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생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특성

        용사우(龙思羽) 중원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별, 학업성적, 학년별로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 A시 3개의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419명(남: 184, 여: 23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학업성적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 특성은 어떠한가? 넷째, 학년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지연행동의 측면에서 보면 대학생은 전반적으로 중층 이하 수준이었고 학업 자기효능감의 경우 대학생은 전반적으로 중간 수준이다. 학업 지연행동은 학업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r=-0.458, p<.001)를 나타냈다. 둘째, 성별 그룹별로 대학생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다. 학업 지연행동의 경우 여학생의 지연 정도가 남학생보다 높았다. 학업 자기효능감 측면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학업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학업성적 그룹별로 대학생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다. 학업성적 하 그룹에서는 학업성적 상 그룹에 비해 학업 지연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학업성적 하 그룹은 학업성적 상 그룹에 비해 학업 자기효능감 수준이 현저히 낮다. 넷째, 학업 지연행동의 측면에서 보면 학년차이가 현저하며 전체적으로 역U자형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1학년과 4학년은 학업 지연행동이 적고 2학년과 3학년은 학업 지연행동이 더 심각하다. 학업 자기효능감의 경우 대학생은 학업 자기효능감의 학년별 차이가 현저했으며 학생의 학업 자기효능감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중국 A시 3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대상 지역과 대학의 범위를 더 확대하여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 학업성적, 학년의요인과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만을 연구했으므로, 그 외의 요인은 고려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의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지만, 대학생의 학업 지연행동과 학업 자기효능감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면담이 추가된다면 측정에 따른 제한점이 보완되어 보다 자료를 얻을 필요하다. 키워드: 학업 지연행동, 학업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대학생의교육

      • 한·중 초등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비교 연구

        XU HE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263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양국의 초등학교체육 및 지역사회협력에서 정책, 인적·물적 자원의 협력, 정보공유에서의 구체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찾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한·중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 관련 선행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 분석, 심층 면담, 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한·중 양국의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의 연계 정책 및 인적·물적 자원, 정보공유 관련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의 협력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정책적 측면에서 첫째, 한국은 학교체육에 관한 단독법이 제정되어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의 연계에서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반면 중국은 학교체육에 관한 단독법이 없으며 없다. 따라서 중국은 한국처럼 학교체육에 관한 단독법을 제정하고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한국은 정책제정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상호 책임과 의무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고 운영에 대한 지침이 없다. 따라서 지역연계 관련 법률 및 조례 제정에서 <학교체육 진흥법> 또는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지역 연계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교가 지역사회와 연계에서 관련 법령 개정에서 안전에 관한 구체적인 법령이 없다. 즉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 시 안전사고 대처에 관한 메뉴얼이 없고 사고 발생 시 안전책임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지역사회 시설 이용에 대한 안전 인증제를 도입하고 안전 관련 구체적인 법령을 제정해야 한다.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서의 물적 협력에서 첫째, 학교가 지역사회의 시설을 운영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중국은 한국처럼 인프라 협력체제가 구축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이에 의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체육시설 확보 및 복합화를 위한 관련 법규를 제정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 연계 관련 사업의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의 예산에서 가장 큰 문제는 예산의 일원화이다. 따라서 한국은 관련 사업 추진에서 정부의 예산 증액에만 의거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기업이나 관련 사업 주체들이 다른 기관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야 한다. 셋째, 시설 복합화를 위해 시설 재산의 사용권 설정의 제한되어 있다. 한국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의 행정재산 및 보존재산의 관리 및 처분에 대한 규정과 공공재산에 대한 사권 제한 규정을 두고 있어 지역시설 이용에서 민간자본 유치 및 개발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 재산의 사용권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와 지역의 유관기관과의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중국과 한국 모두 관리운영에 대한 책임소재를 피하고 지역주민들의 불편함 및 마찰을 피하고자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다섯째, 지자체에서 체육시설 운영에 대한 소유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현재 지자체의 체육시설의 소유권은 지자체에 있으므로 학교가 시설을 이용함에 있어서 이용의 불편함과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의를 통해 지자체 체육시설의 운영권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서의 인적자원 협력에서 첫째, 한국은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의 인적자원 협력에 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한국의 「학교체육 진흥법」에는 보조 강사의 정의, 보조 강사의 자격 기준 및 계약법 · 서비스 관리는 모두 상세하게 제정하여, 학교가 보조 스포츠강사 영입을 위한 실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서 인적자원에 대한 관련법이 제정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보조 체육강사 채용기준이 명확하지고 않으며 또한 보수체계 및 처우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 따라서 중국은 한국처럼 강사의 자격 기준 계약법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한국은 인적자원에 대한 지원형식은 ‘강사유치’와 전임교사 연수의 병행이다. 하지만 중국은 학교체육이 지역사회 연계에서 전문성이 있는 강사유치가 어렵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전문강사확보에서 한국처럼 체육지도자, 퇴역운동선수 등 고수준의 체육전문인들에 대한 연수를 통해 전문성이 있는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지역의 인적자원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현재 한국은 인적자원 확보는 거의 단위학교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참여가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한국은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 정부 및 지역사회 등과의 연계 협력체를 구성하여 지역의 인적자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서 정보 협력에서 첫째, 한국은 학교체육과 지역연계 정보 단위학교, 정부, 지역사회, 지역단체가 함께하는 정보 풀랫폼을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연계 자원 정보도 잘 개발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중국은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있어 모든 정보는 지역교육청의 해당 부서가 ‘통지(通知)’의 형식으로 학교에 전달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정부와 단위학교 및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정보 풀랫폼을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은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연계에서 지역교육청, 학교가 주축이 되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홈페지에 공유하여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전달되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에게는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 연계 관련 정보공유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문화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유은숙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263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학교생활적응 간의 영향관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다문화가정의 부모한국어능력, 부모교육수준 등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북부와 경기남부, 대전을 포함한 충청지역의 다문화가정 중 국내출생자녀와 중도입국자녀, 외국인가정의 청소년(고등학생) 300명을 목표집단으로, 자기평가·기입법에 따라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집법(conveniece sampling method)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274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는 사회과학 통계패키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및 학교생활적응의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요인분석을 거친 후, 구조모형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사회학 특성별(성별, 연령, 부모한국어능력, 부모교육수준) 집단간 구조모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포함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문화적응은 한국문화와 타 문화의 수용으로 인해 경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화적응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이중문화에 대해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 가운데 교사지시의 다문화사회이해교육을 위한 정책지원 활성화와 지역사회지지는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과정을 위해 지자체에서 다문화지원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사회이해 측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적응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사회복지 분야에서 친구관계 및 교사와의 원만한 관계 형성, 학습활동의 어려움 해소 등을 위한 다양한 다문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발달을 위해 가족, 학교,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는 다문화 청소년 개개인의 발달 수준을 이해하고, 문화적응과정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학교생활생활에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교사의 다문화수용 역량강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상담교사의 연수를 강화하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상담을 위한 교육연수자료가 경험적으로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관계망 체계가 더욱 세부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통합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성별과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범위를 중학생과 후기 청소년에 포함되는 대학생까지 확장하여 입체적이고, 다면적인 발달적 특성과 변인 간 인과성을 연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부모한국어능력에 따른 조절효과는 있다. 지역사회지지와 문화적응 간의 경로에서 유의하게 한국어능력 중 이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조절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받는 것을 꺼리거나, 경제활동 참여나 가정 내 돌봄역할이 우선시되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온라인교육을 통한 부모한국어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도 요구된다. 여섯째, 부모교육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있다. 부모한국어능력 및 역량강화를 위해 학부모 한국어 교육자료 개발, 학부모 한국어능력 개발 방식의 다각화, 학부 한국어교육 연간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획일적이고 행정편의적 프로그램보다는 부모교육수준을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과 학교생활적응 지원 및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연구대상 범위를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전체를 포함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과 재구성이 이루어져 할 것이다. 셋째, 횡단적으로 연구한 본 연구를 확장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학교생활적응을 보다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 교육행정서비스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인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익형 중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326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인성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 및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영향이 미칠 것인가? Ⅱ.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인성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1.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존중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2.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성실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3.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시민성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4.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책임성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5.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문화적 포용력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Ⅱ-6.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공동선의 매개효과가 미칠 것인가? 이 연구는 강원, 경북, 충북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00부의 설문지 가운데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 오류설문지로 확인된 95부를 제외하고, 최종 1,005부의 설문지가 통계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 통계패키지 Window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위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신뢰도(Cronbach's α) 및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Reliablilty Analysis Method)와 탐색적 요인분석(Experimental Factor Analysis Method) 및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개념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인성의 하위요인에 대한 매개변수의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매개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설Ⅰ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 및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영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가설Ⅱ-1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존중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본 연구가설Ⅱ-2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성실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가설Ⅱ-3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시민성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가설Ⅱ-4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책임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본 연구가설Ⅱ-5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문화적 포용력의 매개효과는 나타났다. 일곱째, 본 연구가설Ⅱ-6인 대학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에 공동선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행정서비스 하위요인 가운데 확신성, 신뢰성, 유형성, 반응성과 공감성을 강화시키는 서비스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특히 유형성, 반응성, 공감성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은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인성 가운데 존중과 책임성 및 공동선을 제외한 성실, 시민성, 문화적 포용력이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나 이들 요인들을 중점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고, 특히 체험형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존중, 책임성 및 공동선이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원인을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냄으로써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을 위한 인성의 측정도구가 개발되어 객관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홍민주 중원대학교 평생학습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일반적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교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반응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J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25명 중에서 대인관계검사(RCS)를 실시하여 표준편차 –1 이하의 대상자 10명을 선정하였다. 그 중 무선적으로 5명을 실험집단으로 배정하고 나머지 5명을 통제 집단에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으로, 기존의 긍정심리치료(PPT) 프로그램을 토대로 구성되었으며 미술치료 전문가 3인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chelin과 Guerney(1971)이 개발하고 문선모(1980)가 번안한 대인관계검사(RCS)와 송명자(2010)가 개발한 동적학교생활화(KSD)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위하여 SPSS 18.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검사(RCS)의 사후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일반적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동적학교생활화(KSD) 사후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학교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동적학교생활화(KSD) 반응 특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의 기법과 매체를 통한 긍정심리치료의 활동으로 내담자들이 자연스럽게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여 자신의 긍정정서와 대표강점을 인식, 함양하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원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경험과 감정을 집단미술치료의 활동 안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구성원과 나누며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를 인식하며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되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이론을 근거로 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의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에 따른 적응유연성 증진 방안 연구

        최혜선 중원대학교 평생학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적응유연성을 증진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양적·질적 연구를 포함한 학교 밖 청소년에 미치는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을 확인하여 적응유연성을 증진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로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을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청소년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자본 요인과 사회자본 요인은 무엇인가? 에 대한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연구과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각종 문헌과 연구보고서, 정부 간행물 등을 수집하여 검토한 후 본 연구의 범주에 적합한 것들을 선별하여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학교 밖 청소년 관련법 및 제도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종 문헌과 관련 자료와 법령 등을 수집하여 검토, 주제별로 범주화한 후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한 편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연구로서 선행연구 결과보고서로 2008년 석사학위 논문을 시작으로 그 이후로 2018년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판 유형별 분류 결과 석사학위 논문 38편, 박사학위 논문 7편과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는 26편이다. 논문, 단행본을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 실태를 분석하고, 심리 및 사회자본 적응유연성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의 필요성으로 준비과정 없이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즉각적인 지원과 국가적 차원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학업중단 숙려제 상담과 같은 경우 학교로부터 이탈을 막기 위해 하는 상담이라면 청소년이 학교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방법도 제시되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사회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 그리고 문화적 요인, 심리적 상황 등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범주를 단일하게 보는 집단으로의 개입은 매우 어렵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탈학교’ 동기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들의 선택은 기존 제도와 사회적 규범의 정당성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 즉 교육제도의 실패와 경제위기 등 에서 발생한 비 제도화된 행동이다. 이런 점에서 일탈 행동이 아닌 집합행동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명칭이 부정적 의미를 많이 포함하므로 학교 밖 과 학교 안의 명칭을 청소년이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실행 주체와 ‘종합지원’의 내용이 구체화 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보인다. 학교 밖 청소년을 정의하는 방식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 개념의 혼동은 정책을 확정하기 위한 대상자를 집계하는 데에도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개념의 정확한 한계가 있어야 한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는 센터의 명칭도 통합된 하나의 명칭으로 정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업 중단 후 결속력과 서로를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가 사라짐으로 소속으로부터의 소외감과 박탈감을 경험하게 되며 또래관계로 부터 오는 단절로 우울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교류 활동 등 소속감 형성의 집단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낙인감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학교 밖 청소년이 문제가 있는 존재로 보는 부정적인 시간이 아니라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존재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회적 인식개선에 대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에 대한 적응유연성 증진 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 및 사회적 두 변수에만 관심을 기울였으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지역적인 특성이나 문화 및 상황적 여건들을 고려하고, 다양한 여건들을 포함하여 문화 자본으로 확장하여 적응유연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일반화와 관련된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있어 상대적으로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셋째, 이번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 연구와 관련하여 심리 및 사회자본 요인의 두 변수에만 관심을 기울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설문지를 병행, 자료를 수집해 실증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도출된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자본 요인과 관련된 측정 도구를 활용해서 변수 간 적응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중 핵심역량 기반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 연구

        FENG FENG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263

        한국의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중국의 2020년 교육과정은 동일하게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그런데 미래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디지털 기술로 인해 사회가 전례없이 급속하게 변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는 이미 우리 생활환경에서 진행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변화된 삶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정보를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이 중요하고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핵심역량을 함양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글로벌 중론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과 중국 역시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고등학교에 전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중국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과 그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고, 운영 사례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점을 제언함으로써 양국의 교육과정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중국 양국의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한국·중국 양국의 체육과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적절하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핵심역량 기반 고등학교 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실제 고등학교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넷째, 적용된 체육과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핵심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중국 양국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개선해야 할 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중 양국의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려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인간상과 교육목표, 핵심역량을 반영한 인재 양성을 체육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양국 모두 국가 수준의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은 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6개 역량 함양을 중시한다면, 중국은 개인의 체육 능력 함양과 평생 운동으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6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둘째, 한·중 양국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총론의 핵심역량의 하위 역량의 개념으로 체육과의 교과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신체활동 능력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건강 관리 능력, 신체 수련 능력, 경기 수행 능력, 신체 표현 능력을 체육과 교과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중국은 체육과 역량으로 운동 능력, 건강 행위, 체육 품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체육과 교과 역량이 좀 더 포괄적이라면 중국의 그것은 보다 구체적이면서, 체육 품성에서 나타나듯이 체육활동을 통해 인간 내면의 도야까지를 포함 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셋째, 한·중 양국의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와 내용 체계가 거의 동일하다. 양국 모두 국가 수준의 추구하는 인간상 혹은 양성 목표(교육목표), 핵심역량, 인재상, 체육과 교과 역량, 체육과 교육목표,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순의 문서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국가 교육과정 수준의 핵심역량과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역시 한·중 양국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국과 중국이 동일하게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으로 내용 체계가 나누어져 각각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서 주목할 점은 교육과정에 핵심 개념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이 지식이나 내용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개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중국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 학습자 중심 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면서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이 다양한 신체활동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한국은 이러한 내용 변화는 당연히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는 교수·학습과 평가 방법의 변화를 함께 필요로 한다. 다섯째, 한국·중국 양국이 동일하게 필수 교과목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물론 그 방법에서는 양국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한국은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체육 교과목 필수 이수 단위를 10단위로 지정하고, 체육 교과목을 공통이 아닌 선택 과목으로 편성하되, 매 학기 체육 교과목을 개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달리 중국은 학기보다는 필수 학점 이수를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면 1~2학년에서는 체육과 건강 과목을 3학년에서는 최소한 교본 과목을 2시간씩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다양한 신체활동으로서의 체육 교과목을 학생이 선택하는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양국의 공통점이다. 여섯째, 양국 고등학교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주로 과정 평가와 형성평가, 종결평가 또는 종합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은 한국·중국 양국이 주로 학생 개인의 역량 개발을 위해 인지적 측면보다는 실행, 실천, 경험, 수행 등의 과정과 결과 태도의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중국 양국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체육과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 양국이 공동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개선하거나 보완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총론 수준의 핵심역량으로 어떻게 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핵심역량 성취 로드맵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라도 교과목 선택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한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해 주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생 중심 교육에 적합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개발하고 그에 따르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구안하고 공유해야 한다.

      • 드라마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생 연극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충청남도 당산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김형우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63

        A pla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a traditional play. And it is central to the overall process from creation to performance. Even in actual theater performances, the theater unit included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course mainly deals with plays. However, since the theater unit is a modification of the actual theater production process to suit the humanities education or refinement, the textbook theater unit differs in the creation process of plays compared to the actual theater production process. In the actual theater production process, the plays are created by the playwright constructing his ideas into the drama composition and form. On the other hand, in the play creation in the theater unit, the students create scenes by telling their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nd sharing roles. If we compare the two, the difference is that the theater unit does not emphasize the drama composition and form, unlike the actual theater process. However, to help students reconstruct and creatively express their experiences in their daily life through play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on drama composition and form together. The theater unit allows students to contemplate and reconstruct themselves on how to express their everyday experiences more interestingly. At this point, the students have not learned how to make an event attractive, so an instructional methods plan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ought ways to raise the interest in the play, and make students create more creative plays through applying drama composition and form.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drama analysis during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is used to explore the drama composition and form of the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use of drama analysis methods can be effective for the play cre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n instructional method for play creation. To do so, after arranging how the existing drama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actual theater production process and commonly used analysis methods, it will be applied to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ater unit and implemented.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theater unit is suitable for applying drama analysis. In the design of the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consideration was given to how to analyze the research results as well as the class level, such as whether or not they have received theater education in the past. First of all, play activities were conducted which apply the principle of drama analysis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understand drama analysis in an easy and fun way. After explaining the analysis of the drama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will apply it to the situational play so that they can present it.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situational drama, this study would like to focus on how the students built the drama composition and format. The instructional methods are implemented for twenty 6th grade students of Dangsan Elementary School in Dangjin-City, Chungcheongnamdo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 lessons. In the 5th lessons, the learning goal was set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method of drama analysis. Based on the above-discussed drama analysis, theater unit, and the designed instructional method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how drama analysis helps the understanding of drama composition and format. To do so, every class will be recorded to use as material for analysis. Second, to find out how drama analysis can be used as a method of writing a play. In this study, situational drama creation is implemented as part of the play creation. The researcher will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rama analysis method as a play creation method through the results of situational drama creation. Third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 on how to create plays using drama analysis methods on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students can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learning goal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addition, the researcher will personally attend this class as a lecturer to see how the students react. After finishing every class, there were class diaries written by the students, a random interview with them, and a survey that summarize the feelings and opinions to summarize. This study could be a model for those who want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 to create a play and drama analysis. 희곡은 전통적인 연극의 3요소 중 하나로, 작품의 창작부터 공연까지 전반적인 과정의 중심이 된다. 실제 연극 공연에서도, 초등학교 국어 교과에 수록된 연극 단원도 희곡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 다만 연극 단원은 연극 제작과정을 인문학적 소양 교육에 맞게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연극 제작과정과 비교했을 때 교과서 연극 단원은 희곡의 창작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 연극 제작과정에서 희곡은 극작가가 자신의 발상을 드라마 구성과 형식으로 구축하여 창작된다. 반면, 연극 단원에서의 희곡창작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역할을 분담해 장면을 만든다. 둘을 비교해보자면 연극 단원은 실제 연극 과정과는 다르게 드라마 구성과 형식을 강조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자신의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을 희곡을 통해 재구성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도우려면, 드라마적 구성과 형식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극 단원은 일상생활의 경험이 더욱 재미있게 표현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학생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재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은 사건이 어떻게 하면 재미있게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학습한 바가 없어 이에 대한 지도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희곡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더욱 창의적으로 희곡창작을 할 수 있도록 드라마 구성과 형식을 적용하려 하였다. 그리고 실제 연극 제작과정 중 드라마 분석의 과정이 희곡의 드라마 구성과 형식을 탐구하는 데에 활용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희곡창작을 위한 지도 방안으로 드라마 분석법의 활용이 희곡 창작 능력에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드라마 분석이 실제 연극 제작과정에서는 어떻게 실행되는지, 공통으로 활용되는 분석 방법을 정리한 후에 이를 초등학교 연극 단원의 지도 방안에 적용하고 실제로 초등학생들에게 교육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연극 단원에 드라마 분석 적용이 적합한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지도 방안의 설계에서는, 기존에 연극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지와 같은 학급 수준을 고려함과 더불어 연구 결과를 어떻게 분석할 것 인지에 유의하였다. 우선, 초등학생들이 드라마 분석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도록 드라마 분석의 원리를 적용한 연극 놀이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드라마 분석을 설명한 후 상황극에 적용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 상황극 발표를 통해 학생들이 드라마 구성과 형식을 어떻게 구축하였는지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지도 방안은 연구의 대상인 충청남도 당진시 당산초등학교 6학년 학생 20명에게 실행되며, 총 5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5차시의 수업은 드라마 분석의 방법을 탐구한 것에서 착안하여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논의된 드라마 분석과 연극 단원, 그리고 설계된 지도 방안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분석이 드라마 구성과 형식의 이해를 어떻게 돕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5차시의 수업의 결과를 차시별로 기록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드라마 분석이 희곡창작 방법으로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희곡창작의 일환으로 상황극 창작을 실행한다. 연구자는 상황극 창작의 결과를 통해서 희곡창작 방법으로서의 드라마 분석법의 효용성을 알아보겠다. 셋째, 드라마 분석법을 활용한 희곡창작 방법 교육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지와 더불어 학생의 만족도와 흥미 여부를 파악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출강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확인해보고, 수업 종료 매 차시에 수업 일기 작성한 것을 분석, 참여자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서 학생들의 소감과 의견을 정리해 보겠다. 이 연구가 초등학생들에게 희곡창작 방법과 드라마 구성 및 형식을 교육하고자 하는 후학들에게 모형을 제시하고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