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과의 관계

        정경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양육부담감의 정도와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8세 미만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111명이었으며, 경기도 H시 장애인부모회, 복지관, 아동발달 센터와 O시 장애인 복지관, 경상남도 J시 정신의학과, S시 아동발달센터에서 2019년 9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6문항, 발달장애 자녀의 일반적 특성 8문항과 Mishel(1998)의 불확실성 도구, 송미순(1991)의 사회적 지지도구, 권중돈(1984)의 부양부담감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 및 절차를 설명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실시하였다. 연구계획과 서면동의서, 설문지는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IRB No. 1044308-201906-HR-034-01).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은 2.85±0.51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 중 불예측성이 가장 높았으며(3.3±0.69점), 복잡성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2.35±0.57점). 2.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1.99±0.3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가족에 의한 지지가 가장 높았고(2.70±0.63점), 공공기관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1.43±0.46점). 3.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은 3.12±0.69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기관부담(4.17±0.94점)과 미래부담(3.87±1.00점)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4.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는 음의 상관관계(r=-.292, p<010),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감은 음의 상관관계(r=-.245, p<.010), 불확실성과 양육부담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76, p<.001). 5.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미치는 요인은 불확실성, 발달장애 자녀의 연령, 발달장애 자녀의 이상소견 의심시기, 바우처 대상 선정 및 금액에 대한 만족 여부였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0.8%였다.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는 공공기관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기관 부족 및 미래에 대한 부담과 불예측성이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에 영향하고 있어, 발달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감소와 사회적 지원수준을 다양화하고 지속화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정책과 구체적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9 th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isted of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children’s characteristics,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Eligibility criteria were mothers with children who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ed disability. And childrens' age should be under 18 years old. The study was selected the 111 participants from a Paren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Child Development Center, Welfare Center, Psychiatric hospital in a Gyeong-gi do and Gyeong-sang nam do. Uncertainty tool is a translated version of Mishel scale by Oh(1999).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cale of social support by Song(1991) and care burden using the instrumnet modified by Gwon(2007).. The colled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in the study. Result: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mmerized as below. 1. The score of uncertainty was 2.85 ± 0.51, Social support 1.99 ± 0.39, Burden of caring 3.12 ± 0.69 2. Uncertainty, Social Suppor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are Burden affected positively uncertainty(r=.576, p<.001), care burden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0.245, p=.010), uncertainty affected negatively social support(r=-.292, p=.002). 3.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Care Burden was childrens' age, the expense for caring, the period Suspected child abnormalities, uncertainty.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0.8% of Care Burden. (Adjusted R²= 0.408, P < .001) Conclusion: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identified. More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ngoing, specific programs that reduce parenting burden by providing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for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 word: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병원간호사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지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grit, patient safety culture,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an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carried out with 166 hospital nurses in a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0, 2019.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Result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it (r=.27 , p=.001), patient safety culture (r=.49, p<.001),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r=.38, p<.001) and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r=.78, p<.001). The factor influencing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β=.69, p<.001).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explained 60.0% of variances of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hospital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should include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Key words : Hospital Nurses, Grit, Patient Safety Culture, Environment for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가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병원간호사 중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이다. 각 부서의 간호사중 직접 환자 간호에 종사하지 않고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수간호사는 제외하였다. 2019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병원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를 측정하였다. 그릿은 Duckworth 등 (2007)이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을 이수란과 손영우(2013)가 한국어로 번안한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이순교(2015)가 개발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감염예방 환경은 한은옥(2009)이 개발한 예방환경 측정도구를 안진선 등(2015)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 측정도구는 2007년 개정된 미국 CDC의 표준주의지침을 정선영(2008)이 번안한 내용을 홍선영 등(2011)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표준주의 수행도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그릿, 환자안전문화, 감염예방 환경,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의 영역별 분석은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릿은 평균 3.03점, 환자안전문화는 평균 3.53점, 감염예방 환경은 평균 4.00점, 표준주의 인지도는 평균 4.70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 4.47점으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그릿(r=.27, p=.001), 환자안전문화(r=.49, p<.001), 감염예방 환경(r=.38, p<.001), 표준주의 인지도(r=.78, p<.001)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표준주의 인지도(β=.69, p<.001)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60.0%이었다.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IPA 실시한 결과, 3사분면의 점진적 개정이 필요한 영역으로 손 위생, 호흡기에티켓, 개인보호구, 린넨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여 병원내의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표준주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은경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Effect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on th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Eunkyung Choi Department of Nursing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oyoung Yoo Ph.D)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perceived by new nurse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mentoring function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60 nurses who are within a year of completing the preceptorship from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and G provinc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s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 The mean scores of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were 3.87±0.61, 3.71±0.46 and 3.46±0.54 , respective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r=0.48, p=0.0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r=0.59, p=0.00) on new nurses.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ceptorship training period(r=0.23, p=0.00).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ceptor's mentoring function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β=0.50, p=0.0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β=0.54, p=0.00) on new nurses. The preceptorship training period(β=0.13, p<0.05) als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ew nurse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systematic mentoring program to preceptor nurs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but also to provide the preceptor training period of 8 weeks of longer. Keywords : mentoring functi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new nurse, preceptor, preceptorship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지각하는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정도를 파악하고, 멘토링 기능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본 연구의 대상은 S와 G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로 각 부서에 배치되어 프리셉터십을 끝낸 총 근무경력 1년 이내인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멘토링 기능은 Kram(1983)의 멘토로서의 역할 기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Noe(1988)가 개발한 Mentoring Fuction Scale을 곽인정(2004)이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자기효능감은 Sherer와 Maddux 등이 1982년에 개발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정애순(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직몰입은 Allen & Meyer(1993) 가 개발한 조직몰입 도구에서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대한 척도와 Poter & Steers(1997)이 개발한 척도를 바탕으로 하여 손상엽(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성별, 결혼여부, 프리셉터의 직위에 따른 멘토링 기능과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령, 종교, 최종학력, 현 근무부서, 총 근무경력, 프리셉터십 교육기간,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으며,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60명의 대상자 중에서 성별은 여자가 134명(83.8%), 연령은 25세 이하 85명(53.1%), 25세 이상 30세 미만이 61명(38.1%)이었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155명(96.9%), 종교는 무교가 101명(63.1%)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학위가 136명(85%), 현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51명(31.9%), 중환자실 42명(26.3%), 수술실 32명(20%) 순이었다. 총 근무경력은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이 101명(63.1%) 이었으며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4주 이상 8주미만이 99명(61.9%)이었다. 프리셉터의 특성으로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 66명(41.3%), 5년 이상 10년 미만이 63명(39.4%)이었고 프리셉터십 당시의 프리셉터의 직위는 일반간호사 80명(50%), 책임간호사 80명(50%)이었다. 2.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평균 5점 만점에서 3.87±0.61점으로 멘토링 기능의 3가지 하위 항목별로는 경력 개발 기능 3.89±0.59점, 심리 사회적지지 기능 3.77±0.69점, 역할모델 기능 4.07±0.70점으로 나타났다.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평균 5점 만점에서 3.71±0.46점, 조직몰입은 3.46±0.54점으로 나타났다. 3. 프리셉터의 특성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멘토링 기능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프리셉터의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프리셉터의 근무경력과 직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프리셉터의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 3.84±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프리셉터의 직위가 책임간호사인 경우 3.83±0.4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상태, 총 근무경력,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상태에 따른 조직몰입은 기혼이 3.94±0.49점으로 더 높았으며 총 근무경력 간에는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인 경우 3.70±0.55점으로 가장 높았고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8주이상인 경우가 3.62±0.51점으로 가장 높았다. 4.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r=0.48, p=0.00), 조직몰입(r=0.59, p=0.00), 프리셉터십 교육기간(r=0.18, p=0.02)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총 근무경력(r=-0.16, p<0.05)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r=0.50, p=0.00),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r=0.48, p=0.00), 프리셉터의 근무경력(r=0.20,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규간호사의 조직몰입은 자기효능감(r=0.59, p=0.00),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r=0.50, p=0.00), 프리셉터십 교육기간(r=0.23, p=0.00)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총 근무경력(r=-0.21, p=0.01)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β=0.50, p=0.00)과 조직몰입(β=0.54, p=0.00)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증가하면 자기효능감도 증가하였다. 프리셉터십 교육기간 또한 조직몰입(β=0.13, p<0.05)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은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과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멘토링 기능이 멘티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면서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상승과 조직몰입을 위해 프리셉터십과 멘토링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고려하지 않고 프리셉터가 멘토로서의 기능을 활용하여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신규간호인력 뿐만 아니라 신규간호사를 교육하는 인력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프리셉터 간호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멘토링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내용의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이 멘티인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멘토링을 제공하는 멘토인 프리셉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프리셉터의 멘토링 기능 이외에도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조직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므로 신규간호사에게 8주 이상의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 병원의 임상현장 사정을 고려하여 향후 적절한 프리셉터십 교육기간을 밝히는 연구 또한 제언한다. 핵심 되는 말 : 멘토링 기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신규간호사, 프리셉터, 프리셉터십

      • 병원간호사-의사와의 갈등관리 유형, 소진, 극복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경애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병원 간호사는 의료인 중 의사와 가장 많이 접촉하며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나 갈등을 많이 경험하며 이는 간호사 소진을 높이고 이직에 영향을 주며 간호의 질적 저하 및 간호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극복력은 간호사의 소진을 완화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병원간호사-의사와의 갈등관리 유형, 소진정도, 극복력,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상관성 서술 연구로 경기도 소재 C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병원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를 편의 표집하였다. 병원간호사는 간호숙련성 전문사회화 모델에 따라 상급초보자단계(1년 미만), 유능한단계(1-3년), 숙련단계(3-5년), 전문가단계(5년 이상)의 간호사로 할당표집하였고 222명에게 병원간호사-의사와의 갈등관리 유형, 소진정도, 극복력, 조직몰입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χ2-test, ANOVA 및 Scheffe의 다중비교, Kruskal-Wallis 검정 및 Bonferroni 다중비교, Pearson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간호사-의사와의 갈등관리 유형은 타협형이 75명(33.8%)으로 가장 많았고, 혼합형 60명(27.0%), 문제해결형 43명(19.4%), 양보형 37명(16.7%), 강요형 4명(1.8%), 회피형 3명(1.4%)이었다. 갈등관리 유형의 하부영역 중 문제해결은 18.51점, 강요 17.25점, 회피 16.00점, 타협 18.65점, 양보 19.37점 혼합 18.18점이었다. 소진의 평균은 2.89점이었으며 극복력의 평균은 3.57점이었으며 극복력의 하부영역 중 기질은 3.40점, 관계는 3.81점, 상황 3.68점, 철학 3.47점, 전문가 3.47점이었다. 조직몰입의 평균은 2.89점이었고 하부영역 중 애착은 3.06점, 동일시는 2.82점, 근속은 2.6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극복력, 조직몰입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조직몰입은 임상근무경력(F=5.30, p=.002)과 직위(F=4.41,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 소진 및 극복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간호숙련성 전문사회화 모델(Black BP, 2014)에 의한 상급초보자단계(1년 미만), 유능한 단계(1-3년), 숙련단계(3-5년), 전문가단계(5년 이상)에 따른 간호사의 소진은 전문가단계(2.98±0.41점)에서 극복력은 숙련단계(3.62±0.44점)에서 조직몰입은 상급초보자단계(3.15±0.68점)에서 높았다. 4.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소진, 극복력, 조직몰입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극복력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429, p<.001) 소진이 낮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577, p<.001) 소진이 낮을수록 극복력이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615, p<.001). 6.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단계에서 임상근무경력이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5.1%(F=6.911, p=.001)이었다. 2단계 모형에서 극복력과 소진이 조직몰입의 영향 요인이었으며 36.8% (F=33.172,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소진과 극복력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극복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조직 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행정적인 간호 전략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hospital nurse-physician conflict management style, burnout,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In this study correlational study, 222 hospital nurses were classified by career as advanced beginner, competent practitioner, proficient practitioner and expert practitioner by Benner's stages of nursing proficiency completed questionnaires of hospital nurse-physician conflict management style, burnout,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Kruskal- Wallis with Bonferroni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Burnout in the expert practitioner was highes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ompetent practitioner, proficient practitioner and expert practitioner was lower than in the advanced beginn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in-charge nurses was lower than staff nurses. Higher resilience and lower burnout correlat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er resilience correlated with lower burnout.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resilience and burnout explained 36.8% of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nursing program and an organizational policy to enhance resilience and burnout for the competent practitioner, proficient practitioner and expert practitioner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program for the new-nurses. Keywords : Conflict, Burnout,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지능,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

        이수민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지능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서지능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모성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0g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 임신성 당뇨병임을 진단 받은 후 경기도 소재 C대학 병원 내분비내과로 내원하여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임부를 편의 표집 하였다. 2014년 10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정서지능,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을 88명에게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n-Whitney 검정, Kruskal-Wallis 검정, Pearson 상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지능의 평균은 38.27±4.86점이었고 모성정체성은 127.82±18.05점 이었으며 태아애착은 74.72±12.37점이었다.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모성정체성이 당뇨병 가족력이 없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모성정체성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42) 종교가 있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모성정체성은 종교가 없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모성정체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26). 정서지능은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과 양의 상관관계의 상관을 보였고(r=.430, p<.001; r=.362, p=.001) 모성정체성과 태아애착은 양의 상관관계의 상관(r=.766, p<.001)을 보였다. 당뇨병 가족력과 종교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한 결과, 1단계에서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모성정체성이 높아지며(ß=.398, p=<.001) 설명력은 21.9%로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와 3단계 분석결과, 정서지능이 높을수록(ß=.342, p=.001), 모성정체성이 높을수록(ß=.765, p<.001) 태아애착이 높아지며 모성정체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7.7%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검정결과, 정서지능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모성정체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3.813, p<.001).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지능과 모성정체성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서지능과 모성정체성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and confirms how emotional intelligence impacts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and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identit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Eighty-eight GDM women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a maternal identity, and a fetal attachment. Data were analyzed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OVA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d Sobel test.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ed higher maternal identity explained 21.9% of variance. Maternal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predictors of fetal attachment explained 57.7% of variance. Maternal 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fetal attach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maternal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the fetal attachment.

      • 불쾌증상이론에 근거한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영향요인

        주유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aiming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to reduce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For this, we examined eating behavior, menstrual attitude, self-esteem, sleep quality, job stress, and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and ident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emenstrual discomfort.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40 female shift nurses at C general hospital in S-city, Gyeonggi-do,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1 to November 16, 2022. The participating nurses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final data analysis includ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18 participants, after excluding those with unreliabl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nalyzing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questionnaire responses. The differences in premenstrual discomfort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llowed by Scheffe test as the post-hoc test. The correlation of premenstrual discomfort with relevant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remenstrual discomfor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total score, total mean, and item mean were 235, 96.38, and 2.04, respectively, for premenstrual discomfort, implying a moderate level; 128, 87.12, and 2.72, respectively, for eating behavior implying higher than moderate level; 147, 79.41, and 3.78 for menstrual attitude indicating a moderate level; 40, 25.56, and 2.56 for self-esteem implying a moderate level; 84, 43.83, and 1.57 for sleep quality implying a moderate level; and 115, 92.69, and 4.03 for job stress indicating a relatively high level. Premenstrual discomfor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work department (t=2.69, p=.008) and the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F=4.23, p=.018)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the menstrual cycle (t=2.35, p=.021) among menstrual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s of premenstrual discomfort with eating behavior (r=.24, p=.008), sleep quality (r=.33, p<.001) and job stress (r=.18, p=.048).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re the input variable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the work department and the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and for menstrual characteristics, the menstrual cycle, show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menstrual discomfort: work department (β=23.70, p=.001), increase in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β=30.79, p=.004), menstrual cycle (β=14.52, p=.042), self-esteem (β=1.86, p=.020), and sleep quality (β=1.15, p=.00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9.9% regarding premenstrual discomfort (F=6.12, p<.001). Th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emenstrual discomfort determined in this study, shift nurses’ work type should be improved to minimize changes in the circadian rhythm to prevent irregular menstrual cycle;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t each department, establishing government-led policy, system improvement and hospital-led specific supp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level of premenstrual discomfort; and the stress management or respon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premenstrual alcohol consumption and frequency. Follow-up and repeated studies should investigate a variety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the reduction of premenstrual discomfort in shift nurses.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섭식행동, 월경태도, 자존감,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월경전불편감 정도를 파악하고, 월경전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월경전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21일부터 11월 16일까지 경기도 S시 소재의 C종합병원에 교대근무하고 있는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140명을 편의 표집 하였고 설문에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118명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특성, 섭식행동, 월경태도, 자존감,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및 월경전불편감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월경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월경전불편감과 관련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전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전불편감은 총점 235점 만점에 합산 평균 96.38점, 문항 평균 2.04점으로 중등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섭식행동은 총점 128점 만점에 합산 평균 87.12점, 문항 평균 2.72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월경태도는 총점 147점 만점에 합산 평균 79.41점, 문항 평균 3.78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자존감은 총점 40점 만점에 합산 평균 25.56점, 문항 평균 2.56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면의 질은 총점 84점 만점에 합산 평균 43.83점, 문항 평균 1.57점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총점 115점 만점에 합산 평균 92.69점, 문항 평균 4.03점으로 중간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은 근무 부서(t=2.69, p=.008),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F=4.23,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특성에 따른 월경전불편감은 월경 주기(t=2.35, p=.02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월경전불편감은 섭식행동(r=.24, p=.008), 수면의 질(r=.33, p<.001), 직무스트레스(r=.18, p=.048)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근무 부서와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 월경특성에서 월경 주기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근무 부서(β=23.70, p=.001),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증가(β=30.79, p=.004), 월경 주기(β=14.52, p=.042), 자존감(β=1.86, p=.020), 수면의 질(β=1.15, p=.002)이 월경전불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델의 변수는 월경전불편감을 29.9%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6.12,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월경전불편감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불규칙한 월경 주기를 감소하기 위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일주기 리듬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무 형태 개선 고려, 근무 부서에 따른 월경전불편감 정도를 완화하기 위하여 근무 부서환경의 개선, 정부 차원의 정책 추진 및 제도 개선, 병원 차원의 구체적인 지원 고려, 월경 전 음주량과 횟수의 감소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관리하거나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개발 고려,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정도의 완화를 위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후속 연구와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 Study on Effect of Surface and Bulk Modification for Bioactive Polydioxanone Lifting Thread

        김동민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생체활성 폴리다이옥사논 리프팅 실의 표면 및 벌크 개질 효과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한동근)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김동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노화를 억제하는 치료법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가장 일반적으로는 안면거상술이 많이 이용 되어져 왔는데, 이는 수술을 통한 부작용, 회복 기간 필요, 그리고 경험이 많은 의료진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에 최근에는 최소침습 또는 비침습의 방법이 더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최소침습 방법에는 보툴리늄 톡신, 필러, 리프팅 실 등이 있다. 보툴리눔 톡신은 주름을 완화 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안와하수, 안면마비, 붓기, 두통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내에 존재하는 성분이 아닌 약물을 반복적으로 사용 할 경우 항체가 생성되고 효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의 신체 성분과 유사한 필러를 진피와 피하지방층에 주입하는 것이다. 필러는 노화로 인해 끊어지거나 꺼진 부분을 채워주고 보완해준다. 하지만 이 또한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거나 주름 개선이 제한적이기에 페이스 리프팅이 불가피한 것이다. 페이스 리프팅은 최소침습적 방법으로 피부 아래에 리프팅 실을 삽입하여 주름을 개선하며, 기존의 안면거상술 등에 비해 절개 부위가 작고 시술 시간이 짧아 선호되고 있다. 페이스 리프팅 실 중 1세대인 PDO, 2세대인 PLLA, 3세대인 PCL이 존재하지만, 가장 오랜 기간 검증되고 안정적인 PDO를 선택하였다. 하지만 시술에 사용되는 PDO 리프팅 실 자체의 한계로 인해 산성 부산물을 생성해 염증 반응을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두 가지 개념의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PDO 리프팅 실의 기능 향상을 위해 초음파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PDO 리프팅 실의 표면에 수산화마그네슘(MH), 산화아연(ZO) 등의 무기 입자와 아시아티코사이드(ATS) 약물을 함유한 후 코팅하였다. 코팅된 리프팅 실은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내어 생체 내 콜라겐 합성, 염증 감소, 혈관 신생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다기능 PDO 리프팅 실은 섬유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피부 재생 및 재건에 유망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용적인 코팅 시스템을 통해 개발된 다기능 PDO 리프팅 실은 노화 방지 및 피부 미용 개선을 위한 미용 및 재생 의학 분야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물질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고분자인 PDO에 수산화마그네슘(MH), 산화아연(ZO) 등의 무기 입자를 함유한 후 EV(엑소좀)를 고정화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다기능 PDO 리프팅 실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미리 더 보완하기 위해 엑소좀을 고정화함으로써 추가적인 개선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벌크 개질된 PDO 복합체를 리프팅 실로 사용한다면 피부 치료 및 미용 향상에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핵심 되는 말: 리프팅 실, 폴리다이옥사논,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아시아티코사이드, 엑소좀 Study on Effect of Surface and Bulk Modification for Bioactive Polydioxanone Lifting Thread Dong Min Kim Department of Life Science The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Dong Keun Han) As interest in skin beauty increases, treatments to suppress aging are increasing. Facial lift surgery have been most commonly used, and since side effects through surgery, recovery period is required, and the help of experienced medical staff is absolutely required, minimally invasive or non-invasive methods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n general, widely known methods of minimally invasive include botulinum toxin, filler, and lifting thread. Botulinum toxin is known to have the advantage of relieving wrinkles, but it is known to be accompanied by side effects such as ophthalmic sewage, facial paralysis, swelling, and headach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ntibodies are produced and efficacy decreases when drugs other than those present in the body are repeatedly used. Another method is to inject fillers similar to body components such as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into the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The filler fills and supplements the areas that have been cut or turned off due to aging. However, face lifting is inevitable because it also has side effects or has limited wrinkle improvement. Face lifting improves wrinkles by inserting a lifting thread under the skin in a minimally invasive way, and is preferred because the incision area is smaller and the procedure time is short compared to conventional facial surgery. Although the first generation PDO, the second generation PLLA, and the third generation PCL exist among face lifting threads, the PDO that has been verified and stable for the longest period was select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DO lifting thread itself used in the procedure, it creates acid by-products, resulting in side effects including inflammatory reactions. In this paper, two concepts of research were conducted largely. Firs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DO lifting thread, inorganic particle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MH) and zinc oxide (ZO) and asiaticoside (ATS) drugs were contained and the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DO lifting thread using ultrasonic coating technology. The coated lifting thread showed excellent biocompatibility,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inflammation reduction, and angiogenesis in vivo. These multifunctional PDO lifting threads showed promising potential for skin regeneration and reconstruction without causing fibrosis. The multifunctional PDO lifting thread developed through a practical coating system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safer and more effective materi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osmetic and regenerative medicine for preventing aging and improving skin beauty. Second, a method of immobilizing EV (exosome) was chosen after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MH) and zinc oxide (ZO) in PDO, which is a polymer.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improvement effects was confirmed by immobilizing the exosome in order to further compensate for the possible shortcomings in the future in the multifunctional PDO lifting thread. This suggests that the use of the bulk modification PDO composite as a lifting thread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having an effect on skin treatment and beauty improvement. Key words: Lifting thread, polydioxanone, magnesium hydroxide, zinc oxide, asiaticoside, exosome

      • NICU간호사의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방미경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치료가 필요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다루는 N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공호흡기간호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NICU 간호사를 위한 효율적인 인공호흡기관리 및 간호 지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소재의 level 2~3수준의 NICU 간호사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식과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 요구도 비교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 및 교육 요구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은 평균 3.13점,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요구도는 평균 3.2점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에서는 ‘연령’(F=2.80, p=.045),‘직위’(t=2.90, p=.005),‘근무경력’(F=4.36, p=.007), ‘VLBWI 인공호흡기간호 경험 유무’(t=2.20, p=.030),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경험 유무’ (t=5.71, p<.001), ‘인공호흡기 교육받은 횟수’ (F=14.28 p<.001), ‘교육희망주기(회/년)’(F=4.44, p=.015), ‘주로 정보를 얻는 곳’(F=5.27,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교육 요구도에서‘주로 정보를 얻는 곳’(F=3.28, p=.04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와의 상관관계 결과,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r=.02, p=.857), 인공호흡기 간호 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지식 하위영역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감염예방간호’와 교육요구도 하위영역의 ‘인공호흡기 적용 의한 2차문제 예방간호’(r=.23, p=.037),‘호흡기제거를 위한 간호’(r=.22, p=.045)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 극소저출생체중아를 위한 인공호흡기 간호 질 향상을 위해선 극소저출생체중아 및 미숙아의 특성에 대한 인공호흡기 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증진시켜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제공이 우선시 필요하다. 또한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중점적인 교육과 극소저출생체중아에게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인공호흡기 간호제공을 위해서 간호사의 수행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지식 습득을 위한 교육은 물론 실습중심의 임상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효과적인 교육주기 및 시간을 고려한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 인간 제대혈 혈장을 이용한 동물 유래에서 안전한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 방법 확립: 인간 제대혈 혈장을 이용한 FBS 및 성장인자 대체

        김송미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Human placenta-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pMSC) from human placenta have the advantage of clinical use such that they are easy to get and do not raise ethical issue than other stem cells. Also, hpMSCs and their by-products are very effective in treating tissue damage or degenerative diseases and are likely to be used as cell therapy. Although hpMSCs are expected to have excellent clinical efficacy, there is one major stumbling block in their clinical application. This is due to fetal bovine serum (FBS), an animal-derived serum used to grow cells. FBS is not suitable for clinical trials due to safety reasons. Here,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human cord blood plasma (hCBP) which is the human origin serum and studied the components of hCBP to find the common biomolecules and unique biomolecules compared with FBS. We hypothesized that hCBP would be composed of the key common protein component as FBS and they play the similar roles, and consequently they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verify the hypotheses, 1) using the public data, the components of proteins contained in FBS and hCBP were compared and annotation pathwa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e as a replacements. 2) in the process of the annotation pathway analysis of hCBP proteins, the several proteins that exist exclusively in hCBP were identified, isolated and verified. They are involved in the immune control re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hCBP could replace FBS and based on the protein components uniquely expressed in hCBP, stem cells cultured in hCBP would show superior efficacy than stem cells cultured in FBS in several diseases such as immune releated diseases. is more in terms of economics, efficacy, and convenience in hpMSCs culture. Keywords: Human placenta-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etal bovine serum, Human cord blood plasma, Cell culture. 인간의 태반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 (human placenta-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pMSCs)는 다른 성체 줄기세포와 비교하여 수급하기 수월하고 윤리적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hpMSCs는 세포 자체 혹은 세포 부산물들의 치료 효능이 뛰어나 조직 손상이나 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로써 높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임상 연구에서의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hpMSC를 키우는 조건에서 사용하는 소 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는 동물 유래이기 때문에 임상 연구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에, 많은 논문에서 인간 혈청 같은 인간 유래의 대체품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완벽한 대체품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위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해보고자 FBS 대체품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들에 대해 고찰하였고, 그 결과 FBS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고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종 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간 제대혈 혈장 (human cord blood plasma, hCBP)이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먼저 1) 공공 데이터 자료를 사용하여 FBS와 hCBP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들을 비교하고 annotation pathway 분석을 진행하여 대체품으로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2) 일반적인 hpMSCs 배양에서 hCBP)을 사용하였을 때 FBS를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세포 실험을 진행함과 동시에 2) 기존 hpMSCs 배양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그 경제적 비용 때문에 연구자에게 많은 부담을 안기는 FGF-4 성장인자의 배지 함유 여부가 hpMSCs의 배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통해 hCBP의 FGF-4 대체 사용 가능성 또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FBS와 hCBP에서 서로 연관되어 있는 단백질 47개를 확인하였고, 47개 공통 단백질의 annotation pathway분석을 통해 hpMSCs 배양에서 hCBP가 FBS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확인된 가능성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in vitro 환경) 일반 hpMSCs 배양 배지에서 hCBP를 첨가되고, FBS와 FGF-4는 첨가되지 않은 배지를 제조하였고, 제조 된 배지로 hpMSCs를 배양하여 세포 수와 세포 성장률, 면역학적 특성 및 분화능 확인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FBS가 포함된 기존 일반 배지와 배양한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hCBP가 포함된 배지로 배양한 hpMSCs의 세포 수는 비록 기존 일반 배지보다 약 30%가량 적지만, 세포의 형태, 면역학적 특성, 분화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 hCBP가 지니는 단백질이 FBS의 대체 역할을 함과 동시에 FGF4를 대신하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는 것을 결론 지을 수 있었고, 2) hCBP 단백질의 annotation pathway 분석 진행 과정에서 FBS에는 없고 hCBP에만 단독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들을 확인하여, 분리하고 확인한 결과, 면역조절반응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내어 hCBP가 임상 측면에서도 FBS 보다 뛰어날 것이라는 새로운 추가자료 또한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hCBP가 hpMSCs 배양에서 경제성, 효능성, 편리성 측면에서 FBS를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FGF-4 없이도 hpMSCs의 정상적인 배양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hCBP만이 지닌 염증 조절 작용을 하는 많은 단백질을 토대로 임상적 적용 (특히, 염증을 유발하는 퇴행성 뇌 질환 및 노화 등에 잠재적인 임상 후보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지나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정도 및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자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장애수용,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사회복지시절(장애복지관, 장애인 부모회, 등)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29일부터 12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발달장애 자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장애수용,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 검정은 Sc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셋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를 둔 부모에 대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89.17%)가 아버지(10.83)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은 평균 50.78세이고, 학력은 대졸 이상(60%)의 부모가 고졸 이하(40%)의 부모보다 많았으며, 부모의 월수입은 300만원∼400만원 미만(29.17%)과 400만원 이상(29.17%)이 200만원 미만(18.33%)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장애를 인지한 시점은 평균 28.52개월이며, 장애를 진단받은 시점은 평균 68.98개월로 나타나 장애인지와 진단 시점 간에 약 3년 5개월(41.46개월)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자녀 장애 심각 수준은 3점(34.17%)이 1점(6.67%)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나이는 평균 21.92세이며, 자녀 성별은 남자(69.17%)가 여자(30.83%)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녀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38.6%), 자폐성 장애(30.97%), 뇌병변장애(12.90%) 순으로 나타났고, 자녀 서비스 유형은 언어치료(19.58%), 미술/음악치료(14.29%), 놀이/심리치료(13.23%), 물리/작업치료(12.17%)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 교육비는 40만원 이상(40%)이 10~20만원(8.33%)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장애수용의 하위요인인 충격(r=-0.323, p<0.001), 수치(r=-0.391, p<0.001), 과잉보호(r=-0.210, p<0.05), 죄책감(r=-0.189, p<0.05)요인은 부모 효능감 전체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즉,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충격, 수치, 과잉보호, 죄책감이 높을수록 부모 효능감은 낮아진다는 것이다. 부모 효능감 하위요인인 좌절감, 불안감(r=-0.608, p<0.001)은 장애수용 전체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높을수록 장애수용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장애수용의 하위요인인 충격(r=0.440, p<0.001), 수치(r=0.381, p<0.001), 과잉보호(0.446, p<0.001)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부모 효능감 하위요인인 좌절감, 불안감(r=-0.345, p<0.001)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좌절감과 불안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진다는 것이다. 넷째.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장애수용의 하위 요인(충격, 수치, 부인, 과잉보호, 죄책감, 수용, 의심), 부모 효능감의 하위 요인(자신감, 좌절감, 불안감)을 설명변수로 하고, 삶 만족도를 반응변수로 하여 단계별 회귀(stepwise)방식의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잉보호, 좌절감, 불안감이 선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는 것은 부모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참여하여 모두가 가족 공동체로 상호작용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분위기 조성 및 장애수용이 선행될 수 있도록 지원계획 및 부모와 및 장애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그 결과 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의 스트레스와 양육 부담을 줄여서 건강한 가족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장애인과 달리 장애를 둔 가족의 경우 심각한 양육 문제와 갈등에 직면하게 되며 부모 역시 일상생활 및 사회적 관계에 부정적 경험을 유발하고 이러한 파급은 결과적으로 장애아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발달장애에 대한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장애수용과 부모 효능감, 삶의 만족도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건강한 삶의 안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선행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인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degree and correlation of par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parents'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to confirm parental acceptance, parent's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rveyed 120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us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disabled welfare centers, disabled parents' associations, etc.)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Nov. 29 to Dec. 14,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following using the SPS 25 program: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sability acceptance, parent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conducted. Second, the test was analyzed with t-test, ANOVA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parental acceptance, parent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ost-test was used. Third, Pearson's correlation was analyzed to analyze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disability acceptance, parental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established and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efficacy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on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that mothers (89.17%) made up more weight than their fathers (10.83%). The average age of parents was 50.78 years, with 60 percent of parents graduating from college outnumber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40%), and parents earning less than 3 million won to 4 million won (29.17%) and 4 million won or more (29.17%) made up more than 2 million won (18.33%). On average, 28.52 months were recognized for disability, and 68.98 months were diagnosed for disability, indicating a difference of approximately 3 years and 5 months (41.46 months) between the time of disability and the time of diagnosis. The severity level of children's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34.17%) Three points (34.17%)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one point (6.67%). Second, an analysis of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that the average age of children is 21.92 years, and that 69.17 percent of children's sex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30.83%). Children's disability types were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38.6%), autism disorder (30.97%), and cerebral lesions (12.90%) followed by language therapy (19.58%), art/music therapy (14.29%), play/psychological therapy (13.23%) and physical/work therapy (12.17%). Children's education costs more than 400,000 won (40%) were higher than 100,000 to 200,000 won (8.33%). Thir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ental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shows shock (r=-0.323, p<0.001), numbers (r=-0.391, p<0.001), overprotective (r=-0.210, p<0.05), and guilt (r=-0.189, p<0.05) as a who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hock, shame, overprotective, and guilt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ower the efficacy of parents. Frustration, anxiety (r=-0.608, p<0.001) is a sub-factor of parental efficacy,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throughout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frustration and anxiety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the lower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Factors such as shock (r=0.440, p<0.001), numbers (r=0.381, p<0.001), and overprotective (0.446, p<0.001) show positive and positive correlations to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arents' efficacy sub-factors such as frustration and anxiety (r=-0.345, p<0.001).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frustration and anxiety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lives. Fourth, after analyzing the impa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ental efficacy on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by step, overprotection, frustration and anxiety were performed with explanation of sub factors of disability acceptance (shock, shame, denial, excessive protection, guilt, acceptance, suspicion), and parent efficacy (self-confidence, frustration, anxiety) as response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mmodating a child’s disability should involve both parents and family members so that everyone can interact as a family community, solve problems and cooperate. To this end, support plans and programs for parents and disabled children need to be developed so that social atmosphere and disability acceptance can precede them, and as a result, parents with disabilities can reduce stress and burdens of rasing children, thus helping to form a healthy family community. In addition, unlike non-disabled families,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isorders is emphasized as they face serious parenting problems and conflicts, which can also cause negative experiences in dail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consequently have negative effects on disabled children. Through this study,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the efficacy of parents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can provide directions for the healthy and stable life for parents with development-impaired children, and can have significance as a prior study in the future. It will also b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ognitive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words : Developmental disability, development-impaired parents, disability acceptance, parental efficacy,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