음한 수업을 통해서 이 연구는 초임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 한국인교사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초임교사는 자신의 언어능력에 대해 과도하게 의식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들의 수업시간에 일어난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인식을 잘 하지 못했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똑같은 맥락에서 봤을 때, 학교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교사도 언어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현직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를 받고 있지 않는 교사도 교육학적인 지식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이 연구는 두 가지 부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첫 번째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나 석사학위의 공부가 부족한 티칭 경험을 보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위에서 언급한 연수나 학위는 학생들이 실제로 교사에게 가지고 있는 기대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초임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언어능력과 같은 약점보다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 (예를 들어서 그들은 한국인 학생들과 한국교실상황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다) 에 더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초임교사 자신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생각을 공유함으로써 그들이 학생들과 좀 더 성공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침서가 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이 실제로 가지고 있지도 않는 교사에 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 언어 환경에 따른 성인 영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연구 : EFL과 ESL을 중심으로

        김재영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adult learners in EFL and ESL contexts, and to investigate what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re preferred in each context.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re preferred to be used by adult students in EFL context? 2. What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for adult students in ESL context do they prefer?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etween EFL and ESL context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35 learners in EFL and 35 learners in ESL context were asked to fill in a demographic questionnaire and Oxford(1990)’s “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All the subjects were selected to be intermediate level or above in English proficiency to prevent causing a difference of using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ich might result from the difference of learners’ language level. Their English proficiency was measured by TOEIC scores for EFL learners and IELTS scores for ESL learner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0 were performed at a .05 level of significance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For the in-depth analysis of learners’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in each context, 4 participants in each group were chosen to have a one-to-one interview.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trategies in order from the most frequently used to the least frequently used by EFL adult learners who were intermediate level or above were compensation, metacognitive, cognitive, social, memory, and affective strategies. This shows that EFL learners used the methods to help make up for missing knowledge regularly. Based on the interviews, it was discovered that cognitive strategies were also used a lot by EFL learners to understand L2 in direct ways. Secondly, strategies in order from the most frequently used to the least frequently used by ESL adult learners who were intermediate level or above were metacognitive, compensation, social, cognitive, memory, and affective strategies. The reason why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preferred most seems to be that the environment which has an intensive English learning atmosphere provided learners with a strong motivation to use more relevant ways to arrange their languag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revealed that not only metacognitive strategies but also social strategies which help students to learn by interacting with others were used frequently by ESL learners. Thirdly,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etween EFL and ESL context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in each context(p<.001). As a result of paired comparison in strategies(Bonferroni), EFL and ESL showed a similar pattern which is that memory and affective strategies were less preferred to be used than cognitive, compensation, metacognitive, and social strategie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average differences, social strategies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dicating that it was preferred more by ESL learners. Meanwhile, affective strategies were presented as the lowest frequency in both contexts. Furthermore, as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changed to ESL from EFL, adult learners have used metacognitive and social strategies more but memory strategies les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learners should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language learning context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learner’s choice of strategies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se strategies. Moreover, learners and teachers in EFL context are recommended to pay attention to the feasible ways which can help them to use social strategies in their classroom, with reference to how ESL students tried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ESL context. In addition, not only teachers but also language program designers need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affective strategies which helps learners to succeed in language learning in the long term. Especially, teachers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strategies and include strategy instruction in their curriculum. 학습 전략의 중요성을 인지한 이전의 연구자들은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과 학습 전략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학습자의 언어 학습 환경(language learning context)에 따른 학습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분야였다. 이미 십 여 년 전부터 세계화는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 학습자들의 영어권 국가로의 어학연수의 규모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지만 언어 학습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학습 전략에도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 학습 전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 각 언어 환경에서 어떠한 학습 전략이 더 빈번하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EFL 환경(한국)과 ESL 환경(호주)에 있는 성인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이 두 그룹 간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 문제를 세웠다. 이를 위해 EFL 환경과 ESL 환경에 있는 한국인 성인 영어학습자 각각 35명씩, 총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가 날 것을 우려하여 중급 이상의 영어 실력을 가진 설문 대상자들을 선별하였고 이를 위해 EFL 환경의 학습자들은 토익(TOEIC) 성적을, ESL 환경의 학습자들은 아이엘츠(IELTS) 성적을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Oxford(1990)의 언어학습 전략목록(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을 활용하였고 설문조사를 한 후 IBM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 참여자 중 EFL과 ESL 환경에서 각각 4명씩 추출하여 진행한 인터뷰는 모두 녹음 후 전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급 이상의 영어 실력을 가진 EFL 환경의 성인 영어 학습자는 설문 조사 결과 보상전략, 초인지전략, 인지전략, 사회적전략, 기억전략, 정의적전략의 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L 학습자들이 보상전략을 가장 선호한다는 것을 통해 EFL 학습자들은 학습 과정에서 발견되는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기 위한 학습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EFL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방식을 통해 L2를 이해하는 인지전략의 사용 또한 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중급 이상의 영어 실력을 가진 ESL 환경의 성인 영어 학습자는 설문 조사 결과 초인지전략, 보상전략, 사회적전략, 인지전략, 기억전략, 정의적전략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L 학습자들이 초인지전략을 가장 선호하는 이유로 집중적인 영어 학습 환경이 조성된 ESL 환경이 학습자에게 강한 동기를 부여하면서 전반적인 언어 학습 과정을 진행하는 데에 필요한 학습 방식을 많이 사용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서 ESL 학습자들은 초인지전략과 더불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는 사회적전략의 사용 또한 활발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EFL과 ESL 환경의 성인 영어 학습자는 학습 전략 사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각 환경 내의 전략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략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전략 간 대응 비교(Bonferroni) 결과, EFL과 ESL 환경에서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즉, 기억전략과 정의적전략은 인지전략, 보상전략, 초인지전략과 사회적전략에 비해 비교적 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전략 사용 평균을 비교하였을 때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전략은 사회적전략으로 ESL 학습자들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의적전략은 두 집단 모두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언어 학습 환경이 EFL에서 ESL로 변화하면서 성인 학습자들은 초인지전략과 사회적전략의 사용은 늘고 기억전략의 사용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는 본인이 갖고 있는 언어 학습 환경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L2의 학습과 실제 활용을 얼마큼 자연스럽게 병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 학습 환경이라는 변인은 언어 학습을 위해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의 종류와 사용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EFL 학습자들은 보상전략과 인지전략의 사용을, ESL 학습자들은 초인지전략과 사회적전략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EFL 환경인 한국의 교사와 학습자들은 사회적전략의 사용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의 인터뷰에 참여한 ESL 학습자들은 한국에서 영어 공부를 적지 않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 학습 환경이 EFL에서 ESL로 변화하면서 의사소통 측면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생존을 목적으로 스피킹과 리스닝 위주의 학습 방법으로 전환하였고 이들이 사용한 학습 방법은 원어민 또는 영어를 배우는 다른 사람들과 영어로 이야기를 나누고 새로 배운 표현은 스피킹이나 라이팅을 통해 실제 활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EFL 환경의 교실 수업에 적용시키는 한 예로 스피킹과 라이팅 연습을 위한 역할 분담 조별 활동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교사는 물론, 언어 학습 프로그램 개발자들 역시 정의적전략의 사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L2 학습을 방해하는 긴장감과 두려움 같은 부정적 정의를 자신감과 성취감 같은 긍정적 정의로 전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정의적전략은 학습자의 성공적인 언어 학습을 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이 학습 일지 또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긴장감과 자신감 상실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넷째, 교사는 언어 학습 전략을 교육과정에 반영시켜 학습자들이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본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 전략을 찾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실 수업의 여러 가지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 속에서 해당 활동에 적합한 학습 전략을 가르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언어 학습 환경을 기준으로 성인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한 본 연구가 앞으로 언어 학습 환경에 따른 성인 학습자의 학습 전략 설계와 학습 전략 지도 방안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우리나라에서 조기영어교육이 한국어 모국어발화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Frog story 자료를 이용한 자발화 분석

        김유정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조기영어교육이 한국어 모국어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발화(말하기)를 중점으로 한 연구이다. 영어유치원에서 전일제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학습자와 일반유치원에서 시간제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학습자의 모국어발화를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 어휘력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전일제 영어유치원에 다녔던 1학년 학습자 20명과 일반유치원을 다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Frog story" 그림책을 이용하여 한국어 발화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전일제 조기영어교육 학습자가 시간제 조기영어교육 학습자에 비하여 모국어 발화의 유창성과 문장의 복장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정확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났는데 전일제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시간제 조기영어교육 학습자보다 정확도가 낮았고 발화오류의 종류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학습자의 한국어발화에서 보이는 오류의 형태와 비슷하게 나타나 모국어와 영어와의 차이에서 오는 오류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었다. 어휘력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데 전일제 조기영어 학습자가 시간제 조기영어 학습자보다 외래어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한자어표현은 비슷하게 발화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전일제 조기영어 학습자가 시간제 조기영어 학습자보다 모국어 발화 시 오류를 더 많이 보이지만 다양한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EFL환경에서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면을 고려해야한다는 입장을 지지하는 결과인 반면에 또한 긍정적인 면도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영어에만 노출된 교육형태 일수록 모국어 발화 시 문장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외래어어휘를 사용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조기영어교육을 무조건 반대하거나 무조건 찬성할 것이 아니라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모국어의 오류형태를 반영하여 모국어지도 시 좀 더 명확한 교사의 설명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외국어 교육 시 모국어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모국어와의 대조를 보이는 규칙을 설명할 때는 모국어의 규칙도 더불어 설명하는 등 모국어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the first language speaking in Korea -Elementary school 1st grades by "Frog story" book Yoo-Jung Kim Major in TESOL The Graduate School of TESOL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children’s narrative of L1 Korean. The effects of L2 acquisition on L1 in bilingualism have been found multi-dimensional with negative, positive or no effect (Cook, 2003). Even though early English education is prevalent in Korea, research on its effects on the children’s L1 Korean is spar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children’s speaking of L1 Korean. An oral story-telling task was conducted in Korean using a textless picture book "Frog Story"with twenty 7-year-old graduates of full-time early English education (English-only kindergarten) and another twenty part-time children early English education (regular Korean kindergarten) graduates of the same age. The narrative data from the task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spects of complexity, accuracy, fluency and vocabulary of the sen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and complexit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the two groups. The full-time early English education(English-only kindergarten) graduates spoke with more errors than the other part-time early English education (regular Korean kindergarten) graduates of the same ag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o-Korean words between the two group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eign word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ull-time early English education graduates used more foreign words than the part-time early English education graduates of the same ag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nglish-only kindergarten graduates produced Korean sentences with more grammatical errors with more words of English origin than the regular Korean kindergarten graduates. These results indicate not only positive effects but also negative effects of early L2 English education on L1 Korean speaking,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based on empirical study for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achers as well as parents of children.

      • The Self-perceptions of Korean Non-native EFL Teacher Trainees on Oral Proficiency and Self-directednes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Lee, Ju Hei 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Self-perceptions of Korean Non-native EFL Teacher Trainees on Oral Proficiency and Self-directednes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It is true that the numbers of NNESTs are increasing all around the world and has already over 80 percent of the total English teachers (Canagarajah, 1999).Compare to NESTs, NNESTs have more demands to improve their limited language proficiency. Since there are arising interests on TEE or TETE in Korea (Jeon, 2008; Jin, 2006), Korean NNESTs’ language proficiency, especially oral proficiency seemed to take important part to teach effectively. Given the fact of the importance of language proficiency, the study focused on oral proficiency of NNESTs and aimed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self-directedness in Korean EFL NNESTs, self-directed action to improve them to become better professions in Korea. 53 Korean teacher trainees from two different TPD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hared the perceptions and efforts they make in and outside of the TPD program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questionnaire and face to face interview with eight participants. As the results, the study have found out that Korean EFL NNESTs valued reading and speaking among four skills, and their attention to oral proficiency was undeniable. Although the teacher trainees found speaking, oral proficiency as the important skill, they had low levels of confidence to say their overall and oral proficiency are good. The important and distinct point was that the teacher trainees were mostly aware of the continual professional development. Many participants stated these two activities “reading various materials” and “trying to speak or interact with foreigners” as the most frequent actions they make in order to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At last, TPD programs were helpful for the teacher trainees to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however, teacher trainees from GSE noticeably had perceptional changes. The first two semester group positively described their improvements on language, yet as time goes they do not see much improvement on language proficiency. These results and findings gave a better look on Korean EFL NNESTs' self-perceptions on oral proficiency and their actions for continual profess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it looked into current NNESTs’ needs and Korean TPD programs with better insights which ultimately can make better teachers and programs. 한국 EFL 비원어민 영어교사들(NNESTs)의 본인 말하기 능력(Oral Proficiency)에 대한 자기인식과 전문적 발전을 위한 자기주도성(Self-directedness) 전 세계적으로 비원어민 영어교사들(NNESTs)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미 80%가 넘어 섰다 (Canagarajah, 1999). 원어민 영어 교사들(NESTs) 의 비해, 비원어민 영어교사들은 부족한 영어실력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또한 영어로 영어를 가르는 TEE 혹은 TETE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Jeon, 2008; Jin, 2006), 한국인 영어교사들의 영어 실력, 특별히 말하기 능력 (Oral Proficiency)이 효과적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전달하는데 점점 중요해 지고 있다. 이 연구는 비원어민 영어교사들의 말하기 능력에 대해 중점을 두어, 한국에서 더 나은 교사로 발전하기 위한 자기주도(self-directedness)와 자기주도적 활동(self-directed action)이 얼마나 이루어 지고 있는가를 살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개의 다른 한국 교사발전 프로그램에 속해있는 53명의 영어 교사들이 참여하여 그들의 생각과 자가 발전 노력에 대한 대화들을 나누었다. 설문지와 8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한국 EFL 비원어민 영어교사들은 본인의 읽기와 말하기 실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 에 비해, 그들은 본인의 말하기 능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영어 실력에 대한 비교적 자신감이 낮았다. 그 중에 명확하게 눈에 띄는 점은 지속적인 전문성을 위한 발전이 필요하다라고 스스로 느끼는 것이었다. 참여자의 다수가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자료 읽기”와 “외국인과 소통하며 말하기”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 기관이 그들의 영어실력 향상에 기여한다 보여졌지만, 두 학교 중 GSE에 속한 참여자들은 그 실력 향상에 대한 견해가 초반보다 후반에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EFL 비원어민 영어교사들의 본인 말하 기 능력에 대한 자기인식과 지속적 전문적 발전을 위한 노력에 대해, 현 비원어민 영어교사들의 필요와 한국 교사 발전 프로그램에 대해 더 깊은 통찰력과 또 다른 시각을 제공했다.

      • Examining Korean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spectives of the usefulness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in speaking development

        임진영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10명의 한국 성인학습자들이 참여하여 그들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경험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앞으로의 영어 말하기 학습에 대해 개인마다 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가 진행 되었다. 그 결과, 한국 성인학습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어 말하기 학습을 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과 경험을 말했지만 여전히 많은 보완점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 중에 명확하게 눈에 띄는 점은 많은 참여자들이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긍정적이라고 했음에도 말하기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은 부정적인 기능의 대한 언급이 긍정적인 기능만큼 많았던 것이다. 또한, 참여자의 다수가 영어 말하기 학습에 관심이 있었지만 관심의 정도가 다 달랐고, 그로 인해 많이 바쁠 때는 자주 사용하지 못한 점을 드러내며, 이 부분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인 측면보다 개인이 학습에 대한 목적과 동기에 따라 사용 방법과 그에 대한 견해가 달라짐을 연구의 전반보다 후반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이처럼 본 연구는 모바일 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영어 말하기 학습 발전을 위한 자신들의 견해에 대해, 말하기 학습에 최적화된 더 정교하고 섬세한 기술적인 발전과 그런 기술이 기반이 된 어플리케이션 내의 직접적인 말하기 기회의 필요에 대해 또 다른 시각을 제공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experiences with three mobile phone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and their perspectives of their usefulness in regard to their L2 speaking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Korean adult learners.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learning journal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over a period of six week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he 3 applications during the first week of data collection, learners had freedom to explore all the applications. After the first week, students could choose one application which they wanted to use for 3 weeks. This process gave participants time to consider which application best fit them. Each participant had to send the researcher their learning journals once a week after using an application. Through Kakao talk, the researcher texted participants a message with five questions. After 4 week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a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qualitative depictive data of the personal experiences from the participants. Every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sked to attend an individual interview which lasted 20 to 30 minute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ere positive aspects of English-speaking educ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nd many advantages of the applications were effective for learning English.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arts that must be supplemented as an English speaking educational tool, it is expected that learning language from the applications will have a big impact someday because of the continued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u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utilizing mobile phone application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can be a useful tool for EFL learners’ speaking development.

      • Exploring L2 reading attitude of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1 and L2 reading attitude and other contributing factors

        박미진 韓國外國語大學校 TESOL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or are connected to attitudes toward the second language (L2) reading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ontext. Understanding these attitudes is crucial in language classes because they affect students’ desire to read, which in turn affects their reading behavior (Tremblay & Gardner, 1995; van Schooten & de Glopper, 2002). If we assume that learners who begin reading in L2 are already literate in their first language (L1), it is possible to say that L1 reading attitude can be one factor of L2 reading attitude. A certain attitude that learners form toward L1 reading may be connected to their L2 reading attitud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1 and L2 reading attitudes of young EFL learners in South Korea, a quantitative correlational analysis was us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42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1 and L2 reading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a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L1 and L2 reading attitudes of those learners. L2 reading attitudes may be influenced by factors other than L1 reading attitudes because attitude is a diverse and complex concept. In order to investigate additional factors that the learners believed affected their L2 reading attitudes, follow-up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Four major emerging themes were developed from the interview data: reading-related, reader-related, learning-related, and language-relat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learners’ L2 and L1 reading attitudes may be comparable, or that learners may have general attitudes toward reading regardless of the language they are reading in. Additionally, they exhibit the complexity of L2 reading attitudes, which may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ose of language learners (Lee & Schallert, 201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외국어로(EFL) 사용하는 한국 초등학생의 제2외국어(L2)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의 읽기 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시 학생들의 읽기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언어 수업에서 중요하다(Tremblay & Gardner, 1995; van Schooten & de Glopper, 2002). L2 읽기를 시작한 학습자가 이미 제1언어(L1)에 대한 문해력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L1 읽기 태도가 L2 읽기 태도의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가 L1 읽기에 대해 형성한 특정 태도는 그들의 L2 읽기 태도와 연결될 수 있다. 한국의 어린이 EFL 학습자들의 L1과 L2 읽기 태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정량적 상관분석을 사용되었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42명의 한국 초등학생들의 L1과 L2 읽기 태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학습자들의 L1과 L2 읽기 태도 사이에 보통정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태도는 다양하고 복잡한 개념이기 때문에 L2 읽기 태도는 L1 읽기 태도 이외에 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학습자가 L2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추가적인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 참여자 중에서 선정된 1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후속 반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면접 자료를 통해 독서 관련, 독자 관련, 학습 관련, 언어 관련 4가지 주요 테마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L2와 L1 읽기 태도가 비슷할 수도 있고, 학습자들이 읽고 있는 언어에 관계없이 읽기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를 가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L2 읽기 태도의 복잡성을 보여주며, 이는 언어 학습자의 읽기 태도를 이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Lee & Schallert, 20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