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편 시나리오 <린다> 분석 연구

        장일식 청주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영화 제작을 목표로 하는 시나리오는 기획 의도에 의해 수정 또는 각색 작업 과정을 거쳐 완성작에 도달하게 된다. 영화는 극장 상영이 이뤄진 후에는 시나리오의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제작에 들어가기 전 기획단계에서의 캐릭터 및 스토리 구성은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장편 시나리오 <린다>는 영화 제작을 목표로 기획된 시나리오이다. 이미 여러 차례 각본 수정 과정을 거쳐 기존에 기획된 단편영화에서 장편영화로 확장되었다. 동성 간의 애정에 관련된 이야기로 출발하였으나 인간이 욕심에 의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며 살아가는 이유는 희망에 있다는 주제를 스토리에 녹여 현실적 시사를 목표로 스토리를 풀어내려 했던 이유는 다소 생소한 소재인 성소수자 스토리에 대한 거부감을 상쇄시키고 대중적 방향의 주제 및 구성을 위한 결과이다. 장편 시나리오 <린다>는 남산 소월길이 주된 배경이다. 현재도 남산의 소월길에서는 트랜스젠더의 성매매가 이뤄지고 있으며 특이 취향의 남자들을 상대하는 성매매로 생활을 이어가는 트랜스젠더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표현해 내기 위해 실제 소월길에서 일어난 사건 사고의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서울 이태원 일대에서 활동하는 트랜스젠더의 인터뷰 내용을 활용하여 각본 작업이 이뤄졌다. 장편 시나리오 <린다>는 사실적 사건과 허구적 사건을 창작 및 적용하였다. 사실적 사건은 시나리오의 현실감을 올려주며 허구적 사건은 스토리의 흐름에 따른 재미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시나리오 <린다>는 2012년 4월 소월길에서 성매매 호객행위를 하는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삼아 폭행과 금품을 빼앗은 10대 폭주족이 검거된 실제 사건을 활용하였으며 4가지 허구적 사건을 창작, 적용하여 긴장감을 유지하려 노력하였다. 시나리오 <린다>의 플롯 분석을 통해 스토리 구성의 문제점을 파악할 것이다. 시나리오의 재고를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야기의 흐름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플롯 구성 확인 및 분석은 시나리오를 창작함에 있어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필수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까지 창작된 시나리오 <린다>의 스토리 라인부터 5단계로 구성된 플롯을 분석하고 3장 이론을 활용하여 사실적 사건과 허구적 사건이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화롭게 적용되었는지, 등장인물의 적절한 공간 배치가 이뤄졌는지 확인하고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배경과 낮과 밤의 공간 분석을 통해 시나리오 플롯 구성의 시·공간 적용이 적절하였는지 확인할 것이다. 장편 시나리오 <린다>의 재고 및 제작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편 시나리오 <린다>의 제작에 앞서 시나리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화 제작에 앞서 완성도 있는 시나리오로 발전시키기 위해 필수 구성 요소를 도출해 낼 것이며 등장인물 및 공간의 이미지를 제시하여 성소수자 캐릭터와 로케이션(location) 공간을 좀 더 사실적인 측면으로 보완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A scenario aiming at the production of a film reaches a complete work, going through revision or adaptation by the intention of planning. Since the scenario of a film cannot be revised after screening at the theater, the composition of characters and stories in the planning stage before entering the production of the film is the basic and the most important job. Creative feature film scenario Linda is a scenario planned for the production of a film. It expanded from a short film previously planned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scenario several times already. It began as a story about same-sex affection, but it would tell the story, aiming at realistic suggestions by melting the theme that men live, repeating the same mistakes by greed for hope in the story for the offsetting of repulsion again sexual minorities’ story, which is a somewhat unfamiliar subject, and for the theme and composition in a popular direction. Feature film scenario Linda is mainly set on Namsan Sowolgil. Currently, on Namsan Sowolgil, there is transgender people’s prostitution, and especially, to express the lives of the transgender people who earn a living by prostitution with men with a peculiar bent, this study referred to the materials of the incidents that had taken place on Sowolgil, and the scripting work was done, utilizing the contents of interviews with transgender people who were active in Itaewon, Seoul. Feature Film Scenario Linda created and applied realistic events and fictitious events. Realistic events increase the sense of the reality of a scenario, and fictitious events provide elements of amusement according to the flow of stories. The scenario Linda utilized a true incident in which teenage motorcycle gangs were arrested, who assaulted and took the money and things from the transgender people who touted prostitution on Sowolgil in April 2012 and tried to maintain the tension, creating and applying four fictitious ev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lot of the scenario Linda, this study would understand problems with the storyline composition.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consider the scenario is to check if the flow of stories properly progresses. Checking and analyzing the plot composition would be essential courses that cannot be missed in creating a scenario.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plot consisting of five steps from the storyline of the creative scenario Linda and check if realistic events and fictitious events have harmoniously applied so that they can maintain tension, utilizing the theory of 3 chapters, check if characters’ space was properly arranged and check if the application of time and space of the scenario plot composition has been appropria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mporal background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space of day and night. This study would reconsider the feature film scenario Linda and present a direction of produc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problems of the scenario before the production of the feature film scenario Linda. To develop it into a complete scenario before the production of the film, this study would draw prerequisites and present the characters and images of space to make efforts to supplement the LGBTI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characters and location space on a more realistic side.

      •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연구

        김지훈 청주대학교 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개발하여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알렉산더 맥퀸의 생애와 성장배경을 살펴보고, 작품세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로테스크의 발생개념과 배경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패션에서 나타난 그로테스크에 대한 분석을 4가지 특성으로 고찰하였다. 기괴한 공포, 비정상적 유희, 신체훼손과 왜곡, 극단적 혐오로 특성을 분류하였다.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 나타난 기괴한 공포의 외적 특성은 악마, 죽음 등 공포심을 유발하는 오브제와 디테일의 사용, 공포적인 분위기 연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미지의 세계와 생물에 대한 공포로 볼 수 있었다. 내적 의미는 인간의 본능에 각인된 공포, 내면의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본능, 비인간적인 현대사회에 대한 고발로 도출되었다. 비정상적 유희에서 도출된 특성은 현실에서 벗어난 듯한 상상적인 신체 표현, 어린아이의 장난처럼 어울리지 않는 우스꽝스러운 오브제 사용, 기존에 인식되던 조화로운 비율의 파괴, 상상속에 있을 법한 미지의 생물 표현으로 살펴보았으며, 내적 의미로는 현실도피, 웃음으로 현대사회를 비판과 풍자, 인간의 한계를 넘고자 하는 내적 욕망의 표현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신체 훼손과 왜곡의 외적 특성은 뼈와 근육 등 보이지 않는 신체 부위 노출, 신체를 훼손한 듯한 오브제의 사용이였다. 그 안에 담긴 내적 의미는 고정관념의 파괴, 인간존재의 가치 상실, 인간의 정체성 야기, 전통적인 미를 파괴하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이였다. 마지막 극단적 혐오에서 보이는 외적 특성은 혐오감을 주는 오브제, 디테일의 사용, 노골적인 성적 표현, 신체의 직접적인 표현, 신체에 가해진 폭력으로 볼 수 있었다. 내적 의미로서는 사회에 대한 불만의 표출, 불안과 분노 및 고통의 표현을 통한 해방감 전달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 인을 개발하여 디자인 특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디자인 제시 방법으로 CLO 3D 소프트웨어 7.3 ver. 를 활용하여 재현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가상의상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디지털 소프트웨어의 활용과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확장되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nclud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tesqueness in the Alexander McQueen Collection and presentation of a creative fashion design by developing a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such characteristics. The life and growth background of Alexander McQueen were examined, and the world of his works was contemplat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exander McQueen Collection.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the manifestation of grotesqueness were examined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the analysis of the grotesqueness illustrated in fashion was contemplated with its four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as bizarre horror,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bizarre horror in the Alexander McQueen Collection can be seen as the use of fear-inducing objets and details such as demons and death, the rendering of a frightening ambience, and the fear of the unknown and creatures that do not exist in the reality. The inner meaning was deduced from the fear imprinted on human instincts, the aggressive and destructive instincts within, and the accusation of the inhumane modern society. The characteristics deduced from the abnormal playfulness were examined through the imaginative expressions of the human body that seems to be out of reality, the use of ridiculous objets that do not belong together as though it were a child's play, the destruction of established cognition of harmonious proportions, and the expression of unknown creatures that could only exist in one’s imagination. Its inner meaning was examined as an escape from reality, a criticism and satire of modern society through laughter, and an expression of an inner desire to transcend the limitation of human beings. Next,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body mutilation and distortion were the exposure of invisible body parts such as bones and muscles, and the use of objets that appear to be the mutilated body. The internal meanings in them were the destruction of stereotypes, the loss of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the inducing of human identity, an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al beauty to pursue newness. Lastly,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illustrated in the extreme abhorrence were the use of objets that induce disgust, use of details, explicit sexual expressions, direct expression of the body, and violence inflicted on the body.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society, and conveyance of the sensation of freedom through the expression of anxiety, anger and pain were examined as its internal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tesqueness expressed in the Alexander McQueen Collectio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design characteristics by developing a design based on them. CLO 3D software 7.3 ver. was utilized as a design presentation method to propose a virtual apparel design in an environment-friendly manner with reproducibility,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utilization of digital software and environment-friendly method were presented.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be expanded and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further creative fashion design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