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김범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3743

        종사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 정 및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정 등 안전관리 법규를 강화해 왔 다. 이러한 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2위라는 불 명예를 안고 있으며 안전보건공단의 2022년 산업재해 통계 자료에 따르면 사업장의 규모가 작을수록 피해가 크며 5~49인 사업장에서 전체의 41.8% 의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1년 미만 근속자의 산업재해 발생은 66%, 50세 이상 근로자의 산업재해는 40%를 점유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업의 최 고경영자의 안전경영 의지가 중요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 령 4조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조치를 제정하였고 이에 따라 많은 대기업, 중견기업은 법을 준수하기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 사업장의 자체적인 안전관리 문화가 쉽게 확립 될 수 없는 현실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중소기 업의 최고경영자는 안전보건정책을 경영방침에 반영하고 안전에 관한 세 부지침과 기준을 규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기적으로 안전보건계획에 대한 실행 결과를 자체 사업장에서 평가 후 개선토록 하는 등 자율 안전 보건체계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이더라도 안전문화가 사업장에 정착되도록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안전보건공단에서 인증하는 국내인증 규격인 KOSHA-MS와 국내외 민간인증 심사기관에서 인증하는 국제인증 규격인 ISO 45001로 분류되는데 이는 안전 관련 법규에서 정한 사항을 모두 준 수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안전관리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국내 외 인증규격을 취득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아닌 실질적 운영을 위 해 중소기업이 안전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51개 사업장에 재직하는 안전관리자 등을 통해 중소기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제도개선에 대한 설문 조사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종사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안전보건 업무수행 현황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안전 교육 계획이 수립되었는지 확인하여 이에 따라 안전보건 조직의 성과측정 및 준수평가가 진행되는지를 파악하여 본 연구 의 주제인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은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에 의한 안전보건경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결론지었으며, 최고경영자 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는 내외부 협조체계 절차 확립이 있었고, 모기업의 협력회사에 대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안전보건 활동을 지원도 있었으며, 이러한 안전관리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자율 안 전관리체계가 확립되려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계자의 명확한 업무 절차 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도출되었으며 이런것들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적인 제도개선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보인다. 끝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취득을 위한 또는 이해 관계자의 요구 로 어쩔 수 없이 운영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이 되지 않기를 바라며 제시된 제도개선 방안을 중소기업에서 적용한다면 보다 실질적인 안전관리가 사 업장 전반에 안전문화로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workers,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safety management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Despit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has the disgrace of being ranked second, and according to the 2022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smaller the size of the workplace, the greater the damage, and 41.8% of the total in workplaces with 5 to 49 employees. Occupational accidents accounted for 66% of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service and 40% of those aged 50 or older. In response, the government enacted measures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Article 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etc., in which the CEO's commitment to safety management is important. are doing. However, in the case of SMEs, it is a reality that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afety management culture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build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CEOs of SMEs need to reflect safety and health policies in management policies and stipulate detailed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so that eve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can establish a safety culture in the workplace by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 autonomous safety and health system, such as periodically evaluating the execution results of the safety and health plan at the workplace and making improvements.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s classified into KOSHA-MS, a domestic certification standard certifi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nd ISO 45001, an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tandard certified by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certification agencies, which are standardized to comply with all matters set forth in safety-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t can be considered as a safety management system.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for SMEs through safety managers at 51 business sites of SMEs so that SMEs can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by complying with safety-related laws for actual operation, not a safety management system to acqui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tandards. A survey on system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contents. In the survey, the awareness of workers was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nd health work was investigated, and an effective safety training plan was established to determine whethe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compliance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were conducted accordingly. An improvement plan was deriv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t is very necessary for SMEs to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O. There was also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for the company. In order for this safety management system to efficiently establish an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it was found that clear work procedures for those involved i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re required. It seem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system is urgently needed. Finally, we hope that it will not be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is inevitably operated for obtaining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or at the request of interested parties. Expect.

      • 중소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및 구축 방안 연구

        허건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3743

        It is the study on the discovery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SM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creation of safe business places with prevention and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by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orkers’ lives and reduction of accidents and losses in terms of management. The government entirely revised and reinforce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n January 15, 2019, finally enacted and promulgated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on January 26, 2021 and implemented it as of January 27, 2022. Though recently the Industry Safety and Health Act was revised and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as enacted and implemented, in this era of advancement, enlargement,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by industry category and enterprise size, there are limitations only with laws. That is,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e enterprise situation should be autonomously introduced and established.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d advance the safety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first, the survey on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the common point from number 1 through 3 answers from certified and uncertified business sites was the importance of “the safe and healthy work environment preventing workers’ illnesses and injuries”, answered by 91.4%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77.7% of the uncertified business sites. In other words, it is deem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workers’ work environment by introduc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ill enhance the quality of workers’ lives and prevent and reduce accidents in term of management, which will result in the decrease in work loss, reduction of accident compensations, and improvement of workers’ welfare. Second, the survey on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93.1%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85.7% of the uncertified business sites selected the management’s leadership and the management’s interest are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KOSHAMS, 2019). In other words, it is the management’s clear and firm declaration about the pursuit of the autonomou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business sites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ble and sustainable system with smooth communications through workers’ participations. Third, the survey on the activ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94.8% of the certified business sites and 84.8% of the non-certified business sites selected commonly that the support (consulting, risk assessment, system building, education, etc.) to get certified was most important.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government’s strong support is necessary and in order for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be successfully operate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afe and healthy work environment by preventing workers’ illnesses and injuries withdrawn from the introduction plan, to have the management’s leadership and interest and work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withdrawn from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and to obtain the support (consulting, risk assessment, system building, education, etc.) for the certification withdrawn from the activation plan. In order words, as ways to activat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t is suggested to provide the consulting support due to the new enact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and reduce accidents by identifying harmful and risk factors in advance and for government to provide strong supports through safety training supports,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 rate for no-accident business sites, execution of the integrated certification system, etc. In addi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in lack of manpower or expertise and require simplification of documentation and operation of an incentive system for workers. According to the company situation, it is to identify risk factors, remove, replace and control risk factors, make, evaluate and improve emergency action plans, and introduce and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 series of PDCA cycle, which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safe and happy workplaces, the habit of safe living, the safety culture and safe workplaces without accid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safe business sites can be developed by the systemic management of proactive actions to prevent accidents, the obligatory assurance of securing workers’ safety and healt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to settle the advance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s a core ele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선진화 기법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및 구축으로 산업재해 예방감소와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어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영 측면에서의 재해손실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정부는 산업안전보건법을 2019년 1월 15일 전부 개정 강화하였고, 급기야 2021년 1월 26일에는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공포 하였으며, 2022년 1월 27 일부로 시행을 하였다. 최근 산업안전보건법개정 및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지만, 업종별, 기업 규모별 고도화, 대형화, 다양화, 복잡한 시대에 법률로는 한계가 있다. 즉, 기업 실정에 맞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자율적으로 도입 및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문화를 구축하고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구축 목적 조사에 의하면 인증 미인증사업장 높은 응답 1~3순위 공통점으로 “근로자의 질병 및 상해를 방지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이 인증사업장 91.4%, 미인증 사업장 77.7%로 중요하다고 조사되었다. 즉,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방안으로 근로자의 작업환경개선을 해야 삶의 질 향상과 경영 측면에서는 재해 예방감소로 작업손실의 감소, 재해보상액 감소, 근로자 복지 개선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 효과적 운영 방안조사에서 안전보건경영 시스템(KOSHA-MS, 2019)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조건 및 효과적 운 영을 위해서는 경영자의 리더십과 경영진의 관심이 인증사업장 93.1%, 미인증사업장 85.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즉, 경영자의 의지를 확고히 천명하여 사업장에 자율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추진함으로써 근로자를 참여를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시스템 추진이 가능하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활성화 방안조사에서 인증 미인증사업장 공통점으로 인증을 받기 위한 지원(컨설팅, 위험성 평가, 시스템구축, 교육 등)이 인증사업장 94.8%, 미인증사업장 84.8%로 가장 높은 응답으로 조사되었다. 즉,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필요 판단되며,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성공적 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도입 방안에서 도출된 근로자의 질병 및 상해를 방지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효과적 운영방안에서 도 출된 경영자의 리더십과 경영진의 관심, 근로자의 적극적 참여하여 운영되어야 하고, 활성화 방안에서 도출된 인증을 받기 위한 지원(컨설팅, 위험성 평가, 시스템구축, 교육 등)이 필요하다. 즉,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활성화 방 안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신규제정에 따른 컨설팅 지원 및 유해·위험요 인을 사전에 발굴, 재해 예방 및 감소에 목적 판단되며, 안전교육지원, 무재해 사업장 산재 요율의 감액, 통합인증제도 시행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 사료된다. 또한, 중소기업이므로 인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함으로 문서의 간소화, 근로자 인센티브제도 운영되어야 하며, 기업 실정에 맞추어 위험요인 파악, 위험요인 제거·대체 통제, 비상조치계획 수립, 평가개선 일련의 PDCA 사이클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도입 및 구축으로 안전한 일터, 행복한 일터, 건강한 일터, 안전생활화, 안전문화 조성하여, 사고 없는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며, 선제적 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의 핵심요소로서 선진화된 안전보건경영을 정착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업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국제경영시스템 인증기업의 안전보건 인식 수준 고찰 및 향상방안 연구

        안병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3743

        국내외 기업의 규모별 안전보건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유의미한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여 사업장의 안전보건 인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실 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안전보건관리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산업안전보건법의 태동 및 최근 흐름 등의 연구주제와 관련된 기초이론을 정립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해외 기업의 규모별 안전보건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글 로벌 인증기관인 DNV GL Business Assurance 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안 전보건 인식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하 여 LEADER그룹을 별도로 구분하여 그들의 안전보건 인식의 특징을 별도 로 정리하였다. 국내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특성을 확인하여 인식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공단에서 발표된 ’2018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기본통계보고서‘ 내용 총 11개 부문 중 안전보 건인식과 관련된 3개 부문에 해당 하는 질문 내용을 선택하여 연구하였으며 몇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시스템 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안전보건경영 시스템 등급제를 도입하여 등급에 따른 차등 관리 실시 방향으로 변화를 모 색하고 정부조달 및 기업구매정책 반영을 통하여 기업이 안전보건인식 향상 이 생존 방안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국내 사업장 의 안전보건인식향상 및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2018 Industrial Accidents Statu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91.8 percent of all employees of Korea is working for less than 1,000 employees. However industrial disaster rate is 96.7% of the total.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warenes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and to suggest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 was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LEADER Group based on surveys by Global Certification Body D The basic theories of the necessity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motio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recent trend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Group were derived through the survey. - Affected by various stakeholder on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issues - There is an internal culture that places great emphasis on health and safety. - Health and safety issues are strongly integrated into the company's internal strategy and have specific and mature systems to implement them - Give a high value in 3rd party certification of th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ctively utilize it as a tool to satisfy the needs of stakeholder. In order to check the safety and health awareness of domestic companies survey of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afety and health recognition were studied in th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some features were derived. -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and health awareness between groups with more than 1,000 employees and less than 1,000. - Groups of less than 1,000 employees, 50-99, 100–299 and 300–999 companies clearly show a tendency to see lower rates of industrial accidents as companies grow in size, but very little difference in levels of health and safety awareness - Small companies tend to invest less in the health and safety sectors and focus on areas for compliance with regula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mpan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LEADER Group, suggest to improve internal system maturity and improvement measures utilizing external environment. - To improve the maturity of the internal system, the existing 3rd party certification system is improved to an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to distinguish grades within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o provide itemized and level-level guidelines to encourage all companies to improve. -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elements of government procurement and corporate purchase, safety and health factors such as the supplier's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evaluation grade level) and industrial accident rate are added to induce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wareness and performance throughout the compan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safety and health awareness of workplaces and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 ISO 45001:2018 도입에 따른 심사 발견사항 비교 분석으로 국내 기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이반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3743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2018년 3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인 ISO 45001:2018 표준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제인정포럼(IAF)은 공식적으로 기존 OHSAS 18001의 표준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유지 해 온 기업에 대해 3년 이내인 2021년 3월초까지 ISO 45001 신규 표준으 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수립 및 유지하여 이전(Migration)하도록 요구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조직의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선하고는 있지만, 새로운 표준의 등장으로 좀 더 체 계적이고 적극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개선을 추구해야 되는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국내 기업은 일반적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첫 번째는 신규 표준인 ISO 45001:2018과 기존 OHSAS 18001:2007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새롭거나 강화된 요구사항을 기 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두 번째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실행하는 대부분 국내 기업은 환경경영시스템과 통 합하여 추진하고 있으므로 기존 환경경영시스템과 ISO 45001:2018과의 차 이를 분석하여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있다. 상기 두 가지 접근방 식은 국내 어느 조직이든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새로운 표준에 맞게 추진 하는데 필요한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을 통한 개선의 시점을 활용하여 기존 경영시스템의 발견사항 중심으로 취약점을 발굴하고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법은 Frank E. Bird 박사가 Loss Control Management 저서 에서1) 손실원인모델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부적 절한 시스템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 고 발견사항의 조사결과를 통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서 발견된 국내 기 업과 해당 시스템에서 발견사항을 발행하는 인증기관의 관점에서 개선의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A인증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난 3년간 지역별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국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 결과의 발견사항, 전 세계(Global)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 결과의 발견사항, 안전 선진국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결 과의 발견사항을 비교 및 분석하고 취약한 영역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견 사항은 전체적인 발견사항과 시정조치가 필요한 중대 발견사항으로 구분 하여 비교 및 분석함으로 이에 대한 차이점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취약한 영역 으로 위험성 평가와 이와 연관된 운영관리로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중 대 발견사항에서는 사건조사 및 부적합 관리에 대한 영역이 취약한 것으 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사기관의 관점에서는 국내 심사원의 역량 향상이 요구되는데 특히 법규에 대한 지식과 부적합에 대한 시정조치에 대한 효 과성 평가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험성 평가와 연계된 운영관 리를 일관성 있게 실행되고 있는 좀 더 심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약한 영역들이 개선이 된다면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 템이 한층 더 진일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국내 사업장에 안전하고 건강 한 작업장이 정착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OHSMS)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namely, ISO 45001:2018 was issued on MAR 12th, 2018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Forum(IAF) officially announced that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OHSAS 18001 shall be migrated into an OHSMS in accordance with new requirement, ISO 45001 standard by early March 2021. It means that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continue to improve OHSMS responded to change of the organization, but it is appropriate time for more systematic and active improvement of OHSMS with the advent of new standard. In general, There are two approaches for local companies in Korea to improve their OHSMSs. The first approach is to analyse the gaps between the new standard ISO 45001:2018 and OHSAS 18001: 2007 and thee to reflect the gaps into the existing OHSMS. Secondly since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are implementing OHSMS integrated wit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o called EHSMS), so, it is to analyse the gaps between the exis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ISO 45001:2018 and then to reflect additional requirements into the existing EHSMS. These two approaches are necessary for any local company in Korea to drive its OHSMS to adopt a new standard, ISO 45001:2018.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improve weak poi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 with tow approach mentioned abov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ory of Loss causation model shown by Dr. Frank E. Bird by his book, the Loss Control Management.1) It is also two opportunities to have improve both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the local company and the existing audit conducted by a local certification body through the survey of findings.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findings by each area through use of the database of A certification body, namely, local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in Korea, all global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and all safety advanced countries’s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The findings are also two categories by all findings, and severe findings to survey and analyse gaps between them.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 was derived from risk assessment and the related operational controls as weak points for the OHSMS of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In addition, another weak point is incident investigation and nonconformity control. in case of certification body, it is required to improve auditor’s competence for the knowledge of the regulations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corrective actions for nonconformities. And,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connection between risk assessment and the related operational controls. If these vulnerable areas are improved,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ocal company will be further advanced and reinforced, and this can affect safe and healthy workplace in local workplace in Korea.

      • 사내협력사에 대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에 효과성 분석 연구

        곽현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3743

        국내 사회구조에 선진화와 고용형태의 다양화, 서비스 업종의 확대, 새 로운 공정 및 스마트형 자동화 설비의 상업화 등에 따른 산업활동 중에 발생되는 재해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여러 요인들로 인해 다양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국민생명과 관련해 OECD 평균 대비 취약한 3대 지표(자 살⋅교통사고⋅산재사고 사망률)의 개선을 위한 대책으로 ‘국민생명 지키 기 3대 프로젝트’(자살예방 국가행동 계획 교통안전종합 대책,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소대책)을 확정하였다. 산업안전과 관련 하여 생명안전 최우선의 일터 조성을 위해 단계별 위 험요인관리, 건설⋅조선⋅화학⋅철강⋅기계제조 분야 집중관리, 2022년까 지 산재 사고 사망자수 연간 500명 이하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생명⋅안전 최우선의 일터’를 조성할 방침이며 산재 사망사고의 65%를 차지하는 건설, 조선⋅화학⋅철강⋅기계제조등 주요 분야를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특히 건설 분야는 착공 전부터 시공까지 단계별로 위험 요인을 관리하기로 했다. 이에 정부는 국내 산업활동에 대한 안전보건 활동에 매년 증가되고 있 는 중대재해에 대하여 자율안전보건인증제도에 도입에 따른 안전보건경영 시스템에 도입을 대책으로서 시행하고 있는 시점이다. 2017년 4월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원⋅하청 산업재해 통합 통계 산출 실 태조사 결과 발표결과 원⋅하청 통합 사고사망만인율이 원청사고사망만인 율의 4배라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원청사에 사내협력사가 사고재해에 원청보다 높게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2018년 11월에 발생된 태안화력발전소에 중대재해 발생은 하청업 체 근로자에 안전이 아직도 법률적⋅규제적⋅구조적 테두리를 벗어나서 활동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업은 협력사의 안전보건에 대한 지원제도 방안으로 안전 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도입을 권장하며, 대기업별 지원제도를 통 하여 사내협력사, 1차 밴더, 2차 밴더로 확장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 입을 권장하고 있다. 사내 협력사의 적극적인 사전 예방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협력사의 안전 수준 향상을 위해 기존 징계중심 협력사관리에서 예방 중심의 사전 지원 체계로 관리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협력사 본사의 안전경영방침, 조직운 영, 현장지원 체계 등 안전수준을 진단하고 협력사가 주관으로 취약부분 의 개선을 위한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사내 협력사 수준에 적합한 실행 가능한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함으 로써 안전관리 수준 향상으로 사고에 대한 근원적 대책의 수립이 가능 할 수 있다. 사내 협력사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일회성, 이벤트성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원청사가 주도하는 안전활동에 단순 참여하는 단계를 넘어 협력사의 안전수준을 향상하고 자체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내 협력사 안전보건시스템 에 대한 효과성 분석연구”과 같은 지속적인 원청사의 관리지원과 모니터 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사내 협력사에 적합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안 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안전수준 향상하고 사고를 예방 할 수 있 기를 바란다. Some of the disasters that occurred during industrial activities due to the advancement of domestic social structure and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forms, expansion of service industries, commercialization of new processes and smart-type automated equipment, etc.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before A variety of new paradigms are occurring due to these factors. As a measure to improve the three major indicators (suicide, traffic accidents, and occupational accident mortality rates) that are weaker than the OECD average in relation to people's lives, Suicide prevention country action plan, comprehensive traffic safety measures, industrial accident death accident reduction measures). Management of step-by-step risk factors for creating workplaces where life safety is a top priority in relation to industrial safety, centralized management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 Korea ⋅ chemical ⋅ steel ⋅ steel manufacturing, fatalities of occupational accidents by 2022 The goal is to reduce it to 500 or fewer for several years. This is the time when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measures to introduc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accompanies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safety certification system against serious disasters that are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safety activities of domestic industrial activities. In April 2017, the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announc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calculation of integrated statistics on subcontractor labor accidents. As a result, the total death rate for subcontractor subcontracted accidents was four times that of the primary contractor death rate. This can be seen in the main contractor as an in-house partner company exposed to accidents and disasters higher than the main contractor.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a serious disaster at Tai'an Thermal Power Plant in November 2018 can be seen as the safety of subcontractors' workers still going beyond the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As a result, large companies are recommending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 in the support system proposal for health and safety of partner compani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be introduced by expanding to secondary vendors. In order to guide the participation of internal cooperating companies in active prevention activities and increase the level of safety of cooperating companies, the management direction of existing disciplinary cooperating companies is changed by the support system of the prevention-centric dictionary support system. Must. Diagnose the safety level of the partner company's headquarters' safety management policy, organizational management, on-site support system, etc. and assist the partner company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e vulnerable areas. By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a feasible management plan suitable for the level of in-house partner companie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fundamental measures for accident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There is a limit to the support for events on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an in-house partner company.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level of partner companies beyond the level of simple participation in safety activities led by prime contractors, and to build a voluntar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in-house partner company” presented in this study Continuous management support and monitoring program for prime contractors such as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system” is necessary, and by introducing objective and quantitativ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in-house partner companies, safety I hope that the standards can be improved and accidents can be prevented.

      • 발전소 종사자의 인식에 기초한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박효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3743

        최근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산업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 으로 기업들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4차 산업기술 을 접목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에서도 정책적 영향과 ESG 경영의 중요성 때문에 발전소 현장으로 우수한 스마 트 안전기술 적용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전소 현장에서 적용된 기술이 현장 적용성과 적합성의 부족으로 종사자들이 기술 적용 이전 대비 작업환경이 안전하게 개선되었 다는 인식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이는 기 술의 수요자이자 수혜자인 발전소 종사자 입장에서의 니즈 등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 현장에 실효성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 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 분야에 적용된 스 마트 안전기술 관련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발전소 위험작업 및 안 전사고 특성 분석, 발전소 종사자 관점에서의 기술 도입 분야에 대한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스마트 기술의 적용사례 조사에서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위험한 작업과 건설장비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각종 감지 센서, 추락 보호복(에어백 장착) 등에 적용하고 있었다. 제조업, 발전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구역 또는 관리 사각지역과 설비에 대해 원격점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드론, 디지털 트윈, 레일로봇, Edge 컴퓨팅과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단계는 재해예방 효과의 검증, 유지·관리 및 보급·확산 용이성을 갖춘 스마트 안전기술의 공급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발전소 안전사고의 특징은 넘어짐 유형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 해에 취약한 발전소 근로자 유형은 연령대는 50대(39%), 근무경력은 6개 월 미만자(53%)의 비율이 높았다. 고용노동부 통계 결과인 재해자의 고령 화, 근속기간이 짧은 근로자의 재해율이 높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소속 분 류에는 발전소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협력사 직원 의 취약성이 확인되었으나, 매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발전소 종사자가 인식하는 개선이 시급한 위험작업 및 적용 기술 선호도, 기술 적용 시 개선사항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총 22개의 설문 항목에 대해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84명 답변, 61.33% 응답 률)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발전사 및 협력사 직원은 공통적으로 노출 빈도가 높은 4개의 위험작업(고소작업, 중량물 취급, 밀폐공간, 화기 사용)에 대해 개선의 시급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근로자의 신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분야에 적용 하는 것을 가장 높게 선호(발전사는 35%, 협력 사는 40%)하였다. 다만, 협력사는 개인 신상 및 위치의 노출이 있을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선호도가 매우 낮은 5.4%로 기술의 도입목 적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해 보였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에 대해 발전사 근로자 75%, 협력사 근로자 61.9%가 휴먼에러 요소 (부주의, 안전수칙 미준수, 본인 과실)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전소에 스마트 안전기술 및 장비(기기)의 도입 시에는 산 업재해에 취약한 고령자와 6개월 미만 근속자를 고려하고, 협력사 근로자 와의 공감대 형성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로자의 노출 빈도 가 높은 4개 유형의 위험작업에 대해 작업 방법 또는 공법을 개선하는 방 향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근로자가 휴먼에러 요소를 인 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도입이 시급함을 도출할 수 있었 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안전기술의 근간인 제4차 산업기술은 초연결, 초지 능, 초융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술의 개발, 사용, 벤치마킹, 확산단계 를 거치면서 더욱더 똑똑한 스마트 안전기술로 발전시키고, 이를 기반으 로 국내 선순환적인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안전기술(장비)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으로 통합관리 가능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공급하는 기 업 및 대학(연구소)에 대한 육성·지원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 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prepar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prevent serious disaster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smart safety technologi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to their industrial sites. Power Generation Public Enterprises are also having a lot of interests in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o power plant sites in order to meet the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the prevention of serious disaster accidents as a public institution. However, in some power plant sites, there were cases where the applied smart safety technology lacked its suitability or effectiveness at the field. For this reason,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could not have their awareness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had improved safely after the technology had been applied to the field. It seemed to be the result of overlooking the needs of power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t started to derive a method to apply effective smart safety technology to the power plant site based on power plant workers’ awareness. The scop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ior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smart safety technology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were investigated, works exposed to accident risk at power plants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preferences in technology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 workers were studied. First, as cases of using smart technology, large construction sites mainly applied various detection sensors, tags, and fall protection devices (inserted airbags) to protect workers from dangerous work and equipment.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power plants, drones, digital twins, rail robots, edge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were being used to remotely monitor and manage harmful areas, blind spots, and dangerous facilities that are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However, at this stage, it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 for smart safety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eld, or evaluating whether they are easy to distribute and utilize. Second, among the types of plant safety accidents, falls occurred the most. The kind of power plant workers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their 50s(39% of the total victim) and those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53% of the total victim). It was similar to the repor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the elderly and short term period workers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tner company’s employees who were directly deployed to the power plant site and performed maintenance work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but they were gradually decreasing every year. Third, based on the awareness of plant workers, dangerous tasks that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preferences for smart safety technology, and considerations when applying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300 employees(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partner companies) working at the power plant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 rate was 61.33%(184 Responden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ur major dangerous works of the power plant were analyzed as high-altitude work, heavy object handling, enclosed space work, and firework which were frequently performed at the plant site and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s. The highest preference was to apply smart technology to areas that could protect the body of workers(35% for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40% for partner company). However, 5.4% of partners have a very low preference for monitoring systems that may have exposure to personal identity and location, and it seemed necessary to form sufficient consensus on the purpose of applying the technology. However, respondents equally answered that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the power plant were carelessness,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self-negligence, which were human error factors. In conclusion, when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equipment (devices) to power plants,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six months should be 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with employees of partner companies on the purpose of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dangerous work with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by workers must be improved by developing work methods or construction methods. A syste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and control human errors should be applied. Finally, in order to develop smart safety technolog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o establish an inventory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for smart safety technology (equipment) and to prepare policies for fostering and supporting companies an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 and supply excellent technologies.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현장 작동성 강화방안 연구

        노건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3743

        2020년 산업안전보건법 전면 개정 및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 법 위반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였으나 사고사망만인율은 8년째 0.4∼0.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다.[1] 이것은 법령에 의한 규제와 처벌만으로 안전 문화를 성숙시킬 수 없다는 것이 투영된 결과이며, 기업 스스로 유해·위 험 요인을 발굴하고 제거할 수 있는 PDCA 순환 과정을 가지는 안전보건경 영시스템 운영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인증 요구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하여 시스템 도입 초기 단계에서 중점을 두고 관리해야 할 항목과 성숙기인 성과 창출 및 업계 선도단계에서 중점을 두고 관리해야 할 항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안전보건의 현장 작동성 강화를 위해 집중해야 할 인증 요구사항은 리더십과 근로자의 참여, 위험성 평가, 의사소통 및 정보제공, 안전보건 활동, 역량·적격성·인식 순이다. 둘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운영수준이 낮은 단계인 사업장에서 중점 관리해야 할 인증 요구사항은 리더십과 근로자의 참여, 위험성 평가, 역 량·적격성·인식, 의사소통 및 정보제공, 경영자 검토 분야이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운영수준이 높은 단계 사업장에서 중점 관 리해야 할 인증 요구사항은 리더십과 근로자의 참여, 위험성 평가, 비상 시 대비 및 대응, 안전보건 활동 분야이다. 넷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인증 요구사항 중 중요도는 낮으나 성취도가 높게 관리되고 있는 과잉노력 지양 영역은 공통으로 문서화·문서관리·기록 분야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근로자의 참여 및 위험성 평가가 안전보건 영역에 가장 중요하고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스템 도입 초기 단계에는 근로자와의 의사소통, 교육 분야에 집중하고, 시스템이 안정된 후 안전보건 성과 창출 단계부터는 구체적 현장 안전보건 지침에 해당하는 비상조치 및 안전보건 활동 분야로 안전보건 역량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잉노력 지양 영역에 존재하는 문서화·문서관리·기록 분야는 조속한 업무 효율화가 필요한 사항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사업장의 시스템 운영 수준에 맞는 효율적이 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찾아 실행한다면 인증 유지를 위한 안전보건 역 량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의 궁극적 목적인 현장 안전보건 확보에 한 단계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the punishment for law violations has been strengthened, such as the full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20 and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2022, the accident fatality rate has been stagnant at the 0.4~0.5‱ level for eight years.[1] This i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safety culture cannot be matured only by regulation and punishment by laws, and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has a PDCA circulation process that can discover and remove hazard on its own.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tems to be managed with emphasis in the initial stage of system introduction and items to be managed with emphasis in the stage of performance creation and leading the industry in the maturity stage It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certification requirements to focus on to strengthen field operability of safety and health are leadership and worker participation, risk assess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competencies/eligibility/recognition in order. Second,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that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in workplaces with a low level of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re leadership and worker participation, risk assessment, competency/qualification/awaren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and management review. Third,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to be managed in the workplace with a high level of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re leadership and worker participation, risk assessment,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Fourth, among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area of avoidance of excessive effort, which is managed with a low level of importance but a high level of performance, is common in the areas of documentation, document management, and record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top management leadership, workers' participation, and risk assessment are the most important and most influential in the safety and health area. In the early stage of system introduction, focus on communication with workers and training, and after the system is stabilized, from the stage of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creation, safety and health capabilities should be expanded to emergency measures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that correspond to specific site safety and health guidelines. analyzed to do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ields of documentation, document management, and records, which exist in the area of avoiding excessive effort, require prompt work efficiency. If we refl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ind and implement efficient and effective operation plans suitable for the system operation level of the workplace, we will minimize the waste of safety and health capabilities for maintaining certification and get one step closer to securing safety and health at the sit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introduc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expect to be

      • 디지털 잡마켓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기술역량 연구

        정재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3743

        As various existing analog industries have been reorganized into digital convergence fields in order to enhance 21C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ind of innovation is strong across the industry. Accordingly, companies are judging talent recruitment or training as a means of survival for companies, and as time goes by, voices for the need to cultivate digital talent and cultivate technology are increasing. In addition, DT & DX innovation implies the incorporation of knowledge know-how (content, etc.) in various industries into existing ICT, and it is emerging as a very urgent task for young people in various majors to be trained as digital convergence talents in the big data field. In this study, after collecting the opinions of field workers and job seekers,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derive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big data convergence talents in the digital job market. Big data job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data project manager', 'data researcher', and 'data scientist', which have essential requirements such as degree (master or doctorate degree) and career, are difficult to be directly put into the field only based on technology capabilities, so in this study, practical technology skill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data analyst' and' 'data engineer' jobs. Currently, big data project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financial and manufacturing sectors, and in terms of technology, about 20 to 30 technology capabilities were mixed in about four types (AI, Data Analysis, Web Components, and Data Pipeline).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techniques drew the practical roadmap for technical competency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was derived while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attracting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the priority of practical skills identified in the job market and the poor skills of each group based on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competencies of unemployed people,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recent course. Based on the roadmap present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big data projects do not proceed with one or two technologies, but have a wide spectrum of technologies, which explains why talents trained only on digital new technologies such as AI&Big Data are not properly used to build innovative services. In the end, for the success of big data convergence services, it is important how well newly released digital new technologies and vastly advanced legacy technologies work together. To this end, it suggests that cultivation goals in the existing 'digital new technology' field are broadly organized into packages of three fields (Web Component Full Stack + Data Engineering). This is expected to be not only efficient in human resource utilization strategies within the company, but also greatly help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Finally, if the above technological convergence talent in the data field is stably established, a comprehensive study on how to cultivate (or improve) DX convergence talent (human resources with domain knowledge-based big data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ies) is needed. 21C 국가경쟁력 제고차원에서 기존의 여러 아날로그 산업분야가 디지 털 융합분야로 재편되면서 산업 전반에 혁신의 바람이 거세다. 이에 기업 들은 인재영입 또는 양성을 기업의 생존수단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시간 이 갈수록 디지털 인재양성과 기술 함양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DT & DX 혁신이라는 것이 기존 ICT에 여러 산업의 지식 노하우(컨텐츠 등)가 접목된 것을 내포하게 되면서 다양한 전공의 청년들이 빅데이터 분야의 디지털 융합인재로써 양성되는 것이 매 우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실무자의 의견과 구직자 정보를 취합 후,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디지털 잡마켓(디지털 역량이 갖춰진 인재를 채용하려는 구인구직시장)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에게 필요한 실무기술역량을 도출함으로써 관련 수요자들에게 명확한 기술 커리어에 대한 가 이드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빅데이터 직무는 총 5가지로 분류되어 있 는데 채용시 학위(석박사) 및 경력 등 필수요건 있는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연구자’, ‘데이터 과학자’는 기술역량 중심으로만 현업에 바로 투입되기 어려운 직무임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분석가’ 와 ‘데이터 엔지니어’ 직무를 중심으로 실무기술역량을 분석하였다. 현재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금융과 B2B서비스(고객니즈분석) 분야에서 가장 많았으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대략 4가지 (AI, 데이터분석, Web, 데이터 파이프라인) 유형에 20~30여가지 기술역량이 혼용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기법으로는 취업시장에서 유리한 실무기술역량 우선순위와 미취업자의 유사한 학업성취역량 기반의 그룹별 부진기술역량을 확인하고 최근 과정을 마친 피교육자 만족도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강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면서 현업의 중요도가 반영된 실무적인 기술역량 로드맵을 도출하였다. 제시된 로드맵으로 볼 때,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특정 한, 두가지 기술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폭넓은 기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 중심으로만 양성된 인재들이 기업의 혁신 서비스 구축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와 동시에 양성된 인재들의 역량과 기업의 현실이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잘 설명해 준다. 결국, 빅데이 터 융합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새롭게 출시되는 디지털 신기술과 지 속적으로 고도화 된 방대한 레거시 기술들이 얼마나 잘 연동되느냐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배양목표를 신입/재 직자 관계없이 3가지 분야 (웹컴포넌트 풀스택+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 어링)의 패키지로 폭넓게 구성하는 것을 제언한다. 이는 기업 내에서의 인재활용전략에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인재들의 개별적인 커리어 관리 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데이터 분야의 기술적인 융합인재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다음으로는 DX융합인재 (도메인지식기반 빅데이터 기술활용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또는 향상)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중소기업 산업용 로봇 관련 작업자 안전관리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유완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3743

        According to the 2022 Industrial Robot Summary Report prepared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the number of industrial robots has grown at a record 31% since the onset of COVID-19, and the number of newly deployed industrial robots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robot usage seems to be constantly increasing as 74% are located in Asia. The increasing use of such industrial robots has contributed a lot to reducing health problems among workers and is a great help in increasing productivity with fast and accurate work. However, serious accidents caused by industrial robots continue to occur, and in the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159 of the 745 deaths in manufacturing were caused by general power machinery and industrial robots.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work days lost due to industrial robot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ose due to industrial robo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work days lost due to industrial robots is more than twice as large as the average number of work days los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injury caused by robots when a disaster occurs is extremely large.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al safety management status of industrial robot-related workers, targeting in-house industrial robot-related workers, including those at in-house partne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tatus of industrial robot-related worker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matters for workers, matters related to compli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tters related to experiences and causes of accidents during work related to industrial robots, and matters to be improved when working with industrial robots. I came up with a plan.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64% of survey respondents had not taken robot-related special education in a survey on the implementation of robot-related special education, and that 31% of survey respondents in a survey regarding improvements to robot-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found. % answered that special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dicating that implementing special safety education before robot-related work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n addition, in a survey regarding the matters necessary to implement robot-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ithin companies, 3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anagement's safety awareness and to have a clear work disguise for safety. W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express the leadership and will of the top management regarding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nd to create a safe and healthy workplace through clear business attire regarding safety and health. Finally, in order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at industrial sites, despite the full revision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Penalties for Serious Accident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risk assessment system through the Serious Accident Reduction Roadmap, As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more than 390 people died du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more than 50,000 people were injured in accidents, and serious accidents continue to occur. If companies proactively apply and improve the improve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we hope that a safe workplace will be created where on-site workers can work without worry when working on industrial robots. 국제로봇연맹에서 작성된 2022 산업용로봇 요약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 용로봇의 증가 수는 코로나19 발병 이후 31%의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였 으며, 신규로 배치된 산업용로봇의 74%가 아시아에 배치 됨에 따라 국내 산업 현장에서 산업용로봇의 사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 다. 이러한 산업용로봇의 사용 증가는 근로자의 건강장애를 감소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으로 생산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산업용로봇에 의한 중대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2018년~2021년 4년간 제조업 사망자 745명 중 159명이 일반 동력 기계 및 산업용로봇에 의해 사망하였다. 또한 제조업과 산업용로봇에 의한 근로손 실일수를 비교했을 때, 제조업 평균 근로손실일수 대비 산업용로봇에 의 한 근로손실일수가 약 2배 이상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에 따라 산업용로봇에 의해 재해 발생 시 부상 정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본 연구는 사내협력사 포함 사내 산업용로봇 관련 작업자를 대상으로 산업용로봇 관련 작업자의 안전관리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현재의 산업용로봇 관련 작업자의 안전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 였다. 설문 내용은 근로자의 일반적인 사항, 산업안전보건 관계 법령 준수 에 관한 사항, 산업용 로봇 관련 작업 시 사고 경험 및 사고 원인에 관한 사항, 산업용로봇 작업 시 개선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로봇 관련 특별 교육 실시 유무 설문에서 설문 응답자 의 64%가 로봇 관련 특별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로봇 관계 법령의 개선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설문 응답자의 31%가 특별 안전교육 강화라고 응답한 것을 보아 로봇 관련 작업 전 특별안전교육 실 시가 산업재해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 업 내 로봇 관계 법령을 이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경영자의 안전의식 강화 및 안전에 대한 명확한 업무 분장이 필요하다는 응답 결과가 각각 33%로 응답한 것으로 보아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과 의지를 표명하고 안전보건에 관한 명확한 업무 분장을 통한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 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지었다. 마지막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업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전면 개정,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른 위험성 평가 제도 강화에도 불구하고 2023년 상반기 기준 산업재해로 인한 사고 사망자는 390명 이상 발생했으며, 사고재해자 수는 5만 명 이상 발생했으며, 현재도 끊임없이 중대재해가 발생하고 있 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선사항을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개 선한다면 현장 근로자가 산업용로봇 관련 작업 시 걱정 없이 일할 수 있 는 안전한 일터가 구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 리빙랩 구축을 위한 중요 고려요인에 관한 연구 : 연구자 및 과제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전하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3727

        This study categoriz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living lab-based support projects promoted by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social problems, R&D-linked projects, and product commercialization.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comprising the contribution of 3,473 researchers involved in 678 'living lab' related projects implemented from 2013 to 2020 using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o this e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experts for the final survey were establish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ations, research data, existing theories and literature. The expert selection process utilized the implication of centrality analysis vi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confining validity among the types of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the important factors of living lab were derived to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by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ENoLL),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rived factors and to specify priorities. Derived variables were then stratified and evaluated based on importance. As a result of this systematic review, the living lab-based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re expanding in diversity. This is significant change from prior selection criteria, which were traditionally promo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s. As such, it is shifting from a less uniform procedure to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suggesting that more complex projects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test bed for future government policies. Moreover, by classifying the types of projects promoted with the keyword “living lab” by the type of researcher and task,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flow of government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major industries in each region, and the structure of the living lab implementation by each performing entity. Through this structured analys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and factor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performance spread. In the analysis of basic survey data using a 7-point Likert scale, most variables were above average with an elevated 4 points. This suggests that all types aimed at developing products, technologies, and services as well as solving social problems, are being promoted in close connection with R&D. Furtherm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important factors were systematically identified using the AHP technique through classification by living lab researchers and research project types on policy, infrastructure, and operational point of view. In regards to researcher type classification, operational, infrastructure, and policy factor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importance. Regarding the task type classification, infrastructure, operational and policy factor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importance. Finally, by comparing the weighted rankings of detailed evaluation items based on important factors of the living lab, factors to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er who are the subject of the living lab project planning in the futur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were determined. All three groups of utilizer, researcher, and enabler were identified as contributing potential joint value, as well as operating experience of the living lab,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government subsidy suppor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the important factors. Conversely,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main industr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able sustainability strategy were determined to be of low importanc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living labs for the purpose of project plann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users, not limited to regions, and practical problem solving that do not lean only on the weight of social issues can be replaced. For a complete study of the living lab project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ccompany a project manager who can suggest and oversee an operation method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nd theories, as well as secure diversity of participating groups an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operating organizations that can derive systematic performance analysis. 본 연구는 각 정부부처에서 사회문제해결, R&D 연계사업, 제품상용화 등의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리빙랩 기반 지원사업에 대해 유형을 분류 하고 각 유형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리빙랩 구축 시 중요 고려요인에 대한 연구로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이용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된 ‘리빙랩’ 관련 사업에 참여한 3,473인의 연구자와 678개 과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자료조사 및 기존 이론과 문헌고찰등을 통해 최종 설문대상 전문가를 선정할 수 있는 기준을 수립하였으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주관하에 설문을 추진할 수 있었다. 전문가 선정과 정에서 SNA(소셜네트워크분석) 중심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성격의 연구자 유형 중 설문대상을 변별력있게 선정할 수 있는 타당성을 얻을수 있었다. 또한 리빙랩 구축의 중요 고려요인을 ENoLL(유럽리빙랩네트 워크)에서 제시하는 평가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도출했으며 도출된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과 우선순위 구체화를 위하여 AHP기법을적용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변수를 계층화 한 후 이를 토대로 중요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 리빙랩 기반 정부 지원사업은 정부나 공공기관 주도하에 추진되던 초창기와 다르게 수행주체의 다양성이 확장되고 있다. 그만큼 획일적인 목적에서 벗어나 다양한 산업군에 접목 가능한 형태로 변해가고 있으며 향후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 범위가 상당히 큰 사업임을 시사한 다. 또한 리빙랩이라는 키워드로 추진된 사업 유형을 연구자 및 과제의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부정책의 흐름과 지역별 주력산업, 수행주체별 리빙랩 추진구조 등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구조 화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리빙랩의 유형 파악, 기획·실행 단계의 중요요소, 사업성과와 성과확산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Likert의 7점 척도에 의한 설문 기초자료 분석에서 대부분의 변수들의 평균이 보통(4점)이상 이었 으며, 특히 추진중인 리빙랩의 적합한 사업유형이 R&D연계형(6.118) 으로 판단한다는 결과값이 평균 대비 수치가 높았다. 이는 제품, 기술, 서비스개발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을 둔 유형 모두 R&D와 밀접하게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음으로 연결된다. 또한, 리빙랩 구축을 위한 중요 고려요인을 정책적, 인프라, 운영적 관점에서 계층화된 구조를 통해 AHP기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자 유형 분류 에서는 운영적, 인프라, 정책적 요인 순으로, 과제 유형 분류에서는 인프라, 운영적, 정책적 요인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리빙랩 구축을 위한중요 고려요인의 세부 평가항목의 가중치 순위 비교를 통해 향후 정부나 지자체에서 리빙랩 사업 기획 시 수행 주체인 연구자 유형에 맞춰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자 유형별 집단 모두 공동가치 창출의 가능성, 리빙랩의 운영경험, 정부지원금 지원유무의 요인이 구축 고려요인 중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파악한 반면 주력 산업분야에 적합한 지리적 특성, 안정적인 지속성 확보전략 유무에 대해서는 낮은 중요도가 도출되었다.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와 사용자들과의 협업을 통한 과제기획및 사회적 이슈의 무게에만 치우치지 않는 실용성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목적의 리빙랩 등이 대체 가능할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리빙랩 사업의 완성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축적된 경험 및 이론을 바탕으로 운영방식을 제언할 수 있는 리더와 참여집단의 다양성 확보, 체계적인 성과분석을 도출할 수 있는 운영기관의 협업이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