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부영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기회, 과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교육, 문화, 복지 등의 통합지원시스템 구축사업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문화・심리・정서・보건 등 삶 전반에 대하여 지원함으로써 교육취약 아동・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소해 나가고자 하는 데 그 주요 특징이 있다. 선진 외국에서도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오고 있으며, 미국의 헤드 스타트사업과 프랑스와 영국의 취약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정책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주요 영역은 학습영역, 문화・체험영역, 심리・심성영역, 복지영역, 지원영역, 영・유아영역의 6개 영역으로 나뉘어져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6년 5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청주시 흥덕구 4개 학교(초등학교 2, 중학교 2개교)와 2007년 7월부터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시작한 상당구 5개 학교(초등학교 3, 중학교 2개교)로 총 9개 학교를 대상으로 현재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가정에서 방치되기 쉬운 저소득층 학생들의 개인생활에 대해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통한 개입이 건강하고 건전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지역의 사업성과로는 교육복지 마인드 확산, 자체 사업기반조성,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강화를 들 수 있다. 현재 청주시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은 5년 예정의 프로젝트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 달성해야 할 과제를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5년 동안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목표는 결국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자립기반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대상 집단에 대한 집중지원의 효과성이 가시화 되어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예산지원의 대폭적인 감축이나 중단과 무관하게 자생적인 사업수행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예산지원이 집중되는 1,2년차 기간 동안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대상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능력향상 등 몇 가지 지표영역에서 성과를 보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목표인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자생적인 역량의 확충은 예산지원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서 보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그 목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고, 적극적인 지원연계망을 구축하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교내의 인적자원인 교직원을 최대한 동반자로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조사결과와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그리고 기본방향 및 목표에 기초하여, 청주시 교육복지 지원사업의 발전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연계망 구축을 위해 학교 내부 인적 자원의 적극적 활용과 연계강화를 위한 교사들의 역할 강화, 행정기관의 영향력 강화 교사전체의 협력과 실천 강화, 교사를 위한 전문교육 실시,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와 탄력적 인사제도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발굴과 연계강화를 위해서는 공공성이 강한 기관과의 연계, 교육복지 자원 맵의 작성과 서비스 중복의 조정, 사업실행 중심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관을 발굴 추가가 필요하다. 셋째, 가정연계 강화를 위해 가정방문에 대한 학생들의 초기저항의 적절한 대처, 가정방문의 사전예고 및 다양성 활용, 초기 접촉 시 가능하면 담임교사를 매개로 접촉시도 및 사업대상 학교 간 연계 협력강화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전문가의 역할 및 입지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전문가의 업무리스트를 작성하고 지역전문가의 참여와 개입을 강화하고, 지역전문가에 대한 대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복지의 취지에 맞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는 교육적 적절성, 대상자 형평성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대상 학생의 의존성과 낙인감 극복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고 비 예산의 일상적인 활동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support project for the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is to supplement weakness at education opportunities, courses and results, etc of children and youth being short of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build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etc and to build school-oriented education community and to solve educational weakness problems of children and youth. The advanced countries made efforts continuously to solve educational inequality problems, for instance, the Head Start Programme in the United States, and special support policy in favor of vulnerable zones in France and the UK.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has six areas such as learning, culture and experience, psychology and nature, welfare, support, and infants and children, etc to promote the project. The subjects were nine schools, that is to say, four schools, in other words, two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Heungdeok-gu, Cheongju-si that promote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ince May 2006, and five schools, in other words,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wo middle schools in Sangdang-gu, Cheongju-si that launched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ince July 2007: Most of those programs were rated to be affirmative, and educational welfare needs and values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to help low income family students who were easy to be left at home without care to live healthy and sound lives by the programs. The project in Cheongju accomplished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mind, development of self-project base and goo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etc.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in Cheongju is under progress to complete them in five years so that objectives within corresponding period are needed to set up. Objectives that should be compulsorily accomplished during the five years shall expand self supporting bases to operate the project in stable way even after the project is over. Therefore, the project shall be done as follow: First, supports for group shall be effective to get social support on need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Second, self-generating program capability is required regardless of drastic reduction and suspension of budget supports. From such a point of view, objectives can be accomplished relatively easily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when budget supports ar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the project can elevate students' satisfactions and learning abilities to get good results at some of index areas. However, the second objective that is expansion of self-generating ability of the project cannot be realized by budget supports only to require more efforts and time, so that cognition on the objectives is needed from early stage. In this regard, active discovery and use of resources are needed to build up support networks. In particular, teachers and staffs at schools shall be used as many as possible to be partners and to link with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as well as human resources. The findings suggest development subjects of the project as follow: First, support networks for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base shall be built up to make use of human resources in schools actively and to reinforce teachers' roles to link each other and to elev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fluence, teachers' cooperation and practices and to train teachers and to give teachers incentives and introduce flexibl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Second, resource discovery and linkage in community require connections with public organizations, preparation for educational welfare resources and adjustment of service overlap, and discovery of program execution-oriented community networks, etc. Third, some actions shall be taken to develop linkage with home, for instance, taking proper actions against students' initial resistance to home visit, notice of home visit in advance and use of diversity, contact through a teacher in charge at initial contact, if possible, and mor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of the project, etc. Fourth, roles and positions of local experts shall be developed by preparation of job lists of the experts,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the experts, and better treatment of the experts, etc. Fifth, programs that can satisfy educational adequacy and subjects' equity shall be made to run effective programs being suitable to purposes of educational welfare, so that students shall overcome reliance and stigma and non-budget daily activities and programs shall be developed.

      • 사회복지시설의 홍보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상연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인터넷 홍보효과성 높이기 위해 충청북도 90개 사회복지시설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모형으로는 일반적 특성과 인터넷 운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인터넷 홍보활동, 홍보조직, 홍보차별성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연구문제 1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① 인터넷 홍보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력, 근무지역, 서비스 형태였다. ② 인터넷 홍보조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근무지역이었다. ③ 인터넷 홍보차별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경력, 시설의 유형이었다. ④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력, 근무지역, 서비스 형태였다. 둘째,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① 인터넷 홍보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 유무, 홍보 전담인력 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평균 방문자 수였다. ② 인터넷 홍보조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 유무, 홍보 전담인력 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평균 방문자 수였다. ③ 인터넷 홍보차별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홈페이지 하루 평균 방문자 수였다. ④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 평균 방문자 수였다. 셋째, 연구문제 3을 알아보기 위해 ①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연령(r=-.136), 학력(r=.207), 지역(r=-.207), 직·간접서비스조직(r=-.166), 운영자의 유무(r=.161), 홈페이지 업데이트 주기(r=.250), 홈페이지 방문자 수(r=.402), 홍보활동(r=.653), 홍보조직(r=.704), 홍보차별성(r=.636)의 변인들이 인터넷 홍보효과성과 유의미한 관계로 검증되었다. ②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단계에서는 홍보차별성(β=.395), 홍보활동(β=.266), 홍보조직(β=.256), 제작의뢰유무(β=.140), 업데이트 주기(β=.104) 가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설명변량은 66%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연구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충청북도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홍보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구성원들의 홍보에 대한 인식변화와 교육이 필요하다.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비단 수단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세상의 정보를 분석하고 생산하고 또한 유통시키는 모든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는 수용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졌으며, 중요한 홍보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 일반 매체보다 홍보의 장점이 많은 만큼 홍보 실무자를 대상으로 홍보 교육을 강화해야할 것이다.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인터넷에 대한 대응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설 종사자에 대한 수시 보수교육을 통해 홍보의 목적과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즉, 홍보 실무자들의 교육 및 기술지원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인터넷 운영 및 홍보 전담인력 확보가 필요하다.인터넷 온라인 홍보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시설의 인지도를 높이고 홈페이지 방문자 수를 늘리는 일이 최우선이다.우선 홈페이지 주소(도메인)를 알리기 위해 도메인주소를 검색엔진에 등록하고, 관련 기관과 상호 링크하여 홍보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체 홈페이지에 배너광고나 팜플릿, 명함, 각종 인쇄물, 자치단체 소식지 활용, 이벤트 참여, 메일링서비스를 통해 새소식이나 공지사항 등을 신속히 알려 이용자의 방문을 유도해야한다. 즉,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시설의 인터넷 홍보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전문 인력의 배치와 재원 및 운영 관리가 필수적이다. 셋째, 인터넷 홍보 차별화 방안을 강구토록해야 한다.우선 홈페이지가 방문자의 입장에서 운영되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사전에 고객의 방문목적을 파악하여 고객만족 차원에서 홈페이지를 구성해야 한다. 대부분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거의 유사한 형태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고 비슷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 그 시설만이 갖고 있는 특화된 컨텐츠를 제공해야며, 게시판 활성화나 FAQ(Frequently Asked Question)운영 등 공중과의 지속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즉,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고객의 응대에 즉각 답변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차별화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략을 구사해야한다.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시설의 소개나 프로그램 안내 등 단편적인 자료를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복지 관련 최신 뉴스나 행사 안내 등 충분한 자료 제공으로 이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사회복지 민간운영시설이나 농촌지역의 사회복지시설에 This study was to research 90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240 welfare workers in Chungbuk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Research population were 240 peopl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a research model,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net drive characteristics were set up for operational factor and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structure, and public relations differencess a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factors.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testif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as education, working place and the form of servi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structure were age, education, and working plac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ce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experiences and the for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education, working places and the form of service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estified by T-test and one-way ANOV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anagement which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whether there is a internet manager, whethere there is and public relations crew, upgraded cycle,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 at the homepage. In addit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anagement which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whether there is an internet manager, where there is an public relations crew, upgraded cycle,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ers in a homepage. The characteristics which have a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as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in the homepage.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as testified with some factors which are relation analysis, age(r=-.136), education(r=.207), region(r=-.207), direct/indirect service structure(r=-.166), where there is a manager(r=r/136), upgraded cycle of homepage (r=.250),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at the homepage (r=.402), public relations activity (r=.653), public relations structure (r=.704), public relations differences (r=.636). At final result of periodic variables, public relations differences (β=.395), public relations activity (β=.266), public relation structure (β=.256), whether the homepage is created by an external production (β=.140), upgraded cycle (β=.104)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 and indicated 66% explanation variables.

      •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 대한예수교 장로회 충청노회를 중심으로

        이요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What a church had a reversal for gospel anger, education, intimacy, four missions called service, and a mission of four this had meaning called social responsibility, and was recognizing a currently how ever korean church negatively appeared obviously. These phenom ena are the results that it is not to have been performed in the morning of the first and a Korean church gave way to only quantitative growth of a church than service for a community between him, and it is looked. The way how a Korean church can harmonize with a community again is to activate church social welfare now. On this paper, checked a currently social welfare service of an executed Korean church, and presented a problem to this and groped for he solution plan and presented a way of church social welfare. The first, condition on substance and a mission of a church. Considered with the welfare resources utilization present situation of a church and social welfare by field in the church social welfare service present situation and a problem. Finally, presented a social welfare service operating activation plan of a church about this. A problem about a Korean church social welfare service to have appear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Recognition shortage about thing practice to believe in a church, recognition shortage of a welfare budget or social welfare special phosphorus racial, it is shows shortag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pace or for to be cold by beauty utilization, absence of information, stepping state. The second, If it is looks into a problem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business by church social welfare object concretely, to have appeared, a medical charge child of a church social welfare program, the juvenile protective object were working first, and a supply and demand program for the disabled appeared by having been not enough. A program for a child and an old man is universal, on the other hand a failure and a program for a nursing baby appear by having been not enough. Durability and a budget security of a budget are hard, and temporary relief activity and manpower service occupy a lot of specific gravity of a social welfare program. A connection with a church and a church, a church and welfare facilities is not enough, and scalr of a business is kept in a comparatively small unit. Proposes these analysis result in several by a foundation as follows. First of all. with welfare resources utilization activation plan, so that human traces resources utilization and utilization of facilities resources, utilization of financial resources are efficiently achieved, effort such as importanc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planning a church building open athletic spread for local welfare, a church social welfare action network construction, a church social welfare budget increase is necessary. It is requested by revival of diaconal mind and practice, enhance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of ministers, a motive about social welfare activity of and training enhancement,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service program, a swagger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establishment of inform as soon as possible.

      • 학교사회복지 실시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비교 연구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박종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schools by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revitaliza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school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complied in this report. First, 53.7% of respondents were from middle schools. 35.4% of respondents came from experimental schools using social welfare workers, 28.0% from experimental schools in priority regions for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nd 36.6% from regular schools. While 47.4% of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school social welfare service, 52.6% of them have not. Second,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ir student guidance was not sufficient and was the most difficult issue for them. Their guidance focuses on students' grade and further course direction. The factors that caused difficulties in student guidance were in the following sequences: handling of routine works, exceedingly high work load and changing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hird, in the questions about the percep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52% of teachers repli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school social welfare. However,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at. Regarding the roles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workers, Most believed that school workers should play moderately active roles on average of 3.57 in a five point measures. Fourth,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shown higher rates in the role of school social welfare worker, experience with the school social welfare, and perception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Also, the teachers who taught less than 20 hours per week have shown higher rates in the role of school social welfare worker, experience with the school social welfare, and perception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Lastly,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welfare have shown higher rates in he role of school social welfare worker, necessity, recognition and interest. Fifth,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the teachers at the experimental schools which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had more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service, compared to the teachers at the regular schools. Not only that, they also had higher rates of perception, interest, necessity and understanding of rol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can be suggested. First of all, using the advantage of the experimental school, the active effort to provide integrated school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made. Secondly, rol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worker should not only be limited to counselling and supervising of students, but also include comprehensive approach to students in connection with the homes-schools-community, based on an eco-systematical perspective, thereby spreading the perception within the community that the comprehensive approach is being made by the workers. Thirdly, the recognition that school social welfare can be the counterplan for the contemporary problems at schools should be spread. To draw attention to such perception, the diverse publicity campaigns and education has become necessary. Fourth, there should be more attention provided for the services and participation for the teachers. With more attention toward service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teachers, the recognition for the school social welfare can be heightened. Fifth, school social welfare should not be carried out as only a temporary experimental project. In order to do so, legal and systemic causes should be arranged by the expansion of the project.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앞으로 학교사회복지가 나아갈 방향과 학교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생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청주지역에서 학교사회복지를 시범으로 실시하고 있는 학교와 미실시학교에 따라 3개교씩 총 9개교의 교사 17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학교형태는 중학교가 53.7%이며, 시범학교 유형별로 사회복지사 활용 연구학교가 35.4%, 교육복지 지원사업이 28.0%, 미실시학교가 36.6%이었다. 학교사회복지 이용 경험이 있는 교사가 47.4%, 없는 교사가 52.6%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생활지도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생의 성적․진로문제로 생활지도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잡무처리․업무량 과다, 시대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생활지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교사들의 52%가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모른다는 응답을 보였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학교사회복지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또는 법제화를 위해서는 행정당국의 재정지원, 관계대상자들의 이해와 수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교보다 중학교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인식,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필요성,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사회복지 실시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에서는 사회복지사활용 연구학교 교사들이 교육복지학교와 미실시학교 교사들에 비해 학교사회복지를 이용한 경험이 많았고,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관심,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필요성,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 활용 연구학교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인식, 관심, 필요성에 대한 모든 부분에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범사업이 진행된 년수와 시범사업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복지 사업의 경우, 저소득층을 위한 본래의 목적과 취지를 가지되, 개별사례관리와 정서적 개입에 대한 부분을 확대하여 통합적인 학교사회복지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초한 가정-학교-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 상담이나 개별관리에 국한되지 않도록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교사들은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낮은 인식에도 불구하고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느끼고 있었다. 학교사회복지가 학교문제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인식시키고,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다각적인 홍보 및 교육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넷째, 교사를 위한 서비스와 협력에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교사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위한 서비스에 관심을 기울일 때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 질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학교사회복지가 한시적인 시범사업으로 그치지 않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범사업의 확대를 통한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행정당국의 재정지원과 더불어 관련대상자들의 이해와 수용이 확보되어야한다.

      • 노인복지정책 성과에 대한 노인의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연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노인복지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인 활동이며, 노인복지는 항상 사회적 여건과 국가정책의 흐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노인복지정책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의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지역의 노인복지지표의 필요성과 노인들을 위한 노인복지정책들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지역에 적합한 노인복지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추구하는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정책의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범위는 노인연령 기준인 65세 이상으로 하였으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측정지표를 설정함에 있어 독립변수 요인으로 소득보장정책요인, 노인고용정책요인, 건강보장정책요인, 사회서비스정책요인으로 나누고 종속변수요인으로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합적 지표로 설정하였다.지역적 조사범위로는 청주시․청원군으로 나누어 40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에 맞는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된 관련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선행 연구된 논문, 저서, 간행물, 기사, 통계자료 등을 참고 인용하는 문헌연구방법에 의존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연구분석의 틀을 형성하고자 했으며 이를 실제로 청주시․청원군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청주시․청원군 노인복지정책의 현황 및 실태에 관해서는 제2차 자료의 조사방법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노인복지정책의 성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는 청주 청원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서 수집하였으며, 조사원들이 노인을 직접 방문하여 일 대 일의 대면을 통하여 기록하는 형식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활표에 의한 빈도분석, 카이자승분석,T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종속변수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독립변수들의 양측검증으로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으며, 독립변수 간에도 상호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모형의 적합도에 따라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회귀분석모형은 타당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 경로우대정책, 노인일자리의 2개 변수는 통계적 유의성 있었고, 나머지 18개 변수는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4개 요인들의 성과 인식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서비스정책 1순위이고, 건강보장정책 2순위, 소득보장정책이 3순위, 마지막으로 노인고용정책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청주․청원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볼 수 있으며, 노인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요인은 불안감이 1순위이며, 외로움 2순위, 마지막으로 노화에 대해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을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성과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를 청주․청원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느끼는 정도의 평균값과 독립변수들과의 단순 상관관계 t검증과 F검증을 통해서 살펴 본 결과, 노인복지정책과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종교, 거주지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인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복지서비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며, 노인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소득보장, 노인복지시설,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의 노인의 취업증진, 여가 및 사회참가를 중심으로 창조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Welfare of the aged is a national, social activ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is is closely linked to the social condition and the context of national policie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 of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and policies regarding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address the necessity of the indicators, solve the problems regarding the policies, and realize well-being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gion's condition. Besides, this study presents the political alternatives for policies regarding well-being of the elderly that local governments pursue. This study covers the ages from 65 years or older, and the measuring indicators on policies of well-being of the elderly include income guarantee policy, elderly people employment policy, health guarantee policy, and social service policy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grated indicator of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for the regions cover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401 elderly people living in Cheongju City and Cheongwongu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esent policies suitable for the regions. As for the study methods, adopted was the documental research method that refers to and quote documentations home and abroad such as thesis, books, publications, articles, and statistic data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policies regarding well-being of the elderly. Based on this, the basic frame of the study and analysis was formed, and the application to Cheongju City and Cheongwongun was analyzed. Especially as for the current condition of policies for well-being of the elderly in Cheongju City and Cheongwongun, the second data researching method was adopted at the same time. As for data collecting methods, the data on awareness of the achievement of such polici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among the elderly in Cheongju and Cheongwon, and the researchers visited each house of elderly people and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m. As for data analysis methods, SAS statistic program was adopted for analysis of frequency based on the Cross Tabulation, Chi-square analysis, 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turned out that the variables had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two-tailed tes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 factors for the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based on the suitability of the analysis model,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validity. Besides, the two variables - policies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elderly, and employment of the elderly had statistic significance, while the rest 18 variables showed only 5% significance, which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As for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s of the four factors on policies for well-being of the elderly in detail, the first factor was policies for social services, the second, policies for health guarantee, the third, policies for income guarantee, and the last, the policies for employm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the elderly in Cheongju and Cheongwon was normal, and the factors that caused problems among the elderly in their life were a feeling of uneasiness, loneliness, and aging in the order. As a result of the Simple Correlation t test and F test in comparis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averag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olicy achievements among the elderly in Cheongju and Cheongwon, It turned out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olicies varied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region they were living in. For local governments to live up to various needs regarding well-being services for the elderly as the number is increasing, local governments should play their key role in this respect, establishing creative measures for income guarantee, well-being facility, home-care wellbeing service, employment of the elderly in the local community,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l-being of the elderly.

      • 지역사회복지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보훈대상자 노후복지사업 활성화 방안 : 충주시를 중심으로

        도영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11

        현대는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서 경제성장과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고령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청은 향후 2026년에는 총 인구 수 대비 노인인구의 비율을 20.8%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보훈대상자 또한 급격히 고령화되고 있다. 전체 보훈대상자의 71.9%가 60세 이상이며, 평균 연령이 65.9세로 고령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고령화 사회로 돌입한 현재 노인부양, 보건의료, 복지 등과 관련한 정책적 사안에 있어서 문제점이 그 만큼 빨리 가시화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훈복지 정책의 변화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보훈대상자의 고령화에 따른 환경 변화에 편승하여 보훈복지의 노후복지사업에 중점을 두고, 보훈대상자 노후복지사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활성화 및 체계적이고 통합된 복지 실현을 위해 해당 지역사회복지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충주시 지역사회복지의 자체 조직 강화 및 활성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세부적으로 복지사업과 관련한 참여구성원과 행정사무 인력의 확보와 적극적인 지역주민의 참여 유도, 복지 네트워크의 접근 용이성 증대가 요구된다. 또한 복지사업의 구체화와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한 보다 탄탄한 재정확보가 중요하며, 지역특성을 고려한 복지 자원 개발에 힘써야 한다. 다음으로 지역사회 전체의 복지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참여 활성화를 위해 민간주도의 네트워크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노후복지 수요 및 욕구에 대한 통계조사를 통해 궁극적으로 복지대상자가 만족하는 복지제공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국가보훈처의 사회복지에 대한 조직 강화 및 활성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한 세부 방안으로는 먼저 노후복지와 관련한 참여 구성원과 행정사무인력의 보강이 요구되며, 지역사회복지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복지 네트워크의 접근성 강화, 복지대상자와 지역주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안정적인 노후복지 지원을 위한 재정 마련 창구를 다각화하고 민간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협력 및 지원이 용이하도록 하여 복지 자원 개발에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보훈처의 전체적인 복지역량 강화를 위해 보훈대상자의 복지 욕구와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며, 민간주도의 네트워크 역할을 통해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자원봉사 및 후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노후복지 전문 인력의 배치를 통해 지속적인 고령 보훈대상자의 복지 수요와 욕구 조사 및 원활한 피드백을 시행하여 관련 복지 사업의 전문화와 다각화를 도모한다. 셋째, 충주시 지역사회복지와 보훈 복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관 간 조직상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 간의 원활한 의견교류를 위해 합리적인 의사결정구조를 마련해야 하며, 사회복지 관련 각 영역 간 상호 연계를 통한 통합적인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복지계획의 수립 및 운영을 위해 민관 연계협력 하에서 지방정부 및 국가보훈처, 복지단체 등을 통해 복지정책과 계획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립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성공적인 네트워크 연계를 위해서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공급 자원과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효율적인 복지 연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두 기관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세부 방안으로는 충주시와 국가보훈처 사이의 원활한 협의와 조정이 이루어지고 지역복지사업의 체계적인 계획수립심의를 위한 연결 통로 역할을 하는 담당 영역의 설정이 요구된다. 또한 복지관련 사업의 계획 및 시행 전 철저한 사전 분석과 조사를 통해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두 기관 간의 조정이 요구된다. 보훈대상자의 고령화와 평균연령의 상승은 기존의 보훈복지사업에 변화의 필요성을 배가시키고 있다. 현재의 보훈복지사업은 사회복지의 이념과 원리에 따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본연의 목표를 명확히 하지 못하는 등 임시방편적이고 단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복지정책이 시행되지 못하고 몇 년간 거의 변화 없는 복지 사업 및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인해 보훈대상자로 하여금 복지에 대한 만족도를 절감시키는 비효율을 가져왔다. 또한 보훈복지 대상자를 대상으로 복지욕구 등 복지수요와 관련된 자료 조사 시행이 미흡하여 현행 복지시책 및 관련 사업에 대한 변화 방향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복지사업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개선 방향에 대한 혼란을 야기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훈 In modern days, the age of information, men's average life span has been expanded owing to economic growth as well as developed medical science to increase aged population. In Korea, number of 65 years old or more population ha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980 to present time: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ecasted as high as 20.8% of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otal population in the year of 2006. In Korea, in the beginning of the era of aging society, patriots and veterans have been rapidly aged. As many as 70.9% of all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are 65 years old or more to be 65.6 years old in average. In aged society, policy issues such as supports, health, medical services and welfare, etc of the elderly shall be visualized quickly so that welfare policy is demanded to make change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was focused on old age welfare program for patriots and veterans at environmental changes in aging society to promote effective operation of welfare program for patriots and veterans and to realize systematic and integrated welfare. So, the study suggested promotion measures through building a network with each community welfare system as follow: Firstly, the community welfare system in Chungju shall firstly reinforce and promote its organizations: In other words, member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s who work for welfare systems shall be recruited to let community residents join welfare programs actively and to increase easy access to welfare networks. Not only concrete welfare work but also support act enactment shall be made to raise strong finance and to make efforts to develop welfare resources consider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shall be developed to increase welfare abilities of all of the community to reinforce civilian based network roles for active participation. A statistical survey on demand and desires of continuous welfare shall be done to supply welfare enough to satisfy welfare customers finally. Secondl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hall reinforce and promo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other words, the ministry shall firstly recruit member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s of old-age welfare to reinforce accessibility of welfare network being much inferior to community welfare system and to let not only patriots and veterans but also community residents join actively. And, finance desks for supports of stable old-age welfare programs shall be diversified to let private businesses join the programs and cooperate and support easily and to develop welfare resources in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way. And, the ministry shall develop programs being suitable to welfare desire and demand of patriots and veterans to reinforce overall welfare abilities, and civilian based networks shall make community residents join actively to work as volunteers and to support. Old-age professionals shall be appointed to survey welfare demand and desires of old patriots and veterans continuously and to give feedback well and to specialize and diversify associated welfare projects. Thirdly, organizational changes between organs shall make change to build community welfare and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network in Chungju. The organs shall communicate actively each other by reasonable decision-making system to connect each area of social welfare and to build an infrastructure of integrated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And, local governments,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welfare organizations, etc shall make welfare policies and plans in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ay unde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In addition, database for resources and service users at community shall be constructed to connect networks successfully and associated information control system shall be made. Fourthly, first of all, both organs shall share roles properly to build effective welfare connection networks. Not only Chungju municipal government but also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hall discuss and adjust well each other to establish an area that can play a role of connection to make and inspect community welfare project plans systematically. And, both organs shall adjust projects to operate smoothly by careful preliminary analysis and survey prior to welfare project plans and practices. The patriots and veterans have been aged to raise their average ages so that existing welfare programs for patriots and veterans are forced to make change. Current welfare programs for patriots and veterans have followed not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ideologies and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but the government's policy changes to have unclear objectives and to put it into practice in temporary and piecemeal way. And, welfare policy that could take flexible and adaptable actions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was not put into practice to make use of welfare projects and programs that did not make change last several years and to let patriots and veterans not be satisfied with welfare to be ineffective. Welfare demand and desire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were not investigated properly to be in short of bases that can make change of current welfare policy and associated programs, so that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welfare program problems were disturb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problems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based on current situation of patriots and veterans programs to give promotion plans of old-age welfare programs for patriots and veterans by building a network with community welfare in Chungju a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programs at community level. This study can play role of a guideline to let policy maker of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operate welfare programs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to elevat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programs and to improve program levels and to contribute to making of activ

      • 모범운전자의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의식이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재곤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주지역 모범운전자들의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의식이 그들의 자원봉사활동 몰입, 만족도, 지속의지를 포함하는 자원봉사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이유는 청주지역 모범운전자의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하여 분석함으로써 운수종사자들이 교통약자들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고 사회복지의식을 향상시켜 소속된 교통봉사단체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구성원과 함께 나누는 삶을 위한 공동체를 형성하여 모범운전자들의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청주지역 모범운전자 2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직접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평균차이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자원봉사활동을 종속변수로,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의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을 통제 변수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인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는 2개의 하위변수(장애인 태도, 노인태도)로, 사회복지의식에서는 4개의 하위변수(빈곤원인의 주체인지 정도, 사회복지인식 정도, 사회복지필요, 사회적 참여의지 정도)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의 경우 3개의 하위변수(자원봉사활동 몰입, 만족도, 지속의지)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함을 보여주었다. 모범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역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운수종사자가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고학력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참여횟수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보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한 봉사자는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의식이 긍정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교통약자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증가로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반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기에 노인을 더 이상 단순히 노동력을 상실한 무능한 사회구성원이라고 보는 부정적인 태도가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넷째, 청주지역 모범운전자의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 및 사회복지의식이 자원봉사활동의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통약자태도와 사회복지의식이 자원봉사활동의 몰입, 만족도와 지속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범운전자의 봉사활동은 교통과 관련된 봉사 활동을 하는 봉사자가 많고, 그 이외의 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는 적기 때문에 모범운전자의 자원봉사활동은 교통 관련 범주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지역사회를 위한 자원봉사활동으로 활동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우리가 더 나은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복지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범운전자의 자원봉사활동이 많이 필요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범운전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첫째, 모범운전자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통약자에 대한 태도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교통약자와 더불어 함께 살아야 한다는 인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민을 위하여 정부는 사회복지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지원정책을 세우고, 학교와 지자체 및 기관/단체도 복지체계에 대한 정비와 함께 사회운동으로 전개함으로써 모범운전자의 사회복지의식을 높여 다양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을 증진시키고 만족도를 높여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정부는 최소한의 수당을 지급해야할 것이고, 아울러 봉사자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과 노력에도 집중되어야 한다. 모범운전자의 자원봉사활동을 증진시키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수준별로 운수종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마련이 필요한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복지관 이용 노인가 비이용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은하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복지관 이용 노인과 비이용 노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복지관 이용 실태에 따라 노후 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후 준비도, 복지관 이용실태는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사회복지 실천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청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과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는 노인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복지관 이용 노인 151부, 비이용 노인 178부로 총 329부가 회수되어 통계처리에 문제가 없는 31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복지관 이용 실태에 따라 노후 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노후 준비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 동거 가족, 종교, 월 평균 소득, 건강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복지관 이용실태에 따른 노후 준비도 차이는 복지관 이용유무, 복지관 참여 프로그램, 복지관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복지관 이용 횟수에 따라 노후 준비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 동거 가족, 종교, 월 평균 소득, 건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복지관 이용실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복지관 이용유무, 복지관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복지관 이용 횟수와 복지관 참여 프로그램에 따라 성공적 노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후 준비도, 복지관 이용실태가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변인들과 성공적 노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공적 노화는 노후 준비도가 높을수록, 월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 정도가 좋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성공적 노화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별 영향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율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율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기완성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여가 노후준비가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기완성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성공적 노화의 적극적 인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여가 노후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성공적 노화의 적극적 인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녀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녀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성공적 노화의 타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타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체적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분석 결과, 종교가 있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노후 준비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들의 종교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와 지속적인 복지관 이용을 위한 노인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낮은 집단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노후 준비에 있어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정서적 준비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노인에 대한 정서적 지지 또는 지원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확대하

      • 저소득 모자가정의 생활실태 및 대책 : 청주시를 중심으로

        이규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ㆍ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11

        As the more increasing divorce in lately has made the more increasing single-parent families, the children, who can not be growed up in the normal family, have been the social problem. Especially th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are faced with a lot of difficulties more than the fathers and children families, it shows the fact that the most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are the low-incom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so they need the social service and concern. According th those mentioned, this study make suggestions for the policies Cheong Ju city about single-mother families through a study on the welfare policies and the life issues of the low-incom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7 the low-incom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who live in Cheong Ju city through the interview with 157 the low-incom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who live in A san city by face to face and telephon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 Almost the mothers of the low-income mothers and children families in Cheong Ju city have a education level of graduation or dropping out of the high school, good health, two children and less than four years since separation by divorce of death, and thirty and forty age women. Since they were single, they can not be got the help for job-hunting by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community. Because almost of them take abnormal and daily job, they want to learn a skill that make them work in special field for women. Their main income is their own salary. They fall into debt and struggle into the economic difficulties. They live in the two-roomed house for lent and are not satisfied with the house. Almost of them don't want to remarry because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fter alone,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real parents more than the esteemed family of their husband, and the women who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her real parents is more likely to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esteemed family of their husband. They have little time to talk to their children, and many stress for the cost of a children's education. Among the welfare policies that are offered by Cheong Ju city, the expense of bringing up a less than 6 years old child. The daily commodities, and fuel for winter have a high level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 an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The summer camp for children and the job education have a low level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 and a high level of the plan for use. The introduction job, the connection with a supporter and the apartment for permanent rent have a high level of recognition and the plan for use, and a low level of experience. The borrowing welfare fund has a low level of all of the part. The support for the expense of education for children has a high level of all of the part. Through discussed above,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enior Centers: First, the living expenses must be realized. If it is difficult to alter the expense, the cooperative buy-ing and the volunteer service can be applied; Second, the expense of education must be supported in many way; Third, the education and introduction for job must be vitalized for ensure the economic function of the mother; Forth, the summer camp for children must be informed broadly in order that the many people can use that; And finally, the more connection with a supporter must be made through broking the fixed idea of the supporter. 1989년 모자복지 법 제정이후 제도의 정비, 급여범위의 확대, 그리고 급여수준의 향상 등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저소득 모자가정은 경제적으로 빈곤한 상태에 있을 뿐 아니라 정서 및 사회적 부적응 상태에 있으므로 국가나 사회는 가정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먼저 사회유지의 기본단위이며 원동력인 가족, 그 중에서 배우자의 사망, 실종, 유기, 이혼, 수감, 심신장애 및 질병 등으로 여성이 가정을 이끌어 나가는 저소득 모자가정은 경제적, 자녀양육 문제 등의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정부의 보호수준은 대상자의 최적생활 보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저소득 모자가정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이며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철저한 지원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즉, 경제적 지원 외에 저소득 모자가정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사회적 문제해결을 통해 자활 자립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청주 시의 저소득 모자가정 복지정책의 대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청주 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모자가정을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실태와 빈곤의 원인을 묻고 현재 청주 시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자복지 서비스의 인지여부, 경험여부, 앞으로의 이용계획, 만족도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연구대상을 중소도시인 청주 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모자가정으로 하였고, 그 표본의 크기도 작아 연구 결과 및 해석이 우리나라 전체의 저소득 모자가정을 대표한다고 보기에 제한이 있음을 밝히며, 저소득 모자가정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인간다운 최저생활보장, 자립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적인 급여지원 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저소득 모자가정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으나 현행 관련법에서는 극히 일부 국민기초수급 모자세대만 생계급여를 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저소득 모자가정이라는 특수상황을 비추어 볼 때 모 · 부자복지 법에서 부가적으로 생계비지원 제도를 마련하여, 저소득 모자가정의 생활안정을 도모하여야 한다. 둘째, 의료서비스 지원범위를 확대 · 강화해야 한다. 현재의 의료서비스는 200년 최저생계비의 120%이내인 18세미만의 아동에 대해서만 차상위 의료급여를 실시하고 있어 일부 저소득 모자가정의 모 본인은 의료급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따라서 저소득 모자가정의 건전한 생활과 소득보장을 위해 저소득 모자가정 전 대상에 대한 의료급여 서비스 확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주거문제가 심각한 저소득 모자가정에 소규모 아파트나 공공임대주택 마련의 기회확대와 정부의 주거마련 자금지원 방안으로 인간의 기본적 욕구인 주거안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저소득 모자가정이 자활 자립할 수 있도록 가구주에 대한 직업교육 강화, 자영사업운영의 알선, 무보증 생업자금대부 등으로 자영사업을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취업훈련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저소득 모자가정의 보다 안정적인 취업보장을 위해 기술훈련수준을 높여 나가도록 장기직업훈련제도의 마련과 그 기간동안 부양가족에 대한 생계보장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부의 부재로 인해 저소득 모자정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저소득 모자가정에 대한 교육과 역할훈련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저소득 모자가정의 공통적인 문제인 부의 역할과 자녀양육 시 애로사항과 경험담을 상호교환 하거나 힘이 될 수 있는 저소득 모자가정으로 이루어진 자조집단 형성이 필요하다. 일곱째, 저소득 모자가정의 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가족간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가족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덟째, 재정의 측면에서 저소득 모자가정을 위한 재정의 확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회보장의 발전과 확대는 그 나라의 재정 및 국민의 가치관 등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모자복지정책도 이러한 국가관의 전반적인 사회보장의 확충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청주 시에서도 사회복지재원 특히 저소득 모자가정재원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은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민간재원조달 및 활용방안을 위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우리나라의 저소득 모자복지정책이 저소득 모자가정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여 저소득 모자가정이 우리 사회에서 건강하고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소득 모자가정을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회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이들이 가진 잠재력이 개발될 수 있도록 사회자원이 적절하게 분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모자복지정책이 지금까지의 잔여적 차원의 보완적 복지정책에서 복지선진국과 같은 보편주의적 차원인 제도적 복지정책의 방향 전환을 위해 계속적이고 꾸준한 노력과 연구를 기울여야 하겠다.

      • 지역사회에서의 가톨릭 사회복지 활동의 실태분석 : 천주교 청주교구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이현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goal of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is to build up the society based on Christ's love and justice, where all people, including the poor, the sufferer and the alienated, could live a humanlike life, which is given from Cod, in the human community. Thereby, Catholic churches expand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and try to execute the social and integrated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whole man in order to carry out good services and respond to various demands on social welfare. And missionary works, education and charity should be performed in the community as the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are related to the community. The goal of the study is to comprehend the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to examine their roles and to propose a plan to develop and improve them.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activities, the study appreciates the following problems; the operation conditions of facilities for the Catholic social welfare, utilization of human and physical recourses, the condition of programs,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nd desires on and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study,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existing literatures for the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are reviewed and questionnaire survey is executed. Chapter Ⅰ as an introduction, raises a question and describes the objectivity, scope, method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Chapter Ⅱ covers the concept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and its thought shown in e Bibl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it reviews the Christian an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previous studies. Chapter Ⅲ presents the survey subjects,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method of data analysis. Chapter Ⅳ interprets the survey resul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hongju Catholic parish and it surveys and analyzes the follow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such as the facility worker and volunteers, and the utilization of physical resources such as the finance of facilities and promotion funds, the actual condition of programs and whether they are reflected in the communit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other agencies and the community, and the satisfaction with and desires on the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irstly, superior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church are being utilized in performing the Catholic social welfare service, which can offer an opportunity to devote themselves to forming a welfare community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church. Secondly, regardless of a believer, all the residents can use the programs, which are open. Furthermore, the residents' desires and satisfaction will be actively surveyed and reflected. Thirdly, the Catholic social welfare facilities will carry out the activities in a close connection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agencies and they will increas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through public relations and the utilization of home page. Finally, the activities will be concerned about the social welfare area which other religion institutes or general civil institutes neglect and they will primarily care about special areas, which people are socially less interested in and which are for the alienated people; mentally disabled people, rogues, foreign laborer, North Korean defectors, foreigners who married Koreans and their home.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facilities should effectively utiliz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ry to meet the residents' desires by reflecting positively their needs and satisfaction, and devote themselves to forming the welfare community for the community by developing and spread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 services. As the social welfare service are carried out so, they could contribute to forming a community, where all human beings live the humanlike life on the basis of the Bible and the Christian teac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